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804B1 - 후크들을 갖는 다수의 오버몰딩된 부재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물품들 및 커버로 구성된 조립체 - Google Patents

후크들을 갖는 다수의 오버몰딩된 부재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물품들 및 커버로 구성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804B1
KR101776804B1 KR1020127021617A KR20127021617A KR101776804B1 KR 101776804 B1 KR101776804 B1 KR 101776804B1 KR 1020127021617 A KR1020127021617 A KR 1020127021617A KR 20127021617 A KR20127021617 A KR 20127021617A KR 101776804 B1 KR101776804 B1 KR 101776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s
overmolded
shaped
molded article
loo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476A (ko
Inventor
파브리스 비야랑
마르크 우들렝
Original Assignee
아플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플릭스 filed Critical 아플릭스
Publication of KR20120118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33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and-loop 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8Transversally moving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the back-rest having two or mo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31Worm and worm gear artic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with a transversal pin displaced by a slot or a cam along a predetermin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10T428/24017Hook or bar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Air Bag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된 물품과 이 성형된 물품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종방향 홈이 외측으로 열려 있으면서 상기 성형된 물품에 형성된다. 후크(hook)를 갖는 두 후크 부재들이 상기 홈의 바닥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성형된 물품 상에 오버몰딩되고, 상기 후크들은 그 위에 걸려 커버가 성형된 물품 상에 부착됨을 보장하도록 커버로부터 루프(loop)들의 구멍들로 관통하고, 여기서 상기 조립체는 종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어 홈통(trench)의 바닥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둘 이상의 오버몰딩된 후크 부재들이 제공되고, 두 부재들 모두 그 안에 후크 부재들이 없는 중간 영역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립체는 홈통의 상부를 향해 커버가 올라타는(riding up)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후크들을 갖는 다수의 오버몰딩된 부재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물품들 및 커버로 구성된 조립체{ASSEMBLY OF A MOLDED OBJECT THAT COMPRISES A PLURALITY OF OVERMOLDED HOOK ELEMENTS AND FURTHER COMPRISES A COVERING}
본 발명은 성형된 물품(molded article), 특히 자동차 쿠션, 상기 성형된 물품에 오버몰딩된 후크들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부재들(elements), 및 상기 성형된 물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대한 것이고, 상기 커버는 후크-및-루프(hook and loop; velcro) 타입 또는 후크-내-후크(hook in hook) 타입의 자동-고정부(self-fastener) 또는 "터치식 고정부(touch fastener)"를 통해 성형된 물품에 체결되고, 후크들은 고정을 이루기 위해 커버로부터 연장하는 후크들 또는 루프들과 함께 작동하고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들로부터 연장한다.
공보 US 2003/0162008호는 외측 표면을 갖는 성형된 물품과 상기 외측 표면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공개하고, 홈(groove) 또는 홈통(trench)이 성형된 물품에 형성되고 홈통 바닥을 형성하도록 만나는 2개의 대향하는 측면들을 갖고, 2개의 걸쇠(catch)를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overmolded elements)가 홈통의 바닥에 배치되고 커버에 고정된 와이어가 홈통에 삽입되고 성형된 물품 주변에서 커버를 잡아주도록 각각의 걸쇠와 인접하거나 고정되어(clipping) 함께-작동한다.
이러한 타입의 조립체는, 특히 홈통의 측벽들로부터 돌출한 걸쇠들을 적절히 위치결정하도록, 제조하기에 복잡하고, 그 결과인 고정은 후크-및-루프 자동-고정부를 사용하는 고정에 의해 얻어지는 고정만큼 신뢰성이 있지 않다. 부가적으로, 일단 와이어가 걸쇠들 사이에서 클립-고정되었으면, 이는 커버를 손상시키지 않고는 고정을 해제하기가 매우 어렵거나, 사실상 불가능하다.
종래 기술에서, 성형된 물품과 커버를 포함하는 조립체들이 공지되어 있고 여기서 성형된 물품은 그 외면에 형성된 홈통 또는 홈을 구비하고 바닥에서 만나는 2개의 측면들을 갖고, 그로부터 후크들이 돌출하고 커버로부터 연장하는 루프들과 함께 작동한다.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후크-및-루프 시스템을 포함하는 이러한 조립체들은 US 2003/0162008호에 설명된 것들보다 더 신뢰성 있지만 이들은 또한 가장 비싸고, 특히 당기는 힘들에 충분히 고정이 견디게 하기 위해 전체 하부를 후크들로 실질적으로 덮을 필요가 있다. 특히, 후크들은 홈통의 바닥에 배치된 후크들을 갖는 부재들의 일부이고, 후크들을 갖는 이 부재들은 연속적으로, 즉, 끝과 끝이 붙어(end-to-end) 정렬되어 있어, 조립체가 제조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게 하는데, 왜냐하면 후크들을 갖는 상기 부재들은 매우 비싸기 때문이다.
제1의 양상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록 후크-및-루프 고정을 갖지만(성형된 물품 둘레에 커버가 끼워지기 매우 간단하게 하고, 특히, 필요하면, 예를 들어, 커버를 다시 위치결정하는 관점에서, 고정을 풀고 다시 고정할 수 있게 하여),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후크-및-루프 자동-고정부를 사용하여 부여되는 그 당김 강도 및 그 신뢰성을 잃지 않고, 제조하기에 덜 비싼, 커버와 성형된 물품으로 구성된 조립체를 제안하여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이 제1 양상에서, 본 발명은 성형된 물품과 상기 성형된 물품의 외측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고, 하나 이상의 종방향 홈 또는 홈통이 성형된 물품에 형성되고 외측으로 개방되고, 후크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홈의 바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성형된 물품에 오버몰딩되고, 몇몇 후크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후크들이 그 안에 걸려 커버를 성형된 물품에 고정하도록 커버로부터 연장하는 루프들의 구멍들로 관통하고, 상기 조립체는:
- 종방향에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홈통의 바닥을 형성하는 후크들을 갖는 둘 이상의 오버몰딩된 부재들(overmolded elements)이 제공되고, 후크들을 갖는 상기 두 부재들은 그 안에 후크들을 갖는 부재가 없는 중간 영역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고;
- 홈통의 상부를 향해, 특히 중간 영역에서 또는 각각의 중간 영역에서 커버가 올라타는(riding up)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후크-및-루프 자동-고정부들이 물품 둘레에 커버를 고정하는데 적은 양으로 사용되어, 올라탐 방지 수단에 의해 보존 또는 특히 사실상 개선되는, 당김 강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는 고정 신뢰성 또는 조립체가 제조 또는 장착될 수 있는 매우 단순함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비용에 매우 바람직한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루프들은 커버에 고정된 포켓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올라타는 효과를 방지하는 수단은 포켓 내에서 연장하는 와이어에 의해 구성된다.
그러므로, 후크-및-루프 시스템들이 커버를 성형된 물품에 고정하기 위해서도 제공되는 종래 기술에 비해, 더 적은 후크들이 제공되어, 비용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대신에 강성의 와이어가 제공되고, 이 와이어는 특히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이는 덜 비쌈에도 불구하고 양호하거나 더 나은 상방향 당김 강도를 얻을 수 있게 해야 한다. 부가적으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선으로 연장하지 않지만 만곡된 부분들을 포함하는 홈통으로 직선형 오버몰딩된 부재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을 만곡된 부분들에 맞게 적용시키는 것은 이들이 서로 이격될 수 있고 홈통이 연장하는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될 필요가 없다는 사실에 의해 쉬워지고, 이 부재들은 그렇지 않으면 상응하는 만곡된 형상들을 가질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루프들은 포켓의 주변의 바닥 부분으로부터, 특히 이 부분으로부터만, 연장한다.
개선 사항에서, 중간 영역의 길이, 즉, 종방향에서 2개의 연속적인 인접한 오버몰딩된 부재들 간의 거리는 와이어 없이, 올라타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고; 와이어의 재료 및 치수는 포켓에 수용될 때 올라타는 효과가 더 작기에 충분히 강성이고, 특히 더 이상 올라타는 효과가 없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면에서, 후크들을 갖는 각각의 오버몰딩된 부재가 U자-형상 또는 C자-형상을 갖고, 그 형상의 2개의 분기들(branches)은 홈의 외측을 향해 연장하고, U자-형상의 또는 C자-형상의 내측 표면은 후크가 돌출하지 않는 2개의 말단부 세그먼트들과,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의 후크들이 그로부터 돌출하는 중간 바닥 세그먼트를 갖는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홈은 성형된 물품이 성형(molded)되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측면들을 갖고, 이 면들은 외측으로부터 후크들을 갖는 각각의 부재의 U자-형상의 또는 C자-형상의 분기들의 각각의 상단 또는 말단 에지들로 연장하고 상기 U자-형상의 또는 C자-형상의 2개의 분기들의 각각의 내측 표면은 각각의 측면들과 동일 평면에 있(flush with)다.
특히, 홈의 측면들은 수직이고 U자-형상의 또는 C자-형상의 각각의 분기들의 내측 상부 에지들과 정합(register with)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홈은 직선형 또는 만곡된 형상인 하나 이상의 오버몰딩된 부재가 연장하는 만곡된 형상의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오버몰딩된 부재의 길이는 만곡된 세그먼트의 길이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홈의 폭은 2개의 마주하는 벽들 간의 최단 거리로서 정의되고, 특히 후크들을 갖는 부재들이 주어진 방향으로 정렬될 때, 홈통의 폭은 상기 주어진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되고, 루프들을 갖는 부재의 폭 치수, 즉 와이어의 폭 치수와 포켓의 두께의 2배와의 합은, 홈통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홈통의 상기 폭보다 약간 작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오버몰딩된 부재의 U자-형상의 또는 C자-형상의 2개의 분기들의 상부 에지들의 각각의 최내측 지점들(innermost points) 간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루프들을 제외한 루프들을 갖는 부재의 폭 치수, 즉, 와이어의 폭 치수와 포켓의 두께의 2배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폭 치수보다 약간 크다.
바람직하게는, 포켓은 커버의 2개의 부분 또는 시트들의 2개의 에지의 중첩 부분에서, 특히 이에 재봉되어(being sewn thereto), 커버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후크들을 갖는 둘 이상의 오버몰딩된 부재들 간의 중간 거리는 각각의 오버몰딩된 부재의 특히 길이 치수의 최대 치수의 50%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오버몰딩된 부재의 최대 길이 치수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오버몰딩된 부재들 간의 길이는 20mm 이상, 특히 100mm 이상, 특히 100mm 내지 500mm 범위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는 타원 형상인 단면을 갖고, 특히 타원 형상의 주 축(major axis)은 홈통의 바닥으로부터 외측으로 나가는 방향으로, 즉, 각각의 오버몰딩된 부재의 바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그 모서리들은 라운딩되고(rounded), 특히 와이어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때 그 길이는 홈통의 바닥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양상과는 독립적이고 본 발명 자체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제2 양상에서,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들은 첫째로, 성형된 물품에 오버몰딩되게 설계된, 후크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오버몰딩된 부재, 특히 후크들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부재들과, 상기 부재 또는 각각의 부재는 2개의 단부 측벽들과 바닥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이로부터 상기 부재로부터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후크가 돌출하고, 둘째로 주형(mold)에서 성형(molding)하여 형성되도록 물품과 같은 형상인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그 내벽(들)을 갖는 주형을 포함하는 유닛을 사용하여 오버몰딩되고, 하나 이상의 받침대(pedestal)가 상기 내벽(들)로부터 내부 체적으로 돌출하고, 상기 오버몰딩된 부재는 성형 폼(foam)이 주조되는 동안 받침대와 접촉되고, 받침대는 특히 평행한 면들인 2개의 대향하는 외측면들을 갖는 레일(rail)-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이 양상은 상기 폼이 주조되는 동안, 오버몰딩된 부재의 각각의 단부 측벽이, 후크들이 이들 사이에 개재되지 않고, 특히 후크들이 이들 사이에 개재되지 않고, 특히 어느 한 측면 상에서 하나 이상의 각각의 접촉선을 따라, 각각의 대향하는 외부 측면들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받침대는 후크(들)을 포함하는 내부-측벽 공간으로 부어지는 액체 폼으로부터 밀봉을 제공하도록, 특히 탄성적 방식으로, 상기 측벽들이 2개의 측면들에 대해 지지하도록, 2개의 측벽들 사이에 클램핑된다(clamped).
이러한 용도는 특히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본 발명의 루프들을 갖는 부재들의 및, 이러한 유닛의 오버몰딩된 부재들의, 이러한 유닛을 사용하여 얻어진 좁은 홈통의 조합이 올라타는 효과를 겪을 필요없이, 종래기술에서보다 적은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들로 홈통의 바닥을 제공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크들을 갖는 종래의 부재들, 즉, 본 발명에 의해 보호되는 범위 내에 남아 있으면서, 후크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cocoon)들을 갖는 또는 측벽들을 갖지 않는 이러한 부재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크들을 갖는 부재는 그 2개의 측벽들 사이에 받침대를 가압하여 클램핑한다.
개선 사항에서, 후크들을 갖는 부재와 받침대 간의 접촉이 클립핑(clipping)에 의해 일어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후크들을 갖는 부재의 각각의 측벽은 최내측 단부 에지를 갖고, 후크들의 최고 지점의 높이는 최내측 단부 에지들의 높이보다 작고; 받침대는 오버몰딩된 부재의 측벽들의 단부 에지들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들을 갖고 이격된 2개의 대향하는 외부 측면들을 갖는 레일-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레일의 두께, 즉 주어진 방향에서 측정된 2개의 측면들 간의 거리는 상기 주어진 방향에서 2개의 측벽들의 2개의 단부 에지들 간의 거리보다 약간 크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측벽들의 최내측 단부 에지들은 직선 형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고, 위에서 평면도로 볼 때, 레일의 2개의 외부 측면들은 상기 각각의 접촉선이 직선형이도록 같은 직선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측벽들은 특히 단면에서 볼 때 후크 형상, C자-형상, 원형 아치 형상,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져, 서로를 향해 약간 경사진다.
바람직하게는, 오버몰딩된 부재는 전방 벽과 후방 벽을 또한 갖고, 이 벽들은 측벽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방 벽과 후방 벽의 각각의 상부 에지들은 후크들의 최고 지점보다 크지만 두 측벽들의 상부 에지들의 높이보다는 작은 각각의 높이들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방 및 후방 벽들의 상부 에지(들)을 따라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밀봉 리브(rib)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받침대는 벽들의 상부 에지들에 대해 놓이게 될 수 있고, 전방 및 후방 벽들의 2개의 상부 에지들을 따라 연장하는 밀봉 개스킷이 선택적으로 개재되도록, 전방 및 후방 벽들의 상부 에지들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상부를 갖는다.
그러므로 그 안에 후크들이 놓이는 개방된 내부 공간이 완전히 닫히고, 그 다음에 후크들은 첫째로 오버몰딩된 부재의 2개의 측벽들과 레일의 2개의 측면들 간의 접촉에서, 그리고 둘째로 레일의 상부에서 및 전방 및 후방 벽들에서 상기 폼으로부터 특히 잘 보호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최내측 상부 에지는 곡선, 특히 원형 아치 선을 형성하고, 위에서 평면도로 볼 때, 2개의 측면들은 상기 곡선들과 동일한 형상들을 갖고, 상기 각각의 선은 상기 곡선들에 의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오버몰딩된 부재는 2개의 측벽들 너머로 외측으로 연장하여, 하나 이상의 외측 위끝부분(brim)을 형성한다.
완성된 성형된 물품에서, 이러한 2개의 위끝부분들은 폼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고, 폼 내의 이러한 고정은 성형된 물품에 대한 오버몰딩된 부재의 고정을 위한 우수한 강도를 얻는다. 특히, 오버몰딩된 부재가 폼이 부어지기 전에 클램핑하는 방식으로 받침대 상에 클리핑되는 오버몰딩된 부재일 때, 성형의 끝에서 폼 내에 성형된 물품의 양호한 고정은 (성형된 물품에 오버몰딩될 때 고정되는) 오버몰딩된 부재가 받침대로부터 고정해제되는 동안 오버몰딩된 부재가 성형된 물품에 적절히 접합된 것을 유지함을 보장한다.
성형된 물품의 폼 내의 오버몰딩된 부재의 양호한 고정은 오버몰딩된 부재가 그 사이에 후크들이 배치되는 2개의 측벽들을 가질 때, 폼이 측벽들의 전체 상부 표면들과 접촉한다는 사실에 의해 추가로 용이해진다. 그 다음에 홈통의 폭은 2개의 측벽들의 2개의 상부 내측 에지들 사이의 거리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또는 각각의 측벽이 외측 리브를 갖고, 레일은 상기 리브들에서 또는 각각의 리브에서 최대 두께를 갖고, 2개의 리브들은 특히 같은 레벨에 있고, 레일의 상기 두께는 상기 2개의 리브들의 2개의 최외측 지점들 간의 거리이다.
본 발명은 성형 재료, 특히 열가소성 폼으로 만들어진 주 몸체와, 성형된 주 몸체에 오버몰딩되는 후크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오버몰딩된 부재를 갖는 성형된 물품을 또한 제공하고, 상기 폼은 성형된 몸체의 외측으로 개방된 홈이 형성되도록 내측 공간에 상응하는 영역만을 제외하고, 오버몰딩된 부재의 전체 주변에 걸친 단면에서, 오버몰딩된 부재와 접촉되고, 홈은 받침대의 2개의 측벽들의 2개의 내측 상부 에지들 간의 거리(들)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두께를 갖는 레일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특히 갖는다.
다수의 오버몰딩된 부재가 제공될 때, 즉,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범위 내에서, 오버몰딩된 부재들은 후크가 없는 중간 영역들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립체의 성형된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또한 제공하고, 이 방법은 성형될 물품과 같은 형상을 갖는 주형을 만들고, 레일-형상 받침대가 주형의 체적을 한정하는 주형의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으로 구성된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후크들을 갖는 부재의 2개의 측벽들이 오버몰딩된 부재의 두 벽들 사이의 내부 공간을 밀봉하고, 물품을 성형하기 위해 폼을 붓는 방식으로, 이들 사이에 후크가 개재되지 않고 둘 이상의 각각의 접촉선(lines of contact)을 따라 받침대의 2개의 면에 대해 후크들을 갖는 부재의 2개의 측벽들이 지지하게 되도록, 후크들이 그로부터 돌출하는 바닥과 이격된 2개의 측벽들을 각각 갖는, 하나 이상의 오버몰딩된 부재에 의해 받침대를 클램핑하는 것으로 구성된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앞선 두 양상들과는 독립적이고, 본 발명 자체를 형성하고 다른 두 양상들 중 어느 하나와, 또는 다른 두 양상들 모두와 조합하여 사용되기 적합한, 제3 양상에서, 본 발명은 특히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조립체의 일부로 설계된,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를 또한 제공한다.
바닥으로부터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후크,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후크와 특히 두 벽들에 대해 직각인, 하나의 벽으로부터 다른 벽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측정된 최대 폭을 갖는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바닥과 서로 이격된 2개의 측벽들을 포함하는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가, 두 벽들의 상부 에지들의 2개의 최내측 지점들 사이의 거리가 상기 최대 폭보다 작도록 2개의 측벽들의 상부 또는 말단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벽들을 지나는 단면에서, 바닥은 특히 후크들이 그로부터 연장하는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원형 아치(circularly arcuate)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오버몰딩된 부재의 후크들은 내부 공간의 바닥으로부터만 돌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조립체를 위한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의 위로부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A-A의 단면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도 1 및 도 2의 오버몰딩된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본 발명의 각각의 성형된 물품의 부분들의 단면도들;
도 4a 및 도 4b는 그 위에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가 배치되는 레일의 형상인, 각각의 받침대와, 도 1 및 도 2의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들;
도 5a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4b의 도면들과 유사하지만,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 내의 후크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밀봉된 방식으로, 보호하는 식으로 (클립의 방식으로) 각각의 레일-형상 받침대가 힘을 주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5a의 조립체는 도 3a의 성형된 물품에 상응하고, 도 5b의 조립체는 도 3b의 성형된 물품에 상응하는 도면;
도 6은 도 3의 성형된 물품을 덮도록 설계된 커버로부터 연장하는, 본 발명의 조립체의 루프들을 갖는 부재의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와이어가 포켓에 삽입될 때(도 8), 및 그 안에 삽입되지 않을 때(도 7), 도 6의 루프들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는 커버에 의해 덮일 때 도 3의 성형된 물품의 홈통의 바닥에서 후크들을 갖는 부재와 루프들을 갖는 부재가 어떻게 함께 작동하는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2의 도면과 동등한 단면도로 다른 실시예의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4 또는 도 5와 동등한 본 발명의 조립체의 성형된 물품의 홈통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조립체의 성형된 물품의 홈통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체의 도 11과 동등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성형된 물품을 덮기 위한 커버의 일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성형된 물품을 덮기 위한 커버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 15는, 본 실시예에서, 곡선형 세그먼트들 및 직선형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홈통 상의, 성형된 물품의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조립체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의 받침대의 도 4 또는 도 5와 동등한 도면; 그리고
도 17은 후크들이 연장하는 편평한 바닥을 갖는 후크들을 갖는 다른 실시예의 오버몰딩된 부재를 도시하는 도 2의 도면과 동등한 단면도이다.
도면들에서, 특히 도 1에서, 본 발명의 제1 및/또는 제2 양상들로 실시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3 양상의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부재(1)는 성형(molding)에 의해 성형된 물품을 형성하도록 주형에 배치되게 설계되어 있고, 성형될 물품은 성형 재료, 특히 폼, 보다 상세하게는 열가소성 폼으로 만들어진다. 폼이 주형에 부어질 때, 상기 폼은 액체 방식으로 오버몰딩된 부재와 접촉하게 되고, 그 다음에, 경화에 의해, 오버몰딩된 부재에 고정된다. 폼이 주형에 부어질 때, 목표는 폼이 후크들 아래를 관통하여 이들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후크들을 보호하는 것인데, 왜냐하면, 일단 폼이 후크들 아래에 있으면, 이들은 사용될 수 없고 걸기(hooking) 및 루프에 후크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더 이상 루프들과 함께 작동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오버몰딩된 부재(1)는 긴 길이(L)와 폭(l)의 직사각형 바닥을 갖는 판(2)을 포함한다. 길이(L)는 오버몰딩된 부재의 종방향 길이에서 연장하고 폭(l)은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2개의 측벽(3, 4)들은 판(2)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연장한다. 각각의 이러한 측벽(3, 4)은 상부 에지를 갖고, 이는 본 예에서 최내측, 즉 다른 벽에 가장 가까운 상부 에지의 지점들로 구성된 선(5, 6)을 갖는다. 단면도에서, 특히 도 2에서, 각각의 이러한 선(5, 6)은 각각의 최내측 지점을 형성한다. 이러한 2개의 선(5, 6)들은 본 예에서 직선이다.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부 에지들은 반드시 편평한 표면들이지는 않고, 층질(stepped) 수 있다. 그러므로, 도 9에서, 상부 에지는 (리브를 제외한 벽(3)의 상부 표면에 상응하는) 수평 제1 면을 갖고 그 다음에 제1 면에 대해 층지고 제2 수평면의 최내측 지점으로부터 벽(3, 4)들의 상부 에지들의 최내측 지점들에 상응하는 만곡된 부분의 최내측 지점으로 연장하는 만곡된 부분에 의해 종료되는 제2 수평면(리브의 상부 면)이 이어진다.
그러므로, 단면에서, 특히 도 1의 A-A의 단면도,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몰딩된 부재가 실질적으로 U자-형상 또는 C자-형상이고, U자-형상 또는 C자-형상의 분기들은 두 벽(3, 4)들로 구성된다.
U자-형상 또는 C자-형상의 내측 표면은 3개의 세그먼트들, 즉 2개의 단부 세그먼트들로 구성되고, 그 각각은 최내측 지점(5)으로부터, 또는 최내측 지점(6)으로부터, 어느 한 측면 상의 최외측 후크(38)들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 중간 세그먼트로 연장한다. 그러므로, 2개의 단부 세그먼트들에서, 돌출하는 후크들이 없고, 오버몰딩된 부재의 모든 후크들이 바닥 중간 세그먼트로부터 돌출한다.
본 발명의 오버몰딩된 부재의 바닥을 정확히 한정(define)하기 위해서, 제1 한정 방법은 후크들을 고려하고 모든 후크들이 그 안에 놓이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가장 작은 표면으로서 바닥을 한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제2 방법은, 각각의 단면에서, 바닥이 그 사이에 연장하는 것으로 고려되는 2개의 돌출된 지점(5', 6')들을 얻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 표면 상에 수직으로(즉, 예를 들어, 도 2에서 바닥 판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2개의 최내측 지점들(5, 6)을 돌출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오버몰딩된 부재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두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측벽(3, 4)들의 단부 지점(5, 6)에서 끝나는 말단 부분들이 서로를 향해 약간 기울어져 있다. 그러므로, 단면에서, 예를 들어, 단면도 A-A에서, 오버몰딩된 부재(1)는 판(2)의 상부 표면에 의해 및 2개의 벽(3, 4)들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된 U자형 또는 개방된 C자형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내부 공간은 바람직하게는 위에-정의한 중간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바닥(7; 판의 상부 면)을 갖는다. 후크(38)는 이 바닥(7)으로부터 돌출한다. 상기 후크(38)는 원하는 임의의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열 및 행으로 배치되고, 특히 임의의 소정의 열로 그 머리들이 번갈아 도면의 좌측을 향해 및 우측을 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벽들에 대해 직각인 방향, 즉 도 2에서 수평인 방향에서 측정된 최장 거리(D0)는 높이(h)에서 두 벽들 사이의 거리이다. 이는 두 단부 에지들 사이의 거리(d0)보다 크다. 같은 관계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확인된다. 도 2에서, 이 실시예는 단면이 전방 및 후방 벽(9, 10)들 사이에서 종방향을 따른 모든 단면들에 대해 같은데, 왜냐하면 본 예에서 벽들과 에지들이 직선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단면이 변하는 실시예를 고려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벽들과 에지들이 위로부터 평면도로 보아 일정 양의 곡률을 갖는, 예를 들어, 원형 아치 또는 타원 곡률, 또는 임의의 다른 상상할 수 있는 형상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그 다음에 D0가 d0보다 큰 관계가 각각의 단면에서 유효하다.
오버몰딩된 부재는 전방 및 후방 벽(8, 9)들도 갖는다. 전방 및 후방 벽(8, 9)들과 측벽(3, 4)들과 하부 바닥(7)은 후크들이 그 안에 놓이는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각각의 전방 및 후방 벽(8, 9)은 하나의 측면 에지(5)로부터 반대쪽 다른 측면 에지(6)로 연장하는 각각의 상부 에지(10, 11)를 갖는다. 이러한 에지(10, 11)들은 본 예에서 C자-형상이다. 밀봉 가스켓(13)들은 전방 및 후방 벽(8, 9)들의 상부 에지(10, 11)들을 따라 연장한다.
위에서 보면, 벽(8, 9)들의 내측 상부 에지들이 직선들이다. 이러한 선들은 그렇지 않으면 직선이 아닐 수 있고 특히 하나 이상의 만곡된 부분을 가져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부재(1)는 주형 내에 배치되도록 설계되고, 주형에 액체 폼이 부어지고, 이는 성형된 폼 물품에 후크들을 고정하도록 경화에 의해 측벽(5, 6)들에 및 판(2)의 바닥 표면에 및 전방 및 후방 벽(8, 9)들의 외측 면들에 고정된다.
주형 내에서, 레일의 형상의 하나 이상의 받침대(12)가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물품의 형상을 갖는 체적을 정의하는 주형의 내벽(16)으로부터 돌출한다. 이는 그 안에 후크들을 배치하기 위해 완성된 성형된 물품에 형성될 홈통들의 개수의 함수로서 하나 이상의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홈통들의 배열을 형성하는 받침대의 배열을 제공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만곡될 수 있다. 폼이 후크들 상에 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또는 이와 함께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폼이 부어지는 동안 후크들을 부어지는 폼과 접촉하게 되는 것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들)이 받침대(들) 상에서 힘으로 클립 고정 또는 클램프 고정되고, 후크들은 받침대를 향한다. 임의의 주어진 받침대 상에서, 단일 오버몰딩된 부재를 배치하거나 다수의 부재를, 하나 뒤에 다른 하나를 배치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이들은 본 발명의 제1 양상에서와 같이,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거나, 또는 함께 매우 근접하거나, 또는 원하면 사실상 끝과 끝이 이어져 배치될 수 있다.
레일(12)은 2개의 대향하는 측면(30, 31)들을 갖는다. 위에서 보면, 즉, 도 4와 도 5의 화살표(F)를 따라 보면, 이러한 면들은 직선들의 형상이다. 그러므로 이들은 측벽(3, 4)들의 내측 상부 에지(5, 6)들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레일의 두께에 상응하는 방향인, 두 면(30, 31)들에 대해 직각인(도면에 대해 수평인) 방향에서 측정될 때, 두 면(30, 31)들 사이의 거리(D)는, 측벽(3, 4)들의 두 상부 에지(5, 6)들 사이의 같은 방향에서 측정된 거리(d0)보다, 실질적으로 같지만 약간 크다.
레일이 연장하는 (도 4 또는 도 5의 평면에 직각인) 종방향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레일이 갖지 않을 때, 각각의 단면에서 측정되는 두께(D)는 측정이 이루어지는 (종방향을 따른) 레벨에서 두 최내측 단부 에지(5, 6) 사이의 거리(d0)와 실질적으로 같지만 약간 크고, 레일의 면들의 형상들은 단부 에지들의 형상들에 대해 상보적이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면(30, 31)들에 대해 및 에지(5, 6)들에 대해 직선 형상이 아닌 원형 아치 형상을 제공할 수 있고, 중요한 것은 면들과 에지들이 측벽들 사이에 레일이 삽입될 때 폼으로부터 밀봉을 제공하도록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을 갖는다는 것이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몰딩된 부재(1)가 주조 중에 받침대(12)의 면(30, 31)들과 접촉할 때, 이러한 접촉은 단부 에지(5, 6)들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직선들 상에서 일어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접촉은 이러한 선들과 접촉하는 평면들 상에서 일어난다.
또한, 레일(12)은 전방 및 후방 벽(8, 9)들의 상부 에지(10, 11)들의 형상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의 상부 부분을 갖는다. 그러므로, 본 예에서, 레일(12)의 상부는 C자-형상이거나 C자-형상에 대해 또는 전방 및 후방 벽(8, 9)들의 상부 에지(10, 11)들의 원형 아치 형상에 대해 상응하는 원형 아치 형상이다. 이들 두 에지(5, 6) 사이에 받침대(12)를 그 두 측벽들이 클램핑하게 되도록 부재(1)를 누르게 하여, 그 상부(35)가 측벽(8, 9)들의 두 상부 에지(10, 11)들과 접촉하게 될 때까지 레일이 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서로 약간 이격되어 이러한 두 에지들이 이동될 수 있다. 두 상부 단부 에지들의 탄성은 레일의 상응하는 면들과 이들이 접촉하게 되는 밀봉을 제공함을 의미하고, 왜냐하면 두 벽들이 탄성에 의해 서로를 향해 복귀하는 경향이 있고, 벽(8, 9)들의 상부 에지들과 레일(12)의 상부 사이에서 리브들이 발견되는, 밀봉 리브(13)들이 폼이 부어지는 동안 후크들에 대해 우수한 밀봉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도 10에 도시된 개선에서, 레일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30, 31)들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2개의 리브를 제공할 수 있다. 임의의 주어진 단면에서 레일의 최대 폭은 두 리브들의 2개의 최외측 지점들 간의 거리(D)이고, 이 거리(D)는 거리(d0)보다 크다.
도 1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대향하는 측면(30, 31)들에 2개의 종방향 채널들을 제공할 수 있고, 이 채널들은 스냅(snap)-고정에 의해 단부 측면들을 수용하게 설명되어 있다.
상술한 두 실시예들은 클립 고정 또는 스냅-고정을 사용하는 개선사항들이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의 효과를 얻기 위해 그 자체로는 필수적이지 않고, 이 효과는 예를 들어, 외측을 향해 떨어져 이동된 2개의 벽들이 레일에 대해 지지되면서 내측으로 복귀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에 의해 상호 접촉이 유지되면서 2개의 측벽들 사이에 받침대가 삽입될 때마다 얻어진다.
일단 폼이 주조되었고 상기 폼이 경화되었으면, 성형된 물품이 주형으로부터 제거된다. 종방향 홈통(15; 그 길이 방향이 도 3에 대해 직각임)이 성형된 물품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고, 이 홈통은 레일(12)의 형상에 대해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폼은 개방된 내부 공간의 바닥 위를 제외하고 그리고 단부 에지들 아래의 내측 면들 위를 제외하고 오버몰딩된 부재(1)의 모든 주변에서 연장한다. 특히, 폼은 두 벽들의 상부 에지들의 최내측 지점(5, 6)들까지 2개의 측벽(3, 4)들의 상부 표면들을 커버할 때까지 연장한다. 폼은 홈통의 2개의 수직 면(50, 51)들을 형성하고, 이 수직 면들은 성형된 물품의 외측 상으로 개방된 홈통의 상부 구멍으로부터 성형된 물품의 U자-형상의 분기들을 형성하는 벽(3, 4)들의 각각의 상부 에지들까지 연장한다. 오버몰딩된 물품의 내측 표면의 후크가-없는 단부 세그먼트들이 수직 면(50, 51)들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연속적이다. 수직 면(50, 51)들로부터 각각의 내측 세그먼트로의 천이는 어떠한 불균일도 없이 특히 결합부에서 원활히 이루어진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각각의 그 결과인 성형된 물품들의 부분들을 도시한다. 자연히, 성형된 물품에 따라, 본 발명의 후크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부재를 각각 구비한, 이러한 타입의 다수의 홈통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그 하부에서 다수의 이격된 오버몰딩된 부재를 갖는 홈통을 얻도록 다수의 이격된 오버몰딩된 부재에 의해 클램핑되는 매우 긴 길이의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일단 후크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오버몰딩된 부재를 포함하는 폼 물품의 성형이 완료되면, 특히, 성형된 물품이 자동차 쿠션일 때, 커버로 덮힐 필요가 있다. 이 커버는 특히 그 외측 표면의 형상에 걸쳐 편하게 끼워져, 이를 덮으면서 성형된 물품에 커버를 고정하도록 후크들과 함께 작동하게 되는 루프들을 갖는 부재들에 연결된다.
이러한 타입의 루프들을 갖는 부재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그 자신 상에 접혀있는 직물 재료의 시트(sheet)에 의해 구성된 포켓(20)을 구비하고, 루프들이 그 결과인 튜브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연장한다. 이러한 루프(21)들은 특히 포켓(20)의 외측 표면에 편직 또는 편물되었을 수 있다. 커버를 형성하는 시트(22, 23)들의 형상인 두 부분들이 그 에지들에서 중첩되고 포켓은 커버를 형성하도록 두 시트(22, 23)들을 결합하도록 두 에지들의 측면(도 13과 도 14 참조)에 재봉된다. 그러므로, 두 시트(22, 23)들 사이의 결합부에 있는 포켓(20)은 특히 홈통(15)의 벽들과 외곽선들을 따라, 성형된 물품 주변에 커버(22)를 고정하도록 루프들이 후크들과 접촉하게 되도록 홈통(14)의 바닥에 삽입된다.
도 7 및 도 8은 루프들과 후크들 간의 고정의 (성형된 물품이 생략된)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후크들을 갖는 2개의 오버몰딩된 부재(1)들이 예로서 홈통의 바닥에 배치되어 있다. 당연히, 홈통은 그 안에 후크들을 갖는 둘 이상의 부재들을 제공하도록 더 긴 거리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강성 플라스틱 재료의 원통형 바(bar)로 구성되는 와이어(24)가 전체 조립체를 강화하기 위해 루프들을 갖는 부재의 포켓(20)에 삽입되었다. 플라스틱의 강성 와이어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으로 만들어지고, 적어도 2mm의 직경을 갖고, 특히 2mm 내지 10mm 범위에 있는 직경을 갖는다. 그러나, 중공 와이어, 즉, 관-형상의 와이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강성 와이어(24)가 후크들을 갖는 두 부재(1)들 사이의 중간 영역에서, 직물 포켓(20) 내에 있지 않으면, 올라타는 효과가 발생하여 포켓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의 방식으로 변형되도록 올라타게 된다, 즉 아치형이 된다.
역으로, 플라스틱 재료의 강성 와이어(24)가 포켓(20)의 내측에 배치될 때, 올라타는 효과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라진다. 그러므로, 도 7에 도시된 두 부재(1)들은 와이어(24)가 없을 때, 올라타는 효과가 있고, 포켓(20) 내에 와이어(24)가 삽입될 때, 올라타는 효과가 없도록 일정 거리에서 이격된다. 특히, 이 거리는 80mm에 쉽게 도달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20mm 내지 25mm의 범위에서보다 큰 거리에 상응할 수 있고, 또는 150mm 내지 200mm 범위보다 큰 거리에 상응할 수 있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1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8mm 내지 16mm 범위에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mm 내지 12mm 범위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범위의 두께 치수는 도면들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들에도 유효하다.
도 3b, 도 4b 및 도 5b에 상응하는 실시예에서, 받침대는 아래쪽으로(즉, 화살표(F)로 지시된 방향으로) 테이퍼진다. 이는 상부 구멍을 향해 테이퍼지는 폭을 갖는 도 3b에 도시된 홈통이 된다. 그러나 도 3a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벽들의 상부 에지들의 최내측 지점(5, 6)들은 홈(50)의 두 면(50, 51)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같은 사항이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도 11은 홈통을 지나는 단면으로 도 8의 조립체를 도시한다. 홈통의 폭은 도면에 대해 수평으로 측정된다. 와이어의 직경과, 포켓을 형성하도록 그 자체 상에 접힌 시트의 두께의 2배의 합은 홈통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다. 특히, 포켓과 홈통의 각각의 벽은 서로 동일 평면 상에 있다(flush with). 성형된 물품이 성형되는 폼을 도시하기 위해 점선이 사용되고, 특히 본 예에서도 수직 벽들인 두 벽(3, 4)들의 상부 에지들과 물품의 외측으로 개방된 홈통의 구멍 사이에 폼에 의해 형성되는 두 수직 표면(50, 51)들을 도시한다.
도시된 모든 실시예들에서, 폼은 U자-형상의 분기들을 형성하는 오버몰딩된 부재의 벽들의 상부 에지들의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표면들을, 즉, 최내측 지점(5, 6)까지 커버한다.
도 12는 와이어가 도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 즉 홈통의 바닥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하는 주 축(major axis)을 갖는 타원형 단면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루프들을 갖는 부재의 전체 폭(포켓의 두께의 2배와 부 축을 다른 치수)은 홈통의 폭 치수와 실질적으로 같다.
도 15는 직선이 아니게 연장하는, 특히 만곡된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는, 홈통을 갖는 성형된 물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오버몰딩된 부재들이 연속적으로, 특히 홈통에서 끝과 끝이 이어져 배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체는 간단해지고 특히 홈통의 만곡된 세그먼트의 형상에 대해 상보적인 만곡된 형상의 오버몰딩된 부재들을 제공할 필요가 없고, 직선형 세그먼트들에 사용되는 멀리 이격된 짧은 길이의 같은 부재들이 작은 곡률의 만곡된 세그먼트들에도 적합하다.
본 출원서에서, 용어 "후크"는 특히 루프에 거는 능력을 갖는 임의의 부재를 의미한다. 특히, 후크는 섕크(shank)와 상기 섕크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부재이다. 그러므로, 버섯의, 미늘(barb)의, 더블 헤드의, 다른 어떤 유사한 타입의 형상들의 부재들이 본 발명의 의미에서 후크들이다.
본 출원서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다수의 오버몰딩된 부재가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 제1 양상의 오버몰딩된 부재의 일례가 도면들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제1 양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타입들의 오버몰딩된 부재들, 예를 들어, 부어지는 폼으로부터 후크들을 보호하기 위해 사실상 단순한 보호 막을 사용하여, 또는 주형의 바닥에서 후크들을 보호하기 위해 공동이 형성되는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 의해 오버몰딩된, 후크들을 갖는 단순한 긴 조각(strip)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양상들에서, 성형된 물품과 커버 간의 상호 고정은 커버 상에서 루프들과 함께 작동하는 성형된 물품으로부터 연장하는 후크들에 의한 것으로 설명된다. 루프들 대신에 후크들을 제공할 수도 있고, 이 후크들은 후크-인-후크 자동-고정부의 방식으로 오버몰딩된 부재들 상에서 후크들과 함께 작동할 수 있음에 주목하여야 하며, 이것은, 본 발명의 이 제2 및 제3 양상에서, 용어 "루프"가 왜 루프들이 후크들일 수 있는 사실을 또한 포괄하는 보다 넓은 일반적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이다. 역으로, 제1 양상에서, 용어 "루프"는 후크 부재가 지나가 걸릴 수 있는 구멍의 존재를 암시한다.
유사하게, 제2 양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주어진 받침대 상에서 다수의 이러한 부재들과 또는 단일 오버몰딩된 부재와 함께 사용되도록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하거나(이는 본 발명의 제1 양상의 범위 내에 있음), 매우 가깝게, 또는 원하면 사실상 끝과 끝이 이어지게 배치할 수 있다.
1: 부재(element)
2: 판(plate)
3, 4: 분기(branch)로서의 벽(wall)
5, 6: 최내측 지점(innermost point)으로서의 선(line)
7: 중간 하부 세그먼트(intermediate bottom segment) 또는 하단부(bottom)로서의 바닥(floor)
8: 전방 벽
9: 후방 벽
10, 11: 에지(edge)
12: 받침대
13: 밀봉 가스켓
15: 홈 또는 홈통
20: 포켓
21: 루프
22, 23: 커버
24: 와이어
38: 후크

Claims (12)

  1. 성형된 물품(molded article)과,
    상기 성형된 물품의 외측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커버(22, 23)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종방향 홈(groove) 또는 홈통(trench)(15)이 외측으로 개방되면서 상기 성형된 물품에 형성되고,
    후크(38)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부재(1)가 상기 홈(15)의 바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상기 성형된 물품에 오버몰딩되고,
    상기 커버(22, 23)를 상기 성형된 물품에 고정하도록 상기 후크(38)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22, 23)로부터 연장하는 루프(21)들의 구멍들 내로 관통하는 조립체에 있어서,
    종방향에서 하나 뒤에 다른 하나가 배치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홈통(15)의 바닥을 형성하는, 후크들을 갖는 둘 이상의 오버몰딩된 부재들(overmolded elements)(1)이 제공되고, 후크들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상기 부재(1)들은 후크들을 갖는 부재(1)가 없는 중간 영역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홈통의 상부를 향해 상기 커버(22, 23)가 올라타는(riding up)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중간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프(21)들이 상기 커버(22, 23)에 고정된 포켓(20)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올라타는 효과를 방지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포켓(20) 내에서 연장하는 와이어(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루프(21)들은 상기 포켓(20)의 주변의 바닥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단면에서, 후크들을 갖는 각각의 오버몰딩된 부재(1)는 U자-형상 또는 C자-형상을 갖고, 그 형상의 두 분기들(branches)(3, 4)은 홈(15)의 외측을 향해 연장하고, 상기 U자-형상 또는 상기 C자-형상의 내측 표면은, 후크들이 돌출하지 않는 2개의 말단부 세그먼트들과,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1)의 상기 후크(38)들이 돌출하는 중간 하부 세그먼트(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홈(15)은 상기 성형된 물품이 성형(molded)되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측면들(side faces)(50, 51)을 갖고, 이 면들은 구멍으로부터 후크들을 갖는 각각의 부재(1)의 U자-형상 또는 C자-형상의 상기 분기(3, 4)들의 각각의 말단 에지들까지 연장하고 U자-형상 또는 C자-형상의 두 분기(3, 4)들의 각각의 내측 표면들은 각각의 측면(50, 51)들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flush with)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홈(15)의 측면(59, 51)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선형이고 U자-형상 또는 C자-형상의 각각의 분기(3, 4)들의 내측 상부 에지들과 정합(register with)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홈(15)은 직선 또는 만곡된 형상인 하나 이상의 오버몰딩된 부재(1)가 연장하는 만곡된 형상의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버몰딩된 부재(1)의 길이는 상기 만곡된 세그먼트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9. 청구항 5에 있어서,
    "각각의 오버몰딩된 부재(1)의 U자-형상 또는 C자-형상의 상기 두 분기(3, 4)들의 상부 에지들의 각각의 최내측 지점들(innermost points)(5, 6) 간의 거리"는, "상기 루프들을 갖는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루프들을 제외한 폭 치수"인, "와이어(24)의 폭 치수와 상기 루프(21)들을 제외한 상기 포켓(20)의 두께의 2배와의 합"과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4)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그 모서리들은 라운딩되고, 상기 와이어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때, 그 길이는 홈통(15)의 바닥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4)는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타원 형상에 있어서의 주 축(major axis)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KR1020127021617A 2010-01-20 2011-01-12 후크들을 갖는 다수의 오버몰딩된 부재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물품들 및 커버로 구성된 조립체 KR101776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00217A FR2955233B1 (fr) 2010-01-20 2010-01-20 Assemblage d'un objet moule comportant une pluralite d'elements a crochets surmoules et d'un recouvrement
FR1000217 2010-01-20
PCT/FR2011/000015 WO2011089333A1 (fr) 2010-01-20 2011-01-12 Assemblage d'un objet moule comportant une pluralite d'elements a crochets surmoules et d'un recouvr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476A KR20120118476A (ko) 2012-10-26
KR101776804B1 true KR101776804B1 (ko) 2017-09-08

Family

ID=4256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617A KR101776804B1 (ko) 2010-01-20 2011-01-12 후크들을 갖는 다수의 오버몰딩된 부재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물품들 및 커버로 구성된 조립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962121B2 (ko)
EP (1) EP2525688B1 (ko)
JP (1) JP5931743B2 (ko)
KR (1) KR101776804B1 (ko)
CN (1) CN102802469B (ko)
BR (1) BR112012018051B1 (ko)
CA (1) CA2787349C (ko)
FR (1) FR2955233B1 (ko)
MX (1) MX2012008493A (ko)
WO (1) WO2011089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0357B2 (en) 2012-05-07 2018-12-25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improved trim appearance and method and tool for making the same
FR3010012B1 (fr) * 2013-09-03 2015-09-18 Aplix Sa Dispositif de retenue a crochets
DE102016210873A1 (de) * 2016-05-24 2017-11-30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Keder, Sitzbezug und Sitz mit einem Sitzbez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1137A (ja) * 2001-06-29 2003-01-15 Toyo Tire & Rubber Co Ltd 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発泡成形品
US20030162008A1 (en) * 2002-02-28 2003-08-28 Woodbridge Foam Corporation Foam pad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2005000418A (ja) * 2003-06-12 2005-01-06 Kuraray Co Ltd シートの係止連結部材、該部材を有するシート、該部材を用いた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6636A (en) 1986-10-31 1988-10-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utton forming assembly
US5259905A (en) * 1990-08-09 1993-11-09 Velcro Industries B.V.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parable fastener for incorporation into a seat bun
JP3264550B2 (ja) * 1993-03-02 2002-03-11 株式会社クラレ 溝付き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955990A1 (de) * 1999-11-20 2001-06-21 Binder Gottlieb Gmbh & Co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Bezuges an einem Schaumkörperteil, insbesondere einem Polsterschaumteil für einen Flug- oder Fahrgastsitz
US6263533B1 (en) * 2000-06-02 2001-07-24 Sealy Technology Llc Extruded foam reinforcement structures for innerspring assemblies and mattresses
US20030215601A1 (en) * 2002-02-22 2003-11-20 Woodbridge Foam Corporation Attachment device
DE102005028569B4 (de) * 2005-06-21 2008-11-13 Johnson Controls Gmbh Profil und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Bezugs an einem Trägerkörper, insbesondere einer Kopfstütze eines Kraftfahrzeugs sowie eine damit ausgestattete Kopfstütze
BRPI0715264A2 (pt) 2006-09-27 2013-06-04 Toscana Gomma S P A sistema de ancoragem para fixar um material em forma de folha em um corpo moldado e mÉtodo de manufatura deste
JP2010005183A (ja) 2008-06-27 2010-01-14 Nhk Spring Co Ltd シートカ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1137A (ja) * 2001-06-29 2003-01-15 Toyo Tire & Rubber Co Ltd 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発泡成形品
US20030162008A1 (en) * 2002-02-28 2003-08-28 Woodbridge Foam Corporation Foam pad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2005000418A (ja) * 2003-06-12 2005-01-06 Kuraray Co Ltd シートの係止連結部材、該部材を有するシート、該部材を用いた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25688B1 (fr) 2019-04-03
US20130071606A1 (en) 2013-03-21
FR2955233A1 (fr) 2011-07-22
KR20120118476A (ko) 2012-10-26
CN102802469B (zh) 2016-01-20
CA2787349A1 (en) 2011-07-28
JP5931743B2 (ja) 2016-06-08
BR112012018051A2 (pt) 2018-06-05
EP2525688A1 (fr) 2012-11-28
BR112012018051B1 (pt) 2020-07-28
CA2787349C (en) 2017-05-16
FR2955233B1 (fr) 2012-04-27
MX2012008493A (es) 2012-10-10
WO2011089333A1 (fr) 2011-07-28
JP2013517078A (ja) 2013-05-16
CN102802469A (zh) 2012-11-28
US8962121B2 (en) 201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8633A (ko)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와 받침대를 포함하는 주형과의 조립체
KR100468189B1 (ko) 깊은 홈 패스너
KR19990030275A (ko) 기계적 단부 밀봉체를 갖는 체결구 조립체
KR101776804B1 (ko) 후크들을 갖는 다수의 오버몰딩된 부재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물품들 및 커버로 구성된 조립체
KR101354305B1 (ko) 비드를 사용한 해제 가능한 체결 장치 및 방법
BR112017004662B1 (pt) Método para fabricação por moldagem integral de um membro núcleo do assento de um veículo e membro núcleo do assento de um veículo
CN107415843B (zh) 承重条
US9924765B1 (en) Rail fastener
JPH05118471A (ja) ケーブル締結部材
JP2013501676A (ja) 保持装置
KR101962549B1 (ko) 안내 장치
KR20140030128A (ko) 루프 배수구 몰딩 리테이너 조립체
JP2013501676A5 (ko)
KR101345515B1 (ko) 반침투 리브를 구비한 오버몰드
KR100980172B1 (ko) 훅을 가진 소형 밴드로 된 상부 성형되는 물품
KR20130089208A (ko) 체결 스트랩, 이를 포함하는 발포체 물품 및 체결 스트랩의 제조 방법
KR102411331B1 (ko) 체결 테이프
US8328277B2 (en) Slide fastener element, cushion arrangement and vehicle seat
TWI543857B (zh) Velcro for foaming and foams containing this adhesive tape
SE501753C2 (sv) Bandelement för buntning och fasthållning av föremål
EP4060145A1 (en) Above-ground pool
KR20220033738A (ko) 보강토블록 조립체
ES2359978T3 (es) Dispositivo de sellado de suelo técnico.
JP2004236957A (ja) 帯状ファスナー
KR100996516B1 (ko) 사이드 볼스터 고정용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