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193B1 - 땅콩 새싹 재배방법 및 재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땅콩 새싹 재배방법 및 재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193B1
KR101777193B1 KR1020150169930A KR20150169930A KR101777193B1 KR 101777193 B1 KR101777193 B1 KR 101777193B1 KR 1020150169930 A KR1020150169930 A KR 1020150169930A KR 20150169930 A KR20150169930 A KR 20150169930A KR 101777193 B1 KR101777193 B1 KR 101777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eanut
supply pipe
growing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310A (ko
Inventor
이지선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울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울타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한울타리
Priority to KR1020150169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19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A01G1/001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땅콩 새싹 재배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땅콩 새싹 재배방법은 발아장치(1)에 의하여 물을 필터링 하여 공급하고, 오존 및 미네랄을 첨가하여 새싹에 공급함으로써 2일동안 발아시키는 발아단계(S100)와; 발아된 새싹을 성장장치(20)에 의하여 필터링 된 물을 공급하고, 오존 및 미네랄을 첨가하여 공급함으로써 4-5일 동안 성장시키는 단계(S110)와; 그리고 발아단계(S100) 혹은 성장 단계(S110)의 새싹에 미네랄 혼합기(18,38)에 의하여 프로폴리스와 AHCC 성분을 공급하여 발효 시키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땅콩 새싹 재배방법 및 재배 시스템{Method for cuitivating peanut sprout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땅콩 새싹 재배방법 및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땅콩 새싹을 재배하는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발아장치와, 성장장치와, 미네랄혼합기로 구분하여 재배함으로써 새싹의 재배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땅콩은 콩과의 땅콩속(Arachis)의 1년생 초본성이다. 이러한 땅콩은 열대원산의 고온성 여름작물이며, 생육적온이 25~30℃정도이며 우리나라 기상에서는 파종기와 등숙기의 저온이 땅콩재배의 장애요인이다.
이러한 땅콩은 물빠짐이 좋은 마사토 토양에서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토양을 잘게 부수워 주어야 뿌리가 잘 안착이 된다. 그리고, 땅콩 재배시 밑거름을 충분히 뿌려주어야 하며, 다음해에도 같은곳에 땅콩을 심는 연작을 하면 각종 병충해가 발생하므로, 2년의 휴작기간을 갖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땅콩 재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땅콩 재배시 온도나 습도가 땅콩을 부패시키기 쉬운 환경이므로 땅콩을 재배하여도 수확량이 적은 문제점이 있다.
둘째, 땅콩새싹을 재배하여 제품으로 출하하기 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땅콩의 고유한 성분으로 인한 효능 이외의 추가적인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10-2013-0036192호(명칭: 땅콩나물 재배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땅콩의 재배를 자동화함으로써 땅콩새싹의 발아, 성장, 출하시까지의 기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땅콩 새싹 재배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땅콩 재배시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여 부패가 없고 짧은 기간에 수확할 수 있으며, 물의 재사용으로 인한 낭비를 줄이고, 천연 누룩발효과정을 거치므로써 건강에 이로운 성분이 함유될 수 있는 땅콩 새싹 재배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아장치(1)에 의하여 물을 필터링 하여 공급하고, 오존 및 미네랄을 첨가하여 새싹에 공급함으로써 2일동안 발아시키는 발아단계(S100)와;
발아된 새싹을 성장장치(20)에 의하여 필터링 된 물을 공급하고, 오존 및 미네랄을 첨가하여 공급함으로써 4-5일 동안 성장시키는 단계(S110)와; 그리고
발아단계(S100) 혹은 성장 단계(S110)의 새싹에 미네랄 혼합기(18,38)에 의하여 프로폴리스와 AHCC 성분을 공급하여 발효 시키는 단계(S120)를 포함하며,
발아단계의 온도는 27~30℃이고, 성장 단계의 온도는 24~26℃ 범위를 유지하는 땅콩 새싹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땅콩 새싹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물 공급관(3)과, 물 공급관(3)에 장착되어 여과하는 제 1 및 제 2필터(5,7)와, 제 1필터(5) 및 제 2필터(7)의 사이에 배치되어 물 공급관(3)을 따라 흐르는 물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9)와, 다단의 서랍식 구조를 갖으며 땅콩의 새싹을 발아시키는 발아기(10)와, 발아기(10)의 하부로 흘러내린 물을 저장하여 상기 물 공급관(3)으로 순환시키는 집수탱크(12)를 포함하는 발아장치(1)와;
물 공급관(22)과, 물 공급관(22)에 장착되어 여과하는 제 1 및 제 2필터(24,26)와, 제 1필터(24) 및 제 2필터(26)의 사이에 배치되어 물 공급관(22)을 따라 흐르는 물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28)와, 다단의 서랍식 구조를 갖으며 땅콩의 새싹을 성장시키는 성장기(30)와, 성장기(30)의 하부로 흘러내린 물을 저장하여 상기 물 공급관(22)으로 순환시키는 집수탱크(36)를 포함하는 성장장치(20)와;
상기 발아기(10) 및 성장기(30)에 각각 장착되어 미네랄을 공급하는 미네랄 혼합기(18,38)와;
발아장치(1)와 성장장치(20)와 미네랄 혼합기(18,38)와 연계하여 땅콩새싹의 재배과정을 관리하는 재배관리 유닛(15)을 포함하며,
재배관리 유닛(15)은 발아기(10) 및 성장기(30)의 내부에 장착되어 땅콩새싹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40)와, 발아기(10) 및 성장기(3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값을 전송하는 온도센서(44)와, 발아기(10) 및 성장기(30)의 습도를 측정하여 습도값을 전송하는 습도센서(46)와, 높이감지센서(40)와, 온도센서(44)와, 습도센서(46)와 연동함으로써 해당 새싹의 성장상태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42)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콩새싹 재배방법 및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땅콩 새싹 재배시, 먼저 발아장치에 의하여 새싹을 발아한 후, 성장장치로 옮겨서 성장시킨 후 출하함으로써 새싹의 재배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새싹 발아시부터 출하까지의 기간을 단축하여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미네랄 혼합기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천연 누룩발효과정을 거쳐서 땅콩새싹을 재배하게 되므로, 건강에 이로운 성분이 함유될 수 있는 땅콩을 생산할 수 있고, 폴리페놀계 물질인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사포닌 등 미네랄 성분을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땅콩 재배시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여 부패가 없고 짧은 기간에 수확할 수 있으며, 물의 재사용으로 인한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콩새싹 재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땅콩 새싹 재배방법에 적용되는 발아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땅콩 새싹 재배방법에 적용되는 성장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땅콩 새싹 재배 시스템에 적용되는 땅콩 새싹 재배관리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땅콩 새싹 재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땅콩 새싹 재배방법은 물을 필터링 하여 공급하고, 오존 및 미네랄을 첨가하여 새싹에 공급함으로써 2일동안 발아시키는 발아단계(S100)와; 발아된 새싹에 필터링 된 물을 공급하고, 오존 및 미네랄을 첨가하여 공급함으로써 4-5일 동안 성장시키는 단계(S110)와; 발아단계(S100) 혹은 성장 단계(S110)의 새싹에 프로폴리스와 버섯균사체 추출물(AHCC;Active hexose correlated compound, 이하 AHCC)을 공급하여 발효시키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땅콩 새싹 재배방법에 있어서, 발아단계(S100)는 발아장치(1)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발아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관(3)과; 물 공급관(3)에 장착되어 여과하는 제 1 및 제 2필터(5,7)와; 제 1필터(5) 및 제 2필터(7)의 사이에 배치되어 물 공급관(3)을 따라 흐르는 물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9)와; 다단의 서랍식 구조를 갖으며 땅콩의 새싹을 발아시키는 발아기(10)와; 발아기(10)의 하부로 흘러내린 물을 저장하여 상기 물 공급관(3)으로 순환시키는 집수탱크(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필터(5,7)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 등의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숯, 멤브레인 등의 통상적인 필터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물 공급관(3)을 통하여 발아기(10)로 공급되는 물은 2중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오존 발생기(9)는 고압의 방전관으로 산소를 통과시킴으로써 오존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서 튜브타입이나 세라믹 방식 등이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오존 발생기(9)는 오존을 발생시켜서 물 공급관(3)으로 주입함으로써 물 공급관(3)을 따라 흐르는 물에 오존이 첨가되도록 한다.
이때, 오존은 0.1~0.05ppm정도로 물에 90%이상 용해될 수 있을 정도로 공급한다.
따라서, 물은 첨가된 오존에 의하여 살균될 수 있는 바, 땅콩 새싹은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온도에서 성장하게 되므로 부패하기 쉬우므로, 이러한 오존에 의하여 살균된 물이 발아기(10)에 공급됨으로써 땅콩 새싹의 부패가 방지될 수 있다.
발아기(10)는 내부에 다단의 채반(14)이 배치되고, 각 채반(14)에 땅콩 새싹을 발아시킴으로써 다량의 땅콩 새싹을 동시에 발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아기(10)는 땅콩 새싹이 식재되는 다단의 채반(14)과; 발아기(1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자동온도 조절기(16)와; 발아기(10)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Nozzle;17)을 포함한다.
상기 채반(14)은 얇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17)로부터 분사된 물이 상부의 채반(14)에 공급된 후 미세공을 통과하여 낙하함으로써 하부의 채반(14)에 도달하게 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하부의 채반(14)을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결국은 최하단의 채반(14)까지 통과하게 된다.
이때 채반(14)은 후술하는 성장장치(20)의 채반(32)보다 2배 많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땅콩새싹이 발아시기에는 뿌리가 적으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 않게 되므로 성장장치 보다 내부 공간이 여유가 있으므로 채반을 2배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자동 온도 조절기(16)는 발아기(10)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소정 범위로 유지하는 바, 내부온도는 27~30℃, 상대습도는 85%이상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발아기(10)의 측면에는 열선이 배치되어 자동 온도 조절기(16)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가 설정되면 자동 온도 조절기(16)는 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열선 방식 이외에도 적외선 방식 등 다양한 온도 조절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발아기(10)의 온도는 후술하는 성장기(30)의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며, 바람직하게는 4도 내지 6도 정도 높다.
그리고, 다단의 채반(14)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낙하한 물은 상기한 집수탱크(12)에 저장된다.
발아에 사용된 후 집수탱크(12)에 저장된 물은 펌프 등에 의하여 펌핑됨으로써 1차 필터 및 오존 발생기(9) 구간으로 다시 순환된다.
그리고, 발아기(10) 통과 과정에서 이물질이 함유된 물은 필터에 의하여 여과될 수 있고, 또한 오존에 의하여 살균됨으로써 다시 발아에 사용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비록 땅콩새싹이 부패하기 쉬운 온도 범위에서 발아되지만, 땅콩새싹을 발아시키는 발아기(10)에 공급되는 물은 2중의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고, 또한 오존 발생기(9)로부터 공급된 오존에 의하여 살균된 후 땅콩 새싹에 공급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땅콩 새싹은 정화된 물에 의하여 발아가 이루어짐으로써 부패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땅콩 새싹의 성장 단계(S110)는 발아기(10)에 의하여 발아된 땅콩 새싹을 성장장치(20)에 의하여 성장시키게 된다.
상기 성장장치(20)는 발아장치(1)와 유사한 구조를 갖으며 다만 내부 온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성장장치(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관(22)과; 물 공급관(22)에 장착되어 여과하는 제 1 및 제 2필터(24,26)와; 제 1필터(24) 및 제 2필터(26)의 사이에 배치되어 물 공급관(22)을 따라 흐르는 물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28)와; 다단의 서랍식 구조를 갖으며 땅콩의 새싹을 성장시키는 성장기(30)와; 성장기(30)의 하부로 흘러내린 물을 저장하여 상기 물 공급관(22)으로 순환시키는 집수탱크(3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필터(24,26)는 발아기에 장착된 필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오존 발생기(28)도 발아기(10)에 장착된 오존 발생기(28)와 동일 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성장기(30)는 내부에 다단의 채반(32)이 배치되고, 각 채반(32)은 발아된 땅콩 새싹을 일정 기간 동안 성장시키게 된다.
이러한 성장기(30)는 발아된 땅콩 새싹이 식재되는 다단의 채반(32)과; 성장기(3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자동온도 조절기(34)와; 성장기(30)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35)을 포함한다.
상기 채반(32)은 발아기(10)에 적용된 채반(32)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바, 상기 노즐(35)로부터 분사된 물이 상부의 채반(32)에 공급된 후 미세공을 통과하여 낙하함으로써 하부의 채반(32)에 도달하게 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하부의 채반(32)을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결국은 최하단의 채반(32)까지 통과하게 된다.
또한, 자동 온도 조절기(34)는 성장기(30)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소정 범위로 유지하는 바, 내부온도는 24~26℃, 상대습도는 85%이상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성장기(30)의 측면에는 발아기(10)와 동일하게 열선이 배치됨으로써 자동 온도 조절기(34)에 연결되어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단의 채반(3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낙하한 물은 상기한 집수탱크(36)에 저장되며, 성장에 사용된 후 집수탱크(36)에 저장된 물은 펌프 등에 의하여 펌핑됨으로써 1차 필터 및 오존 발생기(28) 구간으로 다시 순환된다.
그리고, 성장기(30) 통과 과정에서 이물질이 함유된 물은 필터에 의하여 여과될 수 있고, 또한 오존에 의하여 살균됨으로써 다시 성장에 사용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비록 땅콩새싹이 부패하기 쉬운 온도 범위에서 성장하지만, 땅콩새싹을 성장시키는 성장기(30)에 공급되는 물은 2중의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고, 또한 오존 발생기(28)로부터 공급된 오존에 의하여 살균된 후 발아된 땅콩 새싹에 공급됨으로써 땅콩 새싹은 정화된 물에 의하여 성장이 이루어짐으로써 부패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효 시키는 단계(S120)는 천연 누룩발효 과정을 의미하며, 성장기(30)에서 성장한 땅콩새싹에 프로폴리스, AHCC 성분을 공급함으로써 인체에 이로운 미네랄 성분이 함유된 땅콩을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발효 시키는 단계(S120)는 성장장치(20)의 미네랄 혼합기(38)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혼합기(38)는 일측은 오존 발생기(28)에 연결되고 타측은 2차 필터(26)에 연결된다. 그리고, 미네랄 혼합기(38)는 프로폴리스(Propolis)와 AHCC성분을 적정량 희석한 수용액을 입자직경 0.01~10마이크로미터의 상태, 30~50도 이내의 온도로 성장기(30)의 내부에서 성장중인 땅콩새싹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러한 천연누룩발효 과정을 약 5일~12일의 기간 동안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생산된 새싹은 프로폴리스(Propolis)와 AHCC의 성분을 함유하도록 천연누룩발효과정을 통하여 땅콩새싹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프로폴리스(Propolis)와 AHCC성분을 흡착한 새로운 땅콩새싹을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발아된 땅콩새싹은 성장 후 몸체가 튼튼하고, 잔뿌리가 무성하며(잔뿌리가 많을수록 사포닌 성분 높음), 땅콩새싹이 대립종을 띠며 함유하고 있는 성분이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배된 땅콩새싹의 성분에는 지방성분이 크게 감소하고, 식물이 세균이나 박테리아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자 할 때 생성되는 레스베라트롤 성분이 크게 증가하고, 뿌리에도 사포닌 성분이 증가된 제품을 생산한 수 있도록 여건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천연 누룩발효 단계가 성장장치(20)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아장치(1)에서도 진행될 수 있다.
즉, 발아장치(1)에 있어서, 미네랄 혼합기(18)는 일측은 오존 발생기(9)에 연결되고 타측은 2차 필터(7)에 연결된다. 그리고, 미네랄 혼합기(18)는 프로폴리스(Propolis)와 AHCC성분을 적정량 희석한 수용액을 입자직경 0.01~10마이크로미터의 상태, 30~50도 이내의 온도로 발아기의 내부에서 발아중인 땅콩새싹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러한 천연누룩발효 과정을 약 2일 동안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생산된 새싹은 프로폴리스(Propolis)와 AHCC의 성분을 함유하도록 천연누룩발효과정을 통하여 땅콩새싹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프로폴리스(Propolis)와 AHCC성분을 흡착한 새로운 땅콩새싹을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아기(10)에서 2일간의 발효과정을 통한 땅콩새싹은 성장기(30)에서 약 4~5일의 성장과정을 통하여 생채로 생산된 후, 제품으로 출하될 수 있다.
물론, 생채형 이외에도 건채 형으로도 생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땅콩새싹의 발아시기, 성장시기, 발효시기를 관리하는 땅콩 새싹 재배 관리단계를 추가로 실시할 수 있으며, 땅콩 새싹 재배관리 단계는 땅콩 새싹 재배 관리유닛(15)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관리 유닛(15)은 땅콩새싹이 발아기 및 성장기의 내부에서 성장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기준값과 비교하여 미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 적절한 대응을 함으로써 성장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재배관리 유닛(15)은 발아기(10) 및 성장기(30)의 내부에 장착되어 땅콩새싹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40)와; 발아기(10) 및 성장기(3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값을 전송하는 온도센서(44)와; 발아기(10) 및 성장기(30)의 습도를 측정하여 습도값을 전송하는 습도센서(46)와; 높이감지센서(40)와, 온도센서(44)와, 습도센서(46)와 연동함으로써 해당 새싹의 성장상태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정상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42)을 포함한다.
상기 높이 감지센서(40)는 땅콩새싹이 발아기(10)의 내부에서 성장하는 높이를 감지하여 판단모듈(42)로 신호를 전송한다.
즉, 땅콩 새싹이 소정 높이로 성장하였을 때 높이 감지센서(40)는 이를 감지하여 판단모듈(42)로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판단모듈(42)은 새싹의 높이에 대한 기준값과 현재 전송된 높이값을 비교함으로써 발아시기에 정상적으로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발아 완료시기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재배자에게 경고음이나 스마트폰을 통한 알림 메시지에 의하여 발아 완료시기에 도달하였음을 알린다.
그리고, 판단모듈(42)은 발아 완료시기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노즐, 온도가열기를 제어하여 정지시킨다.
또한, 높이 감지센서(40)는 성장기에서도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성장중인 땅콩새싹이 소정 높이로 성장하였는지를 감지한다.
그리고, 판단모듈(42)은 성장 완료시기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재배자에게 경고음이나 스마트폰을 통한 알림 메시지에 의하여 성장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물론, 노즐, 온도 가열기를 정지시키게 된다.
아울러, 판단 모듈(42)은 발아중인 새싹 혹은 성장중인 새싹이 기준일이 되어도 해당 높이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판단되면, 즉 높이 감지센서(40)로부터 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발아기 혹은 성장기의 온도센서(44) 및 습도센서(46)로부터 현재 상태값을 파악한다.
그리고, 현재 온도 및 습도값이 조절함으로써 발아기 혹은 성장기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높이거나 낮춤으로써 성장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배관리 유닛(15)에 의하여 땅콩 새싹의 발아시기, 성장시기, 발효시기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아기(10) 혹은 성장기(30)에서 천연누룩 발효과정을 거쳐서 생산한 땅콩새싹은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단백질, 엽산, 칼슘 등의 성분이 기존의 땅콩새싹보다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난다.
레스베라트롤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황산화물질로 황암, 항바이러스, 신경보호, 항노화, 항염, 치매예방, 수명연장 등에 효과가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레스베라트롤은 새싹이 곰팡이나 벌레, 세균 등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생성하는 황산화 물질로 강력한 황산화 작용은 세포의 손상과 노화를 막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 비타민과 같은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없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또한 레스베라트롤은 폴리페놀계의 물질로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며, 특히 포도 껍질과 적포도주, 소나무, 일부식초 등 70여종에서 발견되며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최근 새싹땅콩에서 적포도주의 100배, 아스파라긴산은 콩나물의 9배의 수치로 측정된다.
싹이 나기전 땅콩은 품종에 따라 2.3~4.5g/g의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고 있으나 발아가 된 후에는 11.7~25.7g/g을 포함하며 특수 방법으로 재배한 땅콩 새싹에는 많게는 580g/g의 레스베라트롤이 함유된다. 뿌리에서는 사포닌 성분이 홍삼의 6배에 달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땅콩 100g에 들어있는 단백질의 양은 아몬드보다 많고, 엽산도 100g당 150마이크로그램으로 아몬드의 2배, 호두의 4배 더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다.
칼슘은 바나나에 비해 2.5배가 더 많아 견과류 중 가장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다. 칼슘은 체내 나트륨 배출기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아기(10) 및 성장기(30)를 통하여 재배한 땅콩새싹을 천연누룩발효과정을 거침으로써 다양한 성분의 황산화물질을 내포하고 있는 기능성 땅콩을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능성 땅콩으로부터 중요성분을 추출하고, 이 추출 성분들을 커피 제조에 첨가함으로써 다양한 향과 맛을 갖는 커피를 생산할 수 있다.
즉, 커피를 로스팅한 후 커피액을 추출할 때 땅콩으로부터 추출한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향과 맛이 독특한 커피를 생산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물 공급관(3)과, 물 공급관(3)에 장착되어 여과하는 제 1 및 제 2필터(5,7)와, 제 1필터(5) 및 제 2필터(7)의 사이에 배치되어 물 공급관(3)을 따라 흐르는 물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9)와, 다단의 서랍식 구조를 갖으며 땅콩의 새싹을 발아시키는 발아기(10)와, 발아기(10)의 하부로 흘러내린 물을 저장하여 상기 물 공급관(3)으로 순환시키는 집수탱크(12)를 포함하는 발아장치(1)와;
    물 공급관(22)과, 물 공급관(22)에 장착되어 여과하는 제 1 및 제 2필터(24,26)와, 제 1필터(24) 및 제 2필터(26)의 사이에 배치되어 물 공급관(22)을 따라 흐르는 물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발생기(28)와, 다단의 서랍식 구조를 갖으며 땅콩의 새싹을 성장시키는 성장기(30)와, 성장기(30)의 하부로 흘러내린 물을 저장하여 상기 물 공급관(22)으로 순환시키는 집수탱크(36)를 포함하는 성장장치(20)와;
    상기 발아기(10) 및 성장기(30)에 각각 장착되어 미네랄을 공급하는 미네랄 혼합기(18,38)와;
    발아장치(1)와 성장장치(20)와 미네랄 혼합기(18,38)와 연계하여 땅콩새싹의 재배과정을 관리하는 재배관리 유닛(15)을 포함하며,
    재배관리 유닛(15)은 발아기(10) 및 성장기(30)의 내부에 장착되어 땅콩새싹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40)와, 발아기(10) 및 성장기(3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값을 전송하는 온도센서(44)와, 발아기(10) 및 성장기(30)의 습도를 측정하여 습도값을 전송하는 습도센서(46)와, 높이감지센서(40)와, 온도센서(44)와, 습도센서(46)와 연동함으로써 해당 새싹의 성장상태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42)을 포함하는 땅콩 새싹 재배시스템.
KR1020150169930A 2015-12-01 2015-12-01 땅콩 새싹 재배방법 및 재배 시스템 KR10177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930A KR101777193B1 (ko) 2015-12-01 2015-12-01 땅콩 새싹 재배방법 및 재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930A KR101777193B1 (ko) 2015-12-01 2015-12-01 땅콩 새싹 재배방법 및 재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310A KR20170064310A (ko) 2017-06-09
KR101777193B1 true KR101777193B1 (ko) 2017-09-11

Family

ID=5922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930A KR101777193B1 (ko) 2015-12-01 2015-12-01 땅콩 새싹 재배방법 및 재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1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5870A (zh) * 2017-06-16 2017-10-27 江西祥泰种业有限公司 一种提高红壤土花生产量的栽培技术
KR101886865B1 (ko) * 2017-10-19 2018-08-10 한성원 주식회사 땅콩나물 재배방법 및 재배기
KR102146648B1 (ko) * 2020-03-01 2020-08-20 주식회사 키움바이오 새싹땅콩 수경재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859B1 (ko) 2014-05-27 2014-11-12 (주)라파프로폴리스 무알콜 수용성 프로폴리스 추출액과 천연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약 알칼리수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859B1 (ko) 2014-05-27 2014-11-12 (주)라파프로폴리스 무알콜 수용성 프로폴리스 추출액과 천연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된 약 알칼리수를 이용한 콩나물 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310A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9672B (zh) 一种无公害种植铁皮石斛的方法
US3902273A (en) Treatments of vegetable matter
CN105284314A (zh) 一种百香果脱毒苗的培育方法
KR101777193B1 (ko) 땅콩 새싹 재배방법 및 재배 시스템
CN104303814A (zh) 一种苦瓜的种植方法
CN105766518A (zh) 一种果树金蝉立体种养殖方法
CN106818359A (zh) 一种茶树的快速育苗方法
CN104396509A (zh) 一种黄瓜的种植方法
KR102144072B1 (ko) 인삼 담수경 재배용 양액의 제조 방법
KR101456629B1 (ko) 씨감자의 대량생산 방법
CN107311719A (zh) 一种羊肚菌的大棚种植方法
KR101520296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당뇨예방 기능성 농산물의 재배방법
KR20090041092A (ko) 톱밥을 이용한 목이버섯 봉지 재배방법
CN107896756A (zh) 一种葡萄树病虫害的综合防治方法
CN205584983U (zh) 一种高效节能型自控恒温豆芽机
Ciordia et al. Blueberry culture both in pots and under Italian-type tunnels
CN106106192A (zh) 一种嘉宝果组织培养体系的建立方法
CN106105958A (zh) 一种石榴果树的育苗方法
JP6862111B2 (ja) 大麦の葉部の食用加工物及び大麦の葉部の水耕栽培方法
KR20160108065A (ko) 밀순 재배방법
CN105830582B (zh) 一种白及种子的快速回土培育方法
CN105165349A (zh) 一种叶菜甘薯种苗育苗方法
Madusanka et al. Comparative assessment of intensive tomato production in innovative non-circulating aquaponics vs. conventional hydroponics.
CN1418532A (zh) 茼蒿菜和万寿果套种立体栽培的方法
KR101159485B1 (ko) 폐해수를 이용한 함초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 재배된 함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