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770B1 - Wall structure using buttress base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Wall structure using buttress base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3770B1 KR101773770B1 KR1020160180891A KR20160180891A KR101773770B1 KR 101773770 B1 KR101773770 B1 KR 101773770B1 KR 1020160180891 A KR1020160180891 A KR 1020160180891A KR 20160180891 A KR20160180891 A KR 20160180891A KR 101773770 B1 KR101773770 B1 KR 1017737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wall
- pile
- file
- shelf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파일과 일체화된 벽체 배면에 선반부를 시공함과 더불어 배면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벽체 강성을 극대화시켜 옹벽의 대형화가 가능한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using a backing pile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using a back pile, which is capable of enlarging the retaining wall by maximizing the rigidity of the wall by using a back side pile and by using a back side pile on the back side of a wall integrally formed with a pile,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Retaining Wall)은 기초판 및 벽체를 철근조립, 거푸집의 설치, 콘크리트 타설 및 콘크리트 양생 과정을 거쳐 시공을 함으로써 각각 철근조립 기간, 거푸집의 설치기간, 콘크리트 타설 기간 그리고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포함되어 그 설치기간이 비교적 오래 요구되었으며,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the foundation plate and the wall through the assembling of reinforcing steel, installing the formwork, installing the concrete, and curing the concret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mprove the rebar assembly time, the form installation period, The installation period has been relatively long,
옹벽을 설치하기 위해 기초판 및 벽체 모두를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하므로 현장의 조건에 따라 콘크리트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아 품질관리가 용이하지 않았다.In order to install the retaining wall, both the base plate and the wall are produced by pouring the concrete in the field, so the quality of the concrete is not constant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site, so the quality control is not easy.
또한 배면토 및 상재하중에 의한 토압에 저항하기 위해 벽체를 철근으로 보강하거나 벽체 배면으로 부벽을 설치하여 보강하였으나,In order to resist the earth pressure due to back soil and overburden, reinforcement was reinforced by reinforcing walls or by building walls by the wall. However,
옹벽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벽체 등의 철근량 콘크리트 사용량이 증가하고, 부벽의 크기는 벽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되어 결국, 옹벽의 제작에 있어 콘크리트 및 철근의 과도한 사용과 이에 따른 많은 양의 거푸집 사용으로 공사비의 증가와 시공의 어려움을 초래하였다.As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increases, the amount of reinforcing concrete used in the wall increases, and the size of the subwall becomes larger than that of the wall. As a result, excessive use of concrete and reinforcing steel The use of the formwork caused the increase of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이에 도 1a와 같이, 부벽(13)이 벽체(12) 배면에 형성된 프리캐스트 옹벽(10)을 시공하고, 기초판(11) 후방부만 현장타설 콘크리트(14)로 시공하는 예도 소개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A, there is also disclosed an example in which a
나아가 도 1b와 같이 종래 파일을 이용한 선반형 옹벽도 소개되어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1B, a shelf-type retaining wall using a conventional file is also disclosed.
파일(30)의 두부가 삽입되어 충전재에 의하여 일체되며, 내부에 파일중공홈이 형성된 파일삽입블록이 하부 배면에 형성되며, 상면으로부터 상단으로 인출되는 내부철근을 포함하여 형성된 기초벽체(10); 저면부에 스플라이스 슬리브가 노출되도록 매립 형성되는 수직벽체부;와 상기 수직벽체부의 하단으로부터 배면부로 연장형성된 하단선반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자립식선반벽체(20);를 포함하며, 상기 기초벽체(10)의 내부철근이 자립식선반벽체(20)의 내부철근이 미리 삽입된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저면으로부터 삽입되어 충전재(C)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A base wall (10) formed of a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a head of the pile (30) and formed with a file insertion block having a pile hollow therein and formed on the lower backside and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a free standing shelf wall (20) formed with a vertical wall part embedded in the bottom part to expose a splice sleeve and a bottom shelf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vertical wall part to a back part, Is inser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plice sleeve into which the inner reinforcing bars of the self-supporting
이에 파일에 의하여 터파기가 크지 않도록 설치하도록 하고, 하단선반부를 이용하여 벽체가 구분되어 각각의 구분된 높이에 대응하는 토압이 작용하게 되어 벽체에 가장 크게 발생하는 토압을 기준으로 벽체단면을 설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실질적인 작용 토압 감소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라 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wall section is designed based on the earth pressure that is most likely to occur on the wall because the wall is divided and the earth pressure corresponding to each divided height acts on the lower shelf, It is possible to have a practical effect of reducing the earth pressure.
하지만 이러한 파일을 이용한 선반형 옹벽의 경우에도 옹벽이 대형화되는 경우 기초벽체(10)와 자립식선반벽체(20)에 각각 작용하는 토압도 비례하여 커지게 되므로 옹벽변위가 크게 발생함에 따라 이를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사용의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lathe-type retaining wall using such a file, th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이에 본 발명은 기초벽체와 선반부벽을 이용한 벽체부 및 파일을 이용하여 선반부벽식 옹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옹벽이 대형화되더라도 옹벽변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신속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옹벽 시공이 가능한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trol the retaining wall displacement even when the retaining wall is enlarg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lathe wall retaining wall by using the wall portion and the pile using the base wall and the shelf sub-wall, so that the backing pile And to provide a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전면파일 상부에 일체로 수직벽체 형태로 형성된 전면벽체부를 포함하는 전면옹벽부; 전면벽체부와 배면선반부가 일체로 L자형 벽체 형태로 형성된 선반식벽체부와 상기 배면선반부 후방 저면에 형성된 배면파일를 포함하는 배면옹벽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옹벽부의 전면벽체부 상면에 배면옹벽부의 전면벽체부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옹벽부의 전면파일 후방으로 배면파일이 위치하도록 하되 배면선반부는 배면파일와 일체화되도록 하여, 상기 배면옹벽부가 전면옹벽부에 작용하는 토압을 함께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배면옹벽부의 상부에는 추가 배면옹벽부가 더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추가 배면옹벽부는 배면옹벽부의 전면벽체부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추가 전면벽체부; 상기 추가 전면벽체부의 하부 후방으로 연장된 추가 배면선반부;를 포함하는 L자형 벽체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추가 배면선반부는 배면옹벽부의 배면선반부 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되어 추가 배면파일은 배면파일 보다 후방으로 배치되도록 하게 된다.A front retaining wall including a front wall portion integrally formed in the form of a vertical wall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ide file; And a rear retaining wall including a front wall portion and a rear wall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in the form of an L-shaped wall and a rear wall formed on the rear bottom wall of the rear wall portion, The front wall part of the retaining wall is integrally connected and the back side pile is integrated with the back side file so that the back side retention wall supports th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front retaining wall part together, An additional rear wall retaining wall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retaining wall, wherein the additional rear retaining wall is integrally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ont wall of the rear retaining wall; Wherein the additional back surface shelf extends further rearward than the back surface shelf of the back retaining wall such that the additional back surface file is formed in the form of an L- As shown in Fig.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a back pile
(a) 천공홀을 형성시켜 놓고 H형 파일을 천공홀에 삽입시켜 배면옹벽부의 배면파일을 지반에 시공하는 단계; (b) 상기 배면파일의 전방 지반(G1)을 굴착하는 단계; (c) 상기 굴착된 전방 지반(G1)에 천공홀을 별도로 형성시키고, 상기 천공홀에 H형 파일을 천공홀에 삽입하여 전면옹벽부의 전면파일을 시공하는 단계; (d) 상기 전면파일의 전방 지반(G2)를 추가로 굴착하여 전면파일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e) 상기 노출된 전면파일에 상부에 전면벽체부을 일체화시키는 단계; (f) 상기 전면벽체부 상면에 L형으로서 전면벽체부와 배면선반부로 형성된 배면옹벽부의 선반식벽체부를 설치하는 단계; (g) 상기 배면선반부 후방 저면에 배면파일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옹벽부의 전면파일 후방으로 배면파일이 위치하도록 하되 배면선반부는 배면파일와 일체화되도록 하여, 상기 배면옹벽부가 전면옹벽부에 작용하는 토압을 함께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a) 단계에서, 배면옹벽부의 상부에는 추가 배면옹벽부가 더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추가 배면옹벽부는 배면옹벽부의 전면벽체부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추가 전면벽체부; 상기 추가 전면벽체부의 하부 후방으로 연장된 추가 배면선반부;를 포함하는 L자형 벽체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추가 배면선반부는 배면옹벽부의 배면선반부 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되어 추가 배면파일은 배면파일 보다 후방으로 배치되도록 하게 된다.(a) inserting a H-shaped file into a perforation hole while forming a perforation hole to construct a back pile of a back retaining wall on a ground; (b) excavating the front ground G1 of the back pile; (c) separately forming a perforation hole in the excavated front ground G1 and inserting an H-shaped file into the perforation hole to construct a front file of the front retaining wall; (d) further excavating the front ground G2 of the front file to expose the top of the front file; (e) integrating the front wall portion on top of the exposed front pile; (f) installing a shelf-type wall portion of a rear retaining wall formed of a front wall portion and a rear wall portion as an L-shape on an upper surface of the front wall portion; (g) a step of installing the back pile to be supported by the back pile on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rear shelf, wherein the back pile is positioned behind the front pile of the front retaining wall, and the back pile is integrated with the back pile, The additional back retaining wall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retaining wall of the rear retaining wall, and the additional back retaining wall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retaining wall in the step (a) An additional overhead wall portion; Wherein the additional back surface shelf extends further rearward than the back surface shelf of the back retaining wall such that the additional back surface file is in the form of an L-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의하여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은 벽체를 슬림화시켜 제작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선반부벽을 이용함으로서 작용하는 토압 절감 효과를 그대로 반영할 수 있고, 다단배면파일을 이용하여 벽체의 강성을 최대화시켜 옹벽이 대형화 되더라도 옹벽변위 제어가 용이한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back side pile can be manufactured by making the wall slim, and it is possible to reflect the effect of reducing the earth pressure acting by using the side wall of the shelf, and maximize the rigidity of the wall by using the multi-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taining wall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using a back side file which is easy to control the retaining wall displacement even if the retaining wall is enlarged.
도 1a는 종래 부벽이 벽체 배면에 형성된 프리캐스트 옹벽 시공단면도,
도 1b는 종래 파일을 이용한 선반형 부벽식 옹벽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의 사시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순서도이다.FIG. 1A is a sectional view of a precast retaining wall in which a conventional wall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a wall,
1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elf-type subsidiary retaining wall using a conventional file,
FIGS.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using a back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3B and 3C are views show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retaining wall using a back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 본 발명의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 ][Retaining wall using the back surface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of a
먼저 도 2a와 도 2b에 의한 차이는 배면옹벽부(120)을 다단으로 형성시키는 것인가의 여부이며 기본 형태는 도 2a를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한다.2A and 2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A as to whether or not to form the rear
상기 도 2a에 의한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100)은 전면옹벽부(110) 및 배면옹벽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먼저 상기 전면옹벽부(110)는 전면벽체부(111), 전면파일(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ront
이때 상기 전면벽체부(111)는 프리캐스트 수직 벽체로서 제작, 운반 및 시공에 적합한 단면적을 가지도록 제작된 직육면체 콘크리트 벽체이다. At this time, the
이러한 전면벽체부(110)는 옹벽길이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설치하게 되며, 지반에 자립할 수 있도록 전면파일(112)를 이용하게 설치된다.The
상기 전면파일(112)는 강재파일(H형 강재파일등)을 이용하면 되고, 먼저 지반에 시공한 후, 상방으로 두부가 인출되도록 하여 상기 두부가 전면벽체부(111)의 저면과 일체화되도록 시공하게 된다.The
이러한 일체화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미도시 하였지만 전면벽체부(111)의 저면 또는 하단 배면에 소켓부등에 의한 파일삽입홈을 형성시키고, 파일삽입홈에 전면파일(112)의 두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그라우팅재로 일체화시키는 방법등을 이용하면 된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 file insertion groove formed by a socket or the lik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에 상기 전면옹벽부(110)의 배면에 복토된 토사등에 의하여 토압이 작용할 경우 전면옹벽부(110)는 전면파일(112)에 의한 캔틸레버 구조물로서 작용 토압이 커질 경우 대형화에 의한 옹벽높이가 제한 될 수 밖에 없게 된다.Accordingly, when earth pressure acts on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이에 본 발명은 배면옹벽부(120)를 전면옹벽부(110)에 일체화시켜 추가 시공하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onstructed by integrating the rear
상기 배면옹벽부(120)는 선반식벽체부(121) 및 배면파일(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ar
상기 선반식벽체부(121)는 전면벽체부(121a)와 배면선반부(121b)를 포함하여 L자형 벽체부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It is understood that the shelf
상기 전면벽체부(121a)는 직육면체 콘크리트 수직 벽체로 형성되며 역시 전면벽체부(121a)는 옹벽길이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설치하게 되며, 전면옹벽부(110)의 전면벽체부(111) 상면에 저면이 접한 상태에서 서로 일체화 시키게 된다.The
다음으로 상기 배면선반부(121b)는 상기 전면벽체부(121a)의 하단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수평판 형태로서 선반식 옹벽에 있어 선반부 역할을 하게 된다.Next, the
다음으로 상기 배면파일(122)는 배면선반부(121b)의 후방 저면에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시공된 것으로서 전면파일(112)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Next, the
이에 상기 배면선반부(121b)는 배면파일(122)와 일체화됨으로서, 작용토압을 전면옹벽부(110) 후방에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이로서 본 발명은 전면옹벽부(110)와 선반식 옹벽 형태인 배면옹벽부(120)를 상,하로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파일을 이용한 옹벽과 파일을 이용한 선방식 옹벽의 장점을 그대로 활용하게 됨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merits of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and a retaining wall using a pile, in such a manner that the front retaining
다음으로 상기 도 2b에 의한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100)은 전면옹벽부(110)과 배면옹벽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되, 추가 배면옹벽부(130)가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Next, the
이에 상기 전면옹벽부(110) 상부에 1개의 배면옹벽부(1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면옹벽부(120)의 상부에는 추가 전면벽체부(131)가 추가 형성되어 있고, 추가 전면벽체부(131)의 하부 후방으로 추가 배면선반부(132)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추가 배면파일(133)이 추가 배면선반부(132)와 일체화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n additional
이때 상기 추가 배면선반부(132)는 배면선반부(121b) 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되어 추가 배면파일(133)은 배면파일(122) 보다 역시 후방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It is noted that the additional
이에 상기 추가 배면옹벽부(130)는 1개가 아닌 다수개를 설치할 경우 다단으로 형성 시켜 대형화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If the number of the additional rear retaining
[ 본 발명의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a back surface fi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S. 3A, 3B and 3C illustrate a flow chart of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back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은 도 2a에 의한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retaining wall using the back side fi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retaining wall using the back side file according to FIG. 2A.
이에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100)은 전면옹벽부(110) 및 배면옹벽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먼저 도 3a와 같이 배면옹벽부(120)의 배면파일(122)을 지반에 시공하게 된다. 천공홀을 형성시켜 놓고 H형 파일을 천공홀에 삽입 시공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게 되며 옹벽 길이방향으로 다수를 시공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3A, the
이에 배면파일(122)의 전방 지반(G1)을 굴착하게 된다. The front ground G1 of the
이에 노출된 배면파일(122)의 전방 지반이 배제되므로 작용하는 토압에 의하여 전방으로 배면파일(122)이 전도되지 않도록 배면파일(122) 사이에는 토류판과 같은 가설구조물(A)을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temporary structure A such as a soil plate between the
이에 굴착된 전방 지반 상면에 전면옹벽부(110)의 전면파일(112)을 시공하게 된다.And the
이는 전면파일(112)은 배면파일(122)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역시 천공홀을 형성시키고, 천공홀에 H형 파일을 천공홀에 삽입 시공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게 되며 옹벽 길이방향으로 다수를 시공함은 동일하다.This is because the
다음으로는 도 3b와 같이, 전면파일(112)의 시공이 완료되면 전면파일(112)의 전방 지반(G2)를 추가로 일부 굴착하여 전면파일(112)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는 전면파일(112)에 토압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전면파일(112)은 전도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3B,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이로서 노출된 전면파일(112)에 상부에 전면벽체부(111)을 일체화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전벽벽체부(111)는 수직벽체 형태로 시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is way, the
이에 상기 전면벽체부(111)가 시공된 이후에는 배면옹벽부(120)의 선반식벽체부(121)을 시공하게 된다.After the
이러한 선반식벽체부(121)는 L형으로서 전면벽체부(121a)와 배면선반부(121b)로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helf-
이에 상기 선반식벽체부(121)의 전면벽체부(121a)는 전면벽체부(111) 상면에 지지되어 일체화되도록 하고 배면선반부(121b) 후방 저면은 배면파일(122)에 지지되어 일체화되도록 하게 된다.The
다음으로는 도 3c와 같이, 전면벽체부(111,121a)의 배면등에 뒷채움하도록 하여 완성시키되, 전면파일(112)와 배면파일(122)은 미도시 하였지만 브레이싱재로 연결시킬 수 도 있다.Next, as shown in FIG. 3C, the front an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
110: 전면옹벽부
111: 전면벽체부
112: 전면파일
120: 배면옹벽부
121: 선반식벽체부
121a: 전면벽체부
121b: 배면선반부
122: 배면파일
130: 추가 배면옹벽부
131: 추가 전면벽체부
132: 추가 배면선반부
133: 추가 배면파일100: Retaining wall with backside file
110: front retaining wall portion
111: front wall portion
112: Front file
120: rear retaining wall portion
121: shelf type wall part
121a: front wall portion
121b: rear shelf
122: Bottom file
130: additional rear retaining wall
131: additional front wall section
132: additional backside shelf
133: Additional Bottom File
Claims (8)
전면벽체부(121a)와 배면선반부(121b)가 일체로 L자형 벽체 형태로 형성된 선반식벽체부(121)와 상기 배면선반부(121b) 후방 저면에 형성된 배면파일(122)를 포함하는 배면옹벽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옹벽부(110)의 전면벽체부(111) 상면에 배면옹벽부(120)의 전면벽체부(121a)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전면옹벽부(110)의 전면파일 후방으로 배면파일(122)이 위치하도록 하되 배면선반부(121b)는 배면파일(122)와 일체화되도록 하여, 상기 배면옹벽부(120)가 전면옹벽부(110)에 작용하는 토압을 함께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배면옹벽부(120)의 상부에는 추가 배면옹벽부(130)가 더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추가 배면옹벽부(130)는 배면옹벽부(120)의 전면벽체부(121a)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추가 전면벽체부(131); 상기 추가 전면벽체부(131)의 하부 후방으로 연장된 추가 배면선반부(132);를 포함하는 L자형 벽체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추가 배면선반부(132)는 배면옹벽부(120)의 배면선반부(121b) 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되어 추가 배면파일(133)은 배면파일(122) 보다 후방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A front retaining wall 110 including a front wall part 111 integrally formed in the form of a vertical wall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pile 112;
A rear wall 121b including a front wall portion 121a and a rear shelf portion 121b integrally formed in a L-shaped wall portion 121 and a rear surface file 122 formed on a rear bottom surface of the rear shelf portion 121b, And a retaining wall portion (120)
A front wall 121a of the rear retaining wall 120 is integrally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ront wall portion 111 of the front retaining wall 110 and a rear wall 122 are positioned so that the rear shelf portion 121b is integrated with the back surface pile 122 so that the back retaining wall 120 supports th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front retaining wall portion 110 together,
An additional back retaining wall 130 is further formed on the back retaining wall 120 so that the additional back retaining wall 13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wall portion 121a of the back retaining wall 120 An additional front wall portion 131; And an additional rear surface shelf 132 extending rear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additional front wall portion 131. The additional back surface shelf 132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L- And further extends rearward beyond the back surface shelf portion (121b) such that the additional back surface file (133) is disposed behind the back surface file (122).
상기 전면파일(112)과 배면파일(122)는 H형강 파일을 이용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taining wall is formed by using the back-side file (112) and the back side file (122) to be formed by using the H-shaped steel file.
상기 추가 배면옹벽부(130)는 적어도 1개 이상 상,하로 형성되도록 하여 다단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ditional backwall retaining wall 130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r more phases so as to be formed in multiple stages.
(b) 상기 배면파일(122)의 전방 지반(G1)을 굴착하는 단계;
(c) 상기 굴착된 전방 지반(G1)에 천공홀을 별도로 형성시키고, 상기 천공홀에 H형 파일을 천공홀에 삽입하여 전면옹벽부(110)의 전면파일(112)을 시공하는 단계;
(d) 상기 전면파일(112)의 전방 지반(G2)를 추가로 굴착하여 전면파일(112)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e) 상기 노출된 전면파일(112)에 상부에 전면벽체부(111)을 일체화시키는 단계;
(f) 상기 전면벽체부(111) 상면에 L형으로서 전면벽체부(121a)와 배면선반부(121b)로 형성된 배면옹벽부(120)의 선반식벽체부(121)을 설치하는 단계;
(g) 상기 배면선반부(121b) 후방 저면에 배면파일(122)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옹벽부(110)의 전면파일 후방으로 배면파일(122)이 위치하도록 하되 배면선반부(121b)는 배면파일(122)와 일체화되도록 하여, 상기 배면옹벽부(120)가 전면옹벽부(110)에 작용하는 토압을 함께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a) 단계에서, 배면옹벽부(120)의 상부에는 추가 배면옹벽부(130)가 더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추가 배면옹벽부(130)는 배면옹벽부(120)의 전면벽체부(121a)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추가 전면벽체부(131); 상기 추가 전면벽체부(131)의 하부 후방으로 연장된 추가 배면선반부(132);를 포함하는 L자형 벽체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추가 배면선반부(132)는 배면옹벽부(120)의 배면선반부(121b) 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되어 추가 배면파일(133)은 배면파일(122) 보다 후방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a) forming a perforation hole and inserting an H-shaped file into the perforation hole to construct the back pile 122 of the back retaining wall 120 on the ground;
(b) excavating the front ground G1 of the back pile 122;
(c) separately forming a perforation hole in the excavated front ground G1 and inserting an H-shaped file into the perforation hole to construct the front pile 112 of the front retaining wall 110;
(d) further excavating the front ground G2 of the front file 112 to expose the top of the front file 112;
(e) integrating the front wall part (111) on the exposed front pile (112);
(f) installing a shelf-type wall portion 121 of a back retaining wall 120 formed of an L-shaped front wall portion 121a and a back surface shelf 121b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wall portion 111;
(g)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shelf 121b by the back surface pile 122,
The rear shelf portion 121b is integrated with the back surface pile 122 so that the rear retention wall portion 120 is separated from the front retaining wall portion 110 are supported together,
In the step (a), an additional back retaining wall 13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ack retaining wall 120, and the additional back retaining wall 130 may be formed on the front wall portion 121a of the back retaining wall 120 An additional front wall portion 131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n additional rear surface shelf 132 extending rearward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additional front wall portion 131. The additional back surface shelf 132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L- And the back side pile (121) extends further rearward than the back side shelf (121b) so that the additional back side pile (133) is disposed behind the back side pile (122).
상기 (b) 단계에서, 배면파일(122)의 전방 지반(G1)을 굴착함에 따른 토압에 의하여 배면파일(122)이 전도되지 않도록 토류판을 포함하는 가설구조물을 더 시공하는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tep (b), when the back surface file (122) is not conducted due to earth pressure caused by excavating the front ground (G1) of the back surface pile (122) Way.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전면파일(112)와 배면파일(122)는 서로 브레이싱재로 서로 수평 연결시켜 일체화되도록 하는 (f)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면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0, wherein the step (g) further comprises the step (f) of horizontally connecting the front file (112) and the back file (122) to each other using a bracing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0891A KR101773770B1 (en) | 2016-12-28 | 2016-12-28 | Wall structure using buttress base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0891A KR101773770B1 (en) | 2016-12-28 | 2016-12-28 | Wall structure using buttress base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3770B1 true KR101773770B1 (en) | 2017-09-04 |
Family
ID=5992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0891A KR101773770B1 (en) | 2016-12-28 | 2016-12-28 | Wall structure using buttress base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3770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19386A (en) | 2020-08-10 | 2022-02-17 | 씨엔피씨 주식회사 |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vertical underground insert |
KR102476068B1 (en) | 2022-03-17 | 2022-12-12 | 안진성 |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multidirectional anchor fix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240142928A (en) | 2023-03-22 | 2024-10-02 | (주)지성이씨에스 |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36571A (en) * | 2010-05-06 | 2011-11-24 | Kanukadesign Ltd |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KR101552171B1 (en) * | 2015-01-22 | 2015-09-10 | 동아이엔지(주) | Wall structure using buttress base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2016
- 2016-12-28 KR KR1020160180891A patent/KR10177377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36571A (en) * | 2010-05-06 | 2011-11-24 | Kanukadesign Ltd |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KR101552171B1 (en) * | 2015-01-22 | 2015-09-10 | 동아이엔지(주) | Wall structure using buttress base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19386A (en) | 2020-08-10 | 2022-02-17 | 씨엔피씨 주식회사 |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vertical underground insert |
KR102476068B1 (en) | 2022-03-17 | 2022-12-12 | 안진성 |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multidirectional anchor fix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240142928A (en) | 2023-03-22 | 2024-10-02 | (주)지성이씨에스 |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3770B1 (en) | Wall structure using buttress base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159755B1 (en) | Finishing block and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101552171B1 (en) | Wall structure using buttress base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JP2007270461A (en) | Earth retaining method | |
KR101130167B1 (en) | Sound proof panne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2001311169A (en) | Block for earth retaining wall | |
CN210712868U (en) | Simple foundation pit supporting structure | |
KR101373674B1 (en) | Precast self-supported retaining wall using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005351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999798B1 (en) | Buttress retaining wall witt rear-casing and the c0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2220613B1 (en) | Freestanding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 |
KR101282770B1 (en) | Precast straight wall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JP2017172248A (en) | Subsurface structure skeleton construction method | |
JP2020007735A (en) | Method for reinforcing foundation structure and structure for reinforcing foundation structure | |
KR100653381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building housing development | |
JP2011252290A (en) | Temporary steel column advance reverse placing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keleton | |
JP2009209512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earth retaining wall | |
JP6315924B2 (en) | Buttress construction method | |
JP2011157719A (en) | Earth retaining method | |
KR101318201B1 (en) | Self-supported diaphragm wall and self-supproted diaphragm wall construction method | |
KR20120084716A (en) | Backfill structure and backfill method | |
JP2016204834A (en) | Earth retaining wall | |
KR102300692B1 (en) | Building method of barrier wall for large industrial facilities | |
KR20010097310A (en) | Revetment structure using natural stones | |
KR101328438B1 (en) | Basis block for wall and constructing a wall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