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784B1 - Tlr2 신호전달계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Tlr2 신호전달계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784B1
KR101771784B1 KR1020150023782A KR20150023782A KR101771784B1 KR 101771784 B1 KR101771784 B1 KR 101771784B1 KR 1020150023782 A KR1020150023782 A KR 1020150023782A KR 20150023782 A KR20150023782 A KR 20150023782A KR 101771784 B1 KR101771784 B1 KR 101771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c
tlr2
recept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729A (ko
Inventor
김대경
하해찬
김한결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3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78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아이오도티로아세트산(triiodothyroacetic acid, TRIAC)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톨 유사 수용체 2(toll like receptor 2, TLR 2) 관련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TRIAC는 p-ERK, p-p38 및 p-JNK와 같은 염증성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며, TLR2 신호전달계를 억제하므로 아토피, 급성간염, 카와사키 또는 알러지와 같은 TLR2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TLR2 신호전달계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eventing disease in connection with TLR2 signaling}
본 발명은 TLR2 신호전달계와 관련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톨(Toll)단백질은 초파리에서 배아의 발달 조절자로서 발견이 되었으며, 인터루킨-1의 성분과 상동성을 가지는 타입 I의 막투과 수용체이다. 최근에, 여러 포유류의 톨(Toll) 유사체가 발견이 되었고 톨 유사 수용체(Toll-like protein; TLP)라 지정되었다. 최소한 10 여개의 TLR 들이 클론되었고, 이들 중 일부는 병원균-연관 분자 패턴(pathogen-associated microbial pattern)이라고 부르는 병원균의 보전되어진 모티브인 미생물 구성부분의 특정 패턴에 대한 세포반응을 조절한다.
TLR은 병원균-연관 분자 패턴의 선천적인 인식 및 후천적 면역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며, TLR 중에서 TLR2 및 TLR4이 많이 연구되었다. TLR2는 주로 단핵구/마크로파지 및 다형핵의 세포(polymorphonuclear cell; PMN)에서 주로 존재하며 그람 양성 세균에 반응한다.
상기 TLR2는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홍역 바이러스(measles virus),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and C virus), 인간 및 설치류 거대세포 바이러스(human and murine cytomegalovirus), 단순포진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우두 바이러스(vaccinia virus) 등을 포함한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 단백질에 의해 유도되는 신호전달 경로 및 사이토카인 생성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불어 TLR2는 TLR1이나 TLR6 중 하나와 이합체(heterodimer)를 형성하는 방법을 통해 다른 리간드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TLR2는 자가 면역, 감염성 질환 및 염증을 포함하는 많은 질환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TLR2 관련 질환에서 신호전달체계의 억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27532.
따라서 본 발명은 TLR2 신호전달계를 억제하는 톨 유사 수용체 2 관련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TLR2 신호전달계를 억제하는 톨 유사 수용체 2 관련 질병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이오도티로아세트산(triiodothyroacetic acid, TRIAC)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톨 유사 수용체 2(toll like receptor 2, TLR 2) 관련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16574249-pat00001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이오도티로아세트산(triiodothyroacetic acid, TRIAC)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톨 유사 수용체 2(toll like receptor 2, TLR 2) 관련 질병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16574249-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트리아이오도티로아세트산(triiodothyroacetic acid, TRIAC)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톨 유사 수용체 2(toll like receptor 2, TLR 2) 관련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p-ERK, p-p38 및 p-JNK와 같은 염증성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며, TLR2 신호전달계를 억제하므로 아토피, 급성간염, 카와사키 또는 알러지와 같은 TLR2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인간 신장 세포(HEK293 세포)에서 TRIAC의 효능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2는 인간 표피 세포(HaCaT 세포)에서 TRIAC의 효능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3은 TRIAC의 메커니즘을 분석한 결과이며, 도 3 중 A는 인산화된 ERK(phosphorylated ERK, p-ERK)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3 중 B는 인산화된 p38(phosphorylated p38, p-p38)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며, 도 3 중 C는 인산화된 JNK(phosphorylated JNK, p-JNK)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4는 급성간염 마우스 모델에서 TRIAC의 효능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5는 TRIAC의 급성간염 예방 효과를 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트리아이오도티로아세트산(triiodothyroacetic acid, TRIAC)는 갑상선 호르몬 유사체(thyroid hormone analogue)로써,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며 티라티콜(tiraticol)이라 불리기도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16574249-pat00003
상기 TRIAC는 갑상선암 환자에게 갑상선 자극 호르몬의 생성을 억제하는 레보티록신(levothyroxine)과 조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자가 면역, 감염성 질환 및 염증을 포함하는 많은 질환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톨 유사 수용체 2(Tall like receptor2, TLR2) 관련 질환의 치료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상기 TRIAC가 TLR2 신호전달계에 대하여 우수한 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이오도티로아세트산(triiodothyroacetic acid, TRIAC)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톨 유사 수용체 2(toll like receptor 2, TLR 2) 관련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톨 유사 수용체 2 관련 질병은 아토피, 급성간염, 카와사키 및 알러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트리아이오도티로아세트산(triiodothyroacetic acid, TRIAC)은 p-ERK, p-p38 및 p-JN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증성인자 발현을 억제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TRIAC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질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mg/kg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TRIAC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기관지 내 흡입,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이오도티로아세트산(triiodothyroacetic acid, TRIAC)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톨 유사 수용체 2(toll like receptor 2, TLR 2) 관련 질병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톨 유사 수용체 2 관련 질병은 아토피, 급성간염, 카와사키 및 알러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건강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식품은 유효성분인 TRIAC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 함유된 TRIAC의 유효용량은 상기 약학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인간 신장 세포( HEK293 세포)에서의 TRIAC 효능 확인
인간 TLR2(Human TLR2, hTLR2)를 과발현시킨 HEK293 세포(HEK-BlueTM-hTLR2)에서의 TRIAC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상기 HEK293 세포(HEK-BlueTM-hTLR2)는 분비된 알칼리포스파타아제 리포터 유전자(secreted alkaline phosphatase(SEAP) reporter gene)를 갖고 있는데 이는 TLR2 신호가 활성화되면 SEAP 효소를 생성한다. 따라서 이 세포가 TLR2 자극을 받게 되면 SEAP을 많이 생성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TRIAC의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HEK293 세포(HEK-BlueTM-hTLR2)를 폴리-D-라이신-코팅 96 웰 플레이트(poly-D-lysine coating 96 well plate)에 각 웰 당 1.2 × 104 개의 개수로 넣어주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들어가지 않은 새 배지로 바꾸어 준 후, TRIAC을 10 μM 처리하고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6시간 뒤 TLR2의 자극제로써 Pam3CSK4를 0.1 μg/mL 농도로 처치하고 다시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6시간 후 배지를 20 μL 취하여 새로운 96 웰 플레이트로 옮기고 각 웰에 SEAP의 기질인 퀀티-블루(QUANTI-BlueTM, Invivogen)을 80 μL씩 넣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런 후 6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Pam3CSK4을 처리한 경우 SEAP의 생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RIAC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하여 TRIAC를 처리한 세포에서 SEAP의 생성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TRIAC가 TRL2 신호 활성화를 억제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2> 인간 표피 세포( HaCaT 세포)에서의 TRIAC 효능 확인
다음으로 인간 표피 세포(Human keratinocyte)인 HaCaT 세포에서 TRIAC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상기 HaCaT 세포는 TLR2를 많이 발현하며, TLR2 자극제를 처치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8(Interleukin-8, IL-8)을 생성하므로, 이를 통하여 TRIAC의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HEK293 세포(HEK-BlueTM-hTLR2)를 96 웰 플레이트에 각 웰 당 1.5 × 104 개의 개수로 넣어주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들어가지 않은 새 배지로 바꾸어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후 TRIAC을 10 μM 처리하고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2시간 뒤 TLR2의 자극제로써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 PGN)을 20 μg/mL 농도로 처리하고 다시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2시간 후 배지를 취하여 ELISA기법으로 IL-8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PGN을 처리한 경우 IL-8의 생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RIAC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하여 TRIAC를 처리한 세포에서 IL-8의 생성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TRIAC가 TRL2 신호 활성화를 억제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3> TRIAC의 메커니즘 분석
TRIAC의 메커니즘을 웨스턴 블롯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먼저, HHEK293 세포(HEK-BlueTM-hTLR2)를 폴리-D-라이신-코팅 96 웰 플레이트(poly-D-lysine coating 96 well plate)에 각 웰 당 3.0 × 105 개의 개수로 넣어주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들어가지 않은 새 배지로 바꾸어준 후, TRIAC을 5 또는 10 μM 처치하고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뒤 TLR2의 자극제로써 Pam3CSK4를 0.1 μg/mL 농도로 처치하고 다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를 모은 후 초음파 처리(sonication)을 통해 전부 깨주고 샘플링을 하였다.
그런 후 웨스턴 블롯으로 염증성 인자인 p-ERK, p-p38 또는 p-JNK를 측정하였다.
이때 로딩 컨트롤로 열충격 단백질 60(heat shock proteins 60, HSP60)을 사용하였다.
상기 ERK, p38 및 JNK는 Map 인산화효소(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 kinase, MAPK)의 패밀리로 상기 MAPK는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와 인터루킨-1(Interleukin-1, IL-1)과 같은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관여한다.
얻어진 웨스턴 블롯 결과를 농도계(densitometer)를 이용하여 HSP60 대비 각 p-ERK, p-p38 또는 p-JNK의 광학적 농도를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다.(예 : p-ERK 광학적 농도 ÷ HSP60 광학적 농도). TRIAC을 처치하지 않은 군을 100으로 놓고 나머지 군을 퍼센트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TRIAC이 농도의존적으로 ERK, p38 또는 JNK의 인산화를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TRIAC가 항염증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4> 급성간염 마우스 모델에서 TRIAC의 효능 확인
급성간염 환자에서 TLR2가 많이 발현되어 있는 것에 착안하여 TRIAC의 예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급성간염 마우스 모델은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 Con A) 20 mg/kg을 꼬리정맥 주사하여 만들었다.
상기 급성간염 마우스 모델에 TRIAC을 0.5, 1, 2 mg/kg/day의 양으로 경구투여하였다. 하루 두 번 먹는다는 가정으로 실험을 하였으며, 처음 경구투여 후 11시간 뒤 다시 한번 경구투여하였다. 두 번째 경구투여가 끝나고 1시간 후 Con A를 20 mg/kg으로 정맥주사하였다. 8시간 뒤 마우스에서 혈액을 채취, 혈청(serum)을 분석기관에 맡겨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와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를 측정하였다.
상기 AST와 ALT는 간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들로 주로 간세포가 손상을 받는 경우에 혈중으로 방출되어 혈중 수치가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ConA에 의하여 혈청 내 AST와 ALT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TRIAC를 처리한 경우 0.5mg/kg의 제일 적은 양이 투여됐음에도 혈청 내 AST와 ALT가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TRIAC가 간의 염증에 있어서 억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TRIAC의 급성간염 예방 효과를 현미경으로 확인
TRIAC의 급성간염 예방 효과를 현미경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4에 따른 급성간염 마우스 모델에서 혈액을 채취 후 간을 적출하였다. 이를 포르말린(formalin)으로 고정한 후, 헤마토실린(hematocylin)과 에오신(eosin)으로 염색하였다.
그 결과 도 5와 같이, TRIAC을 처리한 경우 분홍색 면적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여, TRIAC가 급성간염을 예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이오도티로아세트산(triiodothyroacetic acid, TRIAC)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급성간염, 카와사키 및 알러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톨 유사 수용체 2(toll like receptor 2, TLR 2) 관련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31897820-pat00004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아이오도티로아세트산(triiodothyroacetic acid, TRIAC)은 p-ERK, p-p38 및 p-JN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증성인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급성간염, 카와사키 및 알러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톨 유사 수용체 2 관련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이오도티로아세트산(triiodothyroacetic acid, TRIAC)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급성간염, 카와사키 및 알러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톨 유사 수용체 2(toll like receptor 2, TLR 2) 관련 질병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7031897820-pat00005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아이오도티로아세트산(triiodothyroacetic acid, TRIAC)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생체 외(in vitro)에서 톨 유사 수용체 2(toll like receptor 2, TLR 2) 신호전달계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31897820-pat00011
KR1020150023782A 2015-02-17 2015-02-17 Tlr2 신호전달계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71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782A KR101771784B1 (ko) 2015-02-17 2015-02-17 Tlr2 신호전달계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782A KR101771784B1 (ko) 2015-02-17 2015-02-17 Tlr2 신호전달계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729A KR20160101729A (ko) 2016-08-26
KR101771784B1 true KR101771784B1 (ko) 2017-08-28

Family

ID=5688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782A KR101771784B1 (ko) 2015-02-17 2015-02-17 Tlr2 신호전달계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7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6478A4 (en) * 2018-01-29 2022-01-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HERAPIES AND METHODS OF TREATMENT OF TLR2-MEDIATED DISEASES AND DISORD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8782A1 (en) 2012-05-30 2013-12-05 Universidad De Zaragoza Allosteric inhibitors of ns3 protease from hepatitis c vir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532A (ko) 2010-05-19 2011-11-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팜피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lr2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면역 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8782A1 (en) 2012-05-30 2013-12-05 Universidad De Zaragoza Allosteric inhibitors of ns3 protease from hepatitis c viru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Nanotechnology in Engineering and Medicine, 5, 031001-1 ~ 031001-8 (2014.08.)
MOL CELL BIOCHEM, 340, 291-300(2010.03.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729A (ko) 2016-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1921A (ko) 단삼추출물을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치료제
US9457062B2 (en) Chaperonin 10-induced immunomodulation
Park et al. Inhibitory effects of Stewartia koreana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resorption
Wang et al. The anti-aging effects of LW-AFC via correcting immune dysfunctions in senescence accelerated mouse resistant 1 (SAMR1) strain
Fu et al. Scutellarein inhibits RANKL‐induced osteoclast formation in vitro and prevents LPS‐induced bone loss in vivo
KR101771784B1 (ko) Tlr2 신호전달계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13099B1 (ko) 택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4037012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or asthma, containing lagerstroemia ovalifolia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Huang et al. Triptolide alleviates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mice by modulating Treg/Th17 imbalance through the JAK/PTEN‐STAT3 pathway
Zhang et al. IL-18 deficiency aggravates kainic acid-induced hippocampal neurodegeneration in C57BL/6 mice due to an overcompensation by IL-12
KR20160047665A (ko)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0081B1 (ko) 아출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
US11052099B2 (en) Use of cimicifugae rhizoma triterpenoid saponin extract, actein, and deoxyactein
Ha et al. Water extract of Dryopteris crassirhizoma attenuates bone loss by suppressing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KR101654980B1 (ko) 헬로퓨지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00062154A (ko) 항암 치료 효과 증진용 약학 조성물
KR101996490B1 (ko)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US20200108032A1 (en) Use of isoferulic acid, isoferulic acid-contain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extract and cimicifugae rhizoma
KR102014241B1 (ko) 사파논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손실 억제용 조성물
KR101665234B1 (ko) 골손실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187854B1 (ko) Oct4를 인산화시키는 물질을 포함하는 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억제용 조성물
KR102324223B1 (ko) 사카린, 아세설팜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50100331A (ko) 골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230079725A (ko) 황산아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507506B2 (en) Theophylline derivative inhibits osteopor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