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973B1 - 가요성 코폼 부직 웹 - Google Patents

가요성 코폼 부직 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973B1
KR101776973B1 KR1020127015945A KR20127015945A KR101776973B1 KR 101776973 B1 KR101776973 B1 KR 101776973B1 KR 1020127015945 A KR1020127015945 A KR 1020127015945A KR 20127015945 A KR20127015945 A KR 20127015945A KR 101776973 B1 KR101776973 B1 KR 101776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wipe
offset
delete delete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092A (ko
Inventor
마이클 에이 슈미트
케네스 비 클로스
데이비드 엠 잭슨
리사 엘 니켈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15153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7697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20107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forming webs during fibre formation, e.g. flash-spinn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5/00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5/08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or yar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07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ontaining absorbing substances, e.g. activated carb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9/00Household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Melt-blown 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멜트블로운 섬유의 매트릭스 및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가요성 코폼 부직 웹을 제공한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코폼 웹의 약 2 중량% 내지 약 40 중량%를 이룰 수 있다. 흡수 물질은 코폼 웹의 약 60 중량% 내지 약 98 중량%를 이룰 수 있다. 부직 구조의 컵 크러쉬 에너지/두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약 600 미만이다. 코폼 웹은 예를 들어, 삼차원 성형 표면을 이용하여 삼차원 텍스처로 될 수 있다. 코폼 웹은 와이퍼 및 개인용 위생 흡수 제품과 같은 흡수 용품을 형성하는 데 적합하다.

Description

가요성 코폼 부직 웹 {FLEXIBLE COFORM NONWOVEN WEB}
멜트블로운(meltblown) 섬유의 매트릭스 및 흡수 물질 (예를 들어, 펄프 섬유)의 복합체인 코폼 부직 웹은 흡수 용품, 흡수 건 와이프(wipe), 습 와이프 및 대걸레를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응용품에서 흡수층으로서 사용되어왔다. 코폼 부직 웹은 삼차원 표면 윤곽을 갖는 유공성(foraminous) 표면과 멜트블로운 섬유를 접촉함으로써 형성된 텍스처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유연성 및 가요성은 개선이 계속적으로 요구되는 코폼 웹의 중요한 특징이다.
따라서, 다양한 적용 분야에서 사용을 위해 개선된 유연성 및 가요성 특징을 갖는 코폼 부직 웹에 대한 요구가 현재 존재한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코폼 부직 웹은 멜트블로운 섬유의 매트릭스 및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시된다. 매트릭스는 가로방향, 세로방향 및 두께를 갖는 연속 영역 및 다수의 오프셋 영역을 포함한다. 연속 영역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이어지는 평면일 수 있는 제1 측부 및 제1 측부의 맞은편 평면일 수 있는 제2 측부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측부는 연속 영역의 두께에 의해 분리되고, 오프셋 영역은 제1 측부로부터 뻗어 나온다. 오프셋 영역은 연속 영역의 다수의 제1 차단되지 않는(uninterrupted) 부분을 규정하도록 위치될 수 있는데, 여기서 연속 영역의 제1 차단되지 않는 부분은 임의의 오프셋 영역의 기저를 이루지 않는다. 연속 영역의 제1 차단되지 않는 부분은 제1 측부의 면의 제1 방향으로 이어져있고, 제1 방향은 임의의 오프셋 영역을 교차하지 않아도 되고, 오프셋 영역의 너비로 나누어진 차단되지 않는 부분의 너비는 약 0.3 및 약 2.0 사이일 수 있다. 너비는 제1 측부의 평면에서 제1 방향에 수직하게 측정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연속 영역은 오프셋 영역의 아래에서 완전히 이어져 있을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연속 영역의 두께는 약 0.01 밀리미터 내지 약 10.0 밀리미터일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연속 영역의 밀도는 오프셋 영역의 밀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른 측면에서, 연속 영역의 기본 중량은 오프셋 영역의 기본 중량에 비해 작을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오프셋 영역은 약 0.25 밀리미터 내지 약 5.0 밀리미터로 제1 측부로부터 이어질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연속 영역의 제1 차단되지 않는 부분은 적어도 2, 3 또는 4개의 다른 오프셋 영역을 지나서 제1 방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오프셋 영역은 연속 영역의 다수의 제2 차단되지 않은 부분을 규정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연속 영역의 제2 차단되지 않은 부분은 임의의 오프셋 영역과 교차하지 않는 제2 방향에서 무한하게 이어질 수 있다. 제1 방향은 제2 방향에 직각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멜트블로운 섬유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α-올레핀은 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흡수 물질은 펄프 섬유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멜트블로운 섬유는 웹의 1 중량% 내지 약 40 중량%를 이룰 수 있고, 흡수 물질은 웹의 약 60 중량% 내지 약 99 중량%를 이룰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코폼 부직 웹의 컵 크러쉬 에너지(Cup Crush Energy)/두께 비율은 약 600 그램 미만일 수 있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와이프는 앞서 기술한 코폼 부직 웹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와이프는 와이프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약 150 내지 약 600 중량%의 액체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부직 구조는 1 이상의 멜트블로운 섬유성 물질 및 1 이상의 제2 섬유성 물질를 포함한다. 1 이상의 멜트블로운 섬유성 물질에 대한 1 이상의 제2 섬유성 물질의 중량 비율은 약 40/60 내지 약 90/10 사이일 수 있다. 부직 구조의 컵 크러쉬 에너지/두께의 비는 약 600 그램 미만일 수 있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부직 구조의 컵 크러쉬 에너지/두께 비율은 약 200 그램 내지 약 600 그램, 약 250 그램 내지 약 600 그램, 약 276 그램 내지 약 600 그램, 약 200 그램 내지 약 580 그램, 약 250 그램 내지 약 580 그램, 약 276 그램 내지 약 580 그램, 약 200 그램 내지 약 500 그램, 약 250 그램 내지 약 500 그램, 약 276 그램 내지 약 500 그램, 약 200 그램 내지 약 400 그램, 약 250 그램 내지 약 400 그램, 약 276 그램 내지 약 400 그램, 약 200 그램 내지 약 380 그램, 약 250 그램 내지 약 380 그램 및 약 276 그램 내지 약 380 그램으로 이루어진 범위로부터 선택된 범위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멜트블로운 섬유 물질은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α-올레핀은 에틸렌을 포함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부직 구조는 연속 영역 및 다수의 오프셋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속 영역은 가로 방향, 세로 방향 및 두께를 갖는다. 연속 영역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이어지는 평면일 수 있는 제1 측부 및 제1 측부의 맞은편인 평면일 수 있는 제2 측부를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측부는 연속 영역의 두께에 의해 분리되고, 오프셋 영역은 제1 측부로부터 뻗어 나오고, 오프셋 영역은 연속 영역의 다수의 제1 차단되지 않은 부분을 규정하도록 위치된다. 연속 영역의 제1 차단되지 않은 부분은 임의의 오프셋 영역의 기저를 이루지 않고, 연속 영역의 제1 차단되지 않는 부분은 제1 측부의 면의 제1 방향으로 이어져 있고, 제1 방향은 임의의 오프셋 영역을 교차하지 않는다.
또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멜트블로운 섬유의 스트림과 흡수 물질의 스트림을 함께 융합하여 복합체 스트림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코폼 부직 웹의 형성 방법을 개시한다. 그 후, 복합 스트림은 성형 표면 상에 모여 코폼 부직 웹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측면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최적의 방식을 포함한 본 발명의 모든 및 가능한 개시방법은 나머지 상세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기술되는데, 이는 다음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폼 웹의 형성 방법의 일 실시양태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낸 장치의 일부 특징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텍스처화된 코폼 부직 웹의 일 실시양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코폼 부직 웹을 형성하는데 유용한 성형 표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를 시험하기 위한 하중 시험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확대도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고 부호의 반복적인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한 또는 유사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를 상세하게 참고로 할 것이고, 이 중 일 이상의 실시예는 아래에서 기술된다.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한이 아닌, 설명의 방식으로 제공된다. 실제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양태의 일부로서 나타나거나 또는 기술되는 특징은 또 다른 실시양태를 얻도록 다른 실시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부직 웹"은 일반적으로, 얽혀있지만, 편직물에서와 같이 인식가능하지 않은 방식인 별개의 섬유 또는 가닥의 구조를 가지는 웹을 나타낸다. 부직물 또는 웹의 적합한 예는 멜트블로운 웹, 스펀본드(spunbond) 웹, 본디드 카디드(bonded carded) 웹, 에어레이드(airlaid) 웹, 코폼 웹, 수압 직조(hydraulically entangled) 웹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멜트블로운 웹"은 일반적으로,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이 용융 섬유로서 복수의 미세하고, 대개 원형의 다이(die) 모세관을 통해 마이크로섬유 지름이 될 수 있도록 그 지름을 감소시키기 위해 용융 열가소성 물질의 섬유를 감쇠하는 수렴성(converging) 고속 기체(예를 들어, 공기) 스트림으로 압출되는 공정으로 형성되는 부직 웹을 나타낸다. 그 후, 그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기체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고, 수집 표면상에 퇴적시켜, 무작위로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을 형성한다. 그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849,241호(부틴( Butin ) 등)에 개시되고, 그 전문은 여기에 모든 목적을 위해 참고로서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멜트블로운 섬유는 대체로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이고, 일반적으로 지름이 10 마이크로미터 미만이고, 수집 표면상에 퇴적되었을 때 일반적으로 끈적거리는 마이크로섬유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스펀본드 웹"은 일반적으로 작은 지름의 대체로 연속적인 섬유를 포함하는 웹을 나타낸다. 그 섬유는 방적돌기(spinnerette)의 복수의 미세하며 대개 원형인 모세관으로부터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압출하고, 압출된 섬유의 지름이 그 후 예를 들어 유도되는 연신 및/또는 다른 잘 알려진 스펀본딩 메카니즘으로 빠르게 감소시켜 형성된다. 스펀본드 웹의 제조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340,563호 (애펠( Appel ) 등), 제3,692,618호 ( 도르쉬 너( Dorschner ) 등), 제3,802,817호 ( 마츄키 ( Matsuki ) 등), 제3,338,992호((키네이( Kinney ) 등), 제3,341,394호 ( 키네이 등), 제3,502,763호 (하르트만( Hartman ) 등), 제3,502,538호 (레비( Levy ) 등), 제3,542,615호(도보( Dobo ) 등) 및 제5,382,400호 ( 피케 ( Pike ) 등)에 기술되고 나타나있으며, 이들 전문이 여기에 모든 목적을 위해 참고로서 포함된다. 스펀본드 섬유는 수집표면 상에 퇴적될 때 일반적으로 끈적이지 않는다. 스펀본드 섬유는 때때로 약 4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지름을 가질 수 있으며, 대개 약 5 내지 약 20 마이크로미터 사이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본 발명은 멜트블로운 섬유의 매트릭스 및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코폼 부직 웹에 관한 것이다. 섬유성 부직 구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멜트블로운 섬유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등, 폴리아미드, 올레핀 공중합체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는 열가소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섬유성 부직 구조의 형성에 사용되는 멜트블로운 섬유성 물질은 일정 단량체 함량, 밀도, 용융 속도 등의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1 이상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코폼 웹은 삼차원 성형 표면을 이용하여 텍스처가 가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 대하여 더 자세하게 기술할 것이다.
Ⅰ. 열가소성 조성물
열가소성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C2-C20 α-올레핀, C2-C12 α-올레핀 또는 C2-C8 α-올레핀과 같은 α-올레핀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1 이상 포함한다. 적합한 α-올레핀은 직쇄 또는 분지쇄 (예를 들어, 일 이상의 C1-C3 알킬 분지쇄 또는 아릴 기)일 수도 있다. 특정한 예는 에틸렌, 부텐; 3-메틸-1-부텐; 3,3-디메틸-1-부텐; 펜텐; 1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가진 펜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가진 헥센;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가진 헵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가진 옥텐, 하나 이상의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기를 가진 노넨; 에틸, 메틸 또는 디메틸 치환된 데센; 도데센; 스티렌; 등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α-올레핀 공단량체는 에틸렌, 부텐 (예를 들어, 1-부텐), 헥센 및 옥텐 (예를 들어, 1-옥텐 또는 2-옥텐)이다. 그러한 공중합체의 프로필렌 함량은 약 60 몰% 내지 약 99.5 몰%,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80 몰% 내지 약 99 몰%이고,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85 몰% 내지 약 98 몰%일 수 있다. 또한, α-올레핀 함량은 마찬가지로 약 0.5 몰% 내지 약 40 몰%,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1 몰% 내지 약 20 몰%,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2 몰% 내지 약 15 몰%일 수 있다. α-올레핀 공단량체의 분포는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다른 분자량 분획물들 중에서 일반적으로 임의적이고, 균일하다.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α-올레핀의 길이 및 양 모두의 함수일 수 있다. 즉, α-올레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및 더 많은 양의 α-올레핀이 존재할수록, 공중합체의 밀도는 더 낮아진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더 높은 밀도의 공중합체가 삼차원 구조를 더 잘 유지할 수 있는 반면에, 낮은 밀도의 것은 더 나은 엘라스토머성 성질을 지닌다. 따라서, 텍스처와 신축성 사이에서 최적의 균형을 얻기 위해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보통 밀도가 약 0.860 그램/입방 센티미터(g/cm3) 내지 약 0.900 g/cm3,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0.861 g/cm3 내지 약 0.890 g/cm3 및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0.862 g/cm3 내지 약 0.880 g/cm3를 갖도록 선택된다. 또한 열가소성 조성물의 밀도는 보통 약 0.860 g/cm3 내지 약 0.940 g/cm3,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0.861 g/cm3 내지 약 0.920 g/cm3 및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0.862 g/cm3 내지 약 0.900 g/cm3의 밀도를 가지도록 선택된다.
임의의 다양한 공지의 기술이 멜트블로운 섬유에서 사용되는 프로필렌/α-올레핀을 형성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올레핀 중합체는 자유 라디칼 또는 배위 촉매 (예를 들어, 지글러-나타(Ziegler-Natta))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는 메탈로센(metallocene) 촉매와 같은 단일-부위 배위 촉매로부터 형성된다. 그러한 촉매 시스템은 공단량체가 분자 사슬 내에서 무작위로 분산되고, 다른 분자량 분획물들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생산한다. 메탈로센 촉매화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7,105,609호 (다타( Datta ) 등); 제6,500,563호 ( 다타 등); 제5,539,056호 (양( Yang ) 등); 및 제5,596,052호 ( 레스코니 ( Resconi ) 등)에 기술되고, 이들 전문이 여기에 모든 목적을 위해 참고로서 포함된다.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중합체는 전형적으로 좁은 분자량 범위를 가진다. 예를 들어, 메탈로센-촉매화된 중합체는 4 미만의 다분산성 수치(Mw/Mn), 조절된 단쇄 분지 분포 및 제어된 점착도(tacticity)를 가질 수 있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50 중량%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60 중량% 이상, 또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75 중량% 이상을 구성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1 중량% 이상 내지 약 49 중량% 미만,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약 1% 이상 내지 약 45 중량% 미만,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5 % 이상 내지 약 45 중량% 미만 및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5 중량% 이상 내지 약 35 중량% 미만을 구성한다. 물론, 다른 열가소성 중합체 또한 복합체의 원하는 성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 한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 섬유는 다른 폴리올레핀류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폴리에스테르류, 폴리우레탄류, 폴리아미드류, 블록 공중합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멜트블로운 섬유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의 공중합체와 같은 추가적인 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프로필렌 중합체는, 예를 들어 대체적으로 이소택틱(isotactic)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약 10 중량% 이하의 다른 단량체, 즉 약 90 중량% 이상의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폴리프로필렌은 그라프트,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약 110℃를 넘는,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115℃를 넘는, 또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130℃를 넘는의 뚜렷한 융점을 갖는다는 점에서 우세하게 결정성일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폴리프로필렌의 예는 미국 특허 제6,992,159호 ( 다타 등)에 기술되어 있고, 이들 전문이 여기에 모든 목적을 위해 참고로서 포함된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추가적인 중합체(들)은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0.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0.5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1 중량% 내지 약 30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기술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9 중량%,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60 중량% 내지 약 99.5 중량% 및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75 중량% 내지 약 99 중량%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추가적인 중합체(들)는 약 50 중량% 초과, 특정한 실시양태에서는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선택된 실시양태에서는 약 55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55 중량% 내지 약 95 중량% 및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65 중량% 내지 약 95 중량%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49 중량% 미만,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약 1 중량% 내지 약 49 중량%, 선택된 실시양태에서 약 1 중량% 내지 약 45 중량%,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5 중량% 내지 약 45 중량%, 및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5 중량% 내지 약 35 중량%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열가소성 조성물은 용융 안정화제, 가공 안정화제, 열 안정화제, 광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열 노화 안정화제, 증백제 등과 같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의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포스파이트 안정화제 (예를 들어, 미국 뉴욕주 테리타운 소재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Ciba Specialty Chemicals)로부터 입수가능한 이르가포스(IRGAFOS) 및 미국 오하이오주 도버 소재 도버 케미칼 코포레이션(Dover Chemical Corp.)로부터 입수가능한 도버포스(DOVERPHOS))가 대표적인 용융 안정화제이다. 또한, 힌더드 아민 안정화제 (예를 들어,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로부터 입수가능한 키마소르브(CHIMASSORB))가 대표적인 열 및 광 안정화제이다. 또한, 힌더드 페놀은 산화 방지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적합한 힌더드 페놀은 상표명 "이르가녹스(Irganox; 등록상표)", 예컨대 이르가녹스(등록상표) 1076, 1010 또는 E 201하에서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로부터 입수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사용하는 경우, 그러한 첨가제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등)는 각각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약 0.001 중량% 내지 약 15 중량%,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0.005 중량% 내지 약 10 중량%, 및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특정한 중합체 및 그들의 함량의 선택을 통해, 결과 열가소성 조성물은 멜트블로운 웹에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보다 뛰어난 열적 특성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멜트블로운 웹에서 종래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보다 본질적으로 더 비정질적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결정화 반감기"-즉, 물질의 절반이 결정질로 되는 데 필요한 시간-로 측정되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조성물의 결정화 속도는 더 느리다. 예를 들어, 125℃의 온도에서 측정할 때, 열가소성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약 5분 초과,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5.25분 내지 약 20분 및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5.5분 내지 약 12분의 결정화 반감기를 가진다. 반면에,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때때로 5분 이하의 결정화 반감기를 가진다. 또한, 열가소성 조성물은 약 100℃ 내지 약 250℃,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110℃ 내지 약 200℃ 및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140℃ 내지 약 180℃의 용융 온도("Tm")를 가질 수 있다. 열가소성 조성물은 또한 약 50℃ 내지 약 150℃,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80℃ 내지 약 140℃,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100℃ 내지 약 120℃의 결정화 온도("Tc") (10℃/분의 냉각 속도에서 측정함)를 가질 수 있다. 결정화 반감기, 용융 온도 및 결정화 온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고,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 유속은 또한 결과 멜트블로운 섬유의 성질을 최적화하는 특정한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용융 유속은 230℃에서 10분간 2160 그램의 힘을 받을 때 압출 유량계 오리피스 (0.0825-인치 지름)을 통해 보내질 수 있는 중합체의 중량(그램 단위)이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용융 유속은 용융 가공성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하지만, 흡수 물질에 대한 섬유의 결합 성질에 부정적으로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높다. 따라서, 대부분의 실시양태에서, ASTM 테스트 메소드 D1238-E에 따라 측정하는 경우, 열가소성 조성물은 약 120 내지 약 6000 g/10분,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150 내지 약 3000 g/10분 및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170 내지 약 1500 g/10분의 용융 유속을 가진다.
Ⅱ. 멜트블로운 섬유
멜트블로운 섬유는 코폼 웹의 약 2 중량% 내지 약 40 중량%, 다른 실시양태에서 4 중량% 내지 약 30 중량% 및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5 중량% 내지 약 20 중량%를 이룰 수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단성분 또는 다성분일 수 있다. 단성분 섬유는 일반적으로 단일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중합체 또는 중합체 블렌드로부터 형성된다. 다성분 섬유는 일반적으로 별개의 압출기들로부터 압출된 2 이상의 중합체(예를 들어, 이성분 섬유)로부터 형성된다. 이 중합체는 섬유의 단면을 가로질러, 대개 계속적으로 위치된 별개의 구역들로 배열될 수 있다. 그 성분은 쉬쓰-코어(sheath-core), 나란한(side-by-side), 파이, 바다의 섬, 세 개의 섬, 황소 눈알 또는 해당 기술분야의 공지된 다양한 다른 정렬과 같은 임의의 원하는 구성으로 정렬될 수 있다. 다성분 섬유를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은 미국 특허 제4,789,592호 (타니 치( Taniguchi ) 등), 미국 특허 제5,336,552호 ( 스트랙 ( Strack ) 등), 제5,108,820호 ( 카네코 ( Kaneko ) 등), 제4,795,668호 (크루에지( Kruege ) 등), 제5,382,400호 ( 파이크 ( Pike ) 등), 제5,336,552호 ( 스트랙 등) 및 제6,200,669호 ( 마르몬 ( Marmon ) 등)에 기술되어 있고, 이들 전문이 여기에 모든 목적을 위해 참고로서 포함된다. 미국 특허 제5,277,976호 ( 호글 ( Hogle ) 등), 제5,162,074호 ( 힐즈 ( Hills )), 제5,466,410호 ( 힐즈 ), 제5,069,970호 ( 라그만 ( Largman ) 등) 및 제5,057,368호 ( 라그만 등)에 기술된 것처럼 다양한 불규칙 형상을 갖는 다성분 섬유 또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전문이 여기에 모든 목적을 위해 참고로서 포함된다.
Ⅲ. 흡수 물질
흡수 섬유, 입자 등과 같은 임의의 흡수 물질이 일반적으로 코폼 부직 웹에서 사용될 수 있다. 흡수 물질은 코폼 웹의 약 60 중량% 내지 약 98 중량%, 다른 실시양태에서 70 중량% 내지 약 96 중량%, 및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80 중량% 내지 약 95 중량%를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흡수 물질은 크래프트 펄프, 아황산염 펄프, 열기계적 펄프 등과 같은 다양한 펄프화 공정으로 형성된 섬유를 포함한다. 그 펄프 섬유는 길이-중량 평균에 대하여 1 mm 초과, 특히 약 2 내지 5 mm의 평균 섬유 길이를 가지는 침엽수재(softwood)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침엽수재 섬유는 북부 침엽수재, 남부 침엽수재, 미국 삼나무(redwood), 미국 측백(red cedar), 솔송나무(hemlock), 소나무 (예를 들어, 남부 소나무), 가문비나무 (예를 들어 가문비 무리(black spruce)), 그들의 조합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에 적합한 예시적인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펄프 섬유는 "웨이코(Weyco) CF-405" 명칭 하에서 미국 워싱턴주에 소재한 페더럴 웨이(Federal Way)의 웨이어해유저사(Weyerhaeuser Co.)로부터 입수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유칼립투스, 단풍나무(maple), 자작나무(birch), 사시나무(aspen) 등과 같은 활엽수 섬유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유칼립투스 섬유는 웹의 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유칼립투스 섬유는 또한 선명도를 향상시키고, 탁도를 증가시키며, 웹의 구멍 구조를 변화시켜 그 흡상(wicking)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신문, 재생된 판지 및 사무실 쓰레기와 같은 원료로부터 섬유 펄프와 같이 재활용된 물질로부터 얻어진 이차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닐라삼(abaca), 사바이(sabai) 잔디, 밀크위드 플로스(milkweed floss), 파앤애플 잎 등과 같은 다른 천연 섬유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합성 섬유 또한 이용될 수 있다.
펄프 섬유 대신에 또는 함께, 흡수 물질은 또한 섬유, 입자, 겔 등의 형태인 초흡수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초흡수체는 0.9 중량 퍼센트의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에서 그의 중량의 약 20배 이상, 일부의 경우 그의 중량의 약 30배 이상을 흡수할 수 있는 수-팽윤성 물질이다. 그 초흡수체는 천연, 합성 및 개질된 천연 중합체 및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합성 초흡수성 중합체의 예는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모르폴리논), 폴리(비닐 피롤리돈), 알파-올레핀 및 비닐 에테르와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메타크릴산) 및 폴리(아크릴산)의 암모늄염 및 알칼리 금속 및 그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또한, 초흡수체는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그래프된 전분, 아크릴산 그래프트된 전분, 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천연 검, 예를 들어 알기네이트, 크산탄 검, 로커스트(locust) 콩 검 등과 같은 천연 및 개질된 천연 중합체를 포함한다. 천연 및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합성 초흡수성 중합체의 혼합물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초흡수성 중합체는 히소르브(HYSORB) 8800AD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주, 샬럿(Charlotte)의 BASF) 및 페이버(FAVOR) SXM 9300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Greensboro)의 에보닉 스톡하우젠(Evonik Stockhausen)에서 입수가능)이다.
Ⅳ. 코폼 기술
코폼 웹은 일반적으로 웹을 형성하는 동안에 흡수 물질이 이를 통해 활송장치(chute) 근처에 첨가되는 1 이상의 멜트블로운 다이 헤드 (예를 들어, 2)가 정렬되는 공정으로 만들어진다. 그러한 코폼 기술의 일부 예는 미국 특허 제4,100,324호 ( 안데르 손( Anderson ) 등); 제5,350,624호 (조지( Georger ) 등); 및 제5,508,102호 (조지 등)뿐만 아니라, 미국 특허 출원 공개공보 제2003/0200991호 (케크( Keck ) 등); 제2007/0049153호 (던바( Dunbar ) 등); 및 제2009/0233072호 (하 베이 등)에 개시되고, 이들 전문이 여기에 모든 목적을 위해 참고로서 포함된다.
도 1에 따르면, 예를 들어, 장치의 일 실시양태는 코폼 웹을 형성하기 위해 나타내어 진다. 이 실시양태에서, 그 장치는 각각 프로필렌/α-올레핀 열가소성 조성물이 주입되는 압출기(14 또는 14')의 펠렛 호퍼 (12 또는 12')를 포함한다. 그 압출기 (14 및 14') 각각은 종래의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출 스크류(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그 중합체는 압출기(14 및 14')를 통해 진행됨으로써, 구동 모터에 의한 압출 스크류의 회전때문에 점진적으로 용융 상태로 가열된다. 가열은, 그것이 압출기(14 및 14')의 별개의 가열 구역을 통해 각각 두 개의 멜트블로잉 다이(16 및 18)로 진행되는 동안에, 온도가 서서히 증가되는 복수의 별개의 단계에서 얻어질 수 있다. 멜트블로잉 다이(16 및 18)는 열가소성 수지의 온도가 압출을 위해 증가된 수준에서 유지되는 또다른 가열 구역일 수 있다.
2 이상의 멜트블로잉 다이 헤드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별개의 다이 헤드로부터 생산된 섬유가 다른 유형의 섬유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즉, 1 이상의 크기, 형상 또는 중합체성 조성이 다를 수 있고, 또한 섬유는 단성분 또는 다성분 섬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큰 섬유는 약 10 마이크로미터 이상,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15 마이크로미터 이상,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20 내지 약 50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것과 같은 제1 멜트블로잉 다이 헤드에 의해 생산될 수 있는 반면, 더 작은 섬유는 약 10 마이크로미터 이하,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7 마이크로미터 이하,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2 내지 약 6 마이크로미터의 평균 직경을 가지는 것과 같은 제2 다이 헤드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또한, 각 다이 헤드가 거의 같은 양의 중합체를 용출하여 각 멜트블로잉 다이 헤드로부터 야기되는 코폼 부직 웹 물질의 기본 중량의 상대적인 퍼센트가 대체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왜곡된 상대적인 기본 중량 생산을 가져, 하나의 다이 헤드 또는 그 나머지가 기본 중량에 대하여 코폼 웹의 대부분을 책임지는 것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특정한 예로서, 단위 평방 야드 당 1.0 온스 또는 "osy" (34 g/m2 또는 "gsm")의 기본 중량을 갖는 멜트블로운 섬유성 부직 웹 물질에서, 제1 멜트블로잉 다이 헤드가 멜트블로운 섬유성 부직 웹 물질의 기본 중량의 약 30 퍼센트를 생산하는 반면에, 1 이상의 다음 멜트블로잉 다이 헤드가 멜트블로운 섬유 부직 웹 물질의 기본 중량의 나머지 70 퍼센트를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코폼 부직 웹의 전체 기본 중량은 약 10 gsm 내지 약 350 gsm이고, 더 특별하게는 약 17 gsm 내지 약 200 gsm이고, 더더욱 특별하게는 약 25 gsm 내지 약 150 gsm이다.
각 멜트블로잉 다이(16 및 18)은 다이 당 감쇠하는 기체의 두 개의 스트림이 수렴하도록 구성되어, 각 멜트블로잉 다이에서 작은 구멍 또는 오르피스(24)로 나감으로써 용융된 가닥(20)을 수반하고, 감쇠시키는 기체의 단일 스트림을 형성한다. 그 용융 가닥(20)은 섬유로 또는 감쇠의 정도에 의존하여, 대체로 오르피스(24)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의 마이크로섬유로 형성된다. 따라서, 각 멜트블로잉 다이(16 및 18)는 수반되는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는 기체(26 및 28)의 대응하는 단일 스트림을 갖는다.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는 기체 스트림(26 및 28)은 충돌 구역(30)에서 수렴하도록 정렬된다. 일반적으로, 멜트블로잉 다이 헤드(16 및 18)는 미국 특허 제5,508,102호 및 제5,350,624호 (조지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성형 표면에 대하여 특정한 각도로 정렬된다. 도 2에 따르면,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 다이(16 및 18)는 두 개의 다이(16 및 18)에 접하는 평면 "A"로부터 측정할 때, 각도 α로 배향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평면 "A"는 일반적으로 성형 표면(58)에 평행하다 (도 1). 대체적으로, 각 다이(16 및 18)는 약 30 내지 약 75도,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35°내지 약 60°및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45°내지 약 55°범위의 각도로 설정된다. 그 다이(16 및 18)는 동일하거나 다른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사실, 코폼 웹의 텍스처는 또다른 다이와 다른 각도로 하나의 다이를 배향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도 1에 따르면, 흡수 섬유(32)(예를 들면, 펄프 섬유)는 충돌 구역(30)에서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20 및 21)의 두 개의 스트림(26 및 28)에 각각 첨가된다.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20 및 21)의 두 개의 스트림(26 및 28) 내로 흡수 섬유(32)의 도입은 각각,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합쳐진 스트림(26 및 28) 내에 흡수 섬유(32)의 점진적인(graduated) 분산을 생산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20 및 21)의 두 개의 스트림(26 및 28) 사이에 흡수 섬유(32)를 포함하는 제2 기체 스트림(34)을 병합하여 이루어져, 모든 세 개의 기체 스트림이 조절된 방식으로 수렴할 수 있다. 형성 후에, 그들은 상대적으로 끈적하고, 반-용융되어 남아있기 때문에, 그 멜트블로운 섬유(20 및 21)는 흡수 섬유(32)에 접촉하여, 동시에 그것에 부착되고, 얽혀있는 응집성(coherent) 부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섬유의 병합을 이루기 위하여, 흡수 섬유의 매트 또는 속솜(batt)(40)이 별개의 흡수 섬유로 분리되도록 조정된 다수의 티스(teeth)(38)를 가지는 피커 롤(36) 정렬기와 같은 임의의 종래의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경우, 섬유(32)의 시트 또는 매트(40)는 롤러 정렬기(42)에 의해 피커 롤(36)에 공급된다. 피커 롤(36)의 티스(38)가 섬유의 매트를 별개의 흡수 섬유들(32)로 분리한 후에, 개별적인 섬유는 노즐(44)을 통하여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스트림을 향해서 이송된다. 하우징(46)은 피커 롤(36)을 둘러싸고, 하우징(46)과 피커 롤(36)의 티스(38)의 표면 사이에 통로 또는 갭(48)을 제공한다. 기체, 예를 들어 공기는 기체 덕트(50)의 방법에 의해 피커 롤(36)의 표면과 하우징(46) 사이의 통로 또는 갭(48)으로 공급된다. 기체 덕트(50)는 노즐(44) 및 갭(48)의 접합부(52)에서 통로 또는 갭(48)으로 들어갈 수 있다. 그 기체는 노즐(44)을 통해서 흡수 섬유(32)를 이송하기 위한 매체로 역할하도록 충분한 양으로 공급된다. 덕트(50)로부터 공급된 기체는 또한 피커 롤(36)의 티스(38)로부터 흡수 섬유(32)를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역할한다. 그 기체는 예를 들어 공기 송풍기(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임의의 종래의 정렬기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첨가제 및/또는 다른 물질이 기체 스트림에 첨가되거나 수반되어 흡수 섬유를 취급하는 것이 고려된다. 별개의 흡수 섬유(32)는 전형적으로 흡수 섬유(32)가 피커 롤(36)의 티스(38)을 떠나는 대략적인 속도로, 노즐(44)을 통해 이송된다. 다시 말하면, 피커롤(36)의 티스(38)를 떠나, 노즐(44)에 들어갈 때 흡수 섬유(32)는 일반적으로 피커 롤(36)의 티스(38)를 떠나는 지점으로부터의 크기 및 방향 모두에서 그들의 속도를 유지한다. 그러한 정렬은 미국 특허 제4,100,324호 ( 안데르손 ( Anderson ) 등)에서 더 자세하게 논의된다.
원하는 경우, 제2 기체 스트림(34)의 속도는 다른 성질의 코폼 구조를 얻도록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체 스트림의 속도가 조절되어, 충돌 구역(30)에서 접촉시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20 및 21)의 각 스트림(26 및 28)의 속도보다 큰 경우, 흡수 섬유(32)는 코폼 부직 웹에 구배 구조로 포함된다. 즉, 흡수 섬유(32)는 외부 표면에서보다 코폼 부직 웹의 외부 표면 사이에서 더 높은 농도를 갖는다. 반면에, 제2 기체 스트림(34)의 속도가 충돌 구역(30)에서 접촉시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20 및 21)의 각 스트림(26 및 28)의 속도보다 더 낮은 경우, 흡수 섬유(32)는 코폼 부직 웹에 대체로 균일한 방식으로 포함된다. 즉, 흡수 섬유의 농도는 코폼 부직 웹 전체에 걸쳐 대체적으로 동일하다. 이것은 흡수 섬유의 저속 스트림이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의 고속 스트림으로 들어가, 흡수 섬유의 균일한 분산을 야기하는 와류 혼합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20, 21) 및 흡수 섬유(32)의 복합 스트림(56)을 코폼 부직 구조(54)로 바꾸기 위해, 수집 장치는 복합 스트림(56)의 경로에 위치된다. 수집 장치는 도 1에서 화살표(62)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하고 있는, 롤러(60)에 의해 구동되는 성형 표면(58)일 수 있다(예를 들면, 벨트, 드럼, 와이어, 직물 등). 열가소성 중합체 섬유 및 흡수 섬유의 병합된 스트림은 성형 표면(58)의 표면 상에 섬유의 응집성 매트릭스로서 수집되어, 코폼 부직 웹(54)을 형성한다. 원하는 경우, 진공 상자(도시하지 않음)가 성형 표면(58) 상에서 근처의 용융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연신을 보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생성된 텍스처화된 코폼 구조(54)는 응집성이고 자기-지지(self-supporting) 부직 물질로서 성형 표면(58)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코 상기 기술한 실시양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멜트블로잉 다이 헤드는 성형 표면의 진행 방향에 대체적으로 횡방향으로 성형 표면을 대체적으로 가로질러 이어진 것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이 헤드는 또한 대체적으로 수직의 배치, 즉, 성형 표면에 수직하게 정렬될 수 있어서, 이로써 생산된 멜트블로운 섬유가 성형 표면 상에 직접 블로운 다운(blown down)된다. 그러한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공보 제2007/0049153호 (던바 등)에 더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가 다른 크기의 섬유를 생산하기 위해 복수의 멜트블로잉 다이 헤드를 이용하는 것이지만, 단일의 다이 헤드 또한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공정의 예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공보 제2005/0136781호 (라시그( Lassig ) 등)에 기술되어 있고, 이들 전문이 여기에 모든 목적을 위해 참고로서 포함된다.
앞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서 텍스처화된 코폼 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에 따르면, 예를 들어, 일 실시양태는 본질적으로 유공성(foraminous)인 성형 표면(58)을 이용하여, 섬유가 표면의 개구부를 통해 연신되고, 성형 표면(58) 내 개구부에 대응하는 물질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입체적인 의복 유사 터프트(tuft)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유공성 표면은 고 투과성 성형 와이어와 같이 일부 섬유가 침투하기 위한 충분한 개구부를 제공하는 임의의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와이어 직조 형상 및 가공 조건은 물질의 터프트 또는 텍스처를 변경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특정한 선택은 원하는 피크 크기, 형상, 깊이, 표면 터프트 "밀도" (즉, 단위 면적 당 피크 또는 터프트의 수) 등에 의존할 것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와이어는 약 35% 내지 약 65%,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40% 내지 약 60%,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45% 내지 약 55%의 개구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넓은 개구 면적 성형 표면은 알바니 인터내셔널사(Albany International Co.)(미국 뉴욕주 알바니 소재)에서 만들어진 성형 와이어 폼테크™ 6(FORMTECH™ 6)이다. 그러한 와이어는 평방 인치 당 약 여섯 스트랜드 X 여섯 스트랜드의 "메쉬 수"(평방 센티미터 당 약 2.4 X 2.4 스트랜드)를 갖는, 즉 평방 인치 당 약 36개의 구멍 또는 "홀"을 생성하고(평방 센티미터 당 약 5.6), 따라서 평방 인치 당 물질에 약 36개의 터프트 또는 피크를 형성할 수 있다(평방 센티미터 당 약 5.6 피크). 폼테크™ 6 와이어는 또한 약 1 밀리미터 폴리에스테르의 와프(warp) 지름, 약 1.07 밀리미터 폴리에스테르의 슈트(shute) 지름, 대략 41.8 m3/분 (1475 ft3/분)의 공칭 공기 투과성, 약 0.2 센티미터(0.08 인치)의 공칭 두께 및 대략 51%의 개구 면적을 갖는다. 알바니 인터내셔널사로부터 입수가능한 또다른 예시적인 성형 표면은 평방 인치 당 약 10 스트랜드 X 10 스트랜드(평방 센티미터 당 약 4 X 4 스트랜드)의 메쉬 수를 갖는, 즉 평방 인치당 약 100개의 구멍 또는 "홀"(평방 센티미터 당 약 15.5)을 생성하고, 따라서 물질에서 평방 인치당 약 100개(평방 센치미터당 약 15.5개)의 터프트 또는 피크를 형성할 수 있는 성형 와이어 폼테크™ 10이다. 또다른 적합한 성형 와이어는 47%의 개구 면적을 갖고, 알바니 인터내셔널사로부터 또한 입수가능한 폼테크™ 8이다. 물론, 다른 성형 와이어 및 표면(예를 들어, 드럼, 판, 매트 등)을 이용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매트는 표면에 새겨진 오목한 곳(depression)이 있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어서, 코폼 섬유가 오목한 곳을 채워 오목한 곳에 대응하는 터프트를 야기할 수 있다. 오목한 곳(터프트)은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소용돌이모양, 골형, 선형, 구름형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표면 변형은 대체적인 직조패턴, 대체적인 스트랜드 치수, 이형 코팅(예를 들어 실리콘, 플루오로화학물질 등), 정적 소산(static dissipation) 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용될 수 있는 또다른 적합한 유공성 표면은 미국 특허 출원 공개공보 제2007/0049153호(던바 등)에서 기술된다.
이용되는 특정한 텍스처링 방법에 상관없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멜트블로운 섬유에 의해 형성된 터프트는 원하는 형태 및 표면 윤곽을 더 잘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멜트블로운 섬유가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에서 결정화되기 때문에, 성형 표면상에 퇴적시에 유연하여 표면의 윤곽에 씌워지고, 이와 일치하게 된다. 섬유의 결정화 후에, 그들은 형태를 유지하고, 터프트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로 생성된 터프트의 크기 및 형태는 사용된 성형 표면의 유형, 그 상에 퇴적된 섬유의 유형, 성형 표면 상으로 및 내로 섬유를 연신하는 데 사용되는 하부 와이어 공기 진공의 부피, 및 다른 관련된 인자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터프트는 약 0.25 밀리미터 내지 약 9.0 밀리미터 이상, 및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0.5 밀리미터 내지 약 3 밀리미터의 범위에서 물질의 표면으로부터 튀어나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터프트는 섬유로 채워져 있어서, 와이핑(wiping) 및 문지르기(scrubbing)에 유용한 바람직한 탄성을 갖는다.
도 3 및 4를 참고하면, 텍스처화된 코폼 웹(100)은 제1 외부 표면(122) 및 제2 외부 표면(128)을 갖는다. 외부 표면의 1 이상은 삼차원적인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도 3에서, 예를 들어, 제1 외부 표면(122)은 코폼 웹(100)의 가로 및 세로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연속 영역(125)으로부터 위쪽으로 이어진 터프트, 피크 또는 오프셋 영역(124)을 포함하는 삼차원적인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연속 영역의 밀도는 오프셋 영역의 밀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코폼 웹의 텍스처화된 외부 표면(들)에서 삼차원 크기의 일 지표는 전체 두께 "T"를 밸리 두께 "D"로 나눈 비율인 피크 대 밸리 비율이다. 텍스처화된 경우, 코폼 웹은 전형적으로 약 5 이하,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0.1 내지 약 4, 또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약 0.5 내지 약 3의 피크 대 밸리 비율을 갖는다. 연속 영역(125)는 약 0.01 밀리미터 내지 약 10.0 밀리미터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약 6.0 밀리미터의 범위,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3 내지 약 3.0 밀리미터의 범위의 두께(T-D)를 가질 수 있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연속 영역의 기본 중량 및/또는 두께(T-D)는 오프셋 영역의 기본 중량 및/또는 두께(D)보다 작을 수 있다.
더 밀집하여 텍스처화된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텍스처화된 코폼 웹은 평방 센티미터당 약 2 내지 약 70개의 터프트, 다른 실시양태에서 평방 센티미터당 약 5 내지 약 50개의 터프트를 가질 수 있다. 덜 밀집하여 텍스처화된 일부 실시양태에서, 텍스처화된 코폼 웹은 평방 미터 당 약 100 내지 약 20,000개의 터프트를 가질 것이고,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평방 미터 당 약 200 내지 약 10,000개의 터프트를 가질 것이다. 텍스처화된 코폼 웹은 또한 웹의 제2 표면 상에 삼차원적 텍스처를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미러링(mirroring)" 때문에 평방 미터 당 약 70 그램 미만의 기본 중량을 가지는 것과 같은 더 낮은 기본 중량 물질의 경우일 것인데, 여기서, 물질의 제2 표면은 피크 오프셋 또는 물질의 제1 외부 표면 상의 피크 사이에서 나타난다. 이 경우에서, 밸리 깊이 D는 상기와 같은 외부 표면 모두에 대해 측정되고, 함께 더해져서 전체 물질 밸리 깊이를 결정한다.
도 3 및 4를 다시 참고하면,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연속 영역(125)은 오프셋 영역(124)을 교차하지 않는 1 이상의 방향 "D1"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다수의 차단되지 않는 영역(127)을 포함한다. 텍스처의 삼차원 크기의 또다른 지표는 오프셋 영역(124)의 너비 "W2"(방향 D1에 수직인 방향에서 오프셋 영역의 가장 큰 치수로서 측정됨)에 대한 차단되지 않은 영역(127)의 너비 "W1"(차단되지 않은 영역(127)이 오프셋 영역을 교차하지 않고 이어진, 방향 D1에 수직인 방향에서 차단되지 않은 영역의 가장 큰 너비로서 측정됨)의 비이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W1은 약 0.01 인치 내지 약 0.75 인치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0.05 인치 내지 약 0.5 인치의 범위,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8 인치 내지 약 0.3 인치의 범위일 수 있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W1/W2의 비는 약 0.3 내지 약 3.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0의 범위, 및 더 바람직하게는 약 0.7 내지 약 1.5의 범위일 수 있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오프셋 영역을 교차하지 않는 제2 방향 "D2"에서 연속적으로 이어진 다수의 제2 차단되지 않은 영역이 추가적으로 있을 수 있다.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D2는 D1과 수직일 수 있으나, 다른 각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오프셋 영역의 치수와 관련하여 제2 차단되지 않은 영역의 치수는 제1 차단되지 않은 영역에 대해 앞서 기술된 것과 같을 수 있다.
V. 용품
코폼 부직 웹은 매우 다양한 용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은 물 또는 다른 액체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 용품"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흡수 용품의 예는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츠, 흡수 언더팬츠, 실금 용품, 여성 위생 용품(예를 들어, 생리대), 수영복, 아기 와이프, 미트 와이프 등과 같은 개인 위생 흡수 용품; 가먼트, 천공 물질, 언더패드, 침대패드, 붕대, 흡수 드레이프 및 의료용 와이프와 같은 의료용 흡수 용품; 식품 서비스 와이퍼; 의복 용품; 파우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한 용품을 형성하는 데 적합한 물질 및 공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하나의 특정한 실시양태에서, 코폼 웹은 와이프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와이프는 전부 코폼 웹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거나, 필름, 부직웹(예를 들어, 스펀본드 웹, 멜트블로운 웹, 카디드 웹 물질, 다른 코폼 웹, 에어레이드 웹 등), 종이 제품 등과 같은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텍스처화된 코폼 웹의 2개의 층은 그 전문이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공보 제2007/0065643호( 코파츠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함께 적층되어 와이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양태에서, 그 층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코폼 웹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사용자의 손과 와이프에 적용되는 습기 있는 또는 포화된 액체 사이에 일정 양의 분리를 제공하는 것 또는 와이프가 마른 와이퍼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를 세척하는 액체 유출물 및 사용자의 손 사이에 분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추가적인 부직 웹 또는 필름이 코폼 웹의 표면에 적층되어 물리적 분리를 제공하고/하거나 액체 배리어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 큰 액체 유출물 흡수 목적으로 또는 더 큰 액체 용량의 와이프를 제공할 목적으로 다른 섬유성 웹이 또한 포함되어 흡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용될 때, 그러한 추가적인 물질은 대면 접촉 관계에 놓인 각각의 물질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 예를 들어, 열적 또는 접착제 적층 또는 결합에 의한 것을 사용하여 코폼 웹에 부착될 수 있다. 와이프를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물질 또는 공정과 무관하게, 와이프의 기본 중량은 대개 약 20 내지 약 200 g/m2(gsm),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35 내지 약 100 gsm사이이다. 낮은 기본 중량 제품이 가벼운 업무용 와이프에 사용되기에 특히 아주 적합할 수 있는 반면에, 더 높은 기본 중량 제품은 산업용 와이프로서 사용하기에 더 적합할 수 있다.
와이프는 일반적으로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비정형적인 형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각 개별적인 와이프는 접힌 구성으로 정렬되고 다른 것 위에 하나를 적층하여 젖은 와이프의 적층물(stack)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접힌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있고, c-접힌, z-접힌, 4등분으로 접힌 구성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와이프는 약 2.0 내지 약 80.0 센티미터,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10.0 내지 약 25.0 센티미터의 접히지 않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와이프는 또한 약 2.0 내지 약 80.0 센티미터,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 10.0 내지 약 25.0 센티미터의 접히지 않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접힌 와이프의 적층물은 플라스틱 통과 같은 용기의 내부에 위치되어, 구매자에게 최종적으로 판매되는 와이프의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와이프는 각 와이프 사이에 천공을 갖고, 적층물로 정렬되거나 계량 분배용 롤에 감긴 물질의 연속적인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프를 운반하는 여러 가지의 적합한 디스펜서, 용기 및 시스템은 미국 특허 제5,785,179호( 벅즈윈스키 등); 제5,964,351호( 잰더 등); 제6,030,331호( 잰더 등); 제6,158,614호( 해인즈 등); 제6,269,969호( 후앙 등); 제6,269,970호( 후앙 등); 및 제6,273,359호( 뉴맨 등)에 기재되어 있고, 그 전문은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와이프는 세척, 소독, 살균 등을 위한 액체 용액을 포함하는 "젖은" 또는 "예비습윤된" 와이프이다. 특정한 액체 용액은 중요하지 않고, 미국 특허 제6,440,437호( 크르지식 등), 제6,028,018호( 애먼드슨 등), 제5,888,524호( 콜레 ); 제5,667,635호(윈 등); 제5,540,332호( 코파츠 등)에 기재되어 있고, 그 전문은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쓰이는 액체 용액의 양은 이용되는 와이프 물질의 유형, 와이프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용기의 유형, 세척 제제의 성질 및 와이프의 원하는 최종 용도에 의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와이프는 와이프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약 150 내지 약 60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300 내지 약 500 중량%의 액체 용액을 포함한다.
부직 구조 또는 와이프의 가요성의 척도는 컵 크러쉬 에너지/두께 비율이다. 아래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측정되는 컵 크러쉬 에너지는 아래의 목적을 위해 컵의 형태로 형성된 물질을 크러쉬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의 척도이다. 낮은 값의 컵 크러쉬 에너지는 높은 가요성 물질임을 나타낸다. 두꺼운 물질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은 더 낮은 밀도, 더 나은 흡수성 및 더 나은 쿠셔닝 및 부드러움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낮은 컵 크러쉬 에너지/두께 비율을 보여주는 부직 구조가 바람직하다. 코폼 웹은 바람직하게 600 그램 미만의 컵 크러쉬 에너지/두께 비율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코폼 웹 및 와이프는 약 200 그램 내지 약 600 그램, 약 250 그램 내지 약 600 그램, 약 276 그램 내지 약 600 그램, 약 200 그램 내지 약 580 그램, 약 250 그램 내지 약 580 그램, 약 276 그램 내지 약 580 그램, 약 200 그램 내지 약 500 그램, 약 250 그램 내지 약 500 그램, 약 276 그램 내지 약 500 그램, 약 200 그램 내지 약 400 그램, 약 250 그램 내지 약 400 그램, 약 276 그램 내지 약 400 그램, 약 200 그램 내지 약 380 그램, 약 250 그램 내지 약 380 그램, 및 약 276 그램 내지 약 380 그램으로 구성되는 범위로부터 선택된 범위의 컵 크러쉬 에너지/두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를 참고로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시험 방법
크러쉬 :
도 5 및 6은 컵 형성 어셈블리(1102) 및 힘 시험 유닛(1103)을 포함하는 컵 크러쉬 시험 시스템(1100)을 나타낸다. 힘 시험 유닛(1103)은 강체 막대(1105)로 받쳐진 힘 센서(1104)를 포함한다. 반구형 풋(1108)은 막대(1105)의 자유 말단에 위치된다. 힘 센서(1104)는 풋(1108)에 가해지고, 강체 막대(1105)를 통해 전달되는 힘을 측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기계 장치를 포함한다. 그 어셈블리(1102)는 4 지점 이상에서 시트(1202)를 조이는, 짝을 이루는 톱-햇 형태의 성형기 컵(1110 및 1112)을 포함한다. 시트(1202)의 네 개의 모서리(1106)는 어셈블리(1102)의 외부로 이어진다. 컵(1112)은 시트(1202)가 컵으로 형성된 후에 제거된다. 조임 고리(1114)는 시험하는 동안 컵(1110)에서 형성된 시트(1202)를 잡는다.
부직 직물 시트(1202)의 유연도의 일 척도는 시스템(1100)에서의 "컵 크러쉬" 시험에 따라 결정된다. 컵 크러쉬 시험은, 직경 4.5 cm의 반구형으로 형상화된 풋(1108)이 직경 약 6.5 cm × 높이 6.5 cm의 컵 형태로 형상화된 직물(1202)의 17.8 cm × 17.8 cm 조각(이제 컵 형상 직물은 직경 약 6.5 cm의 원통형 컵(1110)에 의해 둘러싸여 컵 형상 직물(1102)의 균일한 변형을 유지함)을 파괴시키는데 필요한 피크 하중 ("컵 크러쉬 하중" 또는 단지 "컵 크러쉬"로도 칭해짐)을 측정함으로써 직물 강성을 평가한다. 고리 (1114)와 형성 컵(1110) 사이에 갭이 존재할 수 있지만, 적어도 4개의 모서리(1106)는 그들 사이에 고정되게 핀칭(pinching)되어야 한다. 풋(1108)과 원통형 컵(1110)은 판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컵 벽과 풋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배열시킨다. 하중은 그램으로 측정되고, 풋이 약 406 mm/분의 속도로 하향하는 동안 초 당 최소 20회 기록된다. 컵 크러쉬 시험은, 직물 컵의 최상단 아래 0.5 cm에서 시작하는 4.5 cm 범위에 걸친 에너지, 즉 한 축 상 하중(g) 및 다른 축 상 풋 이동 거리(mm)에 의해 형성된 곡선 아래의 면적인, 샘플을 파괴시키는데 필요한 총 에너지 ("컵 크러쉬 에너지")에 대한 값을 제공한다. 컵 크러쉬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gm-mm (또는 파운드-인치)로 보고된다. 컵 크러쉬 피크 하중은 에너지로서의 풋 이동의 같은 거리에 걸쳐 결정되고, 일반적으로 그램 또는 파운드로 보고된다. 낮은 컵 크러쉬 값(피크 하중 또는 에너지)은 연성 물질을 나타낸다. 컵 크러쉬의 측정에 적합한 장치는 미국 뉴저지주 펜소킨 소재 샤에비츠 컴퍼니(Schaevitz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한 모델 FTD-G-500 하중 셀 (500 g 범위)이다. 젖은 샘플은 액체를 270% 첨가하여 시험된다.
캘리퍼 ( caliper )/두께:
코폼 물질의 캘리퍼는 두께의 척도이다. 두께는 기준 직물 벌크/두께 시험장치로 0.05 psi에서 7.62 cm(3 인치) 지름 가압판을 이용하여 밀리미터 단위로 측정된다. 이 시험은 완성된 젖은-와이프 제품에서 수행되고, 가압판이 패키징으로부터 발생되는 접힘 또는 주름 상에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젖은 샘플은 액체를 270% 첨가하여 측정된다.
실시예
모든 코폼 샘플에 대한 일반적인 조건: 코폼 웹의 여러 가지 샘플은 앞서 설명되고,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멜트블로운 섬유의 두 개의 가열된 스트림 및 섬유화된 펄프 섬유의 단일 스트림으로부터 형성되었다. 펄프 섬유는 웨이어해유저사(미국 워싱턴주 페더럴 웨이 소재)로부터 명칭 "CF-405"로 얻어지는 완전 처리된 남부 연재 펄프이었다. 각 멜트블로운 스트림의 중합체는 시간 당 다이 팁의 인치 당 2.0 파운드의 중합체 속도에서 470℉ 용융 온도에서 각 멜트블로운 다이에 공급되었다. 충돌 구역에서부터 성형 와이어까지 거리(즉, 형성 높이)는 대략 8 인치였고, 멜트블로운 다이의 팁 사이의 거리는 대략 5 인치였다. 펄프 섬유 스트림으로부터 상류 위치한 멜트블로운 다이는 펄프 스트림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배향되는 반면에, 다른 멜트블로운 다이(펄프 스트림으로부터 하류에 위치됨)는 펄프 스트림에 대하여 약 45°로 배향되었다. 샘플은 70 g/cm2(gsm)의 기본 중량 및 30 중량%의 멜트블로운 섬유 함량을 가졌다. 성형 와이어는 폼테크™ 8(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이었다. 터프트의 다른 유형을 얻기 위해, 고무 매트가 성형 와이어의 상부 표면에 배치되었다. 진공 상자는 웹의 퇴적에 도움이 되도록 성형 와이어 아래에 배치되었고, 물 30인치로 설정되었다.
샘플 1: 멜트블로운 섬유는 바셀 650X 메토센으로부터 형성되었다.
MF650X는 바젤 폴리올레핀으로부터 입수가능한 0.91 g/cm3의 밀도 및 1200 g/10분 (230℃, 2.16 kg)의 용융 유속을 갖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다. 패턴화된 매트는 0.05 인치의 깊이를 갖는 0.25 인치 지름의 둥근 구멍이 있게 도 6에 나타낸 패턴을 갖고, 그 후 구멍은 0.25 인치 지름 오프셋 영역에 부합하고 코폼 물질의 일 표면으로부터 약 0.05 인치 이어져 있다. 제1 방향에서, 구멍은 오프셋 영역의 중심들이 매 0.375 인치 떨어지게 열지어 정렬되었다. 열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열의 오프셋 영역들이 바로 인접한 열의 가장 가까운 오프셋 영역들 사이에 정렬되도록 차이를 두었다. 열은 매 0.375 인치만큼 떨어졌고, 0.125 인치의 너비를 갖는 열들 사이에 차단되지 않는 영역을 발생하였다.
시험용 샘플을 연구실에서 다음의 용액으로 적셨다.
성분 중량 %
98.1774
칼륨 라우레트 인산염 0.6000
글리세린 0.3002
폴리소르베이트 20 0.3002
DMDM 히단토인 0.2001
사나트륨 EDTA 0.2001
메틸파라벤 0.1499
알로에 베라 잎 추출물 0.001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0010
말산 0.0700
용액은 270% 첨가량이 되도록 핸드 스프레이 하였다. 마른 기저시트는 저울로 중량를 잰 후 2.7배 곱하여 마른 기저시트에 첨가되어야 하는 용액의 양을 결정하였다. 용액을 첨가한 후에, 젖은 와이프는 덮어졌고, 시험 전 24시간 이상 평형이 되도록 두었다. 컵 크러쉬 시험 및 두께 시험을 그 샘플에 대하여 행하였다. 두께에 대한 컵 크러쉬 에너지 비율을 계산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2에 기재하였다.
샘플 2: 이 샘플은 패턴화된 매트에서 구멍이 0.1 인치의 깊이를 가져, 코폼 물질의 표면으로부터 약 0.1 인치 이어지는 오프셋 영역을 갖는 코폼이 야기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샘플 1과 동일하였다.
샘플 3: 이 샘플은 멜트블로운 섬유가 모두 엑손모빌 코오포레이션으로부터 입수가능한 85 중량%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어치브 6936G1) 및 15 중량%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비스타맥스 2330, 0.868 g/cm3의 밀도, 290 g/10분 (230℃, 2.16 kg)의 용용 유속)의 블렌드로부터 형성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동일하였다.
샘플 4: 이 샘플은 패턴화된 매트의 홀이 0.1 인치의 깊이를 가져, 코폼 물질의 표면으로부터 약 0.1 인치 이어진 오프셋 영역을 갖는 코폼이 야기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샘플 3과 동일하다.
상업 제품 : 샘플 물질과의 비교를 위해, 다양한 상업적 아기용 와이프 제품을 구입하여 시험하였다.
표 2에서 자명한 바와 같이, 샘플 1 내지 4는 각각 상업 제품에 비해 더 낮은 두께에 대한 크러쉬 에너지 비율을 보여주었다.
시험 결과
코드 컵 크러쉬 에너지 (젖은 상태)
(g*cm)
두께
(젖은 상태)
(cm)
기본 중량
(마른 상태)
(g/cm^2)
두께에 대한 컵 크러쉬 에너지 비율 (g)
하기스® 젠틀 케어 센시티브 120.6 0.0812 0.006466 1490
하기스® 내추럴 케어 116.3 0.0775 0.006379 1500
하기스® 소프트 스킨 131.4 0.0822 0.00689 1600
하기스® 슈프림 183.2 0.081 0.007739 2260
팸퍼스® 내추럴 알로에 51.2 0.062 0.005722 830
팸퍼스® 베이비 프레쉬 50.4 0.0605 0.00588 833
팸퍼스® 센시티브 49.3 0.058 0.00596 850
샘플 1 93.12 0.16 0.007215 580
샘플 2 105.4 0.159 0.00718 663
샘플 3 63.88 0.17 0.00714 380
샘플 4 52.23 0.189 0.006934 276
본 발명은 특정 실시양태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되었지만, 전술한 내용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이들 실시양태에 대한 대안, 변형 및 등가물을 쉽게 예상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임의의 균등물의 것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임의의 주어진 범위는 임의의 및 모든 더 작은 포함된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45 - 90의 범위는 50 - 90; 45 - 80; 46 - 89 등을 또한 포함한다.

Claims (20)

  1. 코폼 부직 웹을 포함하는 와이프이며,
    코폼 부직 웹은 각각의 직경이 10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멜트블로운 섬유의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멜트블로운 섬유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성 섬유 물질과 얽히며(entangled),
    α-올레핀은 에틸렌을 포함하고,
    흡수성 섬유 물질과 멜트블로운 섬유의 코폼 매트릭스는 연속 영역 및 다수의 오프셋 영역을 포함하며,
    연속 영역의 밀도는 오프셋 영역의 밀도와 동일하고,
    연속 영역은 가로 방향, 세로 방향 및 0.01 밀리미터 내지 10.0 밀리미터인 두께를 가지며,
    연속 영역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이어진 평면 제1 측부 및 제1 측부의 맞은편인 평면 제2 측부를 더 포함하고, 제1 및 제2 측부가 연속 영역의 두께만큼 떨어져 있고, 오프셋 영역은 제1 측부로부터 이어져 나가는데, 여기서 오프셋 영역은 연속 영역의 다수의 제1 차단되지 않는 부분을 규정하도록 위치되고, 여기서 연속 영역의 제1 차단되지 않는 부분은 임의의 오프셋 영역의 기저를 이루지 않고, 또 여기서, 연속 영역의 제1 차단되지 않는 부분은 제1 측부의 평면에서 제1 방향으로 이어져 있고, 제1 방향은 임의의 오프셋 영역과 교차하지 않고, 또한 여기서 오프셋 영역의 너비로 나누어진 차단되지 않는 부분의 너비는 0.3 내지 2.0 사이이고, 측정된 너비는 제1 측부의 평면에서 제1 방향에 수직이고, 또 여기서 연속 영역은 완전히 오프셋 영역 아래에서 이어지며,
    멜트블로운 섬유는 웹의 1 중량% 내지 40 중량%를 구성하고, 흡수성 섬유 물질은 웹의 60 중량% 내지 99 중량%를 구성하며,
    코폼 부직 웹의 컵 크러쉬 에너지/두께 비율이 600 그램 미만인, 와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연속 영역의 기본 중량이 오프셋 영역의 기본 중량보다 작은 와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오프셋 영역이 0.25 밀리미터 내지 5.0 밀리미터로 제1 측부로부터 이어진 와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연속 영역의 제1 차단되지 않은 부분이 적어도 2, 3 또는 4개의 다른 오프셋 영역을 지나서 제1 방향으로 이어진 와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오프셋 영역이 임의의 오프셋 영역과 교차하지 않고 제2 방향으로 무한히 이어진, 연속 영역의 다수의 제2 차단되지 않는 부분을 규정하도록 또한 위치되는 와이프.
  6. 제5항에 있어서, 제1 방향이 제2 방향에 수직인 와이프.
  7. 제1항에 있어서, 와이프가 와이프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150 내지 600 중량%의 액체 용액을 포함하는 와이프.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7015945A 2009-12-21 2010-11-18 가요성 코폼 부직 웹 KR101776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43,123 US9260808B2 (en) 2009-12-21 2009-12-21 Flexible coform nonwoven web
US12/643,123 2009-12-21
PCT/IB2010/055251 WO2011077278A2 (en) 2009-12-21 2010-11-18 Flexible coform nonwoven we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092A KR20120107092A (ko) 2012-09-28
KR101776973B1 true KR101776973B1 (ko) 2017-09-08

Family

ID=4415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945A KR101776973B1 (ko) 2009-12-21 2010-11-18 가요성 코폼 부직 웹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260808B2 (ko)
EP (1) EP2516711B1 (ko)
KR (1) KR101776973B1 (ko)
AU (1) AU2010334492B2 (ko)
BR (1) BR112012014275B1 (ko)
CO (1) CO6660427A2 (ko)
IL (1) IL219849A (ko)
MX (1) MX336257B (ko)
SG (1) SG181442A1 (ko)
WO (1) WO201107727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6048A1 (en) * 2007-08-25 2009-03-05 Nima Sharifi Textured cleaning wipe for electronic devices
BR112013000010A2 (pt) * 2010-07-07 2016-05-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antas fibrosas de eletreto não tecido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uma manta fibrosa de eletreto não tecida
US9771675B2 (en) * 2010-07-07 2017-09-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tterned air-laid nonwoven fibrous web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EP2602367B1 (en) 2011-12-06 2015-05-13 Borealis AG PP copolymers for melt blown/pulp fibrous nonwoven structures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lower hot air consumption
CN103158283A (zh) * 2011-12-13 2013-06-19 昆山市宝立无纺布有限公司 超柔软无纺布
US9480608B2 (en) 2012-10-31 2016-11-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fluid-entangled body facing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hollow projections
US9327473B2 (en) 2012-10-31 2016-05-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uid-entangled laminate webs having hollow projections and a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10070999B2 (en) 2012-10-31 2018-09-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9474660B2 (en) 2012-10-31 2016-10-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fluid-entangled body facing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hollow projections
US9480609B2 (en) 2012-10-31 2016-11-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fluid-entangled body facing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hollow projections
EP3071164B1 (en) 2013-11-20 2021-09-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a soft and durable backsheet
MX2016006439A (es) 2013-11-20 2016-07-19 Kimberly Clark Co Compuesto no tejido suave y duradero.
US11598026B2 (en) 2014-05-07 2023-03-07 Biax-Fiberfilm Corporation Spun-blown non-woven web
US20170306540A1 (en) * 2014-11-25 2017-10-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form Nonwoven Web Containing Expandable Beads
KR20180080325A (ko) 2015-12-01 2018-07-1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탄성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흡수성 및 보호용 조성물
WO2018160161A1 (en) 2017-02-28 2018-09-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fluid-entangled laminate webs with hollow projections and apertures
GB2575745B (en) 2017-03-30 2022-09-14 Kimberly Clark Co Incorporation of apertured area into an absorbent article
WO2019104240A1 (en) 2017-11-22 2019-05-31 Extrusion Group, LLC Meltblown die tip assembly and method
US11090242B2 (en) 2018-02-09 2021-08-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t wipes comprising a lotion
US11039989B2 (en) 2018-02-09 2021-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ray of wet wipe packages
US11097881B2 (en) 2018-02-09 2021-08-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ray of wet wipe packages
MX2021000886A (es) * 2018-07-25 2021-03-29 Kimberly Clark Co No tejidos tridimensionales colocados en espuma.
WO2020112600A1 (en) * 2018-11-29 2020-06-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7970A1 (en) * 2001-05-31 2003-04-24 Delucia Mary Lucille Structured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0609A (en) 1959-04-30 1963-11-12 Kimberly Clark Co Cellulosic product
US3034180A (en) 1959-09-04 1962-05-15 Kimberly Clark Co Manufacture of cellulosic products
US4100324A (en) 1974-03-26 1978-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4042740A (en) 1974-09-20 1977-08-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inforced pillowed microfiber webs
US4103058A (en) 1974-09-20 1978-07-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illowed web of blown microfibers
US4531945A (en) 1983-10-31 1985-07-30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 layer sanitary appliance
US4724114A (en) 1984-04-23 1988-02-09 Kimberly-Clark Corporation Selective layering of superabsorbents in meltblown substrates
US4637819A (en) 1985-05-31 1987-0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acroscopically expanded three-dimensional polymeric web for transmitting both dynamically deposited and statically contacted fluids from one surface to the other
US4741941A (en) 1985-11-04 1988-05-03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web with projections
US4762521A (en) 1986-04-11 1988-08-0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garment with quilted and conformable absorbent pad
US5096995A (en) 1987-08-13 1992-03-17 Toray Industries, Inc. Polyether-ester amide and permanently antistatic resin composition
US4879170A (en) 1988-03-18 1989-11-07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ibrous hydraulically entangled elastic coform material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US4931355A (en) 1988-03-18 1990-06-05 Radwanski Fred R Nonwoven fibrous hydraulically entangled non-elastic coform material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US5733274A (en) 1988-03-31 1998-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stiffened center
US5242632A (en) 1989-07-18 1993-09-07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Nonwoven fabric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69007566T2 (de) 1989-07-18 1994-06-30 Mitsui Petrochemical Ind Nichtgewebter Stoff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5149335A (en) 1990-02-23 1992-09-22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structure
US5213881A (en) 1990-06-18 1993-05-25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web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US5350624A (en) 1992-10-05 1994-09-27 Kimberly-Clark Corporation Abrasion resistant fibrous nonwoven composite structure
US5482772A (en) 1992-12-28 1996-01-09 Kimberly-Clark Corporation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and nonwoven fabric and articles made therewith
US5540872A (en) 1992-12-31 1996-07-30 Mcneil-Ppc, Inc.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three-dimensional fabrics
US5652326A (en) 1993-03-03 1997-07-29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Polyetheresteramide and antistatic resin composition
JP3061507B2 (ja) 1993-03-24 2000-07-10 三井化学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CA2105026C (en) 1993-04-29 2003-12-16 Henry Louis Griesbach Iii Shaped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SG66278A1 (en) 1993-05-25 1999-07-20 Exxon Chemical Patents Inc Novel polyolefin fibers and their fabrics
US5423786A (en) 1993-09-24 1995-06-13 Mcneil-Ppc, Inc. Stabilized absorbent core and products made therefrom
CA2134594A1 (en) 1994-04-12 1995-10-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making soft tissue products
US5560878A (en) 1994-11-30 1996-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s
CN1173122A (zh) 1994-11-30 1998-02-11 普罗克特和甘保尔公司 可伸展的吸湿芯
US5562645A (en) 1995-05-31 1996-10-08 Kimberly-Clark Corporation Article with soft absorbent pulp sheet
US5843055A (en) 1996-07-24 1998-1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atified, multi-functional fluid absorbent members
US5964743A (en) 1997-02-27 1999-10-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absorbent material for personal care products
US6039839A (en) 1998-02-03 2000-03-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paper structures having a decorative pattern
JP4026926B2 (ja) 1998-04-06 2007-12-26 三井化学株式会社 紙おむつ用トップシートおよび紙おむつ用多層不織布
US6127595A (en) 1998-04-22 2000-10-03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Cover sheet lamination for absorbent article and low temperature lamination process
WO1999062370A1 (fr) * 1998-05-29 1999-12-09 Kao Corporation Brosse jetable
US6362389B1 (en) 1998-11-20 2002-03-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absorbent structures
US6231557B1 (en) 1999-09-01 2001-05-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product containing an elastic absorbent component
US6245051B1 (en) 1999-02-03 2001-06-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liquid distribution, belt component
JP3467432B2 (ja) * 1999-06-24 2003-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の可撓性シート
AR025300A1 (es) 1999-08-23 2002-11-20 Kimberly Clark Co Un articulo absorbente descartable con capacidad para respirar en humedo incrementada.
US6680423B1 (en) 1999-08-27 2004-0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reinforced elastic absorbent core
US6627789B1 (en) 1999-10-14 2003-09-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product with fluid partitioning
US20020155776A1 (en) 1999-10-15 2002-10-24 Mitchler Patricia Ann Particle-containing meltblown webs
DE60110290T2 (de) 2000-02-28 2005-10-06 Kao Corp. Blatt für einen absorbierenden Artikel und absorbierender Artikel mit einem solchen Blatt
JP2002339221A (ja) 2001-03-13 2002-11-27 Toyoda Spinning & Weaving Co Ltd 立体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US7176150B2 (en) 2001-10-09 2007-02-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ternally tufted laminates
US6872275B2 (en) 2001-12-14 2005-03-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adding superabsorbent to a pre-formed fibrous web via in situ polymerization
US20030120249A1 (en) 2001-12-20 2003-06-26 Wulz Andrea Susa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nsert providing for improved fluid distribution
US7037298B2 (en) 2001-12-20 2006-05-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raised circumferential bank
US6896669B2 (en) 2001-12-21 2005-05-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e absorbent members
US20030176136A1 (en) 2002-01-10 2003-09-18 Wadsworth Larry C. Biodegradable cotton composites
US20030135178A1 (en) 2002-01-17 2003-07-17 Hansen Ebba A. Absorbent laminate
US20030171051A1 (en) 2002-03-08 2003-09-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ipe
US20030200991A1 (en) 2002-04-29 2003-10-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ual texture absorbent nonwoven web
US20030211802A1 (en) 2002-05-10 2003-1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ree-dimensional coform nonwoven web
US20030236511A1 (en) 2002-06-25 2003-12-25 Jones Archie L. Compressed absorbent web
US20040005457A1 (en) 2002-07-03 2004-01-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of improving the softness of fibers and nonwoven webs and fibers and nonwoven webs having improved softness
US20040054343A1 (en) 2002-09-18 2004-03-18 Barnett Larry N. Horizontal density gradient absorbent system for personal care products
MY139729A (en) 2002-11-25 2009-10-30 Mitsui Chemicals Inc Nonwoven fabric capable of being elongated and composite nonwoven fabric comprising said nonwoven fabric laminated
US20040102751A1 (en) 2002-11-27 2004-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reinforced absorbent structure
BR0317609B1 (pt) 2002-12-20 2013-10-08 Textura laminada com tufos
AR042713A1 (es) 2003-01-13 2005-06-29 Kimberly Clark Co Un articulo absorbente para la higiene femenina
WO2004073479A2 (en) 2003-02-19 2004-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sheets
US8211815B2 (en) 2003-06-13 2012-07-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structure having three-dimensional topography on upper and lower surfaces
JP4233435B2 (ja) 2003-11-20 2009-03-04 花王株式会社 複合シート
US7662745B2 (en) 2003-12-18 2010-02-16 Kimberly-Clark Corporation Stretchable absorbent composites having high permeability
US20050148261A1 (en) 2003-12-30 2005-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webs having reduced lint and slough
US7601657B2 (en) 2003-12-31 2009-10-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ingle sided stretch bonded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205639B1 (ko) 2003-12-31 2012-11-2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단면 표면재가 신축 결합된 적층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7504347B2 (en) 2004-03-17 2009-03-1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Fibers made from copolymers of propylene/α-olefins
MXPA06010484A (es) 2004-03-19 2006-12-1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polimeros a base de propileno, metodo para elaborar las fibras y articulos elaborados de las fibras.
US7799967B2 (en) 2004-04-08 2010-09-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fferentially expanding absorbent structure
BRPI0509812A (pt) 2004-04-30 2007-10-0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ano não tecido, fibra e artigo feito da fibra
JP4318597B2 (ja) 2004-06-18 2009-08-26 花王株式会社 立体不織布
US7772456B2 (en) 2004-06-30 2010-08-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etchable absorbent composite with low superaborbent shake-out
US20060184149A1 (en) 2004-08-20 2006-08-17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EP1634556B1 (en) 2004-09-13 2019-06-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acquisition rate
JP4455241B2 (ja) 2004-09-14 2010-04-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7594904B2 (en) 2004-09-16 2009-09-29 Mcneil-Ppc, Inc. Drapeable sanitary absorbent napkin
US20060063456A1 (en) 2004-09-22 2006-03-23 Pgi Polymer, Inc. Nonwoven wiping fabrics having variable surface topography
US7910658B2 (en) 2005-03-17 2011-03-2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ions of ethylene/α-olefin multi-block interpolymer for elastic films and laminates
CN101243221A (zh) 2005-08-19 2008-08-13 陶氏环球技术公司 丙烯基熔喷无纺层及复合结构
US20070049153A1 (en) * 2005-08-31 2007-03-01 Dunbar Charlene H Textured wiper material with multi-modal pore size distribution
US20070135785A1 (en) 2005-12-12 2007-06-14 Jian Qin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thermoplastic coated superabsorbent polymer materials
CN101395315B (zh) 2006-02-21 2012-07-18 纤维网辛普森维利有限公司 可伸展的吸水性复合材料
WO2007140163A2 (en) 2006-05-25 2007-12-06 Dow Global Technologies Inc. Soft and extensible polypropylene based spunbond nonwovens
JP5123511B2 (ja) 2006-06-23 2013-01-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
US7938921B2 (en) 2006-11-22 2011-05-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and composite having latent elasticity
EP2064261A1 (en) 2006-12-15 2009-06-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degradable polylactic acids for use in forming fibers
KR20090117829A (ko) 2007-03-02 2009-11-1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부직포 적층체
EP2173298B1 (en) 2007-06-12 2014-08-20 DSG Technology Holdings Ltd. Absorbent article with a slit absorbent core
US8481634B2 (en) 2007-09-07 2013-07-09 Bostik, Inc. Hot melt desiccant matrix composition based on plasticized polyolefin binder
US20090233049A1 (en) 2008-03-11 2009-09-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form Nonwoven Web Formed from Propylene/Alpha-Olefin Meltblown Fibers
MX2012003113A (es) 2009-09-15 2012-04-11 Kimberly Clark Co Tela no tejida coform formada de fibras sopladas con fusion incluyendo propileno/alfa-olefina.
US20110152808A1 (en) 2009-12-21 2011-06-23 Jackson David M Resilient absorbent coform nonwoven we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7970A1 (en) * 2001-05-31 2003-04-24 Delucia Mary Lucille Structured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092A (ko) 2012-09-28
MX2012007156A (es) 2012-07-03
AU2010334492A1 (en) 2012-06-14
EP2516711B1 (en) 2016-03-23
AU2010334492B2 (en) 2015-01-22
EP2516711A2 (en) 2012-10-31
BR112012014275B1 (pt) 2020-10-13
WO2011077278A2 (en) 2011-06-30
CO6660427A2 (es) 2013-04-30
MX336257B (es) 2016-01-13
IL219849A0 (en) 2012-07-31
US9260808B2 (en) 2016-02-16
IL219849A (en) 2015-09-24
BR112012014275A2 (pt) 2017-04-04
WO2011077278A3 (en) 2011-11-24
EP2516711A4 (en) 2014-01-08
SG181442A1 (en) 2012-07-30
US20110151196A1 (en)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973B1 (ko) 가요성 코폼 부직 웹
KR101777433B1 (ko) 탄성 흡수 코폼 부직 웹
EP2478140B1 (en) Coform nonwoven web formed from meltblown fibers including propylene/alpha-olefin
US20090233049A1 (en) Coform Nonwoven Web Formed from Propylene/Alpha-Olefin Meltblown Fibers
RU2564613C2 (ru) Впитывающий композит с упругим слоем, изготовленным совместным формованием
US20120066855A1 (en) Coform nonwoven web having multiple textures
US20110152164A1 (en) Wet Wipe Having Improved Cleaning Capabilities
US11123949B2 (en) Textured nonwoven laminate
CN114729483B (zh) 具有增加的cd强度的非织造纤维网
US20230149228A1 (en) Absorbent layers suitable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