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594B1 - 측온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측온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594B1
KR101772594B1 KR1020150172259A KR20150172259A KR101772594B1 KR 101772594 B1 KR101772594 B1 KR 101772594B1 KR 1020150172259 A KR1020150172259 A KR 1020150172259A KR 20150172259 A KR20150172259 A KR 20150172259A KR 101772594 B1 KR101772594 B1 KR 101772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flange portion
thermometer
molten stee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903A (ko
Inventor
김수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72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5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00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00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 B22D2/006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for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met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커버에 설치되는 측온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용기 커버에 제공되고 상기 측온기가 장착되는 거치대 본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플랜지부 및 적어도 상기 플랜지부를 냉각하는 냉각 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상기 측온기 거치대에 설치되는 측온기는 용강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측온기 거치대{HOLDER FOR 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측온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강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온기를 위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철강 공정은 수많은 공정이 세분화되어 있다. 그 중에서 연속 주조 공정은 고온의 용강이 래들과 턴디쉬를 통하여 몰드로 주입되고, 냉각 및 응고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용강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 셀 파열 등으로 용강 유출 사고가 발생하여 조업이 중단되고, 용강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저온에 따른 토출구 막힘이 발생하여 연속 주조 공정을 진행할 수 없는 조건이 발생한다. 따라서 연속 주조 공정에서 용강의 온도를 연속적으로 정확하게 측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턴디쉬 커버에 존재하는 다수의 관통공으로부터 방사되는 열과 턴디쉬에 주입된 용강의 열로 인해 용강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연속 주조 공정에서 주변의 환경 영향 없이 용강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측온기 거치대의 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턴디쉬 커버의 관통구에서 방사되는 열을 차단하여 내부에 설치된 측온기가 용강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측온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커버에 설치되는 측온기 거치대는 상기 용기 커버에 제공되고 상기 측온기가 장착되는 거치대 본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플랜지부; 및 적어도 상기 플랜지부를 냉각하는 냉각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 본체의 하단에 배치되는 실린더 형상의 튜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강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온기의 열전대는 상기 거치대 본체를 통하여 상기 튜브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튜브부는 상기 거치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용강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온기를 내삽된 튜브가 상기 거치대 본체를 통하여 거치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내화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 본체의 상단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의 상기 거치대 본체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는 턴디쉬 커버일 수 있다.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플랜지부의 내부에 형성된 냉각 유로; 상기 냉각 유로의 일측에 형성되어 냉각제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냉각 유로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플랜지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플랜지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온기 거치대는 측온기 거치대가 배치되는 관통공 또는 턴디쉬 커버의 다른 관통공에서 측온기 센서를 향해 방출되는 열을 차단하여 측온기가 용강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측온기로 용강의 예열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온도 측정에 대한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를 방지하고, 고온에 따른 셀 파열로 발생하는 용강 유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용강의 저온에 따른 토출구 막힘으로 인해 발생하는 주조 중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온기 거치대를 이용하면 측온기가 적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측온기 거치대에서 측온기의 분리작업 시 화상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조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튜브부가 측온기 거치대 하부에 일체로 배치되는 구성의 경우에는 분리형 튜브보다 두꺼워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주기적인 교체가 없어 경제적일 수 있다.
또한, 측온기 거치대 내부에 측온기가 삽입된 튜브를 삽입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튜브 손상 시 튜브만을 교체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냉각 수단을 통해, 측온기 거치대에 삽입된 측온기 주변에 냉각 환경을 조성하여 턴디쉬 커버에 존재하는 다른 관통공으로부터 적열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온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온기 거치대가 턴디쉬 커버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온기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온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온기 거치대가 턴디쉬 커버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온기 거치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온기 거치대(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온기 거치대(1)가 턴디쉬 커버(20)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측온기 거치대(1)는 고온의 유체를 수용하는 다양한 용기의 커버에 배치되어, 고온의 유체에 대한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측온기 거치대(1)는 용기 커버 중 턴디쉬 커버(20)로 한정하여 설명하겠다.
즉, 측온기 거치대(1)는 턴디쉬 커버(20)에 형성된 관통공(22)에 배치되며 측온기 거치대(1)의 내부는 측온기(10)가 거치될 수 있다. 측온기(10)는 측온기 거치대(1) 및 턴디쉬 커버(20)에 내삽되어 턴디쉬 내부에 수용된 용강(3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측온기(10)는 열전대(11), 헤드(12), 연장선(13) 및 연산장치(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대(11)는 측정 대상물에 접촉 또는 비접촉 되어 측정 대상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헤드(12)는 열전 일단에 배치될 수 있고, 연장선(13)은 헤드(1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열기전력 변화 등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연산장치(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측온기 거치대(1)는 거치대 본체(100), 플랜지부(200), 냉각수단, 튜브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거치대 본체(100)는 중공을 포함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측에 개구된 부분을 통해 측온기(10)는 중공에 내삽되어 턴디쉬 내의 용강(3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측온기(10)는 용강(30)의 온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본체(100)의 상면에서 테두리의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 본체의 상면(120)에서 돌출부(110)가 헤드(12)를 둘러싸기 때문에 헤드(12)를 주변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대 본체의 상면(120)에는 헤드(12)와 연산장치(미도시됨)를 연결하는 연장선(13)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된 면(11)이 헤드(12)를 둘러 싸는 형태를 통해, 턴디쉬 커버(20)의 다른 관통공으로부터 측온기(10)에 전달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다.
플랜지부(200)는 거치대 본체(10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00)는 거치대 본체(100)와 턴디쉬 커버(20)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덮고, 동시에 측온기 거치대(1)가 턴디쉬 커버(20) 상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측온기 거치대(1)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200)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공(22)을 덮도록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200)의 하면과 대응되는 턴디쉬 커버(20)의 상면에는 차단부재(21)가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재(21)는 용강으로부터 적열된 턴디쉬 커버(20)의 열이 플랜지부(200)로 전달되지 않도록, 열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200)는 턴디쉬 커버(20)를 덮기 위해 플랜지부(200) 하면(220)의 직경은 관통공(2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용강(30)으로부터 발생한 불꽃이나 복사열이 틈(S)을 통해 턴디쉬 커버(20) 상면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측온기(10)는 용강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온기 거치대(1)는 적열된 거치대 본체(100) 및 플랜지부(200)가 용강(30)의 열로 인해 적열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부(200)를 냉각하는 냉각 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수단(300)은 유입구(310), 냉각 유로(320), 배출구(330)를 포함한다. 유입구(310)는 플랜지부(2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외부의 냉각호수(미도시됨)와 연결되어 냉각제가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냉각제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 이산화탄소, 불활성가스와 일산화탄소 등의 냉각기체 또는 탄산염과 같은 무기산염 등을 포함하는 냉각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입구(310)를 통해 주입되는 상기 냉각제는 플랜지부(200) 내부에 형성된 냉각 유로(320)를 통해 이동한다. 이때, 공급된 냉각제는 에너지 교환을 통해 플랜지부(2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턴디쉬 내부의 열이 관통공(22)을 통해 플랜지부(200)에 전달되어, 거치대 본체(100)와 플랜지부(200)가 적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냉각 유로(32)는 냉각제가 이동하는 경로로, 플랜지부(200) 내부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 유로(320)의 일측에는 상기 냉각제가 공급되는 유입구(310)가 형성되고, 냉각 유로(320)의 타측에는 냉각제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33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330)는 냉각 유로(320)와 연결되고, 거치대 본체(100)의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구(33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 상면(22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33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1과 같이, 배출구(330)는 플랜지부 상면(220)에 형성되되 중심축(A)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배출구(330)를 통해 냉각제가 배출됨에 따라, 거치대 본체(100) 상부 주변에 냉각 환경을 조성하여 거치대 본체(100)를 균일하게 냉각할 수 있다.
이로써, 턴디쉬 커버(20)의 다른 관통구로부터 전달되는 열로 인해 거치대 본체(100) 상부가 적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온기(10)를 통해 용강(30)의 정확한 온도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출구(330)는 중심축(A)을 기준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내측으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거치대 본체(100)의 상부를 상기 냉각제를 통해 냉각 시키고, 외측으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거치대 본체(100) 및 측온기(10) 주위에 존재하는 공기를 냉각시키고 다른 열적 요인을 방지하여 정확한 용강(3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튜브부(400)는 거치대 본체(100)의 하단에 배치되고, 하단이 폐구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튜브부(400)의 일부는 용강(30)에 침지되고 내부에 측온기(10)가 삽입되므로, 용강(30) 등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침식에 저항성이 우수한 내화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튜브부(400)는 거치대 본체(100) 하단에 배치되고, 거치대 본체(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형의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내화물 튜브(500)보다 튜브부(40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온기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거치대 본체(100)의 상면에서 테두리의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 본체의 상면(120)에서 돌출된 면(110)이 헤드(12)를 둘러싸고, 거치대 본체의 상면(120)에 헤드(12)와 연산장치(미도시됨)를 연결하는 연장선(13)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온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온기 거치대가 턴디쉬 커버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측온기 거치대(1a)는 거치대 본체(100), 플랜지부(200), 냉각 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 본체(100), 플랜지부(200), 냉각 수단(300)은 상기 언급한 내용과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3과 달리, 측온기 거치대(1a)에는 측온기(10)가 내화물 튜브(500)에 삽입된 채로 거치대 본체(100)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내화물 튜브(500)의 하부는 용강(30)에 침지되고, 내화물 튜브(500)에 내삽된 측온기(10)로 용강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내화물 튜브(500)에서 용강(30)에 침지되는 부분은 물리적, 화학적으로 손상될 수 있고, 손상 시에 내화물 튜브(500) 등을 측온기 거치대(1a)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내화물 튜브(500)는 거치대 본체(100)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거치대 본체(100)에서 적열된 열이 내화물 튜브(5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 본체(100)의 상부와 내화물 튜브(500)의 상부가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화물 튜브(500)가 거치대 본체에 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온기 거치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 본체(100)의 외면에 상기 거치대 본체(100) 내면으로 형성된 홈(G)이 복수개로 반복하여 배열될 수 있다.
거치대 본체(100)의 외주면이 중심축으로부터 직경이 작아지고 커지고를 반복하여 홈(G)을 형성할 수 있다. 거치대 본체(100)의 외주면 직경이 작은 경우 오목한 부분(130)이 형성되고, 직경이 큰 경우 볼록한 부분(140)이 형성될 수 있다.
오목한 부분(130) 및 볼록한 부분(140)이 반복하여 형성된 홈(G)으로 인해, 외부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커진다. 이로써, 외부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커지고, 거치대 본체(100)에 적열된 열의 방출량이 커질 수 있다.
또한, 배출구(330)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제가 상기 홈으로 분사되고, 상기 홈(G)에서 오랜시간 열교환을 거쳐 보다 큰 냉각효과를 가질 수 있다.
홈(G)이 복수개로 반복하여 배열된 경우에는 외부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더욱 커지고 냉각제를 수용하는 공간이 넓어져, 냉각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온기 거치대(1, 1a)를 제공함으로써, 턴디쉬 커버의 다른 관통구에서 방사되는 열을 차단하고 동시에 측온기 거치대(1, 1a)의 적열을 방지함으로써, 측온기(10)를 통해 정확한 용강의 온도 측정이 가능하다. 이로써, 정확하게 용강의 예열온도를 측정하여, 잘못된 온도 측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온에 따른 셀 파열로 발생하는 용강 유출 사고, 저온에 따른 토출구 막힘으로 발생하는 주조 중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측온기 분리작업 시에 적열로 인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조기에 차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a: 측온기 거치대 10: 측온기
11: 열전대 12: 헤드
13: 연장선 20: 턴디쉬 커버
21: 차단부재 22: 관통공
30: 용강 100: 거치대 본체
200: 플랜지부 300: 냉각 수단
310: 유입구 320: 냉각 유로
330: 배출구 400: 튜브부
500: 내화물 튜브

Claims (12)

  1. 용기 커버에 설치되는 측온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용기 커버에 제공되고 상기 측온기가 장착되는 거치대 본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플랜지부; 및
    적어도 상기 플랜지부를 냉각하는 냉각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수단은,
    상기 플랜지부의 내부에 형성된 냉각 유로;
    상기 냉각 유로의 일측에 형성되어 냉각제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냉각 유로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거치대 본체의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 커버의 관통구로부터 상기 거치대 본체에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측온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의 하단에 배치되는 실린더 형상의 튜브부를 더 포함하는 측온기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용강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온기의 열전대는 상기 거치대 본체를 통하여 상기 튜브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온기 거치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는 상기 거치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측온기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용강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온기가 내삽된 튜브가 상기 거치대 본체를 통하여 거치되는 측온기 거치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내화물 재질로 형성된 측온기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의 상단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의 상기 거치대 본체 외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는 측온기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턴디쉬 커버인 측온기 거치대.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측온기 거치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플랜지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측온기 거치대.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플랜지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온기 거치대.
KR1020150172259A 2015-12-04 2015-12-04 측온기 거치대 KR101772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259A KR101772594B1 (ko) 2015-12-04 2015-12-04 측온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259A KR101772594B1 (ko) 2015-12-04 2015-12-04 측온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903A KR20170065903A (ko) 2017-06-14
KR101772594B1 true KR101772594B1 (ko) 2017-08-29

Family

ID=5921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259A KR101772594B1 (ko) 2015-12-04 2015-12-04 측온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5277A (zh) * 2018-09-13 2019-01-11 浙江万丰奥威汽轮股份有限公司 一种热电偶安装技术
CN115354143B (zh) * 2022-08-22 2024-03-08 海安天一智控设备有限公司 一种连续退火炉温控系统模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433B1 (ko) * 2004-01-21 2012-03-29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주조기용 온도센서 및 주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433B1 (ko) * 2004-01-21 2012-03-29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주조기용 온도센서 및 주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903A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594B1 (ko) 측온기 거치대
US10400293B2 (en) Metal making lance with infrared camera in lance head
JP6043441B2 (ja) 物質分析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446137B1 (ko) 스프링 탄성을 이용한 열전대 고정장치
JP2009534211A (ja) ホットランナノズル
KR101574420B1 (ko) 핫러너 사출금형의 노즐장치
JP2005132026A (ja) ホットランナノズル及びホットランナノズルユニット
KR101242086B1 (ko) 몰드플럭스 주입노즐
KR20170003072U (ko) 금형 냉각 장치
US9746201B2 (en) Combustion apparatus
KR101517377B1 (ko) 내구성을 가진 고온용융물 온도 측정 장치
BR112018077120A2 (pt) forno de resfriamento, e, processo de resfriamento por solidificação dirigida para peça metálica de fundição
KR102307684B1 (ko)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CN207552495U (zh) 一种溢流预警的多晶铸锭炉
BR102017010004A2 (pt) Zincing oven
JPH0755587A (ja) 温度測定装置
JPH07100895A (ja) 温度センサーおよび温度測定構造
CN111315271A (zh) 上限电阻温度检测器支托物块
JP6151552B2 (ja) ロータリーキルンのシール構造およびロータリーキルン
KR20110059316A (ko) 몰드 내 용강유동 판단방법
CN109843473A (zh) 连续铸造用铸模以及钢的连续铸造方法
CN216093774U (zh) 一种用于烧蚀试验试件放置的装置
JP6041347B2 (ja) 定点るつぼ及び定点黒体炉
KR101999025B1 (ko) 용강 레벨 측정장치
US1122345A (en) Cooling-jacket for thermo-coup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