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514B1 -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514B1
KR101771514B1 KR1020170079046A KR20170079046A KR101771514B1 KR 101771514 B1 KR101771514 B1 KR 101771514B1 KR 1020170079046 A KR1020170079046 A KR 1020170079046A KR 20170079046 A KR20170079046 A KR 20170079046A KR 101771514 B1 KR101771514 B1 KR 101771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plate
shaft bar
capsule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원
한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연테크
Priority to KR1020170079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4Particular arrangements for handling and holding in place complete 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16F15/085Use of both rubber and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으로서, 선재(T)의 선두에는 샤프트바 형상 타입형 가이드팁(T-1)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가이드팁(T-1)의 후미에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형 선재(T-3)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가이드팁(T-1)과 파이프형 선재(T-3)를 삽설시켜 용접(T-2)을 통해 하나의 가공용 선재(T)가 되도록 형성하는 공정; 상기 선재(T)의 선두를 형상변형장치(3)의 형상 변형 블럭(310)에 진입 하는 공정; 상기 진입된 선재(T)는 인발을 통해 후미에 따라오는 가공용 선재(T-3)의 변형을 통해 샤프트바(S)로 제조되는 공정을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바 제조장치는, 상기 제1항의 샤프트바(S)로 제조를 위해서 지면에 고정설치된 메인몸체(B); 상기 메인몸체(B)에 구성된 변형지지블럭(B-1) 구비되는 샤프트바(S) 형상가공용 형상변형장치(3); 선재(T)의 정렬을 위하여 상기 형상변형장치(3)의 편 측에 구비되는 선재정렬장치(20); 상기 선재 정렬장치(20)의 편 측에는 투입관(201)에 삽설되어 좌·우 이동하는 밀핀(257)이 지지몸체(258)에 삽설되어 반대 측으로 돌출된 밀핀(257)의 끝단에는 상기 지지몸체(258)의 편측에 설치된 작동실린더(255)의 가이드판(268)에 연결되어 좌,우 이동되도록 구성한 선재 공급장치(25); 및 상기 선재공급장치(25)의 반대 측 타 측에는 상기 형상변형장치(3)를 통해 선진입된 선재(T)를 클램핑하는 선재클램핑유닛(40)을 포함하되, 상기 선재공 급장치(25)의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버퍼모듈(181)이 구비되며, 상기 버퍼모듈(18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고,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되는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를 제공한다.
따라서, 생산라인 상에서 대량의 양품 샤프트바를 보다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SHAFT BAR PARTS CAR SEA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량 생산 과정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부적 또는 외부적인 충격 요인을 예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시트에 내부에 회전전달용 부품으로 사용되는 샤프트바의 경우 사용목적이나 제품특 성상 강도 및 경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동차 구조용 탄소강관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경쟁에 따라 차량 내구성 및 연비증대를 위해 각제조사 마다 다향한 형태로 연비증대를 위해 차체강성은 증가시키면서 차량 중량을 줄여 연비를 개선하고자 목적의 일환으로써, 자동차 연비 증대와 제품 효율성 향상을 통해 제작사의 지속적인 제품 경량화 요구에 부흥하고 제조사의 원가 절감을 통해 제품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샤프트바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현재 어느 정도 선의 성능이 개선된 샤프트바가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샤프트바를 생산하는 라인에서는 다양한 요인들에 기인하는 불량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생산 라인에서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작업자들의 교대근무를 통해 대량 생산을 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전술한 불량의 발생은 더욱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양품 샤프트바의 안정적 대량 생산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0462호
본 발명은, 대량 생산 과정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부적 또는 외부적인 충격 요인을 예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으로서, 선재(T)의 선두에는 샤프트바 형상 타입형 가이드팁(T-1)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가이드팁(T-1)의 후미에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형 선재(T-3)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가이드팁(T-1)과 파이프형 선재(T-3)를 삽설시켜 용접(T-2)을 통해 하나의 가공용 선재(T)가 되도록 형성하는 공정; 상기 선재(T)의 선두를 형상변형장치(3)의 형상 변형 블럭(310)에 진입 하는 공정; 상기 진입된 선재(T)는 인발을 통해 후미에 따라오는 가공용 선재(T-3)의 변형을 통해 샤프트바(S)로 제조되는 공정을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바 제조장치는, 상기 제1항의 샤프트바(S)로 제조를 위해서 지면에 고정설치된 메인몸체(B); 상기 메인몸체(B)에 구성된 변형지지블럭(B-1) 구비되는 샤프트바(S) 형상가공용 형상변형장치(3); 선재(T)의 정렬을 위하여 상기 형상변형장치(3)의 편 측에 구비되는 선재정렬장치(20); 상기 선재 정렬장치(20)의 편 측에는 투입관(201)에 삽설되어 좌·우 이동하는 밀핀(257)이 지지몸체(258)에 삽설되어 반대 측으로 돌출된 밀핀(257)의 끝단에는 상기 지지몸체(258)의 편측에 설치된 작동실린더(255)의 가이드판(268)에 연결되어 좌,우 이동되도록 구성한 선재 공급장치(25); 및 상기 선재공급장치(25)의 반대 측 타 측에는 상기 형상변형장치(3)를 통해 선진입된 선재(T)를 클램핑하는 선재클램핑유닛(40)을 포함하되, 상기 선재공 급장치(25)의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버퍼모듈(181)이 구비되며, 상기 버퍼모듈(18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고,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되는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은 생산 라인 상에서 대량의 양품 샤프트바를 보다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제조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바 제조공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투입장치, 형상변형장치, 정렬장치 및 공급장치 정면도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선재투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선재투입장치의 부분단면 및 실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선재 정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선재 정렬장치의 작동실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미세조절유닛의 작동 실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형상변형장치의 작동 실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따른 형상변형장치를 도시한 다른 단면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따른 고압지지블럭 및 보호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에 따른 보호관체 및 형상병형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에 따른 선재클램핑유닛의 작동 실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에 따른 체인구동유닛의 작동 실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일실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5에 따른 구성들 중 최상단보강판, 복수의 중단 보강체, 최하단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5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5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5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및 그 장치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보다 상세히 설명 하면 하기와 같다.
<샤프트바 제조장치>
본 발명의 특징중 하나인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항의 샤프트바(S)로 제조를 위해서 지면에 고정설치된 메인몸체(B)를 구성하고, 상기 메인몸체(B)에 구성된 변형지지블럭(B-1)에는 샤프트바(S) 형상가공용 형상변형장치(3)를 구성한 것과, 상기 형상변형장치(3)의 편 측에는 선재(T)의 원활한 정렬을 위한 선재정렬장치(20)를 구성한 것과, 상기 선재 정렬장치(20)의 편 측에는 상기 투입관(201)에 삽설되어 좌·우 이동하는 밀핀(257)이 지지몸체(258)에 삽설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밀핀(257)의 반대 측 타 측에는 작동실린더(255)에 연결된 가이드판(268)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 도록 구성한 선재 공급장치(25)를 구성한 것과, 상기 선재공급장치(25)의 반대 측 타 측에는 상기 형상변형장치(3)를 통해 선진입된 선재(T)를 강한 힘으로 클램핑하는 선재클램핑유닛(40)을 구성한 것과, 상기 선재클램핑유닛(40)의 하측 중앙에는 클램핑된 선재(T)를 강한 힘으로 인발 시키는 체인구동유닛(44)을 구성한다. 상기 형상변형장치(3)는, 상기 메인몸체(B) 상단에 변형지지블럭(B-1)을 구성하되, 그 변형지지블럭(B-1)에는 양측이 관통된 블럭삽입홈(B-2)을 구성하며, 상기 블럭삽입홈(B-2)에는 나사홈(302a)을 구성한 축관(302c)을 구성하되, 그 축관(302c)은 외부 고정볼트(350)로 메인몸체(B)에 체결되는 형태의 고압지지블럭(302)를 구성하고, 상기 고압지지블럭(302)의 일측에는 나사홈(302a)에 끼워지도록 탭(303a)을 구성한 보호관체(303b)을 구성하되, 그 보호관체(303b)의 타측 중심으로 경사진 안내면(303d)을 구성한 가이드블럭(303)을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블럭(303)의 내측에는 가이드경사홈(311)을 구비한 변형홀(311a)로 이루어진 형상변형블럭(310)이 보호관체(380)의해 고정되어 상기 소재(T)가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재 정렬장치(20)는, 메인몸체(B)의 어느 일측에 고정형 힌지블럭(204)을 구성하되, 상기 힌지블럭(204)의 상측에 가이드홈(202a)을 구비한 정렬받침대(202)를 구성하고, 상기 정렬받침대(202)의 힌지블럭(204) 반대 측 타측에는 경사각 조절용 실린더(203)을 구성하며, 상기 정렬받침대(202)의 가이드홈(202a)에 선재(T)가 끼워져 삽입되도록 투입관(201)을 구성하고, 상기 투입관(201)은 선재(T)의 크기에 따라 최소 하나 이상 설치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정렬받침대(202)의 편 측에는 정렬롤러(205)가 구성하며, 상기 투입관(201)의 편 측 하단 면에 롤러(208a)가 맞물려 승, 하강 되는 실린더(208)를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재 공급장치(25)은, 선재(T)가 형상변형블럭(310)에 정밀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밀핀(257)의 편측에 일정한 단 턱으로 이루어진 가변블럭(269)을 구성하고, 상기 가변블럭(269)의 편 측에는 지지몸체(258)를 관통하는 가변축봉(265)을 구성하며, 상기 가변축봉(265)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변블럭(269)을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미세조절관(262)을 구성한다. 상기 미세조절관(262)의 외면에는 나사부(261)을 구성하되, 그 나사부(261)과 맞물려져 지도록 구성한 스프라켓(252)을 구성하며, 상기 스프라켓(252)은 감속기(253)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기어(251)와 연결되도록 구성한 미세조절유닛(26)을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선재클램핑유닛(40)은 상기 형상변형장치(3)의 타 측에는,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499)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롤러(401)가 양측에 구비된 이동몸체(402)를 구성하고, 상기 이동몸체(402)의 상단 편 측에 실린더헤드(404)를 구비한 유압실린더(403)을 구성하며 상기 유압실린더(403)의 양측으로 작동블럭판(405)(405a)을 구성한다. 상기 작동블럭판(405)(405a)의 밀림에 의해 가이드레일(407)을 따라 이동하는 좌,우 이동되는 가압블럭(406)을 구성하며, 상기 가압블럭(406)의 내측으로 선재(T)를 양측에서 잡아주는 클램핑블럭(406a)을 구성한 것과, 상기 선재클램핑유닛(40)의 편측에는, 상기 이동몸체(402)의 측면에 힌지축(412a)을 구비한 회전브라켓(412)을 구성한다.
상기 힌지축(412a)에 끼워져 가동되는 걸림후크(411)를 구성하며, 상기 걸림후크(411)의 상단에는 가변브라켓(411a)을 구성하고, 상기 가변브라켓(411a)의 흰지축(414a)에 끼워져 구성되는 클램핑 실린더(414)를 구성하며, 상기 클램핑 실린더(414)의 타측은 회전브라켓(412)의 상측 지지브라켓(412c)고, 상기 가변브라켓(411a)과 회전브라켓(412) 사이에는 탄성스프링(413)이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체인구동유닛(44)은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499)의 하측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레일(499)을 지지하는 인발바디(B-4)를 구성하고, 상기 인발바디(B-4)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걸림부(422)가 형성된 체인기어(421)이 양측 체인풀리(461)(462)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체인풀리(461)의 일측에는 유압모터(441)의 동력을 인가받아 감속기(442)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재(T)는, 주 가공 재료가 되는 선재(T)의 선두에는 샤프트바 형상타입형 가이드팁(T-1)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팁(T-1)의 후미에는 내부가 관통된 경량화형 자동차 구조용 탄소강관인 파이프형 선재(T-3)를 삽설 시킨 다음 용접(T-2)을 통해 하나의 가공용 선재(T)가 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몸체(B) 상부에는, 기울어져 설치되는 경사몸체(107)을 구성하고, 상기 경사몸체(107)의 상단 양측에는 이동레일(104a)을 구성한다.
상기 이동레일(104a)의 내측에는 음각된 레일홈(104)를 구성하고, 상기 레일홈(104)과 이동레일(104a)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블럭(108)울 구성하며, 상기 슬라이드블럭(108)의 편 측에는 와이어고정편(105)을 구성하고, 상기 와이어고정편(105)의 양측에는 상기 경사몸체(107)에 고정설치되는 풀리(106)(106a)를 구성하며, 상기 풀리(106) 편 측에는 모터(101)가 설치되는 선재 투입장치(1)를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체인구동유닛(44)의 상측에는, 랙기어바(431) 구비된 실린더(432)가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430)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430)에 편 측에는 외부면 일부가 파절되어 노출되는 몸체(435a)를 구성하되, 상기 몸체(435a) 노출면에는 랙기어바(431)과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기어(433)가 구비된 회전축봉(434)을 구성하며, 상기 회전축봉(434)의 상부에는 회전체(435)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435)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이동레일(437)을 구성하되, 상기 이동레일(437)의 양측에는 타이밍기어(439)(439a)를 구성하며, 상기 타이밍기어(439)(439a)에 의해 회전되는 이동벨트(V)를 구성한다. 상기 이동벨트(V)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타이밍기어(439)의 동일 축봉상에 구성되는 구동기어(436a) 가 모터(436)의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되도록 구성한 선재배출장치(43)을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름이 11ø 이하인 상태에서 제품의 두께가 0.7t~1.5t 이루어진 파이프형 선재(T-3)를 이용하여 외형이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샤프트바(S)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지면에 고정설치된 메인몸체(B)에 변형지지블럭(B-1)을 구성시킨 다음, 상기 변형지지블럭(B-1)에 설치되어 가공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구성된 형상변형블럭(310)에 의해 끼워져 외부에서 선재클램핑유닛(40)을 통해 클램핑 하여 인발을 통해 샤프트바(S)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형상변형블럭(310)에 선재(T)를 원활하게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변형지지블럭(B-1) 상측에 구성되는 선재 투입장치(1)를 구성한 후 상기 선재클램핑유닛(40)에 클램핑 되는 선재(T)는 앞서 선두에 강한 강도에서 형상의 일그러짐 없이 외형을 유지할 수 있는 샤프트바 형상타임형 가이드팁(T-1)을 구성한 후 상기 가이드팁(T-1) 후미에 용접(T-2)에 의해 형상변형이 용이한 자동차 구조용 탄소강관인 파이프형 선재(T-3)를 일체로 구성된 선재(T)를 상기 경사몸체(107) 상에 구성된 레일홈(104) 하나씩 적층 시킨 후 이때 작업환경과 조건에 따라 상기 레일홈(104)은 최소 하나 이상 구성할 수 이도록 구성하여 상기 슬라이드블럭(108)에 의해 길이방향 좌,우로 이동되도록 작동된다. 상기 선재 투입장치(1)에 이동되는 선재(T)는 선재정렬장치(20)의 투입관(201)으로 보내어 삽설되도록 한 후, 상기 삽설된 투입관(201)은 상, 하 한쪽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도록 작동되되, 상기 투입관(201)의 내부에는 선재(T) 굵기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서 인발 공정 중에 발생되는 꺾이는 휨을 방지하도록 상기 투입관(201) 내부에 최소 하나 이상의 투입관(201) 다중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정렬받침대(202)를 통해 선재(T)는 상기 경사몸체(107)에 의해 투입관(201)에 삽설되어 공급되는 선재(T)를 수용할 때 상기 정렬받침대(202)를 상측으로 기울려 선재(T)를 신속하게 투입관(201)으로 살섭된 후 하강 되도록 하여 상기 형상변형장치(3)에 선재(T)가 수평으로 유지될 수 세팅될 수 있도록 작동한다.
상기 투입관(201)에 투입된 선재(T)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정렬받침대(202)의 가이드홈(202a)에 좌, 우로 일정 길이만큼 유동될 수 있는 상기 투입관(201)이 가변 될 수 있도록 작동되되, 상기 정렬받침대(202)의 편 측에는 정렬롤러(205)를 구성하여 투입관(201) 전체가 상기 후 측에 구비된 선재 공급장치(25)에 의해 상호 가변적으로 슬라이딩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선재(T)가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작동되고, 상기 선재정렬장치(20)의 투입관(201)의 후 측에는 일정한 공간을 두고 구성되는 지지몸체(258)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몸체(258)의 전측 하단에는 작동실린더(255)에 좌,우 길이 방향으로 유동되는 가이드판(268)과 밀핀(257)이 일체로 이동되도록 작동되되, 상기 밀핀(257)의 경우 상기 투입관(201)에 좌·우로 이동될 때 상기 선재(T)가 상기 형상변형장치(3)으로 이동되어 투입될 수 있도록 작동되고, 상기 밀핀(257)의 경우 상기 형상변형장치(3)에 투입 직전 일정한 공간(G)을 남겨 놓은 상태에서 미세하게 작업자가 세팅을 통해 천천히 투입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밀핀(257)의 편 측에 가변블럭(269)를 구성한 다음, 상기 가변블럭(269)의 편 측에 구성된 지지몸체(258)의 내부로 관통되어 유동되는 밀핀(257) 외주 면으로 회전형 나사부(261)으로 이루어진 미세조절관(262)에 의해 상기 공간(G)에서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작동한다. 상기 미세조절관(262)의 나사부(261)에 맞물려지는 스프라켓(252)이 지지몸체(258)에 공회전 되도록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감속기(253)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기어(251)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감속기(253)의 정, 역회전에 따라 상기 스프라켓(252)을 회전시켜 상기 미세조절관(262)이 좌,우 이동되면서 형상변형장치(3)의 안내면(303d)을 따라 가이드블럭(303)에 선재(T)가 정밀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작동되며, 또한, 상기 선재(T)가 투입될 때 상기 투입관(201)의 편 측 하단 면에 롤러(208a)가 맞물려 승, 하강되는 실린더(208)에 의해 굵기가 작은 선재(T)가 이동될 때 발생될 수 있는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변형지지블럭(B-1)에 상기 형상변형장치(3)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블럭삽입홈(B-2)이 끼워져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블럭삽입홈(B-2)에는 고정볼트(25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는 고압지지블럭(302)이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그 중심으로 나사홈(304a)에 맞물려 결합 되는 보호관체(303b)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이때 상기 보호관체의(303b)의 외 측에 안내면(303d)을 구비한 가이드블럭(303)에 의해 선재(T)가 공급될 수 있도록 작동되고, 상기 가이드블럭(303)의 내측에는 보호관체(380)가 끼워진 상태에서 그 중심에 고정결합되는 가이드경사홈(311)을 구비한 변형홀(311a)로 이루어진 형상변형블럭(310)이 고정설치되어 선재(T)가 통과되도록 작동된다.
상기 형상변형블럭(310)을 통과한 선재(T)는 인발바디(B-4) 상단 양측으로 구성된 가이드레일(499)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송롤러(401)가 구비된 이동몸체(402)를 구성한 다음, 상기 이동몸체(402)의 편 측에는 유압실린더(403)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헤드(404)가 음각 형성된 가이드레일(407)을 따라 이동하는 가압블럭(406)을 구성하여 상기 가압블럭(406)에 구성되는 클램핑블럭(406a)에 의해 선재(T)가 클램핑 하도록 작동되되, 그 반대 측 이동몸체(402) 상에는 클램핑 신린더(414)에 의해 상·하로 승 하강하는 걸림후크(411)에 의해 상기 후크 끝단이 상기 걸림부(422)가 구성된 체인구동유닛(44)에 의해 강제로 인발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클램핑 실린더(414)의 경우 회전브라켓(412)의 상측 지지브라켓(412c)에 고정설치되어, 그 타 측은 걸림후크(411)의 상측 임의 위치에 구성된 가변브라켓(411a)에 설치되어 동작되도록 하며, 상기 가변브라켓(411a)과 회전브라켓(412) 사이에는 탄성스프링(413)을 구성시켜 상기 클램핑 실린더(414)의 유압을 제거하면 원래 위치로 복귀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499) 사이에는, 외부동력인 유압모터(441)의 동력일 인가받아 인발 시 필요한 당김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속기(442)를 통해 회전속도가 감속된 상태의 회전력을 상기 체인풀리(461)에 전달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체인풀리(461)에 전달된 회전력은 체인기어(421)에 의해 상기 체인풀리(461)의 반대 측 타측에 구 성된 체인풀리(462)에 체인기어(421)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작동된다.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499)의 편 측에는 상기 선재클램핑유닛(40)을 통해 인발되는 소재(T)가 길이 방향으로 배출될 때 이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부에 선택적으로 구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편 측 가이드레일(499)의 상부에 일정한 회전 반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랙기어바(431) 구비된 실린더(432)가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430)을 구성하여 회전반향을 변환시킬 수 있도록 작동되고, 상기 랙기어바(431)와 상호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430)의 편 측에 외부면 일부가 파절된 상태에서 일부가 노출되는 몸체(435a)를 통해 상기 몸체(435a)의 노출되는 피니언기어(433)가 구비된 회전축봉(434)이 랙기어바(431)과 맞물려 회전될 수 있도록 작동되며,상기 회전축봉(434)의 상부에는 회전체(435)에는, 이동레일(437)을 구성한 전, 후 측에 타이밍기어(439)(439a)를 구성하여 상기 타이밍기어(439)(439a)에 맞물려 회전되는 이동벨트(V)가 외부로 연결된 구동기어(436a)가 모터(436)에 의해 회전되도록 작동된다.
<샤프트바 제조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특징 중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통상적으로 제조하는 자동차 시트용 부품 중에서도 굵기가 작은 사프트바(S)를 제조함에 있어서: 우선 상기 형상변형장치(3)의 변형블럭(310)에 선두로 공급되는 선재(T)의 경우 초경 재질로 강한 압력에도 결딜 수 있도록 강도가 강한 환봉타입 형태로 구성되되 그 형상은 삽입이 용이하도록 샤프트바 형상으로 가공된 타입형 가이드팁(T-1)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팁(T-1)의 후미에는 대량을 제조하고자 하는 샤프트바(S)의 주원재료로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형 선재(T-3)를 동일선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접촉시킨 후 외부에서 용접(T-2)을 통해 하나의 가공용 선재(T)가 되도록 한 다음, 상기 진입된 선재(T)가 인발에 따라 후미에 가공용 선재(T-3)가 임의로 변형되어 샤프트바(S)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일실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버퍼모듈(181)은 바닥부과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케이스(2))의 저면부에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케이스(2))의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1811c, 1811d)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되,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충진되며,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버퍼공간(H1)이 복수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버퍼공간(H1)은 상기 내부 보강판의 너비 이상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T1)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T2)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T2)와 하면돌기(T1)가 형성된다.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 상기 중단 보강판(1811h) 및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T2)와 상기 하면돌기(T1)가 상기 버퍼공간(H1)을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면돌기(T2)와 상기 하면돌기(T1)는 상호 형합적인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유닛(1812)과 상기 인출수단(4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리프팅수단(LU)이 구비되는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하부유닛(1812) 상에서 일정 범위 내로 유동 가능하도록 복수 구비된다.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하부유닛(1812)의 각 모서리부 상에 위치되는 제1모드와, 상기 각모서리부로부터 상기 하부유닛(1812)의 가상의 중심점을 향하여 동시적 또는 비동시적으로 유동되는 제2모드로 동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팅수단(LU)을 통하여 상기 하부유닛(1812)과 상기 인출수단(40) 사이를 일정하게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버퍼유닛(1811)을 상기 제1모드 또는 상기 제2모드로 동작시킨다.
상기 리프팅수단(LU)은 상기 제1모드를 기준으로 상기 버퍼유닛(1811) 사이에 구비되는 제1리프팅수단(LU1)과, 상기 제1모드 상태에서 상기 버퍼유닛(1811)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모드 상태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리프팅을 수행하는 제2리프팅수단(LU2)과, 상기 제1모드를 기준으로 상기 버퍼유닛(1811) 사이에 상기 제1리프팅수단(LU1)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3리프팅수단(LU3)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1차적으로 상기 제1리프팅수단(LU1)과 상기 제3리프팅수단(LU3)을 1차적으로 구동시키며, 2차적으로 상기 버퍼유닛(1811)을 제1모드로 동작시키며, 3차적으로 상기 제2리프팅 수단을 구동시킨다.
도 18는 도 15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고정판(1811a)은 상기 프레임(101)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1811a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b1)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1811a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고정판(1811b)은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1811b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 및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과 마주접하는 제4고정판(1811b2)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H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영역(H2)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101)에 대한 버퍼을 위한 버퍼구(1811i)가 구비된다. 상기 버퍼구(1811i)는 탄성수단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은 각각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 정판(1811b)에 수평방향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도 19은 도 15에 따른 구성들 중 최상단보강판, 복수의 중단 보강체, 최하단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은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접촉되는 최상단상판(1811f1)과, 상기 최상단 상판과 탄성체(E2)를 매개로 결속되는 최상단하판(1811f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최상단하판(1811f2)의 저면에는 하면돌기(T1)가 형성된다. 상기 중단 보강판(1811h)은 상기 버퍼공간(H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최상단 하판(1811f)과 대향하는 중단상판(1811h1)과, 상기 중단상판(1811h1)과 탄성체를 매개로 결속되는 중단하판(1811h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단상판(1811h1)의 상면에는 상면돌기(T2)가 형성된다.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은 상기 버퍼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중단하판(1811h2)과 대향하는 최하단상판(1811g1)과, 상기 최하단상판(1811g1)과 탄성체를 매개로 결속되는 최하단하판(1811g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최하단상판(1811g1)의 상면에는 상면돌기(T2)가 형성된다.
도 20는 도 15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판(1811a2)은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UT)가 형성된다.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 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방돌출부(DT)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방돌출부(UT)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고정판(1811a1)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상방돌출부(UT) 및 상기 제1고정판(1811a1)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E5)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 상기 하방돌출부(DT)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4고정판(1811b2)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하방돌출부(DT) 및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E6)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 한편 상기 버퍼유닛(1811)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즉, 상기 상부고정판(1811a),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상기 탄성하우징(1811c)은 직육면체 또는 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하우징(1811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보다 원활한고 안정적인 버퍼이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상기 버퍼구(1811i) 역시 상기 탄성하우징(1811c)와 함께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보다 용이한 버퍼 작용이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 최하단보강판(1811g), 중단보강판(1811h) 역시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충진체(1811e) 상에서 상기 버퍼공간(H1)을 경유한채 상호 상방과 하방 간에 버퍼되어 접촉한다. 이때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 최하단보강판(1811g), 중단 보강판(1811h)은 상기 상면돌기(T2)와 상기 하면돌기(T1)를 통해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여 추가적으로 충격에 의한 유동을 방지시키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버퍼유닛(1811)은 충격이 가해지기 전과 충격이 가해진 후를 비교 했을 때, 충격이 가해진 후의 형상은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하게 가압된 형상을 뛰게 되는 것이다.
도 21은 도 15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를 참조하면, 상기 인출수단(40)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버퍼모듈(181)이 구비되며, 상기 버퍼모듈(181)은 바닥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케이스(2))의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케이스(2))의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 상기 중단 보강판(1811h) 및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가 상기 버퍼공간(H1)를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며,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는 상호 대응되는 요철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판(1811a)은 상기 인출수단(40)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1811a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1811a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고정판(1811b)은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1811b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과 마주접하는 제4고정판(1811b2)을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판(1811a2)은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 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버퍼공간(H1)들은 상호간의 연통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연통로(TH)가 형성되며, 상기 버퍼공간(H1)에는 소정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캡슐(C1)이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캡슐(C1)이 파손되면 상기 내용물이 유출되며, 유출된 상기 내용물은 상기 연통로(TH)를 통해 상기 각 버퍼공간(H1)으로 유입된다. 상기 버퍼공간(H1) 상에는 상기 캡슐(C1) 또는 상기 캡슐(C1)로부터 유출된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1 히팅수단(HT1)이 구비되며, 상기 연통로(TH) 상에는 경유되는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지그재그 형태의 상기 외측면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기공(AH)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H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영역(H2)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인출수단(40)에 대한 버퍼 기능을 위한 버퍼구(1811i)가 구비된다. 상기 버퍼구(1811i)는 탄성수단(E)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은 각각 상기 상부 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 고정판(1811b)에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2 캡슐(C2)이 내장되며, 상기 탄성수단(E)의 양측에서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 이웃하도록 종방향을 따라 한 쌍의 종보강체(LP)가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LP)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3 캡슐(C3)이 내장된다.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는 상기 제2 캡슐(C2)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LP)의 외측에는 상기 제3 캡슐(C3)을 히팅하기 위한 제3 히팅수단(HT3)이 구비된다. 상기 종보강체(LP)는 상기 종보강체(LP)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캡슐(C3)의 내용물이 상기 탄성수단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상기 탄성수단을 향하는 면의 길이방향 상에 복수의 토출구(DC)가 형성된다. 상기 캡슐(C1), 상기 제2 캡슐(C2) 및 상기 제3 캡슐(C3)의 각 내용물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및 폴리스티렌(polystyrene)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도 22는 도 15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을 참조하여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설명하면, 상기 제2고정판(1811a2)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 사이에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파쇄되는 소정의 파쇄형 버퍼모듈(BM)이 구비된다. 상기 파쇄형 버퍼모듈(BM)은 상기 제2고정판(1811a2)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 사이에 구비되는 용기부(SH)와, 상기 용기부(SH) 내부에 구비되어 파쇄되는 파쇄물를 포한한다.
상기 파쇄물은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1 파쇄물(BM1)과,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의 일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2 파쇄물(BM2)과,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의 타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3 파쇄물(BM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파쇄물(BM1) 내지 상기 제3 파쇄물(BM3)은, 외측면 상에 요철형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호 간에 형합되어 마주 접한다. 상기 제1 파쇄물(BM1)은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1-1 파쇄물(BM1-1)이 내장되며, 상기 제2 파쇄물(BM2)는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2-1 파쇄물(BM2-1)이 내장되고, 상기 제3 파쇄물(BM3)은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3-1 파쇄물(BM3-1)이 각각 내장되며, 상기 제1 파쇄물(BM1)과 상기 제1-1 파쇄물(BM1-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며, 상기 제2 파쇄물(BM2)와 상기 제2-1 파쇄물(BM2-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고, 상기 제3 파쇄물(BM3)과 상기 제3-1 파쇄물(BM3-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진다. 상기 용기부(SH)를 향하는 상기 제2 파쇄물(BM2)의 외측과 상기 용기부(SH)를 향하는 상기 제3 파쇄물(BM3)의 외측에는 각각 소정의 충진물(PM)이 충진되며, 상기 충진물(PM)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SH)와 대응되는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제1영역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제2영역 상에는 각각 상기 파쇄물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수단(AM)이 구비된다. 상기 파쇄수단(AM)은 발열을 위한 제5 히팅수단이 내장된다. 상기 제2고정판(1811a2) 및 상기 제4고정판(1811b2) 상에서 각각 상방과 하방간의 유동되어 상기 파쇄물을 가압하기 위한 제1 유동모드 및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파쇄물을 그라인딩하기 위한 제2 유동모드로 동작 된다. 한편,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과 상기 용기부(SH) 사이에는 소정의 히팅수단(PH)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수단(PH)는 제어부를 통한 외부의 제어 하에 선택적으로 동작되어 상기 용기부(SH)를 가열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으로서, 선재(T)의 선두에는 샤프트바 형상 타입형 가이드팁(T-1)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가이드팁(T-1)의 후미에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형 선재(T-3)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가이드팁(T-1)과 파이프형 선재(T-3)를 삽설시켜 용접(T-2)을 통해 하나의 가공용 선재(T)가 되도록 형성하는 공정; 상기 선재(T)의 선두를 형상변형장치(3)의 형상 변형 블럭(310)에 진입 하는 공정; 상기 진입된 선재(T)는 인발을 통해 후미에 따라오는 가공용 선재(T-3)의 변형을 통해 샤프트바(S)로 제조되는 공정을을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바 제조장치는, 상기 제1항의 샤프트바(S)로 제조를 위해서 지면에 고정설치된 메인몸체(B); 상기 메인몸체(B)에 구성된 변형지지블럭(B-1) 구비되는 샤프트바(S) 형상가공용 형상변형장치(3); 선재(T)의 정렬을 위하여 상기 형상변형장치(3)의 편 측에 구비되는 선재정렬장치(20); 상기 선재 정렬장치(20)의 편 측에는 투입관(201)에 삽설되어 좌·우 이동하는 밀핀(257)이 지지몸체(258)에 삽설되어 반대 측으로 돌출된 밀핀(257)의 끝단에는 상기 지지몸체(258)의 편측에 설치된 작동실린더(255)의 가이드판(268)에 연결되어 좌,우 이동되도록 구성한 선재 공급장치(25); 및 상기 선재공급장치(25)의 반대 측 타 측에는 상기 형상변형장치(3)를 통해 선진입된 선재(T)를 클램핑하는 선재클램핑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선재공 급장치(25)의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버퍼모듈(181)이 구비되며, 상기 버퍼모듈(18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고,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B: 메인몸체 B-1: 변형지지블럭
S: 사프트바 T: 선재
T-1: 가이드팁 T-2: 용접
T-3: 파이프형 선재 20: 선재정렬장치
25: 선재 공급장치 40: 선재클램핑유닛
44: 체인구동유닛 201: 투입관

Claims (13)

  1.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으로서,
    선재(T)의 선두에는 샤프트바 형상 타입형 가이드팁(T-1)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가이드팁(T-1)의 후미에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형 선재(T-3)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가이드팁(T-1)과 파이프형 선재(T-3)를 삽설시켜 용접(T-2)을 통해 하나의 가공용 선재(T)가 되도록 형성하는 공정; 상기 선재(T)의 선두를 형상변형장치(3)의 형상 변형 블럭(310)에 진입 하는 공정; 상기 진입된 선재(T)는 인발을 통해 후미에 따라오는 가공용 선재(T-3)의 변형을 통해 샤프트바(S)로 제조되는 공정을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바 제조장치는,
    샤프트바(S)로 제조를 위해서 지면에 고정설치된 메인몸체(B); 상기 메인몸체(B)에 구성된 변형지지블럭(B-1) 구비되는 샤프트바(S) 형상가공용 형상변형장치(3); 선재(T)의 정렬을 위하여 상기 형상변형장치(3)의 편 측에 구비되는 선재정렬장치(20); 상기 선재 정렬장치(20)의 편 측에는 투입관(201)에 삽설되어 좌·우 이동하는 밀핀(257)이 지지몸체(258)에 삽설되어 반대 측으로 돌출된 밀핀(257)의 끝단에는 상기 지지몸체(258)의 편측에 설치된 작동실린더(255)의 가이드판(268)에 연결되어 좌,우 이동되도록 구성한 선재 공급장치(25); 및 상기 선재공급장치(25)의 반대 측 타 측에는 상기 형상변형장치(3)를 통해 선진입된 선재(T)를 클램핑하는 선재클램핑유닛(40)을 포함하되,
    상기 선재공 급장치(25)의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버퍼모듈(181)이 구비되며, 상기 버퍼모듈(18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고,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되는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 상기 중단 보강판(1811h) 및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하면돌기가 상기 버퍼공간(H1)를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며,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는 상호 대응되는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판(1811a)은 상기 저면부에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1811a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1811a2)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고정판(1811b)은,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1811b1)과, 수평방향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과 마주 접하는 제4고정판(1811b2)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은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버퍼공간(H1)들은 상호간의 연통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연통로(TH)가 형성되며, 상기 버퍼공간(H1)에는 소정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캡슐(C1)이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캡슐(C1)이 파손되면 상기 내용물이 유출되고, 유출된 상기 내용물은 상기 연통로(TH)를 통해 상기 각 버퍼공간(H1)으로 유입되는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버퍼공간(H1) 상에는 상기 캡슐(C1) 또는 상기 캡슐(C1)로부터 유출된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1 히팅수단(HT1)이 구비되며, 상기 연통로(TH) 상에는 경유되는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지그재그 형태의 상기 외측면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기공(AH)이 형성되는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H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영역(H2)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저면부에 대한 버퍼을 위한 버퍼구(1811i)가 구비되며,
    상기 버퍼구(1811i)는 탄성수단(E)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은 각각 상기 상부 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 고정판(1811b)에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2 캡슐(C2)이 내장되며, 상기 탄성수단(E)의 양측에서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 이웃하도록 종방향을 따라 한 쌍의 종보강체(LP)가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LP)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3 캡슐(C3)이 내장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는 상기 제2 캡슐(C2)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LP)의 외측에는 상기 제3 캡슐(C3)을 히팅하기 위한 제3 히팅수단(HT3)이 구비되는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종보강체(LP)는,
    상기 종보강체(LP)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캡슐(C3)의 내용물이 상기 탄성수단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상기 탄성수단을 향하는 면의 길이방향 상에 복수의 토출구(DC)가 형성되는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캡슐(C1), 상기 제2 캡슐(C2) 및 상기 제3 캡슐(C3)의 각 내용물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판(1811a2)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 사이에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파쇄되는 소정의 파쇄형 버퍼모듈(BM)이 구비되며, 상기 파쇄형 버퍼모듈(BM)은 상기 제2고정판(1811a2)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 사이에 구비되는 용기부(SH)와, 상기 용기부(SH) 내부에 구비되어 파쇄되는 파쇄물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파쇄물은,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1 파쇄물(BM1)과,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의 일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2 파쇄물(BM2)과,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의 타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3 파쇄물(BM3)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쇄물(BM1) 내지 상기 제3 파쇄물(BM3)은 외측면 상에 요철 형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호 간에 형합되어 마주 접하는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은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1-1 파쇄물(BM1-1)이 내장되며, 상기 제2 파쇄물(BM2)는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2-1 파쇄물(BM2-1)이 내장되고, 상기 제3 파쇄물(BM3)은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3-1 파쇄물(BM3-1)이 각각 내장되며,
    상기 제1 파쇄물(BM1)과 상기 제1-1 파쇄물(BM1-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며, 상기 제2 파쇄물(BM2)와 상기 제2-1 파쇄물(BM2-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고, 상기 제3 파쇄물(BM3)과 상기 제3-1 파쇄물(BM3-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는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SH)를 향하는 상기 제2 파쇄물(BM2)의 외측과 상기 용기부(SH)를 향하는 상기 제3 파쇄물(BM3)의 외측에는 각각 소정의 충진물(PM)이 충진되며,
    상기 충진물(PM)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SH)와 대응되는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제1영역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제2영역 상에는 각각 상기 파쇄물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수단(AM)이 구비되는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파쇄수단(AM)은 발열을 위한 제5 히팅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 및 상기 제4고정판(1811b2) 상에서 각각 상방과 하방간의 유동되어 상기 파쇄물을 가압하기 위한 제1 유동모드 및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파쇄물을 그라인딩하기 위한 제2 유동모드로 동작 되는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KR1020170079046A 2017-06-22 2017-06-22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KR101771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046A KR101771514B1 (ko) 2017-06-22 2017-06-22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046A KR101771514B1 (ko) 2017-06-22 2017-06-22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514B1 true KR101771514B1 (ko) 2017-08-28

Family

ID=5975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046A KR101771514B1 (ko) 2017-06-22 2017-06-22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5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875B1 (ko) 2005-03-02 2007-06-12 (주)엠피기술산업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KR101741452B1 (ko) 2016-11-30 2017-05-30 엔에스파이프 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875B1 (ko) 2005-03-02 2007-06-12 (주)엠피기술산업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KR101741452B1 (ko) 2016-11-30 2017-05-30 엔에스파이프 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34565B (zh) 双层面板的摩擦搅拌接合方法
EP2923984A1 (en) Cloth feed mechanism and cloth bonding apparatus
KR101741452B1 (ko)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105313284B (zh) 注射成型机的注射装置
KR101771514B1 (ko)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CN107378360A (zh) 一种可调节角度的焊接定位装置
CN202527630U (zh) 钢筋送料装置
US201703266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screw flight
CN104421389B (zh) 牵引装置张紧器、具有牵引装置张紧器的振动焊接装置以及牵引装置张紧器制造方法
CN105479754A (zh) 3d打印机
JP2007030390A (ja) 射出成形機
CN101850627A (zh) 轮胎成型机组合滚压装置及其方法
CN207681876U (zh) 铝合金支座装配装置
CN205271142U (zh) 一种便于调节焊接角度的激光焊接机
CN202542429U (zh) 喂料机
CN104386464A (zh) 一种电路板自动翻转倾斜机构
CN102294564B (zh) 用于制造桁架车架的焊接夹具和方法
CN203956163U (zh) 桥壳弹簧压板钻孔夹具
US8468867B2 (en) Threadrolling machine with device for unloading workpieces
CN206106627U (zh) 改进的圆网印花机横向对花装置
KR101803780B1 (ko)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장치
CN104588925B (zh) 一种焊接生产线
CN104550574A (zh) 钢筋骨架机箍筋箱主筋支撑及调整装置
KR102206988B1 (ko) 듀얼 탭핑장치
CN107932038A (zh) 铝合金支座装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