KR101778660B1 -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660B1
KR101778660B1 KR1020160057664A KR20160057664A KR101778660B1 KR 101778660 B1 KR101778660 B1 KR 101778660B1 KR 1020160057664 A KR1020160057664 A KR 1020160057664A KR 20160057664 A KR20160057664 A KR 20160057664A KR 101778660 B1 KR101778660 B1 KR 101778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s
community
user
providing
sma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신경승
Original Assignee
(주)유플러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플러스디 filed Critical (주)유플러스디
Priority to KR1020160057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이루어진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체(10G); SNS 기반 네트워크(20);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 그리고 mean stack(mongo db, express, angular js, node.js) 및 웹소켓을 지원하는 서버로 웹/앱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브라우저 내에서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에 해당하는 Javascript를 사용하여 Full Stack인 mean stack을 제공하는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 를 포함하는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각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사용자에 대한 활동 지수를 제공하기 위해 각 사용자의 활동성을 고유의 회원 활동 지수 방정식인 "A*a + B*b + C*c + D*d + E + F"에 의해 연산하며, 연산시 대문자에 대해서는 미리 설정된 항목의 개수, 소문자에 대해서는 서로 갖거나 다른 정수 또는 자연수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사용하되, 각 항목의 내용으로, A에 대해서는 방문횟수(2시간 이내 재방문은 방문 횟수에서 제외), B에 대해서는 직접 작성한 게시글 개수, C에 대해서는 내 게시글에 달린 댓글 개수, D에 대해서는 개별 댓글에 대한 ‘좋아요-싫어요’반응에 대한 합산수, E에 대해서는 C에 대한 합산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넘어서 명예의 전당 지정시 특별 포인트(우수 콘텐츠)의 개수, F에 대해서는 개별 이벤트 포인트의 개수를 활용하여 연산하는 회원 활동 지수 제공 모듈(32b); 및 각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액세스를 허여한 뒤 게시글 및 게시 동영상 중 하나로 제공되는 게시물에서 게시 동영상을 수신받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과 매칭된 '동영상 전문 제공 계정'으로의 업로드 요청을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로 전송하여 게시하도록 하며, 동영상 iframe 자동 생성 및 게시 툴로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의 계정에 먼저 동영상을 등록한 뒤, 등록된 동영상의 URL 주소를 동영상을 제공한 사용자의 게시판에 입력하면, 동영상 iframe 태그를 자동 세팅하여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의 게시판에 동영상이 실행되도록 하는 영상 업로딩 툴 제공 모듈(32c); 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SNS, 포털 사이트 카페와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 공간과 그 밖의 독립 커뮤니티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웹소켓 및 mean stack에 해당하는 mongo db, express, angular js, node.js를 사용하여 한 번에 많은 사용자가 접속해서 대량의 데이터를 읽고 쓰더라도 성능에 크게 저하가 없도록 하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 요청자가 아닌 활동 지수가 높은 회원을 서비스 제공의 타겟이 되도록 유도하여 트래픽 유입에 효과적인 양질의 콘텐츠 생산이 증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CP(Contents Provider) 기반으로 콘텐츠 제작자를 양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and online community platform based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fusion type}
본 발명은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온라인 커뮤니티 공간과 독자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장단점 중 단점들에 해당하는 콘텐츠 생성의 한계점, 트래픽 효율성, 정보 검색의 어려움 등을 극복하여 효과적인 새로운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은 컴퓨팅 기능을 갖춘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급으로 인해 현재에는 다양한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및 독자 커뮤니티 사이트가 제공되고 있다. 즉 하기의 [표 1]은 기존의 온라인 커뮤니티 및 독자 커뮤니티 플랫폼의 장점 및 단점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구분
사례
장점
단점
SNS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핀터레스트
구글+ 등
-병렬식 연결형 타임라인 구조
-친구(Follower)기능
-메시징 연동
-손쉬운 클리핑
-수평적 구조
-개인화된 네트워크
-알람 기능
-모바일 접근성
-통상적인 웹 게시판에 비해 콘텐츠 생산/축적/열람 툴로는 한계를 보임
-정보의 검색이 어려움
-세부 카테고리 구성에 한계
-개인이 구축한 정보의 트래픽 효과를 플랫폼 사업자가 독식
Cafe
네이버 카페
다음 카페
-손쉽게 카테고리 구성 가능
-한국에서만큼은 압도적인 트래픽 유입이 보장됨
-콘텐츠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편
-PC에서 출발한 서비스이다 보니 모바일에서의 기능은 다소 불충분
-UI, 게시판 등 기존 플랫폼의 커스터마이징이 불가함
-카테고리가 1depth 까지만 구현 가능하여 게시판 수가 늘어날수록 접근성 떨어짐
-광고 등 트래픽 유입 효과를 플랫폼 사업자가 독식
웹사이트 커뮤니티
클리앙
오늘의 유머
뽐뿌
slrclub.com 등
-모바일과 웹사이트 모두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 가능함
-주제별 고급 콘텐츠 구축용이
-맞춤형 검색 용이함
-카테고리 구조 자유도 높음
-회원등급제도, 가입양식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현 가능
-초기 트래픽 유입에 어려움 겪음
-사용자로서 트래픽, 회원등급 외 동기부여장치 부족
이와 같이 [표 1]에서 제시되고 있는 사항 중 각 온라인 서비스의 단점을 극복하여 새로운 플랫폼에 관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즉,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기존의 SNS, ‘카페’로 대변되는 온라인 커뮤니티 공간과 그리고 ‘클리앙’, ‘오늘의 유머’, ‘뽐뿌’, ‘slrclub.com' 등의 독자 커뮤니티 사이트의 특장점을 취합하되, 각 서비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기능들을 융합하되 콘텐츠 생산과 전파, 친목 도모라는 커뮤니티의 명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부합할 수 있는 PC와 같은 일반적인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포함하되 모바일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제공하기 위한 융합형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607887호 "마인드 맵 형태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장치"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270070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499531호 "제품 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SNS 서비스, 포털 사이트 카페로 대변되는 온라인 커뮤니티 공간과 그 밖의 독자 커뮤니티 사이트의 장점을 취합하고 새로운 기능들을 융합하여 콘텐츠 생산과 전파, 친목 도모라는 커뮤니티의 명제에 효과적으로 부합하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기반 플랫폼을 개발하여 보급하도록 하기 위한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CP가 제작한 콘텐츠에서 발생한 트래픽과 활동 지수를 통해 각 CP에게 온라인 광고수익을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 요청자가 아닌 트래픽 유발자(활동 지수가 높은 회원)를 서비스 제공의 타겟이 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트래픽 유입에 효과적인 양질의 콘텐츠 생산이 증가하도록 하기 위한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이루어진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체(10G); SNS 기반 네트워크(20);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 그리고 mean stack(mongo db, express, angular js, node.js) 및 웹소켓을 지원하는 서버로 웹/앱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브라우저 내에서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에 해당하는 Javascript를 사용하여 Full Stack인 mean stack을 제공하는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 를 포함하는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각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사용자에 대한 활동 지수를 제공하기 위해 각 사용자의 활동성을 고유의 회원 활동 지수 방정식인 "A*a + B*b + C*c + D*d + E + F"에 의해 연산하며, 연산시 대문자에 대해서는 미리 설정된 항목의 개수, 소문자에 대해서는 서로 갖거나 다른 정수 또는 자연수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사용하되, 각 항목의 내용으로, A에 대해서는 방문횟수(2시간 이내 재방문은 방문 횟수에서 제외), B에 대해서는 직접 작성한 게시글 개수, C에 대해서는 내 게시글에 달린 댓글 개수, D에 대해서는 개별 댓글에 대한 ‘좋아요-싫어요’반응에 대한 합산수, E에 대해서는 C에 대한 합산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넘어서 명예의 전당 지정시 특별 포인트(우수 콘텐츠)의 개수, F에 대해서는 개별 이벤트 포인트의 개수를 활용하여 연산하는 회원 활동 지수 제공 모듈(32b); 및 각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액세스를 허여한 뒤 게시글 및 게시 동영상 중 하나로 제공되는 게시물에서 게시 동영상을 수신받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과 매칭된 '동영상 전문 제공 계정'으로의 업로드 요청을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로 전송하여 게시하도록 하며, 동영상 iframe 자동 생성 및 게시 툴로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의 계정에 먼저 동영상을 등록한 뒤, 등록된 동영상의 URL 주소를 동영상을 제공한 사용자의 게시판에 입력하면, 동영상 iframe 태그를 자동 세팅하여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의 게시판에 동영상이 실행되도록 하는 영상 업로딩 툴 제공 모듈(32c); 을 포함한다.
이때, 회원 활동 지수 제공 모듈(32b)은, 연산된 회원 활동 지수를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레벨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하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관심 회원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한 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 회원의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으로의 새 게시글 업로드시 '제 1 관심 회원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관심 회원 설정 요청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하는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하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으로의 새 게시글 정보와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요청한 태깅 정보("@ + 수신처 닉네임")를 수신하는 경우, '제 2 관심 회원 알림 정보'를 생성한 뒤, 새 게시글 정보로 제시한 SNS 회원의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으로의 새 게시글 게시와 함께 태깅 정보에서 수신처로 지정된 사용자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제 2 관심 회원 알림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SNS, 포털 사이트 카페, 그 밖의 독립 커뮤니티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웹소켓 및 mean stack에 해당하는 mongo db, express, angular js, node.js를 사용하여 한 번에 많은 사용자가 접속해서 대량의 데이터를 읽고 쓰더라도 성능에 크게 저하가 없도록 하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 요청자가 아닌 활동 지수가 높은 회원을 서비스 제공의 타겟이 되도록 유도하여 트래픽 유입에 효과적인 양질의 콘텐츠 생산이 증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CP(Contents Provider) 기반으로 콘텐츠 제작자를 양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 중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제시하는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및 수익 배분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게시물 콘텐츠 제작 및 배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게시물 콘텐츠 제작 및 배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커뮤니티 솔루션 플랫폼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위치 기반으로 주변 사용자들간 상거래 제공 방식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제시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샤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 중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 중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이루어진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체(10G), SNS 기반 네트워크(20),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 클라우드 네트워크(50), 다수의 클라우드 서버(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는 무선링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넷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로서, 이는 포괄적인 개념의 휴대기기들이다. 즉, 핸드폰, 무선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와 같이 멀티미디어 폰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SNS 기반 네트워크(20) 및 클라우드 네트워크(50)는 각각 SNS 서비스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로,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SNS 기반 네트워크(20) 및 클라우드 네트워크(5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SNS 기반 네트워크(20) 및 클라우드 네트워크(5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SNS 기반 네트워크(20)는 다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클라우드 네트워크(50)는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와 각 클라우드 서버(6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송수신부(31), 제어부(32) 및 데이터베이스(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32)는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 회원 활동 지수 제공 모듈(32b), 영상 업로딩 툴 제공 모듈(32c), CP 기반 광고 제공 모듈(32d) 및 직거래 장터 제공 모듈(32e)로 구분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제어부(32)의 구성을 중심으로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하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사용자인 관심 회원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한다. 이후,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데이터베이스(33)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 회원의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으로의 새 게시글 업로드시 '제 1 관심 회원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관심 회원 설정을 요청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베이스(33)라 함은, 각각의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3)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DB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하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관심 단어(특정 단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한다. 이후,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다른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사용자의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에 게시되는 새 게시글 중 관심 단어가 포함되는 경우, '관심 단어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관심 단어 설정을 요청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또한,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하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사용자 자신의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 또는 다른 SNS 회원의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에 등록된 관심 게시글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한다. 이후,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각 관심 게시글에 대한 등록시 관심 게시글을 설정 요청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관심 게시글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또한,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각 관심 게시글에 대한 댓글 등록시에도 관심 게시글 설정을 요청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관심 댓글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하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다른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다른 회원을 수신처로 지정한 쪽지를 수신하는 경우, 1:1 메시지 수신 알림 기능을 수신처로 지정된 다른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또한,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개별 메시지뿐만 아니라, 단체 메시지 수신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하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으로의 새 게시글 정보와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요청한 태깅 정보("@ + 수신처 닉네임")를 수신하는 경우, '제 2 관심 회원 알림 정보'를 생성한 뒤, 새 게시글 정보로 제시한 SNS 회원의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으로의 새 게시글 게시와 함께 태깅 정보에서 수신처로 지정된 사용자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제 2 관심 회원 알림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즉,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 닉네임 형식을 새 게시글 정보의 본문이나 제목에 넣은 경우 설정된 닉네임에 해당하는 사용자에 대한 알림을 제공한다.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하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관심 회원의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을 이루는 다수의 게시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관심 게시판 알림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한 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 게시판으로의 새 게시글 또는 게시 동영상 업로드시 '관심 게시판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관심 게시판 설정 요청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여기서 설정된 관심 게시판은 SNS 회원에 의해 선택된 즐겨찾기 지정 게시판일 수 있다.
또한,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관심 게시판 중 전체 또는 부분(설정 페이지)에 대한 관심 단어(특정 단어)를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하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한 뒤, 설정된 관심 게시판에 관심 단어를 포함하는 새 게시글 또는 댓글이 등록되는 경우 '게시판 관심 단어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관심 단어 설정 요청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한 명의 사용자가 운용하는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자신의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 또는 다른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으로의 새 게시글 정보 및/또는 댓글 정보과 함께 댓글 정보 수신 설정을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한 뒤, 저장된 새 게시글 정보 또는 댓글 정보의 하위에 다른 사용자가 운영하는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의 댓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 1 댓글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댓글 정보 수신 설정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또한,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하나의 사용자가 운용하는 하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자신의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으로의 새 게시글 정보에 대한 댓글 및 반응 정보{좋아요(엄지척 아이콘)’, ‘싫어요(엄지다운 아이콘)}에 대한 모니터링 설정 사항을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댓글 및 반응 정보에 대한 다른 사용자가 운영하는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제 2 댓글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댓글 정보 수신 설정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데이터베이스(33)에 각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사용자별로 구분된 알림 정보를 수집한 뒤, 각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한 액세스(access) 이후 알림 정보 요청을 수신한 경우, 수집된 알림 정보를 알림 정보 요청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에 의해 수집된 알림 정보는 상술한 각 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관심 회원 알림 정보', '관심 단어 알림 정보', '관심 게시글 알림 정보', '관심 댓글 알림 정보', '1:1 메시지(단체 메시지) 수신 알림 정보', '제 2 관심 회원 알림 정보', '관심 게시판 알림 정보', '게시판 관심 단어 알림 정보', '제 1 댓글 알림 정보', '제 2 댓글 알림 정보', 그 밖의 알림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회원 활동 지수 제공 모듈(32b)은 모니터링 가능한 사용자에 대한 활동 지수를 제공하기 위해 각 사용자의 활동성을 파악할 수 있는 고유의 회원 활동 지수 방정식을 활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원 활동 지수 제공 모듈(32b)은 회원 활동 지수 방정식으로 "A*a + B*b + C*c + D*d + E + F"에 의해 연산하며, 여기서 대문자는 각 항목의 개수를 의미하며, 소문자는 가중치로 서로 갖거나 다른 정수 또는 자연수일 수 있다. 그리고 각 항목의 내용은 하기의 [표 2]와 같다.
· A : 방문횟수(2시간 이내 재방문은 방문 횟수에서 제외)
· B : 직접 작성한 게시글
· C : 내 게시글개별 댓글에 대한 ‘좋아요-싫어요’합산수
· E : 명예의 전당 지정 특별 포인트(우수 콘텐츠)
(예, C에 대한 합산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넘는 경우)
· F : 개별 이벤트 포인에 달린 댓글 개수
· D : 개별 이벤트 포인트
한편, 회원 활동 지수 제공 모듈(32b)은 연산된 회원 활동 지수를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레벨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원 활동 지수 제공 모듈(32b)은 각 사용자에 해당하는 회원의 활동 지수를 세분화하여 가중치를 개별 적용한 레벨 자동조절할 수 있다. 회원 활동 지수 제공 모듈(32b)은 커뮤니티, 콘텐츠 포털, 회사 사이트, 고객 대응 서비스 등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 세밀하게 회원 레벨(포인트) 적립 구조를 구현한다. 이는 흔히 볼 수 있는 회원 레벨 기능, 즉 새 글, 새 댓글, 방문의 합 정도만 포인트화하여 레벨을 구분하는 수준을 벗어나, 직접 작성한 게시판의 페이지 뷰, 작성한 게시물에 달린 좋아요 개수, 블라인드처리 요청 수, 방문 횟수와 읽은 게시물 수 등 전반적인 활동을 모두 분석하여 수치화하고, 가중치를 달리하여 합리적인 ‘활동 지수', ‘회원 레벨’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업로딩 툴 제공 모듈(32c)은 게시글 및 게시 동영상 중 하나로 제공되는 게시물에서 게시 동영상을 첨부시, 미리 설정된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에 일괄 업로드한 뒤, 광고 수익을 배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는 유튜브 서버(kr.youtube.com, www.youtube.com)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 업로딩 툴 제공 모듈(32c)은 동영상 업로딩 기능으로, 하나의 사용자가 운용하는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액세스 이후,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에서 구동되는 동영상 업로드 툴을 이용해 게시 동영상을 게재시,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과 매칭된 '동영상 전문 제공 계정'으로의 업로드 요청을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로 전송한다.
이러한 전문 제공 서버(40)의 계정으로의 업로드 요청에 따라,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는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동영상을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게시한다.
또한, 영상 업로딩 툴 제공 모듈(32c)은 동영상 iframe 자동 생성 및 게시 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영상 업로딩 툴 제공 모듈(32c)은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의 계정에 먼저 동영상을 등록한 뒤, 등록된 동영상의 URL 주소를 동영상을 제공한 사용자의 게시판에 입력하면, 동영상 iframe 태그를 자동 세팅함으로써,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의 게시판에 동영상이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영상 업로딩 툴 제공 모듈(32c)은 동영상 합성 툴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 업로딩 툴 제공 모듈(32c)은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게시 동영상 업로드시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다수의 인트로 영상과 다수의 엔딩 영상 중에서 하나의 업로드 동영상마다 하나의 인트로 영상 및 엔딩 영상을 추출한 뒤 자동 합성한 뒤, 합성된 동영상을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함으로써, 동영상이 업로드된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에서 합성된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인트로 영상 및 엔딩 영상은 광고 동영상일 수 있다.
한편, 영상 업로딩 툴 제공 모듈(32c)은 도 12와 같이, 유튜브 등 타 미디어 플랫폼 영상의 주소만으로 게시판에 직접 업로딩 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즉 도 12a와 같이, 산, 바다, 강/계곡, 도시, 공원, 축제, 스포츠, 사람, 기타, …에 대한 카테고리(1a)를 구현할 수 있으며, 원본이 등록되어있는 영상 미디어 플랫폼의 url 기입만으로 게시물에 자동 삽입(2a) 기능을 제공하며, 유튜브 등 영상 외 직접 사진 등 관련 파일을 추가하는 경우 파일 첨부 가능하며 게시판 본문에 삽입되는 기능(용량 제한)(3a)을 제공한다.
또한, 도 12b와 같이, EXIF 값이 있는 사진, 영상의 경우 EXIF 값에 따라 지역별 카테고리 적용하여 정렬되는 기능(4a)하며, EXIF 값(도 11에 대한 설명 참조)이 있는 사진, 영상의 경우 본문에 일시와 지역명 추출 기능(5a)을 제공할 수 있다.
CP 기반 광고 제공 모듈(32d)은 각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CP(Contents Provider) 회원 제도를 통해 광고 수익 적립 및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CP 기반 광고 제공 모듈(32d)은 사용자 개개인의 모든 게시글 및 게시 동영상에 온라인 광고를 삽입시키도록 함으로써, 각 사용자 개인별 광고 수익 현황과 배분 등 세부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회원 개별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CP 기반 광고 제공 모듈(32d)은 게시글에는 광고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으며, 게시 동영상에는 광고 동영상을 삽입할 수 있다.
직거래 장터 제공 모듈(32e)은 위치기반 직거래 장터 사이트를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각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에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간에 상호 등록한 거래 장소 또는 회원 위치를 기준으로 거래 장소 간 거리 순 거래, 게시글 정렬 기능을 제공한다.
직거래 장터 제공 모듈(32e)에 의해 제공되는 위치기반형 직거래 장터 서비스는 하기의 [표 3]과 같이 기존의 중고 및 직거래 오프라인 장터에는 없는 장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기존 중고, 직거래 오프라인 장터 위치기반형 직거래 장터 서비스
[거래 방법]
(1) 원하는 제품을 검색
(2) 판매자에게 거래 내역, 위치 등을 토대로 판매자 신용도 판단
(3) 대금입금(직접 또는 안전거래)
(4) 선입금 또는 금융권 안전거래 통한 입금 후 제품 수령
[거래 방법]
-게시판 정렬 방식 : 직거래 물품의 게시글 중 가까운 지역에서의 제품 순으로 정렬
-인근 판매글을 우선 구매하며, 직접 만나서 거래하기 용이함
[단점]
-원하는 제품에 대한 판매 글이 많은 경우, 원하는 제품/판매자 찾기 어려움
-택배를 이용한 원거리 거래 시 허위 매물, 하자 물품 판매 등의 사고 양산
[장점]
-직접 오프라인에서 만나 거래하는 비율이 높아지므로 자연스럽게 거래사고 감소
-구매하려던 아이템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거리가 가까운 이유로 구매하게 되는 사례 증가(거래량 증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제시하는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은 단독 솔루션이 아닌, 콘텐츠 제작/배포, 광고, 수익배분, 위치기반 커머스, SNS 서비스와 포털 사이트 카페(cafe) 솔루션의 장점을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광고 제공 및 수익 배분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게시판 + 광고 삽입 + 미디어 공유"를 위해 java나 c, node.js 등으로 웹소켓을 지원하는 서버로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SNS 서버, 포털사이트 서버, 웹사이트 커뮤니티 서버 등에서 사용되는 php/mysql 방식을 이용하지 않는다. 즉, php/mysql 방식은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나, 수십, 수백만 건의 데이터가 누적되는 경우 기능저하가 생기는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mean stack에 해당하는 mongo db, express, angular js, node.js를 사용하여 한 번에 많은 사용자가 접속해서 대량의 데이터를 읽고 쓰더라도 성능에 크게 저하가 없도록 한다.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웹/앱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브라우저 내에서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에 해당하는 Javascript를 사용하여 Full Stack 제공함으로써, 클라이언트-서버-DB 플랫폼 및 프레임 워크 스택으로 자바스크립트로 처리한다.
한편,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에서 제공하는 게시판에는 많은 게시판과 방문자로 인해 카테고리/콘텐츠 정렬이 필요하며, 광고 삽입 기능으로 사용자가 업로드한 텍스트(게시글)/게시 동영상을 포함한 게시물 콘텐츠에 자동으로 광고가 첨부되고, 광고 수익이 배분된다. 이때, 광고는 이미지 배너 및 동영상 인트로 영상 및 엔딩 영상으로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게시물 콘텐츠 제작 및 배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의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로의 액세스에 따른 게시 동영상 전송에 따라,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는 게시 동영상을 전송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의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 정보와 매칭되는 지정 계정으로 동영상 업로드를 수행한다(S10).
단계(S10) 이후,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는 단계(S10)에 따라 수신된 게시 동영상을 상기 매칭되는 지정 계정으로 등록 완료 후(S20),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전송 완료 메시지를 반환한다.
단계(S20) 이후, 단계(S10)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는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 상에 단계(S20)에서 등록이 완료된 동영상 URL 주소를 전송하면,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iframe 태그 자동 삽입을 수행한다(S30).
단계(S30) 이후,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요청에 따라 게시판 정렬을 구현할 수 있다(S40).
즉,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최근 댓글 추가된 게시물 위에 베스트 게시물, 최근 게시물 목록을 출력(display)할 수 있으며, 댓글 순 정렬 기능,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게시판 정렬 순서를 바꿔서 출력할 수 있으며, 게시물(게시 동영상)에 대한 "좋아요" 반응 선택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것을 정렬 목록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단계(S40) 이후, 단계(S10)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앱을 통해 스탠드 얼론(stand-alone) 타입으로 게시 동영상 편집을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저장 동영상에 대한 자르기, 자막편집, 인트로 영상, 엔딩 영상, 배경음악, 워터마크(watermark) 삽입을 수행하거나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로의 액세스에 따라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 상에서 게시 동영상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S50). 단계(S50)에서 수행된 게시 동영상의 편집 정보는 단계(S10)의 사용자 모바일 디바이스(10) 또는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에서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로 자동전송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게시물 콘텐츠 제작 및 배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에 의해 사용자가 업로드 요청한 게시 동영상이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로 전송되면,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게시 동영상 앞뒤에 지정된 광고 동영상에 해당하는 인트로 영상, 엔딩 영상을 자동 매칭 하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한 뒤,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게시판에서 자동 플레이를 한다(S110).
한편, 데이터베이스(33)는 도 10과 같은 추가 구성을 통한 샤딩 기능을 사용하여 성능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데이터베이스(33)에 한번에 많은 읽기/쓰기 작업이 요청되면 서비스가 느려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33)를 여러 개로 나누어서 처리하는 과정으로 샤딩 기능을 사용한다.
즉, 하나의 데이터베이스(33)를 여러 개에서 나누어 처리함으로 성능은 올라가고 설정에 따라 데이터의 안정성을 체크하는 데이터베이스(33)를 설정함으로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단계(S110) 이후,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는 단계(S110)에서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에 의해 광고 동영상이 편집된 게시 동영상을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계정과 매칭되어 저장된 동영상 전문 제공 계정에 자동으로 업로드 한 뒤(S120), 광고 동영상과 게시 동영상을 하나의 동영상처럼 출력한다(S130).
단계(S130) 이후,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게시 동영상에 해당하는 게시물마다 어떤 광고 동영상이 매칭되어 플레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단계(S110)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제공함으로써(S140), 게시물, 광고 동영상, 게시자, 광고 수익 현황에 대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단계(S140) 이후,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사이트 내에서 단계(S110)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의 게시물 관리 툴을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로 업로드된 콘텐츠 관리 및 현황 정보를 구현한다(S150).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커뮤니티 솔루션 플랫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SNS 서비스의 장점 및 포털사이트 카페(cafe) 커뮤니티의 장점뿐만 아니라, 웹사이트 커뮤니티 장점 등을 제공하기 위해 게시물에 사용자 닉네임(또는 아이디) 태깅 기능과, 사용자 알림이 아닌, 웹소켓을 사용한 알림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는 웹소켓을 이용하여 기존 앱보다 좀더 반응적이고 실시간으로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 가능한 장점을 제공받는다. 기존의 대부분의 웹사이트는 http를 사용하여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가져오는 단방향 통신이어서, 새로운 내용을 보려면 페이지의 새로 고침을 해야만 했고 이로 인해 내가 원하는 데이터만 보려고 했는데 새로 고침을 하면서 필요없는 데이터까지 받아와서 데이터의 낭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웹소켓은 이를 해결 하여 서버에서 사용자가 바뀌어야할 데이터만 보내주고 클라이언트 단에서는 페이지의 전체적인 '새로고침 기능' 없이 데이터만 추가하여 사용자에게는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갱신되는 것을 보고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트래픽의 감소와 사용자에게 원격으로 알림을 줄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상술한 회원 활동 지수 제공 모듈(32b)에서 제공된 활동 지수에 따른 포인트 적립 정보, 광고 수익 전환 요청 등을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위치 기반으로 주변 사용자들간 상거래 제공 방식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직거래 장터 내에서 설정된 근거리(5,10,30km,…)별 제품 리스트 정렬 기능을 제공한다.
즉, 각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가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에 직거래 장터 게시글을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 상으로 등록하면, 물품 직거래를 원하는 하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의 요청을 수신한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직거래 물품의 게시글 중 가까운 지역에서의 제품 순으로 정렬하고, 기간 설정 정보로 필터링한 뒤, 물품 직거래를 원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오토스케일링 방식을 활용한다. 즉,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가상화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의 수를 생성하고 줄일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사용자 천명이 이용하는 클라우드 서버(60)를 설정해둔 뒤에 사용자가 700~800명 접속하면 새로운 클라우드 서버(60)를 생성하여 801명째 접속한 사용자는 새로 생성된 두 번째 클라우드 서버(60)에 접속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는 사용자가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를 사용한 만큼 늘어나고 줄어들어서, 서비스를 만 명을 기준으로 예상했다가 만 명을 넘는 사용자가 접속할 때도 능동적으로 클라우드 서버(60)가 생성되어 서버가 늘어나는 사용자를 감당 못하는 경우를 예방하고 사용자 접속이 적은 시간대에는 클라우드 서버(60)를 최소한으로 유지하여 서버 유지에 들어가는 예산을 절약하여 해당 서비스를 유지하는 업체에 비용절감의 효과도 가져온다.
즉, 예상하지 못한 인원이 과도하게 접속할 때는 다수개의 클라우드 서버(60) 중 필요한 만큼 증설하고 사용자 접속이 적은 시간대에는 최소한으로 유지되는 오토스케일링에 최적화하여 개발하여 해당 툴을 이용하는 업체에게 비용절감의 효과와 사용자의 접속수에 맞춘 서버 증설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SNS 연동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OAuth 인증'과 'api'가 지원되도록 게시물을 두 개의 서버에 동시에 게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SNS 및 카페 서비스나 커뮤니티를 운영하면 사용자를 어떻게 늘릴지 고민하게 된다. 만약 운영중인 커뮤니티의 글이 자동으로 사용자의 SNS 계정에 같이 등록이 된다면 트래픽 증가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게시물 작성이나 댓글 작성 등의 행동을 하였을 때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둔 또 다른 서비스에 자동으로 같은 글이 등록되도록 할 수 있는 기능을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이 제공한다.
또한,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타 서비스를 통한 알림 기능을 제공하는데, 커뮤니티 내의 사용자들은 자신의 질문, 요청, 의견, 정보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궁금해 하며, 가급적 빠르게 원하는 리액션이 이뤄지기를 원한다. 따라서 상술한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에서 서비스하는‘알림 센터(Notification Center)’를 구축하게 되면 사용자가 다른 이들의 리액션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 SNS 등의 서비스 아이디로 로그인하도록 지원하여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알림이 각 SNS 등에서 기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트위터라면 멘션을 줄 수 있고 페이스북이라면 알림 팝업, 또는 메시지를 보내는 등의 알림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센터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매우 크다. 서비스에서 한동안 이탈한 사용자가 오래전 작성한 글에 달린 댓글이나 좋아요 등 리액션으로 인해 다시 재방문하는 계기가 된다. 대부분의 알림 기능은 개별 설정 가능하며, 주요 알림은 변경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기능은 기존 사용자들이 자신의 활동에 대한 반응을 잘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뮤니티 등 본 서비스 플랫폼 안에서 더욱 많은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중요한 동기부여장치로 작용할 것이다.
한편,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알림센터(Notification Center)'와 게시물 리스트업 연동형 api를 제공할 수 있다. 즉,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커뮤니티의 전체, 또는 특정 게시물과 알림 센터의 모든 리스트를 api를 통해 오픈”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트위터, 페이스북 큰 장점 중 하나는 자신들의 서비스의 api를 공개하여 써드파티 플러그인이나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api로 공유되는 게시물은 단순한 웹 게시판으로 끝나지 않고 해당 api를 통해 다른 플랫폼에 글들을 리스트업 할 수 있게 된다. 심지어 게임이나 비디오 영상 플레이 화면에 게시판이 실시간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웹 서비스에 끝나지 않고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한편,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도 11과 같이, EXIF 정보를 활용한 촬영 일시, 지역별 정렬기능을 제공한다. 즉, 모든 영상과 사진은 고유의 EXIF 정보가 담겨져 있으며,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이를 토대로 콘텐츠의 촬영 일시와 지역별 정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위치정보 기반의 컨텐츠의 촬영 위치를 국내 지도에 아이콘으로 표시하며, 게시판 정렬시 각 지역 카테고리별 사진/영상 콘텐츠의 구분 정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a는 메인페이지 게재용 요약지도로, 전체 사진/영상 컨텐츠 수(1a), EXIF 정보에 근거한 해당 위치의 컨텐츠 수(2a), 클릭시 축적 조절 가능한 확대도 페이지로 이동(3a)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도 11b와 같이, 축적 조절 가능한 바(4a)가 제공되며, 최근 업로드 된 영상/사진의 각 지역별 썸네일 이미지(5a)도 제공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컨텐츠&커뮤니티 사이트에 해당 플랫폼 적용하여 메인 페이지 구성시 영상/사진 로테이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1c와 같이 메인페이지에 인기 영상/사진 로테이션 가능하며, 유튜브 등 미디어 플랫폼에 지정된 썸네일 이미지 추출이 가능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
10G :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체
20 : SNS 기반 네트워크
30 :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
31 : 송수신부
32 : 제어부
32a : 알림 센터 제공 모듈
32b : 회원 활동 지수 제공 모듈
32c : 영상 업로딩 툴 제공 모듈
32d : CP 기반 광고 제공 모듈
32e : 직거래 장터 제공 모듈
33 : 데이터베이스
40 :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
50 : 클라우드 네트워크
60 : 클라우드 서버

Claims (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이루어진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 집합체(10G); SNS 기반 네트워크(20);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 그리고 mean stack(mongo db, express, angular js, node.js) 및 웹소켓을 지원하는 서버로 웹/앱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브라우저 내에서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에 해당하는 Javascript를 사용하여 Full Stack인 mean stack을 제공하는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 를 포함하는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제공 서버(30)는,
    각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사용자에 대한 활동 지수를 제공하기 위해 각 사용자의 활동성을 고유의 회원 활동 지수 방정식인 "A*a + B*b + C*c + D*d + E + F"에 의해 연산하며, 연산시 대문자에 대해서는 미리 설정된 항목의 개수, 소문자에 대해서는 서로 갖거나 다른 정수 또는 자연수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사용하되, 각 항목의 내용으로, A에 대해서는 방문횟수(2시간 이내 재방문은 방문 횟수에서 제외), B에 대해서는 직접 작성한 게시글 개수, C에 대해서는 내 게시글에 달린 댓글 개수, D에 대해서는 개별 댓글에 대한 ‘좋아요-싫어요’반응에 대한 합산수, E에 대해서는 C에 대한 합산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넘어서 명예의 전당 지정시 특별 포인트(우수 콘텐츠)의 개수, F에 대해서는 개별 이벤트 포인트의 개수를 활용하여 연산하는 회원 활동 지수 제공 모듈(32b); 및
    각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액세스를 허여한 뒤 게시글 및 게시 동영상 중 하나로 제공되는 게시물에서 게시 동영상을 수신받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과 매칭된 '동영상 전문 제공 계정'으로의 업로드 요청을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로 전송하여 게시하도록 하며, 동영상 iframe 자동 생성 및 게시 툴로 동영상 전문 제공 서버(40)의 계정에 먼저 동영상을 등록한 뒤, 등록된 동영상의 URL 주소를 동영상을 제공한 사용자의 게시판에 입력하면, 동영상 iframe 태그를 자동 세팅하여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의 게시판에 동영상이 실행되도록 하는 영상 업로딩 툴 제공 모듈(32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회원 활동 지수 제공 모듈(32b)은,
    연산된 회원 활동 지수를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레벨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하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를 운영하는 관심 회원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한 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 회원의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으로의 새 게시글 업로드시 '제 1 관심 회원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관심 회원 설정 요청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하는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알림 센터 제공 모듈(32a)은,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하나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부터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으로의 새 게시글 정보와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요청한 태깅 정보("@ + 수신처 닉네임")를 수신하는 경우, '제 2 관심 회원 알림 정보'를 생성한 뒤, 새 게시글 정보로 제시한 SNS 회원의 'SNS 융합형 콘텐츠 및 커뮤니티 계정'으로의 새 게시글 게시와 함께 태깅 정보에서 수신처로 지정된 사용자의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제 2 관심 회원 알림 정보를 전송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사용자 개개인의 게시글 및 게시 동영상에 온라인 광고를 삽입시키도록 하며, 각 사용자 개인별 광고 수익 현황 및 배분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회원 개별 홈페이지를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제공하는 CP 기반 광고 제공 모듈(32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SNS 기반 네트워크((20)를 통해 위치기반 직거래 장터 사이트를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1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간에 상호 등록한 거래 장소 또는 회원 위치를 기준으로, 거래 장소 간의 거리 순 거래 기능을 제공하는 직거래 장터 제공 모듈(32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57664A 2016-05-11 2016-05-11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1778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664A KR101778660B1 (ko) 2016-05-11 2016-05-11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664A KR101778660B1 (ko) 2016-05-11 2016-05-11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660B1 true KR101778660B1 (ko) 2017-09-15

Family

ID=5992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664A KR101778660B1 (ko) 2016-05-11 2016-05-11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6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130B1 (ko) * 2017-09-20 2019-02-27 김종하 Sns 제공시스템
JP2020187722A (ja) * 2019-12-14 2020-11-19 salt株式会社 Snsシステムにおける管理サーバ装置
CN113344532A (zh) * 2021-06-15 2021-09-03 漳州源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社区管理系统
KR102423285B1 (ko) * 2021-10-13 2022-07-20 주식회사 금병영 광고 컨텐츠 기획 및 제작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15784B1 (ko) 2022-09-14 2023-12-19 미러보드 주식회사 웹 주소 기반의 웹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130B1 (ko) * 2017-09-20 2019-02-27 김종하 Sns 제공시스템
JP2020187722A (ja) * 2019-12-14 2020-11-19 salt株式会社 Snsシステムにおける管理サーバ装置
CN113344532A (zh) * 2021-06-15 2021-09-03 漳州源泉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社区管理系统
KR102423285B1 (ko) * 2021-10-13 2022-07-20 주식회사 금병영 광고 컨텐츠 기획 및 제작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15784B1 (ko) 2022-09-14 2023-12-19 미러보드 주식회사 웹 주소 기반의 웹 커뮤니티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660B1 (ko) Sns 융합형 콘텐츠와 커뮤니티 플랫폼 제공 시스템
US9661462B2 (en) Location-based digital media platform
US103267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information in a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JP5779740B1 (ja) アクションタイプに基づくサード・パーティ・アプリケーションからのユーザに関する情報の受け取り
US9466077B2 (en) Propagating promotional information on a social network
RU2544755C2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сервер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одачей информации от друзей в сети
JP6334696B2 (ja) ハッシュタグおよびコンテンツ提示
CN102549557B (zh) 针对在线内容的媒体指南的特定化、集中式、自动化创建
Ziv et al. An exploration on mobile social networking: Dodgeball as a case in point
CN102226916B (zh) 管理应用程序的平台、方法及设备
US20110288911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llecting and Distributing Mobile Content
US200902767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playlists and tag-tuning of multimedia objects
CN107767161B (zh) 落地页处理方法及落地页处理装置
US11212244B1 (en) Rendering messages having an in-message application
US20140289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d users to comment on webpage content for display on remote websites
KR101737919B1 (ko) Sns를 통한 상품체험 대상자를 선정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한 광고 방법
US9660971B1 (en) Generating event recommendations based upon media consumption
US20160328752A1 (en) Native creative generation using hashtagged user generated content
US20210358023A1 (en) Electronic storefront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nic storefront
US8484092B1 (en) Generating communities based on common interest
US9734529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election of catalog items for inclusion on a network page
US201000948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user generated content incorporating content from a content catalog
Shen et al. Application of social media among chinese outbound tourists: Platforms and behaviors
KR20110083839A (ko) 객체중심 블로그의 서비스 및 광고방법
Toma et al. Sesa: A scalable multi-channel communication and booking solution for e-commerce in the tourism dom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