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390B1 -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390B1
KR101773390B1 KR1020150064773A KR20150064773A KR101773390B1 KR 101773390 B1 KR101773390 B1 KR 101773390B1 KR 1020150064773 A KR1020150064773 A KR 1020150064773A KR 20150064773 A KR20150064773 A KR 20150064773A KR 101773390 B1 KR101773390 B1 KR 101773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ne
cosmetic composition
spring
bolitin
improving ac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755A (ko
Inventor
진병래
최명학
Original Assignee
동아인코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인코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인코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4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390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박벌 독액 유래 봄볼리틴을 포함함으로써, 화학 항생제, 방부제 등이 아닌 천연 물질을 사용하는 바, 피부 자극이 적어 안정성이 우수하며, 이와 동시에 우수한 여드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CNE}
본 발명은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드름은 모낭 및 모낭 주위의 피지선에 발생하는 만성, 난치성, 염증성 피부 질환을 말하며, 이러한 여드름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호르몬 이상에 의한 피지 분비의 증가, 모낭의 협착, 여드름 균의 증식, 염증 반응 등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여드름은 피지선이 많이 모여 있는 얼굴, 두피, 목, 가슴, 등, 상지, 어깨 부위에 주로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호르몬 이상에 의한 여드름 발생 이유로는, 사춘기에 분비되기 시작하며 정상적으로 피지선을 커지게 하는 역할을 하는 안드로겐 호르몬이 과도하게 자극을 받아 피지 분비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게 되면 세균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가 용이하게 되어 여드름균의 증식으로 이어져 여드름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모낭 내에 상주하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라는 세균은 피지를 먹고 자라면서 여드름의 주된 원인이 되는데, 정상적으로 피부에 존재할 때에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모낭이 막혀 피지가 모낭 안에 쌓이게 되면 피지를 먹고 빠르게 자라난다. 이 균은 지방을 먹은 뒤 유리지방산으로 분해하고, 이러한 화학적 변화는 피부 표면의 pH 밸런스를 무너지게 하여 건강한 피부의 약산성 pH가 알칼리화 되어 결국 피부 자체 기능이 저하되고 피부의 악순환을 초래하게 된다.
일반적인 여드름의 치료법은 피지 분비를 줄여 준 다음, 모낭과 각질이 단단해 지지 않게 연화시키며 모낭 내의 세균수를 줄여주고, 여드름이 염증으로 발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여드름 치료를 위하여 경구제 또는 외용제 형태의 약제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항남성 호르몬제를 사용한 피지생성의 억제,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여드름 균의 증식 억제를 위한 항생물질인 테트라사이클린이나 에리스로마이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각질을 벗겨내 피지 배출이 잘 되도록 하는 작용이 있는 피부재생 연고제제의 트레티노인과 아답팔렌, 강력한 항균제제로 세균집단을 줄이고 약간의 항염증과 면포 용해작용이 있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이 있다.
레티노이드는 비타민 A에서 유도된 물질로 피부에 다양한 영향을 주는데, 레티노이드는 피지의 생성을 줄이고 모낭 내 피부 세포의 탈락과 성장을 정상화 시키며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를 감소시켜 여드름의 모든 원인을 개선시킬 수 있지만 입술이나 구강점막 등이 건조해지고 손바닥의 각질이 벗겨지거나 전신 가려움증 등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임신중 과다하게 복용하면 기형 발생의 우려가 있으므로 복용해서는 안되는 주의점이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는 레소시놀, 황, 살리실산,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성분을 첨가하여 피부 각질제거 및 여드름균을 억제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이 과다하게 첨가될 경우 피부 자극 및 쉽게 건조해지는 부작용이 발생하기 쉬워 레소시놀, 살리실산 같은 경우 배합한도가 정해져 있고, 벤조일퍼옥사이드 같은 성분은 국내에서는 배합금지 성분으로 지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56080호에는 남실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56080호
본 발명은 화학 항생제, 화학 방부제 등의 사용 없이 천연물을 사용하여,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하여 여드름에 대한 예방 및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호박벌 독액 유래 봄볼리틴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봄볼리틴은 조성물 총 중량 중 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상기 봄볼리틴은 호박벌 독액으로부터 1.9kDa 사이즈의 단백질을 정제한 것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산죽잎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위 4에 있어서, 상기 봄볼리틴 및 산죽잎 추출물은 1: 0.2 내지 0.8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위 1에 있어서, 백두옹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학 항생제, 화학 방부제 등을 포함하지 않아,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하여, 여드름에 대한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정제된 봄볼리틴을 분획별로 나타낸 단백질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2는 호박벌 독액으로부터 정제한 봄볼리틴(Bi-Bombolitin)을 N-말단 서열 분석을 통한 아미노산 정보를 토대로 기존에 보고된 봄볼리틴 아미노산과 상동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호박벌 독액 유래 봄볼리틴을 포함함으로써, 화학 항생제, 방부제 등이 아닌 천연 물질을 사용하는 바, 피부 자극이 적어 안정성이 우수하며, 이와 동시에 우수한 여드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호박벌 독액 유래 봄볼리틴(bombolitin)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여드름은 피지선이 모여있는 얼굴, 목, 가슴 등에 많이 발생하며 털을 만드는 모낭에 붙어있는 피지선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한다. 털 피지선 샘 단위의 만성 염증질환으로 면포(모낭 속에 고여 딱딱해진 피지), 구진(1cm 미만 크기의 솟아 오른 피부병변), 고름물집, 결절, 거짓낭 등 다양한 피부 변화가 나타나며, 이에 따른 후유증으로 오목한 흉터 또는 확대된 흉터를 남기기도 한다.
봄볼리틴은 호박벌(Bombus ignitus)의 독액에 포함된 펩티드 성분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봄볼리틴이 항균 활성이 우수하여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와 같은 여드름 발생의 원인균을 근본적으로 제거거하기 때문에 여드름 발생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여드름에 대한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고안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봄볼리틴은 호박벌의 독액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호박벌 독액으로부터 사이즈 1.9kDa의 단백질을 정제하여 얻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봄볼리틴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mRNA, GenBank:Gu066220) 또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genomic DNA, GenBank:Gu066219)로부터 코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봄볼리틴을 포함함으로써 여드름의 예방 및 개선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여드름 유발균으로 잘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Propionibacterium acnes), 그람 양성균인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lu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그람 음성균인 슈도모나스 아에로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등과 같은 여러 세균의 성장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봄볼리틴은 천연 물질로서 인체에 안전하며, 피부 발적, 피부 건조증, 또는 화학 방부제, 항생제 등을 사용함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봄볼리틴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중 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여드름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중량% 초과이면 제형상 문제점이 발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산죽잎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산죽은 벼과의 작은 대나무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봄볼리틴과 함께 산죽잎 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보다 우수한 항생 및 방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산죽잎 추출물은 예를 들어 산죽잎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등에 용매로 열수추출하고, 동결건조시킨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죽잎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중 0.00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우수한 항생 및 방부 효과를 가지면서 다른 성분의 함량을 상대적으로 저해시키지 않아 우수한 아토피 개선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봄볼리틴과 산죽잎 추출물의 함량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 0.2 내지 0.8의 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방부 및 항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백두옹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두옹(Pulsatilla koreana Nakai)은 할미꽃으로, 백두옹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보다 개선된 항생 및 방부 효과를 가지면서, 여드름 개선 효과도 더욱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백두옹 추출물은 예를 들어 백두옹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등에 용매로 열수추출하고, 동결건조시킨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백두옹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중 0.00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우수한 항생 및 방부 효과를 가지면서 다른 성분의 함량을 상대적으로 저해시키지 않아 우수한 아토피 개선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성분 외에도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분야에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료, 색소, 산화방지제, 보습제, 점증제, 부형제, 희석제, 무기염류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최종 제품의 용도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제 또는 화장품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제, 경고제, 스프레이제, 현탁액, 유액, 크림, 젤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은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면도용 화장품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크림,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의 예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새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며, 바디 화장품의 예로는, 비누, 액체세정제,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 오일 등이 있으며, 면도용 화장품의 예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셰이빙 크림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봄볼리틴의 분리
호박벌 일벌들을 저온상태에서 마비시킨 다음 독낭을 분리하여 PBS 완충용액(phosphate-buffered saline; 140mM NaCl, 27 mM KCl, 8 mM Na2HPO4, 1.5 mM KH2PO4, pH 7.4)에 세척한 뒤 독낭으로부터 독액을 수거하였다.
상기 독액을 10,000 x g 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고, 분리된 순수한 독액만 새 튜브에 모아서 단백질 크기별 색층분석(size-exclusion chromatography)을 실시하였다. 단백질 크기별 색층분석은 HiPrep 16/60 SephacrylTM S-100 column (Amersham Biosciences 사)에서 0.15 M NaCl을 함유한 0.05 M sodium phosphate 완충용액(pH 7.2)을 0.5 ml/min 속도로 흘려주어 독액 단백질을 크기별로 분리 정제하여 진행하였다. 정제한 단백질 시료에서 1.9 kDa 호박벌 독액 봄볼리틴을 단백질 전기영동법(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으로 확인하였다(도 1).
정제한 1.9 kDa 호박벌 독액 봄볼리틴은 단백질 시료 버퍼(0.0625 M Tris-HCL, pH 6.8, 2% SDS, 10% glycerol, 5% β-mercaptoethanol and 0.125% bromophenol blue)와 희석하고 5분 동안 끓여서 15% SDS-PAGE 젤에 전기영동을 실시하였고, 아미노산 서열을 검정하고자 폴리비닐리덴 디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difluoride, PVDF)막(Applied Biosystems 사)으로 전이시켜 에드만 분해(Edman degradation) 방법으로 N-말단 서열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분석된 N-말단 아미노산 서열(LNLKKILGKIGVMLSHLN)은 이미 보고된 미국 일반 호박벌(Megabombus pennsylvanicus) 독액의 봄볼리틴들과는 24 ~ 42%, 붉은 꼬리 호박벌(Bombus lapidarius; Red-tailed bumblebee) 독액의 봄볼리틴들과는 72% 정도의 상동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특정 아미노산 잔기(Leu7, Leu14, His16)가 서로 잘 보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제조예 2. 산죽잎 추출물, 백두옹 추출물의 제조
산죽잎 추출물은 70% 에탄올을 산죽잎 중량 대비 5배로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가열 추출기에서 100℃로 열수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수득하였다.
백두옹 추출물은 70% 에탄올을 백두옹 중량 대비 5배로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가열 추출기에서 100℃로 열수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수득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함량(중량부)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로션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봄볼리틴 1 3 2 2 5 - - - - -
산죽잎 추출물 - - 1 - - - 3 - - -
백두옹 추출물 - - - 1 - - - - - -
메틸파라벤 - - - - - - - 3 - -
벤조일퍼옥사이드 - - - - - - - - 3 -
레티노익산 - - - - - - - - - 3
글리세린 8 8 8 8 8 8 8 8 8 8
아르간트리커넬오일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밀배아오일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쉐어버터 1.7 1.7 1.7 1.7 1.7 1.7 1.7 1.7 1.7 1.7
세테아릴올리베이트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소르비탄올리베이트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세라마이드3 1.3 1.3 1.3 1.3 1.3 1.3 1.3 1.3 1.3 1.3
에틸헥실올리베이트 1 1 1 1 1 1 1 1 1 1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0.2 0.2 0.2 0.2 0.2 0.2 0.2 0.2 0.2
부틸렌글라이콜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실험예
1. 봄볼리틴의 여드름 생성 억제 효과 측정
봄볼리틴의 여드름 생성 억제 효과 측정을 위해 대표적인 여드름 유발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 대한 항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를 상온 조건으로 BHI 배지에 접종하고, 상기 배지에 봄볼리틴을 3.0㎍/ml 농도로 희석한 분산액을 처리한 직경 6mm의 페이퍼 디스크를 올려놓은 다음 37℃에서 24시간 반응시켜, 투명환의 크기 비교로 향균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 ++
-: 투명환이 형성되지 않음
-+: 투명환 형성 후 균주 재성장
+: 약한 투명환 생성
++: 강한 투명환 생성
+++: 매우 강한 투명환 생성
2. 봄볼리틴 및 산죽잎 추출물의 여드름 생성 억제 효과 측정
봄볼리틴 분산액뿐만 아니라 산죽잎 추출물을 함께 페이퍼 디스크에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여드름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분산액에 포함된 봄볼리틴과 산죽잎 추출물의 중량비에 따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봄볼리틴과 산죽잎 추출물의 중량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액크니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1:0.1 ++ ++
1:0.2 +++ +++
1:0.5 +++ +++
1:0.8 +++ +++
1:0.9 ++ ++
1:1 + +
3. 로션의 여드름 개선 및 피부 자극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로션을 아토피 피부 환자 20대 10명, 30대 10명, 40대 10명으로 구성된 패널에게 사용하게 하여, 보습, 탄력, 가려움 억제, 자극 정도를 평가하였다.
효과는 5단계 판별법(1: 매우 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 좋음)으로 평가하고, 하기 표 2에 평균값을 기재하였다. 자극 정도의 경우, 1점으로 갈수록 자극 정도가 강하고, 5점으로 갈수록 자극 정도가 약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자극 정도의 경우, 로션을 바른 패치제를 팔에 부착하고 24시간 후에 피부의 반응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발적, 홍반, 가려움 등이 관찰되는지 여부로 평가하였다.
구분 여드름 개선 피부 자극
실시예 1 4.1 4.6
실시예 2 4.4 4.4
실시예 3 4.8 4.7
실시예 4 4.7 4.6
실시예 5 4.5 4.2
비교예 1 0.5 4.8
비교예 2 2.6 4.6
비교예 3 1.7 2.4
비교예 4 3.8 2.2
비교예 5 4.0 2.5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5의 로션은 여드름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면서, 피부 자극이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비교예 1 및 2의 로션은 여드름 개선 효과가 미미하였고, 방부제인 메틸파라벤을 포함한 비교예 3의 로션은 여드름 개선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이 나타났다.
그리고, 비교예 4 및 5의 로션은 우수한 수준의 여드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피부 자극이 나타났다.
<110> DongA INCO Pharm Co.,Ltd. <120>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CNE <130> 15P04008 <160> 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399 <212> RNA <213> Bombus ignitus <400> 1 agattgcaca ggttacgtac gtagcaataa cagacatcaa gaaccatggc agccatgaga 60 ttcttacttt gcgttgcagt catttttatg attgccttta tttctgtgac caatgcgaac 120 ccagaaccta atccttcgcc agaggcggat ccggaagcac ttaacctaaa gaaaatctta 180 ggaaaaatag gagtaatgtt gtctcacttg aattaaccga cctcaacggt acgtgtacga 240 cgggtgcagg caggactacc ggcttttaat tttcatgagt ttatatgcat atatgtatac 300 gtaactaatt cgaaacatgt aaaaattggc catatacatt ctttgttgct taaatagaca 360 tataaaacca aaaaaaaaaa aaaaaaaaaa aaaaaaaaa 399 <210> 2 <211> 387 <212> DNA <213> Bombus ignitus <400> 2 atggcagcca tgagattctt actttgcgtt gcagtcattt ttatgattgc ctttatttct 60 gtgaccaatg cgaacccaga acctaatcct tcgccagagg cggtaagtta cgaattatct 120 tgctcatgaa tttgtcgttt ctccacgatc atcctcaaaa tatgagcatg ttgcttttta 180 agaaacgaca ttcgacttcg attaacttcg atttgaaaaa cattgaaagt ttctataacg 240 cgtaactgaa cctgttaaac ttgatccatt tacacgtaac ctgtacgatg ctactggaat 300 ttttgtgttt cttttcagga tccggaagca cttaacctaa agaaaatctt aggaaaaata 360 ggagtaatgt tgtctcactt gaattaa 387

Claims (6)

  1. 호박벌 독액 유래 봄볼리틴 및 산죽잎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봄볼리틴 및 산죽잎 추출물은 1: 0.2 내지 0.8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봄볼리틴은 조성물 총 중량 중 0.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봄볼리틴은 호박벌 독액으로부터 1.9kDa 사이즈의 단백질을 정제한 것인,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백두옹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064773A 2015-05-08 2015-05-08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3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773A KR101773390B1 (ko) 2015-05-08 2015-05-08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773A KR101773390B1 (ko) 2015-05-08 2015-05-08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755A KR20160131755A (ko) 2016-11-16
KR101773390B1 true KR101773390B1 (ko) 2017-08-31

Family

ID=5754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773A KR101773390B1 (ko) 2015-05-08 2015-05-08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559B1 (ko)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2750A1 (en) * 1996-08-21 2003-12-18 Micrologix Biotech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infections using cationic peptide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tibiotics
KR101086065B1 (ko) * 2010-04-09 2011-11-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호박벌 독액의 봄볼리틴를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729B1 (ko) 2002-12-23 2009-07-29 애경산업(주) 남실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32750A1 (en) * 1996-08-21 2003-12-18 Micrologix Biotech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infections using cationic peptide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tibiotics
KR101086065B1 (ko) * 2010-04-09 2011-11-2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호박벌 독액의 봄볼리틴를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559B1 (ko)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755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6810B2 (en) Methods for treatment of skin and skin appendages with a linseed extract as an active agent activating the synthesis of antimicrobial peptides
CN107334726B (zh) 一种祛痘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210513B2 (ja) 化粧料及びそれに含有される抽出物
KR100964831B1 (ko) 초유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US11969405B2 (en) Method of treatment of topical dermatologic acne using a cream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2042960B1 (ko) 피부보습 및 피부톤 개선용 스킨 에센스
KR20150096800A (ko) 어류 부화액으로부터의 화장료 조성물
JP200116379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JP2019513810A (ja) ざ瘡の処置および/または予防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ハルンガナ・マダガスカリエンシス(Harungana madagascariensis)葉抽出物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0279844A (zh) 人工合成抗菌肽在制备抑菌消炎祛痘化妆品或外用药物制剂中的应用及抑菌消炎祛痘组合物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773390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872568B (zh) 包括短小芽孢杆菌菌株或其培养液的用于预防或改善老化的组合物
KR101418366B1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R2984129A1 (fr) Utilisation de la proteine mmp-12 dans la prevention et/ou le traitement des etats pelliculaires du cuir chevelu
KR20210029359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6478B1 (ko) 여드름 치료에 효능이 있는 로션 제조방법
KR102200874B1 (ko) 키토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33899A1 (zh) 一种调节头皮油脂平衡的去屑组合物
KR19990039050A (ko) 말벌 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제
KR20180018016A (ko) 피부 각질 제거, 가려움증 개선, 및 두피 비듬 개선 효과가 우수한 연어 비늘의 효소 가수 분해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57158A (ko) 파파인과 노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