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464B1 - 마찰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마찰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464B1
KR101778464B1 KR1020160125276A KR20160125276A KR101778464B1 KR 101778464 B1 KR101778464 B1 KR 101778464B1 KR 1020160125276 A KR1020160125276 A KR 1020160125276A KR 20160125276 A KR20160125276 A KR 20160125276A KR 101778464 B1 KR101778464 B1 KR 101778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stopper
friction
side wall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형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25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2Measuring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5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measuring rolling friction, e.g. by rocking pendul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재 표면의 마찰 시험시 다수의 소재를 한번에 장착하여 연속적인 시험이 가능하도록 한 마찰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찰 시험 장치는 소재가 장착되는 소재 장착부; 상기 소재 장착부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소재 장착부에 장착된 소재가 시험위치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소재 장착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소재 장착부를 회전 또는 고정하는 로킹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찰 시험 장치 {FRICTION TESTER}
본 발명은 다수의 시편에 대해 연속적으로 마찰을 시험할 수 있도록 한 마찰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과 같은 소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활용되는 분야에 적합한 소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물리적 특성과 표면특성 등을 측정하는 마찰 시험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소재의 마찰 시험은 소재 표면에 밀착되어 직선운동의 반복을 통해 소재표면의 마찰 특성을 측정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마찰 시험 장치(10)는 일정한 크기로 가공된 소재(P)를 하부 플레이트(14a)와 상부 플레이트(14b) 사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마찰 시험용 지그 금형(12)에 삽입한다. 이때, 금형(12)의 하부에는 미리 볼트(16a)가 결합되고, 하부 플레이트(14a)와 상부 플레이트(14b)를 삽입한 후 너트(16b)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다음으로, 마찰작동기(1)를 작동시키면, 마찰 시험용 지그(2)의 밀착과 직선운동의 반복을 통해 마찰 시험이 이루어진다.
한편, 소재(P)의 마찰특성 측정은 재현성을 통한 실험의 신뢰도 향상목적으로 가공소재(P)를 이용하여 일정한 횟수를 반복적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마찰 시험 장치(10)는 마찰 시험을 하는 소재(P)의 교체시마다 금형(12) 내부의 볼트(16a)와 너트(16b), 상부와 하부 플레이트(14a)의 분해와 조립이 반복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공정의 반복으로 인한 시간지연이 발생하고, 반복적인 작업의 진행으로 인해 작업부하가 급격히 증가하여 피로도가 상승되며, 작업의 효율적 진행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마찰 시험은 여러 소재(P)의 조립과 분리를 통한 반복적 마찰 시험이 진행되며, 재현성 구현을 위해 다수의 소재(P)를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시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재(P)의 분리조립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시험시간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작업부하의 증가로 인해 피로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또한, 소재(P)의 조립과 분리가 반복적으로 일어남에 따라 시험의 연속적인 진행이 어렵고, 이에 따라 재현성이 떨어질 수 있어 시험품질 불량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빈번하게 재실험이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와 같은 마찰 시험의 반복은 소재(P)가공비는 물론 공정의 추가와 시험설비의 반복적 사용으로 경비상승은 물론 실험정체물량의 증가로 연결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재 표면의 마찰 시험시 다수의 소재를 한번에 장착하여 연속적인 시험이 가능하도록 한 마찰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찰 시험 장치는 소재가 장착되는 소재 장착부; 상기 소재 장착부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소재 장착부에 장착된 소재가 시험위치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소재 장착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소재 장착부를 회전 또는 고정하는 로킹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재 장착부는 외주면이 다각면으로 형성되고, 각면에 소재가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소재삽입부가 마련된 회전뭉치와, 상기 회전뭉치의 중심에 양측으로 제공되고,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나선부에 결합되어 이동하며 상기 소재삽입부에 삽입된 소재를 가압하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재삽입부는 상기 회전뭉치에서 축방향으로 소재의 폭에 대응하게 개방되고, 상기 소재의 삽입시 접촉되는 끝단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시작단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소재를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부에 삽입되는 부분이 상기 회전뭉치에 대응하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스토퍼부와,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토퍼부가 삽입되는 스토퍼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스토퍼 삽입홀에 삽입시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스토퍼 삽입홀에서 이탈되면 회전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측벽부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에 제공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측벽부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 이동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재의 마찰 시험특성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소재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 마찰 시험의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시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소재의 마찰 시험시, 다수의 소재를 한번에 장착할 수 있어 소재의 설치에 요구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소재의 설치로 인한 시험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어 연속적인 시험이 가능하고, 전체적인 시험 시간을 감소할 수 있으며, 시험에 소요되는 작업부하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소재의 마찰 시험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므로, 재시험의 필요성이 낮고, 이에 따라 소재가공비와 추가적인 시험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찰 시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찰 시험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시험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시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시험 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시험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 '선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시험 장치가 회전하는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시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시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시험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 시험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마찰 시험 장치(110)는 소재 장착부(120)와, 지지부(140) 및 로킹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재 장착부(120)는 소재(P)의 마찰 시험시 연속적으로 다수의 소재(P)를 시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소재(P)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재 장착부(120)는 다수의 소재(P)가 장착되도록 외주면이 다각면으로 형성된 회전뭉치(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회전뭉치(122)는 각면에 소재(P)가 축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소재 삽입부(124)가 마련될 수 있다.
소재 삽입부(124)는 회전뭉치(122)의 측면으로 소재(P)가 삽입되는 삽입홈(124a)이 형성될 수 있고, 상부는 마찰작동기(1)의 마찰 시험용 지그(2)가 소재(P)와 접촉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회전뭉치(122)는 외주면이 사각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면에 형성된 소재 삽입부(124)에 각각 소재(P)를 삽입하여, 연속적으로 4개의 소재(P)에 대해 마찰 시험을 할 수 있다. 한편, 회전뭉치(122)는 외주면이 사각면 외에도 5각면, 6각면 등 다각면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각면에 소재(P)를 장착하여 5개, 6개 등의 소재(P)를 연속적으로 마찰 시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회전뭉치(122)는 중심에 지지부(140)에 지지되는 회전축(126)이 양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 회전축(126)은 회전뭉치(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뭉치(122)의 양측에서 나선체결되며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회전축(126)은 환봉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외주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26)의 나선부에는 이탈방지판(128)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탈방지판(128)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나, 소재 삽입부(124)에 장착된 소재(P)를 모두 동시에 가압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판(128)은 중앙부에 회전축(126)의 나선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회전축(126)의 나사산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회전축(126)의 나선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소재 삽입부(124)에 삽입된 소재(P)를 가압하여 소재(P)가 소재 삽입부(12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삽입홈(124a)은 회전뭉치(122)에서 축방향으로 소재(P)의 폭에 대응하게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124a)은 소재(P)가 삽입되어 접촉되는 끝단(124b)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소재(P)가 삽입홈(124a)에 삽입시 이탈방지판(128)이 소재(P)를 가압함에 따라 경사진 끝단(124b)에 압착되며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124a)은 소재(P)가 삽입되는 시작단에 소재(P)를 가압하는 탄성부(124c)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124c)는 판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삽입홈(124a)의 일측에는 탄성부(124c)인 판 스프링의 고정을 위한 고정홈(124d)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124c)는 삽입홈(124a)의 시작단에서 소재(P)의 상부를 가압하여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124c)는 판 스프링으로 제공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탄성부(124c)는 스프링 또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에서 삽입홈(124a)에 삽입되는 소재(P)는 이탈방지판(128)에 의해 가압되며 이탈이 방지되고, 동시에 경사진 끝단(124b)과 시작단의 탄성부(124c)에 의해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40)는 소재 장착부(120)를 축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회전뭉치(122)에 형성된 회전축(126)의 양쪽을 지지하여 소재 장착부(120)에 장착된 소재(P) 중 어느 하나가 소재(P)의 마찰 시험 위치에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소재(P)의 마찰 시험 위치는 상부일 수 있고, 지지부(140)는 회전뭉치(122)의 상부가 평평하게 위치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부(140)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142)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부(142)에는 소재 장착부(120)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144)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회전축(126)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소재 장착부(120)는 지지부(140)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므로, 로킹장치에 의해 소재 장착부(120)를 고정하거나 소재(P)의 연속적인 마찰 시험을 위해 회전뭉치(122)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로킹장치는 회전축(126)에 형성되어 한 쌍의 측벽부(144)에 삽입되는 스토퍼부(127)와, 이 측벽부(144)에 형성되어 스토퍼부(127)가 삽입되며 고정되는 스토퍼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127)는 측벽부(144)에 삽입되는 부분이 회전뭉치(122)에 대응하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부(127)는 회전뭉치(122)가 4각면을 갖도록 형성될 경우 4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127)는 회전뭉치(122)가 5, 6각면을 갖도록 형성될 경우 5, 6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 삽입홀(145)은 이러한 스토퍼부(12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스토퍼부(127)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장치는 스토퍼부(127)가 스토퍼 삽입홀(145)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로킹장치는 회전축(126)이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토퍼부(127)가 스토퍼 삽입홀(145)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며, 이때 스토퍼 삽입홀(145)에는 스토퍼부(127)보다 직경이 작은 회전축(126)이 위치함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 시험 장치(110)는, 회전뭉치(122) 중 어느 한 면에 장착된 소재(P)의 마찰 시험이 완료될 경우, 로킹장치를 해제하여 다른 소재(P)가 장착된 면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회전뭉치(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뭉치(122)가 회전되어 다른 소재(P)가 장착된 면이 상부에 위치하면, 다시 회전축(126)을 복귀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토퍼부(127)가 다시 스토퍼 삽입홀(145)에 삽입되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26)은 양단부가 측벽부(144)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돌출된 단부에는 각각 엔드 플레이트(129a, 129b)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엔드 플레이트(129a, 129b)는 회전축(126)이 과도하게 이동하여 측벽부(144)의 스토퍼 삽입홀(14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26)은 엔드 플레이트(129a, 129b)와 측벽부(144)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스프링(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스프링(130)은 로킹장치의 해제를 위해 회전축(126)이 축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압축될 수 있고, 회전뭉치(122)가 회전되어 다음 마찰 시험을 위한 소재(P)가 상부의 마찰 시험 위치에 위치하면 탄성력에 의해 반발되며 회전축(126)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126)은 엔드 플레이트(129a, 129b)를 당기거나 밀어서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회전축(126)을 이동하는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회전축(126) 또는 엔드 플레이트(129a, 129b)에는 액츄에이터가 연결될 수 있고, 이 액츄에이터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하나의 소재(P)에 대한 마찰 시험이 완료되면,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회전축(126)을 이동시킨 후 회전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할 수 있으며, 이에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소재(P)의 마찰 시험을 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마찰 시험 장치(11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재 장착부(120)의 회전뭉치(122)에 마찰 시험을 위한 소재(P)를 장입한다.
이때 회전뭉치(122)의 회전축(126)에서 이탈방지판(128)을 회전 이동시켜 각각의 소재 삽입부(124)에 소재(P)를 삽입한다. 그리고, 소재 삽입부(124)에 소재(P)가 삽입되면 이탈방지판(128)을 회전 이동시켜 소재(P)를 가압하여 고정한다.
다음으로, 마찰 시험 장치(110)의 상부에 마찰작동기(1)를 위치시킨 후 마찰작동기(1)를 작동시킨다. 마찰작동기(1)는 마찰 시험용 지그(2)의 밀착과 직선운동을 반복하며 소재(P)에 대한 마찰 시험을 한다.
한편, 하나의 소재(P)에 대한 마찰 시험이 완료되면, 다음 소재(P)의 마찰 시험을 위해 소재 장착부(120)의 회전뭉치(122)를 회전시킨다.
이때, 엔드 플레이트(129a, 129b)를 당겨서 로킹장치를 해제한다. 일측의 엔드 플레이트(129a)를 당기면 회전축(126)의 스토퍼부(127)가 측벽부(144)의 스토퍼 삽입홀(145)로부터 이탈되어 회전축(126)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축(126)의 반대쪽에 제공된 엔드 플레이트(129a, 129b)는 회전축(126)의 당김 이동에 의해 탄성스프링(130)을 압축하게 된다.
그리고, 엔드 플레이트(129a, 129b)를 회전하여 회전뭉치(122)의 다른 면에 장착된 소재(P)가 상부의 마찰 시험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회전뭉치(122)의 다른 면에 장착된 소재(P)가 상부의 마찰 시험위치에 위치되면, 엔드 플레이트(129a, 129b)를 천천히 놓는다. 이와 같이 엔드 플레이트(129a)를 당기는 힘이 감소되면, 탄성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126)의 반대쪽에 제공된 엔드 플레이트(129b)가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축(126)이 이동되어 회전축(126)의 스토퍼부(127)가 측벽부(144)의 스토퍼 삽입홀(145)에 다시 삽입되며 고정된다.
이와 같이, 다른 소재(P)가 마찰 시험위치에 위치하면, 다시 상부에 마찰작동기(1)를 위치시킨 후 마찰작동기(1)를 작동시킨다. 마찰작동기(1)는 마찰 시험용 지그(2)의 밀착과 직선운동을 반복하며 다른 소재(P)에 대한 마찰 시험을 연속적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각면에 장착된 소재(P)에 대한 마찰 시험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10: 마찰 시험 장치 120: 소재 장착부
122: 회전뭉치 124: 소재 삽입부
124a: 삽입홈 124c: 탄성부
126: 회전축 127: 스토퍼부
128: 이탈방지판 129a, 129b: 엔드 플레이트
130: 탄성스프링 140: 지지부
142: 베이스부 144: 측벽부
145: 스토퍼 삽입홀

Claims (6)

  1. 소재가 장착되는 소재 장착부;
    상기 소재 장착부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소재 장착부에 장착된 소재가 시험위치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소재 장착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소재 장착부를 회전 또는 고정하는 로킹장치;
    를 포함하는 마찰 시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재 장착부는
    외주면이 다각면으로 형성되고, 각면에 소재가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소재 삽입부가 마련된 회전뭉치와,
    상기 회전뭉치의 중심에 양측으로 제공되고,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나선부에 결합되어 이동하며 상기 소재 삽입부에 삽입된 소재를 가압하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하는 마찰 시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재 삽입부는
    상기 회전뭉치에서 축방향으로 소재의 폭에 대응하게 개방되고, 상기 소재의 삽입시 접촉되는 끝단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시작단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소재를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마찰 시험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벽부를 포함하는 마찰 시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킹장치는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부에 삽입되는 부분이 상기 회전뭉치에 대응하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스토퍼부와,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토퍼부가 삽입되는 스토퍼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스토퍼 삽입홀에 삽입시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스토퍼 삽입홀에서 이탈되면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마찰 시험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측벽부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에 제공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측벽부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 이동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마찰 시험 장치.
KR1020160125276A 2016-09-29 2016-09-29 마찰 시험 장치 KR101778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276A KR101778464B1 (ko) 2016-09-29 2016-09-29 마찰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276A KR101778464B1 (ko) 2016-09-29 2016-09-29 마찰 시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464B1 true KR101778464B1 (ko) 2017-09-14

Family

ID=5992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276A KR101778464B1 (ko) 2016-09-29 2016-09-29 마찰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4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436A (ja) 1999-09-22 2001-04-06 Takachiho Seiki Kk 摩擦試験機および摩擦試験方法
JP2006162301A (ja) 2004-12-02 2006-06-22 Ricoh Co Ltd 摩耗試験機
JP5912941B2 (ja) 2012-07-10 2016-04-27 協和界面科学株式会社 摩擦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436A (ja) 1999-09-22 2001-04-06 Takachiho Seiki Kk 摩擦試験機および摩擦試験方法
JP2006162301A (ja) 2004-12-02 2006-06-22 Ricoh Co Ltd 摩耗試験機
JP5912941B2 (ja) 2012-07-10 2016-04-27 協和界面科学株式会社 摩擦試験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31060A (ja) プリント回路基板の振動試験用サポート・ラック
KR20100126130A (ko) 범용 테스트 소켓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장치
WO2018147246A1 (ja) 治具
KR101778464B1 (ko) 마찰 시험 장치
US7382144B2 (en) Test fixture for holding signal terminals or pins and related method for assembling the test fixture
KR20080049166A (ko) 시편 제조 장치 및 방법
CN1332192C (zh) 用于薄膜材料拉伸力学性能测试的拉伸夹具
US5744948A (en) Printed circuit board handling device
CN102636679A (zh) 摩擦电压自动测试设备
JP2005532553A (ja) 器具を用いた色彩読み取りの反復性を増大させる色彩試料ホルダ
CN215525351U (zh) 一种用于产品检验的拉力试验机
CN106872285B (zh) 测试引拔棒热态抗压强度的装置
JP2007010505A (ja) 材料試験機
CN212904223U (zh) 一种汽车实验室测试拉力机
JP2005077176A (ja) 落下衝撃試験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治具の締め付け装置
KR200493252Y1 (ko) 인덱스 가공기용 지그
JP2003057151A (ja) 転がり軸受用保持器の疲労試験装置
KR102436663B1 (ko) 부품 적재 장치
CN218037192U (zh) 一种便于组装的电路板测试工装
CN216265792U (zh) 焊接试片剥离工具
CN219747733U (zh) 一种可快速拆卸的夹具
JP5820632B2 (ja) 硬さ測定装置
CN220426240U (zh) 晶圆承载盘的清洁工具
KR102046251B1 (ko) 베어링 볼 커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베어링 볼 평가방법
RU2698738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спытания образцов на одноосное сжатие материалов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раститель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