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497B1 -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497B1
KR101774497B1 KR1020170020027A KR20170020027A KR101774497B1 KR 101774497 B1 KR101774497 B1 KR 101774497B1 KR 1020170020027 A KR1020170020027 A KR 1020170020027A KR 20170020027 A KR20170020027 A KR 20170020027A KR 101774497 B1 KR101774497 B1 KR 101774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current
relay
motor
voltage
intermit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열
한정협
Original Assignee
미사엔지니어링(주)
대지철강농자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사엔지니어링(주), 대지철강농자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사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70020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H02H7/085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avoiding response to transient overloads, e.g. during star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3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for electric motors with control arrangements
    • H02H7/083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for electric motors with control arrangements with H-bridge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 H02H7/085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sure taken
    • H02H7/085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excessive load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sure taken by reversing, cycling or reducing the power supply to the mo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ction Of Generators A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에 비정상적으로 과부하가 걸리면 먼저 전원공급을 중지하고 경보음을 발생시킨 후 작업자가 정역 모터를 역회전시켰다가 정회전시킬 수 있는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는, 상용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브릿지 정류부; 직류 모터에 연결되는 과전류 검출 코일과, 상기 과전류 검출 코일에 흐르는 과전류에 응동하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과전류 검출 릴레이; 상기 과전류 검출 릴레이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과전류를 표시하는 과전류 표시용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과전류 표시부; 상기 과전류 표시용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직류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기 위한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부; 상기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하도록 구성된 경보부; 방향 전환 릴레이 코일에 흐르는 구동 전류를 단속하고, 상기 과전류 표시부의 홀딩 상태를 해제하며, 일시 정지 중인 상기 단속 릴레이를 재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리셋부; 상기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직류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도록 구성된 단속 릴레이; 상기 단속 릴레이의 코일 양단에 병렬연결되고 턴온되면 상기 직류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일시정지 스위치; 및 상기 리셋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직류 모터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된 방향전환 릴레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FORWARD ROTATION/REVERSE ROTATION CONTROLLING APPARATUS OF DC MOTOR FOR AIR COOLING WINDOW OF VINYL GREEN HOUSE}
본 발명은 농업용 비닐하우스 환기창 계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재배나 가축의 사육을 위해 마련되는 비닐하우스에는 온도 조절과 환기를 목적으로 하는 환기창이 설치된다.
이때 비닐하우스의 환기창은 수작업으로 개폐 가능한 것이나, 수작업으로 환기창을 개폐하기에는 상당한 번거로움이 따르므로 대다수의 비닐하우스에는 별도의 개폐 장치가 설치되어 개폐 장치를 통해 환기창의 자동 개폐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 장치는 대개 정역모터부 회전을 통해 구동축을 회전시켜 구동축에 연결되는 환기창의 권취봉을 감아 올리거나 감아 내림으로써 환기창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 장치는 비닐하우스의 특성상 비닐하우스의 길이에 해당하는 30 내지 50미터 정도의 파이프로 비닐을 둘둘 말아 올리거나 풀어 내리기 때문에 파이프의 연결 상태나 파이프의 재질에 따라 파이프의 비틀림 현상이 있을 수 있다. 즉, 파이프의 비틀림 현상으로 인해 말아 올려지는 비닐 전체가 일정하게 감기는 것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에는 말아 올려진 비닐의 일부분을 역회전시킨 후 다시 정회전시키면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6-0083987호 비닐하우스용 전동 환기구 등록특허 10-0793353호 비닐하우스 개폐기의 회전수 제어장치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에 비정상적으로 과부하가 걸리면 먼저 전원공급을 중지하고 경보음을 발생시킨 후 작업자가 정역 모터를 역회전시켰다가 정회전시킬 수 있는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는, 상용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브릿지 정류부; 직류 모터에 연결되는 과전류 검출 코일과, 상기 과전류 검출 코일에 흐르는 과전류에 응동하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과전류 검출 릴레이; 상기 과전류 검출 릴레이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과전류를 표시하는 과전류 표시용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과전류 표시부; 상기 과전류 표시용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직류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기 위한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부; 상기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하도록 구성된 경보부; 방향 전환 릴레이 코일에 흐르는 구동 전류를 단속하고, 상기 과전류 표시부의 홀딩 상태를 해제하며, 일시 정지 중인 상기 단속 릴레이를 재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리셋부; 상기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직류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도록 구성된 단속 릴레이; 상기 단속 릴레이의 코일 양단에 병렬연결되고 턴온되면 상기 직류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일시정지 스위치; 및 상기 리셋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직류 모터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된 방향전환 릴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과전류 표시부는, 상기 리드 스위치 양단에 접속되어 상기 리드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과전류 표시 전압을 제공하는 과전류 표시 전압 제공부; 상기 브릿지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제1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제1 기준 전압 제공부; 상기 과전류 표시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 표시용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부; 및 상기 제1 비교부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과전류 표시용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과전류 표시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부는, 상기 브릿지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제2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제2 기준 전압 제공부; 상기 과전류 표시용 신호를 소정의 제1 시정수로 충전하고, 소정의 제2 시정수로 방전하는 과전류 표시용 보정 신호를 제공하는 과전류 표시 보정 전압 제공부; 상기 제2 기준 전압과 상기 과전류 표시용 보정 신호를 비교하여 단속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부; 상기 단속 제어 신호에 제어되어 스위칭하는 단속 릴레이 구동부; 및 상기 제1 비교부의 반전 입력 단자로부터 상기 제2 비교부의 출력측으로 순방향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되는 제9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시정수가 상기 제2 시정수보다 크다.
또한, 상기 경보부는, 상기 단속 릴레이 구동부와 병렬연결되는 분압 저항부; 상기 분압 저항부의 분압전압에 제어되는 스위칭소자; 및 상기 스위칭소자의 출력에 직렬연결되는 부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셋부는, 상기 방향 전환 릴레이와 상기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상기 제2 비교기의 반전 입력 단자로부터 제1 스위치의 일단으로 순방향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되는 제7 다이오드; 및 상기 단속 릴레이의 코일 타단부와 상기 제1 스위치의 일단 사이에 연결된 제5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에 비정상적으로 과부하가 걸리면 먼저 전원공급을 중지하고 경보음을 발생시킨 후 작업자가 정역 모터를 역회전시켰다가 정회전시킴으로써 환기창 개폐 장치의 망실을 방지하고, 정역 모터의 고장을 예방하며, 경보음을 통해 작업자에게 환기창의 개폐 상태를 환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맥동 단파 발생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회로는, 상용 교류 전원(100), 브릿지 정류부(105), 과전류 검출 릴레이(110), 과전류 표시부(115),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부(120), 경보부(125), 리셋부(130), 일시정지 스위치(135), 단속 릴레이(140), 정전압부(145), 방향 전환 릴레이(150), 및 직류 모터(155)를 포함한다.
브릿지 정류부(105)는 상용 교류 전원(100)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여 출력한다.
과전류 검출 릴레이(110, RL3)는 직류 모터(155)에 연결되는 과전류 검출 코일과 과전류 검출 코일에 흐르는 과전류에 응동하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며, 과전류 검출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 값을 초과하면 리드 스위치가 턴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과전류 검출 릴레이(110)는 리드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현 가능한바, 리드 스위치 외부에 직류 모터(155)에 부하 전류가 흐르는 코일을 배치시켜 코일에 소정 값을 초과하는 과전류가 흐르면 리드 스위치 내 접점이 접촉되는 구조이며, 과전류 검출 릴레이(110)는 직류가 흐를 때에는 접촉이 지속되는 한편, 교류 또는 맥류가 흐를 때에는 60Hz의 상반주기와 하반주기에서 각각 단속되므로 초당 120회 단속된다.
과전류 표시부(115)는 과전류 검출 릴레이(110)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과전류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과전류 표시부(115)는 과전류 표시 전압 제공부(R11, R12, D10, C5), 제1 기준 전압 제공부(R13, R14), 제1 비교부(Comp1) 및 과전류 표시등(LED)을 포함한다.
과전류 표시 전압 제공부(R11, R12, D10, C5)는 리드 스위치 양단에 접속되어 리드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과전류 표시 전압을 제공한다.
제1 기준 전압 제공부(R13, R14)는 브릿지 정류부(105)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제1 기준 전압을 제공한다.
제1 비교부(Comp1)는 과전류 표시 전압과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 표시용 신호를 출력한다.
과전류 표시등(LED)은 제1 비교부(Comp1)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고 과전류 표시용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된다.
리드 스위치의 오프시 제1 비교부(Comp1)의 반전 단자(-) 입력 전압이 비반전 단자(+) 입력 전압보다 0.5볼트 정도 높도록 제11 내지 제14 저항(R11, R12, R13, R14)의 저항값이 선정된다.
리드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거나 온/오프를 반복하는 경우, 제1 비교부(Comp1)는 "H"레벨 상태의 과전류 표시용 신호를 출력하고, 리드 스위치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제1 비교부(Comp1)는 "L"레벨 상태의 정상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비교부(Comp1)가 "H"레벨 상태 신호의 과전류 표시용 신호를 출력하면, 과전류 표시등(LED)이 점등된다.
여기서, 제10 저항(R10)은 과전류 표시등(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전류 제한 저항기이다.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부(120)는 과전류 표시용 신호를 이용하여 직류 모터(155)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기 위한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단속 제어부(120)는 제2 기준 전압 제공부(R6, R7), 과전류 표시 보정 전압 제공부(D8, R8, R9, C4), 제2 비교부(Comp2), 단속 릴레이 구동부(R4, TR2), 동작 유지부(R4, C3), 및 상태 유지부(D9)를 포함한다.
제2 기준 전압 제공부(R6, R7)는 브릿지 정류부(105)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제2 기준 전압을 제공한다.
과전류 표시 보정 전압 제공부(D8, R8, R9, C4)는 과전류 표시용 신호를 제4 캐패시터(C4)에 C4, R9에 의한 소정의 제1 시정수로 충전하고, 제4 캐패시터(C4)에 충전된 전압을 C4, R8에 의한 소정의 제2 시정수로 방전하기 위한 과전류 표시용 보정 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1 시정수는 제2 시정수보다 크다. 즉, 제1 시정수를 길게 하여 제4 캐패시터(C4)의 충전을 느리게 함으로써 모터 기동 및 일시적인 과부하(과전류)에 대하여 단속 릴레이(140)가 민감하게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시정수를 짧게 하여 모터 기동 및 일시적인 과부하 후에 제4 캐패시터(C4)를 속히 방전시킴으로써 신속히 리셋시킬 수 있다.
제2 비교부(Comp2)는 제2 기준 전압과 과전류 표시용 보정 신호를 비교하여 단속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2 비교부(Comp2)의 반전 입력 단자(-)에 "H" 레벨 상태가 입력되어 비반전 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제2 기준전압보다 반전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과전류 표시용 보정 신호의 레벨이 높아지면 "L" 레벨 상태 신호를 출력한다.
단속 릴레이 구동부(R4, TR2)는 단속 제어 신호에 제어되어 스위칭하는 제2 트랜지스터(TR2)를 포함한다. "H" 레벨 상태의 단속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트랜지스터(TR2)가 턴온되면 제2 트랜지스터(TR2)에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 신호가 흘러 단속 릴레이 코일이 여자되므로 직류 모터(155)에 전류가 흐르고, "L" 레벨 상태의 단속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트랜지스터(TR2)가 턴오프되면 제2 트랜지스터(TR2)에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 신호가 흐르지 않아 단속 릴레이 코일이 소자되므로 직류 모터(155)에 전류가 흐르는 것이 차단된다.
동작 유지부(R4, C3)는 단속 릴레이(RL2) 코일에 동작 전류가 흐르는 순간, 제3 캐패시터(C3)를 통해 돌입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르도록 하여 단속 릴레이(RL2) 코일 양단에 충분한 구동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제3 캐패시터(C3)에 충전이 완료되면 병렬연결된 제4 저항(R4)를 통해 구동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단속 릴레이(RL2)가 턴온 동작을 유지토록 한다. 단속 릴레이(RL2)가 직류형 릴레이이므로 정격전압의 80% 이상이면 턴온되고, 턴온상태에서 20% 이하로 강하되어야 턴오프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동작 유지부를 통해 낮은 전류로 온 상태를 유지시키면 전력 소모가 적고, 릴레이 코일에서 발생되는 열도 감소되는 유리한 면이 있다.
한편, 상태유지부(D9)는 제1 비교부(Comp1)의 반전 입력 단자(-)로부터 제2 비교부(Comp2)의 출력측으로 순방향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된 제9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제2 비교부(Comp2)의 출력이 "L"레벨 상태인 동안 제1 비교부(Comp1)의 반전 입력 단자(-)를 "L"레벨 상태가 되게 하여 제1 비교부(Comp1)의 출력이 "H"레벨 상태를 유지시킨다.
RL3 Comp1 (-)단자 Comp1 출력 Comp2 출력 RL2
ON, ON/OFF 반복 L H L OFF
OFF H L H ON
경보부(125)는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하는 부저(BZ)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경보부(125)는 단속 릴레이 구동부(R4, TR2)와 병렬연결되는 분압 저항부(R2, R3)와, 분압 저항부(R2, R3)의 분압 전압(VR3)에 제어되는 제1 트랜지스터(TR1) 그리고 제1 트랜지스터(TR1)의 출력에 직렬연결되는 부저(BZ)를 포함한다. 즉,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 신호가 흐르면 분압 전압(VR3)이 제1 트랜지스터(TR1)를 턴온시킬 만큼 베이스-에미터 전압(VBE)이 충분히 높지 않아 제1 트랜지스터(TR1)가 턴오프되므로 부저(BZ)가 동작하지 않고,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 신호가 흐르지 않으면 분압 전압(VR3)이 제1 트랜지스터(TR1)를 턴온시킬 만큼 베이스-에미터 전압(VBE)이 충분히 높아 제1 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므로 부저(BZ)가 동작한다.
리셋부(130)는 방향 전환 릴레이(150) 코일에 흐르는 구동 전류를 단속할 수 있고, 과전류 표시부(115)의 홀딩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일시 정지 중인 단속 릴레이(140)를 재동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셋부(130) 내 제1 스위치(S1)는 브릿지 정류부(105)의 출력단에 연결된 방향 전환 릴레이(150) 코일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스위치(S1)가 온 상태이면, 방향 전환 릴레이(150) 코일에 구동전류가 흐르게 된다. 또한, 제1 스위치(S1)가 온 상태이면, 제2 비교기(Comp2)의 반전 입력 단자(-)로부터 제1 스위치(S1)의 일단으로 순방향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된 제7 다이오드(D7)를 통해 전류가 흘러 과전류 표시부(115)의 "H" 레벨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제1 스위치(S1)가 온 상태이면, 단속 릴레이(140) 코일의 타단부로부터 제1 저항(R1) 및 제5 다이오드(D5)를 통해 단속 릴레이(140) 코일 구동 전류가 흐르게 되어 직류 모터(155)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일시정지 스위치(135)는 단속 릴레이(140) 코일의 양단에 병렬연결되고, 일시정지 스위치(135)를 누르면, 온 상태를 유지 중인 단속 릴레이(140) 코일이 소자되어 직류 모터(135)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된다.
정전압부(145)는 브릿지 정류부(105)의 출력 전압을 정전압으로 유지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상용 교류 전원
105: 브릿지 정류부
110: 과전류 검출 릴레이
115; 과전류 표시부
120: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부
125: 경보부
130: 리셋부
135: 일시정지 스위치
140: 단속 릴레이
145: 정전압부
150: 방향 전환 릴레이
155: 직류 모터

Claims (6)

  1. 상용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브릿지 정류부;
    직류 모터에 연결되는 과전류 검출 코일과, 상기 과전류 검출 코일에 흐르는 과전류에 응동하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과전류 검출 릴레이;
    상기 과전류 검출 릴레이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과전류를 표시하는 과전류 표시용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과전류 표시부;
    상기 과전류 표시용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직류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기 위한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부;
    상기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경보하도록 구성된 경보부;
    방향 전환 릴레이 코일에 흐르는 구동 전류를 단속하고, 상기 과전류 표시부의 홀딩 상태를 해제하며, 일시 정지 중인 상기 단속 릴레이를 재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리셋부;
    상기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직류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단속하도록 구성된 단속 릴레이;
    상기 단속 릴레이의 코일 양단에 병렬연결되고 턴온되면 상기 직류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일시정지 스위치; 및
    상기 리셋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직류 모터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된 방향전환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과전류 표시부는,
    상기 리드 스위치 양단에 접속되어 상기 리드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과전류 표시 전압을 제공하는 과전류 표시 전압 제공부;
    상기 브릿지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제1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제1 기준 전압 제공부;
    상기 과전류 표시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과전류 표시용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부; 및
    상기 제1 비교부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과전류 표시용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과전류 표시등
    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 릴레이 구동 제어부는,
    상기 브릿지 정류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제2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제2 기준 전압 제공부;
    상기 과전류 표시용 신호를 소정의 제1 시정수로 충전하고, 소정의 제2 시정수로 방전하는 과전류 표시용 보정 신호를 제공하는 과전류 표시 보정 전압 제공부;
    상기 제2 기준 전압과 상기 과전류 표시용 보정 신호를 비교하여 단속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비교부;
    상기 단속 제어 신호에 제어되어 스위칭하는 단속 릴레이 구동부; 및
    상기 제1 비교부의 반전 입력 단자로부터 상기 제2 비교부의 출력측으로 순방향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되는 제9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정수가 상기 제2 시정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상기 단속 릴레이 구동부와 병렬연결되는 분압 저항부;
    상기 분압 저항부의 분압전압에 제어되는 스위칭소자; 및
    상기 스위칭소자의 출력에 직렬연결되는 부저
    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부는,
    상기 방향 전환 릴레이와 상기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상기 제2 비교부의 반전 입력 단자로부터 상기 제1 스위치의 일단으로 순방향 전류가 흐르도록 배치되는 제7 다이오드; 및
    상기 단속 릴레이의 코일 타단부와 상기 제1 스위치의 일단 사이에 연결된 제5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
KR1020170020027A 2017-02-14 2017-02-14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 KR101774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027A KR101774497B1 (ko) 2017-02-14 2017-02-14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027A KR101774497B1 (ko) 2017-02-14 2017-02-14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497B1 true KR101774497B1 (ko) 2017-09-04

Family

ID=5992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027A KR101774497B1 (ko) 2017-02-14 2017-02-14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4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660A (ko) * 2018-08-31 2020-03-10 권의정 비닐하우스단지 자동개폐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3055175A1 (ko) * 2021-10-01 2023-04-06 이백산 블록식 pcb 기판 기반의 스마트팜 제어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175A (ja) * 2000-05-12 2001-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バ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7175A (ja) * 2000-05-12 2001-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バー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660A (ko) * 2018-08-31 2020-03-10 권의정 비닐하우스단지 자동개폐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16884B1 (ko) * 2018-08-31 2020-05-29 권의정 비닐하우스단지 자동개폐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3055175A1 (ko) * 2021-10-01 2023-04-06 이백산 블록식 pcb 기판 기반의 스마트팜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00190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urrent supply and the static capacitance of a compressor
KR101774497B1 (ko)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용 정역 모터 제어 장치
ES2836807T3 (es) Interruptor electrónico de protección
GB2190807A (en) Method of ventilation or heat transfer
JP2008225574A (ja) 2線式スイッチ装置
KR101270450B1 (ko) 자동 배기댐퍼
US20170179811A1 (en) Electronic circuit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circuit
US9501050B2 (en) DC thermostat with low battery response
CN110286556A (zh) 一种幕布控制方法和控制机构
US201501306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JP2006296304A (ja) 園芸用ハウスの換気装置および換気制御方法
JP2007129867A (ja) 突入電流制限回路用リレー制御方法および突入電流制限回路用リレー制御装置
KR101794167B1 (ko) 환기창 개폐용 직류 모터 제어 장치
WO2015037441A1 (ja) 制御システム
JP4687372B2 (ja) 発熱体収納函冷却装置の電源安定化回路
JP2000315588A (ja) 電源供給制御装置
JP2004022370A (ja) 表示装置
CN210128492U (zh) 一种电热风幕机
KR100710894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의 구동 장치
KR102446696B1 (ko) 공기 청정기의 제어 방법
JP2009037793A (ja) 制御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20210138951A (ko) 축사 안전 장치
CN115013953A (zh) 一种新风空调器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空调器
KR100205121B1 (ko) 가습기 가열수단의 오동작 경고장치 및 그 동작제어방법
JP2594096B2 (ja) ワイヤレス信号受信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