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342B1 - Reinforcement device of cowl sid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Reinforcement device of cowl sid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342B1
KR101776342B1 KR1020120081523A KR20120081523A KR101776342B1 KR 101776342 B1 KR101776342 B1 KR 101776342B1 KR 1020120081523 A KR1020120081523 A KR 1020120081523A KR 20120081523 A KR20120081523 A KR 20120081523A KR 101776342 B1 KR101776342 B1 KR 101776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wl side
cowl
roller
bolt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13638A (en
Inventor
박준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342B1/en
Publication of KR2014001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6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3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incorporating devices for preventing ingress of the steering column into the passengers space in case of accid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4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펜더 에이프론에서 프론트 필러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펜더 에이프런과 프론트 필러 사이에 연결되는 카울 사이드측에 십자형 구조 및 롤러 구조를 통해 역회전력을 발휘할 수 있는 보강부재를 구비한 새로운 형태의 카울 사이드 보강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등의 충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등 내구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의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wl side reinforcement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dispersing energy transmitted from a fender apron to a front pillar in a vehicle collision.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new cowl side reinforcement structure having a cross member structure connected to a fender apron and a front filler and a reinforcing member capable of exerting a reverse rotation force through a roller structure on the cowl side, A cowl side reinforcement device for an automobile capable of efficiently dispersing impact energy and ensuring endurance quality is provided.

Description

자동차의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Reinforcement device of cowl side for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wl side reinforcement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시 펜더 에이프론에서 프론트 필러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wl side reinforcement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wl side reinforcement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dispersing energy transmitted from a fender apron to a front filler in a vehicle collis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여러 가지의 패널과 프레임이 상호 적절하게 조합되어 박스 형태를 이루는 모노코크 바디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Generally, a vehicle body is made up of a monocoque body type in which various panels and frames are appropriately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box.

이러한 모노코크 바디의 조립 순서는 차량 제작사의 생산라인의 전개에 따라 정해지게 되며, 보통 프론트부, 센터부, 리어부, 대쉬부와 같은 차체 플로어부가 조립된 후에 측면 구조부가 조립되며, 최종적으로 카울부가 장착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The assembling order of the monocoque bodie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production line of the vehicle manufacturer. Usually, the side structure parts are assembled after the body floor parts such as the front part, center part, rear part and dash part are assembled. Finally, .

상기 카울부는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 특히 급회전시 발생되는 차체의 비틀림을 억제하고, 차량 충돌사고시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며, 엔진룸의 각종 부품이 충격 에너지에 의해 차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cowl portion suppresses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particularly, the twisting of the vehicle body caused by the sudden turning, absorbs impact energy generate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nd prevents various parts of the engine room from entering the vehicle interior .

이러한 카울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차량의 전방으로 펜더 에이프런(10)이 배치되고, 상기 팬더 에이프런(10)의 후방에는 카울 사이드(11)가 배치되며, 계속해서 그 뒷쪽으로 프론트 필러(12)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1, a fender apron 10 is disposed in front of a vehicle of the vehicle, a cowl side 11 is disposed behind the panda apron 10, And a front filler 12 is disposed.

여기서, 상기 카울 사이드(11)는 펜더 에이프런(10)과 프론트 필러(12) 사이에서 전후측 양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펜더 에이프런(10) 및 프론트 필어(12)와 일체 결합된다. The cowl side 11 is integrally joined to the fender apron 10 and the front pillar 12 in such a structure th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wl side 11 are fixed by welding between the fender apron 10 and the front pillar 12. [

이와 같은 카울부 구조에서는 카울 사이드가 배치된 곳이 프론트 필러 등이 만나는 곳으로 차체 강성에 매우 민감한 부위로서, 차량의 충돌시나 차량의 좌우 및 상하 진동시 용접점 파단 등 내구 품질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많이 있다. In such a cowl structure, the place where the cowl side is located is a place where the front filler meets and is very sensitive to the rigidity of the car body.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durability quality, such as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re are a lot.

예를 들면, 차량 정면 고속충돌시 펜더 에이프런에서부터 프론트 필러가 연결되는 부위에 압축하중이 작용하면서 이때의 연결부위에 회전력이 작용하면서 매우 취약한 면을 보이고 있고, 이를 위하여 여러 보강구조를 적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실제 평가결과를 확인해 보면 프론트 필러를 중심으로 한 회전력이 작용하면서 여전히 충격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측면에서는 미흡한 점이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high-speed vehicle collisio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to a portion where a front filler is connected from a fender apron, and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t this time. However, when the actual evaluation results are checked, there is a point that the rotational force mainly in the front filler acts, and it is still insufficient in terms of dispersing the impact energy.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펜더 에이프런과 프론트 필러 사이에 연결되는 카울 사이드측에 십자형 구조 및 롤러 구조를 통해 역회전력을 발휘할 수 있는 보강부재를 구비한 새로운 형태의 카울 사이드 보강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등의 충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등 내구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의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f cowl with a reinforcing member capable of exerting a reverse rotation force through a roller structure and a cruciform structure on a cowl side side connected between a fender apron and a front fill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wl side reinforcement device for an automobile which can ensure durability such as efficient dispersion of impact energy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and the like by implementing a side reinforcement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의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wl side reinforcement device for an automobile, which has the following features.

상기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는 펜더 에이프런과 프론트 필러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카울 사이드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강수단으로서, 복수의 볼팅부와 적어도 한 곳의 롤러부를 가지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특히 보강부재는 카울 사이드측에 결합되면서 선단부와 후단부를 통해 펜더 에이프런측 및 프론트 필러측에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cowl side reinforcement device is a reinforcing mean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a cowl side connected between a fender apron and a front fill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olting portions and a reinforcing member having at least one roller portion, And the reinforc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wl side and connected to the fender apron side and the front filler side via the leading end and the trailing end.

따라서, 상기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는 카울 사이드측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통해 차량 충돌시 전해지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refore, the cowl side reinforcement apparatus is capable of effectively dispersing energy transmitte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rough a reinforcing member provided on the cowl side.

여기서, 상기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의 보강부재는 십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십자형 구조의 선단부와 후단부, 그리고 상단부와 하단부는 볼팅부를 통해 카울 사이드측과 펜더 에이프런측 및 프론트 필러측에 결합되는 동시에 십자형 구조의 중심부는 롤러부를 통해 카울 사이드측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inforcement member of the cowl side reinforcement device has a cross shape.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cruciform structure, and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are coupled to the cowl side side, the fender apron side, and the front filler side through the bolt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portion of the roller portion is coupled to the cowl side through the roller portion.

그리고, 상기 볼팅부의 경우, 단차진 형태의 헤드부를 갖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지면서 카울 사이드 및 보강부재 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는 한편, 상기 롤러부의 경우에는 단차진 형태의 헤드부 및 롤러 장착부를 갖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롤러 장착부에 끼워짐과 더불어 보강부재 몸체의 보스부에 위치되어 회전가능한 롤러부재로 이루어지면서 카울 사이드 및 보강부재 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체결되는 동시에 회전 중심점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the bolt portion, the bolt member having the head portion of the stepped shape and the nut member fastened to the bolt member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with the cowl side and the reinforcing member body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case of the roller portion, a bolt member having a head portion and a roller mounting portion of a stepped shape, a nut member to be fastened to the bolt member, a roller mounting portion of the bolt member, The cowl side and the reinforcing member body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wl side and the reinforcing member body, and the cowl side and the reinforcing member body ar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function as a rotation center point.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의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The cowl side reinforcement device of the automobil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카울 사이드의 전면에 네 곳의 볼팅부와 한 곳의 롤러부를 가지는 십자형태의 보강장치를 설치하여, 차량 충돌시, 특히 차량 정면 고속충돌시 펜더 에이프런 및 카울 사이드의 회전에 대해 역회전 메카니즘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충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카울 사이드가 속해 있는 카울부의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는 내구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cross reinforcing device having four bolting portions and one roller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cowl side is provided to exert a reverse rotation mechanism against the rotation of the fender apron and the cowl side during a vehicle collis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isperse the impact energy and thus to secure the durability quality that can enhanc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cow part to which the cowl side belongs.

도 1은 자동차의 카울 사이드가 속해 있는 카울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에서 볼팅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에서 롤러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의 에너지 분산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w portion to which a cowl side of a car belongs;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wl side reinfor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olting portion in a cowl side reinfor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oller portion in a cowl side reinfor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nergy dispersing action of the cowl side reinfor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wl side reinfor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더 에이프런(10)과 프론트 필러(12) 사이에는 카울 사이드(11)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카울 사이드(11)의 전면, 예를 들면 차체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보강부재(13)가 설치된다. 2, a cowl side 11 is connected between the fender apron 10 and the front filler 12, and on the front face of the cowl side 11, for example, A reinforcing member 13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provided.

이러한 보강부재(13)의 일 예로서, 십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의 십자형 구조에서 세로부재와 가로부재가 서로 그 길이중간에서 크로스되는 형태가 아닌, 세로부재가 가로부재의 한 쪽 단부쪽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크로스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an example of such a reinforcing member 13, it may be a cross-shaped structure. In the cross-shaped structure at this time, the longitudinal member and the cross member are not crossed each other in the middle of the length, And can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crossed in a biased state.

상기 십자형 구조의 보강부재(13)는 카울 사이드(11)의 전면에 배치되어, 예를 들면 카울 사이드(11)와 프론트 필러(12) 간의 경계부위에 보강부재(13)의 세로부재가 위아래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카울 사이드(11)은 물론 펜더 에이프런(10)과 프론트 필러(12) 전체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reinforcing member 13 of the cross shape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wl side 11 so that the longitudinal members of the reinforcing member 13 are arrang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cowl side 11 and the front pillars 12 So as to reinforc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entire fender apron 10 and the front pillars 12 as well as the cowl side 11.

이러한 보강부재(13)는 복수의 볼팅부와 적어도 한 곳의 롤러부, 예를 들면 십자형 구조의 각 단부인 선단부와 후단부, 그리고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네 곳의 볼팅부(14a,14b,14c,14d)와 십자형 구조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한 곳의 롤러부(15)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reinforcing member 13 has a plurality of bolting portions and at least one roller portion, for example, a front end portion and a rear end portion of each end of a cross-shaped structure, and four bolting portions 14a and 14b , 14c and 14d and a roller portion 15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ross-shaped structure.

예를 들면, 상기 보강부재(13)의 가로부재 선단부에 설치되는 볼팅부(14b)는 펜더 에이프런(10)과 카울 사이드(11) 간의 접합부위에, 가로부재 후단부에 설치되는 볼팅부(14d)는 카울 사이드(11)와 프론트 필러(12) 간의 접합부위에, 세로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설치되는 볼팅부(14a,14c)는 카울 사이드(11)의 상단측과 하단측에 각각 체결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the bolting portion 14b provided at the end of the lateral member of the reinforcing member 13 is provided with a bolting portion 14d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lateral member on the joining portion between the fender apron 10 and the cowl side 11, The bolting portions 14a and 14c provided at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ngitudinal member can be fastened to the upper end side and the lower end side of the cowl side 11 on the joining portion between the cowl side 11 and the front filler 12 do.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13)의 십자형 구조 중심부에 있는 롤러부(15)는 보강부재 몸체의 중심에 위치되어 회전중심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roller portion 15 at the center of the cross-shaped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member 13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member body, and can serve as a turning center point.

따라서, 이렇게 설치되는 보강부재(13)가 중심부의 롤러부(15)를 중심으로 회전하려는 특성을 가지게 되고, 결국 차량 충돌시의 충격에 의해 주로 상향 회전하는 펜더 에이프런(10) 및 이에 속하는 선단부의 볼팅부(14b)에 대해 나머지 세 곳의 볼팅부(14a,14c,14d)가 상대적으로 역회전하려는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특성을 발휘하게 되므로서, 차량 충돌시 전해지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reinforcing member 13 thus installed has a characteristic of rotating around the roller portion 15 at the central portion. As a result, the fender apron 10, which mainly rotates upward due to the impact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The remaining three bolting portions 14a, 14c and 14d with respect to the bolt portion 14b exhibit a tendency to rotate in a direction to relatively rotate in a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energy transmitted during a vehicle collision can be effectively dispersed .

즉, 하중과 시스템의 반력의 합이 "0"이라고 가정하면(정적인 상태), 볼팅부 구조의 각 점에서의 역 토크의 합과 입력 하중이 같아야 하므로, 선단부 볼팅부의 회전방향에 대해 나머지 세 곳의 볼팅부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ssuming that the sum of the load and the reaction force of the system is "0" (static state), the sum of the reverse torques at each point of the bolt structure must be equal to the input load, So that the bolt portion can be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에서 볼팅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bolting portion in a cowl side reinfor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팅부(14a,14b,14c,14d)는 서로 체결되는 볼트부재(16)와 너트부재(17)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패널, 즉 카울 사이드(11)와 보강부재(13)의 몸체를 일체로 결속시켜주는 구조로 설치된다. 3, the bolting portions 14a, 14b, 14c and 14d are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bolt member 16 and a nut member 17 fastened to each other, and two panels, that is, a cowl side 11 And the body of the reinforcing member 13 are integrally joined to each other.

이를 위하여, 상기 볼트부재(16)는 단차진 형태의 헤드부분과 너트 체결을 위한 나사부분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헤드부분의 단차부를 통해 카울 사이드(11)에 형성되어 있는 홀(18a) 내에 끼워지게 되고, 이렇게 끼워진 상태에서 받대쪽의 보강부재 몸체측에 위치되어 있는 너트부재(17)가 볼트부재(16)의 나사부분에 체결되므로서, 보강부재 몸체와 카울 사이드(11)는 볼트부재(16)와 너트부재(17) 간의 체결구조에 의해 일체식으로 결속될 수 있게 된다. For this purpose, the bolt member 16 has a stepped head portion and a threaded portion for fastening the nut. The bolt member 16 is inserted into the hole 18a formed in the cowl side 11 through the steppe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The nut member 17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on the receiving side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member 16 so that the reinforcing member body and the cowl side 11 are connected to the bolt member 16 16 and the nut member 17, as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에서 롤러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roller unit in a cowl side reinfor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부(15)는 볼팅부(14a,14b,14c,14d)와 마찬가지로 서로 체결되는 볼트부재(16)와 너트부재(17)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볼트부재(16)에 형성되는 롤러 장착부(20)를 더 포함한다. 4, the roller portion 15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bolt member 16 and a nut member 17 fastened to each other like the bolt portions 14a, 14b, 14c, and 14d, And a roller mounting portion (20) formed on the member (16).

이러한 롤러부(15) 또한 카울 사이드(11)와 보강부재(13)의 몸체를 일체로 결속시켜주는 구조로 설치되면서 특히 롤러 장착부(20)에 장착되는 롤러(21)를 통해 보강부재(13)의 회전 중심점을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The roller unit 15 is also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unifying the body of the cowl side 11 and the reinforcing member 13 integrally with the reinforcing member 13 through the roller 21 mounted on the roller mounting unit 20. [ The center of gravity of rotation can be provided.

이를 위하여, 상기 볼트부재(16)는 단차진 형태의 헤드부분과 너트 체결을 위한 나사부분, 그리고 그 사이의 롤러 장착부(20)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헤드부분의 단차부를 통해 카울 사이드(11)에 형성되어 있는 홀(18a) 내에 끼워지게 되고, 이렇게 끼워진 상태에서 받대쪽의 보강부재 몸체측에 위치되어 있는 너트부재(17)가 볼트부재(16)의 나사부분에 체결되므로서, 보강부재 몸체와 카울 사이드(11)는 볼트부재(16)와 너트부재(17) 간의 체결구조에 의해 일체식으로 결속될 수 있게 된다. For this purpose, the bolt member 16 has a stepped head portion, a screw portion for fastening the nut, and a roller mounting portion 20 therebetween. The bolt member 16 is inserted into the cowl side 11 through the steppe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The nut member 17 located on th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on the receiving side is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member 16 in the fitted state, And the cowl side 11 can be integrally joined by the fastening structure between the bolt member 16 and the nut member 17.

특히, 이때의 보강부재 몸체의 경우, 보스부(19)를 이용하여 볼트부재(16)에 있는 롤러(21)의 외측으로 약간의 갭을 두고 끼워지면서 지지되므로서, 카울 사이드(11)와는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롤러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될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reinforcing member body, the reinforcing member body is suppor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oller 21 of the bolt member 16 with a slight gap therebetween by using the boss portion 19, (Rotatable about the rollers)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able to move freely.

이에 따라, 상기 롤러부(15)는 보강부재(13)를 회전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그 회전 중심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roller unit 15 can serve as a rotation center point of the reinforcing member 13 to be rotatabl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의 에너지 분산작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energy dispersing action of the cowl side reinfor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의 에너지가 보강부재(13)의 선단부, 즉 볼팅부(14b)에 전해지게 되면 이때의 볼팅부(14b)는 위로 들려지는 펜더 에이프런(10)의 영향을 받아 화살표 방향과 같이 위로 회전되려는 힘을 받게 되고, 이와 동시에 보강부재(13)의 후단측으로 위치되어 있는 세 곳의 볼팅부(14a,14c,14d)는 상기 볼팅부(14b)와는 반대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아래로 회전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면서 전체적으로 볼 때, 위로 들려지는 앞쪽을 뒷쪽이 역회전력을 발휘하여 상쇄시키면서 아래로 끌어 내리려는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5, when the energy at the time of the vehicle collision is transmitted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member 13, that is, to the bolting portion 14b, the bolt portion 14b at this time is affected by the fender apron 10 lifted up At the same time, the three bolting portions 14a, 14c, and 14d locat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3 ar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bolting portion 14b The force to rotate downward acts as shown in FIG. 5A. In the overall view, the forward side is counteracted by the counter-rotating force of the backward force, and the downward force is pulled down.

따라서, 펜더 에이프런(10)은 물론 카울 사이드(11)의 앞쪽에 작용하는 에너지가 보강부재(13)의 후단측 및 이와 결속되어 있는 카울 사이드(11)의 뒷쪽, 그리로 프론트 필러(12)로 골고루 분산되므로서, 결국 차량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The energy acting on the front side of the cowl side 11 as well as the fender apron 10 is transmitt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3 and the rear side of the cowl side 11 to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13 is connect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impact energy generate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십자형 구조를 가지는 보강부재의 선단측 회전력(하중)에 대해 중심의 롤러 구조를 중심으로 후단측의 세 곳의 역회전력을 가지게 하는 보강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에너지의 분산 효과를 유도할 수 있고, 따라서 차량 고속 정면 충돌시 펜더 에이프런에서부터 프론트 필러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분산 및 저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a reinforcement structure that has three reverse rotation forces on the rear end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roller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tip end side rotational force (load) of the reinforcing member having a cro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isperse and reduce the energy transmitted from the fender apron to the front filler at the time of a vehicle frontal frontal collision.

10 : 펜더 에이프런 11 : 카울 사이드
12 : 프론트 필러 13 : 보강부재
14a,14b,14c,14d : 볼팅부 15 : 롤러부
16 : 볼트부재 17 : 너트부재
18a,18b : 홀 19 : 보스부
20 : 롤러 장착부 21 : 롤러
10: Fender Apron 11: Cowleside
12: front filler 13: reinforcing member
14a, 14b, 14c, 14d: Bolting portion 15: Roller portion
16: bolt member 17: nut member
18a, 18b: hole 19: boss portion
20: roller mounting portion 21: roller

Claims (4)

펜더 에이프런과 프론트 필러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카울 사이드의 전면에 설치되는 보강수단으로서,
복수의 볼팅부와 적어도 한 곳의 롤러부를 가지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카울 사이드측에 결합되면서 선단부와 후단부를 통해 펜더 에이프런측 및 프론트 필러측에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차량 충돌시 전해지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
A reinforcement mean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a cowl side connected between a fender apron and a front filler,
Wherein the reinforcement member has a plurality of bolting portions and at least one roller portion, the reinforcing member being coupled to the fender apron side and the front filler side through the leading end portion and the trailing end portion while being coupled to the cowl side, Wherein the cowl side reinfor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lays a role of effectively dispersing the energy transmitted to the cowl side reinforcement apparatus of an automobi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십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십자형 구조의 선단부와 후단부, 그리고 상단부와 하단부는 볼팅부를 통해 카울 사이드측과 펜더 에이프런측 및 프론트 필러측에 결합되는 동시에 십자형 구조의 중심부는 롤러부를 통해 카울 사이드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member has a cross shape.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cross-shaped structure, and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re coupled to the cowl side, the fender apron side and the front filler side through the bolt, Side portion of the vehicle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cowl.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팅부는 단차진 형태의 헤드부를 갖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져, 카울 사이드 및 보강부재 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l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bolt member having a head portion of a stepped shape and a nut member fastened to the bolt member so as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with the cowl side and the reinforcing member body interposed therebetween, Devic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단차진 형태의 헤드부 및 롤러 장착부를 갖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롤러 장착부에 끼워짐과 더불어 보강부재 몸체의 보스부에 위치되어 회전가능한 롤러부재로 이루어져, 카울 사이드 및 보강부재 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체결되는 동시에 회전 중심점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울 사이드 보강장치. The roller uni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oller unit comprises a bolt member having a head portion and a roller mounting portion of a stepped shape, a nut member to be fastened to the bolt member, and a roller mounting portion of the bolt member, Wherein the cowl side reinforcement member comprises a rotatable roller member and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cowl side and the reinforcement member body via the cowl side and serve as a rotation center point.
KR1020120081523A 2012-07-26 2012-07-26 Reinforcement device of cowl side for vehicle KR1017763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523A KR101776342B1 (en) 2012-07-26 2012-07-26 Reinforcement device of cowl sid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523A KR101776342B1 (en) 2012-07-26 2012-07-26 Reinforcement device of cowl sid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638A KR20140013638A (en) 2014-02-05
KR101776342B1 true KR101776342B1 (en) 2017-09-07

Family

ID=5026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523A KR101776342B1 (en) 2012-07-26 2012-07-26 Reinforcement device of cowl sid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34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6717A (en) 2010-11-04 2012-05-24 Suzuki Motor Corp Reinforcing structure of vehicle front pa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6717A (en) 2010-11-04 2012-05-24 Suzuki Motor Corp Reinforcing structure of vehicle front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638A (en)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1750B2 (en) Lower body structure
JP5573196B2 (en) Front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US9868466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20140319874A1 (en) Vehicle body structure
JP5760991B2 (en) Motor unit support structure
KR101776342B1 (en) Reinforcement device of cowl side for vehicle
JP2014169010A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with torque rod
KR101664505B1 (en) Breaking type TM mount bracket for improving crashworthiness
CN201214451Y (en) Multidirection buffering and shock-absorbing device
CN202038352U (en) Motor vehicle, steering control mechanism and steering column
KR101705148B1 (en) Structure of subframe for vehicle
CN211918301U (en) Mounting structure and vehicle of suspension swing arm
CN204255659U (en) Steering column stationary installation on a kind of car steering tube column testing table
KR101624235B1 (en) Structure of subframe for vehicle
CN201971055U (en) Steering gear support and steering gear mounting structure
JP2012116450A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body
JP2013018434A (en) Vehicle body front part structure
JP2008247240A (en) Steering device
KR101230835B1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CN203228649U (en) Instrument panel crossbeam and pedal fixing bracket
JP2011148421A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CN220785689U (en) Protective device under lightweight car
KR20130016509A (en) Structure of front subframe
JP2001151143A (en) Power plant frame construction of vehicle
JP4692782B2 (en) Body fron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