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472B1 - 적외선 차폐용 무기안료 및 이를 이용한 차열성 도료 - Google Patents

적외선 차폐용 무기안료 및 이를 이용한 차열성 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472B1
KR101778472B1 KR1020160159113A KR20160159113A KR101778472B1 KR 101778472 B1 KR101778472 B1 KR 101778472B1 KR 1020160159113 A KR1020160159113 A KR 1020160159113A KR 20160159113 A KR20160159113 A KR 20160159113A KR 101778472 B1 KR101778472 B1 KR 101778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pigment
silicon compound
present
metal oxid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문건호
한양수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9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2Compounds of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28Compounds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0Compounds of aluminium
    • C09C1/405Compounds of aluminium containing combined silica, e.g. m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실리콘 화합물층; 및 상기 복수의 실리콘 화합물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실리콘 화합물층과 결합하는 전이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외선 차폐용 무기안료 및 이를 이용한 차열성 도료{Infrared shielding inorganic pigment for thermal insulation coating}
본 발명은 적외선 차폐용 무기안료 및 이를 이용한 차열성 도료에 관한 것이다.
근래 하절기 냉방 전력 절감을 통한 에너지절약, 이산화탄소 저감 등의 관점에서 태양광 중에 포함된 적외선을 효과적으로 흡수, 반사할 수 있는 적외선 차폐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 외장도료에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적외선을 제어할 수 있는 무기안료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중, 저온 영역에서는 유기계 수지, 유기 첨가제, 또는 유기 용매 중에 분산시킨 차열성 페인트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고온 영역에서는 유기물질을 배제시키고 무기계 세라믹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성 세라믹 도료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차열안료는 도료에 적용되어 건물의 외벽, 원료 저장탱크의 외벽, 유체이송 핫 파이프, 물류센터 건물 등의 외벽에 도포하는 경우 벽체의 내화, 단열, 차열, 차염, 차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극고온에서 사용하는 용광로의 전기로, 요업산업의 내화로, 항공산업에서 공기와 고속 마찰하는 비행체 및 우주선 등의 외면에 사용하는 수성 세라믹 차열성 도료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제품은 개발되거나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열안료를 적용한 차열성 도료는 열 차단 효과를 가지며, 열 차단 원리는 크게 두 가지 메카니즘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는 열이 차열성 도막에서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는 메카니즘이며, 둘째는 흡수된 열을 열복사를 통해 외부로 재반사 시키거나 또는 물체 내부로의 열전도 또는 열대류를 최소화하는 메카니즘이다.
그러나 이러한 메커니즘은 어디까지나 이론적인 것일 뿐이며, 실제로 어떠한 세라믹 재료나 어떠한 차열성 도막의 구조가 상기한 메카니즘에 적합한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대부분이 실험이나 경험에 의한 선별을 통해 재료를 선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차열성 도료의 세라믹 재료로는 글래스 비드, 증착한 글래스 비드, 크롬광, 폐마그크로연화(MgO-Cr2O3), 산화티탄(TiO2), 디크롬산안티몬, 3산화 안티몬 크로마이트(FeCr2O4), SiC, SiO2-Al2O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세라믹 재료를 차열성 도료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세라믹 재료의 열반사, 열복사, 전도, 대류 메카니즘에 근거하여 구성성분들의 혼합비율이나 도막의 구조, 세라믹 재료의 결정성 구조를 조절하여 차열성을 실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할 수 있다.
차열성 도료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53831호에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을 피복한 차열성 및 내화성이 우수한 적층재료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사용된 세라믹 도료는 여전히 열안정성, 내화학성 등이 미흡하며, 또한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 흡수 및 반사가 부족하여 차열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383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흡수 및 반사하는 차열효과가 우수한 적외선용 무기안료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외선용 무기안료를 함유한 차열성 도료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실리콘 화합물층; 및 상기 복수의 실리콘 화합물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실리콘 화합물층과 결합하는 전이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에 있어,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층의 두께는 1 내지 10 n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에 있어,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층의 두께는 2 내지 6 n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에 있어, 상기 실리콘 화합물층은 불소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에 있어, 상기 실리콘 화합물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MgxSiyOzFk
[상기 화학식 1에서, x, y, z, 및 k는 조성비를 나타내며, 2.0 ≤ x ≤ 3.5, 3.0 ≤ y ≤ 5.0, 8 ≤ z ≤ 12, 1.5 ≤ k ≤ 2.5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에 있어,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층은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MaOb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Si, Zr, Ce, Fe, Cr, Mn, Nb, Ni, Cu, Co, 및 V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이며, a 및 b는 조성비를 나타내며, 1 ≤ a ≤ 3, 1 ≤ b ≤ 5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에 있어, 상기 무기안료는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이 상기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팽윤성 합성운모의 격자층 사이에 가교화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적외선용 무기안료를 함유하는 차열성 도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는 실리콘화합물층 사이에 삽입되는 전이금속 산화물층의 성분 및 두께에 따라 무기안료의 색상이나 적외선 흡수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는 실리콘 화합물층과 전이금속 산화물층 간의 복합화에 따라, 상기 실리콘 화합물층 사이에 삽입되는 전이금속 산화물의 열안정성 및 내화학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를 함유한 차열성 도료는 도료화 과정시 비히클에 분산성이 향상되며, 또한 적외선 흡수 및 반사 특성이 우수하여 적외선 차폐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의 XRD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열성 도료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 및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인은 금속산화물 단독, 또는 혼합금속산화물 복합형태의 나노입자가 팽윤성 합성운모의 층간에 가교화되어 최종 적층형 무기안료가 제조되는 경우, 합성운모의 층간에 삽입되는 전이금속 산화물층의 성분 및 두께에 따라 무기안료의 색상이나 적외선 흡수영역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층상규산염인 합성운모 판상격자와의 복합화에 따라 상기 합성운모의 층간에 삽입되는 금속산화물의 열안정성 및 내화학성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무기안료를 이용한 도료화 과정시 비히클에 분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기안료(1000)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실리콘 화합물층(100); 및 상기 복수의 실리콘 화합물층(10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실리콘 화합물층과 화학결합하는 전이금속 산화물층(200)을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층(100)은 실리콘 화합물이 함유된 격자층(lattice layer)을 의미한다. 이때 실리콘 화합물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및 실리콘 탄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층은 상기 실리콘 화합물층(100)이 xy 평면 상에 위치할 때, xy 평편 상에 위치한 상기 실리콘화합물층(100)을 수직 관통하는 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반복 형성된 층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에 있어, 상기 실리콘 화합물층(100)은 불소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실리콘 화합물층(100)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MgxSiyOzFk
[상기 화학식 1에서, x, y, z, 및 k는 조성비를 나타내며, 2.0 ≤ x ≤ 3.5, 3.0 ≤ y ≤ 5.0, 8 ≤ z ≤ 12, 1.5 ≤ k ≤ 2.5 이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 예로,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른 전이금속 산화물층(200) 또는 전이금속 산화물 나노입자를 고정할 수 있는 팽윤성(swelling property) 및 이온 교환능이 있는 합성운모(synthetic mica)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운모(천연운모 및 합성운모를 포함)이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전이금속 산화물층(200)은 복수의 실리콘 화합물층(100) 사이에 형성된 산화물로 된 층으로서, 적외선을 흡수 또는 반사하는 기능을 갖는 전이금속 산화물 단독, 또는 전이금속 산화물 복합 나노입자일 수 있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에 있어, 상기 전이금속 화합물층(200)은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MaOb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Si, Zr, Ce, Fe, Cr, Mn, Nb, Ni, Cu, Co, 및 V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이며, a 및 b는 조성비를 나타내며, 1 ≤ a ≤ 3, 1 ≤ b ≤ 5 이다.]
상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산화물이 상기 실리콘 화합물층(100) 사이에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무기안료의 색상이 조절되며, 상술한 근적외선을 흡수하거나 반사시킬 수 있다.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 예로, 상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산화물은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티타니아(TiO2), 세리아(CeO2), 산화크롬(Cr2O3), 산화철(Fe2O3 또는 Fe3O4), 망간산화물(MnO2 또는 Mn2O3)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에 있어,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층(200)은 상기 실리콘 화합물층(100)과 화학결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화학결합은 배위결합(coordinate bond), 공유결합(covalent bond), 금속결합(metallic bond), 수소결합(hydrogen bond), 이온 결합(ionic bond), 항원-항체 결합(antigen-antibody binding) 및 리간드-수용체 결합(ligand-receptor binding)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에 있어,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층(200)의 두께는 1 내지 10 n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층(200)의 두께는 2 내지 6 nm 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주를 만족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는 무기안료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근적외선 흡수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서술함에 있어, 용어 "근적외선"은 빛의 스펙트럼에서 적색 바깥쪽의 영역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적외선 중 파장이 가장 짧은 0.75 내지 3 μm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는 상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전이금속 산화물이 상술한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팽윤성 합성운모의 격자층 사이에 가교화된 후, 열처리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시, 열처리 온도는 100 내지 1000 ℃이거나, 좋게는 300 내지 600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상기 열처리 온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열처리 온도가 100 ℃ 이하인 경우에는, 반응과정에 혼입되는 층간수의 탈착이나 산화물 가교화 물질에 포함된 수산화기의 분해가 충분하지 못해 금속산화물의 형성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1000 ℃ 이상의 경우에는, 합성운모 층상격자 및 층간 가교화물질의 소결이 발생하여 최종 무기안료의 입자가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용어 "층간 가교화물질"은 합성운모 층상격자의 층간 또는 상술한 실리콘 화합물층(100)의 층간에 형성되는 전이금속 화합물의 전구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적외선용 무기안료를 함유하는 차열성 도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열성 도료는 상술한 적외선용 무기안료 10 내지 50 중량%, 유기 바인더 30 내지 85 중량%, 및 첨가제 0.5 내지 20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유기바인더는 아크릴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제1 유기바인더 30 내지 50 중량%, 및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 및 비닐알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제2 유기바인더 4 내지 3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레벨링제, 증점제, 소포제, 및 방부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열성 도료는 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은 상기 차열성 도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200 중량부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하기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팽윤성 합성운모(Synthetic mica, Na0 . 8Mg2 . 65Si4O10F2, 평균입자크기 = 2.0 μm, 이온교환능(CEC) = 85 mequiv./100g) 5g을 증류수 500mL에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한편, 실리카 나노 졸-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테트라에톡시 오르토실리케이트(TEOS) 42.6 g, 2N-염산 10 mL, 에탄올 12mL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여 실리카 나노 졸 입자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실리카 나노 졸 용액에 Fe(NO3)3ㅇ9H2O 10.2 g을 증류수 50mL에 용해시켜 제조한 Fe3+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이때 Fe3 + 이온은 주로 실리카 나노입자의 표면에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피착된다. 이 혼합용액에 0.4N-NaOH 수용액을 교반을 하면서 천천히 적정하여 용액의 pH를 2.7이 되게 하였다. 이때 표면에 피착된 Fe3 + 이온은 가수분해에 의해 Fex(OH)y z+ 형태의 올리고머(oligomer)를 형성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Fex(OH)y z +-SiO2형 가교화 물질(pillaring species)을 미리 수분산 시킨 합성운모 분산액에 강하게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가교화 물질과 합성운모의 이온교환 반응은 60에서 3시간 동안 진행시킨다. 이온교환 반응이 완료되면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고-액을 분리하고, 남아 있는 겔상의 고형분은 물과 에탄올을 1:1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하였다.
세척단계가 완료되면 일차적으로 겔 상의 무기안료 전구물질을 제조한다. 세척 후 겔상의 생성물을 전기오븐에서 100 에서 12시간 건조하고, 분쇄한 다음 대기분위기에서 300 ~ 600 온도 범위에서 2시간 열처리 하여 붉은색의 SiO2-Fe2O3-Mg2.65Si4O10F2 적층형 무기안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되 Fe3 + 이온 대신 Cr3 +(CrCl3ㅇ6H2O)을 이용하여 실리카 나노졸 입자의 표면을 개질하여 팽윤성 합성운모 층간에 가교화 시켰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녹색의 SiO2-Cr2O3-Mg2 . 65Si4O10F2 적층형 무기안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되 Fe3 + 이온대신 Al3 +(AlCl3ㅇ6H2O)을 이용하여 실리카 나노졸 입자의 표면을 개질하여 팽윤성 합성운모 층간에 가교화 시켰다.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백색의 SiO2-Al2O3-Mg2 . 65Si4O10F2 적층형 무기안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팽윤성 합성운모(Synthetic mica, Na0 . 75Mg2 . 65Si4O10F2, 평균입자크기 = 2.0 μm, 이온교환능(CEC) = 85 mequiv./100g) 5g을 증류수 500mL에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한편, 티타니아 나노 졸-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티타늄이소프로폭사이드 50.4 g, 2N-염산 15 mL, 이소프로판올 20mL를 혼합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여 티타니아(TiO2) 나노 졸 입자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티타니아 나노 졸 가교화 물질 (pillaring species)을 미리 수분산 시킨 합성운모 분산액에 강하게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가교화 물질과 합성운모의 이온교환 반응은 60에서 3시간 동안 진행시켰다.
이온교환 반응이 완료되면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고-액을 분리하고, 남아 있는 겔상의 고형분은 물과 에탄올을 1:1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하였다. 세척단계가 완료되면 일차적으로 겔 상의 무기안료 전구물질을 제조하였다. 세척 후 겔상의 생성물을 전기오븐에서 100 에서 12시간 건조하고, 분쇄한 다음 400 에서 2시간 열처리하여 백색의 TiO2-Mg2 . 65Si4O10F2 적층형 무기안료를 제조하였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X-선 회절도를 도시한 것으로 금속산화물 나노입자의 층간삽입에 따른 층간거리(basal spacing, d001)가 확장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은 적외선을 차폐할 수 있는 나노 금속산화물이 합성운모 층상격자 사이에 나노수준에서 복합화된 형태의 안료임을 입증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상기 층간거리는 약 3 내지 6 nm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무기안료를 사용하고, 하기 표 1에 수록된 조성으로 혼합한 후 경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열성 도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무기안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팽윤성 합성운모(Synthetic mica, Na0 . 8Mg2 . 65Si4O10F2, 평균입자크기 = 2.0 μm, 이온교환능(CEC) = 85 mequiv./100g)를 무기안료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무기안료 (g) 에틸렌아크릴산 (g)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 (g) 레벨링제(변성실리콘액 BYK-348) (g) 물 (g)
실시예 5 28 50 20 2 100
실시예 6 28 50 20 2 100
비교예 1 28 50 20 2 100
도 4는 실시예 5, 실시예 6, 및 비교예 1에 따른 근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5는 비교예 1 대비 약 211% 향상된 적외선 흡수율을 보이며, 실시예 6은 비교예 1 대비 약 177% 향상된 적외선 흡수율을 보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열성 도료는 1100 내지 1800 nm 영역에서 우수한 적외선 흡수율을 보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실리콘 화합물층
200: 전이금속 산화물층
1000: 무기안료

Claims (8)

  1. 전이금속 산화물이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팽윤성 합성운모의 격자층 사이에 가교화되어 제조되는 적외선용 무기안료로서,
    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실리콘 화합물층;
    상기 복수의 실리콘 화합물층으로 된 격자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실리콘 화합물층과 화학결합하는 전이금속 산화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화합물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며,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층은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며,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층의 두께는 2 내지 6 nm 인 적외선용 무기안료:
    [화학식 1]
    MgxSiyOzFk
    [상기 화학식 1에서, x, y, z, 및 k는 조성비를 나타내며, 2.0 ≤ x ≤ 3.5, 3.0 ≤ y ≤ 5.0, 8 ≤ z ≤ 12, 1.5 ≤ k ≤ 2.5 이다.]
    [화학식 2]
    MaOb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Si, Zr, Ce, Fe, Cr, Mn, Nb, Ni, Cu, Co, 및 V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이며, a 및 b는 조성비를 나타내며, 1 ≤ a ≤ 3, 1 ≤ b ≤ 5 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따른 적외선용 무기안료를 함유하는 차열성 도료.
KR1020160159113A 2016-11-28 2016-11-28 적외선 차폐용 무기안료 및 이를 이용한 차열성 도료 KR101778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113A KR101778472B1 (ko) 2016-11-28 2016-11-28 적외선 차폐용 무기안료 및 이를 이용한 차열성 도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113A KR101778472B1 (ko) 2016-11-28 2016-11-28 적외선 차폐용 무기안료 및 이를 이용한 차열성 도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472B1 true KR101778472B1 (ko) 2017-09-13

Family

ID=5996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113A KR101778472B1 (ko) 2016-11-28 2016-11-28 적외선 차폐용 무기안료 및 이를 이용한 차열성 도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4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949A (ko) 2022-09-06 2024-03-13 주식회사 티엠씨 티타늄산화물 무기안료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9285A1 (en) 2011-02-04 2013-11-21 L'oreal Composite pigmen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9285A1 (en) 2011-02-04 2013-11-21 L'oreal Composite pigmen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
비특허문헌2*
비특허문헌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949A (ko) 2022-09-06 2024-03-13 주식회사 티엠씨 티타늄산화물 무기안료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1301B2 (en) Nanometric tin-containing metal oxide particle and dispersion,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JP6255338B2 (ja) 高光取り出し性能を有する無機粒子散乱フィルム
TWI765016B (zh) 含有鐵之金紅石型氧化鈦微粒子分散液的製造方法、含有鐵之金紅石型氧化鈦微粒子及其用途
EP2360220A1 (en) Infrared blocking particl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infrared blocking particle dispersion using the same, and infrared blocking base
WO2004005577A2 (de) Substrate mit photokatalytischer tio2-schicht
JP2013224256A (ja) 赤外線反射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有した塗料、樹脂組成物
JP2011063739A (ja) 近赤外線遮蔽材料微粒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近赤外線遮蔽材料微粒子分散体と近赤外線遮蔽体
Haniffa et al. Synergistic effect of (3-Aminopropyl) Trimethoxysilane treated ZnO and corundum nanoparticles under UV-irradiation on UV-cutoff and IR-absorption spectra of acrylic polyurethane based nanocomposite coating
JP2022008462A (ja) 非放射性安定同位元素を用いた優環境熱遮蔽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07634A (ko) 근적외선 차단율이 향상된 투명 열차단 코팅액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투명 열차단 필름 및 투명 열차단 유리
JP6468457B2 (ja) 酸化チタン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926689A1 (en) Coating with infrared and ultraviolet blocking characteristics
DE102012022731A1 (de) Hochabriebfeste Antikalkschichten mit hoher chemischer Beständigkeit
KR101778472B1 (ko) 적외선 차폐용 무기안료 및 이를 이용한 차열성 도료
KR101321697B1 (ko) 백색 또는 적색 적외선 차폐안료를 포함한 적외선 차폐 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768311B1 (ko) 열변색 특성 및 투명도가 우수한 도핑된 열변색 나노입자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열변색 필름 제조방법
JP2011063493A (ja) 近赤外線遮蔽材料微粒子分散体および近赤外線遮蔽体および近赤外線遮蔽材料分散体の製造方法
JP7342861B2 (ja) 表面処理赤外線吸収微粒子分散液および赤外線吸収透明基材
JP6171733B2 (ja) 熱線遮蔽分散体形成用塗布液および熱線遮蔽体
JP2011063484A (ja) 近赤外線遮蔽材料微粒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近赤外線遮蔽材料微粒子分散体と近赤外線遮蔽体
KR101307015B1 (ko) 고투과 열차폐 조성물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커버 글라스 도막 구조
Ye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infrared emissivity study of SiO2/Ag/TiO2 “sandwich” core-shell composites
CN113201235B (zh) 改性云母钛珠光颜料及其制备、透明隔热涂料、玻璃
JP6413969B2 (ja) 日射遮蔽体形成用分散液および当該分散液を用いた日射遮蔽体
CN108003664B (zh) 一种吸收红外的光热效应珠光颜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