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903B1 - 캡슐 탈유장치 - Google Patents

캡슐 탈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903B1
KR101776903B1 KR1020170031244A KR20170031244A KR101776903B1 KR 101776903 B1 KR101776903 B1 KR 101776903B1 KR 1020170031244 A KR1020170031244 A KR 1020170031244A KR 20170031244 A KR20170031244 A KR 20170031244A KR 101776903 B1 KR101776903 B1 KR 101776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oil
plate
spin roll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영
Original Assignee
정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영 filed Critical 정수영
Priority to KR1020170031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903B1/ko
Priority to JP2017228799A priority patent/JP6509310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B65G33/265Screws with a continuous helica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11Conveyor screws
    • B65G2812/0527Conveyor screw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e.g. hollow, toot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을 제조함에 있어, 캡슐 외부에 묻어있는 유분을 제거하는 캡슐 탈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을 투입 및 유분이 제거된 캡슐이 배출되는 본체와, 이 본체에 구비되어 투입된 캡슐의 유분을 제거하는 탈유수단 및 상기 탈유수단의 스핀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스핀롤러의 회전에 의해 스핀롤러와 탈유수단에 구비되는 탈유관 사이를 타고 캡슐이 상승하면서 자연스럽게 캡슐이 임의로 회전하여 외면에 묻어있는 유분을 제거할 수 있는 캡슐 탈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캡슐 탈유장치{OIL-ELIMINATING DEVICE}
본 발명은 캡슐을 제조함에 있어, 캡슐 외부에 묻어있는 유분을 제거하는 캡슐 탈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슐을 투입 및 유분이 제거된 캡슐이 배출되는 본체와, 이 본체에 구비되어 투입된 캡슐의 유분을 제거하는 탈유수단 및 상기 탈유수단의 스핀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스핀롤러의 회전에 의해 스핀롤러와 탈유수단에 구비되는 탈유관 사이를 타고 캡슐이 상승하면서 자연스럽게 캡슐이 임의로 회전하여 외면에 묻어있는 유분을 제거할 수 있는 캡슐 탈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캡슐 형태의 고형제도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외형만 캡슐이지 내부는 가루로 채워진 캡슐형 고형제가 있는가 하면(이 경우 캡슐의 양측을 잡고서 당기면 캡슐이 분리되어 내부에 채워진 가루가 노출된다), 내부에특정 고형제와 액형 충전물이 채워지면서 이를 필름으로 감싸 캡슐 형태로 포장하는 고형제가 있다.
이러한 고형제(캡슐)를 제조하는 경우, 캡슐의 외면에는 이물질, 특히 유분이 묻어있으며, 이 유분을 제거하기위해 작업자가 일일이 캡슐을 닦아내어야 하는 등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캡슐 뿐만 아니라 튀김요리 등의 다양한 탈유물에서 기름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9-0106374호 『탈유 및 탈수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탈수 및 탈유를 필요로 하는 대상물을 압착 상태로 이송하면서 흡수, 탈수, 탈유시킬 수 있도록 탈유 및 탈수장치를 구성하되, 이는 프레임 상하로 모터와 전동수단으로 각각 구동 연결되어 구동폴리 및 반대측에 설치된 피동폴리에 무한궤도록 권설된 밸트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벨트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텐션이 작용토록 설치되는 수개의 텐션로울러와, 상기 진공흡입수단은 벨트의 외면부에 연접되어 아이들링??오록 제1 브라켓 상에 축설치된 하나 이상의 다공관과, 상기 다공관 내부에 흡입개구를 갖는 흡입관이 설치되어 진동, 흡입을 이용하여 목적물의 탈유 및 탈수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순히 진동만으로 목적물의 외부에 묻어있는 잔유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잔유물의 점도가 높으면 단순히 진동만으로는 이를 완벽하게 제거하기 어려우며, 특히 흡입방식을 이용하면, 소정의 사이즈의 목적물이 함께 빨려들어 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1-0135721호 『탈유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상에서 헛도는 낙하판, 상기 낙하판과 마주하고, 상기 회전추겡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는 리드판, 상기 리드판과 상기 낙하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상기 리드판과 상기 낙하판 사이에 위치하고, 일측이 상기 리드판과 상기 낙하판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있는 낙하핀, 그리고 상기 낙하판과 연결되어 상기 낙하판을 다라 이동하며, 탈유물이 놓일 수 있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탈유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하운동을 통해 중력에 의해 외면에 묻어있는 잔유물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한 번에 다량의 목적물을 투입하기 어려우며, 특히 연속적으로 탈유공정이 진행되지 않음으로서 작업시간이 증가되고, 낙하되는 기름이 사방으로 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탈유수단 및 이 탈유수단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탈유수단을 경사지게 구성하여 캡슐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탈유수단에 구비되는 스핀롤러에 의해 외면에 묻어있는 유분이 제거되는 캡슐 탈유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탈유수단을 오일배출홀이 형성된 탈유관과, 이 탈유관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핀롤러로 구성하여 스핀롤러의 회전에 의해 스핀롤러와 탈유관 사이에 캡슐이 위치하여 탈유관의 상부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며,
상기 스핀롤러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캡슐이 나선홈 내에서 임의로 회전됨에 따라 외부에 묻어있는 유분이 마찰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는 캡슐 탈유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탈유장치는
캡슐이 투입되는 투입부재와, 투입된 캡슐에 묻어있는 유분을 제거하는 탈유부 및 유분이 제거된 캡슐이 배출되는 배출부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탈유부에 구비되어 오일배출홀이 형성되는 탈유관과, 상기 탈유관 내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스핀롤러가 구비되는 탈유수단;
상기 본체에 구비되되, 상기 탈유수단의 스핀롤러와 연동되어, 상기 스핀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탈유수단의 하부부분에 캡슐이 투입되어 상기 스핀롤러에 회전에 의해 상부부분으로 이송되면서 캡슐에 묻어있는 유분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탈유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탈유수단 및 구동수단을 통하여, 상기 구동수단이 탈유수단에 구비되는 스핀롤러를 회전시켜 스핀롤러와 탈유관 사이로 캡슐을 이동시켜, 신속하고 정확하게 밀착되어 있는 유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탈유수단에 캡슐이 이동하는 경우, 탈유수단의 하부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거슬러 올라가도록 구성함으로서, 먼저 투입된 캡슐의 유분이 나중에 투입된 캡슐에 묻는 것을 방지하고,
탈유수단에 스핀롤러를 무한 회전시킴에 따라 다량의 캡슐을 연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탈유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스핀롤러에 형성되어 캡슐이 안착되는 나선홈에 만곡부를 구비하여, 캡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분의 점도에 상관없이 마찰에 의해 유분을 제거함으로서, 유분 제거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탈유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탈유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탈유장치의 탈유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탈유장치의 스핀롤러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탈유장치(A)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탈유수단(20) 및 구동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은 구동수단(30) 및 탈유수단(20)이 생략된 개략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보다 상세하게게 도시하였고, 따라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탈유장치(A)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캡슐이 투입되는 투입부재(11)가 형성되고, 타측에 탈유가 완료된 캡슐이 배출되는 배출부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을 지지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본체(10)에는 지지플레이트(19)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플레이트(19)는 하부플레이트(19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93)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수직플레이트(192) 및 경사플레이트(19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상기 하부플레이트(193)는 본 발명의 기본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 하부플레이트(193) 하단에는 이동롤러(195)가 구비되어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롤러(195)는 바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냥 지지다리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하부플레이트(193)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93)로부터 수직으로 직교되도록 구비되는 수직플레이트(192)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193)의 길이방향의 타측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는 경사플레이트(191)가 구비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플레이트(193)와 경사플레이트(191)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단에 베이스플레이트(194)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베이스플레이트(194)에 탈유부(1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탈유수단(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193)로에 연결되는 수직플레이트(192) 및 경사플레이트(191)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94)는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져 있으며, 그 방향성을 특정하면, 캡슐이 투입되는 부분이 하부방향, 캡슐이 배출되는 부분이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져, 캡슐이 상부방향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플레이트(192)와 베이스플레이트(194)는 힌지결합을 이루고, 상기 경사플레이트(191)와 베이스플레이트(194) 또한 힌지결합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경사플레이트(19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본체(10), 더 정확하게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94)에는 후술하는 탈유수단(20)이 체결되는 탈유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탈유부(12) 일측에는 구동수단(30)이 구비되게 된다.
먼저, 상기 구동수단(30)은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하는 구동모터(31)와, 이 구동모터(31)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탈유수단(20)의 스핀롤러(23)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축(33)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탈유부(12)에는 서로 이격된 제1 서포트플레이트(121)와 제2 서포트플레이트(123)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 탈유수단(20)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캡슐에 묻어있는 잔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탈유수단(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탈유수단(20)은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탈유관(21)과, 이 탈유관(21)에 내삽되어 상기 구동수단(30)의 모터축(33)과 연결되는 스핀롤러(23)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터축(33)이 관통하기 위한 홀이 상기 제1 서포트플레이트(121)와 제2 서포트플레이트(123)에 구비되는 것은 자명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스핀롤러(23)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핀롤러(23)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탈유관(21)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핀롤러(23)의 외면에는 나선홈(235)이 형성될 수 있는 나선형성부(2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핀롤러(23)의 중앙에는 상기 구동모터(31)의 모터축(33)이 결합되는 축공(237)이 형성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나선형성부(231)는 상기 스핀롤러(23)의 중심축과 수직방향이 아닌 일방향으로 경사진 나사산으로서, 상기 스핀롤러(23)가 회전하면, 상기 나선홈(235)에 안착되는 캡슐이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나선형성홈에는 완곡진 만곡부(233)를 더 구비하여, 캡슐의 외면이 상기 나선홈(235)에 밀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만곡부(233)에 의해 캡슐 외면에 스크래치가 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스핀롤러(23)는 탈유관(21) 내에 삽입되게 되는데, 상기 탈유관(21)은 상기 제1 서포트플레이트(121)와 제2 서포트플레이트(123)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투입되는 캡슐의 이탈을 방지하고, 캡슐에서 나오는 기름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탈유관(21)은 캡슐이 투입되는 투입공(211)이 형성되고, 이 투입공(211)과 반대방향에는 탈유가 된 캡슐이 배출되는 배출공(213)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투입공(211)은 제1 서포트플레이트(121) 부분의 탈유관(21) 위쪽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213)은 상기 제2 서포트플레이트(123) 부분의 탈유관(21)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공(211)에 상기 투입부재(11)가 연결되게 된다.
상기 투입부재(11)는 다량의 캡슐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호퍼(111)와, 이 투입호퍼(111)와 투입공(211)을 연결하는 투입로(11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배출공(213)에 연결되는 배출부재(13)는 탈유된 캡슐이 배출되는 분배관(131)과, 이 분배관(131)과 배출공(213)을 연결하는 배출로(1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배관(131)은 하나의 배출로(133)에서 나오는 캡슐을 양방향으로 나누는 역할을 하며, 이는 다량의 캡슐이 나올 때 적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 분배관(131)의 형상이나 분배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캡슐이 투입되어 배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캡슐은 투입부재(11)를 통하여 탈유관(21)에 투입되고, 투입된 캡슐은 하강하여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스핀롤러(23)의 아랫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스핀롤러(23)의 아랫면에 위치한 캡슐은 스핀롤러(23)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나선홈(235)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탈유관(21)과 나선홈(235) 사이에서 임의로 회전하여 마찰력을 발생하고, 이러한 마찰에 의해 캡슐의 외면에 묻어있는 잔유물이 제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핀롤러(23)의 회전에 의해 캡슐은 점차적으로 상기 탈유관(21)을 거슬러 올라가고, 결국 배출공(213)을 통하여 하강하여 배출부재(13)를 통해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 때 캡슐에서 묻어나오는 기름이 낙하되기 위하여 상기 탈유관(21)에는 복수개의 오일배출홀(215)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배출홀(215)은 상기 투입공(211)의 위치와 배출공(213)의 위치 사이에 형성되게 되며, 상기 탈유관(21)이 경사를 이루고, 상기 캡슐이 그 경사를 거슬러 올라가는 방식에 의해 먼저 투입된 캡슐에서 묻어나오는 잔유물이 다음번 캡슐로 유입되지 않고 오일배출홀(215)을 통해 낙하함으로서 캡슐의 탈유공정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본체(10),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94)의 하부에는 상기 오일배출홀(215)을 통해 낙하되는 잔유물을 수거하는 오일수거부재(15)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오일수거부재(15)는 잔유물을 모으는 오일회수부(151)와 이 오일회수부(151)에 모아진 잔유물이 낙하되어 모아지도록 본체(10) 하단부에 위치하는 오일탱크(153)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오일탱크(153)를 별도로 본체(10) 하단부, 구체적으로는 하부플레이트(193)에 구비함에 따라 오일탱크(153)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오일탱크(153)의 수위를 체크하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오일을 보다 손쉽게 빨아드리는 펌프(35)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상기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캡슐 탈유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캡슐 탈유장치 10 : 본체
11 : 투입부재 111: 투입호퍼
113 : 투입로 12 : 탈유부
121 : 제1 서포트플레이트 123 : 제2 서포트플레이트
13 : 배출부재 131 : 분배관
133 : 배출로 15 : 오일수거부재
151 : 오일회수부 153 : 오일탱크
17 : 제어부 19 : 지지플레이트
191 : 경사플레이트 192 : 수직플레이트
193 : 하부플레이트 194 : 베이스플레이트
195 : 이동롤러 20 : 탈유수단
21 : 탈유관 211 : 투입공
213 : 배출공 215 : 오일배출홀
23 : 스핀롤러 231 : 나선형성부
233 : 만곡부 235 : 나선홈
237 : 축공 30 : 구동수단
31 : 구동모터 33 : 모터축
35 : 펌프

Claims (4)

  1. 캡슐이 투입되는 투입부재(11)와, 투입된 캡슐에 묻어있는 유분을 제거하는 탈유부(12) 및 유분이 제거된 캡슐이 배출되는 배출부재(13)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탈유부(12)에 구비되어 오일배출홀(215)이 형성되는 탈유관(21)과, 상기 탈유관(21) 내부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스핀롤러(23)가 구비되는 탈유수단(20);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되, 상기 탈유수단(20)의 스핀롤러(23)와 연동되어, 상기 스핀롤러(23)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탈유수단(20)의 하부부분에 캡슐이 투입되어 상기 스핀롤러(23)에 회전에 의해 상부부분으로 이송되면서 캡슐에 묻어있는 유분이 제거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지지플레이트(19)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9)에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19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93)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93)로부터 수직으로 직교되는 수직플레이트(192)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는 경사플레이트(191)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193)와 경사플레이트(191)를 서로 연결하되, 탈유부(12)가 형성되어 상기 탈유수단이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94)가 구비되되,
    상기 수직플레이트(192) 및 경사플레이트(191)와 베이스플레이트(194)는 각각 힌지결합을 이루고, 상기 경사플레이트(19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서, 상기 탈유수단의 경사각을 조정하며,
    상기 스핀롤러(23)의 외면에는 나선홈(235)이 형성되는 나선형성부(231)가 구비되고, 상기 스핀롤러(23)의 중앙에는 상기 구동수단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의 모터축(33)이 결합되는 축공(237)이 형성되어,
    탈유관(21)에 유입되어 상기 스핀롤러의 아랫면에 위치하는 캡슐이 상기 스핀롤러(2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탈유관의 아랫면을 따라 탈유관(21)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마찰에 의해 외면에 묻어있는 잔유물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탈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유관(21)의 하부부분에는 상기 투입부재(11)와 연통되는 투입공(211)이 형성되고, 상기 탈유관(21)의 상부부분에는 상기 배출부재(13)와 연통되는 배출공(213)이 형성되며, 상기 투입공(211)과 배출공(213) 사이에 복수개의 오일배출홀(2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탈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홈(235)에는 캡슐의 파손을 방지하는 만곡부(2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탈유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유부(12)에는 서로 이격된 제1 서포트플레이트(121)와, 제2 서포트플레이트(123)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탈유수단(20)의 탈유관(21)이 상기 제1 서포트플레이트(121)와 제2 서포트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어, 투입되는 캡슐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탈유장치.
KR1020170031244A 2017-03-13 2017-03-13 캡슐 탈유장치 KR101776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244A KR101776903B1 (ko) 2017-03-13 2017-03-13 캡슐 탈유장치
JP2017228799A JP6509310B2 (ja) 2017-03-13 2017-11-29 カプセル脱油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244A KR101776903B1 (ko) 2017-03-13 2017-03-13 캡슐 탈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903B1 true KR101776903B1 (ko) 2017-09-19

Family

ID=6003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244A KR101776903B1 (ko) 2017-03-13 2017-03-13 캡슐 탈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509310B2 (ko)
KR (1) KR101776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6797A (zh) * 2020-09-14 2020-12-11 杭州点特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智能书架旋转上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305Y2 (ko) * 1973-11-24 1976-10-01
JPS5442859A (en) * 1977-09-09 1979-04-05 Kouichi Okada Injection revolution type automatic feed washing machine
JPH06254515A (ja) * 1993-02-15 1994-09-13 Nippon Guriisu Nitsupuru Kk 物品洗浄装置及び籠筒及び全自動ワーク加工システム
KR100932932B1 (ko) * 2008-03-07 2009-12-21 정수영 캡슐 세척 및 건조장치
CN201959944U (zh) * 2010-12-23 2011-09-07 上海奥星制药技术装备有限公司 一种带有喷淋装置的滚筒胶塞清洗机
CN102641866A (zh) * 2012-05-04 2012-08-22 荣成百合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软胶囊清洗机
CN105234120B (zh) * 2015-08-26 2018-04-03 浙江亚利大胶丸有限公司 一种软胶囊自动洗丸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6797A (zh) * 2020-09-14 2020-12-11 杭州点特家居用品有限公司 一种智能书架旋转上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49534A (ja) 2018-09-27
JP6509310B2 (ja)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2343C (en) Liquid solid separator
US8329041B2 (en) Ship with a contaminant separation device
KR200417966Y1 (ko) 롤링 회전구조를 갖는 협잡물 제거용 드럼스크린
KR101325346B1 (ko) 롤러 청소 장치
RU2573876C2 (ru)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фаз продукта посредством центрифуги
KR101776903B1 (ko) 캡슐 탈유장치
CN107840392A (zh) 一种污水分离工艺
JP2014530760A (ja) 脱水装置
EP3308844B1 (en) Scum concentration apparatus
JP2003103256A (ja) 油脂回収装置
JP2005111368A (ja) 縦型スクリュープレス並びにその運転方法
KR102150767B1 (ko) 오일 분리장치
KR101837575B1 (ko) 원형침전지용 스컴 제거 시스템
JP2015020139A (ja) 流路式浮上油回収装置
KR101837058B1 (ko) 향 캡슐 세척 장치 및 향 캡슐 세척 방법
KR101687879B1 (ko) 세정 볼 분리장치
CN216879850U (zh) 一种便于维修检查的全自动离心分离机
KR200470924Y1 (ko) 유수 분리장치
KR101524374B1 (ko) 열처리제품 오일세척 시스템
RU261480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агирования масла из маслосодержащего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US20180361281A1 (en) A Dewatering Device and a Tensioning Apparatus for a Belt Conveyor
KR101490083B1 (ko) 침사물에 포함된 모래 및 협잡물의 분리 배출 시스템
CN116712782B (zh) 一种黄金尾矿脱水净化装置
CN210496850U (zh) 一种便于卸料清洁的自动离心机
KR101992435B1 (ko) 필터드럼과 스크레이퍼를 이용한 미세칩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