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455B1 - 물조절용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물조절용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455B1
KR101773455B1 KR1020150176230A KR20150176230A KR101773455B1 KR 101773455 B1 KR101773455 B1 KR 101773455B1 KR 1020150176230 A KR1020150176230 A KR 1020150176230A KR 20150176230 A KR20150176230 A KR 20150176230A KR 101773455 B1 KR101773455 B1 KR 101773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cup
li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9032A (ko
Inventor
손인수
허관도
류재민
염진희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6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4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9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65D77/40Rigid cutting or tea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5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draining or discharging the liquid contents, e.g. soup, mi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08Rigid cutting or tea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bags
    • B65D25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25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 B65D2577/2075Lines of weakness or apertures
    • B65D2577/2091Lines of weakness or apertures in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상부를 덮은 커버에 가장자리부터 중심방향으로 구멍을 형성시켜 인스턴트 식품을 조리하는데 이용된 온수의 폐기 시 온수의 남은 잔량을 배출되는 구멍의 높이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인스턴트식품이 조리되는 동안 컵라면용기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원활하게 인스턴트식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천공부재 및 컵라면용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컵라면용기 상부에 부착된 커버에 가장자리부터 중심 방향으로 구멍을 내기 위한 복수개의 천공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물조절용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PUNCTURE APPARATUS FOR WATER CONTROL, AND CUP NOODLE HOLD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컵라면의 물 조절이 용이한 천공부재 및 그것이 포함된 컵라면용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상부를 덮은 커버에 가장자리부터 중심방향으로 구멍을 형성시켜 인스턴트 식품을 조리하는데 이용된 온수의 폐기 시 온수의 남은 잔량을 배출되는 구멍의 높이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인스턴트식품이 조리되는 동안 컵라면용기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원활하게 인스턴트식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천공부재 및 컵라면용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스턴트 식품 중에 라면은 남녀노소 모두에게 식사대용이나 간식으로 매우 선호되는 식품이며, 통계에 따르면 1인당 라면 소비량에 있어서 한국인이 세계에서 가장 많이 라면을 소비하는 국민으로 나타나 있다.
라면 중에도 컵라면은 스치로품이나 종이로 된 단열재 용기 내에 건조된 라면과 스프 등과 같은 내용물을 내장하고 용기 상부에 커버를 접착하여 용기를 밀폐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컵라면은 내용물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 용기 상부에 부착된 커버를 일부 개봉한 후, 용기의 내부에 위치한 스프를 뜯어서 내용물을 용기 내부의 라면위에 투입하고 뜨거운 물을 적당하게 부은 다음, 커버를 용기의 상단에 밀착시켜 밀폐시킨 상태에서 라면이 익을 때까지 일정시간 기다린 후 커버를 완전 개봉하여 라면을 섭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컵라면은 조리 시 한 번 개봉된 커버가 용기의 상단에 재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뜨거운 물을 용기 내부에 넣은 후 라면이 익을 시간 동안 개봉된 커버와 용기의 상단 사이의 공간으로 열이 누출되어 라면이 설익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커버의 가장자리 부분을 용기의 상단을 따라 접어서 밀착시킴과 함께 젓가락, 책 등과 같은 별도의 물건으로 커버를 눌러 주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컵라면은 뜨거운 물을 용기의 내부에 넣은 후 이동할 경우 용기를 통해 전달되는 고온의 열기 때문에 파지하고 있던 손을 데이는 부상의 위험도 있었다.
또한, 짜장라면, 비빔라면과 같이 면이 조리되면 용기에 수용되어 있던 뜨거운 물을 버려야하는 컵라면은 물을 버리기 위한 구멍 가이드가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데, 일부 제품은 물을 소량 남겨야 올바른 조리가 가능하고, 사용자에 따라서는 원하는 물의 잔량이 상이하지만, 용기에 남아있는 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커버를 개방하여 유관으로 용기 내부를 확인하는 방법뿐이었다.
따라서 만약 물의 잔량을 잘 못 예상하여 너무 과도하게 배출시키게 되면 돌이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72149호 (2014년 3월 12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상부를 덮은 커버에 가장자리부터 중심방향으로 구멍을 형성시켜 인스턴트 식품을 조리하는데 이용된 온수의 폐기 시 온수의 남은 잔량을 배출되는 구멍의 높이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인스턴트식품이 조리되는 동안 컵라면용기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원활하게 인스턴트식품을 섭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천공부재 및 컵라면용기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천공부재는, 컵라면용기 상부에 부착된 커버에 가장자리부터 중심 방향으로 구멍을 내기 위한 복수개의 천공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공핀은 컵라면용기에 담긴 액체가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핀에는 컵라면용기 내의 건더기스프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중공이 형성된 부위에 메쉬(mesh)구조의 그물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천공핀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지지하는 핀 바디와, 상기 핀 바디가 슬라이딩하며 이송되는 요입된 가이드 홈이 형성된 바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 바디는 상기 바디 하우징의 가이드 홈 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단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하우징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오목 보어가 형성되고, 상기 핀 바디에는 상기 오목 보어에 수용되는 스프링 플런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컵라면용기 고정장치는, 컵라면용기의 상부에 밀착되는 덮개몸체와, 상기 덮개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선회하는 것으로 상기 덮개몸체의 상부를 개방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판이 컵라면용기 상부에 밀착되면 상기 컵라면용기 상부에 부착된 커버에 가장자리부터 중심 방향으로 구멍을 내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공부재는 상기 덮개판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부재의 천공핀은 컵라면용기 커버에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천공부재의 선회 방향에 대응하는 곡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덮개판에 안착된 천공부재가 선회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클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볼 조인트로 구성되어, 상기 천공부재와 상기 회전축이 연결된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천공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덮개판으로부터 수직된 상태의 상기 천공핀을 수평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부재는 회전축에서 컵라면용기 커버에 구멍을 형성하는 제1방향 및 컵라면용기 커버에 구멍을 형성시키지 않는 제2방향으로 선회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몸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덮개몸체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는 젓가락을 수납하기 위한 요입된 수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몸체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몸체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컵라면용기의 하부를 받치는 지지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몸체는 상기 지지대와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승강장대와, 상기 승강장대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요입된 면에 형성된 고정장대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장대가 회전하면 상기 승강장대가 상기 고정장대에서 돌출된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몸체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컵라면용기 커버의 가장자리를 압박하는 C자 형태의 기밀부재와,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받치고 있는 상기 컵라면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반려견 배변기와 그것을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에 따르면,
첫째, 천공부재를 이용하여 컵라면용기 커버에 가장자리부터 중심방향으로 구멍을 형성시켜 인스턴트 식품을 조리하는데 이용된 온수의 폐기 시 온수의 남은 잔량을 배출되는 구멍의 높이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인스턴트식품이 조리되는 동안 컵라면용기를 고정장치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원활하게 인스턴트식품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공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천공부재로 커버에 구멍이 형성된 컵라면용기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3은 컵라면용기의 커버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으로 물의 잔량에 따라 상이한 부위에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천공부재를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용기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용기 고정장치의 천공부재의 선회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회전축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용기 고정장치의 덮개판 및 천공부재가 세워지게 선회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용기 고정장치의 덮개몸체가 지지대에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용기 고정장치의 승강장대가 상승하여 덮개몸체가 컵라면용기에서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용기 고정장치의 승강장대가 하강하여 덮개몸체가 컵라면용기 상부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용기 고정장치에 컵라면용기가 고정되고, 덮개판이 생략된 상부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조절용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천공부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공부재(100)는 컵라면용기(10) 상부에 부착된 커버(12)에 가장자리부터 중심 방향으로 구멍(13)을 내기 위한 복수개의 천공핀(13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천공부재(100)를 이용하여 컵라면용기(10)의 커버(12)에 가장자리부터 중심 방향으로 구멍(13)을 형성시킬 수 있다.
컵라면용기(10)의 커버(12)에 형성된 구멍(13)은 주로 짜장라면, 비빔라면과 같이 면을 익히기 위해 투입한 온수를 면을 섭취하기 전에 폐기해야 하는 종류의 음식에서 온수의 배출에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3과 같이, 커버(12)의 가장자리부터 중심 방향으로 구멍(13)이 형성된 컵라면용기(10)를 구멍(13)이 하방을 향하게 기울여 수용된 온수를 구멍(13)을 통해 배출시키면, 컵라면용기(10)에 수용되어있는 온수의 양이 많을 때는 구멍(13) 전체에서 배출되다가, 온수의 양이 감소할수록 커버(12)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구멍(13)으로만 배출되어 사용자가 커버(12)를 개방하여 물의 잔량을 확인하지 않아도 컵라면용기(10)에 남은 온수의 양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짜장라면, 비빔라면과 같이 면 섭취 전에 온수를 폐기해야하는 종류의 음식을 조리할 때, 자신의 기호에 맞는 온수의 잔량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천공부재(100)의 천공핀(130)에는 컵라면용기(10)에 담긴 액체가 통과하는 중공(132)이 형성될 수 있다.
천공핀(130)에 온수가 통과할 수 있는 중공(132)이 형성되기 때문에, 컵라면용기(10)의 커버(12)에 구멍(13)을 낸 상태에서 천공부재(100)를 커버(12)에서 제거하지 않아도 천공핀(130)의 중공(132)으로 컵라면용기(10)에 수용된 온수를 버릴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컵라면은 면 뿐만 아니라 건더기스프도 온수에 익혀 섭취해야 하기 때문에 면이 담긴 컵라면용기(10)에 건더기스프를 투입한 후 온수를 투입하게 된다. 하지만 면과 건더기스프가 익은 후 물을 버릴 때 구멍(13)으로 건더기스프가 함께 배출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공부재(100)는 중공(132)으로 컵라면용기(10) 내의 건더기 스프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천공핀(130)의 중공(132)이 형성된 부위에 메쉬(mesh)구조의 그물망(134)이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천공부재(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공부재(100)는 컵라면용기(10) 상부에 부착된 커버(12)에 가장자리부터 중심 방향으로 구멍(13)을 내기 위한 복수개의 천공핀(130)과, 복수개의 천공핀(130)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지지하는 핀 바디(120)와, 핀 바디(120)가 슬라이딩하며 이송되는 요입된 가이드 홈(111)이 형성된 바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천공부재(100)를 통해 사용자는 편리한 위치로 핀 바디(120)를 슬라이딩시킨 후 컵라면용기(10)의 커버(12)에 구멍(13)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같이 천공핀(130)에 중공(132)이 형성되고, 그물망(134)이 설치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핀 바디(120)는 바디 하우징(110)의 가이드 홈(111) 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단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세하게, 바디 하우징(110)의 가이드 홈(111)이 형성된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오목 보어(112)가 형성되고, 핀 바디(120)에는 오목 보어(112)에 수용되는 스프링 플런저(122)가 설치되는 것으로 핀 바디(120)가 바디 하우징(110)의 가이드 홈(111) 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단으로 슬라이딩 되게 실시될 수 있다.
핀 바디(120)의 위치가 바디 하우징(110)에서 슬라이딩 되고, 오목 보어(112)와 스프링 플런저(12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파지하기 편리한 위치로 핀 바디(120)를 슬라이딩 시킨 후 컵라면용기(10)의 커버(12)에 구멍(13)을 낼 수 있게 된다.
바디 하우징(110)에 형성된 가이드 홈(111)은 바디 하우징(1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바디 하우징(110)의 일측면에는 가이드 홈(111)과 연결되게 요입된 인출 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인출 홈(114)은 바디 하우징(110)에서 핀 바디(120)를 분리하기 위한 통로이다.
바디 하우징(110)의 인출 홈(114)에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핀 바디(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인출 홈(114)으로 핀 바디(120)가 이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캡(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용기 고정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컵라면용기 고정장치는 컵라면용기(10)의 상부에 밀착되는 덮개몸체(200)와, 덮개몸체(200)의 일측에 힌지(212) 결합되어 힌지(212)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선회하는 것으로 덮개몸체(200)의 상부를 개방하는 덮개판(210)과, 덮개판(210)에 연결되어 덮개판(210)이 컵라면용기(10) 상부에 밀착되면 컵라면용기(10) 상부에 부착된 커버(12)에 가장자리부터 중심 방향으로 구멍(13)을 내는 천공부재(100)를 포함한다.
천공부재(1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천공부재(100)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천공부재(100)의 특징을 포함하는 것으로 실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컵라면용기 고정장치는 덮개몸체(200)를 컵라면용기(10)의 커버(12)에 밀착시키는 것으로 온수 투입을 위해 개방된 컵라면용기(10)의 커버(12)를 기밀하게 압박하여 폐쇄시킬 수 있고, 커버(12)의 원하는 위치에 천공부재(100)로 구멍(13)을 형성시킬 수도 있게 된다.
덮개몸체(20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관통된 부위를 덮개판(210)으로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된다.
컵라면용기(10)에 온수를 투입한 후 덮개몸체(200)를 컵라면용기(10)의 상부에 밀착시키면 온수의 온기가 커버(12)의 개구된 위치에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덮개판(210)도 폐쇄된 상태이면 컵라면용기(10)의 상방으로 전도되어 배출되는 열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보온성이 향상된다.
사용자는 라면의 조리가 완료되면 덮개판(210)을 상방으로 선회시켜 덮개몸체(200)를 개방하는 것으로 덮개몸체(200)가 컵라면용기(10)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로 라면을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천공부재(100)는 덮개판(210)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3실시예와 같이, 회전축(140)이 덮개판(210)의 가운데에 설치되는 것으로 천공부재(100)가 덮개판(210)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선회하여 안착될 수 있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회전축(140)은 탈착이 가능한 볼 조인트로 구성되어, 천공부재(100)와 회전축(140)이 연결된 방향을 중심으로 천공부재(100)를 회전시켜 덮개판(210)으로부터 수직된 상태의 천공핀(130)을 수평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축(140)이 볼 조인트로 구성됨에 따라, 물을 버릴 필요가 없는 일반 라면에 이용할 때와, 또는 물을 버려야 하는 라면을 익히는 중에는 천공부재(100)를 선회시켜 덮개판(210)에서 기립되게 하거나, 회전축(140)과 연결된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천공핀(130)이 덮개판(210)에 수평되게 하는 것으로 컵라면용기(10)의 커버(12)에 구멍(13)이 형성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면이 조리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는 천공부재(100)를 덮개판(210)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것으로, 컵라면용기(10)의 커버(12)에 구멍(13)을 낼 수 있다.
회전축(140)의 볼 조인트는 탈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천공부재(100)의 세척이 필요할 경우, 또는 천공부재(100)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덮개판(210)에서 천공부재(1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천공부재(100)는 회전축(140)에서 컵라면용기(10) 커버(12)에 구멍(13)을 형성하는 제1방향 및 컵라면용기(10) 커버(12)에 구멍(13)을 형성시키지 않는 제2방향으로 선회되게 설치될 수 있다.(도 6 참조)
도 6의 확대도를 참고하면, 천공부재(100)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회전축(140)의 볼 조인트는 천공부재(100)의 선회를 허용하는 방향이 개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3실시예의 볼 조인트는 컵라면용기(10) 커버(12)에 구멍(13)을 형성하기 위한 제1방향으로 개방된 제1개구부(142)가 형성되고, 구멍(13)을 형성시키지 않는 제2방향으로 개방된 제2개구부(143)를 포함한다.
덮개몸체(200)에서 선회하는 천공부재(100)로 컵라면용기(10)의 커버(12)에 구멍(13)을 낼 때, 천공핀(130)이 수직되게 형성되어 있으면 천공핀(130)이 선회 방향으로 호를 그리며 이동하기 때문에 구멍(13)이 천공핀(130)보다 크게 형성되어지게 된다.
컵라면용기(10)의 커버(12)에 형성된 구멍(13)이 천공핀(130)의 지름보다 크면, 컵라면용기(10)를 기울였을 때, 수용되어있던 물이 천공핀(130)의 중공(132)으로만 배출되지 않고, 천공핀(130)과 이격된 구멍(13)의 다른 부위로도 배출되어지게 된다. 물이 구멍(13)의 다른 부위로도 배출되면 덮개몸체(200) 및 덮개판(210)에 묻게 되어, 덮개몸체(200)를 세척해야하는 추가적인 노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천공부재(100)의 천공핀(130)은 컵라면용기(10) 커버(12)에 형성되는 구멍(13)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천공부재(100)의 선회 방향에 대응하는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천공핀(130)이 천공부재(100)의 선회 방향에 대응하는 곡선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컵라면용기(10)의 커버(12)에 형성된 구멍(13)은 천공핀(130)의 지름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컵라면용기(10)에 수용된 물이 천공핀(130)의 중공(132)으로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천공부재(100)에는 선회하여 덮개판(210)과 접촉될 때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덮개판(210)과 접촉되는 면에 신축성을 가진 소재의 완충부재(150)가 접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덮개판(210)에는 덮개판(210)에 안착된 천공부재(100)가 선회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클립(214)이 설치된다.(도 6 참조)
클립(214)은 덮개판(210)에 일측이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어 천공부재(100)가 덮개판(210)에 안착되면, 천공부재(100)를 상방에서 가압하는 것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덮개몸체(20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덮개몸체(20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300)와, 지지대(3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컵라면용기(10)의 하부를 받치는 지지몸체(40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는 컵라면용기(10)의 하부는 지지몸체(400) 위에 안착시키고, 컵라면용기(10)의 상부는 덮개몸체(200)에 밀착시키는 것으로, 컵라면용기(10)가 제3실시예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컵라면용기(10)를 보다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덮개몸체(200)는 지지대(300)와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덮개몸체(200)가 지지대(300)와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먼저 덮개몸체(200)를 지지대(300)에서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용이하게 컵라면용기(10)의 하부를 지지몸체(400)에 안착하고, 이어서 덮개몸체(200)가 컵라면용기(10)의 상부에 밀착되게 회전시키는 것으로 컵라면용기(10)를 제3실시예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덮개몸체(200)의 지지대(300)와 연결되는 부위에는 공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베어링(24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대(300)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승강장대(310)와, 승강장대(310)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요입된 면에 형성된 고정장대(320)로 구성되어, 승강장대(310)가 회전하면 승강장대(310)가 고정장대(320)에서 돌출된 길이가 가변되어지게 된다.
덮개몸체(200)는 지지대(300)와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승강장대(310)가 회전하더라도 덮개몸체(200)가 함께 회전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승강장대(310)가 덮개몸체(200)와 연결되고, 고정장대(320)가 지지몸체(400)와 연결되면 사용자는 승강장대(31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덮개몸체(200)를 승하강 시킬 수 있게 된다. 덮개몸체(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는 높이가 다양한 컵라면도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승강장대(310)의 회전은 덮개몸체(200)와 연결된 승강장대(310)의 상부로 돌출된 머리(312) 부위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11은 컵라면용기(10)가 고정된 제3실시예의 덮개판(210)이 생략된 상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덮개몸체(200)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컵라면용기(10) 커버(12)의 가장자리를 압박하는 C자 형태의 기밀부재(220)와, 상기 지지몸체(400)의 상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받치고 있는 컵라면용기(10)를 회전시키는 회전판(420)을 포함한다.
컵라면용기(10)에 온수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컵라면용기(10)의 커버(12)를 일부 개방해야 한다. 컵라면용기(10)로 온수를 투입한 후 커버(12)의 개방된 부위를 폐쇄시키지 않으면 온수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면이 조리되는 속도가 둔화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컵라면용기(10)를 고정한 후, 기밀부재(220)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서 커버(12)를 개방하여 온수를 투입하고, 컵라면용기(10)를 회전시켜 커버(12)의 개방된 부위가 기밀부재(220)가 설치된 부위로 이동되게 하는 것으로 커버(12)의 개방된 부위가 압박되게 하여 온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에 고정된 컵라면용기(10)가 회전하는 것은 지지몸체(400)에 설치된 회전판(420)에 컵라면용기(10)가 안착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게 된다.
기밀부재(220)는 고무와 같은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제3실시예에 고정된 컵라면용기(10)의 커버(12)의 가장자리를 압박하면서도 사용자가 커버(12)를 제거할 때에는 방해가 되지 않게 구부러질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판(420)의 테두리 부위에 위치되도록 지지몸체(400)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컵라면용기(10)의 하부 측면 일부를 감싸면서 컵라면용기(10)가 회전판(4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이탈방지돌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420)은 컵라면용기(10)의 하부에 대응하는 원형 판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회전판(420)의 상면이 컵라면용기(10)의 하면과 직접 접촉된 채로 컵라면용기(10)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덮개몸체(200)의 가장자리에는 덮개몸체(200)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30)가 연장형성되고, 손잡이(230)의 상부에는 젓가락(15)을 수납하기 위한 요입된 수납홈(232)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컵라면용기(10)를 고정한 후, 손잡이(230)만을 파지하여 컵라면용기(10)를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라면을 섭취하기 위해 사용할 젓가락(15)을 손잡이(230)의 상부에 요입되어 형성된 수납홈(232)에 수납시키는 것으로, 컵라면의 섭취를 위해 필요한 모든 구성을 한 손으로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컵라면용기(10)를 운반하던 중 제3실시예를 놓치거나, 넘어지는 등의 원인으로 과도한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하게 되면 컵라면용기(10)에 담긴 고온의 내용물이 누출되어 사용자가 부상을 입게 될 수 있다. 특히, 덮개판(210)이 덮개몸체(200)에서 원치 않게 개방되면 컵라면용기(10)의 내용물이 누출되기가 더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덮개판(210)이 원치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몸체(200)의 일측에는 돌출된 결합돌기(203)가 형성되고, 덮개판(210)에는 폐쇄 시 결합돌기(203)와 연결되는 결합고리(213)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고리(213)와 결합돌기(203)를 연결하는 것으로 덮개판(210)의 폐쇄 상태가 고정됨에 따라, 컵라면용기(10)에 과도한 진동이 가해지거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고온의 내용물이 덮개판(210)에 막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예방된다.
또한, 컵라면용기(10)에서 커버(12)를 상당량 떼어내거나, 완전히 제거하더라도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덮개판(210)이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결합고리(213)와 결합돌기(203)는 억지끼움 등의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 상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컵라면용기 12 : 커버
13 : 구멍 15 : 젓가락
100 : 천공부재 110 : 바디 하우징
111 : 가이드 홈 112 : 오목 보어
114 : 인출 홈 120 : 핀 바디
122 : 스프링 플런저 130 : 천공핀
132 : 중공 134 : 그물망
140 : 회전축 142 : 제1개구부
143 : 제2개구부 150 : 완충부재
200 : 덮개몸체 203 : 결합돌기
210 : 덮개판 212 : 힌지
213 : 결합고리 214 : 클립
220 : 기밀부재 230 : 손잡이
232 : 수납홈 240 : 베어링
300 : 지지대 310 : 승강장대
312 : 승강장대 머리 320 : 고정장대
400 : 지지몸체 410 : 이탈방지돌기
420 : 회전판

Claims (17)

  1. 컵라면용기 상부에 부착된 커버에 가장자리부터 중심 방향으로 구멍을 내기 위한 복수개의 천공핀과,
    상기 복수개의 천공핀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지지하는 핀 바디와,
    상기 핀 바디가 슬라이딩하며 이송되는 요입된 가이드 홈이 형성된 바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핀은 컵라면용기에 담긴 액체가 통과하는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핀에는 컵라면용기 내의 건더기스프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중공이 형성된 부위에 메쉬(mesh)구조의 그물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부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바디는 상기 바디 하우징의 가이드 홈 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단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하우징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오목 보어가 형성되고,
    상기 핀 바디에는 상기 오목 보어에 수용되는 스프링 플런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부재.
  7. 컵라면용기의 상부에 밀착되는 덮개몸체와,
    상기 덮개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선회하는 것으로 상기 덮개몸체의 상부를 개방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판이 컵라면용기 상부에 밀착되면 상기 컵라면용기 상부에 부착된 커버에 가장자리부터 중심 방향으로 구멍을 내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재는 상기 덮개판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재의 천공핀은 컵라면용기 커버에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천공부재의 선회 방향에 대응하는 곡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덮개판에 안착된 천공부재가 선회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클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볼 조인트로 구성되어, 상기 천공부재와 상기 회전축이 연결된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천공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덮개판으로부터 수직된 상태의 상기 천공핀을 수평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재는 회전축에서 컵라면용기 커버에 구멍을 형성하는 제1방향 및 컵라면용기 커버에 구멍을 형성시키지 않는 제2방향으로 선회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몸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덮개몸체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는 젓가락을 수납하기 위한 요입된 수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몸체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몸체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컵라면용기의 하부를 받치는 지지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몸체는 상기 지지대와 공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승강장대와, 상기 승강장대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요입된 면에 형성된 고정장대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장대가 회전하면 상기 승강장대가 상기 고정장대에서 돌출된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몸체의 내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컵라면용기 커버의 가장자리를 압박하는 C자 형태의 기밀부재와,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받치고 있는 상기 컵라면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KR1020150176230A 2015-12-10 2015-12-10 물조절용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KR101773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230A KR101773455B1 (ko) 2015-12-10 2015-12-10 물조절용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230A KR101773455B1 (ko) 2015-12-10 2015-12-10 물조절용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032A KR20170069032A (ko) 2017-06-20
KR101773455B1 true KR101773455B1 (ko) 2017-08-31

Family

ID=5928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230A KR101773455B1 (ko) 2015-12-10 2015-12-10 물조절용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4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2361B2 (ja) 1994-05-16 2001-06-04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建物の建築部材
JP3180120B2 (ja) * 1992-10-30 2001-06-2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バッチ式焼鈍炉の加熱完了予測方法
JP2004161369A (ja) * 2002-11-14 2004-06-10 Shinwa Foods Kk トップシート穴開け蓋
KR101372149B1 (ko) 2012-09-03 2014-03-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용기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120B2 (ja) * 1992-10-30 2001-06-2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バッチ式焼鈍炉の加熱完了予測方法
JP3172361B2 (ja) 1994-05-16 2001-06-04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建物の建築部材
JP2004161369A (ja) * 2002-11-14 2004-06-10 Shinwa Foods Kk トップシート穴開け蓋
KR101372149B1 (ko) 2012-09-03 2014-03-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용기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032A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62508A1 (en) Juice Extractor
JPH09193935A (ja) 小出し手段付き食品容器
JP6930819B2 (ja) 一体型飲料用こし器蓋
US20150044354A1 (en) Coconut opening device
EA012977B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 способ переноса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з упаковки (варианты)
KR101773455B1 (ko) 물조절용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KR101658305B1 (ko) 식사도구의 거치가 가능한 일회용컵 뚜껑
KR200392313Y1 (ko) 종이컵 인출장치
KR20160004610A (ko) 조리용 뒤집개가 구비된 부침용기 덮개
CN101224088B (zh) 水壶漏斗弹起装置及其煮饮料水壶
KR101590710B1 (ko) 컵라면 용기 고정장치
KR20110008121U (ko) 캔 오픈장치
CN201143124Y (zh) 水壶漏斗弹起装置及其煮饮料水壶
CN205729032U (zh) 一种具有安全装置的煲汤机
KR101721177B1 (ko) 식사도구를 포함하는 일회용 용기
KR20160006278A (ko) 원두커피 캡슐 밀봉장치
KR20160047608A (ko) 화장품 용기
KR101167284B1 (ko) 휴대용 분식류 포장기구
KR20160006275A (ko) 원두커피 캡슐 추출장치
KR20160002609U (ko) 식품 보관용 누름판
KR20150097449A (ko) 포장 용기
KR20180070040A (ko) 물배출 구조를 가지는 일회용 용기
KR20110006506A (ko) 진공식 밀폐용기
CN209421679U (zh) 一种具有盖中盖结构的养生壶
KR20110098263A (ko) 조리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