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165B1 - 표면발열 방식의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이를 구비한 정착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표면발열 방식의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이를 구비한 정착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165B1
KR101773165B1 KR1020110006813A KR20110006813A KR101773165B1 KR 101773165 B1 KR101773165 B1 KR 101773165B1 KR 1020110006813 A KR1020110006813 A KR 1020110006813A KR 20110006813 A KR20110006813 A KR 20110006813A KR 101773165 B1 KR101773165 B1 KR 101773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heating unit
heating element
unit
suppl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723A (ko
Inventor
최진승
정연건
백오현
배수환
한영훈
이수인
한은봉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200,921 priority Critical patent/US8644749B2/en
Priority to EP11184106.0A priority patent/EP2439598B1/en
Publication of KR20120036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표면발열 방식의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이를 구비한 정착장치 및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표면발열 방식의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은 원통 형상의 지지체의 외주면에 면상 발열체가 마련되고, 지지체의 양단에 급전 단자가 마련되며, 면상 발열체와 급전 단자 사이에 마련되는 접합부가 마련된다. 접합부는 급전 단자 위의 제1영역에 형성되어 면상 발열체와 급전 단자를 접착시키는 접착성 물질과, 급전 단자 위에서 제1영역 이외의 제2영역에 형성되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면발열 방식의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이를 구비한 정착장치 및 화상형성장치{Surface heating type heating unit for fixing device, fixing device employ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이를 구비한 정착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발열 방식의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이를 구비한 정착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을 사용하여 인쇄매체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대전과정, 노광과정, 현상과정, 전사과정, 정착과정을 거치게 된다. 정착과정에서 사용되는 정착장치는 일반적으로 열과 압력을 인쇄매체에 가함으로써 인쇄매체 위에 있는 미정착된 토너를 정착시킨다.
정착장치의 한 예로서, 가열 유닛와 가압 유닛으로 구성되는 정착장치가 있다. 가열 유닛과 가압 유닛을 서로 접촉하여서 가열 유닛과 가압 유닛 사이에 정착 닙이 형성된다. 인쇄매체가 이런 정착 닙을 통과하는 동안에 열과 압력이 인쇄매체로 전달되고, 그에 의해 미정착된 토너가 정착될 수 있다. 인쇄매체로 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가열 유닛에는 발열체가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이런 발열체로서 할로겐 램프가 사용된다. 할로겐 램프가 생성한 열은 가열 유닛의 각종 부품을 통과하여 인쇄매체와 접촉하는 가열 유닛의 외면까지 전달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늘어나고 첫 장 출력시간(First Paper Out Time; FPOT)도 길어진다.
이에 따라, 면상 발열체를 적용한 표면발열 방식의 정착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경우, 면상 발열체는 가열 유닛의 외면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면상 발열체가 생성한 열이 바로 인쇄매체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줄이고 FPOT를 단축할 수 있다.
면상 발열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극 구조 및 급전 구조를 개선한 표면발열 방식의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이를 구비한 정착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은 지지체; 지지체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면상 발열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 지지체의 양단에 마련되는 급전 단자; 및 면상 발열체와 급전 단자 사이에 마련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접합부는 급전 단자 위의 제1영역에 형성되어 면상 발열체와 급전 단자를 접착시키는 접착성 물질과, 급전 단자 위에서 제1영역 이외의 제2영역에 형성되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접착성 물질은 프라이머를 포함하고, 도전성 물질은 Ag 페이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성 물질은 복수의 단위 격자가 연결된 그물 구조로 형성되고, 도전성 물질은 복수의 단위 격자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단위 격자는 다각형 형상이나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접착성 물질은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1선으로 형성되고, 도전성 물질은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2선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2선 각각은 인접한 두 개의 제1선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2선은 가열 유닛의 길이 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제1, 2선은 가열 유닛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제1, 2선은 급전 단자 위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 면상 발열체, 급전 단자, 및 접합부는 유연성이 있는 정착 벨트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체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면상 발열체는 탄소 나노 튜브가 고분자 물질에 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유닛 내부에서 정착 닙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가열 유닛을 가압하는 닙 형성 프레임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닙 형성 프레임이 가열 유닛의 내면과 접촉하는 접촉면 중 정착 닙에 대응되는 영역은 평판면이거나 완만한 곡면이거나 반원통면일 수 있다.
급전 단자는 금속성 물질이나 도전성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급전 단자의 일부는 면상 발열체와 지지체 사이에 배치되고, 급전 단자의 다른 일부는 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노출될 수 있다. 급전 단자의 노출된 부분에 접촉되어 급전 단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전부는 급전 단자의 노출된 부분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와이어 브러쉬 또는 탄소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급전부는 급전 단자의 노출된 부분에 외접하는 급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 면상 발열체, 급전 단자, 및 접합부는 원통 형상의 정착 롤러를 이룰 수 있다.
면상 발열체 위에 형성되어 면상 발열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정착장치는 가열 유닛; 및 가열 유닛과 함께 정착닙을 형성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며, 가열 유닛은 지지체와, 지지체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면상 발열체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 지지체의 양단에 마련되는 급전 단자와, 면상 발열체와 급전 단자 사이에 마련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접합부는 급전 단자 위의 제1영역에 형성되어 면상 발열체와 급전 단자를 접착시키는 접착성 물질과, 급전 단자 위에서 제1영역 이외의 제2영역에 형성되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 방식에 의해 인쇄매체에 토너화상을 전사시키는 인쇄유닛과; 전사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를 포함하며, 정착장치는 가열 유닛; 및 가열 유닛과 함께 정착닙을 형성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며, 가열 유닛은 지지체와, 지지체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면상 발열체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 지지체의 양단에 마련되는 급전 단자와, 면상 발열체와 급전 단자 사이에 마련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접합부는 급전 단자 위의 제1영역에 형성되어 면상 발열체와 급전 단자를 접착시키는 접착성 물질과, 급전 단자 위에서 제1영역 이외의 제2영역에 형성되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의한 표면발열 방식의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이를 구비한 정착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면상 발열체를 채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이 높고 승온 속도가 우수하다.
둘째, 면상 발열체와 급전 단자간의 전기적, 기계적 접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가열 유닛과 급전부간의 전기적, 기계적 접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착장치를 확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착장치의 가열 유닛의 길이 방향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합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가열 유닛의 전체 전기 저항을 다른 방식의 전극 구조를 갖는 경우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 내지 9는 접합부의 변형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정착장치의 가열 유닛에 대한 급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정착장치의 가열 유닛에 대한 급전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정착장치의 가열 유닛에 대한 급전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가열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정착장치의 가열 유닛에 대한 급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가열 유닛의 길이 방향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매체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1에서 참조부호 2가 표시하는 굵은 실선은 인쇄매체의 진행 경로를 나타낸다.
급지장치(10)는 종이와 같은 인쇄매체를 저장할 수 있다. 인쇄매체는 다수의 이송롤러(11)에 의해 진행 경로(2)을 따라 이송된다. 대전장치(20)는 감광체(30)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킬 수 있다. 광주사장치(40)는 감광체(30)로 광을 주사하여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감광체(30)에 형성할 수 있다.
현상장치(50)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30)로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현상장치(50)는 토너 수용부(51), 토너 공급롤러(52), 현상롤러(53), 규제 블레이드(54)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수용부(51)는 내부에 토너를 수용한다. 토너 공급롤러(52)는 토너 수용부(51)에 수용된 토너를 현상롤러(53)로 공급하며, 그에 따라 현상롤러(53)에는 토너 층이 형성된다. 규제 블레이드(54)는 이런 토너 층을 균일하게 만든다. 현상롤러(53) 위에 있는 토너 층은 전위차에 의해 감광체(30)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하여 토너 화상이 현상된다.
전사장치(60)는 감광체(30)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시킬 수 있다. 클리닝장치(70)는 전사과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감광체(30)에 남아있는 토너를 제거할 수 있다.
정착장치(80)는 인쇄매체로 전사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킬 수 있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는 다수의 이송롤러(11)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 외부로 배출되며, 그에 의해 인쇄과정이 완료된다.
정착장치(80)는 가압 유닛(100)과 가열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유닛(100)과 가열 유닛(200)이 접촉하는 구간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정착 닙(Fixing Nip)(N)이 형성된다. 이러한 정착 닙(N)은 인쇄 매체의 폭과 같거나 그 보다 크게 형성된다. 전사장치(60)를 지나온 인쇄매체 위에는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미정착된 토너가 존재하는데, 인쇄매체가 정착 닙(N)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과 압력이 인쇄매체에 가해짐으로써 인쇄매체 위에 있는 미정착된 토너가 정착될 수 있다.
가압 유닛(100)는 고무나 스폰지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 유닛(100)은 정착 닙(N)을 통과하는 인쇄매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예컨대, 스프링(110)에 의해 가압 유닛(100)이 가열 유닛(200) 쪽으로 가압될 수 있다. 가압 유닛(100)은 화상형성장치(1)에 있는 미 도시된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유닛(100)이 롤러 타입으로 구성되나, 이와는 다르게 가압 유닛(100)은 벨트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정착 닙(N)을 통과하는 인쇄매체에 압력을 가할 수만 있다면, 가압 유닛(100)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가열 유닛(200)은 정착 닙(N)을 통과하는 인쇄매체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열 유닛(200)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가열 유닛(200)의 길이 방향(X)따라 절개된 단면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가열 유닛(200)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는 접합부(240)가 보일 수 있도록 보호 필름(250)과 면상 발열체(210)의 일부가 절개되어 있다.
가열 유닛(200)은 면상 발열체(210), 지지체(220), 급전 단자(230), 접합부(240), 및 보호 필름(250)을 포함한다. 면상 발열체(210), 지지체(220), 급전 단자(230), 접합부(240), 및 보호 필름(250)은 유연성을 갖는 폐루프 형태의 정착 벨트를 이룰 수 있다. 즉, 면상 발열체(210), 지지체(220), 급전 단자(230), 접합부(240), 및 보호 필름(250)은 유연성이 있는 튜브 형태의 필름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정착 벨트를 이룰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가열 유닛(200)은 벨트 타입으로서 무장력으로 닙 형성 프레임(260)에 걸쳐져 있다. 가압 유닛(100)이 회전함에 따라, 가압 유닛(100)과 가열 유닛(20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가열 유닛(200)이 회전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전사 장치(60)를 지나온 인쇄매체가 정착 닙(N)을 통과할 수 있다.
면상 발열체(210)는 인쇄 매체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면상 발열체(210)는 지지체(220) 상에 100㎛ ~ 5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면상 발열체(210)는 전기적 저항을 가지고 있어서 전원(90)에서 전력이 공급되면 주울 열(Joule's heat)을 발생할 수 있다. 전원(90)은 화상형성장치(1)의 공통적인 전원이 될 수 있으며, 정착장치(80)를 위해 마련된 별도의 전원이 될 수도 있다. 면상 발열체(210)는 탄소 나노 튜브 또는 금속 미립자가 고분자 물질에 배합됨으로써 면상 발열체(21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분자 물질은 수지, 실리콘, 폴리머(polymer),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면상 발열체(210)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령, 탄소 나노 튜브는 매우 우수한 전기 전도도와 기계적 물성을 가지고 있는 바, 이러한 탄소 나노 튜브를 실리콘 고무에 분산시켜 면상 발열체(210)를 형성함으로써 균일헌 발열과 고온에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지체(220)는 면상 발열체(21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면상 발열체(210) 아래에 배치되어 면상 발열체(21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체(220)의 양단은 면상 발열체(210)로부터 노출된다. 지지체(220)는 예를 들어 내열성과 전기 절연성을 갖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220)는 벨트 형상의 지지체로 기능하므로, 그 두께를 얇게 하여 열용량을 낮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면상 발열체(210)에서 발생되는 열 중에서 지지체(220)에 빼앗기는 열을 매우 작게 할 수 있으며, 면상 발열체(210)에서 발생되는 열의 대부분은 정착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착 장치(80)는 면상 발열체(210)를 갖는 벨트 타입의 가열 유닛(200)을 채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이 높고 승온 속도가 우수할 수 있다.
급전 단자(230)는 전원(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90)과 급전 단자(230)와의 급전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 단자(230)는 지지체(220)의 일단에 형성된다. 도 2에서는 가열 유닛(200)의 일단만이 도시되어 다른 급전 단자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지체(220)의 타단에도 다른 급전 단자(2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 단자(230)의 일부(230a)는 면상 발열체(210)와 지지체(220) 사이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230b)는 전원(9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노출될 수 있다. 급전 단자(230)의 재질은 도전성을 갖는 물질이 될 수 있으며, 예컨대 구리(Cu), 니켈(Ni)과 같은 금속성 물질이나 또는 도전성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급전 단자(230)는 증착 공정이나 도금 공정이나 스퍼터링 공정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전 단자(230)의 형성 부위에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공정인 스퍼터(Sputter)를 이용하여 도금을 하기 위한 시드층(Seed layer)를 형성하고 도금 공정으로 급전 단자(230)를 형성할 수 있다. 양호한 밀착성 확보를 위하여 급전 단자(230)의 형성부를 플라즈마 에칭(Plasma Etching) 처리하여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키거나 특정 금속 이온을 표면에 형성하기도 한다.
접합부(240)는 급전 단자(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면상 발열체(21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240)는 면상 발열체(210)와 급전 단자(2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필름(250)은 면상 발열체(210) 위에 형성되어 면상 발열체(210)를 보호할 수 있다. 보호 필름(250)은 토너가 가열 유닛(200)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너에 대한 이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보호 필름(250)은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불소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250)은 예를 들어 1㎛ ~ 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가열 유닛(200)은 면상 발열체(210), 지지체(220), 급전 단자(230), 접합부(240), 및 보호 필름(250)이 정착 벨트를 이루는 것으로, 면상 발열체(210), 지지체(220), 급전 단자(230), 접합부(240), 및 보호 필름(250)로 이루어진 정착 벨트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유닛(800)이 롤러 타입으로 구성되는 실시예 역시 가능함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롤러 타입의 가열 유닛(800)은 도 1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벨트 형상을 지지하는 지지체(220)는 비교적 낮은 강성을 갖기 때문에 가압 유닛(100)이 가하는 압력을 견디기 위한 별도의 닙 형성 프레임(260)이 가열 유닛(200) 내부에서 정착 닙(N)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닙 형성 프레임(260)은 가열 유닛(200)의 내변과 접촉하는 접촉면, 특히 정착 닙(N)에 대응되는 영역은 평판면이거나 완만한 곡면일 수 있다. 이러한 벨트 타입의 가열 유닛(200)에 있어서, 면상 발열체(210), 지지체(220), 급전 단자(230), 접합부(240), 및 보호 필름(250)로 이루어진 정착 벨트는 가압 유닛(100)이 회전함에 따라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고 닙 형성 프레임(260)은 고정되어 있게 된다. 닙 형성 프레임(260)에 의해 가열 유닛(200)의 정착 닙(N) 영역이 평평하거나 완만한 곡면으로 되어, 가열 유닛(200)과 가압 유닛(100)에 의한 정착 닙(N)을 넓게 형성하여 정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닙 형성 프레임(260)의 평평하거나 완만한 곡면은 정착 구간에서 인쇄 매체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인쇄 매체가 가열 유닛(200) 방향으로 변형되는 컬(curl) 현상이나 인쇄 매체가 가열 유닛(200)에 감기는 잼(wrap jam)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전원(90)이 발생시키는 전력은 급전 단자(230)와 접합부(240)를 통하여 면상 발열체(210)로 공급된다. 정착 닙(N)을 통과하는 인쇄매체와 인접하게 배치된 면상 발열체(210)가 생성한 열은 바로 인쇄매체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줄이고 FPOT를 단축할 수 있다. 전기적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면상 발열체(210)를 감싸는 보호 필름(250)과 지지체(220)는 전기적 절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220)가 전기적 절열성을 갖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지지체(220)와 면상 발열체(210) 사이에 전기적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합부(24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접합부(24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접합부(240)는 유연성이 있는 튜브 형상의 급전 단자(230) 위에 형성되는데,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접합부(240)가 지면 상에 펼쳐진 형상으로 도시된다.
접합부(240)는 급전 단자(230) 위에 형성되는 접착성 물질(241)과 도전성 물질(245)을 포함한다. 접착성 물질(241)은 예컨대 프라이머(primer)가 될 수 있고, 도전성 물질(245)은 예컨대 Ag 페이스트(Ag paste)가 될 수 있다.
접착성 물질(241)과 도전성 물질(245)은 서로 겹치지 않게 형성된다. 즉, 접착성 물질(241)이 형성된 영역과 도전성 물질(245)이 형성된 영역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성 물질(241)은 복수의 단위 격자(242)가 연결된 그물 구조로 형성되고 도전성 물질(245)은 이런 단위 격자(242)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단위 격자(242)만이 도시되었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접착성 물질(241)과 도전성 물질(245)은 예컨대 실크 스크린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공정이 이용될 수 있다. 접착성 물질(241)이 먼저 형성된 이후에 도전성 물질(24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다르게 도전성 물질(245)이 형성된 이후에 접착성 물질(241)이 형성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공정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성 물질(241)과 도전성 물질(245) 사이에는 약간의 공간이 존재하도록 접착성 물질(241)과 도전성 물질(24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술이 발전한다면, 접착성 물질(241)과 도전성 물질(245) 사이의 공간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면상 발열체(210)와 접합부(240) 사이 그리고 접합부(240)와 급전 단자(230) 사이에는 접촉 저항(contact resistance)이 존재하게 된다. 접촉 저항이란, 서로 접하고 있는 두 도체의 접촉면을 통하여 전류가 흐를 때 그 접촉면에 생기는 전기 저항을 의미한다. 이런 접촉 저항은 도체의 종류, 접촉 압력, 산화막의 유무, 전류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전력 소모를 줄이고 FPOT를 단축하기 위해서는 이런 접촉 저항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합부(240)가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이종의 물질(241, 245)로 형성됨으로써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즉, 접착성 물질(241)에 의해 면상 발열체(210)와 급전 단자(230)가 접합부(240)에 강하게 접합될 수 있기 때문에, 면상 발열체(210)와 접합부(240) 사이 그리고 접합부(240)와 급전 단자(230) 사이의 접촉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접착성 물질(241)이 프라이머로 형성되는 경우, 프라이머의 경화 과정에서 프라이머가 수축되기 때문에 면상 발열체(210)와 접합부(240) 사이 그리고 접합부(240)와 급전 단자(230) 사이의 접촉 압력이 높아진다. 반면에, 도전성 물질(245)은 낮은 전기 저항을 갖는 물질(예컨대, Ag 페이스트)로 형성되어 접촉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참고적으로, Ag 페이스트는 15.87 nΩ·m의 낮은 비저항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접착성 물질(241)은 접촉 압력을 높이는 역할을 담당하고 도전성 물질(245)은 전기 저항을 낮추는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접촉 저항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면상 발열체(210)와 급전 단자(230)가 유연성을 지닌 벨트 형태를 지님에 따라 면상 발열체(210)와 급전 단자(230) 사이의 접합에 내구성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합부(240)가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이종의 물질(241, 245)로 형성됨으로써, 면상 발열체(210)와 급전 단자(230) 사이의 접합에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접착성 물질(241)은, 가압 유닛(100)에 의해 면상 발열체(210)로 기계적인 충격이 가해지거나 가압에 의해 면상 발열체(210)가 평평하게 변형되더라도, 면상 발열체(210)와 급전 단자(230)가 접합부(240)에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도록 만든다. 더욱이, 면상 발열체(210)가 예를 들어 탄소 나노 튜브가 실리콘 고무에 분산되어 형성된 경우, 다른 전도성 재질과의 접촉성이 좋지 못하므로, 접착성 물질(241)을 통해 안정적인 접착을 확보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성 물질(241)이 그물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접합부(240)에 대한 면상 발열체(210)와 급전 단자(230)의 접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단위 격자(242)의 형상이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단위 격자(242)는 삼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과 같이 다른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단위 격자(242)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앞에서는 접착성 물질(241)이 프라이머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접착성 물질(241)은 면상 발열체(210)와 급전 단자(230)를 접합부(240)에 접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에서는 도전성 물질(245)이 Ag 페이스트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도전성 물질(245)은 Ag 페이스트와 유사한 비저항을 갖는 다른 물질로도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르는 가열 유닛(200)의 전체 전기 저항을 다른 방식의 전극 구조를 갖는 경우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말하는 전체 전기 저항이란 전류가 통과하는 급전 단자(230), 접합부(240), 면상 발열체(210) 모두의 전기 저항이 더해진 것이다. 각각의 케이스에서 면상 발열체(210)의 치수 및 형상은 모두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도 5에서 케이스 A는 본 실시예에 해당한 것으로, 접착성 물질(241)은 프라이머로 형성되고 도전성 물질(245)은 Ag 페이스트로 형성된다. 케이스 B는 전극 구조가 Ag 페이스트만으로 형성된 경우이다. 케이스 C는 면상 발열체(210) 측면에 핀을 부착하고 이 핀을 납땜하여 전극 구조를 형성한 경우이다. 케이스 D는 금속 물질을 면상 발열체(210)에 스탬핑하여 전극 구조를 형성한 경우이다. 케이스 E는 납땜만으로 전극 구조를 형성한 경우이다. 케이스 F는 도전성 프라이머만으로 전극 구조를 형성한 경우이다.
본 실시예의 전체 전기 저항은 4.9 Ω으로 케이스 B, C, D, F보다 낮은 전기 저항이 나타났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전체 전기 저항이 비저항이 낮은 Ag 페이스트만으로 형성된 케이스 B의 전체 전기 저항(5.6 Ω)보다 낮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가 면상 발열체(210)와 접합부(240) 사이 그리고 접합부(240)와 급전 단자(230) 사이의 접촉 압력을 높여서 접촉 저항을 상당히 감소시켰기 때문이다. 또한, 케이스 B는 양산성이 없다는 점에 주의해야 할 것이다. 이는, 가압 유닛(100)에 의해 면상 발열체(210)로 인가되는 기계적인 충격이나 가압에 의한 면상 발열체(210)의 변형 때문에 Ag 페이스트가 쉽게 파손되기 때문이다.
납땜만으로 전극 구조가 형성된 케이스 E는 본 실시예의 전체 전기 저항보다 낮은 전제 전기 저항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케이스 E 역시 양산성이 없다는 점에 주의해야 할 것이다. 이 역시 가압 유닛(100)에 의해 면상 발열체(210)로 인가되는 기계적인 충격이나 가압에 의한 면상 발열체(210)의 변형 때문에 납땜이 쉽게 파손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케이스 E는 실제 정착장치에 적용될 수 없다.
도전성 프라이머만으로 전극 구조가 형성된 케이스 F는 비교적 높은 전체 전기 저항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알려진 도전성 프라이머는 도전성을 갖지만 Ag 페이스트와 비교하면 상당히 큰 비저항을 갖기 때문이다.
도 5를 통하여, 접합부(240)가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이종의 물질(241, 245)로 형성됨으로써, 가열 유닛(200)의 전체 전기 저항을 낮추고 면상 발열체(210)와 급전 단자(230)가 접합부(240)에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도 6 내지 9는 접합부(240)의 변형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4와 유사하게 접합부(24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앞선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접착성 물질(241)과 도선성 물질(245)의 배치가 달라진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착성 물질(241)은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1선으로 형성된다. 도전성 물질(245)은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2선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제2선 각각은 인접한 두 개의 제1선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제1, 2선은 가열 유닛(200)의 길이 방향(X)에 평행하다.
도 7의 변형 실시예는 도 6의 변형 실시예와 유사하나 복수의 제1, 2선이 가열 유닛(200)의 길이 방향(X)에 수직한 평면상에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입체적으로 볼 경우, 접착성 물질(241)과 도전성 물질(245)은 급전 단자(230) 위에서 원형 현상으로 형성된다.
도 8의 변형 실시예는 도 6의 변형 실시예와 유사하나 복수의 제1, 2선이 가열 유닛(200)의 길이 방향(X)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입체적으로 볼 경우, 접착성 물질(241)과 도전성 물질(245)은 급전 단자(230) 위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도 9의 변형 실시예는 도 4의 경우와 유사하나 접착성 물질(241)의 그물 구조를 이루는 단위 격자(242)가 원형 형상을 갖는 점이 다르다. 도전성 물질(245)은 원형 형상의 단위 격자(242) 내부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급전 단자(230)와 전원(90)과의 전기적으로 연결구조, 즉 급전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열 유닛(200)은 와이어 브러쉬 방식의 급전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즉, 급전부(400)는 가열 유닛(200)의 노출된 급전 단자(23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와이어 브러쉬(410)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브러쉬(410)는 회전하는 가열 유닛(200)과의 접촉을 통해 급전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Ag 계열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가열 유닛(200)의 급전 단자(230)의 노출된 영역(230b)에는 와이어 브러쉬(410)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마찰이 적은 금속 소재로 도금되어 있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열 유닛(200)은 벨트 타입이므로, 가열 유닛(200)에는 장력이 걸려 있지 않다. 따라서 와이어 브러쉬(410)의 가열 유닛(200)으로의 탄성 가압은 가열 유닛(200)의 양단을 일부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와이어 브러쉬(410)의 탄성 가압은 가열 유닛(200)의 양단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가열 유닛(200)의 급전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열 유닛(200)은 탄소 브러쉬 방식의 급전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즉, 급전부(500)는 가열 유닛(200)의 노출된 급전 단자(23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소 브러쉬(520)와 탄소 브러쉬(5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판 스프링(51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 브러쉬(520)는 도전성이 좋고 금속과의 마찰계수가 적다. 나아가, 탄소 브러쉬(520)는 소정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마모되더라도 판 스프링(510)에 의해 일정 가압이 유지되어 급전 동작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가열 유닛(200)의 급전 구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열 유닛(200)은 급전 롤러 방식의 급전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즉, 급전부(600)는 가열 유닛(200)의 양단에 노출된 급전 단자(23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급전 롤러(61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전 롤러(610)는 휠 형상의 지지휠(611)과 지지휠(611)의 외주면에 마련된 링 전극(615)을 포함한다. 지지휠은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링 전극(615)이 가열 유닛(200)에 구룸 접촉(rolling contact)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급전 롤러(610)는 가열 유닛(200)에 구룸 접촉하여 가열 유닛(200)과 함께 회전한다. 링 전극(615)의 일부는 지지휠(611)의 외주면 외곽으로 연장되어 급전 롤러(610)를 지지하는 지지부(620, 63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전원(도 2의 90)과 연결된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 유닛(200')을 도시하며, 도 14는 이러한 가열 유닛(200')의 급전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10-12에 도시된 닙 형성 프레임(260)은 가열 유닛(200)의 내변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평판면이거나 완만한 곡면인 경우이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을 참조하면, 닙 형성 프레임(260')은 가열 유닛(200')의 내변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반원통면일 수 있다. 이 경우, 벨트 타입의 가열 유닛(200')은 반원통형의 정착 닙을 형성하며 가압 유닛(100)의 회전에 따라 원통 형상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한편, 급전부(700)는 가열 유닛(200')의 원통 형상을 유지시키는 제1 및 제2 결합부(710, 720)와, 제1 결합부(71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와이어 브러쉬(730)와, 와이어 브러쉬(730)를 지지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710)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원통 형상의 내주면을 가져, 가열 유닛(200')의 양단에 마련된 급전 단자(230)의 노출된 외주면에서 접촉한다. 제2 결합부(720)는 원통 형상의 외주면을 가지며, 가열 유닛(200')의 내주면에서 가열 유닛(200')을 지지한다. 제1 및 제2 결합부(710, 720)는 벨트 형상의 가열 유닛(200')의 양단을 내외부에서 맞물려 있으며, 가열 유닛(20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열 유닛(200')은 벨트 타입이므로, 가열 유닛(200')에는 장력이 걸려 있지 않다. 따라서 급전을 위한 탄성 가압은 가열 유닛(200')의 양단을 일부 변형시켜 내구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가열 유닛(200')은 구동시 원통 형상을 유지하며, 또한 급전부(700는 가열 유닛(200')의 원통 형상을 유지시킴으로써, 가열 유닛(20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결합부(710)의 외주면에는 와이어 브러쉬(730)가 접촉될 수 있는 원형 가이드 홈(710a)이 마련되어, 와이어 브러쉬(730)가 제1 결합부(710)에 좀 더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열 유닛(200')의 급전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급전 구조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가열 유닛(800)의 길이 방향(X)에 대한 단면도이다.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가열 유닛(200, 200')은 벨트 타입으로 구성되었으나, 도 15에 도시된 가열 유닛(800)은 롤러 타입으로 구성된다. 도 15의 실시예에서, 지지체(820), 면상 발열체(210), 보호 필름(250)는 소위 정착 롤러(800)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정착 롤러(800)의 일부를 형성하는 지지체(820)는 가압 유닛(100)이 가하는 압력을 일정 정도 이상의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820)는 철이나 강,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동 등의 금속 또는 고온에서도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고내열성 플라스틱, 세라믹, 유리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5의 가열 유닛(800)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접합부(240)을 갖기 때문에, 가열 유닛(800)의 전체 전기 저항을 낮추고 면상 발열체(210)와 급전 단자(230)가 접합부(240)에 안정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는 점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나아가, 도 15의 가열 유닛(800)의 양단에는 급전 단자(230)가 노출되어, 전술한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급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인 표면발열 방식의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이를 구비한 정착장치 및 화상형성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화상형성장치 10: 급지장치
20: 대전장치 30: 감광체
40: 광주사장치 50: 현상장치
60: 전사장치 70: 클리닝장치
80: 정착장치 90: 전원
100: 가압 유닛 200, 200', 800: 가열 유닛
210: 면상 발열체 220: 지지체
230: 급전 단자 240: 접합부
241: 접착성 물질 245: 도전성 물질
250: 보호 필름 260, 260': 닙 형성 프레임
400, 500, 600, 700: 급전 유닛 410, 510, 730: 급전 브러쉬
610: 급전 롤러

Claims (23)

  1.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면상 발열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체의 양단에 마련되는 급전 단자; 및
    상기 면상 발열체와 상기 급전 단자 사이에 마련되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급전 단자 위의 제1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면상 발열체와 상기 급전 단자를 접착시키는 접착성 물질과, 상기 급전 단자 위에서 상기 제1영역 이외의 제2영역에 형성되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성 물질은 복수의 단위 격자가 연결된 그물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물질은 상기 복수의 단위 격자 내부에 형성되는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물질은 프라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물질은 Ag 페이스트를 포함하는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격자는 다각형 형상이나 원형 형상을 갖는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물질은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1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물질은 서로 평행한 복수의 제2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선 각각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선 사이에 배치되는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2선은 상기 가열 유닛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2선은 상기 가열 유닛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상에 형성되는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2선은 상기 급전 단자 위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상기 면상 발열체, 상기 급전 단자, 및 상기 접합부는 유연성이 있는 정착 벨트를 이루는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형성되는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는 탄소 나노 튜브가 고분자 물질에 배합되어 형성되는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유닛 내부에서 정착 닙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가열 유닛을 가압하는 닙 형성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정착 장치용 가열 유닛.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닙 형성 프레임이 상기 가열 유닛의 내면과 접촉하는 접촉면 중 상기 정착 닙에 대응되는 영역은 평판면이거나 완만한 곡면인 정착 장치용 가열 유닛.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닙 형성 프레임이 상기 가열 유닛의 내면과 접촉하는 접촉면 중 상기 정착 닙에 대응되는 영역은 반원통면인 정착 장치용 가열 유닛.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단자의 일부는 상기 면상 발열체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급전 단자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노출되는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단자는 금속성 물질이나 도전성 폴리머로 형성되는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단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를 더 포함하는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상기 급전 단자와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와이어 브러쉬 또는 탄소 브러쉬를 포함하는 정착 장치용 가열 유닛.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는 상기 급전 단자와 외접하는 급전 롤러를 포함하는 정착 장치용 가열 유닛.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상기 면상 발열체, 상기 급전 단자, 및 상기 접합부는 원통 형상의 정착 롤러를 이루는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체 위에 형성되어 상기 면상 발열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정착 장치용 가열 유닛.
  22. 제1 항, 제2 항, 제4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열 유닛과;
    상기 가열 유닛과 함께 정착닙을 형성하는 가압 유닛;을 포함하는 정착장치.
  23. 전자사진 방식에 의해 인쇄매체에 토너화상을 전사시키는 인쇄유닛과;
    전사된 토너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것으로, 제22 항에 따른 정착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10006813A 2010-10-08 2011-01-24 표면발열 방식의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이를 구비한 정착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KR101773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00,921 US8644749B2 (en) 2010-10-08 2011-10-05 Surface heating type heating unit for fixing device, and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11184106.0A EP2439598B1 (en) 2010-10-08 2011-10-06 Surface heating type heating unit for fixing device, and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8411 2010-10-08
KR1020100098411 2010-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723A KR20120036723A (ko) 2012-04-18
KR101773165B1 true KR101773165B1 (ko) 2017-08-30

Family

ID=46138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813A KR101773165B1 (ko) 2010-10-08 2011-01-24 표면발열 방식의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이를 구비한 정착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1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6263A (ja) * 1998-09-30 2000-04-11 Kyocera Corp ヒータ及び定着用ヒートローラ
JP2009109997A (ja) * 2007-10-12 2009-05-21 Ist Corp 画像定着装置
JP6036327B2 (ja) * 2012-01-24 2016-11-30 住友化学株式会社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6263A (ja) * 1998-09-30 2000-04-11 Kyocera Corp ヒータ及び定着用ヒートローラ
JP2009109997A (ja) * 2007-10-12 2009-05-21 Ist Corp 画像定着装置
JP6036327B2 (ja) * 2012-01-24 2016-11-30 住友化学株式会社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723A (ko)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3019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8687995B2 (en) Fusing device of an electrophotography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heating roller
US11237503B2 (en) Heater configured to maintain adequate contact pressure with a contact terminal, heating device,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10182638A1 (en) Heat conduction unit,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638197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107868B2 (en) Image fixing device containing a heat generating unit arranged at an end portion of a heater and an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606163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033768A (ja) 加熱回転体、及びその加熱回転体を用いた像加熱装置
US10884364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ntermediate member fixed to a terminal and fixed to an electrode at regions shifted from each other
US8331824B2 (en) Heating member having resistive heating layer and fusing device using the same
US9002253B2 (en) Heating member and fu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146241A (ko)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773165B1 (ko) 표면발열 방식의 정착장치용 가열 유닛, 이를 구비한 정착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US8644749B2 (en) Surface heating type heating unit for fixing device, and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891690B2 (ja) 加熱体、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091006A (ja) セラミックヒータ、加熱装置、画像形成装置
JP2021131466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919388B2 (ja) 加熱体、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129444A (ja) 板状ヒータ、加熱装置、画像形成装置
JP2020024370A (ja) 加熱部材、加熱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504617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94352B2 (ja) 定着装置と画像形成装置
US20230375965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2023110518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5550244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