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557B1 -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 - Google Patents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557B1
KR101776557B1 KR1020170079192A KR20170079192A KR101776557B1 KR 101776557 B1 KR101776557 B1 KR 101776557B1 KR 1020170079192 A KR1020170079192 A KR 1020170079192A KR 20170079192 A KR20170079192 A KR 20170079192A KR 101776557 B1 KR101776557 B1 KR 101776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crew head
retainer ring
head uni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순
Original Assignee
백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순 filed Critical 백종순
Priority to KR1020170079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0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47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screws
    • B29C45/50Axially movable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2Barrel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4Heating or cooling of the inject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원료수지가 투입되는 호퍼 및 고열을 인가하기 위한 히터가 설치된 배럴 내부에 설치되어, 그 배럴 내부에서 회전 및 전후진되면서 원료수지를 액상의 용융수지로 변환 및 사출한다. 이러한 스크류 헤드유닛은, 전체적으로 원뿔 형태를 가지며 후방측으로 개구된 체결홈(11)이 형성된 스크류헤드(10)와; 체결홈(11)에 체결되는 체결단(21)과, 후방측에 형성된 단턱(22)과, 체결단(21)과 단턱(22)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체결단(2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끼움단(23)으로 구성된 연결축(20)와; 끼움단(23)에 끼어져 고정되는 슬리브링(30)과; 끼움단(23)에 끼어진 상태에서 스크류헤드(10)의 후단에 밀착된 리테이너링(40)과; 리테이너링(40)과 단턱(22) 사이에서 전후진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리브링(30)의 외직경보다 큰 내직경을 가지는 체크링(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screw-head set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시간의 사출과정에서 발생되는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는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장치란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에 대응되게 제작된 성형 금형내로 용융수지를 주입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고체상태의 수지 알갱이가 투입되는 배럴(barrel)과, 배럴 외부에 장착된 히터와, 배럴 내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스크류장치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스크류 유닛이 배럴 내부에서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크류유닛장치는, 사출장치의 배럴(B)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단에 형성된 스크류헤드(1)와, 스크류헤드(1)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크류축(2)과, 스크류헤드(1)와 스크류축(2)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된 연결축(3)과, 스크류헤드(1)와 스크류축(2) 사이에 설치되어 연결축(3)을 따라 전후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연결축(3)의 외직경보다 큰 내직경을 가지는 체크링(4)으로 구성된다. 이때 체크링(4)과 연결축(3) 사이에는 직경 차이에 의하여 스페이서가 형성되고, 스크류축(2)에는 체크링(4)이 선택적으로 밀착 및 분리되는 단턱(2a)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호퍼(hopper)를 통해 알갱이 형태의 원료수지를 배럴내부(B)로 투입시키면 원료수지는 배럴에 설치된 히터(미도시)의 열에 의하여 용융된다. 이때 모터에 의하여 스크류 헤드유닛을 회전시키면,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수지는 연결축(3)과 체크링(4) 사이의 스페이서(S)를 통하여 스크류헤드(1)의 전단부로 이동하여 쌓이고, 쌓이는 양이 많아짐에 따라 스크류 헤드유닛은 서서히 후진한다. 이후 스크류헤드(1) 전단부에 지정된 양만큼의 용융수지가 쌓이게 되며 스크류 헤드유닛은 회전을 멈춘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조건에 맞는 압력과 속도로 스크류 헤드유닛을 전진시키면, 체크링(4)이 스크류축(2)의 단턱(2a)에 밀착되면서 연결축(3)과 체크링(4) 사이에 형성된 스페이서(S)를 차단하고, 이후 용융수지는 스크류 헤드유닛에 의하여 전방으로 가압되면서 배럴(B)의 토출구(N)를 통하여 성형금형으로 사출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공개번호 10-2012-0001908호에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스크류 헤드유닛을 회전 및 전후진시키는 과정에서, 원료수지나 용융수지에 의하여 마모가 발생되며, 원료수지에 난연제나 그라스 파이버등의 성분이 많이 함유될수록 마모가 심해진다. 특히 체크링(4) 주위에서 마모가 진행될 때, 체크링(4)과 스크류축(2)의 단턱(2a)이 완전히 밀차되지 못하여 상기 스페이서(S)가 완전히 차단되지 못하고, 이 경우 체크링(4)과 단턱(2a) 사이의 틈새 및 스페이서(S)를 통하여 용융수지가 빠져나가므로 정량 제어가 되지 않고, 이에 따라 성형 제품의 형태가 변형되는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장시간의 사출과정에서 발생되는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늘릴 수 있는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의 성형 제품을 위하여 대량의 용융수지의 사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은, 원료수지가 투입되는 호퍼 및 고열을 인가하기 위한 히터가 설치된 배럴 내부에 설치되어, 그 배럴 내부에서 회전 및 전후진되면서 원료수지를 액상의 용융수지로 변환 및 사출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원뿔 형태를 가지며 후방측으로 개구된 체결홈(11)이 형성된 스크류헤드(10); 상기 체결홈(11)에 체결되는 체결단(21)과, 후방측에 형성된 단턱(22)과, 상기 체결단(21)과 단턱(22)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체결단(2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끼움단(23)으로 구성된 연결축(20); 상기 끼움단(23)에 끼어져 고정되는 슬리브링(30); 상기 끼움단(23)에 끼어진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헤드(10)의 후단에 밀착된 리테이너링(40); 상기 리테이너링(40)과 단턱(22) 사이에서 전후진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리브링(30)의 외직경보다 큰 내직경을 가지는 체크링(60); 및 상기 스크류헤드(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배럴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용융수지가 유동되는 다수의 헤드유로홈(15)을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링(40)은, 전단측의 외경(D1)이 상기 스크류헤드의 헤드유로홈(15)의 내측을 연결하는 가상원의 외경(D2)과 동일하고, 후단측의 외경(D2)이 상기 슬리브링(3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외주면에 경사면(41a)이 형성된 리테이너링몸체(41)와; 상기 경사면(41a)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리테이너링날개(42)와; 상기 리테이너링날개(42)에 고정되는 초경팁(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링날개(42)의 날개홈(42a) 내부에 단차(42b)가 형성되고, 상기 초경팁(43)의 외주면에는 상기 단차(42b)에 치합되는 초경팁단턱(43b)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크링(60)은, 상기 전단 내측에 형성된 링형태의 단턱홈(61)과, 상기 단턱홈(61)에 고정되는 마모방지링(62)을 더 포함합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테이너링날개(42) 및 초경팁(43)으로 구성된 리테이너링(40)을 채용하고 초경재질의 마모방지링(62)을 가지는 체크링(60)을 채용함으로써, 장시간의 사출과정에서 리테이너링(40)과 체크링(60) 사이에 발생되는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헤드(10)에 체결홈(11)을 형성하고, 연결축(20)에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단(21)을 형성함으로써, 스크류헤드(10)와 연결축(20)을 독립적으로 제작하여 한몸체로 결합시킬 수 있고, 에 따라 대형의 성형제품을 성형하기 위하여 대량의 용융수지를 사출할 수 있는 대형의 스크류 헤드유닛의 구현이 가능하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스크류 헤드유닛이 배럴 내부에서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스크류 헤드유닛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스크류 헤드유닛의 단면사시도,
도 6은 도 3 내지 도 5의 스크류 헤드유닛의 조립단면도,
도 7은 도 6의 리테이너링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리테이너링날개와 초경팁 사이에 단차홈 및 단차턱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3 내지 도 5의 체크링을 발췌햐어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3 내지 도 5의 리테이너링날개의 초경팁과 체크링의 마모방지링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은 도 6의 스크류 헤드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스크류 헤드유닛를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스크류 헤드유닛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 내지 도 5의 스크류 헤드유닛의 조립단면도이다. 또 도 7은 도 6의 리테이너링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리테이너링날개와 초경팁 사이에 단차홈 및 단차턱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도 3 내지 도 5의 체크링을 발췌햐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3 내지 도 5의 리테이너링날개의 초경팁과 체크링의 마모방지링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6의 스크류 헤드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원발명의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를, 원료수지가 투입되는 호퍼 및 고열을 인가하기 위한 히터가 설치된 배럴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그 배럴 내부에서 회전 및 전후진되면서 원료수지를 액상의 용융수지로 변환 및 사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를, 전체적으로 원뿔 형태를 가지며 후방측으로 개구된 체결홈(11)이 형성된 스크류헤드(10)와; 체결홈(11)에 체결되는 체결단(21), 후방측에 형성된 단턱(22) 및 체결단(21)과 단턱(22)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체결단(2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끼움단(23)으로 구성된 연결축(20)과; 끼움단(23)에 끼어져 고정되는 슬리브링(30)과; 끼움단(23)에 끼어진 상태에서 스크류헤드(10)의 후단에 밀착된 리테이너링(40)과; 상기 리테이너링(40)과 단턱(22) 사이에서 전후진되면서 상기 리테이너링(40) 또는 단턱(22)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리브링(30)의 외직경보다 큰 내직경을 가지는 체크링(60);를 포함한다. 이때 별도 구성인 시트링(50)이 끼움단(23)에 끼어진 상태에서 상기 단턱(22)에 밀착되면, 체크링(60)은 리테이너링(40)과 시트링(50) 사이에서 전후진되면서 상기 리테이너링(40) 또는 시트링(50)중 어느 하나에 밀착된다.
스크류헤드(10)는 전단으로 뾰족한 원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후방측으로 개구된 체결홈(1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체결홈(11)의 후방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진 단턱홈(13)이 형성되며, 단턱홈(13)에는 체결홈(11)에 연결축의 체결단(21)이 체결된 후 끼움단(23)이 끼어진다. 이에 따라 체걸단(21)이 스크류헤드의 체결홈(11)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될 때, 끼움단(23)이 단턱홈(13)에 끼어짐으로써, 스크류헤드(10)의 축과 연결축(20)은 장시간동안 반복적인 사출동작을 진행하더라도 항상 동일축을 유지하게 된다.
스크류헤드(10)는 배럴 내주면에서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 및 전후진되는데, 이 과정에서 원료수지가 스크류헤드(10)의 전단부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헤드(10)의 외주면에는 다수, 본 실시예에서는 6 개의 헤드유로홈(1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스크류헤드(10)의 외주면에 헤드유로홈(15)을 형성함으로써, 스크류헤드(10) 후방측에서 용융되는 수지가 스크류헤드(10) 전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유로홈(15)은 스크류헤드(10)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유로홈(15)의 내측을 연결하는 가상원의 외경은 후술할 리테이너링(40)의 외경(D1)과 동일하다.
연결축(2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에 설치된 유압모터나 전기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크류축(미도시)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체결홈(11)에 체결되는 체결단(21)과, 후방측에 형성된 단턱(22)과, 체결단(21)과 단턱(22)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체결단(2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끼움단(2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축(20)은 스크류축과 함께 회전 및 전후진된다.
여기서, 스크류헤드(10)에 체결홈(11)을 형성하고, 연결축(20)에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단(21)을 형성함으로써, 스크류헤드(10)와 연결축(20)을 독립적으로 제작하여 한몸체로 결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대형의 성형제품을 성형하기 위하여 대량의 용융수지를 사출할 수 있는 대형의 스크류 헤드유닛의 구현이 가능하다.
슬리브링(30)은 끼움단(23)에 끼어져 고정된다. 이러한 슬리브링(30)은 끼움단(23)과 별개의 구성이며, 시간이 지나 원료수지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었을 때 교체가 가능하다. 이때 원료수지와의 마찰에 의하여 마모가 최소화되도록 연결축(20)과는 다른 이종금속, 예를 들면 초경재질이나, SACM645계열, SUS계열의 특수강등, 스크류헤드(10)나 연결축(20) 보다 금속간 내마모, 내부식, 내열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된다.
리테이너링(40)은, 끼움단(23)에 끼어진 상태에서 스크류헤드(10)의 후단과 슬리브링(30)의 전단에 밀착된다. 이러한 리테이너링(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의 외경(D1)이 헤드유로홈(15)의 내측을 연결하는 가상원의 외경(D1)과 동일하고, 후방측의 외경(D2)이 슬리브링(3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외주면에 경사면(41a)이 형성된 리테이너링몸체(41)와; 경사면(41a)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리테이너링날개(42)와; 리테이너링날개(42)에 고정되는 초경팁(43);을 포함한다.
리테이너링날개(42)는, 사출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전후진되는 체크링(60)과 선택적으로 밀착 및 분리된다. 리테이너링날개(42) 각각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초경팁(43)이 끼어지는 날개홈(42a)이 형성된다.
초경팁(43)은 체크링(60)이 리테이너링날개(42)에 반복적으로 밀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리테이너링날개(42)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리테이너링날개(42) 전체로 분산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이루는 리테이너링날개(42)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초경팁(43)이 체크링(60)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링날개(42)의 날개홈(42a) 내부에는 단차(42b)가 형성되고, 초경팁(43)의 외주면에는 단차(42b)에 치합되는 초경팁단턱(43b)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초경팁(43)이 날개홈(42a) 내부에서 리테이너링날개(42)와 밀착되는 면적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체크링(60)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은 리테이너링날개(42) 전체로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리테이너링날개(42)에 인가되는 구조적인 스트레스를 완화시킨다.
시트링(50)은 슬리브링(30)측을 향하게 단턱(22)에 밀착된다. 시트링(50)은 단턱(22)과 별개의 구성이며, 시간이 지나 후술할 체크링(60)과의 반복적인 밀착 및 분리 과정에서 표면이 손상되었을 때 교체가 가능하다. 이때 체크링(60)으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에도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이종금속, 예를 들면 초경재질이나, SACM645계열, SUS계열의 특수강등, 스크류헤드(10)나 연결축(20) 보다 금속간 내마모, 내부식, 내열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된다.
체크링(60)은 리테이너링(40)과 시트링(50) 사이에서 전후진되면서 리테이너링(50) 또는 시트링(50)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밀착 및 분리되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링(30)의 외직경보다 큰 내직경을 가지며, 이에 따라 체크링(60)과 슬리브링(30) 사이에는 원료수지가 통과되는 스페이서(S)가 형성된다.
체크링(60)은 스크류 헤드유닛의 회전 및 전후진되는 과정에서 리테이너링날개(42) 및 초경팁(43)과의 반복적으로 밀착 또는 분리되며, 이에 따라 리테이너링날개(42) 및 초경팁(43)에 의하여 인가되는 충격에 의하여 밀착되는 부분에서 마모가 심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링(60)의 전단 내측에는 링형태의 단턱홈(61)이 형성되고, 단턱홈(61)에는 체크링과 다른 이종금속으로, 초경재질로 된 마모방지링(62)이 고정되어 결합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호퍼를 통해 알갱이 형태의 원료수지를 배럴내부(B)로 투입시키면 원료수지는 배럴에 설치된 히터(미도시)의 열에 의하여 용융되고, 한편 모터는 스크류 헤드유닛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용융수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링(30)과 체크링(60) 사이의 스페이서(S)와, 리테이너링(40)의 리테이너링날개(42) 사이를 통하여 스크류헤드(10)의 전단부로 이동하여 쌓이게 되고, 쌓이는 양이 많아짐에 따라 스크류 헤드유닛은 서서히 후진한다. 이후 스크류헤드(10) 전단부에 지정된 양만큼의 용융수지가 쌓이게 되며 스크류 헤드유닛은 회전을 멈춘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조건에 맞는 압력과 속도로 스크류 헤드유닛을 전진시키면, 체크링(60)은 시트링(50)에 밀착되면서 슬리브링(30)과 체크링(60) 사이에 형성된 스페이서(S)를 차단하고, 이후 용융수지는 스크류 헤드유닛에 의하여 전방으로 가압되면서 배럴(B)의 토출구(N)를 통하여 성형금형으로 사출된다.
이때, 체크링(60)과 리테이너링(40)이 상호 밀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은, 리테이너링(40)의 경우 초경팁(43)에 의하여 흡수된 후 리테이너링날개(42) 전체로 분산되고, 체크링(60)의 경우 초경재질로 된 마모방지링(62)에 의하여 흡수된 후 체크링(60) 전체로 분산된다. 그리고 체크링(60)과 시트링(50)이 상호 밀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은, 이종 재질인 시트링(50)에 흡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테이너링날개(42) 및 초경팁(43)으로 구성된 리테이너링(40)을 채용하고 초경재질의 마모방지링(62)을 가지는 체크링(60)을 채용함으로써, 장시간의 사출과정에서 리테이너링(40)과 체크링(60) 사이에 발생되는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헤드(10)에 체결홈(11)을 형성하고, 연결축(20)에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단(21)을 형성함으로써, 스크류헤드(10)와 연결축(20)을 독립적으로 제작하여 한몸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형의 성형제품을 성형하기 위하여 대량의 용융수지를 사출할 수 있는 대형의 스크류 헤드유닛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스크류헤드 11 ... 체결홈
13 ... 단턱홈 20 ... 연결축
21 ... 연결축 22 ... 단턱
23 ... 끼움단 30 ... 슬리브링
40 ... 리테이너링 41 ... 리테이너링몸체
41a ... 경사면 42 ... 리테이너링날개
42a ... 날개홈 42b ... 단차
43 ... 초경팁 43b ... 초경팁단턱
50 ... 시트링 60 ... 체크링
61 ... 단턱홈 62 ... 마모방지링

Claims (5)

  1. 원료수지가 투입되는 호퍼 및 고열을 인가하기 위한 히터가 설치된 배럴 내부에 설치되어, 그 배럴 내부에서 회전 및 전후진되면서 원료수지를 액상의 용융수지로 변환 및 사출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원뿔 형태를 가지며 후방측으로 개구된 체결홈(11)이 형성된 스크류헤드(10);
    상기 체결홈(11)에 체결되는 체결단(21)과, 후방측에 형성된 단턱(22)과, 상기 체결단(21)과 단턱(22)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체결단(2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끼움단(23)으로 구성된 연결축(20);
    상기 끼움단(23)에 끼어져 고정되는 슬리브링(30);
    상기 끼움단(23)에 끼어진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헤드(10)의 후단에 밀착된 리테이너링(40); 및
    상기 리테이너링(40)과 단턱(22) 사이에서 전후진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리브링(30)의 외직경보다 큰 내직경을 가지는 체크링(60); 및
    상기 스크류헤드(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배럴 내주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용융수지가 유동되는 다수의 헤드유로홈(15)을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링(40)은, 전단측의 외경(D1)이 상기 스크류헤드의 헤드유로홈(15)의 내측을 연결하는 가상원의 외경(D2)과 동일하고, 후단측의 외경(D2)이 상기 슬리브링(3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외주면에 경사면(41a)이 형성된 리테이너링몸체(41)와; 상기 경사면(41a)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리테이너링날개(42)와; 상기 리테이너링날개(42)에 고정되는 초경팁(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링날개(42)의 날개홈(42a) 내부에 단차(42b)가 형성되고,
    상기 초경팁(43)의 외주면에는 상기 단차(42b)에 치합되는 초경팁단턱(43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링(60)은,
    상기 전단 내측에 형성된 링형태의 단턱홈(61)과, 상기 단턱홈(61)에 고정되는 마모방지링(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
KR1020170079192A 2017-06-22 2017-06-22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 KR101776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192A KR101776557B1 (ko) 2017-06-22 2017-06-22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192A KR101776557B1 (ko) 2017-06-22 2017-06-22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557B1 true KR101776557B1 (ko) 2017-09-07

Family

ID=5992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192A KR101776557B1 (ko) 2017-06-22 2017-06-22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5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736B1 (ko) * 2012-05-18 2014-04-03 전혜숙 마모방지기능을 가지는 실린더 및 헤드세트와 이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736B1 (ko) * 2012-05-18 2014-04-03 전혜숙 마모방지기능을 가지는 실린더 및 헤드세트와 이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47992B (zh) 用于管线的可拆卸连接的卡口联接器
US7364131B2 (en) Non-return valve for use in a molding system
TWI294803B (en) Check valve lip seal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5167971A (en) Check valve assembly for injection molding apparatus
CN109249586B (zh) 一种用于防止塑料流延的射嘴
US7614871B2 (en) Rotary valve assembly for an injection nozzle
US4850851A (en) Anti-backflow valv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s
KR101776557B1 (ko) 사출장치용 스크류 헤드유닛
CA2741624A1 (en) Improved check valve
US20020105113A1 (en) Mixer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s
JP5395806B2 (ja) 射出成形機用ピストン射出ユニット
US4349044A (en) Non-return device at the screwhead of screw injection molding machines
US8025500B2 (en) Decompression sprue bush and decompression machine nozzle
US7934923B2 (en) Screw, injection apparatus, and pressure member
KR20210007996A (ko) 사출 성형 기계의 가소화 유닛의 스크류를 위한 비복귀 밸브
CN209395153U (zh) 一种改进的注塑机射嘴法兰与熔胶筒的连接结构
CN207267260U (zh) 一种内圆切割机的刀架总成
JP6436454B2 (ja) 溶融材料供給装置
JP3409154B2 (ja) 金属射出成形機の逆流防止装置
CN103842698B (zh) 用于配件的阀上部件
CN220883272U (zh) 一种注塑机用熔胶筒
KR101913836B1 (ko) 이종소재를 적용한 핫 런너 시스템
JP2017144578A (ja) 射出成形機
US7252500B2 (en) Check valve assembly for injection molding apparatus
JP2007537060A (ja) スクリュチップ及び成形システ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