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149B1 - 용기 홀더 - Google Patents

용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149B1
KR101372149B1 KR1020120096901A KR20120096901A KR101372149B1 KR 101372149 B1 KR101372149 B1 KR 101372149B1 KR 1020120096901 A KR1020120096901 A KR 1020120096901A KR 20120096901 A KR20120096901 A KR 20120096901A KR 101372149 B1 KR101372149 B1 KR 10137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tainer
stick
upper support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수
안성진
황인성
김기령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6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023/0275Glass or bottle hold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컵라면과 같은 용기 내에 수용된 인스턴트 식품을 조리할 때 용기의 뚜껑을 가압 지지하여 용기를 밀봉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용기 내의 뜨거운 국물을 쏟을 위험 없이 용기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용기 홀더가 개시된다. 용기 홀더는, 이동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는 메인 지지대; 메인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용기의 상부 및 뚜껑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메인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용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받침대; 및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받침대를 메인 지지대 쪽으로 탄성적으로 인장하도록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받침대를 메인 지지대에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 홀더{A holder for cup or container}
본 발명은 컵라면과 같은 인스턴스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스치로폼이나 종이로 된 용기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용기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에 수용된 인스턴트 식품을 조리할 때 용기의 뚜껑을 가압 지지하여 용기를 밀봉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용기 내의 뜨거운 국물을 쏟을 위험 없이 용기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용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스턴트 식품, 예를 들면, 컵 라면은 스치로품이나 종이로 된 단열재 용기 내에 건조된 라면과 스프 등과 같은 내용물을 내장하고 용기 상부에 뚜껑을 접착하여 용기를 밀폐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컵 라면은 내용물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 용기 상부에 부착된 뚜껑을 일부 개봉한 후, 용기의 내부에 위치한 스프를 뜯어서 내용물을 용기 내부의 라면위에 투입하고 뜨거운 물을 적당하게 부은 다음, 뚜껑을 용기의 상단에 밀착시켜 밀폐시킨 상태에서 라면이 익을 때까지 일정시간 기다린 후 뚜껑을 완전 개봉하여 라면을 섭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컵 라면은 조리시 한 번 개봉된 뚜껑이 용기의 상단에 재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뜨거운 물을 용기 내부에 넣은 후 라면이 익을 시간 동안 개봉된 뚜껑과 용기의 상단 사이의 공간으로 열이 누출되어 라면이 설익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뚜껑의 가장자리 부분을 용기의 상단을 따라 접어서 밀착시킴과 함께 책 등과 같은 별도의 물건으로 뚜껑을 눌러 주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컵 라면은 뜨거운 물을 용기의 내부에 넣은 후 이동할 경우 용기를 통해 전달되는 고온의 열기 때문에 용기를 별도로 수건이나 천으로 감싸서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때, 용기 주위에 수건이나 천을 감싸는 등의 조치 없이 무리하게 맨손으로 컵라면을 이동시킬 경우 열기를 분산하기 위해 용기를 잡은 손을 번갈아 바꾸는 과정에서 균형을 잃거나 용기를 손에서 놓칠 수도 있다. 이 경우, 뜨거운 국물이 용기 외부로 분출되어 사용자의 손에 화상을 입히거나 및/또는 화상을 입은 손 부위가 감염을 일으키는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컵라면과 같은 용기 내에 수용된 인스턴트 식품을 조리할 때 용기의 뚜껑을 가압 지지하여 용기를 밀봉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용기 내의 뜨거운 국물을 쏟을 위험 없이 안전하고 간편한 용기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용기 홀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양상에 따르면, 용기 홀더는, 이동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는 메인 지지대; 메인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용기의 상부 및 뚜껑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메인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용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받침대; 및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받침대를 메인 지지대 쪽으로 탄성적으로 인장하도록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받침대를 메인 지지대에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 지지대는 일측에 손잡이를 형성한 직립 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직립 봉은 사각형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지지대는 용기의 상부 및 뚜껑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스틱부, 및 상부 지지스틱부 상에 돌출 설치되고, 용기의 상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상부 지지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지지 스틱부는 메인 지지대의 상부에 제1 수평방향 각도로 연결된 제1 상부 지지스틱, 제2 수평방향 각도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도록 메인 지지대의 상부에 제1 상부 지지스틱에 대해 제3 수평방향 각도로 힌지 고정된 제2 상부 지지스틱, 및 제2 상부 지지스틱이 제1 상부 지지스틱 쪽으로 탄성적으로 인장되어 제3 수평방향 각도를 유지하도록 제1 상부 지지스틱과 제2 상부 지지스틱 사이에 설치된 상부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은 각각 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사각 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부 지지 스틱부는 메인 지지대의 상부에 제1 수평방향 각도로 연결된 제1 상부 지지스틱, 및 메인 지지대의 상부에 제1 상부 지지스틱에 대해 제3 수평방향 각도로 연결된 제2 상부 지지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지지돌기부는,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에 각각 설치되고 용기의 상부 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일측 상부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제2 상부 지지돌기부는,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에 각각 설치되고 용기의 상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타측 상부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부 지지대는 제2 상부 지지돌기부가 용기의 상부의 타측면과 접근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상부 지지돌기부를 상부 지지스틱부 쪽으로 탄성적으로 인장하도록 제2 상부 지지돌기부를 상부 지지스틱부에 연결하는 상부 지지돌기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지지돌기 연결부는, 각각 하부에 제2 상부 지지돌기부의 제1 및 제2 타측 상부 지지돌기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 내에 형성된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홈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상부 지지봉, 및 각각 제1 및 제2 상부 지지봉을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홈 내부 쪽으로 인장하도록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홈에 설치된 제1 및 제2 상부 인장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받침대는 용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스틱부, 및 하부 지지스틱부 상에 돌출 설치되고, 용기의 하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하부 지지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부 지지 스틱부는 메인 지지대의 하부에 제4 수평방향 각도로 연결된 제1 하부 지지스틱, 제5 수평방향 각도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도록 메인 지지대의 하부에 제1 하부 지지스틱에 대해 제6 수평방향 각도로 힌지 고정된 제2 하부 지지스틱, 및 제2 하부 지지스틱이 제1 하부 지지스틱 쪽으로 탄성적으로 인장되어 제6 수평방향 각도를 유지하도록 제1 하부 지지스틱과 제2 하부 지지스틱 사이에 설치된 하부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하부 지지스틱은 각각 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사각 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부 지지 스틱부는 메인 지지대의 하부에 제4 수평방향 각도로 연결된 제1 하부 지지스틱, 및 메인 지지대의 하부에 제1 하부 지지스틱에 대해 제6 수평방향 각도로 연결된된 제2 하부 지지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지지돌기부는, 제1 및 제2 하부 지지스틱에 각각 설치되고 용기의 하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일측 하부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제2 하부 지지돌기부는, 제1 및 제2 하부 지지스틱에 각각 설치되고 용기의 하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타측 하부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부 받침대는 제2 하부 지지돌기부가 용기의 하부의 타측면과 접근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하부 지지돌기부를 하부 지지스틱부 쪽으로 탄성적으로 인장하도록 제2 하부 지지돌기부를 하부 지지스틱부에 연결하는 하부 지지돌기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지지돌기 연결부는, 각각 상부에 제2 하부 지지돌기부의 제1 및 제2 타측 하부 지지돌기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하부 지지스틱내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가이드 홈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하부 지지봉, 및 각각 제1 및 제2 하부 지지봉을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홈 내부 쪽으로 인장하도록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홈에 설치된 제1 및 제2 하부 인장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연결부는, 메인 지지대 내에 형성된 수직 가이드 홈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수직 지지봉, 및 수직 지지봉을 수직 가이드 홈 내부 쪽으로 인장하도록 수직 가이드 홈에 설치된 수직 인장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 홀더는 상부 지지대 또는 하부 받침대가 탄성 연결부에 의해 메인 지지대 쪽으로 탄성적으로 인장되므로, 컵라면 용기와 같은 인스턴트 식품의 용기를 상부 지지대와 하부 받침대 사이에 안착시켜 용기 내에 수용된 인스턴트 식품을 조리할 때 용기 뚜껑을 용기에 대해 가압하여 용기를 강건한 밀봉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용기 내부의 뜨거운 국물의 열기가 용기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고온 상태로 유지되어 라면이 설익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홀더는 메인 지지대의 일측에 손잡이를 구비하므로, 용기 내의 인스턴트 식품이 조리되는 중에도 용기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컵 라면과 같이 용기를 별도로 수건이나 천으로 감싸서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나, 열기를 분산하기 위해 용기를 잡은 손을 번갈아 바꾸는 과정에서 균형을 잃거나 용기를 손에서 놓쳐서 뜨거운 국물이 용기 외부로 분출됨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화상을 입거나 및/또는 화상을 입은 손 부위가 감염을 일으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용기 홀더를 예시하는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용기 홀더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3는 도 2a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및
도 4는 도 2b의 선 IV-IV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용기 홀더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 홀더를 예시하는 도면으로, 도 2a 및 도 2b의 선 I-I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용기 홀더(100)는, 용기, 예를 들면, 컵라면 용기(1) 내에 수용된 라면과 같은 인스턴트 식품을 조리할 때 컵라면 뚜껑(3)을 컵라면 용기(1)에 대해 가압하여 컵라면 용기(1)를 강건한 밀봉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컵라면 용기(1) 내의 뜨거운 국물을 쏟을 위험 없이 컵라면 용기(1)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지지대(110), 상부 지지대(120), 하부 받침대(150), 및 탄성 연결부(180)를 포함한다.
메인 지지대(110)는 용기 홀더(100)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일측에 이동을 위한 손잡이(111)를 형성한 직립 봉(113)으로 구성된다. 직립 봉(113)은 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사각 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대(120)는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 및 컵라면 뚜껑(3)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지지대(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부 지지대(120)는 상부 지지스틱부(121), 및 제1 및 제2 상부 지지돌기부(136, 138)를 구비한다.
상부 지지스틱부(121)는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 및 컵라면 뚜껑(3)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 스틱부(121)는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23, 125), 및 상부 탄성스프링(126)을 구비한다.
제1 상부 지지스틱(123)은 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봉으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메인 지지대(110)의 탄성 연결부(180)의 수직 지지봉(181)에 제1 수평방향 각도(α), 예를 들면, 160° 내지 170°의 각도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상부 지지스틱(123)의 하면에는 컵라면 용기(1)가 상부 지지대(120)와 하부 받침대(150) 사이에 장착될 때 컵라면 뚜껑(3)이 용기(1)의 상단에 밀착하는 것을 돕기 위한 압착 부재(129)가 설치된다. 압착 부재(129)는 압착성이 우수한 고무와 같은 탄성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부 지지스틱(125)은 제1 상부 지지스틱(123)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봉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2 상부 지지스틱(125)은 직립 봉(113)에 대해 제2 수평방향 각도(β), 예를 들면, 30° 이상의 각도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봉(18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힌지홈(181a)에 힌지 고정되는 상부 힌지축 돌기(125a)를 메인 지지대 쪽 단부에 구비한다. 제2 상부 지지스틱(125)의 하면에는 제1 상부 지지스틱(123)과 마찬가지로, 컵라면 용기(1)가 상부 지지대(120)와 하부 받침대(150) 사이에 장착될 때 컵라면 뚜껑(3)이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에 밀착하는 것을 돕기 위한 압착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이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부 지지스틱(125)은 상부 스토퍼(123a)에 의해 제1 상부 지지스틱(123)에 대한 피봇 또는 접근 각도가 제3 수평방향 각도(γ), 예를 들면, 약 45° 이하의 각도로 되지 않도록 제한된다. 이 이유는 제1 상부 지지스틱(123)에 대한 제 2 상부 지지스틱(125)의 접근 각도가 약 45°이하로 되면,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23, 125)은 너무 접근하여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부 탄성스프링(126)은 제2 상부 지지스틱(125)을 상부 스토퍼(123a) 쪽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서 제2 상부 지지스틱(125)이 제1 상부 지지스틱(123)에 대해 상기 제3 수평방향 각도(γ)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부 탄성스프링(126)은 수직 지지봉(181)에 연결된 제1 상부 지지스틱(123)의 메인 지지대 쪽 단부(도 1의 우측 단부)와 상부 힌지축 돌기(125a)를 구비한 제2 상부 지지스틱(125)의 메인 지지대 쪽 단부 사이에 고정된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상부 지지돌기부(136, 138)는 상부 지지스틱부(121)의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23, 125)에 설치되고,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의 일측면과 타측면, 예를 들면, 우측면과 좌측면(도 1 기준)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제1 상부 지지돌기부(136)는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의 우측면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우측 상부 지지돌기(137; 도 1에 제1 우측 상부 지지돌기만 도시됨)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우측 상부 지지돌기(137)는 각각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23, 125)의 하면 우측에 아래로 돌출 설치된다. 또한, 제1 및 제2 우측 상부 지지돌기(137)은 각각 좌측면이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의 우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컵라면 용기(1)의 측면 각도에 대응하게 약 9° 내지 10°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제2 상부 지지돌기부(138)는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의 좌측면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좌측 상부 지지돌기(139; 도 1에 제1 좌측 상부 지지돌기만 도시됨)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좌측 상부 지지돌기(139)는 후술하는 상부 지지돌기 연결부(140)의 제1 및 제2 상부 지지봉(141; 도 1에 제1 상부 지지봉만 도시됨)의 하면 좌측에 아래로 돌출 설치된다. 또한, 제1 및 제2 좌측 상부 지지돌기(139)는 각각 우측면이 제1 및 제2 우측 상부 지지돌기(137)의 좌측면들과 마찬가지로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의 좌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컵라면 용기(1)의 측면 각도에 대응하게 약 9° 내지 10°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제2 상부 지지돌기부(138)가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의 좌측면과 접근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를 제1 및 제2 상부 지지돌기부(136, 138) 사이에 고정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 지지대(120)는 제2 상부 지지돌기부(138)를 상부 지지스틱부(121)의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23, 125) 쪽을 향해 좌측으로 탄성적으로 인장하도록 제2 상부 지지돌기부(138)를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23, 125)에 연결하는 상부 지지돌기 연결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지지돌기 연결부(140)는 제1 및 제2 상부 지지봉(141, 142(도 2a 참조), 및 제1 및 제2 상부 인장 스프링(143; 도 1에 제1 상부 인장 스프링만 도시됨)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상부 지지봉(141, 142)은 각각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23, 125)의 좌측 단부 내에 형성된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홈(145; 도 1에 제1 상부 가이드홈만 도시됨)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제1 및 제2 상부 지지봉(141)은 각각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면 좌측에 제1 및 제2 좌측 상부 지지돌기(139)를 각각 돌출 설치하고 있다.
제1 및 제2 상부 인장 스프링(143)은 각각 제1 및 제2 상부 지지봉(141)의 우측 단부(도 1 기준)를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홈(145) 내부에 고정하도록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홈(145) 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상부 지지봉(141)을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홈(145) 내부 쪽으로 인장한다.
따라서,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가 제1 및 제2 좌측 상부 지지돌기(139)의 우측면들과 제1 및 제2 우측 상부 지지돌기(137)의 좌측면들 사이에 장착될 때, 제1 및 제2 좌측 상부 지지돌기(139)의 우측면들은 상부 지지돌기 연결부(140)의 제1 및 제2 상부 인장 스프링(143)의 탄성 인장력에 의해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의 좌측면 쪽으로 탄성적으로 압착되면서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를 우측으로 가압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컵라면 용기(1)의 좌측면 아래로 접힌 컵라면 뚜껑(3)의 가장자리 부분을 컵라면 용기(1)의 좌측면과 밀착시켜 컵라면 용기(1)를 강건한 밀봉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가 제1 및 제2 좌측 상부 지지돌기(139)를 통해 전달되는 제1 및 제2 상부 인장 스프링(143)의 탄성 인장력에 의해 우측으로 가압 이동됨에 따라, 제1 및 제2 우측 상부 지지돌기(137)의 좌측면들은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의 우측면 아래로 접힌 컵라면 뚜껑(3)의 가장자리 부분을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의 우측면과 밀착시켜 컵라면 용기(1)를 강건한 밀봉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하부 받침대(150)는 컵라면 용기(1)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지지대(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하부 받침대(150)는 하부 지지스틱부(151), 및 제1 및 제2 하부 지지돌기부(166, 168)를 포함한다.
하부 지지스틱부(151)는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 스틱부(151)는 제1 및 제2 하부 지지스틱(153, 155), 및 하부 탄성스프링(156)을 구비한다.
제1 하부 지지스틱(153)은 제1 상부 지지스틱(123)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봉 형태로 형성되고, 메인 지지대(110)의 직립 봉(113)에 제1 수평방향 각도(α) 보다 큰 제4 수평방향 각도(α'), 예를 들면, 165° 내지 175°의 각도로 연결되어 있다.
제2 하부 지지스틱(155)은 제2 상부 지지스틱(125)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봉 형태로 형성되고, 직립 봉(113)에 대해 제2 수평방향 각도(β) 보다 작은 제5 수평방향 각도(β'), 예를 들면, 20° 이상의 각도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봉(113)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힌지홈(113b)에 힌지 고정되는 상부 힌지축 돌기(155a)를 메인 지지대 쪽 단부에 구비한다.
이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부 지지스틱(155)은 제2 상부 지지스틱(125)과 마찬가지로, 하부 스토퍼(153a)에 의해 제1 하부 지지스틱(153)에 대한 피봇 또는 접근 각도가 제3 수평방향 각도(γ) 보다 작은 제6 수평방향 각도(γ'), 예를 들면, 약 30°이하로 되지 않도록 제한된다. 이 이유는 제1 하부 지지스틱(153)에 대한 제2 하부 지지스틱(155)의 접근 각도가 약 30°이하로 되면, 제1 및 제2 하부 지지스틱(153, 155)이 너무 접근하여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부 탄성스프링(156)은 제2 하부 지지스틱(155)을 하부 스토퍼(153a) 쪽으로 탄성적으로 당겨서 제2 하부 지지스틱(155)이 제1 하부 지지스틱(153)에 대해 제6 수평방향 각도(γ')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하부 탄성스프링(156)은 직립 봉(113)에 연결된 제1 하부 지지스틱(153)의 메인 지지대 쪽 단부(도 1의 우측단부)와 하부 힌지축 돌기(155a)를 구비한 제2 하부 지지스틱(155)의 메인 지지대 쪽 단부 사이에 고정된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하부 지지돌기부(166, 168)는 하부 지지스틱부(151)의 제1 및 제2 하부 지지스틱(153, 155)에 설치되고,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의 일측면과 타측면, 예를 들면, 우측면과 좌측면(도 1 기준)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제1 하부 지지돌기부(166)는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의 우측면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우측 하부 지지돌기(167; 도 1에 제1 우측 하부 지지돌기만 도시됨)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우측 하부 지지돌기(167)는 각각 제1 및 제2 하부 지지스틱(153, 155)의 상면 우측에 위로 돌출 설치된다. 또한, 제1 및 제2 우측 하부 지지돌기(167)은 각각 좌측면이 용기(1)의 하부(1b)의 우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컵라면 용기(1)의 측면 각도에 대응하게 약 9° 내지 10°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제2 하부 지지돌기부(168)는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의 좌측면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좌측 하부 지지돌기(169; 도 1에 제1 좌측 하부 지지돌기만 도시됨)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좌측 하부 지지돌기(169)는 후술하는 하부 지지돌기 연결부(170)의 제1 및 제2 하부 지지봉(171, 172(도 2b 참조))의 하면 좌측에 위로 돌출 설치된다. 또한, 제1 및 제2 좌측 하부 지지돌기(169)는 각각 우측면이 제1 및 제2 우측 하부 지지돌기(167)의 좌측면들과 마찬가지로,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의 좌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용기(1)의 측면 각도에 대응하게 약 9° 내지 10°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제2 하부 지지돌기부(168)가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의 좌측면과 접근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를 제1 및 제2 하부 지지돌기부(166, 168) 사이에 고정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부 받침대(150)는 제2 하부 지지돌기부(168)를 하부 지지스틱부(151)의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53, 155) 쪽을 향해 좌측으로 탄성적으로 인장하도록 제2 하부 지지돌기부(168)를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53, 155)에 연결하는 하부 지지돌기 연결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지지돌기 연결부(170)는 제1 및 제2 하부 지지봉(171, 172), 및 제1 및 제2 하부 인장 스프링(173; 도 1에 제1 하부 인장 스프링만 도시됨)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하부 지지봉(171, 172)은 각각 제1 및 제2 하부 지지스틱(173, 175)의 좌측 단부들 내에 형성된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홈(175; 도 1에 제1 하부 가이드홈만 도시됨) 내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제1 및 제2 하부 지지봉(171, 172)은 각각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면 좌측에 제1 및 제2 좌측 하부 지지돌기(179)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제1 및 제2 하부 인장 스프링(173)은 각각 제1 및 제2 하부 지지봉(171, 172)의 우측 단부를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홈(175)의 내부에 고정하도록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홈(175) 내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하부 지지봉(171, 172)을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홈(175) 내부 쪽으로 인장한다.
따라서,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가 제1 및 제2 좌측 하부 지지돌기(169)의 우측면들과 제1 및 제2 우측 하부 지지돌기(167)의 좌측면들 사이에 장착될 때, 제1 및 제2 좌측 하부 지지돌기(169)의 우측면들은 하부 지지돌기 연결부(170)의 제1 및 제2 상부 인장 스프링(173)의 탄성 인장력에 의해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의 좌측면 쪽으로 탄성적으로 압착되면서 컵라면 용기(1)를 우측으로 가압 이동시킨다. 또한,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가 제1 및 제2 좌측 하부 지지돌기(169)를 통해 전달되는 제1 및 제2 하부 인장 스프링(173)의 탄성 인장력에 의해 우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제1 및 제2 우측 하부 지지돌기(167)의 좌측면들은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의 우측면과 밀착한다. 그 결과,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는 강건하게 고정될 수 있다.
탄성 연결부(180)는 컵라면 뚜껑(3)이 상부 지지대(120)에 의해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에 밀착되도록 상부 지지대(120)를 메인 지지대(110) 쪽으로 탄성적으로 인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지지대(120)를 메인 지지대(110)에 탄성적으로 연결하도록 메인 지지대(110)의 직립 봉(113)에 설치된다.
탄성 연결부(180)는 수직 지지봉(181), 및 수직 인장 스프링(183)을 포함한다.
수직 지지봉(181)은 직립 봉(113)의 상부 내에 형성된 수직 가이드 홈(113a) 내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때, 수직 지지봉(181)과 수직 가이드 홈(113a)은 수직 지지봉(181)이 수직 가이드 홈(113a)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직 인장 스프링(183)은 수직 지지봉(181)의 하단부를 수직 가이드 홈(113a) 내부에 고정하도록 수직 가이드 홈(113a) 내에 설치되어 수직 지지봉(181)을 수직 가이드 홈(113a) 내부 쪽으로 인장한다.
따라서, 컵라면 용기(1)가 상부 지지대(120)와 하부 받침대(150) 사이에 장착될 때, 수직 지지봉(181)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 지지 스틱부(121)의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23, 125)의 하면상의 압착부재(129)들은 수직 인장 스프링(183)의 탄성 인장력에 의해 컵라면 뚜껑(3)을 컵라면 용기(1)의 상단에 밀착시켜 용기(1)를 강건한 밀봉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컵라면 용기(1)의 장착 또는 제거시, 사용자는 수직 인장 스프링(183)의 인장력에 대항하여 수직 지지봉(181)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 지지 스틱부(121)의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23, 125)을 위로 당기는 것에 의해 컵라면 용기(1)를 상부 지지대(120)와 하부 받침대(150) 사이의 공간에 장착하거나 상부 지지대(120)와 하부 받침대(15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용기 홀더(100)는 탄성 연결부(180)가 직립 봉(113)의 상부에서 상부 지지대(120)의 상부 지지 스틱부(121)에 연결되어 상부 지지대(120)를 메인 지지대(110) 쪽으로 탄성적으로 인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용기 홀더(100)는 탄성 연결부(180)가 동일한 구성과 원리로 직립 봉(113)의 하부에서 하부 받침대(150)의 하부 지지 스틱부(151)에 연결되어 하부 받침대(150)를 메인 지지대(110) 쪽으로 탄성적으로 인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용기 홀더(100)는 인스턴스 식품으로서 컵라면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용기 홀더인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용기 홀더(100)는 동일한 구성과 원리로 뜨거운 물을 사용하여 조리하는 다른 인스턴트 식품을 내장한 용기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용기 홀더로도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용기 홀더(100)는 제2 상부 지지스틱(125)과 제2 하부 지지스틱(155)이 각각 수직 지지봉(181)의 상부 힌지홈(181a)과 직립 봉(113)의 하부 힌지홈(113a)에 힌지 고정되는 상부 힌지축 돌기(125a)과 하부 힌지축돌기(155a)를 통해 제1 상부 지지스틱(123)과 제1 하부 지지스틱(153)에 대해 피봇하는 것으로 예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용기 홀더(100)는 다양한 직경의 용기들(1)을 수납하여 장착하는 것이 제한되기는 하지만, 제2 상부 지지스틱(125)과 제2 하부 지지스틱(155)이 각각 제2 상부 지지스틱(125)과 제2 하부 지지스틱(155)에 대해 제3 및 제6 수평방향 각도로 수직 지지봉(181)과 직립 봉(113)에 고정 연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용기 홀더(100)는, 제2 상부 지지스틱(125)과 제2 하부 지지스틱(155)이 피봇하지 않으므로, 제2 상부 지지스틱(125)과 제2 하부 지지스틱(155)을 제2 상부 지지스틱(125)과 제2 하부 지지스틱(155)에 대해 각각 제3 및 제6 수평방향 각도(γ,γ')로 유지하기 위한 상부 탄성스프링(126)과 하부 탄성스프링(156)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용기 홀더(100)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컵 라면의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해, 사용자는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에 부착된 컵라면 뚜껑(3)을 일부 개봉한 후, 컵라면 용기(1)의 내부에 위치한 스프를 뜯어서 내용물을 용기 내부의 라면 위에 투입하고 뜨거운 물을 적당하게 부은 다음, 컵라면 뚜껑(3)의 개봉된 일부의 가장자리 부분을 컵라면 용기(1)의 상단에 밀착하도록 접어서 개봉된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를 밀폐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2 상부 지지스틱(125)과 제2 하부 지지스틱(155)이 각각 제1 상부 지지스틱(123)과 제1 하부 지지스틱(153)에 대해 제2 및 제 5 수평방향 각도(β, β'), 예를 들면, 30° 및 20°이상의 각도 만큼 벌어지도록 상부 및 하부 탄성스프링(126, 156)의 탄성 인장력에 대항하여 제2 상부 지지스틱(125)과 제2 하부 지지스틱(155)을 수직 지지봉(181)의 상부 힌지축 돌기(125a)와 하부 힌지축 돌기(155a)에 관해 도 2a 및 도 2b의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피봇시킨다.
이어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제2 상부 지지스틱(125)과 제2 하부 지지스틱(155)을 피봇시킨 상태로 유지한 채, 다른 한 손으로 컵라면 용기(1)를 제2 상부 지지스틱(125) 및 제2 하부 지지스틱(155)의 측면들과 제1 상부 지지스틱(123) 및 제1 하부 지지스틱(153)의 측면들 사이의 벌어진 공간으로 집어 넣은 다음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23, 125)을 잡고 수직 인장 스프링(183)의 탄성 인장력에 대항하여 위로 들어올리면서 컵라면 용기(1)를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23, 125)의 하면들과 제1 및 제2 하부 지지스틱(153, 155)의 상면들 사이에 끼워 넣는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제2 상부 지지스틱(125)과 제2 하부 지지스틱(155)을 피봇시키는 있는 한 손과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23, 125)을 들어올리고 있는 다른 한 손을 놓으면, 제2 상부 지지스틱(125)과 제2 하부 지지스틱(155)는 상부 및 하부 탄성스프링(126, 156)의 탄성 인장력에 의해 도 2a 및 도 2b의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복귀 이동하고,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23, 125)는 수직 인장 스프링(183)의 탄성 인장력에 의해 하강하여 도 1에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수직 지지봉(181)의 상부에 연결된 상부 지지 스틱부(121)의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23, 125)의 하면상의 압착부재(129)들은 수직 인장 스프링(183)의 탄성 인장력에 의해 개봉된 일부를 포함하는 컵라면 뚜껑(3) 전체를 컵라면 용기(1)의 상단에 밀착시켜 컵라면 용기(1)를 강건한 밀봉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제1 및 제2 좌측 상부 지지돌기(139)의 우측면들은 제1 및 제2 상부 인장 스프링(143)의 탄성 인장력에 의해 컵라면 용기(1)의 상단의 좌측면 아래로 접힌 컵라면 뚜껑(3)의 개봉된 일부의 가장자리 부분을 컵라면 용기(1)의 상단의 좌측면과 밀착시키거나 컵라면 용기(1)의 상단의 좌측면과 직접 접촉하면서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를 우측으로 가압한다.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가 우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제1 및 제2 우측 상부 지지돌기(137)의 좌측면들은 컵라면 용기(1)의 상단의 우측면 아래로 접힌 컵라면 뚜껑(3)의 개봉된 일부의 가장자리 부분을 컵라면 용기(1)의 상단의 우측면과 밀착시키거나 컵라면 용기(1)의 상단의 우측면과 직접 접촉하면서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를 지지한다. 그 결과,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는 강건한 밀봉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1 및 제2 좌측 하부 지지돌기(169)의 우측면들은 제1 및 제2 하부 인장 스프링(173)의 탄성 인장력에 의해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의 좌측면과 밀착하면서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를 좌측으로 가압한다.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가 좌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제1 및 제2 우측 하부 지지돌기(167)의 좌측면들은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의 좌측면 및 우측면과 밀착하여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를 지지한다. 그 결과, 컵라면 용기(1)의 하부(1b)는 강건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컵라면 용기(1)가 강건한 밀봉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컵라면 용기(1) 내부의 뜨거운 국물의 열기가 용기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고온 상태로 유지되어 라면이 설익는 것을 방지된다.
또한, 이와 같이 라면이 조리되는 중에 컵라면 용기(1)를 수납 장착한 용기 홀더(100)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더라도, 컵라면 뚜껑(3)이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123, 125)의 하면상의 압착부재(129)들에 의해 컵라면 용기(1)의 상단에 밀착됨과 함께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의 좌측면 및 우측면 아래로 접힌 컵라면 뚜껑(3)의 개봉된 일부의 가장자리 부분이 제1 및 제2 좌측 상부 지지돌기(139)의 우측면들과 제1 및 제2 우측 상부 지지돌기(137)의 좌측면들에 의해 컵라면 용기(1)의 상부(1a)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밀착되어 강건한 밀봉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간단히 한 손으로 손잡이(111)을 잡고 컵라면 용기(1)를 장착한 용기 홀더(100)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컵라면 용기(1)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컵 라면과 같이 용기를 별도로 수건이나 천으로 감싸서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나, 열기를 분산하기 위해 용기를 잡은 손을 번갈아 바꾸는 과정에서 균형을 잃거나 용기를 손에서 놓쳐서 뜨거운 국물이 용기 외부로 분출됨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화상을 입거나 및/또는 화상을 입은 손 부위가 감염을 일으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여 라면이 완전히 익으면, 사용자는 위에서 설명한 컵라면 용기(1)를 용기 홀더(100) 내에 장착하는 동작과 반대의 순서로 용기 홀더(100)의 구성요소들을 조작하여 컵라면 용기(1)를 용기 홀더(100)로부터 꺼낸 다음, 컵라면 뚜껑(3)을 컵라면 용기(1)의 상단으로부터 완전 개봉하여 라면을 섭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용기 홀더 110: 메인 지지대
111: 손잡이 120: 상부 지지대
121: 상부 지지스틱부 123, 125: 상부 지지스틱
126: 상부 탄성스프링 135, 138: 상부 지지돌기부
137, 139: 상부 지지돌기 140: 상부 지지돌기 연결부
140, 142: 상부 지지봉 143: 상부 인장 스프링
150: 하부 받침대 151: 하부 지지스틱부
153, 155: 하부 지지스틱 156: 하부 탄성스프링
166, 168: 상부 지지돌기부 167, 169: 상부 지지돌기
170: 하부 지지돌기 연결부 171, 172: 하부 지지봉
173: 하부 인장 스프링 180: 탄성 연결부
181: 수직 지지봉 183: 수직 인장 스프링

Claims (8)

  1. 이동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는 메인 지지대; 상기 메인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용기의 상부 및 뚜껑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메인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받침대; 및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받침대 중의 하나를 상기 메인 지지대 쪽으로 탄성적으로 인장하도록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받침대 중의 상기 하나를 상기 메인 지지대에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 연결부는 상기 메인 지지대 내에 형성된 수직 가이드 홈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수직 지지봉; 및 상기 수직 지지봉을 상기 수직 가이드 홈 내부 쪽으로 인장하도록 상기 수직 가이드 홈에 설치된 수직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상기 용기의 상기 상부 및 상기 뚜껑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스틱부; 및 상기 상부 지지스틱부 상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상기 상부의 일측면의 타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상부 지지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받침대는 상기 용기의 상기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스틱부; 및 상기 하부 지지스틱부 상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상기 하부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하부 지지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 스틱부는 상기 메인 지지대의 상기 상부에 제1 수평방향 각도로 연결된 제1 상부 지지스틱; 제2 수평방향 각도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지지대의 상기 상부에 상기 제1 상부 지지스틱에 대해 제3 수평방향 각도로 힌지 고정된 제2 상부 지지스틱;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스틱이 상기 제1 상부 지지스틱 쪽으로 탄성적으로 인장되어 제3 수평방향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상부 지지스틱과 상기 제2 상부 지지스틱 사이에 설치된 상부 탄성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지 스틱부는 상기 메인 지지대의 상기 하부에 제4 수평방향 각도로 연결된 제1 하부 지지스틱; 제5 수평방향 각도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지지대의 상기 하부에 상기 제1 하부 지지스틱에 대해 제6 수평방향 각도로 힌지 고정된 제2 하부 지지스틱; 및 상기 제2 하부 지지스틱이 상기 제1 하부 지지스틱 쪽으로 탄성적으로 인장되어 제6 수평방향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하부 지지스틱과 상기 제2 하부 지지스틱 사이에 설치된 하부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 스틱부는 상기 메인 지지대의 상기 상부에 제1 수평방향 각도로 연결된 제1 상부 지지스틱; 및 상기 메인 지지대의 상기 상부에 상기 제1 상부 지지스틱에 대해 제3 수평방향 각도로 연결된 제2 상부 지지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지 스틱부는 상기 메인 지지대의 상기 하부에 제4 수평방향 각도로 연결된 제1 하부 지지스틱; 및 상기 메인 지지대의 상기 하부에 상기 제1 하부 지지스틱에 대해 제6 수평방향 각도로 연결된 제2 하부 지지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지지돌기부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상기 상부의 상기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일측 상부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부 지지돌기부는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상기 상부의 상기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타측 상부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지지돌기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스틱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상기 하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일측 하부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부 지지돌기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스틱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용기의 상기 하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타측 하부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상기 제2 상부 지지돌기부를 상기 상부 지지스틱부 쪽으로 탄성적으로 인장하도록 상기 제2 상부 지지돌기부를 상기 상부 지지스틱부에 연결하는 상부 지지돌기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받침대는 상기 제2 하부 지지돌기부를 상기 하부 지지스틱부 쪽으로 탄성적으로 인장하도록 상기 제2 하부 지지돌기부를 상기 하부 지지스틱부에 연결하는 하부 지지돌기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돌기 연결부는 각각, 하부에 상기 제2 상부 지지돌기부의 상기 제1 및 제2 타측 상부 지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지지스틱 내에 형성된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홈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상부 지지봉; 및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지지봉을 상기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홈 내부쪽으로 인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상부 가이드 홈에 설치된 제1 및 제2 상부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지지돌기 연결부는 각각, 상부에 상기 제2 하부 지지돌기부의 상기 제1 및 제2 타측 하부 지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스틱 내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가이드 홈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하부 지지봉; 및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지지봉을 상기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홈 내부쪽으로 인장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하부 가이드 홈에 설치된 제1 및 제2 하부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홀더.
  8. 삭제
KR1020120096901A 2012-09-03 2012-09-03 용기 홀더 KR10137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901A KR101372149B1 (ko) 2012-09-03 2012-09-03 용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901A KR101372149B1 (ko) 2012-09-03 2012-09-03 용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149B1 true KR101372149B1 (ko) 2014-03-12

Family

ID=5064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901A KR101372149B1 (ko) 2012-09-03 2012-09-03 용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1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710B1 (ko) * 2014-06-19 2016-02-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컵라면 용기 고정장치
KR101773455B1 (ko) 2015-12-10 2017-08-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조절용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KR20190002724U (ko) * 2018-04-23 2019-10-31 김수현 종이 박스용 손잡이 기구
KR20220009313A (ko) 2020-07-15 2022-01-24 동방진 박스 테이프 제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257A (ja) * 1994-03-03 1995-09-19 Kenji Yamakami 蓋付容器
JPH10250448A (ja) * 1997-03-17 1998-09-22 Prince Corp 展開可能な容器ホルダー
JP2001029201A (ja) 1999-01-08 2001-02-06 Baishu Ko 折畳み式カップ・ホルダー
JP2007331797A (ja) * 2006-06-15 2007-12-27 Nissan Motor Co Ltd 飲料容器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257A (ja) * 1994-03-03 1995-09-19 Kenji Yamakami 蓋付容器
JPH10250448A (ja) * 1997-03-17 1998-09-22 Prince Corp 展開可能な容器ホルダー
JP2001029201A (ja) 1999-01-08 2001-02-06 Baishu Ko 折畳み式カップ・ホルダー
JP2007331797A (ja) * 2006-06-15 2007-12-27 Nissan Motor Co Ltd 飲料容器ホルダ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710B1 (ko) * 2014-06-19 2016-02-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컵라면 용기 고정장치
KR101773455B1 (ko) 2015-12-10 2017-08-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조절용 천공부재를 포함하는 컵라면용기 고정장치
KR20190002724U (ko) * 2018-04-23 2019-10-31 김수현 종이 박스용 손잡이 기구
KR200491612Y1 (ko) * 2018-04-23 2020-05-07 김수현 종이 박스용 손잡이 기구
KR20220009313A (ko) 2020-07-15 2022-01-24 동방진 박스 테이프 제거 장치
KR20220009312A (ko) 2020-07-15 2022-01-24 동방진 박스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149B1 (ko) 용기 홀더
SE8003956L (sv) Formad bricka forsedd med behallarfastsettningshallare
US2887037A (en) Individual tea brewing device
US2922558A (en) Handle means for containers
CN203059159U (zh) 支架茶壶
KR20110015247A (ko) 용기
KR101590710B1 (ko) 컵라면 용기 고정장치
KR101587012B1 (ko) 접이식 컵라면용기
CN207996125U (zh) 一种防倾倒的智能水杯
CN208932116U (zh) 一种盛装有茶叶的一次性纸杯
CN210055521U (zh) 一种自动开关盖子的水杯
CN209074203U (zh) 水壶
CN210300661U (zh) 适用于茶丸的煮茶器
US306633A (en) Fruit-jar holder
KR101241408B1 (ko) 과일용 쟁반 어셈블리
KR200485761Y1 (ko) 컵 홀드 겸 빨대
KR101386746B1 (ko) 컵라면 뚜껑 고정용 스틱
KR200464032Y1 (ko) 용기거치장치
US2014108A (en) Jar holder
CN209826126U (zh) 一种站立摆动出水的茶壶
CN218683525U (zh) 带手机底座的拉面碗
KR20190068729A (ko) 냄비 탈부착 거름망
CN208192924U (zh) 一种烧烤夹
KR101912531B1 (ko) 위생 캔 고리장치
CN208017325U (zh) 一种多供能的水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