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119B1 -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119B1
KR101773119B1 KR1020160068183A KR20160068183A KR101773119B1 KR 101773119 B1 KR101773119 B1 KR 101773119B1 KR 1020160068183 A KR1020160068183 A KR 1020160068183A KR 20160068183 A KR20160068183 A KR 20160068183A KR 101773119 B1 KR101773119 B1 KR 101773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ed
oil
cooking
foo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규
Original Assignee
세명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명토탈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57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66Control devices, e.g. to control temperature, level or quality of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05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using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슬라이스된 감자 등을 튀길 경우 유해물질이 생성되지않는 온도조건에서 조리할 수 있고, 조리하는 도중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외부공기 유입을 차단하며 소화기의 작동에 의해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는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와, 내부에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와, 조리된 식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로 수납되도록 상기 도어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되고, 피조리식품을 상기 본체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함;
상기 투입함을 통해 투입되는 피조리식품을 히터봉 가열에 의해 임의온도의 기름에 의해 조리하기 위한 튀김조;
상기 튀김조에 수납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기름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가 관통 형성되며, 피조리식품의 조리가 완료될 경우 회동되어 피조리식품을 상기 배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용함;
상기 튀김조의 기름이 임의온도를 유지하도록 히터봉을 제어하고, 상기 수용함을 회동시키기 위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장치{a cooking device}
본 명세서에 게시된 내용은 슬라이스된 감자 등을 식용용 오일에 의해 튀켜 조리하기 위한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감자는 구황작물로서, 탄수화물 외에도 단백질, 비타민, 무기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단백질은 함량이 낮으나 인체가 반드시 섭취하여야 하는 필수 아미노산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특히 감자에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C는 푸른 채소에 포함된 비타민 C와 달리 삶아도 파괴되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감자를 잘라서 조리하는 경우 즉, 스낵을 제조하고자 할 때에는 대체로 감자를 얇게 슬라이스하여 사용하게 되고, 감자를 빠르게 익히기 위해서 조리 온도를 높이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감자의 조리 온도를 높이게 되면 감자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인 아스파라긴산이 당분인 글루코스와 결합하여 아크릴라마이드가 생성되고 더불어 에틸카바메이트, 벤조리펜 등이 생성되는데, 이들 성분은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자를 삶을 때는 120℃, 튀길 때는 180℃, 오븐에서는 190℃를 넘으면 상기와 같은 유해물질의 생성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어린이들이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을 섭취할 수 밖에 없는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스된 감자를 고온을 유지하는 기름이 수용된 튀김조에서 튀길 경우, 감자를 고온의 튀김조에 투입하거나 튀김조로부터 튀겨진 감자를 꺼내는 작업이 수작업에 의해 대부분 이루어지므로 감자 튀김과정에서 작업자가 고온의 기름에 노출되어 있어 화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36167호에 생감자를 이용한 감자스넥의 제조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게시된 내용은, 슬라이스된 감자 등을 조리하기 위해 고온의 튀김조에 투입하거나 꺼내는 과정을 반 자동화하여 작업자가 고온의 유증기 등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조리장치와 관련된다.
또한, 감자 등을 조리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외부공기 유입을 차단하고(화염에 산소 공급을 차단시키게 됨), 소화기로부터 토출되는 소화용 가스에 의해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한 조리장치와 관련된다.
또한, 조리된 감자를 튀김조로부터 인출할 경우 감자에 기름이 잔류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위생적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조리장치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는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와, 내부에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와, 조리된 식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로 수납되도록 상기 도어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되고, 피조리식품을 상기 본체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함;
상기 투입함을 통해 투입되는 피조리식품을 히터봉 가열에 의해 임의온도의 기름에 의해 조리하기 위한 튀김조;
상기 튀김조에 수납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기름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피조리식품의 조리가 완료될 경우 회동되어 조리된 식품을 상기 배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용함;
상기 튀김조의 기름이 임의온도를 유지하도록 히터봉을 제어하고, 상기 수용함을 회동시키기 위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스된 감자 등을 고온의 튀김조에 투입하거나 꺼내는 과정을 반 자동화하고 밀폐공간에서 조리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고온의 유증기, 기름 냄새, 배기가스 등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조리시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감자 등을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등은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배기구를 차단시켜 외부공기 유입을 차단하며 소화기의 작동에 의해 신속하게 진화함에 따라,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인적손실 또는 물적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조리된 감자를 튀김조로부터 꺼낼 경우, 감자에 기름이 잔류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위생적으로 조리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청결하게 조리된 감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장치에서, 도어에 장착되는 투입함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b)은 도 1에 도시된 조리장치에서, 본체로부터 개방된 도어 내측면의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리장치에서, 본체로부터 도어를 개방시킨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b)는 도 4에 도시된 튀김조로부터 조리된 식품을 배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용함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리장치에서, 본체로부터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창의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기창을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리장치에서, 튀김조에 화재 발생시 연동되어 가스를 분사시키는 소화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조리장치에서, 배기가스통로에 설치되는 에어필터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게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명세서에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리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10)와, 조리시 내부에 발생되는 연기, 냄새, 유증기, 배기가스 등이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배기구(11)(환기구를 말함)와, 조리완료된 식품(일 예로서 슬라이스된 감자 등을 말함)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가 구비되는 본체(13);
본체(13)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도어(10)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되고, 회동시 피조리식품을 본체(13)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함(14);
도어(10)가 닫힌상태에서, 투입함(14)이 닫힘상태로 전환됨에 의해 투입되는 감자 등의 피조리식품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봉(15) 가열에 의해 임의온도를 유지하는 기름에 의해 조리하기 위한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용기 형태의 튀김조(16);
튀김조(16)에 수납가능하게 수용되고, 기름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공(17)(일예로서 원형, 타원형, 다각형, 슬롯(slot), 또는 이들이 조합되는 형태, 격자구조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이 측벽 및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며, 피조리식품의 조리가 완료될 경우 튀김조(16)로부터 이탈되도록 회동되어 조리완료된 식품을 배출구(12)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용함(상부가 개방되는 사각용기 형태로 이루어짐)(18);
튀김조리시 튀김조(16)의 기름이 임의온도를 유지하도록 히터봉(15)을 제어하고, 튀김조(16)로부터 이탈되는 수용함(18)으로부터 조리식품을 꺼낼 수 있도록 수용함(18)을 임의각도로 회동시키기 위해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9);를 구비한다.
전술한 튀김조(16)의 기름이 과열되어 본체(13)의 내부(일 예로서 튀김조를 말함)에 화재 발생시 제어부(19)로부터 전기적신호가 인가되는 솔레노이드밸브(24)와,
솔레노이드밸브(24)의 플런저(23)에 일단이 연결되고, 솔레노이드밸브(24)가 온(on) 상태로 전환시 연동되어 시이소운동할 수 있도록 중간측이 힌지고정되는 레버(27);
시이소운동하는 레버(27)에 의해 가압될 경우 가스배출용 레버(20)의 온(on) 작동에 의해 가스를 배출시키는 에어졸식 가스 소화기(21)(조리시에는 안전핀이 제거되어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함);
가스 소화기(21)에 연결되는 제1소화관(28) 및 분사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소화용 가스를 튀김조(16)에 분사시켜 화재를 진화하는 제1노즐(미 도시됨)과, 제1소화관(28)에 분기접속되는 제2소화관(29) 및 분사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소화용 가스를 배기통로에 설치되는 환기팬(미 도시됨)에 분사시키는 제2노즐(미 도시됨);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레버(27)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30);
다수의 블레이드(31)가 연동되어 닫힘상태 또는 열림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블레이드(31)의 회동에 의해 배기구(다수의 장공으로 이뤄짐)(11)를 개폐시켜 본체(13)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배기창(32);
와이어(30)의 타단에 연결되는 슬라이더(33), 슬라이더(33)는 레버(27)의 회동에 의해 와이어(30)를 잡아당길 경우 슬라이딩이동되어 배기구(11)를 차단시키도록 블레이드(31)를 회동시켜 닫힘상태로 전환시킴;
블레이드(31)의 열림상태를 유지하도록 와이어(30)의 인장력보다 작은 힘으로 슬라이더(33)의 타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일 예로서 인장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음)(34);를 구비할 수 있다.
튀김조(16) 내의 기름 온도를 감지하여 검출온도값을 제어부(19)에 전송하기 위한 온도센서(22);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는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미 도시됨)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보스(35)(boss) 및 보스(35)와 대향되게 본체(13) 내부에 형성되는 후크부(36)와,
수용함(18)이 튀김조(16)로부터 이탈되어 배출구(12)쪽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수용함(18)의 일측벽이 장착되고, 보스(35)에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후크부(36)에 타단이 착탈 및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회동축(25);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수용함(18)은
피조리식품의 조리가 완료되어 수용함(18)을 튀김조(16)로부터 꺼내어 피조리식품을 배출구(12)에 이동시킬 경우, 수용함(18)에 잔류되는 기름이 튀김조(16)에 흘러내리도록 일측벽에 형성되는 슬롯(slot)(3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회동축(25) 밑으로 경첩에 의해 본체(13)에 절첩가능하게 장착되고 튀김조(16)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수용함(18)의 피조리식품을 튀김조(16)로부터 꺼내어 배출구(12)로 이동시키기 위해 수용함(18)을 회동시킬 경우, 수용함(18)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기름이 튀김조(16)로 떨어지도록 가이드하여 배출구(12)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커트부(38);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히터봉(15) 및 온도센서(22)를 튀김조(16)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본체(13)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안착부에 놓여지며, 히터봉(15) 및 온도센서(22)가 장착되는 히터박스(39);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튀김조(16)를 세척시 히터박스(39)를 튀김조(16)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튀김조(16)를 세척시 히터봉(15) 및 온도센서(22)에 의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피조리식품을 조리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배기구(11)로 이동시키는 배기통로에 수납가능하게 장착되어 비산되는 미세 먼지, 유증기 등을 여과하기 위한 에어식 여과필터(40)로서,
배기통로의 하측에 임의각도로 경사지게 수납가능하게 설치되고, 배기가스의 배출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해 배기가스의 이동궤적을 연장시키기 위한 제1필터(41)와,
제1필터(41)의 상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수납가능하게 설치되고, 배기가스 중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먼지, 부유물, 조리식품 조각 등을 여과하기 위한 넷트(net) 형태의 망구조의 제2필터(42)와,
제2필터(42)의 상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수납가능하게 설치되고, 배기가스 중미세입자의 먼지를 여과하기 위한 제3필터(43)(일 예로서 활성탄 등이 사용될 수 있음);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도어(10)는
도어(10)의 내측면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절곡된 하단이 투입함(14)의 상단 내측에 포개지도록 설치되는 덮개판(44)을 구비하여,
투입함(14)이 회동되어 수납되도록 도어(10)에 형성된 개구부(45) 중, 투입함(14)을 개방시킬 경우 도어(10)에 의해 차단하지 못해 노출되는 개구부(45) 일부를 덮개판(44)에 의해 차폐시켜 본체(13)의 내부로부터 비산되는 배기가스, 고온의 유증기, 음식 냄새, 기름 냄새 등이 본체(13)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투입함(14), 튀김조(16), 수용함(18) 및 배출구(12)는 조리시 고온의 기름에 대해 내구성을 유지하고, 인체에 유해한 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스틸재와 같은 내부식성, 내마모성, 내열성의 금속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도어(10)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된 투입함(14)을 이의 외측면에 형성된 손잡이(10a)에 의해 외측으로 잡아당겨 개방시킨 후, 미리 임의크기로 슬라이스된 소정량의 감자를 투입함(14)에 집어넣게 된다.
이때, 도 2 및 도 3a에서와 같이, 전술한 손잡이(10a)를 파지하여 투입함(14)을 회동시켜 본체(13)로부터 끄집어낼 경우, 투입함(14)이 수납될 수 있도록 도어(10)에 형성된 개구부(45) 중, 개구부(45) 하측은 개방된 투입함(14)에 의해 가려지게 되고, 개구부(45)의 상측은 도어(10)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덮개판(44)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본체(13)로부터 투입함(14)을 회동시켜 끄집어낼 경우 도어(10)에 형성된 개구부(45)를 차폐시킴에 따라, 본체(13)의 내부로부터 비산되는 고온의 유증기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음식 냄새, 기름 냄새 등이 개구부(45)를 통해 본체(13)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투입함(14)을 회동시켜 본체(13) 내부로 밀어넣을 경우 투입함(14)내의 감자는 튀김조(16)에 수용된 수용함(18)에 낙하된다. 이때 튀김조(16)에 수용된 식용유와 같은 기름이 히터봉(15)에 의해 임의온도로 가열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감자를 튀겨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튀김조(16)에서 기름에 의해 수용함(18)에 투입된 감자를 튀겨 조리할 경우(이때 도어(10)는 닫힌상태를 유지함)에는 배기구(11)를 통해 외부공기가 본체(13) 내부로 유입되고 있으며, 조리시 발생되는 유증기, 식품 냄새, 기름 냄새, 배기가스는 배기구(11)를 통해 본체(13)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배기구(11) 밑으로 설치된 배기창(32)은 블레이드(31)가 열림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배기구(11)의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튀김조(16)에서 감자를 조리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배기구(11)로 이동시키는 배기통로에 적층되어 설치된 에어식 여과필터(40)에 의해 비산되는 미세먼지, 유증기 등을 여과한 후 대기중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배기통로의 하측에 임의각도로 경사지게 수납가능하게 설치된 제1필터(41)에 의해 배기가스의 배출시간을 지연시킴에 따라 배기가스의 이동궤적을 연장시켜 여과필터(40)에 의해 배기가스 입자를 포집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제1필터(41)를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제1필터(41)의 상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수납가능하게 설치된 망구조로 이루어진 제2필터(42)를 통과하게 되므로, 배기가스 중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먼지, 부유물, 조리식품 조각 등을 여과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2필터(42)를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제2필터(42)의 상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수납가능하게 설치된 활성탄 등으로 이루어진 제3필터(43)를 통과하게 되므로, 배기가스 중 미세입자의 먼지를 여과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튀김조(16)의 기름에 의해 감자의 조리가 완료될 경우, 제어부(19)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에 의해 수용함(18)을 회동시켜 튀김조(16)로부터 들어올려 수용함(18)의 감자를 배출구(12)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수용함(18)을 회동시키는 구동부의 구동모터가 회전됨에 따라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보스(35)에 일단이 끼워지고, 보스(35)와 대향되게 본체(13) 내부에 장착된 후크부(36)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된 회동축(25)이 임의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회동축(25)에 연결된 수용함(18)이 임의각도로 회전되어 튀김조(16)로부터 수용함(18)이 이탈됨에 따라 수용함(18) 내에서 조리완료된 감자는 호퍼 형상의 배출구(12)로 이동되어진다.
전술한 튀김조(16)로부터 수용함(18)을 이탈시키기 위해 회동시킬 경우, 수용함(18) 내의 오일은 수용함(18)의 측벽 및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출입공(17)을 통해 튀김조(16)로 흘러 내리게 되므로 수용함(18)의 조리된 감자로부터 기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수용함(18)을 튀김조(16)로부터 들어올려 배출구(12)쪽으로 회동시킬 경우, 수용함(18)에 잔류되는 기름이 측벽 및 바닥면에 형성된 출입공(17)을 통해 튀김조(16)로 미처 흘러내리지 못한 기름은 수용함(18)의 일측벽에 형성된 슬롯(37)을 통과하게 되어 튀김조(16)에 이동된다.
또한, 전술한 수용함(18)을 튀김조(16)로부터 들어올려 배출구(12)쪽으로 회동시킬 경우, 수용함(18)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기름이 회동축(25) 밑에 튀김조(16)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스커트부(38)에 의해 튀김조(16)로 떨어지도록 가이드하여 배출구(12)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함(18)을 회동시켜 조리완료된 감자를 배출구(12)로 배출시킬 경우, 수용함(18)은 구동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연동되는 회동축(25)의 회전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되어 튀김조(16)에 수용되어진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도어(10) 밖으로 인출되는 투입함(14)에 투입되어지는 감자를 튀김조(16) 내의 수용함(18)에 수용하여 기름에 의해 튀겨 조리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전술한 튀김조(16)의 기름이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가스 소화기(21)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전술한 튀김조(16)의 기름이 과열되어 본체(13)의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미 도시됨)로부터 온도감지신호가 제어부(19)에 전송된다.
이로 인해, 제어부(19)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24)를 온(on) 상태로 전환시킴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24)의 플런저(23)를 도면상, 상방향으로 잡아당긴다.
따라서 플런저(23)에 일단이 연결된 레버(27)가 중간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시이소운동하여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기울게 된다.
시이소운동하는 레버(27)에 의해 가스 소환기(21)의 가스배출용 레버(20)를 가압하여 온(on) 상태로 전환시킴에 따라 가스 소화기(21)로부터 소화용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가스 소화기(21)에 연통되게 연결된 제1소화관(28)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 일부는 튀김조(16)의 상방으로 본체(13) 천장에 설치된 제1노즐을 통해 튀김조(16)에 분사시킴에 따라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소화관(28)에 분기접속된 제2소화관(29)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 일부는 제2노즐을 통해 배기통로에 설치된 환기팬에 분사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튀김조(16)에 화재가 발생되어 가스 소화기(21)로부터 배출되는 소화용 가스에 의해 화재를 진압하고, 이와 동시에 배기구(11)를 차단하여 외부공기가 본체(13)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전술한 튀김조(16)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제어부(19)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24)를 온 상태로 전환시킴에 따라 플런저(23)를 도면상,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로 인해 레버(27)를 우측 방향으로 기울이게 되므로 레버(27)의 타단에 연결된 와이어(30)를 수직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전술한 와이어(30)를 수직 방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이때 와이어(30)를 잡아당기는 인장력이 슬라이더(33)의 타단을 탄성지지한 탄성부재(34)의 인장력을 초과하게 됨), 와이어(30) 타단에 연결된 슬라이더(33)를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게 된다.
전술한 슬라이더(33)의 슬라이딩이동으로 인해 배기구(11)의 밑으로 설치된 배기창(32)의 다수의 블레이드(31)를 회동시켜 닫힘상태로 전환시킴에 따라 배기구(11)를 차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튀김조(16)에 화재 발생시 외부로부터 본체(13) 내부로 외부공기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본체(13) 내부의 화염에 산소 공급을 차단하게 되므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3) 내부의 튀김조(16)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제어부(19)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24)가 온(on)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가스 소화기(21)에서 분출되는 소화용 가스를 노즐을 통해 튀김조(16)에 자동으로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솔레노이드밸브(24)의 온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배기구(11)를 차폐시켜 외부공기가 본체(13)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게시된 내용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도어
11; 배기구
12; 배출구
13; 본체
14; 투입함
15; 히터봉
16; 튀김조
17; 출입공
18; 수용함
19; 제어부
20; 가스배출용 레버
21; 가스 소화기
22; 온도센서
23; 플런저
24; 솔레노이드밸브
25; 회동축
26; 드레인밸브
27; 레버
28; 제1소화관
29; 제2소화관
30; 와이어

Claims (10)

  1.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와, 내부에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와, 조리된 식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로 수납되도록 상기 도어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되고, 회동시 피조리식품을 상기 본체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함;
    상기 투입함을 통해 투입되는 피조리식품을 히터봉 가열에 의해 임의온도의 기름에 의해 조리하기 위한 튀김조;
    상기 튀김조에 수납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기름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피조리식품의 조리가 완료될 경우 회동에 의해 상기 튀김조로부터 이탈되어 피조리식품을 상기 배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용함;
    상기 튀김조의 기름이 임의온도를 유지하도록 히터봉을 제어하고, 상기 수용함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튀김조의 기름이 과열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화재 발생시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적신호가 인가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플런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가 온(on) 상태로 전환시 연동되어 시이소운동하게 되는 레버;
    시이소운동하는 상기 레버에 의해 가압될 경우 가스배출용 레버의 온 작동에 의해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 소화기;
    상기 가스 소화기에 연결되는 제1소화관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상기 튀김조에 분사시켜 화재를 진화하는 제1노즐과, 상기 제1소화관에 분기접속되는 제2소화관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배기통로에 설치되는 환기팬에 분사시키는 제2노즐;
    상기 레버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
    다수의 블레이드가 연동되어 닫힘상태 또는 열림상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회동에 의해 상기 배기구를 개폐시켜 상기 본체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배기창;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를 잡아당길 경우 슬라이딩이동되어 상기 배기구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회동시켜 닫힘상태로 전환시킴;
    상기 와이어의 인장력보다 작은 힘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타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튀김조 내의 기름 온도를 감지하여 검출온도값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보스 및 상기 보스와 대향되게 본체에 형성되는 후크부와,
    상기 수용함이 상기 튀김조로부터 배출구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함의 일측벽이 장착되고, 상기 보스에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크부에 타단이 착탈 및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회동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함은
    피조리식품의 조리가 완료되어 상기 수용함을 상기 튀김조로부터 꺼내어 피조리식품을 상기 배출구에 이동시킬 경우, 상기 수용함에 잔류되는 기름이 상기 튀김조에 흘러내리도록 일측벽에 형성되는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함의 피조리식품을 상기 배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수용함을 회동시킬 경우, 상기 수용함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기름이 상기 튀김조로 떨어지도록 가이드하여 상기 배출구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커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봉 및 온도센서를 상기 튀김조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안착부에 놓여지며, 상기 히터봉 및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히터박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피조리식품을 조리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배기구로 이동시키는 배기통로에 수납가능하게 장착되는 여과필터로서,
    상기 배기통로의 하측에 임의각도로 경사지게 수납가능하게 설치되고, 배기가스의 배출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해 배기가스의 이동궤적을 연장시키는 제1필터와,
    상기 제1필터의 상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수납가능하게 설치되고, 배기가스 중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먼지를 여과하기 위한 망구조의 제2필터와,
    상기 제2필터의 상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수납가능하게 설치되고, 배기가스 중미세입자의 먼지를 여과하기 위한 제3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절곡된 하단이 상기 투입함의 상단 내측에 포개지도록 설치되는 덮개판을 구비하여,
    상기 투입함이 수납되도록 도어에 형성된 개구부 중, 상기 투입함을 개방시킬 경우 도어에 의해 차단하지 못하는 개구부 일부를 상기 덮개판에 의해 차폐시켜 상기 본체의 내부로부터 비산되는 배기가스, 유증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KR1020160068183A 2016-04-08 2016-06-01 조리장치 KR101773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128 2016-04-08
KR20160043128 2016-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119B1 true KR101773119B1 (ko) 2017-08-30

Family

ID=5976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183A KR101773119B1 (ko) 2016-04-08 2016-06-01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11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2966A (zh) * 2018-02-28 2018-09-2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一种内胆组件及蒸汽烤箱
KR20200012233A (ko) * 2018-07-26 2020-02-05 유진경 이동식 철판구이 시스템
KR20200083068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더에프앤티 자동 튀김장치
KR102229654B1 (ko) * 2020-06-12 2021-03-18 주식회사 도남지익 튀김기 화재 작동 소화기 구조
KR102234189B1 (ko) * 2020-06-12 2021-03-31 주식회사 도남에프앤에프 튀김기 화재 방지 소화기 구조
KR20210103683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도남에프앤에프 튀김기 도어 구조
KR20210157015A (ko) * 2020-06-19 2021-12-28 노홍구 자동 배출형 전기 튀김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2087A (ja) 2005-02-01 2006-08-17 Muratani Kikai Seisakusho:Kk フライヤー装置
KR101595876B1 (ko) * 2015-10-07 2016-02-22 주식회사 도남에프앤에프 튀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2087A (ja) 2005-02-01 2006-08-17 Muratani Kikai Seisakusho:Kk フライヤー装置
KR101595876B1 (ko) * 2015-10-07 2016-02-22 주식회사 도남에프앤에프 튀김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2966A (zh) * 2018-02-28 2018-09-2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一种内胆组件及蒸汽烤箱
CN108552966B (zh) * 2018-02-28 2024-01-09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一种内胆组件及蒸汽烤箱
KR20200012233A (ko) * 2018-07-26 2020-02-05 유진경 이동식 철판구이 시스템
KR102113747B1 (ko) * 2018-07-26 2020-05-21 유진경 이동식 철판구이 시스템
KR20200083068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더에프앤티 자동 튀김장치
KR102170812B1 (ko) * 2018-12-31 2020-10-27 주식회사 더에프앤티 자동 튀김장치
KR20210103683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도남에프앤에프 튀김기 도어 구조
KR102322413B1 (ko) * 2020-02-14 2021-11-05 주식회사 도남에프앤에프 튀김기 도어 구조
KR102229654B1 (ko) * 2020-06-12 2021-03-18 주식회사 도남지익 튀김기 화재 작동 소화기 구조
KR102234189B1 (ko) * 2020-06-12 2021-03-31 주식회사 도남에프앤에프 튀김기 화재 방지 소화기 구조
KR20210157015A (ko) * 2020-06-19 2021-12-28 노홍구 자동 배출형 전기 튀김기
KR102378506B1 (ko) * 2020-06-19 2022-03-24 노홍구 자동 배출형 전기 튀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119B1 (ko) 조리장치
US11460195B2 (en) Oven cavity connector for operating power accessory trays for cooking appliance
US20180255971A1 (en) Air Fryer
CN110250937B (zh) 烹饪系统
US20170231430A1 (en) Air Fryer
CN107510379B (zh) 空气炸锅
DK2131706T3 (en) Frying device
JPH06508544A (ja) 乾燥調理食品用装置
KR20080064951A (ko) 식품 로스터
US20100037782A1 (en) Fryer device with oil removal and conveyor system
US20170231423A1 (en) Apparatus for heating and/or cooking meat products
US20120017773A1 (en) Fryer device with oil removal and conveyor system
US8156859B2 (en)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smores
KR101710701B1 (ko) 바비큐 그릴 장치
US20020029695A1 (en) Automatic barbeque assembly with bypass lever
WO20221322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ying food products
KR100417679B1 (ko) 해조류 조미용 볶음장치
US20230160580A1 (en) Device for heating and/or cooking food
CN107410958B (zh) 苹果片制作方法
KR101325598B1 (ko) 다목적 회전식 구이기
US20170071407A1 (en) Fire extinguishing cover for cooking systems
KR101449555B1 (ko)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US20170035247A1 (en) Upward opening fryer cover
KR101745712B1 (ko) 후드 연결 친환경 렌지
KR200486990Y1 (ko) 꼬치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