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692B1 - Building method of barrier wall for large industrial facilities - Google Patents

Building method of barrier wall for large industrial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692B1
KR102300692B1 KR1020210077539A KR20210077539A KR102300692B1 KR 102300692 B1 KR102300692 B1 KR 102300692B1 KR 1020210077539 A KR1020210077539 A KR 1020210077539A KR 20210077539 A KR20210077539 A KR 20210077539A KR 102300692 B1 KR102300692 B1 KR 102300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fastening
retaining wall
seating un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5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일호
Original Assignee
한일호
(주)엠에이피한터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호, (주)엠에이피한터인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한일호
Priority to KR1020210077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6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6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orming a retaining wall for large industrial facilities, implemented so as to form a retaining wall for the construction of large industrial facilities.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l forming step of forming a retaining wall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Description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BUILDING METHOD OF BARRIER WALL FOR LARGE INDUSTRIAL FACILITIES}BUILDING METHOD OF BARRIER WALL FOR LARGE INDUSTRIAL FACILITIES

본 발명은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산업 시설 구축을 위한 흙막이 벽체를 조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composition method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aining wall composition method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implemented so as to form a retaining wall for the construction of a large industrial facility.

건축물이 대형화되고, 지하철 역사와 같은 지하 건축 시설이 증가하면서 넓은 면적을 깊게 굴착하고 건축물을 시공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As buildings become larger and underground construction facilities such as subway stations increase, cases of deeply excavating large areas and constructing buildings are increasing.

상기와 같은 지하 굴착공사를 실시하는 경우, 굴착의 진행에 따라 형성되는 지반의 수직 굴착면에 수평방향의 토압이 작용하여 굴착면이 유지되지 못하고 붕괴된다. 따라서, 굴착면을 유지하기 위하여 흙막이벽체를 설치하고 있다.When performing the underground excavation work as described above, the earth pressu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ts on the vertical excavation surface of the ground formed as the excavation proceeds, so that the excavation surface cannot be maintained and collapsed. Therefore, a retaining wall is installed to maintain the excavation surface.

기존의 흙막이 공법 중 흙막이 벽체 공법 또는 공법의 흙막이 지지 공법의 비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A comparison of the retaining wall method or the retaining support method of the existing retaining method is shown in FIGS. 1 and 2 .

또한, 굴착면적이 넓고 굴착깊이가 깊을수록 토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흙막이벽체를 지지해줄 수 있는 지보수단을 추가로 설치한다.In addition, since the earth pressure increases as the excavation area is wide and the excavation depth is deep, a support means that can support the retaining wall is additionally installed.

상기 지보수단으로서 널리 이용되는 것으로 어스앵커(earth anchor)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는 굴착지에 인접하여 타 지하 건축물이 존재하거나, 지상 건축물일지라도 해당 건축물 소유주의 승인을 얻지 못하면 시공이 불가능하다.An example of an earth anchor widely used as the support means is an earth anchor, which is adjacent to the excavation site and other underground structures exist, or even if it is an above-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is impossible without the approval of the building owner.

따라서, 스트러트(strut)를 이용한 지보 구조물을 시공하여 흙막이벽체를 보강함으로써 토압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sist earth pressure by reinforcing the retaining wall by constructing a support structure using struts.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225198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51982

본 발명의 일측면은 대형 산업 시설 구축을 위한 흙막이 벽체를 조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taining wall composition method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implemented so as to form a retaining wall for the construction of a large industrial facilit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은,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forming a retaining wall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l forming step of forming a retaining wall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은, 상기 벽체 형성 단계에 의해 형성된 상기 흙막이 벽체의 전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을 설치하는 브라켓 설치 단계; 상기 브라켓 설치 단계에 의해 설치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브라켓의 상측에 띠장을 설치하는 띠장 설치 단계; 및 상기 띠장 설치 단계에 의해 설치되는 상기 띠장의 전단을 따라 상기 흙막이 벽체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럿을 설치하는 스트럿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 for forming a retaining wall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t least one or more brackets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formed by the wall forming step; a wal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wale on an upper side of the one or more brackets installed by the bracket installation step; and a stru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t least one or more struts to prevent displacement of the retaining wall along the front end of the wale installed by the wale installation step.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벽체 형성 단계는, 상기 흙막이 벽체가 형성될 위치를 따라 케이싱 삽입 후 천공을 수행하는 천공 단계;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상기 천공 단계에서 사용된 오거를 인발하는 오거 인발 단계; 상기 케이싱의 내측을 통해 상기 흙막이 벽체를 형성할 흙막이 파일을 근입시키는 파일 근입 단계; 상기 파일 근입 단계에 의해 상기 흙막이 파일이 상기 케이싱에 근입이 완료되면,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는 케이싱 인발 단계; 및 상기 천공 단계, 상기 오거 인발 단계, 상기 파일 근입 단계 및 상기 케이싱 인발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상기 흙막이 벽체를 형성시키는 벽체 확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ll forming step, a drilling step of performing a drilling after inserting the casing along the location where the retaining wall will be formed; an auger drawing step of drawing the auger used in the drilling step from the casing; A pile rooting step of inserting a retaining pile to form the retaining wall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ing; When the retaining pile by the pile rooting step is completed in the casing, the casing drawing step of drawing out the casing; and a wall expansion step of repeatedly performing the drilling step, the auger drawing step, the pile rooting step, and the casing drawing step to form the retaining wall.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벽체 확장 단계에 의해 형성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3 개의 흙막이 파일의 전면에 안착된 후 부착 설치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전단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띠장을 거치하는 제1 거치부; 및 상기 설치부의 전단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띠장을 거치하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racket may include an installation unit that is attached and installed after being seated on the front of the three retaining pil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formed by the wall expansion step; a first holding part which is detachably fastened to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part to mount the wale; and a second holding part which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part to mount the wa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거치부는, 상측에 상기 띠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설치부의 전단과 대향하면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후단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수직 플레이트;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후단으로부터 후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 및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후단에 상기 연장 플레이트와 "ㅗ" 형태로 직각 되도록 설치되되, 일측 및 타측이 전단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곡선형 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mounting portion, a horizontal plat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wale can be seated on the upper side; a vertical plate bent in a lower right angle direction from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plate while facing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part; a support plate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to support the horizontal plate; an extension plate extending in a rearward direction from the rear end of the vertical plate; and a curved fastening plate that is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and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talled at a right angle to the extended plate in the form of "ㅗ" at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plat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being rounded in the front end direction.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흙막이 벽체의 전단에 안착된 후 설치되는 안착 유닛; 상기 3 개의 흙막이 파일이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유닛의 후단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안착홈, 제2 안착홈 및 제3 안착홈; 상기 제1 거치부의 후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전단에 제1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안착 유닛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체결 블록; 및 상기 제2 거치부의 후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전단에 제2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체결 블록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안착 유닛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체결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tallation unit, a seating unit installed after being seated on the front end of the retaining wall; a first seating groove, a second seating groove, and a third seating groove formed along the rear end of the seating unit so that the three retaining piles can be respectively seated; a first fastening block having a first fastening groove formed at the front en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first holder can be fastened, and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unit; and a second fastening block having a second fastening groove formed at the front en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mounting part can be fastene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astening block and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unit; may include ha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 블록은,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는 상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 유닛의 두께가 가장 얇게 형성되는 상기 제1 안착홈과 상기 제2 안착홈의 각 전단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안착 유닛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block is formed with a vertical height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and each of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seating unit is the thinnest. It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홈은, 상기 연장 플레이트와 상기 곡선형 체결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체결 블록의 상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groov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s of the extension plate and the curved fastening plate, and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lower than a vertical height of the first fastening block.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치부는, "ㅏ" 형태로 상기 안착 유닛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체결 돌기; 및 다른 안착 유닛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삽입되어 상기 안착 유닛과 상기 다른 안착 유닛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돌기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안착 유닛의 타측에 형성되는 돌기 체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tallation portion,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seating unit in the form of "a"; And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other seating unit is insert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so that the seating unit and the other seating unit can be fastened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groo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 체결홈은, 상기 안착 유닛의 타측의 전후 두께의 1/2의 깊이로 상기 안착 유닛의 타측 전단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 fastening groove may be recessed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unit to a depth of 1/2 of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of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 유닛은, 상기 제1 안착홈, 상기 제2 안착홈 및 상기 제3 안착홈의 각 전단 부위가 힌지 결합에 의해 접철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ating unit may be formed such that front end portions of the first seating groove, the second seating groove, and the third seating groove are foldable by hinge coupling.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흙막이 벽체의 시공성과 안전성 및 경제성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maximizing the workability, safety and economic efficiency of the retaining wall.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흙막이 공법 중 흙막이 벽체 공법들의 비교한 도면이다.
도 2는 흙막이 공법 중 흙막이 지지 공법들의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벽체 형성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벽체 형성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브라켓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 is a view comparing the retaining wall methods among the retaining methods.
2 is a view comparing the retaining methods among the retaining methods.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forming a retaining wall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forming a retaining wall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forming a retaining wall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wall forming step of FIG. 3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all forming step of FIG. 7 .
9 and 10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brack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23]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forming a retaining wall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은,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10)를 형성한다(S110).Referring to Figure 3, the method for forming a retaining wall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etaining wall 10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S110).

여기서, 대형 산업 시설이라 함은, 시청 등과 같은 관공서 뿐만 아니라, 운동장, 박물관 등과 같은 다중이용시설 또는 공장 등의 대형 시설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대형 구조물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Here, large industrial facilities refer to not only public offices such as city halls, but also multi-use facilities such as playgrounds and museums, or large facilities such as factories, etc. If it is a large structure, it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its name. will b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forming a retaining wall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은, 상술한 벽체 형성 단계(S110)에 의해 형성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흙막이 벽체(10)의 전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20)을 설치한다(S120).4, the method for forming a retaining wall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taining wall 10 as shown in (a) of FIG. 5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wall forming step (S110). Install at least one or more brackets 20 along the front surface of (S120).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20)은, 흙막이 파일(P)에 설치되는 철판(21)과 철판(21)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본체(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racket 20 may be made of an iron plate 21 installed on the retaining pile P and the bracket body 220 fixedly installed on the iron plate 21 by welding or the like.

상술한 브라켓 설치 단계(S120)에 의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20)의 상측에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띠장(30)을 설치한다(S130).The wale 30 as shown in FIG. 5 (b)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one or more brackets 20 installed by the above-described bracket installation step (S120) (S130).

상술한 띠장 설치 단계(S130)에 의해 설치되는 띠장(30)의 전단을 따라 흙막이 벽체(10)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럿(40)을 설치한다(S140).At least one or more struts 40, as shown in FIG. Install (S14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은, PHC 흙막이 공법으로서, 현장콘크리트 타설공법(CIP공법)에 비해 20%이상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고강도 콘크리트(fck=800kg/㎠) 파일을 흙막이 벽체로 사용함으로 주열식 연속시공과 보단수를 줄일 수 있어 공기단축효과에 탁월하며, 고강도 PHC 흙막이벽체를 사용함으로 지보단수를 줄일 수 있어 작업공간확보 측면에서 우수하고, 흙막이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지반 내 콘크리트 타설이 없어 지하수 및 토양오염이 없는 친환경 시공이 가능하다.The method for forming a retaining wall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eps as described above is a PHC retaining method, which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by more than 20% compared to the on-site concrete placing method (CIP method), and high strength By using a concrete (fck=800kg/cm2) pile as a retaining wal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columns and continuous construction, so it is excellent in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In order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there is no concrete pouring in the ground, so eco-friendly construction without groundwater and soil contamination is possible.

도 7은 도 3의 벽체 형성 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wall forming step of FIG. 3 .

도 7을 참조하면, 벽체 형성 단계(S11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막이 벽체(10)가 형성될 위치를 따라 케이싱(C) 삽입 후 천공을 수행한다(S111).Referring to Figure 7, the wall forming step (S110), as shown in Figure 8 (a), the casing (C) is inserted along the position where the retaining wall 10 is to be formed and then drilling is performed (S111).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C)으로부터 천공 단계(S111)에서 사용된 오거(O)를 인발한다(S112).As shown in (b) of FIG. 8, the auger O used in the drilling step (S111) is drawn from the casing (C) (S112).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C)의 내측을 통해 흙막이 벽체(10)를 형성할 흙막이 파일(P)을 근입시킨다(S113).As shown in (c) of Figure 8, the retaining pile (P) to form the retaining wall 10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ing (C) is rooted (S113).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흙막이 파일(P)은, 고강도 콘크리트(fck=800kg/㎠) 파일로 제작되어 공장제작 파일 사용으로 품질확보 및 벽체 강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The retaining pile (P)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high-strength concrete (fck=800kg/cm2) pile and can contribute to securing quality and increasing wall rigidity by using a factory-made pile.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근입 단계(S113)에 의해 흙막이 파일(P)이 케이싱(C)에 근입이 완료되면, 케이싱을 인발한다(S114).As shown in (d) of FIG. 8, when the retaining pile (P) is inserted into the casing (C) by the pile rooting step (S113), the casing is pulled out (S114).

도 8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단계(S111), 오거 인발 단계(S112), 파일 근입 단계(S113) 및 케이싱 인발 단계(S114)를 반복 수행하여 흙막이 벽체(10)를 형성시킨다(S115).As shown in FIG. 8(e), the retaining wall 10 is formed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drilling step (S111), the auger drawing step (S112), the pile insertion step (S113), and the casing drawing step (S114) ( S115).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벽체 형성 단계(S110)는, 흙막이 파일(P)의 연속 삽입을 통해 대형 산업 시설 조성을 위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흙막이 벽체(10) 형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wall forming step (S110) having the steps as described above may provide a stable and efficient retaining wall 10 forming method for large industrial facility composition through the continuous insertion of the retaining pile (P).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브라켓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bracke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a)은, 설치부(100), 제1 거치부(200) 및 제2 거치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 the bracket 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installation part 100 , a first mounting part 200 , and a second mounting part 300 .

설치부(100)는, 벽체 확장 단계(S110)에 의해 형성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흙막이 벽체(10)의 일부 면을 구성하는 3 개의 흙막이 파일(P1, P2, P3)의 전면에 안착된 후 엥커 볼트 등의 체결 수단(B1)에 의해 흙막이 벽체(10)의 전단에 부착 설치되어, 제1 거치부(200) 및 제2 거치부(300) 설치를 위한 기초를 형성하는 한편, 후단에 안착되는 3 개의 흙막이 파일(P1, P2, P3) 간의 간격이 벌어지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The installation part 100 i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formed by the wall expansion step (S110) and is se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hree retaining piles (P1, P2, P3) constituting a part of the retaining wall 10 and then the anchor It is attached and installed on the front end of the retaining wall 10 by fastening means (B1) such as bolts to form a basis for installing the first mounting part 200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300, while being seated at the rear end It plays the dual role of supporting the gap between the three retaining piles (P1, P2, P3) at the same time.

일 실시예에서, 설치부(100)는, 3 개의 흙막이 파일(P1, P2, P3)의 각 파일과 대향하는 위치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관통홀(B2)를 통해 앵커 볼트 등의 체결수단(B1)이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흙막이 벽체(10)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tallation unit 100, the three retaining piles (P1, P2, P3)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B2)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positions facing each of the piles (P1, P2, P3), such as anchor bolts By the fastening means (B1) is inserted and fastened, it can be stably fixedly installed on the retaining wall (10).

일 실시예에서, 설치부(100)는, 안착 유닛(110), 제1 안착홈(121), 제2 안착홈(122) 및 제3 안착홈(123), 제1 체결 블록(130) 및 제2 체결 블록(140)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tallation unit 100 includes a seating unit 110 , a first seating groove 121 , a second seating groove 122 and a third seating groove 123 , a first fastening block 130 and A second fastening block 140 may be included.

안착 유닛(110)은, 흙막이 벽체(10)의 전단에 안착된 후 설치되며, 후단을 따라 안착홈(120)(즉, 제1 안착홈(121), 제2 안착홈(122) 및 제3 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전단에 제1 체결 블록(130) 및 제2 체결 블록(140)이 형성되고, 일측에 체결 돌기(150)가 형성되고, 타측에 돌기 체결홈(160)이 형성된다.The seating unit 110 is installed after being seated on the front end of the retaining wall 10, and the seating groove 120 (ie,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and the third along the rear edge. A seating groove 123) is formed, a first fastening block 130 and a second fastening block 140 are formed at the front end, a fastening protrusion 150 is formed on one side, and a protrusion fastening groove 160 on the other side. this is formed

제1 안착홈(121), 제2 안착홈(122) 및 제3 안착홈(123)으로 이울어지는 안착홈(120)은, 3 개의 흙막이 파일(P1, P2, P3)이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 유닛(110)을 후단을 따라 흙막이 파일(P1, P2, P3)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함몰 형성된다.The first seating groove 121,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and the seating groove 120 extending to the third seating groove 123, three retaining piles (P1, P2, P3) can be seated, respectively. So that the seating unit 110 is recessed at regular interval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retaining piles (P1, P2, P3) along the rear end.

일 실시예에서, 안착홈(120)은, 3 개의 흙막이 파일(P1, P2, P3)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3 개의 흙막이 파일(P1, P2, P3)이 벌어지는 등과 같이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ating groove 120, by supporting the three retaining piles (P1, P2, P3)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hree retaining piles (P1, P2, P3), such as the deformation occurs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제1 체결 블록(130)은, 제1 거치부(200)의 후단, 즉 후술하는 연장 플레이트(240) 및 곡선형 체결 플레이트(250)이 상측으로부터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전단에 제1 체결홈(131)을 형성하며, 안착 유닛(110)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first fastening block 130 has a first fastening groove ( 131), and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unit 110 .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 블록(130)은, 수직 플레이트(220)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는 상하 높이로 형성되고, 안착 유닛(110)의 두께가 가장 얇게 형성되는 제1 안착홈(121)과 제2 안착홈(122)의 각 전단 사이에 대응하는 안착 유닛(110)의 전단, 즉 안착 유닛(110)에서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제1 거치부(200)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block 130 is formed with a vertical height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220 , and a first seating groove 121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seating unit 110 is the thinnest. and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unit 110 corresponding between each front end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that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thickness is formed at the thickest in the seating unit 110, through the first mounting portion 20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upport performance for supporting the transmitted load.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홈(131)은, 연장 플레이트(240)와 곡선형 체결 플레이트(25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되, 제1 체결 블록(130)의 상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groove 13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s of the extension plate 240 and the curved fastening plate 250 , and has a height lower than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first fastening block 130 . can be

제2 체결 블록(140)은, 제2 거치부(300)의 후단이 상측으로부터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전단에 제2 체결홈(141)을 형성하며, 제1 체결 블록(130)으로부터 이격되어 안착 유닛(110)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second fastening block 140 forms a second fastening groove 141 at the front en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mounting part 300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from the upper sid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astening block 130 and is seated. It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unit 110 .

여기서, 제2 체결 블록(140)은, 제1 체결 블록(130)의 각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second fastening block 140, each configuration of the first fastening block 130 can be equally applied,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제1 거치부(200)는, 설치부(100)의 전단 일측, 즉, 제1 체결 블록(13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띠장(30)을 거치한다.The first holding unit 200 is fasten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unit 100 , that is, the first fastening block 130 to mount the band 30 .

일 실시예에서, 제1 거치부(200)는, 수평 플레이트(210), 수직 플레이트(220), 지지 플레이트(230), 연장 플레이트(240) 및 곡선형 체결 플레이트(250)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mounting unit 200 may include a horizontal plate 210 , a vertical plate 220 , a support plate 230 , an extension plate 240 , and a curved fastening plate 250 . .

수평 플레이트(210)는, 상측에 띠장(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후단에 수직 플레이트(220)가 형성되고, 수직 플레이트(220)와의 사이에 지지 플레이트(230)가 설치되어 하측으로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horizontal plate 210 is formed to extend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s so that the wale 30 can be seated on the upper side, the vertical plate 220 is formed at the rear end, and the support plate 230 between the vertical plate 220 and the vertical plate 220 . is installed to prevent downward displacement.

수직 플레이트(220)는, 설치부(100)의 전단과 대향하면서 수평 플레이트(210)의 후단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후단에 연장 플레이트(240)가 형성된다.The vertical plate 220 is bent in a downward right-angled direction from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plate 210 while facing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unit 100 , and an extension plate 240 is formed at the rear end.

지지 플레이트(230)는, 수평 플레이트(210)와 수직 플레이트(220)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 플레이트(210)를 지지한다.The support plate 230 is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plate 210 and the vertical plate 220 to support the horizontal plate 210 .

연장 플레이트(240)는, 수직 플레이트(220)의 후단으로부터 후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후단에 곡선형 체결 플레이트(250)가 설치된다.The extension plate 24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rear end of the vertical plate 220 in the rear direction, and the curved fastening plate 250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곡선형 체결 플레이트(250)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 플레이트(240)의 후단에 연장 플레이트(240)와 "ㅗ" 형태로 직각 되도록 설치되되, 일측 및 타측이 전단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제1 체결홈(131)에 삽입 체결됨으로써, 수평 플레이트(210)의 상측에 안착되는 띠장(3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제1 체결홈(13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The curved fastening plate 250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plate 240 at a right angle to the extension plate 240 in the form of "ㅗ",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bent roundly in the front end direction. By being formed and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31 , it effectively prevents separation from the first fastening groove 131 by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wale 30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210 .

제2 거치부(300)는, 설치부(100)의 전단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띠장(30)을 거치한다.The second holding part 300 is fasten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part 100 to mount the wale 30 .

여기서, 제2 거치부(300)는, 상술한 제1 거치부(200)와 동일한 구성으로써, 제1 거치부(200)의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second cradle 3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first cradle 200, so that the components of the first cradle 200 can be equally appli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A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설치부(100)는, 체결 돌기(150) 및 돌기 체결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part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rotrusion 150 and a protrusion fastening groove 160 .

체결 돌기(150)는, "ㅏ" 형태로 안착 유닛(1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다른 안착 유닛(110)에 형성되는 돌기 체결홈(160)에 체결됨으로써, 일 안착 유닛(110)과 다른 안착 유닛(110)을 서로 연결 설치한다.The fastening protrusion 150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seating unit 110 in the shape of "a", and is fastened to the protrusion fastening groove 160 formed in the other seating unit 110, whereby one seating unit 110 and Other mounting units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stalled.

돌기 체결홈(160)은, 다른 안착 유닛(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150)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삽입되어 안착 유닛(110)과 다른 안착 유닛(110)을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 돌기(15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안착 유닛(110)의 타측에 형성된다.The protrusion fastening groove 160 is a fastening protrusion 150 formed on one side of the other seating unit 110 is insert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so that the seating unit 110 and the other seating unit 110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unit 11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150 .

일 실시예에서, 돌기 체결홈(160)은, 안착 유닛(110)의 타측의 전후 두께의 1/2의 깊이로 안착 유닛(110)의 타측 전단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trusion fastening groove 160 may be recess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unit 110 to a depth of 1/2 of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of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unit 110 .

일 실시예에서, 안착 유닛(110)은, 제1 안착홈(121), 제2 안착홈(122) 및 제3 안착홈(123)의 각 전단 부위(즉, 안착 유닛(110)에서 두께가 가장 얇게 형성되는 위치)(111)가 힌지 결합(H)에 의해 접철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파일(P)의 두께 혹은 형태 대응하여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ating unit 110 has a thickness at each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21 , the second seating groove 122 and the third seating groove 123 (that is, the seating unit 110 ). The thinnest position) 111 is formed to be foldable by the hinge coupling (H), so that the shape may be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r shape of the pile (P).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20a)은, 띠장(30)을 거치하기 위한 안정적인 거치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단에 안착되는 3 개의 흙막이 파일(P1, P2, P3) 간의 간격이 벌어지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e bracket 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serve as a stable cradle for mounting the wale 30, as well as three retaining piles P1 and P2 that are seated at the rear end. , P3) can play two roles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m from widening.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pertain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 흙막이 벽체
20: 브라켓
30: 띠장
40: 스트럿
10: retaining wall
20: bracket
30: belt
40: Strut

Claims (4)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 형성 단계;
상기 벽체 형성 단계에 의해 형성된 상기 흙막이 벽체의 전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을 설치하는 브라켓 설치 단계;
상기 브라켓 설치 단계에 의해 설치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브라켓의 상측에 띠장을 설치하는 띠장 설치 단계; 및
상기 띠장 설치 단계에 의해 설치되는 상기 띠장의 전단을 따라 상기 흙막이 벽체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트럿을 설치하는 스트럿 설치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 형성 단계는,
상기 흙막이 벽체가 형성될 위치를 따라 케이싱 삽입 후 천공을 수행하는 천공 단계;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상기 천공 단계에서 사용된 오거를 인발하는 오거 인발 단계;
상기 케이싱의 내측을 통해 상기 흙막이 벽체를 형성할 흙막이 파일을 근입시키는 파일 근입 단계;
상기 파일 근입 단계에 의해 상기 흙막이 파일이 상기 케이싱에 근입이 완료되면,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는 케이싱 인발 단계; 및
상기 천공 단계, 상기 오거 인발 단계, 상기 파일 근입 단계 및 상기 케이싱 인발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상기 흙막이 벽체를 형성시키는 벽체 확장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벽체 확장 단계에 의해 형성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3 개의 흙막이 파일의 전면에 안착된 후 부착 설치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전단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띠장을 거치하는 제1 거치부; 및
상기 설치부의 전단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띠장을 거치하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거치부는,
상측에 상기 띠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후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플레이트;
상기 설치부의 전단과 대향하면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후단으로부터 하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수직 플레이트;
상기 수평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후단으로부터 후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플레이트; 및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후단에 상기 연장 플레이트와 "ㅗ" 형태로 직각 되도록 설치되되, 일측 및 타측이 전단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곡선형 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는,
상기 흙막이 벽체의 전단에 안착된 후 설치되는 안착 유닛;
상기 3 개의 흙막이 파일이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유닛의 후단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안착홈, 제2 안착홈 및 제3 안착홈;
상기 제1 거치부의 후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전단에 제1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안착 유닛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체결 블록; 및
상기 제2 거치부의 후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전단에 제2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체결 블록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안착 유닛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체결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 블록은,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는 상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 유닛의 두께가 가장 얇게 형성되는 상기 제1 안착홈과 상기 제2 안착홈의 각 전단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안착 유닛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홈은,
상기 연장 플레이트와 상기 곡선형 체결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되, 상기 제1 체결 블록의 상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부는,
"ㅏ" 형태로 상기 안착 유닛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체결 돌기; 및
다른 안착 유닛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삽입되어 상기 안착 유닛과 상기 다른 안착 유닛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돌기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안착 유닛의 타측에 형성되는 돌기 체결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기 체결홈은,
상기 안착 유닛의 타측의 전후 두께의 1/2의 깊이로 상기 안착 유닛의 타측 전단으로부터 후단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안착 유닛은,
상기 제1 안착홈, 상기 제2 안착홈 및 상기 제3 안착홈의 각 전단 부위가 힌지 결합에 의해 접철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대형 산업 시설용 흙막이 벽체 조성 방법.
Wall forming step of forming a retaining wall for large industrial facilities;
a bracke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t least one bracket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formed by the wall forming step;
a wal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wale on an upper side of the one or more brackets installed by the bracket installation step; and
A strut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t least one strut to prevent displacement of the retaining wall along the front end of the wale installed by the wale installation step;
The wall forming step is,
A drilling step of performing drilling after inserting the casing along the location where the retaining wall is to be formed;
an auger drawing step of drawing the auger used in the drilling step from the casing;
A pile rooting step of inserting a retaining pile to form the retaining wall through the inside of the casing;
When the retaining pile by the pile rooting step is completed in the casing, the casing drawing step of drawing out the casing; and
A wall expansion step of repeatedly performing the drilling step, the auger drawing step, the pile rooting step and the casing drawing step to form the retaining wall; includes,
The bracket is
an installation unit that is attached and installed after being seated on the front of the three retaining pil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formed by the wall expansion step;
a first holding part which is detachably fastened to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part to mount the wale; and
It includes; a second holding part which is fasten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part to mount the wale.
The first holding part,
a horizontal plat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s so that the wale can be seated on the upper side;
a vertical plate bent in a lower right angle direction from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plate while facing the front end of the installation part;
a support plate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vertical plate to support the horizontal plate;
an extension plate extending in a rearward direction from the rear end of the vertical plate; and
It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plate to be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plate in the form of "ㅗ",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bent roundly in the front end direction to form a curved fastening plate; includes;
The installation part,
a seating unit installed after being seated on the front end of the retaining wall;
a first seating groove, a second seating groove, and a third seating groove formed along the rear end of the seating unit so that the three retaining piles can be respectively seated;
a first fastening block having a first fastening groove formed at the front en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first holder can be fastened, and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unit; and
A second fastening block is formed at the front en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holder can be fastene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astening block and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unit.
The first fastening block,
It is formed at a vertical height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and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eating unit corresponding to each front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the thickness of the seating unit being the thinnest. becomes,
The first fastening groove,
Doedo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extension plate and the curved fastening plate, is form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first fastening block,
The installation part,
a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eating unit in the form of "a"; and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other seating unit is insert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to fasten the seating unit and the other seating unit. home; further comprising,
The protrusion fastening groove,
A depression is form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unit to a depth of 1/2 of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of the other side of the seating unit,
The mounting unit is
The first seating groove, the second seating groove, and each front end portion of the third seating groove is formed so as to be foldable by a hinge coupling, a retaining wall composition method for a large industrial facilit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77539A 2021-06-15 2021-06-15 Building method of barrier wall for large industrial facilities KR1023006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539A KR102300692B1 (en) 2021-06-15 2021-06-15 Building method of barrier wall for large industrial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539A KR102300692B1 (en) 2021-06-15 2021-06-15 Building method of barrier wall for large industrial fac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692B1 true KR102300692B1 (en) 2021-09-09

Family

ID=7777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539A KR102300692B1 (en) 2021-06-15 2021-06-15 Building method of barrier wall for large industrial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69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565B1 (en) * 2018-08-29 2019-04-30 (주)대우건설 Sheathing method for constructing both sheathing wall and cutoff collar by welding cutoff plate to phc pile with longitudinal plate
KR102251982B1 (en) 2020-06-30 2021-05-14 (주)지오알앤디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565B1 (en) * 2018-08-29 2019-04-30 (주)대우건설 Sheathing method for constructing both sheathing wall and cutoff collar by welding cutoff plate to phc pile with longitudinal plate
KR102251982B1 (en) 2020-06-30 2021-05-14 (주)지오알앤디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032B1 (en) Column wall using pile a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KR100813664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land-side protection wall
JP6642977B2 (en) Pile foundation structure
JP6650257B2 (en) Mountain retain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61191B1 (en) Earth retaining wall
CN210976019U (en) Municipal pipe network fluting pipe laying structure
JP5259510B2 (en)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300692B1 (en) Building method of barrier wall for large industrial facilities
JP2005146849A (en) Reinforcing method for retaining wall and the retaining wall
KR102220613B1 (en) Freestanding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JPH06116942A (en) Construction method of critical sheathing wall
KR102057248B1 (en) Sewage Pipe Support Structure
KR20110052321A (en) Steel pipe pile for sheet pil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at
KR101993609B1 (en) Earth retaining structure using concrete block for the anchorage of anchor pc-strand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73770B1 (en) Wall structure using buttress base pla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20050027625A (en) Segmental block-faced retaining wall system
KR101865519B1 (en) Construction and disjoining usable retaining wall temporary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259659B1 (en) Ornamental stone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L type anker and strip bar
JP6868881B2 (en) Foundation structure and its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KR100653381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building housing development
KR200369479Y1 (en) The land-side protection wall panel
KR100724781B1 (en) A sheathing board
KR101707376B1 (en) Structure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using composite beam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40102077A (en)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KR200421809Y1 (en) A sheathing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