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609U - 식품 보관용 누름판 - Google Patents

식품 보관용 누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609U
KR20160002609U KR2020150000399U KR20150000399U KR20160002609U KR 20160002609 U KR20160002609 U KR 20160002609U KR 2020150000399 U KR2020150000399 U KR 2020150000399U KR 20150000399 U KR20150000399 U KR 20150000399U KR 20160002609 U KR20160002609 U KR 201600026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tainer
slits
radial
radi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관
Original Assignee
서용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관 filed Critical 서용관
Priority to KR2020150000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609U/ko
Publication of KR201600026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6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B)의 직경 또는 너비에 상관없이 루프형 힌지라인(30)을 경계로 외부 플레이트(20)가 내부 플레이트(1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꺾일 수 있게 되어 용기(B) 속으로의 진입 및 용기(B) 속으로부터의 이탈 그리고 식품의 누름기능까지 정확하고도 편리하게 실현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보관용 누름판{PUSHING PLATE FOR STORING FOOD}
본 고안은 식품 보관용 누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직경 또는 너비에 상관없이 용기 속으로의 진입 및 이탈 그리고 식품의 누름기능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실현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용기는 배추나 무와 같은 김치, 그리고 오이, 마늘 따위의 야채를 간장이나 소금물에 담가 놓았다가 조금씩 꺼내 오래 두고 먹는 김치, 더 나아가 각종 과일을 술과 함께 숙성시켜 먹는 과실주 등을 보관하는 하는 데 사용된다.
그런데, 김치나 야채 또는 과일 등이 김칫국이나 간장, 소금물 또는 술 등의 표면 위로 노출될 경우 공기와 접촉되어 부패되거나 곰팡이가 발생되곤 한다.
이러한 현상을 없애기 위하여 김치나 야채 또는 과일 등을 김칫국, 간장, 소금물 또는 술 속으로 침수될 수 있도록 눌러주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37310호;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부상방지용 마개가 결합된 숙성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내용물을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고 보관된 내용물을 외부로 투출할 수 있는 투출부(12)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를 개폐시키는 마개(20)로 구성되고, 투출부(12)는 동일한 내경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마개(20)의 내측에 투출부(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되 마개(2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된 누름망(30)과, 누름망(30)에 관통되고 투출부(12)의 단부에 접촉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마개(20)의 내측에 삽입되는 유출방지링(35)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는 누름망(30)의 직경이 용기본체(10)의 투출부(12)의 직경보다 클 경우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더 작은 직경을 지닌 누름망(30)을 별도로 마련하여야만 하여 호환성이 크게 떨어지는 한계를 안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2(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9-0092396호; 밀폐용기)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에 적용된 높이조절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d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에 적용된 높이조절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1)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치와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장기간 변질없이 보관할 수 있도록 몸체(10) 및 이를 덮어 밀폐하는 덮개(20)를 포함하면서 음식물을 눌러 국물에 잠기도록 하는 누름판(30)을 포함한다.
몸체(10)는 국물과 음식물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된 일종의 통(桶)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몸체(10)의 상부는 덮개(20)에 의해 밀폐되어 음식물을 보관토록 하고, 누름판(30)은 수용공간(11)에 보관된 음식물을 눌러 국물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고, 음식물을 누르는 과정에서 음식물에 의해 수표면이 상승하는 국물을 수용공간(11)의 상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구(31)를 갖는다.
누름판(30)의 상부에는 원형으로 형성된 위치고정부(32)가 돌출 형성되며, 이에 따라 덮개(20)의 하부에 위치고정부(32)가 밀착되어 음식물의 누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 역시 덮개(20)의 하부에 누름판(30)의 위치고정부(32)가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음식물의 양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선행기술문헌 2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물을 대용량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몸체(10)에 수용공간(11)이 깊게 형성되고, 덮개(20)에는 손잡이(22) 및 통상의 결속수단(23)이 선택적으로 적용된 대용량 밀폐용기가 체결되고,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부(32)에 결합되는 높이조절구(40)를 구비한다.
높이조절구(40)는 속이 비어 있는 위치고정부(32)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됨으로써 누름판(3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고, 이를 통해 몸체(10)에 수용공간(11)을 깊게 하더라도 음식물이 항상 국물에 잠길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는 덮개(20)의 너비가 몸체(10)의 너비보다 클 경우 사용할 수 없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더 작은 너비를 지닌 덮개(20)를 별도로 마련하여야만 하여 호환성이 크게 떨어지는 한계를 안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37310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9-0092396호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의 직경 또는 너비에 상관없이 용기 속으로의 진입 및 용기 속으로부터의 이탈 나아가 식품의 누름기능을 정확하고도 편리하게 실현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로의 진입과 용기로부터의 이탈시 외부 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꺾이면서도 골과 산의 형태로 접힐 수 있도록 하여 그 진입 및 분리 작업을 더욱 용이하고도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공들이 뚫려진 내부 플레이트와,
상기 내부 플레이트의 외곽을 이루는 외부 플레이트와,
상기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 사이를 이어주는 루프형 힌지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공들이 뚫려진 내부 플레이트와,
상기 내부 플레이트의 외곽을 이루는 외부 플레이트와,
상기 내부 플레이트 및 외부 플레이트 사이에 균등하게 배열 뚫려진 힌지구멍들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용기의 직경 또는 너비에 상관없이 용기 속으로의 진입 및 용기 속으로부터의 이탈 그리고 식품의 누름기능을 정확하고도 편리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루프형 힌지라인을 통해 내부 플레이트로부터 외부 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고, 용기 입구의 진입시에는 외부 플레이트가 상측방향으로 휘어져 진입을 하고, 용기 속으로 놓여질 경우 외부 플레이트가 수평상태로 복원되어 매실의 상부를 누를 수 있고, 나아가 용기를 뒤집어 진액을 빼내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 입구의 직경이 작으므로 상측방향으로 휘어진 외부 플레이트가 걸쳐진 상태에서 진액만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반면 용기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내부 플레이트를 강제로 빼내면 외부 플레이트가 루프형 힌지라인에서 꺾여지면서 하측방향으로 휘어져 그 분리를 간단히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용기로의 진입과 용기로부터의 이탈시 외부 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꺾이면서도 골과 산의 형태로 접힐 수 있게 되어 그 진입 및 분리 작업을 훨씬 더 편리하고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용기의 직경 또는 너비에 상관없이 힌지구멍을 경계로 외부 플레이트가 내부 플레이트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꺾일 수 있게 되어 용기 속으로의 진입 및 용기 속으로부터의 이탈 그리고 식품의 누름기능까지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힌지구멍을 통해 내부 플레이트로부터 외부 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용기 입구의 진입시에는 외부 플레이트가 상측방향으로 휘어져 진입을 하고, 용기 속으로 놓여질 경우 외부 플레이트가 수평상태로 복원되어 매실의 상부를 누를 수 있고, 나아가 용기를 뒤집어 진액을 빼내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 입구의 직경이 작으므로 상측방향으로 휘어진 외부 플레이트가 걸쳐진 상태에서 진액만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반면 용기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내부 플레이트를 강제로 빼내면 외부 플레이트가 힌지구멍에서 꺾여지면서 하측방향으로 휘어져 그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부상방지용 마개가 결합된 숙성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b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c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에 적용된 높이조절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d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밀폐용기에 적용된 높이조절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촬영한 평면 대용 사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인 용기를 촬영한 사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용기 속으로 진입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및 사용 상태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고안의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적용하여 용기로부터 매실 진액을 빼내기 위한 모습을 촬영한 사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용기 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촬영한 평면 대용 사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인 용기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면 중 부호 B는 설탕 및 매실을 혼합하여 매실 진액(엑기스)을 추출하기 위한 용기를 나타낸 것이고, 이러한 용기(B) 이외에 각종 과실주 또는 김치 등과 같은 용도의 보관통 역시 용기(B)로 정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매실, 과실 또는 김치 등과 같은 식품은 숙성 또는 발효될 수 있어야 하는데, 그 숙성 및 발효되는 과정에서 진액은 중력에 의해 하향하는 대신 매실이나 과실 또는 김치 등은 역으로 부상하게 된다.
이때, 부상된 매실 등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곰팡이가 피거나 진액이 잘 빠져나오지 못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품 보관용 누름판이 활용되는데,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용기(B) 입구의 직경과 용기(B) 속의 직경이 서로 다르더라도 본 고안에서는 자유롭게 용기(B) 입구를 경유하여 용기(B) 속으로 진입시킨 후 식품을 누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용기 속으로 진입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 및 사용 상태도로서, 도 5a는 용기(B) 위에 본 고안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위치시킨 모습이고, 도 5b는 본 고안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가압하여 용기(B)의 입구 속으로 들어간 모습이고, 도 5c 및 도 5c는 본 고안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이 용기(B) 속으로 위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 및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용기 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도 6a는 용기(B)를 손으로 잡고 매실 진액을 빼내기 위하여 기울인 모습이고, 도 6b는 도 6a의 모습을 세워놓고 촬영한 사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용기 속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도 7a는 용기(B)로부터 본 고안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을 빼내는 초기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7b는 용(B)로부터 본 고안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의 완전 이탈시킨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은 도 3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1)들이 뚫려진 내부 플레이트(10)와, 내부 플레이트(10)의 외곽을 이루는 외부 플레이트(20), 그리고 내부 플레이트(10) 및 외부 플레이트(20) 사이를 이어주는 루프형 힌지라인(30)을 포함한다.
루프형 힌지라인(30)을 통해 내부 플레이트(10)로부터 외부 플레이트(20)가 상하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용기(B) 입구로의 진입시에는 외부 플레이트(20)가 상측방향으로 휘어져 진입을 하고, 용기(B) 속으로 놓여질 경우 외부 플레이트(20)가 수평상태로 복원되어 매실의 상부를 누를 수 있고, 나아가 용기(B)를 뒤집어 진액을 빼내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B) 입구의 직경이 작으므로 상측방향으로 휘어진 외부 플레이트(20)가 걸쳐진 상태에서 진액만을 배출시킬 수 있고, 반면 용기(B)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내부 플레이트(10)를 강제로 빼내면 외부 플레이트(20)가 루프형 힌지라인(30)에서 꺾여지면서 하측방향으로 휘어져 그 분리를 가능토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은 용기(B)의 직경 또는 너비에 상관없이 루프형 힌지라인(30)을 경계로 외부 플레이트(20)가 내부 플레이트(1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꺾일 수 있게 되어 용기(B) 속으로의 진입 및 용기(B) 속으로부터의 이탈 그리고 식품의 누름기능까지 정확하고도 편리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외부 플레이트(20)는 방사상 슬릿(21)을 구비하여 식품의 누름시 예를 들면 매실 진액의 통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은 루프형 힌지라인(30)을 따라 균등하게 배열 뚫려진 힌지구멍(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루프형 힌지라인(30)이 내부 플레이트(10)로부터 외부 플레이트(20)가 상하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힌지구멍(40)은 그 기능을 훨씬 더 수월하게 보장케 한다는 측면에서 더욱 유용하게 된다.
그리고, 방사상 슬릿(21)은 힌지구멍(40)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방사상으로 각각 펼치듯 뚫려진 방사상 직선슬릿(21a)들과, 방사상 직선슬릿(21a)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 힌지구멍(40)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양팔을 각각 넓게 펼치듯 뚫려진 방사상 사선슬릿(21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일 경우 방사상 직선슬릿(21a)은 골이 되고 방사상 사선슬릿(21b)과 이웃 방사상 사선슬릿(21b)이 만나는 지점은 산을 이루어 루프형 힌지라인(30)을 기준으로 내부 플레이트(10)로부터 외부 플레이트(20)가 상하방향으로 꺾일 때 들쭉날쭉한 골과 산의 형상을 이루면서 용기(B)로의 진입과 용기(B)로부터의 이탈시 외부 플레이트(20)가 상하방향으로 꺾이면서도 골과 산의 형태로 접힐 수 있게 되어 그 진입 및 분리 작업을 훨씬 더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방사상 직선슬릿(21a) 및 힌지구멍(40) 사이와, 방사상 사선슬릿(21b) 및 힌지구멍(40) 사이와, 방사상 직선슬릿(21a)들 및 외부 플레이트(20)의 끝단 테두리 사이와, 방사상 사선슬릿(21b)들 및 외부 플레이트(20)의 끝단 테두리 사이에 각각 마련된 방사상 접힘라인(22)을 더 포함하여, 외부 플레이트(20)가 골과 산의 형태로 접힐 때 훨씬 더 부드럽고 훨씬 더 신속하게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은 통공(11)들이 뚫려진 내부 플레이트(10)와, 내부 플레이트(10)의 외곽을 이루는 외부 플레이트(20)와, 내부 플레이트(10) 및 외부 플레이트(20) 사이에 균등하게 배열 뚫려진 힌지구멍(40)들을 포함한다.
힌지구멍(40)을 통해 내부 플레이트(10)로부터 외부 플레이트(20)가 상하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용기(B) 입구의 진입시에는 외부 플레이트(20)가 상측방향으로 휘어져 진입을 하고, 용기(B) 속으로 놓여질 경우 외부 플레이트(20)가 수평상태로 복원되어 매실의 상부를 누를 수 있고, 나아가 용기(B)를 뒤집어 진액을 빼내고자 할 경우에는 용기(B) 입구의 직경이 작으므로 상측방향으로 휘어진 외부 플레이트(20)가 걸쳐진 상태에서 진액만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반면 용기(B)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내부 플레이트(10)를 강제로 빼내면 외부 플레이트(20)가 힌지구멍(40)에서 꺾여지면서 하측방향으로 휘어져 그 분리를 가능토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은 용기(B)의 직경 또는 너비에 상관없이 힌지구멍(40)을 경계로 외부 플레이트(20)가 내부 플레이트(1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꺾일 수 있게 되어 용기(B) 속으로의 진입 및 용기(B) 속으로부터의 이탈 그리고 식품의 누름기능까지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외부 플레이트(20)는 방사상 슬릿(21)을 구비하여 식품의 누름시 예를 들면 매실 진액의 통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방사상 슬릿(21)은 힌지구멍(40)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방사상으로 각각 펼치듯 뚫려진 방사상 직선슬릿(21a)들과, 방사상 직선슬릿(21a)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 힌지구멍(40)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양팔을 각각 넓게 펼치듯 뚫려진 방사상 사선슬릿(21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일 경우 방사상 직선슬릿(21a)은 골이 되고 방사상 사선슬릿(21b)과 이웃 방사상 사선슬릿(21b)이 만나는 지점은 산을 이루어 힌지구멍(40)을 기준으로 내부 플레이트(10)로부터 외부 플레이트(20)가 상하방향으로 꺾일 때 들쭉날쭉한 골과 산의 형상을 이루면서 용기(B)로의 진입과 용기(B)로부터의 이탈시 외부 플레이트(20)가 상하방향으로 꺾이면서도 골과 산의 형태로 접힐 수 있게 되어 그 진입 및 분리 작업을 훨씬 더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방사상 직선슬릿(21a) 및 힌지구멍(40) 사이와, 방사상 사선슬릿(21b) 및 힌지구멍(40) 사이와, 방사상 직선슬릿(21a)들 및 외부 플레이트(20)의 끝단 테두리 사이와, 방사상 사선슬릿(21b)들 및 외부 플레이트(20)의 끝단 테두리 사이에 각각 마련된 방사상 접힘라인(22)을 포함하여, 외부 플레이트(20)가 골과 산의 형태로 접힐 때 훨씬 더 부드럽고 훨씬 더 신속하게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식품 보관용 누름판은 내부 플레이트(10)의 중심에 돌출된 손잡이(12)를 포함하여 용기(B) 속으로의 진입 및 용기(B)로부터의 이탈시 손잡이(12)를 파지하면서 간단히 수행케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추나 무와 같은 김치, 그리고 오이, 마늘 따위의 야채를 간장이나 소금물에 담가 놓았다가 조금씩 꺼내 오래 두고 먹는 김치, 더 나아가 각종 과일을 술과 함께 숙성시켜 먹는 과실주 또는 매실 엑기스 등을 보관하는 하는 데 사용되는 주방용품인 식품용기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내부 플레이트 11 : 통공
12 : 손잡이 20 : 외부 플레이트
21 : 방사상 슬릿 21a : 방사상 직선슬릿
21b : 방사상 사선슬릿 22 : 방사상 접힘라인
30 : 힌지라인 40 : 힌지구멍
B : 용기

Claims (12)

  1. 통공(11)들이 뚫려진 내부 플레이트(10)와,
    상기 내부 플레이트(10)의 외곽을 이루는 외부 플레이트(20)와,
    상기 내부 플레이트(10) 및 외부 플레이트(20) 사이를 이어주는 루프형 힌지라인(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플레이트(20)는 방사상 슬릿(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형 힌지라인(30)을 따라 균등하게 배열 뚫려진 힌지구멍(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슬릿(21)은 상기 힌지구멍(40)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방사상으로 각각 펼치듯 뚫려진 방사상 직선슬릿(21a)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슬릿(21)은 상기 방사상 직선슬릿(21a)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 상기 힌지구멍(40)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양팔을 각각 넓게 펼치듯 뚫려진 방사상 사선슬릿(21b)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직선슬릿(21a) 및 힌지구멍(40) 사이와, 상기 방사상 사선슬릿(21b) 및 힌지구멍(40) 사이와, 상기 방사상 직선슬릿(21a)들 및 외부 플레이트(20)의 끝단 테두리 사이와, 상기 방사상 사선슬릿(21b)들 및 외부 플레이트(20)의 끝단 테두리 사이에 각각 마련된 방사상 접힘라인(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
  7. 통공(11)들이 뚫려진 내부 플레이트(10)와,
    상기 내부 플레이트(10)의 외곽을 이루는 외부 플레이트(20)와,
    상기 내부 플레이트(10) 및 외부 플레이트(20) 사이에 균등하게 배열 뚫려진 힌지구멍(4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플레이트(20)는 방사상 슬릿(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슬릿(21)은 상기 힌지구멍(40)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방사상으로 각각 펼치듯 뚫려진 방사상 직선슬릿(21a)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슬릿(21)은 상기 방사상 직선슬릿(21a)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 상기 힌지구멍(40)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서 양팔을 각각 넓게 펼치듯 뚫려진 방사상 사선슬릿(21b)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직선슬릿(21a) 및 힌지구멍(40) 사이와, 상기 방사상 사선슬릿(21b) 및 힌지구멍(40) 사이와, 상기 방사상 직선슬릿(21a)들 및 외부 플레이트(20)의 끝단 테두리 사이와, 상기 방사상 사선슬릿(21b)들 및 외부 플레이트(20)의 끝단 테두리 사이에 각각 마련된 방사상 접힘라인(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플레이트(10)의 중심에 돌출된 손잡이(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용 누름판.


















KR2020150000399U 2015-01-16 2015-01-16 식품 보관용 누름판 KR201600026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399U KR20160002609U (ko) 2015-01-16 2015-01-16 식품 보관용 누름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399U KR20160002609U (ko) 2015-01-16 2015-01-16 식품 보관용 누름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609U true KR20160002609U (ko) 2016-07-26

Family

ID=5661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399U KR20160002609U (ko) 2015-01-16 2015-01-16 식품 보관용 누름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60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198A (ko) 2018-03-20 2019-09-30 안용범 꼬치 자동화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310B1 (ko) 1999-07-12 2004-06-25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92396A (ko) 2008-02-27 2009-09-01 김성관 냉동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310B1 (ko) 1999-07-12 2004-06-25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92396A (ko) 2008-02-27 2009-09-01 김성관 냉동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198A (ko) 2018-03-20 2019-09-30 안용범 꼬치 자동화 제조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8716B1 (en) System container for cooking pasta by electronic oven
US9801488B2 (en) Steamer container system
US8393490B2 (en) Product container strainer
US200501208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liquid and extracting tea essence from a tea bag
KR200465164Y1 (ko) 물김치의 건더기 침지를 위한 속뚜껑이 구비된 밀폐용기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20160002609U (ko) 식품 보관용 누름판
CN105875934A (zh) 一种柠檬红茶及其制备工艺
JP2002211608A (ja) 貯蔵容器
KR102034693B1 (ko) 식품 숙성 용기
CN110234256B (zh) 用于冲泡饮料的浸泡设备和方法
US10575671B2 (en) Egg white mold
KR101876768B1 (ko) 식품 보관용 누름장치
KR20050081348A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101722315B1 (ko) 휴대용 과즙 추출 용기
KR101494753B1 (ko) 다용도용 발효식품저장용기
US20060021991A1 (en) Sealing cap
KR200472835Y1 (ko) 밀폐용기용 누름판
US20130220916A1 (en) Device for easily removing products from vessels
KR200483139Y1 (ko) 발효음식의 맛을 향상토록 하기 위한 누름판
ITMI20100490A1 (it) Dispositivo per lo svuotamento di capsule di preparazione istantanea di bevande
KR200475739Y1 (ko) 용기에 담겨진 발효식품과 뚜껑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제거하기 위한 누름을 위한 속뚜껑
KR101411462B1 (ko) 식품용기
KR102031117B1 (ko) 기름 제거 통조림 용기
KR20140053495A (ko) 숙성식품의 부상방지를 위한 누름수단을 구비한 숙성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