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385B1 - 망고스틴 크산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망고스틴 크산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385B1
KR101775385B1 KR1020160121529A KR20160121529A KR101775385B1 KR 101775385 B1 KR101775385 B1 KR 101775385B1 KR 1020160121529 A KR1020160121529 A KR 1020160121529A KR 20160121529 A KR20160121529 A KR 20160121529A KR 101775385 B1 KR101775385 B1 KR 101775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gostin
vascular calcification
mangosteen
composition
garta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수
김동욱
진영원
김희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160121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고스틴의 크산톤 화합물인 알파-망고스틴(α-mangostin), 감마-망고스틴(γ-mangostin) 및 가타닌(gartanin) 중 1가지 종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혈관 석회화 관련 유전자인 Runx2, osteopontin 및 sm22a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혈관 석회화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망고스틴 크산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 억제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NHIBITION OF VASCULAR CALCIFICATION COMPRISING MANGOSTEEN XANTHONE AS AN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망고스틴의 크산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망고스틴의 크산톤 화합물인 알파-망고스틴(α-mangostin), 감마-망고스틴(γ-mangostin) 및 가타닌(gartanin) 중 1가지 종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혈관 석회화 관련 유전자인 Runx2, osteopontin 및 sm22a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혈관 석회화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과잉 에너지 섭취에 의한 대사 불균형은 인체 항상성을 파괴하여 여러 질병을 유도한다. 대표적인 질병으로는 대사성질환,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신장질환 및 만성 신부전 등이 있으며 이들의 발병에 혈관 석회화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혈관 석회화는 뼈와 연조직에 인산칼슘과 같은 무기질이 침착되는 현상을 말한다. 혈관, 신장, 뇌, 심장, 폐 등의 연조직에서의 석회화는 비정상부위 석회화로서, 뼈나 치아와 같이 정상적으로 석회화가 되는 부위와는 달리 병적인 질환의 특징을 갖는다. 일 예로, 관상동맥을 포함한 광범위한 혈관 석회화는 말기 신장질환 환자에서 흔히 관찰된다.
Notch 경로는 진화적으로 잘 보존된 세포와 세포사이의 신호전달계로 세포의 운명이나 심혈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신호전달계 구성에서는 다섯가지 리간드 및 네 가지 수용체가 알려져 있는데, 리간드로는 Jagged-1, Jagged-2, delta-like 1, delta-like 3 및 delta-like 4가 있고, 수용체로는 N1~N4가 있다. N1의 돌연변이는 대동맥판의 석회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대동맥판 석회화 동물 모델에서 Runx2 인자의 발현이 증가된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혈관 석회화와 연관성이 있는 유전자들이 형질전환 동물을 통해 밝혀지고 있는데, 그 중 osteopontin 은 뼈를 구성하는 비교원성 단백질로서 혈관 석회화 억제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또한, sm22a는 성인 평활근의 마커로서 배발생 동안 다양한 근원성 계통에서 발현되는 인자이다.
본 발명자들은 망고스틴의 크산톤 화합물을 이용하여 혈관 석회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고, 혈관 석회화 세포 모델에서 지표 인자로서의 Runx2, osteopontin 및 sm22a의 발현을 관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주요 성분인 망고스틴의 크산톤 화합물에 대해 간략히 살펴본다.
망고스틴(Garcinia mangostana L.)은 말레이시아가 원산지인 과일 나무로, 열매는 약간 납작한 공 모양으로 지름이 4~7 cm이며 자줏빛을 띤 검은색으로 익는다.
크산톤(xanthone)은 구조적으로 antharaquinones과 관련된 화합물로서, 망고스틴 열매의 껍질에서는 9-desoxygratanin, gartanin, garcinone E, tovophyllin A, α-mangostin 및 γ-mangostin 등의 크산톤 화합물이 분리 정제될 수 있다.
학술적으로는, α-mangostin 및 γ-mangostin이 사람 간 마이크로좀(HLMs)에서 약물의 주 대사효소로 알려져 있는 CYPs 및 UGTs에 대한 활성평가세어 CYP2C9 및 UGT1A1에 대한 강한 대사저해효과를 나타낸 것이 보고되었다. (비특허문헌 1) 또한, α-mangostin이 각질형성세포에서 Kratin1, Involucrin, Loricrin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고 손톱윤기를 개선하는 것이 보고되었다.(비특허문헌 2) 또한, 망고스틴의 추출물이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것이 보고되었다. (비특허문헌 3)
선행특허문헌을 보면, 감마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특허문헌 1), 알파 또는 감마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췌장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특허문헌 2) 및 알파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교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특허문헌3)이 공개된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크산톤 화합물 중에서 α-mangostin, γ-mangostin 및 gartanin에 주목하여 실험을 진행한바, 상기 특허 및 비특허 문헌에서는 α-mangostin, γ-mangostin 및 gartanin의 혈관 석회화 억제 기능성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된바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1에는 α-mangostin, γ-mangostin 및 gartanin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2871호 (2014.12.1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3648호 (2016.09.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2988호 (2016.03.25.)
망고스틴 추출물과 주 구성성분들에 의한 CYP450과 UGT를 경유한 대사능 저해 효과(공은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6.02) 각질형성세포에서 알파망고스틴의 Kratin1, Involucrin, Loricrin 유전자 발현 촉진 및 손톱윤기 개선 효과(고정민 외 2인, 한국피부미용학회지, 2015.12) 망고스틴 추출물의 생리활성, 항균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박윤점 외 5인, 원예과학기술지, 2009.05.)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망고스틴의 크산톤 화합물 알파-망고스틴(α-mangostin), 감마-망고스틴(γ-mangostin) 및 가타닌(gartanin)을 이용하여 혈관 석회화를 억제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알파-망고스틴(α-mangostin), 감마-망고스틴(γ-mangostin) 및 가타닌(gartanin) 중 1가지 종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여, 해결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특히, 상기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가타닌(gartanin)의 농도는, 0.5 ~ 1ug/ml (토끼 평활근 세포 4x105cells/well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Runx2의 발현을 억제하고, osteopontin 및 sm22a의 발현을 증진함으로써 혈관 석회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알파-망고스틴(α-mangostin), 감마-망고스틴(γ-mangostin) 및 가타닌(gartanin) 중 1가지 종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여, 해결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합성 약물의 부작용을 갖고 있지 않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혈관 석회화를 억제하여 혈관 석회화로 야기되는 질환들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른 질병의 합병증으로 발생될 수 있는 혈관 석회화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Runx2의 발현을 억제하고, osteopontin 및 sm22a의 발현을 증진함으로써 혈관 석회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α-mangostin, γ-mangostin 및 gartanin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무기인(Pi), α-mangostin, γ-mangostin 및 gartanin을 처리한 후에, 세포를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무기인(Pi), α-mangostin, γ-mangostin 및 gartanin을 처리한 후에, realtime PCR을 수행하여, 혈관 석회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험예 또는 참고예 등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알파-망고스틴(α- mangostin ), 감마-망고스틴(γ- mangostin ) 및 가타닌(gartanin) 중 1가지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 실험예의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알파-망고스틴(α-mangostin), 감마-망고스틴(γ-mangostin) 및 가타닌(gartanin) 중 1가지 종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이다.
각 유효성분의 농도는 하기 실험예에 근거하여 볼 때, 토끼 평활근 세포 4x105cells/well 기준으로 0.5 ~ 1ug/ml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을 추가하여 약제학적 단위 투여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담체, 부형제, 희석제로는 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투여 형태는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 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투여 형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은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 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 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알파-망고스틴(α- mangostin ), 감마-망고스틴(γ- mangostin ) 및 가타닌(gartanin) 중 1가지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 실험예의 실험 결과에 근거하여, 알파-망고스틴(α-mangostin), 감마-망고스틴(γ-mangostin) 및 가타닌(gartanin) 중 1가지 종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다.
각 유효성분의 농도는 하기 실험예에 근거하여 볼 때, 토끼 평활근 세포 4x105cells/well 기준으로 0.5 ~ 1ug/ml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식품 보조 첨가제를 추가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또는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외의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에 향미제로써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1. 실험준비 및 실험방법
[토끼 혈관 평활근 세포 배양]
토끼 혈관 평활근 세포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low) + 10% Fetal bovine serum (FBS) + 1% Penicillin/Streptomycin 배양액에서 배양하였으며, 항상 5% CO2와 37℃가 유지되어 있는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Passage number 4에서 6사이로만 사용하였다.
[석회화 유도]
석회화 유도는 DMEM high glucose + 10% Fetal bovine serum (FBS) + 1% Penicillin/Streptomycin 배양액을 사용한다.
토끼 혈관 평활근 세포를 24 well plate에 4x105 cells/well 비율로 채워넣은 후에 하루동안 안정화시킨다. well이 꽉 찬것을 확인한 후에, 무기인(inorganic phosphate)를 5mM 농도로 처리하고, 2일마다 배지를 갈아주고, 4일째 되는날 샘플링을 실시한다.
[시료처리]
모든 시료는 DMSO에 녹여서 사용하였으며, 알파-망고스틴(α-mangostin), 감마-망고스틴(γ-mangostin) 및 가타닌(gartanin)은 0.5, 1 ug/ml 무기인(Pi) 처리와 동시에 처리하였다.
[ Von kossa staining]
Pi 처리 4일째 되는 날 배지를 버리고 4% paraformaldehyde로 RT에서 15분 동안 고정한 후 3차수로 잘 씻어준다. 5% silver nitrate(3차수에 녹임)를 처리하여 15분 동안 UV를 쬐어준다.
[현미경 관찰]
4일째 되는 날 세포를 고정하고 5% silver nitrate 로 염색하여 현미경(40x)로 관찰하였다.
[ Realtime PCR ]
QIAzol(Qiagen)을 사용하여 매뉴얼로 RNA를 얻어 RevertAid Reverse Transcriptase kit(Thermo)을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cDNA로 Realtime PCR 장비(ABI)를 이용하여 각 유전자들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RUNX2 :
For : 5'-CCTCTGACTTCTGCCTCTGG- 3', Rev : 5'-GACTGGCGGGGTGTAAGTAA-3'
SM22a :
For : 5'-AAGTACGACGAGGAGCTGGA-3', Rev : 5'-CCTTGACTGGCTTGGAACTC-3'
osteopontin :
For : 5'- CCACGTCTCTAATGCCCAGT-3', Rev : 5'-CTGTCCTTCTCCTGGCTGTC-3'
Normalization gene
18S rRNA
For : 5'-AAACGGCTACCACATCCAAG-3', Rev : 5'-CCTCCAATGGATCCTCGTTA-3'}
[통계 분석]
실험 결과는 3회 이상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기초로 Mean ± SE로 나타내었다. 실험결과에 대한 통계처리는 SPSS 분석프로그램의 one way ANOVA에 준하였고, Duncan method로 사후검증을 하였다. p-value가 0.05 미만일 경우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실험예 1. 실험결과
[세포 관찰결과]
도 2 및 도 3은 무기인(Pi), α-mangostin, γ-mangostin 및 gartanin을 처리한 후에, 세포를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험결과, 무기인을 단독으로 처리한 군에서는 혈관 석회화가 관찰되었으나, α-mangostin, γ-mangostin 또는 gartanin을 함께 처리한 군에서는 혈관 석회화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0.5 ug/ml를 처리한 군보다는 1ug/ml를 처리한 군에서 더욱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전자 발현 분석결과]
도 4 내지 도 6은 무기인(Pi), α-mangostin, γ-mangostin 및 gartanin을 처리한 후에, realtime PCR을 수행하여, 혈관 석회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각 성분을 0.5 ug/ml 투여한 결과)
실험결과, 혈관 석회화 과정에서 발현이 증가되는 Runx2 인자의 발현이 무기인 단독 처리군에 비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혈과 석회화 억제 효과가 있는 osteopontin 인자의 발현은 무기인 단독 처리군에 비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상적 평활근 세포의 마커인 sm22a의 발현은 무기인 단독 처리군에 비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알파-망고스틴(α-mangostin), 감마-망고스틴(γ-mangostin) 및 가타닌(gartanin) 중 1가지 종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파-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가타닌(gartanin)의 농도는,
    0.5 ~ 1ug/ml (토끼 평활근 세포 4x105cells/well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Runx2의 발현을 억제하고, osteopontin 및 sm22a의 발현을 증진함으로써 혈관 석회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4. 알파-망고스틴(α-mangostin), 감마-망고스틴(γ-mangostin) 및 가타닌(gartanin) 중 1가지 종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60121529A 2016-09-22 2016-09-22 망고스틴 크산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 억제용 조성물 KR101775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529A KR101775385B1 (ko) 2016-09-22 2016-09-22 망고스틴 크산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529A KR101775385B1 (ko) 2016-09-22 2016-09-22 망고스틴 크산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385B1 true KR101775385B1 (ko) 2017-09-06

Family

ID=5992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529A KR101775385B1 (ko) 2016-09-22 2016-09-22 망고스틴 크산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3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545A (ko) 2019-11-12 2021-05-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원형 RNA Samd4a를 포함하는 혈관 석회화의 치료 또는 진단용 조성물
KR20210074722A (ko) 2019-12-12 2021-06-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원형 RNA Smoc1를 포함하는 혈관 석회화의 치료 또는 진단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8465A1 (en) 2006-05-10 2007-11-15 Dsm Ip Assets B.V. Xanthone derivative for the treatment of muscular disorders
WO2015127512A1 (en) 2014-02-26 2015-09-03 Deakin University Xanthone-rich plant extracts or compounds therefrom for modulating disease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related disord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8465A1 (en) 2006-05-10 2007-11-15 Dsm Ip Assets B.V. Xanthone derivative for the treatment of muscular disorders
WO2015127512A1 (en) 2014-02-26 2015-09-03 Deakin University Xanthone-rich plant extracts or compounds therefrom for modulating disease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related disorder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 J. Aesthet. Cosmetol.,Vol. 13 No. 6, 935-940, December 2015
Research in Veterinary Science (2012), 93(2), pp. 788-794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545A (ko) 2019-11-12 2021-05-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원형 RNA Samd4a를 포함하는 혈관 석회화의 치료 또는 진단용 조성물
KR102331735B1 (ko) 2019-11-12 2021-11-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원형 RNA Samd4a를 포함하는 혈관 석회화의 치료 또는 진단용 조성물
KR20210074722A (ko) 2019-12-12 2021-06-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원형 RNA Smoc1를 포함하는 혈관 석회화의 치료 또는 진단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261B1 (ko) 지방 분해 촉진 조성물
KR20180026311A (ko) 울릉국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포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789424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75385B1 (ko) 망고스틴 크산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석회화 억제용 조성물
JP6581721B2 (ja) 脂溶性ポリフェノール成分が増加した生薬組成物の製造方法、前記方法で製造された生薬組成物、及びその用途
CN111356468A (zh) 包含黃漆木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预防或治疗纤维化疾病的组合物
KR20140077483A (ko) 갯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7731994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tecting neurons comprising extract of lithospermum erythrothizon SIEB. ET. Zucc or acetylshikonin isolated therefrom as an effective ingredient
KR20190088383A (ko)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섬유증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30904B1 (ko) 히알루로니다제를 포함하는 흑색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9345733B1 (en) Supplement composition for supporting telomere maintenance and protection and method of use
KR102205078B1 (ko)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278748B2 (en) Endothel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US20080050426A1 (en) Method For Preparing Extract From Wild Ginseng Showing Anticancer Activity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2012116766A (ja) Cgrp応答性抑制剤
KR101852583B1 (ko) 현사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 예방용 조성물
KR101646002B1 (ko) 주박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32817B1 (ko) 녹영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6969041B2 (ja) 血管内皮型一酸化窒素合成酵素産生促進剤及び経口用組成物
KR102496864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191452B1 (ko) 곶감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 허혈 재관류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30059661A (ko) 파낙스 속 식물 가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식품첨가물
KR102154145B1 (ko) 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40056714A (ko) 세포 활성화 효능을 통한 항노화 기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KR20170140651A (ko) 하니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