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061B1 -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제작 콘크리트 덮개와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제작 콘크리트 덮개와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061B1
KR101776061B1 KR1020150173168A KR20150173168A KR101776061B1 KR 101776061 B1 KR101776061 B1 KR 101776061B1 KR 1020150173168 A KR1020150173168 A KR 1020150173168A KR 20150173168 A KR20150173168 A KR 20150173168A KR 101776061 B1 KR101776061 B1 KR 101776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crete
type
lid
li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6928A (ko
Inventor
신근호
강규석
신동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텍리소스
신근호
강규석
신동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텍리소스, 신근호, 강규석, 신동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텍리소스
Priority to KR102015017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0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6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wag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덮개와 그 시공방법을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류 등의 성형이 가능한 일정두께의 피막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물인 몰드형 거푸집을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개방된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레미콘 트럭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 덮개의 연속 제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상부에서 콘크리트 덮개가 정확한 규격을 유지할 수도 있고, 또한 콘크리트 덮개로부터 몰드형 거푸집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종래 콘크리트 덮개보다 적은 규격으로 같은 강도를 유지할 수도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덮개에 철근을 정확하게 배근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철근을 적게 사용하여도 같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개방된 상부에 콘크리트 덮개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한편, 일정두께를 가진 피막구조의 몰드형 거푸집을 필요한 형상으로 대량 생산한 후 이를 필요한 장소로 옮겨 필요한 량을 펼쳐 놓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연속적으로 타설하여 줌으로서 규격화되고 견고한 양질의 제품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대량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된 제품이 거푸집의 피막으로 둘러 싸여 있어 이웃하는 제품과 마주칠때 완충력을 제공함으로서 외충격에도 안정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제작 콘크리트 덮개와 그 시공방법 {Concrete Covering Structure Using Mould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개방된 상부에 올려놓는 콘크리트 덮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등 성형이 가능한 일정두께를 가지는 상부 개방형의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일정 규격의 콘크리트 덮개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제작 콘크리트 덮개에 관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부 개방형의 몰드형 거푸집을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개방된 상부면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 덮개의 연속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몰드형 거푸집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덮개의 형상에 따라 내벽면에 복수의 리브를 형성하여 거푸집내에 콘크리트 타설시 박스형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벽체 및 하부 바닥면을 이루는 거푸집의 피막이 충격완충패드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리브의 내측에 보강철심 걸침홈을 반복적으로 형성시켜 콘크리트 덮개에 삽입되는 보장재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제작 콘크리트 덮개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가장자리와 인도 사이 또는 중앙분리대의 하부 외측에 설치되어 도로와 같은 노면에 흐르는 빗물 등을 하수구나 지하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상부 개방형의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 그리고 여러 형태의 풀륨관, 수로관, 트랜치, 트러프, 맨홀 등에는 콘크리트 덮개를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콘크리트 덮개를 생산할 때는 현장에서 몰드에 콘크리트를 부어서 양생 탈형하여 사용하거나 몰드에 콘크리트를 넣고 진동과 압력을 주어 생산하는 방식, 또한 많은양의 제품이 필요한 경우에는 바닥을 평평하게 고른 후 거푸집 형태(합판 등을 이용해 바닥에 평평하게 설치후 가로와 세로로 필요한 간격으로 가로벽과 세로벽을 설치)를 일정장소에서 콘크리트를 부어서 생산하는 방식 등 여러 가지 생산방식이 있다.
상기 현장에서 제작되는 통상의 거푸집은, 먼저 바닥에 합판을 이어붙여 평면판을 설치하고, 여기에 일정폭(약 500mm 간격)으로 가로벽을 연속 설치한 다음, 이들 사이에 세로벽을 일정한 폭(약 300~400mm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희망하는 형상의 거푸집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여기에 레미콘트럭으로 운반한 콘크리트를 부어 평탄하게 타설한 다음, 양생하고 탈형하면 원하는 콘크리트 덮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콘크리트 덮개의 폭방향에 손잡이 형성용 홈을 성형하고자 하는 경우 가로벽 또는 세로벽의 내측 벽면에 손잡이홈 모양의 쇄기를 부착하여 거푸집을 만들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현장 생산방식으로는 많은 콘크리트 덮개를 생산하기는 한계가 있고, 콘크리트 덮개이 균열이나 깨짐이 발생하고 정확한 규격의 제품의 생산이 어렵고 중량으로 운반이 어렵다, 콘크리트 덮개는 거푸집을 현장 제작함으로서 규격화된 거푸짐을 제작하기 어렵고, 거푸집이 탈형후 제품의 균열이나 깨짐 발생하고 그 중량으로 운반이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현장 생산법은 현장 또는 현장 인접한 넓은 공터를 활용하여 현장 제작이 가능하고, 다량의 제품을 동시에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이 경우 조립된 거푸집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된 제품을 얻고나면 거푸집을 모두 해체하는 탈형 작업을 거쳐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고가의 거푸집이 재사용되지 못한체 폐기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와 함께, 추가로 필요로 하는 제품 수량을 얻기 위하여 대형 거푸집을 재조립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많았다.
한편, 기계에서 생산되는 콘크리트 덮개는 금속판으로 몰드를 제작한 후 여기에 혼합 몰탈을 체우고 일정압으로 가압하여 블록체를 완성한 다음 양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콘크리트 밀도가 치밀하지 못하여 내충격 강도가 크게 떨어져 운반도중은 물론 시공후 사용 환경으로 인하여 전달되는 주변의 진동으로 인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상기 기계식 생산법은 일정한 거푸집을 제작하여 반복 사용하는 것으로서, 제품의 규격화에는 유리한 반면, 제한된 작업공간과 양생기간으로 인하여 대량생산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금속류 등 성형이 가능한 일정두께의 피막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물인 몰드형 거푸집을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개방된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 덮개의 연속 제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상부에서 콘크리트 덮개가 정확한 규격을 유지할 수도 있고, 또한 콘크리트 덮개로부터 몰드형 거푸집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종래 콘크리트 덮개보다 적은 규격으로 같은 강도를 유지할 수도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덮개에 철근을 정확하게 배근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철근을 적게 사용하여도 같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개방된 상부에 콘크리트 덮개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덮개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덮개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물로서 벽체 및 하부 바닥면을 이루는 일정두께의 피막으로 성형되면서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박스형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게 되는 몰드형 거푸집; 및, 상기 몰드형 거푸집내에 콘트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 성형되는 덮개몸체; 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몰드형 거푸집의 내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덮개몸체를 성형시 박스형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면서 벽체 및 하부 바닥면을 이루는 일정두께의 상기 피막이 충격완충패드로 작용하도록 좌우 벽체의 피막을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몰드형 거푸집에는 상기 덮개몸체로부터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절개선을 형성하여 줌으로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이 상기 덮개몸체로부터 분리 또는 상기 덮개몸체와 일체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을 이루는 피막의 좌우측 벽체에는 굴곡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덮개몸체의 측부에는 상기 굴곡부에 의해 성형되는 개방된 손잡이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몸체의 상면에는 상부고리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브에는 관체를 형성하고, 상기 덮개몸체에는 상기 관체에 의해 성형되는 배수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몸체의 내부에는 보강철심을 형성하고, 상기 리브의 내측에는 상기 보강철심의 안정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철심 걸침홈을 반복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브는 상기 몰드형 거푸집의 전체 높이에 대하여 1/2의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은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상부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상하의 경계부에 단턱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덮개의 시공방법으로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물로서 벽체 및 하부 바닥면을 이루는 일정두께의 피막으로 성형되고, 피막의 일부에 절개선을 형성한 것으로서,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박스형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게 되는 몰드형 거푸집을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개방된 상부에 다단으로 배열하면서 올려놓는 제 1 공정; 다단 배열되는 상기 몰드형 거푸집에 레미콘 트럭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덮개몸체를 성형하는 제 2 공정; 및, 상기 제 2 공정을 통해 성형된 덮개몸체로부터 상기 몰드형 거푸집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덮개몸체로부터 상기 몰드형 거푸집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분리시키되, 상기 덮개몸체로부터 상기 몰드형 거푸집 분리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의 절개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몰드형 거푸집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상,하단 전부를 분리하는 제 3 공정; 을 포함하여 진행하고, 상기 덮개몸체와 상기 몰드형 거푸집을 일체로 유지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의 내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리브가 콘크리트 타설시 몰드형 거푸집의 박스형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면서 충격완충패드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공정에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은 상,하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통해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개방된 상부에 거치하는 공정; 을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공정에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의 리브에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철심 걸침홈에 보강철심을 배근하는 공정; 을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공정에서, 콘크리트를 타설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을 이루는 피막의 좌우측 벽체에 형성되는 굴곡부를 통해 상기 덮개몸체의 측부에 개방된 손잡이홈을 형성하는 공정; 을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공정에서, 상기 덮개몸체의 상면에는 상부고리를 형성시키는 공정; 을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공정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의 리브에 형성되는 관체를 통해 상기 덮개몸체에 배수공을 형성시키는 공정; 을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플라스틱 등 성형이 가능한 일정두께의 피막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물인 몰드형 거푸집을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개방된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 덮개의 연속 제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상부에서 콘크리트 덮개가 정확한 규격을 유지할 수도 있고, 또한 콘크리트 덮개로부터 몰드형 거푸집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종래 콘크리트 덮개보다 적은 규격으로 같은 강도를 유지할 수도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 덮개에 철근을 정확하게 배근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철근을 적게 사용하여도 같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개방된 상부에 콘크리트 덮개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효과는 물론, 일정두께를 가진 피막구조의 몰드형 거푸집을 필요한 형상으로 대량 생산한 후 이를 필요한 장소로 옮겨 필요한 량을 펼쳐 놓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연속적으로 타설하여 줌으로서 규격화되고 견고한 양질의 제품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대량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된 제품이 거푸집의 피막으로 둘러 싸여 있어 이웃하는 제품과 마주칠때 완충력을 제공함으로서 외충격에도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손잡이홈 형성을 위한 굴곡부를 가진 몰드형 거푸집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배수공 형성을 위한 관체를 가진 몰드형 거푸집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몰드형 거푸집이 일체화된 손잡이홈을 형성한 콘크리트 덮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몰드형 거푸집이 일체화된 상부고리를 형성한 콘크리트 덮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몰드형 거푸집이 일체화된 배수공을 형성한 콘크리트 덮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하여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에 콘크리트 덮개를 시공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2의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하여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에 콘크리트 덮개를 시공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손잡이홈 형성을 위한 굴곡부를 가진 몰드형 거푸집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배수공 형성을 위한 관체를 가진 몰드형 거푸집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몰드형 거푸집이 일체화된 손잡이홈을 형성한 콘크리트 덮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몰드형 거푸집이 일체화된 상부고리를 형성한 콘크리트 덮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몰드형 거푸집이 일체화된 배수공을 형성한 콘크리트 덮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1의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하여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에 콘크리트 덮개를 시공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2의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하여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에 콘크리트 덮개를 시공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덮개는, 몰드형 거푸집(10)과 덮개몸체(20)를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분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은 플라스틱류로 이루어지며 성형이 가능한 일정두께의 피막(10a)으로 이루어진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물로, 성형하고자 하는 상기 덮개몸체(20)의 형상에 따라 내벽면에는 필요에 따라 손잡이홈(2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굴곡부(11)를 돌출 형성하고, 내면에는 좌우벽체를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12)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리브(12)는 벽체와 하부 바닥면을 이루는 일정두께의 상기 피박(10a)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덮개몸체(20)를 성형시, 박스형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벽체 및 하부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피막(10a)이 충격완충패드로 작용하도록 한 것이다.
즉, 벽체와 하부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피막(10a)은 상기 덮개몸체(20)와 일체화되어 있을 때 이웃하는 제품과 부딪칠 때 완충력을 제공하면서, 외충격에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의 리브(12)에는 성형하고자 하는 상기 덮개몸체(20)의 형상에 따라 상기 덮개몸체(20)에 배수공(23)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관체(13)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브(12)의 내측에는 보강철심(미도시)의 안정적으로 정렬을 위해 철심 걸침홈(14)을 반복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리브(12)는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의 전체 높이에 대하여 1/2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며,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상기 덮개몸체(20)을 성형시, 상기 덮개몸체(20)로부터 일부 또는 전부가 분리되도록 가이드하는 절개선(15)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의 절개선(15)을 통해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을 이루는 벽체의 피막(10a)이 상기 덮개몸체(20)로부터 일부가 분리되더라도,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의 전체 높이에 대하여 1/2의 높이를 가진 상기 리브(12)는 분리되지 않은 피막(10a)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에는 상하의 경계부에 단턱부(16)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단턱부(16)는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100)의 상부에 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덮개몸체(20)는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으로 콘트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상기 손잡이홈(21)과 함께 성형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는 상부고리(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콘크리트 덮개의 시공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우선 플라스틱류로 이루어지며 성형이 가능한 일정두께의 피막(10a)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물을 이루고 내면에서 좌우 벽체의 피막(10a)을 연결하는 리브(12)를 연속적으로 형성한 몰드형 거푸집(10)을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100)의 개방된 상부에 다단으로 배열하면서 올려놓는다.
여기서, 상기의 공정에서,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은 상,하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단턱부(16)를 통해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100)의 개방된 상부에 거치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상기의 공정에서는 몰드형 거푸집(10)의 리브(12)에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철심 걸침홈(14)에 보강철심을 배근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철심 검칠홈(14)은 보강철심의 배근이 이루어질 때, 상기 보강철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공정에는 상기 덮개몸체(20)의 상면에는 상부고리(22)를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에 관체(13)를 형성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상기 덮개몸체(20)의 형상에 따라 배수공(23)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즉, 다음의 공정으로서, 첨부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다단 배열되는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에 콘크리트 타설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손잡이홈(21)을 가지는 덮개몸체(20)를 성형하게 되는데, 상기 성형되는 덮개몸체(20)에는 상부면에 상부고리(22)를 형성하거나, 및/또는 배수공(23)이 형성되도록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의 공정으로서, 상기의 공정으로부터 성형되는 덮개몸체(20)로부터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을 이루는 벽체와 하부 바닥면을 포함하는 피막(10a)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덮개몸체(20)로부터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분리시켜,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100)에서의 콘크리트 덮개에 대한 시공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몸체(20)에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연속 시공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덮개들은 서로 이웃한 덮개들의 충격으로 인한 파속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좌우 벽체를 연결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리브(12)가 완충패드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덮개몸체(20)로부터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을 분리시,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의 절개선(15)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상,하단 전부를 분리할 수도 있으며, 이는 콘크리트 덮개들 사이의 경계부에서 상기 몰드형 거푸집(10)에 대한 노출을 방지하고자 하기 위함이며, 더불어 상기 리브(12)는 상기 절개선(15)을 기준으로 일부의 벽체 피막(10a)이 분리되더라도 그 높이는 몰드형 거푸집(10)의 1/2로서 분리되지 않은 피막(10a)에 의해 그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면서, 콘크리트 타설시 몰드형 거푸집(10)을 이루는 박스형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덮개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몰드형 거푸집 10a; 피막
11; 굴곡부 12; 리브
13; 관체 14; 철심 걸침홈
15; 절개선 16; 단턱부
20; 덮개몸체 21; 손잡이홈
22; 상부고리 23; 배수공
100;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

Claims (9)

  1.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물로서 벽체 및 하부 바닥면을 이루는 일정두께의 피막으로 성형되면서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박스형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게 되는 몰드형 거푸집; 및,
    상기 몰드형 거푸집내에 콘트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 성형되는 덮개몸체; 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몰드형 거푸집의 내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덮개몸체를 성형시 박스형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면서 벽체 및 하부 바닥면을 이루는 일정두께의 상기 피막이 충격완충패드로 작용하도록 좌우 벽체의 피막을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몰드형 거푸집에는 상기 덮개몸체로부터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절개선을 형성하여 줌으로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이 상기 덮개몸체로부터 분리 또는 상기 덮개몸체와 일체로 구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제작 콘크리트 덮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몸체의 내부에는 보강철심을 형성하고,
    상기 리브의 내측에는 상기 보강철심의 안정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철심 걸침홈을 반복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제작 콘크리트 덮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몰드형 거푸집의 전체 높이에 대하여 1/2의 높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제작 콘크리트 덮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이 상기 덮개몸체로부터 분리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은 상기 절개선을 통해 일부가 분리 또는 전부가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제작 콘크리트 덮개.
  6.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 구조물로서 벽체 및 하부 바닥면을 이루는 일정두께의 피막으로 성형되고, 피막의 일부에 절개선을 형성한 것으로서,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박스형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게 되는 몰드형 거푸집을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개방된 상부에 다단으로 배열하면서 올려놓는 제 1 공정;
    다단 배열되는 상기 몰드형 거푸집에 레미콘 트럭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덮개몸체를 성형하는 제 2 공정; 및,
    상기 제 2 공정을 통해 성형된 덮개몸체로부터 상기 몰드형 거푸집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덮개몸체로부터 상기 몰드형 거푸집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분리시키되, 상기 덮개몸체로부터 상기 몰드형 거푸집 분리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의 절개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몰드형 거푸집의 상단이나 하단 또는 상,하단 전부를 분리하는 제 3 공정; 을 포함하여 진행하고,
    상기 덮개몸체와 상기 몰드형 거푸집을 일체로 유지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의 내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리브가 콘크리트 타설시 몰드형 거푸집의 박스형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면서 충격완충패드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덮개 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정에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은 상,하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통해 배수로 또는 공동관로의 개방된 상부에 거치하는 공정; 을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덮개 시공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정에서, 상기 몰드형 거푸집의 리브에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철심 걸침홈에 보강철심을 배근하는 공정; 을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덮개 시공방법.
  9. 삭제
KR1020150173168A 2015-12-07 2015-12-07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제작 콘크리트 덮개와 그 시공방법 KR101776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168A KR101776061B1 (ko) 2015-12-07 2015-12-07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제작 콘크리트 덮개와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168A KR101776061B1 (ko) 2015-12-07 2015-12-07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제작 콘크리트 덮개와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928A KR20170066928A (ko) 2017-06-15
KR101776061B1 true KR101776061B1 (ko) 2017-09-07

Family

ID=5921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168A KR101776061B1 (ko) 2015-12-07 2015-12-07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제작 콘크리트 덮개와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0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043B2 (ja) * 1993-07-28 2000-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3181740B2 (ja) * 1992-12-18 2001-07-03 株式会社熊谷組 骨材冷却装置
KR100337158B1 (ko) * 1999-06-26 2002-05-18 이 상 종 토목용 덮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1740B2 (ja) * 1992-12-18 2001-07-03 株式会社熊谷組 骨材冷却装置
JP3119043B2 (ja) * 1993-07-28 2000-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
KR100337158B1 (ko) * 1999-06-26 2002-05-18 이 상 종 토목용 덮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928A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7484A (zh) 一种砼填充芯模用成型模具
CN205580844U (zh) 一种可重复利用的钢筋混凝土梁式试件浇筑模具
RU2013158938A (ru) Подповерхностные холодильники для улучшения формирования зуба автосцепки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
CN101107407A (zh) 制造具有光滑面或凹凸面的可堆叠的内接合砖、块体、石头等的模制设备和方法
KR20080006425U (ko) 콘크리트 패널 성형장치
KR101776061B1 (ko) 몰드형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제작 콘크리트 덮개와 그 시공방법
CN201099990Y (zh) 建筑中为管道穿板预留洞的留洞模具
CN111361004A (zh) 一种墩柱预制件的制造方法及桥墩
KR102209116B1 (ko) 튜브를 이용한 철근이 관통하는 중공형 프리캐스트 부재의 제작방법
US8894902B2 (en) Method and apparatus employing modular engageable components for formation of maintenance hole platforms
KR102118881B1 (ko) 화장실 시공용 형틀체 및 이를 이용한 화장실 바닥층 시공방법
CN209999415U (zh) 一种装配式混凝土外挂墙板的制备模具
KR101869387B1 (ko) 강관 내 콘크리트 충전 간소화 공법
CN217621304U (zh) 一种榫头造型模组件、预制板桩的生产模具及预制板桩
CN102310472B (zh) 空心盒的成型模
KR100921167B1 (ko) 고하중물 받침용 플레이트 성형방법 및 그 제품
CN220219021U (zh) 预制建筑构件线盒固定装置及预制建筑构件模台
CN220030594U (zh) 用于预制检查井井盖的钢模具
RU190485U1 (ru) Форм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делий из бетона и огнеупоров
CN110014505B (zh) 用于固定侧壁单元的方法和侧壁单元
CN214419115U (zh) 一种用于制作空心楼板中活动芯肋的模具
CN107571458B (zh) 用于吊装嵌件的固定结构
KR102086134B1 (ko) 끼움돌기로 지붕과 벽체를 연결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JP2022046053A (ja) 型枠装置および中空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KR101684416B1 (ko) 재활용이 가능한 관통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