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034B1 -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034B1
KR101776034B1 KR1020150141800A KR20150141800A KR101776034B1 KR 101776034 B1 KR101776034 B1 KR 101776034B1 KR 1020150141800 A KR1020150141800 A KR 1020150141800A KR 20150141800 A KR20150141800 A KR 20150141800A KR 101776034 B1 KR101776034 B1 KR 101776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group
aromatic compound
amine
prep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2436A (ko
Inventor
장현태
한승동
아지즈 아비도프
신민철
오한석
신다솔
Original Assignee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씨에스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씨에스글로벌 filed Critical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0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2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06Polyalkylene(poly)amines
    • C08G73/0213Preparatory process
    • C08G73/022Preparatory process from polyamines and epihalohydri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23F11/0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 C23F11/1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using organic 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23F11/0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 C23F11/1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using organic inhibitors
    • C23F11/14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23F11/141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23F11/142Hydroxy amines

Abstract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인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가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97797010-pat00020

(R1,M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C50 아릴기이고,
R2, R3는 CaH2a(단 a는 1 내지 6의 짝수)이고,
n은 1 내지 99의 정수이다)

Description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POLYHYDROXYLATED AMINE BASED 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석유화학공업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에 적용 가능하고, 특히 산성 및 알칼리성 물질로부터 금속의 부식 억제제로 사용 가능한 신규한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석유화학공업의 금속 반응기, 열교환기, 증류탑, 보일러 및 금속배관의 금속 표면에 침적되는 산성 물질과 알칼리성 물질로 인하여 금속의 부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각 단위장치 수명의 단축과 에너지 효율의 감소가 나타난다. 이에 부식물질로부터 금속 표면을 보호할 수 있는 부식억제제 관련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일례로 다양한 부식 유발물질로부터 양이온계 및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금속표면에 흡착시켜 금속표면과 부식유발물질과의 접촉을 감소시키는 방법, 혹은 혼합물 내에 존재하는 부식유발물질과 반응하여 안정화시키는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종래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2006-0092952호는 아민계 또는 아미드 이미다졸리움(Amideimidazolium)계로 이루어진 물질을 혼합 주입하여 부식을 억제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양이온계, 비이온계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부식유발물질의 성상에 따라 사용하고 있다. 다만 사용량에 있어 생산품의 품질에 영양을 미치지 않을 농도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일부 부식을 감수하면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작은 사용량으로 고효율의 부식억제력을 지니고 제품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부식억제제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석유화학공업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에 적용 가능하고, 특히 산성 및 알칼리성 물질로부터 금속의 부식 억제제로 사용 가능한 신규한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인 신규한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97797010-pat00001
(R1,M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C50 아릴기이고,
R2, R3는 CaH2a(단 a는 1 내지 6의 짝수)이고,
n은 1 내지 99의 정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a) 방향족 화합물 및 클로로알킬계 방향족 화합물을 유기 용매에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혼합용액을 산화환원 촉매 하에서 반응시켜 가교 결합 구조를 갖는 모노머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제조된 가교결합 구조를 갖는 모노머에 알칸올아민계 염을 투입하고 반응시켜 폴리히드록시화 변성된 아민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인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부식억제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97797010-pat00002
(R1,M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C50 아릴기이고,
R2, R3는 CaH2a(단 a는 1 내지 6의 짝수)이고,
n은 1 내지 99의 정수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석유화학공업을 포함한 다양한 용도에 적용 가능하고, 특히 산성 및 알칼리성 물질로부터 금속의 부식 억제제로 사용 가능한 신규한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금속과 점착력이 우수한 고분자 물질을 합성하여 금속의 부식물질과의 접촉을 억제하므로 소량의 주입으로 부식방지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경제적인 운전조건을 제공할 수 있고, 초기 주입으로 금속표면의 코팅에 의해 억제 효과를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운전중 미량 주입에 의해 부식억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종래의 부식억제제 및 유수분리제 등과 혼합하여 사용 가능한 부식방지제 합성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구현예로서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 의 합성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구현예로서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 가 금속과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다양한 구현 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구현예로서 신규한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는 방향족 화합물과 가교제의 결합구조를 가지며, 아민기와 알콜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상기 방향족 화합물이 상기 가교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방향족 화합물에 따라 상기 고분자의 구조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의 매트릭스는 상기 방향족 화합물과 방향족 주쇄 포함 가교제의 반응에 의해 가교 결합구조를 형성하며 모노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에 알칸올아민 염을 첨가하고 반응(중합)시켜 금속 표면을 부식에 영향을 미치는 산성 물질 및 알칼리성 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고분자의 평균 분자량은 중합도와 사용된 방향족 화합물과 클로로알킬계 방향족 화합물에 따라 개질될 수 있다.
상기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97797010-pat00003
(R1,M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C50 아릴기이고,
R2, R3는 CaH2a(단 a는 1 내지 6의 짝수)이고,
n은 1 내지 99의 정수이다)
상기 R1, M은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C50 아릴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6-C14 아릴기일 수 있다. 여기서 치환은 탄화수소 내의 1종 이상의 수소 원자가 각각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치환기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치환기로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F; -Cl; -Br; -CN; -NO2 -OH; -F, -Cl, -Br, -CN, -NO2 또는 -OH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20 알킬기; -F, -Cl, -Br, -CN, -NO2 또는 -OH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20 알콕시기;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F, -Cl, -Br, -CN, -NO2 또는 -OH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30 아릴기;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F, -Cl, -Br, -CN, -NO2 또는 -OH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30 헤테로아릴기;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F, -Cl, -Br, -CN, -NO2 또는 -OH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C20 사이클로알킬기; C1-C20 알킬기, C1-C20 알콕시기, -F, -Cl, -Br, -CN, -NO2 또는 -OH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5-C3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및 -N(G1)(G2)으로 표시되는 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G1 및 G2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수소; C1-C10 알킬기; 또는 C1-C10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6-C30 아릴기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R1은 CaH2a-R4-CaH2a(단 a는 1 내지 6의 짝수)이고, R4
Figure 112015097797010-pat00004
,
Figure 112015097797010-pat00005
,
Figure 112015097797010-pat00006
, 및
Figure 112015097797010-pat00007
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R1은 CH2-R4-CH2이고, 여기서 R4
Figure 112015097797010-pat00008
또는
Figure 112015097797010-pat00009
인 것이 바람직한데, 부식 억제력과 금속 흡착력이 모두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M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단핵,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핵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다핵 방향족 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M은 C6 이상의 고리 구조, 일례로 C6 내지 C5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C6 내지 C14의 고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M은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클로로벤젠, 페놀, 비페닐, 나프탈렌, 플루오렌, 안트라센, 페난트렌, 1,3,5-트리페닐 벤젠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aH2a(단 a는 1 내지 6의 짝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2, R3는 각각 C2H4일 수 있다.
상기 n은 1 내지 99의 정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5인데, 이 범위 내에서 금속 표면의 흡착력을 극대화하여 극소량의 사용량으로 최적의 부식 억제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R3에 결합되어 말단에 유도된 폴리히드록시화 작용기(OH기)가 금속 표면과 우수한 흡착력/부착력을 갖으므로 우수한 부식억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히드록시화 작용기의 갯수는 상기 화학식 1내 n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디히드록시화 작용기, 트리히드록시화 작용기 혹은 멀티히드록시화 작용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히드록시화 작용기를 포함하는 아민계 중합체는 Cl 작용기 50ppm에 대하여 2mpy 이하의 부식력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97797010-pat00010
[화학식 3]
Figure 112015097797010-pat00011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폴리히드로시화 아민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구현예로서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의 합성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S1에서 a) 방향족 화합물 및 클로로알킬계 방향족 화합물을 유기 용매에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벤젠고리 하나에서 세 개까지 가능하고 경제성을 검토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클로로알킬계 방향족 화합물은 가교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1,4-비스(클로로메틸)벤젠 및 4,4'-비스(클로로메틸)-1,1'-비페닐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1,4-비스(클로로메틸)벤젠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다.
상기 클로로알킬계 방향족 화합물은 이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례로 상기 방향족 화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이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나 반응에 사용되는 할로겐을 고려하여 1,2-디클로로메탄 등 할로겐 함유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이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례로 상기 방향족 화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0 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단계 S2에서, b) 혼합용액을 산화환원 촉매하에서 반응시켜 가교 결합 구조를 갖는 모노머를 제조한다
상기 산화환원 촉매는 통상 입수가능한 산화환원 촉매를 사용할 수 있고, 일례로 ZnCl2와 같이 공지된 비산화환원형 촉매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산화환원형 촉매에 의해 -CH2- 가교결합이 산화될 수 있다.
상기 산화환원 촉매는 이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례로 상기 방향족 화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단계 S3에서, c) 제조된 가교결합 구조를 갖는 모노머에 알칸올아민계 염을 투입하고 반응시켜 폴리히드록시화 변성된 아민계 중합체를 제조한다.
상기 알칸올아민계 염으로는 디에탄올아민 소듐염, 트리에탄올아민 디소듐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도 2는 알칸올아민계 염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가 금속표면에 부착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보듯이,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 내 -OH기가 금속표면과 화학결합을 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부식유발물질과 금속표면과의 접촉을 차단하고 강한 결합을 유지하여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산성 물질 또는 알칼리성 물질이 함유된 성분의 이송/반응 공정에 초기 투입하면 다수의 말단 -OH기가 화학결합을 수행하여 금속표면을 코팅하는 효과를 제공하므로 부식억제 효과를 장시간 동안 유지하게끔 하고, 운전 도중 미량 주입하더라도 충분한 부식억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의 부식억제제 및 유수분리제 등과 혼합하여서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반응은 유화중합에서 사용될 수 있는 중합 조건을 사용하여 유화 중합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S1에서, 유기용매에 산화환원 촉매를 투입한 다음 방향족 화합물을 투입하여 용액을 제조하고, 이어서 유기용매에 가교제를 투입하여 별도의 용액을 제조한 다음, 최초 제조한 용액에 별도로 제조한 용액을 점적하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단계 S2에서, 혼합 용액을 일례로 상온에서 불활성 분위기하에 6-18시간 혼합 반응시킨 다음 무기물을 분리해낸다.
그런 다음 상기 단계 S3에서 알칸올아민에 소듐을 첨가한 용액을 준비하고 상기 무기물을 분리하고 잔류한 용액에 첨가하고 일례로 10 내지 30℃에서 6-18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켜 최종 물질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다른 구현예로,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반응식 1 또는 반응식 2에 따른 제조방법일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5097797010-pat00012
[반응식 2]
Figure 112015097797010-pat00013
상기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는 이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례로 중량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10만 g/mol, 혹은 2만 내지 5만 g/mol일 수 있다.
상기 폴리히드로시화 아민계 중합체는 이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례로 점도(20℃)가 100 내지 700 cps, 혹은 300 내지 500 cps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다른 구현예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인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부식억제제가 제공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97797010-pat00014
(R1,M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C50 아릴기이고,
R2, R3는 CaH2a(단 a는 1 내지 6의 짝수)이고,
n은 1 내지 99의 정수이다)
상기 부식억제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150 ppm 이하, 혹은 10 내지 100 ppm의 극소량을 사용하고도 현저히 개선된 부식억제 효과를 장시간에 걸쳐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종래 사용하던 부식억제제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 실시예는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신규한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의 제조>
도 1의 단계S1으로서, 상온에서 1,2-디클로로에탄[알드리치화학, 미국] 40 ㎖에 무수 ZnCl2[알드리치화학, 미국]을 1.36g 첨가한 후 벤젠[알드리치화학, 미국] 0.78g을 첨가하여 용액 1을 제조하였다. 1,2-디클로로에탄 10 ㎖에 1,4-bis (chloromethyl) benzene[알드리치화학, 미국] 1.75g을 첨가하여 용액 2를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 1에 용액 2를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준비하였다.
단계S2로서, 상기 혼합용액을 상온에서 질소분위기 하에서 12시간 동안 혼합하고 에테르[알드리치화학, 미국] 20 ㎖이 들어있는 100㎖ 분별깔대기에 첨가하였다. 상기 100㎖ 분별깔대기에 20㎖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무기물을 정제수로 이동시켜 분리해내었다. 상기 공정에서 과잉으로 공급된 에테르는 증발에 의해 제거하였다.
단계S3로서, 트리에탄올아민[알드리치화학, 미국] 1.49g에 나트륨[알드리치화학, 미국] 0.46g을 첨가한 용액을 상기 에테르를 증발 제거한 용액에 첨가하고 20℃에서 12시간 교반 혼합하였다.
에테르 20 ㎖과 정제수 20㎖을 첨가하여 혼합된 용액을 분별깔대기에 첨가하고 상기 반응 후 용액에 첨가하여 분별깔대기 하단의 용액을 분리하고 상단용액 중 미반응 에테르를 증발시켰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는 더 이상의 정제는 필요하지 않았다. 수득된 물질의 구조를 1R 및 1H NMR을 통해 확인한 결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고 n이 5인 고분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량평균 분자량은 4만 g/mol이었고, 점도(20℃)는 500 cps이었다.
한편, 화학식 1에서, M은 벤젠으로부터 유도된 아릴기이고, R1은 1,4-비스(클로로메틸)벤젠으로부터 유도된 아릴기이고, R2는 C2H4기이고, R3는 CH2기이며, n이 5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은 4만 g/mol이었고, 점도(20℃)는 500 cps인 물질을 준비하였다.
삭제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S3에서 트리에탄올아민 대신에 다이에탄올아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중량평균 분자량은 3만 g/mol이었고, 점도는 450 cps이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S1에서 벤젠 대신에 나프탈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중량평균 분자량은 5만 g/mol이었고, 점도는 550 cps이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단계S1에서 벤젠 대신에 나프탈렌을 사용하고 단계S3에서 트리에탄올아민 대신에 다이에탄올아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중량평균 분자량은 4만 g/mol이었고, 점도는 400 cps이었다.
<평가>
실시예 1 내지 4에서 얻은 화합물과 비교예로써 좋은 성능을 나타내는 Nalco Korea사의 부식억제제 혼합액을 이용하여 0.1 mol HCl 용액에서 부식시험 쿠폰을 이용하여 부식실험을 실시하고 하기 표 1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용량(ppm) 부식율 (단위MPY) 비교예(사용량ppm) 부식율 (단위MPY)
실시예 1 10 19.015 10 21.415
실시예 2 20 17.142 20 19.024
실시예 3 50 12.275 50 14.267
실시예 4 100 9.407 100 10.753
상기 표에서 보듯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구현예들인 실시예 1 내지 4은 실험에 사용한 모든 함량 범위 내에서 비교예 대비 고분자의 부식억제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따른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의 경우 폴리히드록시화의 구조 특성상 금속표면과의 결합력(흡착력)이 우수하여 적은 사용량으로도 높은 부식 억제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타 부식방지제에 비하여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인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
    [화학식 1]
    Figure 112015097797010-pat00016

    (R1,M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C50 아릴기이고,
    R2, R3는 CaH2a(단 a는 1 내지 6의 짝수)이고,
    n은 1 내지 99의 정수이다)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는 산성 물질 또는 알칼리성 물질이 함유된 성분을 이송하거나 반응하는 공정에 부식억제제로 사용되는 폴리히드로시화 아민계 중합체.
  4. a) 방향족 화합물 및 클로로알킬계 방향족 화합물을 유기 용매에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혼합용액을 산화환원 촉매 하에서 반응시켜 가교 결합 구조를 갖는 모노머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제조된 가교결합 구조를 갖는 모노머에 알칸올아민계 염을 투입하고 반응시켜 폴리히드록시화 변성된 아민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로알킬계 방향족 화합물은 1,4-비스(클로로메틸)벤젠 및 4,4'-비스(클로로메틸)-1,1'-비페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칸올아민계 염은 디에탄올아민 소듐염, 및 트리에탄올아민 디소듐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폴리히드록시화는 디히드록시화, 트리히드로시화 혹은 멀티히드록시화인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인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부식억제제:
    [화학식 1]
    Figure 112015097797010-pat00019

    (R1,M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C50 아릴기이고,
    R2, R3는 CaH2a(단 a는 1 내지 6의 짝수)이고,
    n은 1 내지 99의 정수이다)
KR1020150141800A 2015-10-08 2015-10-08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6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800A KR101776034B1 (ko) 2015-10-08 2015-10-08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800A KR101776034B1 (ko) 2015-10-08 2015-10-08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436A KR20170042436A (ko) 2017-04-19
KR101776034B1 true KR101776034B1 (ko) 2017-10-18

Family

ID=5870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800A KR101776034B1 (ko) 2015-10-08 2015-10-08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0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2948A (en) 1980-09-10 1984-06-05 The International Paint Company Limited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hydroxy component, an anhydride component and a catalyst
WO2014060456A2 (en) 2012-10-16 2014-04-24 Basf Se Compositions containing derivatized polyami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2948A (en) 1980-09-10 1984-06-05 The International Paint Company Limited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hydroxy component, an anhydride component and a catalyst
WO2014060456A2 (en) 2012-10-16 2014-04-24 Basf Se Compositions containing derivatized polyam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436A (ko)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2904B2 (ja) 水性溶媒を使用するベンゾオキサジンの製造方法
US10906882B2 (en) Polyfunctional oxetane-based compound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TW200914485A (en) One liquid type cyanate-epoxy composite resin composition
CN101479237A (zh) 2-戊烯腈的氢氰化
US10400065B2 (en) Phthalonitrile resin
US2817644A (en) Process for curing polyepoxides and resulting products
EP2723795A1 (en) Novel liquid curing agents and surfactants
Bălănucă et al. Phenolated oleic acid based polybenzoxazine derivatives as corrosion protection layers
KR101776034B1 (ko) 폴리히드록시화 아민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lfout et al. Recent advances in bio-based polybenzoxazines as an interesting adhesive coating
JP3424513B2 (ja) アクリルゴム用酸化防止剤
CN107522623B (zh) 一种二苯胺类橡胶防老剂的制备方法
WO2013173319A1 (en) Acrylic adhesion promoters comprising phosphonic acid and acrylic acid ester|groupings
US4284746A (en) Perfluoroalkyl-substituted amines as epoxy resin curing agents
JP2017508871A (ja) 濃縮された直鎖テトラミン由来のビスイミダゾリン化合物を含む腐食防止組成物
TWI557100B (zh) 用於可熱固樹脂組成物之硬化劑
CA2031398A1 (en) Propargyl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JP2009084439A (ja) ベンゾオキサジン環構造を有する熱硬化性樹脂の製造方法
Bacskai et al. Hydrocarbon‐soluble alkylaniline/formaldehyde oligomers as corrosion inhibitors
JPH05500079A (ja) シアナト含有フェノール樹脂の製造方法
US10934243B2 (en) Catalyst composition for a producing process of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salt and its derivatives from carbon dioxide and olefin
JP2006321834A (ja) ウレタン樹脂用硬化剤
JP4620659B2 (ja) 水溶性フェニレンジアミン組成物並びにエチレン性不飽和化合物及びモノマーを安定化する方法
EP0325059A2 (en) Polymerization inhibitor composition for vinyl aromatic compounds
NL1038104C2 (en) Heat-resistant, chemical resistant, room temperature curable, solvent-free resin compositions to apply as protective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