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351B1 -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 Google Patents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351B1
KR101778351B1 KR1020140179565A KR20140179565A KR101778351B1 KR 101778351 B1 KR101778351 B1 KR 101778351B1 KR 1020140179565 A KR1020140179565 A KR 1020140179565A KR 20140179565 A KR20140179565 A KR 20140179565A KR 101778351 B1 KR101778351 B1 KR 101778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aqueous solution
amine
amine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857A (ko
Inventor
이영주
전병호
송근원
유혜인
신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79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3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6Three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6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chemical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3Cas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8Phys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e.g. swelling, coating or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01D67/00931Chemical modification by introduction of specific groups after membrane formation, e.g. by gra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01D67/00933Chemical modification by addition of a layer chemically bonded to the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0Specific pressure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4Characteristic thickn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 TREATMENT SEPARATING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SEPARATING MEMBRANE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명세서는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반투과성막으로 격리된 두 용액 사이에서 용매가 용질의 농도가 낮은 용액에서 높은 용액 쪽으로 분리막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현상을 삼투 현상이라 하며, 이때 용매의 이동으로 용질의 농도가 높은 용액 측에 작용하는 압력을 삼투압이라고 한다. 그런데 삼투압보다 높은 외부 압력을 걸어주면 용매는 용질의 농도가 낮은 용액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현상을 역삼투라고 한다. 역삼투 원리를 이용하여 압력 구배를 구동력으로 해서 반투과성 막을 통해 각종 염이나 유기 물질을 분리해낼 수 있다. 이러한 역삼투 현상을 이용한 수처리 분리막은 분자 수준의 물질을 분리하고, 염수 또는 해수에서 염을 제거하여 가정용 및 건축용, 산업용 용수를 공급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처리 분리막의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아미드계 수처리 분리막을 들 수 있으며, 폴리아미드계 수처리 분리막은 미세 다공층 지지체 상에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직포 위에 폴리술폰층을 형성하여 미세 다공성 지지체를 형성하고, 이 미세 다공성 지지체를 m-페닐렌 디아민(m-Phenylene Diamine, mPD) 수용액에 침지시켜 mPD층을 형성하고, 이를 다시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TriMesoyl Chloride, TMC) 유기 용매에 침지시켜 mPD층을 TMC와 접촉시켜 계면 중합시킴으로써 폴리아미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시된 수처리 분리막은 시간에 따른 폴리아미드층과 미세 다공성 지지체와의 결합력의 저하에 의하여 염제거율의 감소가 발생하는 등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특허 공개 2014-0005489
본 명세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상에 고분자 용액을 캐스팅하여 다공성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을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민 수용액에 침지하여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 상에 아민수용액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이 형성된 상기 다공성 지지체 일면의 반대면 측에 진공분위기를 형성하고, 에어 나이프(air knife)를 이용하여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 내의 과량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을 아실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용액에 침지하여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는 전술한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인 수처리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전술한 수처리 분리막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는 전술한 수처리 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상태들에 따르면,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과 아실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유기 용액에 침지하여 활성층을 형성하기 이전에, 과잉의 아민 수용액을 상기 아민수용액을 포함하는 층의 면 방향에서 에어 나이프로 제거하고, 동시에 다공성 고분자층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서 적절한 압력으로 진공 흡입함으로써,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의 부분별 성능 편차가 작고 고성능의 분리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처리 분리막 제조 과정 중, 적당한 압력으로 당겨주는 단계를 포함하기 때문에 활성층과 다공성 지지체와의 밀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수처리 분리막의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이미지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처리 분리막의 TEM 이미지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상에 고분자 용액을 캐스팅하여 다공성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을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민 수용액에 침지하여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 상에 아민수용액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이 형성된 상기 다공성 지지체 일면의 반대면 측에 진공분위기를 형성하고, 에어 나이프(air knife)를 이용하여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 내의 과량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을 아실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용액에 침지하여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공성 지지체의 재료는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부직포의 형태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막의 기계적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부직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캐스팅은 용액 주조(casting)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분자 물질을 용매에 용해시킨 후, 접착성이 없는 평활한 표면에 전개시킨 후 용매를 증발 시키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드랍 캐스팅(drop cas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딥 코팅(dip coating) 등의 방법을 예로 들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매를 증발 시키는 과정 중 온도를 가해줄수도 있으나, 역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이 형성된 상기 다공성 지지체 일면의 반대면 측에 진공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다공성 지지체를 로터리 펌프가 연결된 평평한 베큠 나이프(vaccum knife)를 이용하여 약 30 psi로 막을 고정 시킨후, 로터리 펌프가 연결된 평평한 에어 나이프(air knife)를 약 9 psi로 에어를 쏘아 막을 잡아당김으로써 여분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 나이프를 이용하여 과량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할 때,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적당한 압력으로 지지체 방향에서 과량의 아민 수용액을 당겨줌으로써, 막 부분별 편차가 작고 성능이 우수한 분리막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지지체 방향에서 적당한 압력이 가해지므로, 지지체와 활성층의 밀착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 내의 과량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수처리 분리막 전체 100 중량% 대비 70 중량%를 초과하는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 내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65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60 중량%를 초과하는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 내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과량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지 않으면, 유기 용액과 계면 중합시 수분이 많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중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지체와 활성층간의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기 용액은 상기 아민 수용액과 계면중합하여 폴리아미드를 형성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용액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의 유기 용액은 아실 할라이드기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액의 용매는 비극성 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헥산, 사이클로헥산, 헵탄 등과 같은 유기 용매 또는 Isol-C(SKC Corp.)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진공분위기형성을 위한 상기 진공압은 20psi 내지 50psi, 구체적으로 25 psi 내지 45psi, 더욱 구체적으로 25 psi 내지 40psi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진공압이 상기 범위 이내일 경우, 과량의 여분의 아민 수용액이 남아 계면 중합이 지지체에 밀착력이 높게 형성되지 않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여분의 아민으로 인하여 과하게 가교(crosslinking)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아민 모노머가 지지체 내부에 너무 깊숙히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하여 폴리아미드막이 지지체 내부에 깊게 형성되어 투과유량을 감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에어 나이프는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에 가까이 구비되는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 일면의 반대면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이 형성된 상기 다공성 지지체 일면의 반대면 측에 진공분위기를 형성하고, 에어 나이프를 이용하여 과량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는 단계는 2초 내지 10초, 구체적으로 3초 내지 5초, 더욱 구체적으로 3초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진공 흡입은 상기 에어 나이프를 이용하는 시간 동안 사용할 수도 있고, 에어 나이프를 이용하기 이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에어 나이프를 이용하여 과량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는 단계가 3초 내지 10초 내에 이루어질 경우, 여분의 과량 아민 수용액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계면중합에 요구되는 적절한 모노머가 남아있게 되어 우수한 성능을 갖는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공정적인 면에서도 효율적이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에어 나이프의 풍압은 5 psi 내지 20 psi, 구체적으로 5 psi 내지 15 psi, 더욱 구체적으로 8 psi 내지 15 psi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어 나이프의 풍압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 여분의 과량 아민 수용액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공정적인 면에서도 효율적이며, 계면중합에 요구되는 적절한 모노머가 남아있게 되어 성능이 우수한 수처리 분리막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정의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는 60 ㎛ 내지 120 ㎛일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90 ㎛ 내지 120 ㎛ 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크기는 1 nm 내지 500 n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공 크기가 500 nm 초과일 경우에는 후술할 고분자 용액 또는 활성층을 형성하기 위한 용액이 기공 사이로 스며들어 균일한 구조를 형성하기 어렵고, 기공 크기가 1 nm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아민 수용액이 침투되기 어렵기 때문에 역시 균일한 구조의 형성이 어렵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활성층은 폴리아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계 화합물은 아민계 화합물과 상기 유기 용액의 아실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계면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과량의 아민 수용액이 제거된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 상에 상기 유기 용액을 적가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 용액은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테르케톤(polyetherketo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메틸펜텐(polymethylpentene), 폴리메틸클로라이드(polymethylchloride)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고분자 용액은 폴리술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아민 수용액은 메타-페닐렌디아민(mPD), p-페닐렌디아민, 1,3,6-벤젠트리아민, 4-클로로-1,3-페닐디아민, 6-클로로-1,3-페닐렌디아민, 3-클로로-1,4-페닐렌디아민 및 피레라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아민 수용액은 mP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민 수용액은 물 및 아이소프로필알코올(IPA)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을 용매로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아민 수용액 전체 중량 100% 대비 아민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1 중량%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2 중량% 내지 8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2 중량% 내지 6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민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상기 범위내로 포함될 경우, 가교(cross-linking)이 적절하게 일어나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에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아민 수용액 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바 코팅(bar coating), 슬롯 다이 코팅(slot die coating), 침지, 도포 또는 피복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아실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TMC), 이소탈로일클로라이트(IPC) 및 테레프탈로일클로라이드(T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상기 아실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TM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액 전체 100 중량% 대비 상기 아실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0.1 중량% 내지 1 중량%, 구체적으로 0.1 중량% 내지 0.8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0.1 중량% 내지 0.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실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상기 범위내로 포함될 경우, 가가교(cross-linking)가 적절하게 일어나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이 우수한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고분자 용액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 상에 20 ㎛ 내지 50 ㎛의 두께로 캐스팅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적절한 두께를 가짐으로써 지지체로써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분리막 활성층 성능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을 상기 유기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이후, 상기 활성층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활성층을 건조하는 단계는 60 ℃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90 ℃ 내지 120 ℃ 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활성층을 건조하는 단계 이후 수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수세하는 단계 이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인 수처리 분리막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수처리 분리막은 110 ㎛ 내지 170 ㎛의 두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수처리 분리막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수처리 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실시예 1]
본 발명에서 역삼투 분리막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95~100 ㎛ 다공성 지지체 위에 폴리술폰을 캐스팅하였다.
폴리술폰을 캐스팅하기 위하여 DMF(N,N-dimetnylformamide) 용액에 18wt% 폴리 술폰 고형(solid)을 넣고 80~85 ℃에서 12시간 이상 녹인 후, 호모지니어스한 액상이 얻어지면 다공성 지지체 위에 45~50 ㎛로 폴리설폰을 캐스팅하였다.
준비된 다공성 폴리술폰 지지체를 2 wt%의 mPD(m-Phenylenediamine)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2분 동안 침지시킨 후, 진공압을 10psi로 당기고, 지지체 상의 과잉의 수용액을 에어 나이프(air knife)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1분간 상온 건조하였다.
이후, 상기 코팅된 지지체를 Isol C 용매(SKC Corp.)에 0.1 wt% TMC(1,3,5-benzenetricarbonyl trichloride)를 함유하는 용액에 1분간 침지한 후 과잉의 유기용액을 제거하기 위하여 60 ℃ 오븐에서 10분간 건조하였다.
그 후, 분리막을 0.2 wt% 탄산나트륨 수용액에 상온에서 2시간 이상 수세한 후, 증류수로 수세하여 200 ㎛ 두께의 폴리아미드막을 제조하여 분리막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진공압을 30 psi로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진공압을 50 psi로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아미드 막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진공압 및 에어나이프를 사용하여 mPD 수용액을 제거하는 과정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수처리 분리막의 성능평가
초기 염제거율과 초기 투과 유량은 32,000 ppm의 NaCl 수용액을 4,500 ml/min의 유량으로 25 ℃에서 측정하였고, 막 평가에 사용한 역삼투막 셀 장치는 평판형 투과 셀과 고압펌프, 저장조 그리고 냉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평판형 투과 셀의 구조는 크로스-플로우(cross-flow) 방식으로 유효 투과 면적은 140 cm2였다.
세척한 분리막을 투과셀에 설치한 후, 평가장비의 안정화를 위하여 3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1시간 정도 충분히 예비 운전을 실시하였다. 이후, 32,000 ppm NaCl 수용액으로 교체하여 압력과 수투과도가 정상상태에 이를 때까지 1시간 정도 장비 운전을 실시한 후, 일정시간 동안 투과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하고, 전도도 미터 (Conductivity Meter)를 사용하여 투과 전후 염 농도를 분석하여 제거율을 계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막은 32,000 ppm의 NaCl 수용액에서 800 psi 압력으로 측정하였으며,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투과유량의 단위는 GFD(gallon/ft2 day)이다.
구분 초기 염제거율(%) 초기 투과유량(GFD)
실시예 1 99.45 (0.08) 34.48 (2.19)
실시예 2 99.68 (0.03) 33.28 (1.26)
실시예 3 99.55 (0.21) 32.98 (4.12)
비교예 1 98.51 (0.18) 32.70 (2.17)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분의 mPD 수용액을 제거해 줄 때, 앞면에서는 에어 나이프를 이용하여 여분의 mPD 수용액을 제거해주면서, 동시에 적당한 압력을 이용하여 지지체 쪽에서 mPD 수용액을 당겨주는 경우 막 부분별 편차가 작고 초기 염제거율이 우수한 고성능의 분리막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지지체와 활성층간의 밀착력을 확인한 결과 적당한 압력의 진공압으로 지지체 쪽을 잡아 당겨주는 경우 밀착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지지체쪽에서 9 psi의 진공압으로 당겨주는 과정을 거쳐 제조한 수처리 분리막의 TEM 이미지이며, 도 2는 지지체 쪽에서 진공압을 잡아주지 않았을 때 TEM 이미지이다.
도 1은 지지체와 활성층의 밀착력이 높은 반면, 도 2는 지지체와 활성층의 밀착력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5)

  1. 다공성 지지체의 일면상에 고분자 용액을 캐스팅하여 다공성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을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민 수용액에 침지하여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 상에 아민수용액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이 형성된 상기 다공성 지지체 일면의 반대면 측에 진공분위기를 형성하고, 에어 나이프(air knife)를 이용하여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 내의 과량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을 아실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용액에 침지하여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 측에 진공분위기를 형성하고, 에어 나이프를 이용하여 과량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는 단계는 2초 내지 10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인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 내의 상기 과량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수처리 분리막 전체 100 중량% 대비 70 중량%를 초과하는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 내의 아민 수용액을 제거하는 것인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분위기 형성을 위한 진공압은 20 psi 내지 50 psi인 것인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나이프는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에 가까이 구비되는 상기 아민 수용액을 포함하는 층 일면의 반대면 측에 구비되는 것인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나이프의 풍압은 5 psi 내지 20 psi인 것인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폴리아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계 화합물은 아민계 화합물과 상기 유기 용액의 아실 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계면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아민 수용액 전체 100 중량% 대비 1 중량% 내지 10 중량%인 것인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아실할라이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상기 유기 용액 전체 100 중량% 대비 0.1중량% 내지 1중량%인 것인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는 60 ㎛ 내지 120 ㎛ 인것인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의 두께는 20 ㎛ 내지 50 ㎛인 것인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 내지 4 및 6 내지 11중 어느 한 항의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인 수처리 분리막.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분리막의 두께는 110 ㎛ 내지 170 ㎛인 것인 수처리 분리막.
  14. 청구항 13의 수처리 분리막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
  15. 청구항 14의 수처리 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1020140179565A 2014-12-12 2014-12-12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KR101778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565A KR101778351B1 (ko) 2014-12-12 2014-12-12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565A KR101778351B1 (ko) 2014-12-12 2014-12-12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857A KR20160071857A (ko) 2016-06-22
KR101778351B1 true KR101778351B1 (ko) 2017-09-26

Family

ID=5636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565A KR101778351B1 (ko) 2014-12-12 2014-12-12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3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141B1 (ko) * 2018-11-20 2021-08-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분리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2662B2 (en) 2012-06-27 2014-11-11 Camplex, Inc. Interface for viewing video from cameras on a surgical visualiz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857A (ko)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264B1 (ko)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수처리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40214A (ko)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440970B1 (ko)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역삼투 분리막
KR102097849B1 (ko) 폴리아미드 계면중합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역삼투막의 제조방법
KR101743808B1 (ko) 폴리아마이드계 복합막의 제조방법
KR20170035814A (ko) 수처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7653B1 (ko) 크산텐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투과 유량 역삼투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659122B1 (ko) 염제거율 및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수처리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072877B1 (ko)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및 수처리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
KR20180086037A (ko) 역삼투막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역삼투막 제조방법, 역삼투막 및 수처리 모듈
KR101778351B1 (ko)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KR102041657B1 (ko)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및 수처리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
KR102045108B1 (ko)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067861B1 (ko) 역삼투막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역삼투막 제조방법, 역삼투막 및 수처리 모듈
KR101946983B1 (ko)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및 수처리 분리막을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
KR101716045B1 (ko) 투과유량 특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KR20150087579A (ko) 폴리아미드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방법
KR102660173B1 (ko) 분리막의 제조방법, 분리막 및 수처리 모듈
KR20190076245A (ko)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및 수처리 분리막 제조용 조성물
KR102288033B1 (ko)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KR102524361B1 (ko) 분리막의 제조방법, 분리막 및 수처리 모듈
KR102294542B1 (ko)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KR102270472B1 (ko) 분리막, 수처리 모듈,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분리막의 활성층 개질용 조성물
KR102155930B1 (ko) 수처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81505A (ko) 다공성 지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및 수처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