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8272B1 -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8272B1
KR101778272B1 KR1020100120325A KR20100120325A KR101778272B1 KR 101778272 B1 KR101778272 B1 KR 101778272B1 KR 1020100120325 A KR1020100120325 A KR 1020100120325A KR 20100120325 A KR20100120325 A KR 20100120325A KR 101778272 B1 KR101778272 B1 KR 101778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triethanolamine
potassium hydroxide
fatty aci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835A (ko
Inventor
유현주
김대경
이존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12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27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2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자 구조가 다른 알칼리 중화제인 수산화칼륨과 트리에탄올아민을 포함하여 풍부한 거품을 생성시킬 수 있는 크림 타입의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Cleansing composition having a high foam ability}
본 발명은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자 구조가 다른 알칼리 중화제인 수산화칼륨과 트리에탄올아민을 포함하여 풍부한 거품을 생성시킬 수 있는 크림 타입의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얼굴 관리의 가장 기본이 되는 단계는 피부 클렌징, 즉 세안이다. 과잉의 피지와 같은 유성 오염물, 화장품 및 메이크업제품, 특히 방수용품의 잔류물 등은 피부에 축적되면 모공을 막아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매일 매일의 피부 클렌징은 매우 중요하며, 이때 사용되는 피부 클렌징 제품, 즉 세안제는 다양한 피부 오염에 대한 우수한 세정력 및 피부 보호 효과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다양한 세안제가 알려져 있으며, 그 중 거품을 내어 헹구어낼 수 있는 타입의 제품은 거품이 나지 않는 메이크업 클렌징 제품과 구별되어 2차 세안제로서 남아있는 메이크업 클렌징 제품의 잔여물과 피부 노폐물을 최종적으로 제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세안제 제품 중에는 고급 지방산을 알칼리성의 중화제를 이용하여 비누화 반응을 일으킨 세안제가 세정력이 우수하며 개운하고 상쾌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세안제 제품은 성상에 따라 크게 크림 타입, 액상 타입, 고형 비누 등으로 구분되는데, 그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타입은 크림 타입이다. 크림 상의 세안제는 액상 타입이나 고형 비누보다 치밀하고 풍성한 거품을 낼 수 있으면서도 사용시 제품이 흘러내리지 않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제형을 가지면서 양호한 거품을 형성하기 위한 최근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크림 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지방산을 100% 중화시키지 않고 남기는 유리지방산은 크림 타입 형성에는 도움을 주지만, 오일류이기 때문에 거품 형성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알칼리성 중화제인 수산화칼륨으로는 일정량 이상의 유리지방산을 남겨야 크림 타입의 세안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포력 향상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알칼리 중화제로서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알칼리 중화제를 사용하여 고온 안정도를 확보하고 고급 지방산의 90%를 비누화 반응을 통해 중화시켜 유리지방산의 함량을 줄임으로써 초기 거품 발생량이 많은 크림 타입의 고기포 세안제를 만들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쉽게 풍성한 거품을 낼 수 있는 크림 타입의 세안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방산, 수산화칼륨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함유하는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은 알칼리 중화제로서 다른 사이즈를 가지는 알칼리 중화제를 함유하여 고온 안정도를 우수함과 동시에, 고급 지방산의 90%를 비누화 반응을 통해 중화시켜 유리지방산의 함량을 줄임으로써 초기 거품 발생량이 많기 때문에 세정력이 우수하며 개운하고 상쾌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크림상의 고형 타입이기 때문에 사용 시 제품이 흘러내리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지방산, 수산화칼륨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함유하는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은 수산화칼륨과 트리에탄올아민을 알칼리 중화제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크림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알칼리 중화제로 사용하는 수산화칼륨은 세안제 조성물 중 지방산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2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7.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수산화칼륨의 함량이 5.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양호한 기포량을 얻을 수 없고, 2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크림의 제형을 형성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알칼리 중화제로 사용하는 트리에탄올아민의 세안제 조성물 중 지방산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0~5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2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트리에탄올아민의 함량이 10.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양호한 기포량을 얻을 수 없고,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크림의 제형을 형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고기포 세안제는 트리에탄올아민을 수산화칼륨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3 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로써 고기포 세안제의 제형 안정성을 최적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지방산 비누는 지방산과 알칼리 중화제와의 비누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상기 비누화 반응은 70℃ 이상의 온도에서 20분 이상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지방산으로부터 지방산 비누를 형성시키기 위해 탄소수 12 내지 22의 포화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2개의 라우릭애씨드, 탄소수 14개의 미리스틱애씨드, 탄소수 16개의 팔미틱애씨드, 탄소수 18개의 스테아릭애씨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지방산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0~3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지방산의 함량이 15.0중량% 미만이면 액상 제형이 되고 30.0중량% 초과이면 너무 단단한 고형의 제형이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산 비누의 결정을 막아주기 위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30.0중량%의 폴리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폴리올의 구체적인 예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톨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1종 이상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핸드워시, 바디워시, 클렌징폼, 클렌징젤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시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2 및 실시예 1~3]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비교예 1~2 및 실시예 1~3의 지방산계 세안제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비교예 1은 지방산의 70%를 중화시키고, 비교예 2~3과 실시예 1~3은 지방산의 90%를 중화시켰다. 비교예 2와 비교예3은 각각 수산화칼륨과 트리에탄올아민 단독으로 중화를 시켰고, 실시예 1~3은 수산화칼륨의 총 중량에 대해 트리에탄올아민의 함량을 일정비율로 증가시켜 혼합하여 중화시켰다. 지방산으로는 라우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및 스테아릭애씨드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성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 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28 28 28 28 28 28
지방산 28 28 28 28 28 28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 2 2 2 2 2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 1 1 1 1 1 1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5 5 5 5 5 5
수산화칼륨 10.2 12.9 - 10.5 9.0 7.5
트리에탄올아민 - - 15.5 3.0 4.5 6.0
킬레이트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비교예 1~2 및 실시예 1~3의 제조방법>
1) 알칼리 중화제인 수산화칼륨, 트리에탄올아민, 킬레이트제, 방부제 및 향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가열용해하고 70℃ 정도로 유지하였다.
2) 상기 1)의 혼합물에 수산화칼륨과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하여 중화 반응시켰다.
3) 상기 2)의 중화 반응액에 킬레이트제, 방부제 및 향을 투입하여 고루 혼합하였다.
4) 상기 3)의 혼합물을 냉각하여 지방산계 세안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기포력 비교
상기 비교예 1~2 및 실시예 1~3의 기포력을 비교하기 위해 SITA R-2000 기포 측정기(foam tester)(로터(Rotor)를 이용하여 기포를 발생시킨 후 기포의 높이를 측정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장치 및 기구: SITA R-2000 기포 측정기, 디지털저울
2) 측정방법:
a) 비교예 1~2 및 실시예 1~3의 시료 5g과 수돗물 495g을 이용하여 1% 시료 용액 500g을 만들었다.
b) 상기 제조한 a)시료 용액을 SITA R-2000 기포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조건: 800rpm / 20초).
c) 로터(Rotor)의 회전이 멈춘 후 기포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d) 다음 결과로 기포력을 측정하였다(mm로 표기).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기포높이(mm) 78 168 166 170 175 165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은 거품 발생량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에 비해 비교예 2~3과 실시예 1~3의 기포 높이가 높은 것은 중화도가 높아지면서 비누성분의 함량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시험예 2] 크림 타입 제형 형성 비교
상기 비교예 1~3 및 실시예 1~3의 크림 타입 제형 형성을 비교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중화도와 유리지방산 함량은 하기 명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중화도 및 유리지방산 함량의 측정방법>
a) 시료를 약 5g을 플라스크에 정확히 취하고 중성 무수에탄올 200㎖을 넣어 환류냉각기를 연결하여 끓여 녹인다.
b) 약 70℃에서 페놀프탈레인 용액 0.5㎖을 가한다.
c) 0.1N수산화칼륨 에탄올용액으로 적정하고 하기 수학식 1~2에 따라 유리지방산의 백분율을 계산한다.
Figure 112010078648233-pat00001
Figure 112010078648233-pat00002
<성상 및 안정도의 측정방법>
안정도는 각각의 세안제를100㎖ 크림통에 담아 0℃, 30℃, 45℃의 항온조에서 2주간 보관 후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 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중화도 70% 90% 90% 90% 90% 90%
유리지방산함량 8.3 3.1 3.1 3.1 3.1 3.1
성상 크림 액상 고형 크림 크림 크림
안정도 양호 분리 양호 양호 분리 분리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은 지방산의 90%를 비누화 반응으로 중화시켜 유리 지방산의 함량을 줄였으며, 크림 타입을 형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트리에탄올아민의 함량이 수산화칼륨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3 중량% 이상인 경우는 크림의 성상을 형성하지만 안정도가 양호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트리에탄올아민의 함량이 수산화칼륨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3 중량% 이하로 사용할 경우 고기포 세안제의 제형 안정성이 최적 상태로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세정력, 초기 기포 발생력 및 사용감에 대한 주관적인 효능 평가
상기 비교예 1~2 및 실시예 1~3의 세정력 및 사용감을 비교하기 위하여 50명의 남녀에게 비교예 1~2 및 실시예 1~3의 조성물을 모두 사용하도록 한 후,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매우 우수함: 5점, 우수함: 4점, 보통: 3점, 미미함: 2점, 나쁨: 1점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 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세정력 3.4 3.5 3.8 4.4 4.1 3.9
초기 기포 발생력 3.7 4.2 4.1 4.8 4.5 4.2
전반적인 사용감 3.6 3.5 3.3 4.7 3.7 3.6
상기 표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정제 조성물인 실시예 1~3은 기존의 세정제 조성물인 비교예 1~2와 비교하여 세정력 및 초기 기포 발생력이 우수하고 전반적인 사용감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지방산, 수산화칼륨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함유하는 세안제 조성물로서,
    상기 지방산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0 내지 30.0 중량%이고,
    상기 수산화칼륨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5 내지 10.5 중량%이며,
    상기 트리에탄올아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6.0 중량%이고,
    상기 수산화칼륨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함량은 조성물 중 지방산의 총 중량에 대하여 46.0 내지 54.0 중량%이며,
    상기 트리에탄올아민의 함량은 조성물 중 수산화칼륨 및 트리에탄올아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3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안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칼륨 및 트리에탄올아민은 알칼리 중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안제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탄소수 12 내지 22의 포화 지방산 중 1종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안제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 지방산 혼합물은 탄소수 12의 라우릭애씨드, 탄소수 14의 미리스틱애씨드, 및 탄소수 18의 스테아릭애씨드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안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의 중화도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안제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폴리올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안제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30.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안제 조성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클리콜, 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안제 조성물.
  11. 삭제
KR1020100120325A 2010-11-30 2010-11-30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 KR101778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325A KR101778272B1 (ko) 2010-11-30 2010-11-30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325A KR101778272B1 (ko) 2010-11-30 2010-11-30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835A KR20120058835A (ko) 2012-06-08
KR101778272B1 true KR101778272B1 (ko) 2017-09-13

Family

ID=4661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325A KR101778272B1 (ko) 2010-11-30 2010-11-30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2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3355A1 (en) * 1993-11-11 1995-05-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sing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3355A1 (en) * 1993-11-11 1995-05-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sing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835A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7121B2 (ja) ノンガス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
JP6287835B2 (ja) 液体皮膚洗浄剤製品
JP6445089B2 (ja) 洗浄剤組成物
JP5968692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US20020151446A1 (en) Mild foaming cleanser composition
KR102106392B1 (ko) 액체 세정제 조성물
KR20130141654A (ko) 세정제 조성물
JP5876744B2 (ja) 泡吐出容器用身体洗浄剤
KR101444502B1 (ko) 피부 세정료 및 그것을 이용한 피부 세정 방법
JP4294628B2 (ja) 泡沫洗浄剤用組成物及び泡沫洗浄剤
JP2002020267A (ja) 弱酸性皮膚洗浄料
KR101778272B1 (ko) 고기포 세안제 조성물
KR101921629B1 (ko) 클렌징 조성물
JP4826791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4058848B2 (ja) 弱酸性皮膚洗浄料
JPH11189788A (ja) 透明ゲル状洗浄剤組成物
JP3811168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KR102351914B1 (ko) 고마주 필링용 피부 세정 화장료 조성물
KR20080063898A (ko) 저점성 유액타입의 수성세안제 조성물
KR100981600B1 (ko) 세안제 조성물
JP2005239616A (ja) 油性皮膚洗浄料
JP4381270B2 (ja) ペースト状洗顔料組成物
JP2001323258A (ja) エアゾール組成物
KR101733105B1 (ko) 고경도 투명 폼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778273B1 (ko) 메이크업 제거와 개운한 세안이 가능한 버블폼 타입 세안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