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356B1 -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 - Google Patents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356B1
KR101771356B1 KR1020160058283A KR20160058283A KR101771356B1 KR 101771356 B1 KR101771356 B1 KR 101771356B1 KR 1020160058283 A KR1020160058283 A KR 1020160058283A KR 20160058283 A KR20160058283 A KR 20160058283A KR 101771356 B1 KR101771356 B1 KR 101771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shaft
input shaft
reverse rotation
spu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선
김수경
이관호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8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18Safety devices for parts of the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회전을 통하여 피더케이스(38) 내부에 곡간이 정체되는 것을 해결할 수 있고, 탈곡축(24)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예취부 역회전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예취부 역회전장치는, 엔진(2)에서 회전력이 전달되고 탈곡부(50)를 구동시키기 위한 탈곡입력축(20)과, 상기 탈곡부(50)의 탈곡축(24)에 전달되는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는 다단 스퍼기어(21) 및 고정 스퍼기어(23a,23b)를 구비한다. 그리고 피더케이스(38) 내부의 구동스프라켓(36)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예취입력축(30)과, 상기 탈곡입력축(20)에서 예취입력축(30)으로 정방향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정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39)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탈곡입력축(20)에 설치되는 제1스퍼기어(20b)와 맞물리는 제2스퍼기어(26a)가 장착되고 상기 탈곡입력축(20)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역회전축(26)과, 상기 역회전축(26)에서 예취입력축(30)으로 역방향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역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39)에는 정회전 클러치(34)가 설치되고, 역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에는 역회전 클러치(32)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정회전 클러치(34) 또는 역회전 클러치(32)의 선택적 구동에 따라서 예취입력축(3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Description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Device for counterturning of cutting portion in full feed combine}
본 발명은 보통형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통형 콤바인에서 예취된 곡간을 탈곡장치로 이송시키는 피더 부분에서 발생하는 정체 또는 막힘 현상을 역회전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통형 콤바인은 풀피드형 콤바인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예취된 보리 및 콩 등의 다양한 작물의 곡간을 그대로 탈곡장치에 투입하여, 탈곡장치 내부에서 곡간과, 곡간에 붙어있는 곡립을 분리하는 탈곡과정을 통하여 곡립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통형 콤바인은, 예취부에서 예취된 곡간을 예취 오거를 통하여 일부 지점을 향하여 집중시킬 수 있고, 이러한 곡간을 피더케이스 내부를 통하여 탈곡장치로 이송시키는 이송기구가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보통형 콤바인은, 예취부에 의하여 예취된 곡간의 양이 많을 경우, 피더케이스의 내부를 통하여 탈곡장치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정해진 단면적을 가지고 있는 피더케이스의 내부에 곡간이 정체 또는 막히게 되기 쉽다. 그리고 피더케이스 내부에서 곡간이 정체 및 막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곡간을 일부 지점으로 집중시키는 예취 오거 부근 까지 막히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일본 특허 제5763457호에서는, 피더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곡간을 이송시키는 이송기구를 역전시키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피더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 스프라켓을 기계적으로 역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의 동력전달을 위하여 다수의 베벨기어가 내장된 기어박스를 설치하고, 이러한 기어박스에서의 출력을 단속하기 위한 정회전 클러치 및 역회전 클러치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구적인 구성은 실질적으로 구성 부품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다수의 베벨기어 및 한 쌍의 클러치 등에 의한 여러 가지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보통형 콤바인은, 보리 및 콩 등의 다양한 작물의 예취 및 탈곡이 가능하고, 예취된 작물의 곡간이 탈곡장치에 공급되어 탈곡장치의 회전에 의하여 곡간과, 곡간에 붙어있는 곡립을 분리하는 탈곡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양한 작물은 탈곡에 적합한 회전수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탈곡 작업을 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보리 및 콩 등의 곡간을 예취한 후, 탈곡장치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과부하가 발생하여 피더케이스 내부에 곡간이 정체되었을 때,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는 예취부 역회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질적으로 탈곡장치로의 동력전달을 위하여 기어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기어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예취부 역회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곡장치로 이송되는 보리 및 콩 등의 다양한 작물을 효율적으로 탈곡할 수 있는 예취부 역회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보통형 콤바인은, 작물을 절단하는 예취날과, 예취날에 의하여 절단된 곡간을 집중시키는 예취오거, 상기 예취오거에 의하여 곡간이 이송되는 피더케이싱과, 상기 피더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 그리고 상기 구동스프라켓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예취입력축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취부 역회전장치는, 엔진에서의 회전력이 전달되고 탈곡부를 구동시키는 탈곡입력축과, 상기 탈곡부에 전달되는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속도제어수단, 피더케이스 내부의 구동스프라켓이 설치되고 예취부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예취입력축, 상기 탈곡입력축에서 예취입력축으로 정방향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정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탈곡입력축에 설치되는 제1스퍼기어와 맞물리는 제2스퍼기어가 장착되고, 상기 탈곡입력축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역회전축과, 상기 역회전축에서 예취입력축으로 역방향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역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 상기 정회전 벨트의 동력전달기구에 설치되는 정회전 클러치, 그리고 상기 역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에 설치되는 역회전 클러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회전 클러치 또는 역회전 클러치의 선택적 구동에 따라서 예취입력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예취부 역회전장치의 회전속도제어수단에 대한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탈곡입력축에 설치되고 일정 범위 내에서 상기 탈곡입력축의 축 방향으로 슬립 운동 가능한 다단 스퍼기어와, 상기 탈곡입력축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탈곡전달축, 상기 탈곡전달축에 설치되고 상기 다단 스퍼기어의 각 단에 대응되는 스퍼기어가 각각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고정 스퍼기어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탈곡부를 회전시키는 탈곡축과, 상기 탈곡전달축과 탈곡축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탈곡전달축에서의 동력을 상기 탈곡축에 전달하는 한 쌍의 베벨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단 스퍼기어는 슬립 운동을 통하여 상기 고정 스퍼기어와 맞물리게 되고, 맞물리는 스퍼기어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탈곡전달축에 전달되는 회전 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역회전축에 대한 실시 예에 의하면, 탈곡 기어케이스의 내부에서, 탈곡입력축과 한 쌍의 스퍼기어로 결합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예취부에서 예취된 곡간의 양이 많으면, 피더케이스 내부는 곡간의 정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역회전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피더케이스 내부에 곡간이 정체 또는 막힘 상태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역회전장치를 구동시킨다는 것은, 역회전 클러치를 온시켜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정회전 클러치를 오프시켜 동력을 절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역회전장치는, 종래의 보통형 콤바인의 탈곡 기어케이스에서 사용되던 베벨기어 대신하여 일반적인 스퍼기어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퍼기어를 탈곡입력축과 역회전축에 각각 설치하여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역방향으로 회전동력의 전달이 매우 용이한 정점이 기대된다. 또한 가공이 복잡하고 기어케이스 내부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는 베벨기어 대신에 스퍼기어를 사용함으로써, 기어케이스 내부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역회전장치는, 탈곡부로 이송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다단 스퍼기어 및 고정 스퍼기어에 의하여 탈곡축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탈곡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취부 역회전장치의 동력전달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취부 역회전장치의 탈곡 기어케이스 내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통형 콤바인에서 엔진(2)은 주행 및 예취, 그리고 탈곡 작업 등에 대한 모든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엔진(2)은 주행부(6), 탈곡부(50), 그리고 예취부(40)로 각각 전달되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엔진(2)의 출력축(2a)에서의 출력은 벨트 동력전달기구(8)를 통하여 유압무단변속 트랜스미션(4)(HST)의 입력축(4a)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유압무단변속 트랜스미션(4)은 상기 주행부(6)로 동력을 전달하여, 보통형 콤바인을 주행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엔진(2)에서 다른 방향으로의 출력은 벨트 동력전달기구(9)를 통하여 카운터축(10)으로 전달된다.
상기 카운터축(10)은, 보리 및 콩 등의 다양한 작물의 곡간을 예취하기 위한 예취부(40)와,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기 위한 탈곡부(50), 그리고 탈곡 작업 시 곡립을 선별하기 위하여 에어플로를 발생시키는 풍구(14) 등에 동력을 분배하기 위한 축이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축(10)은 일부 동력이 분기되어 탈곡이 완료된 곡립을 곡물탱크로 보내거나 외부로 이송시키는 장치 등에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카운터축(10)은, 벨트 동력전달기구(12)를 통하여 탈곡입력축(20)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벨트 동력전달기구(12)는 카운터축(10)에 설치된 구동 풀리(10a)와, 탈곡입력축(20)에 설치된 종동 풀리(20a), 그리고 상기 구동 풀리(10a) 및 종동 풀리(20a)에 감아 걸린 벨트(12a)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벨트 동력전달기구(12)는 카운터축(10)에서 탈곡입력축(20)으로 벨트(12a)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든 구성을 총칭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를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탈곡입력축(20)은, 탈곡 기어케이스(22)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내측단부에는 제1스퍼기어(20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스퍼기어(20b)는 제2스퍼기어(26a)와 맞물려서 회전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2스퍼기어(26a)의 중심축이라고 할 수 있는 역회전축(26)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역회전축(26)은 예취부(40)의 예취입력축(3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탈곡 기어케이스(22)의 내부로 연장된 탈곡입력축(20)에는, 제1스퍼기어(20b)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탈곡입력축(20)의 축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한 다단 스퍼기어(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탈곡 기어케이스(22)의 내부에는 탈곡입력축(20)와 평행한 탈곡전달축(2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탈곡전달축(23)에는, 상기 다단 스퍼기어(21)에 대응하는 다수(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고정 스퍼기어(23a,23b)가 설치된다.
도 2에서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다단 스퍼기어(21)는, 서로 다른 직경 및 잇수로 형성되는 소기어부(21a)와 대기어부(21b)를 가지는 2단 스퍼기어(2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탈곡전달축(23)에 지지되는 고정 스퍼기어(23a,23b)는 2단 스퍼기어(21)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한 쌍의 스퍼기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2단 스퍼기어(21)와 고정 스퍼기어(23a,23b)는 도시한 실시 예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단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2단 스퍼기어(21) 및 고정 스퍼기어(23a,23b)는, 실질적으로 탈곡전달축(23)에 전달되는 동력(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후술할 탈곡통(52)에서 작물을 탈곡 시, 작물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회전수로 조절 가능하여 효율적인 탈곡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여 상기 탈곡전달축(23)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2단 스퍼기어(21) 및 고정 스퍼기어(23a,23b)에 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2단 스퍼기어(21)는, 소기어부(21a)와, 상기 소기어부(21a)와 일체로 성형되고 소기어부(21a)보다 더 많은 잇수를 가지는 대기어부(21b)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2단 스퍼기어(21)는 탈곡입력축(20)과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즉, 탈곡입력축(20)의 일부분에는 스플라인 치형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부분에 대응하는 2단 스퍼기어(21)의 내측에도 스플라인 치형이 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2단 스퍼기어(21)와 맞물려서 회전하게 되는 고정 스퍼기어(23a,23b)는 상기 탈곡전달축(23)에 지지되고, 상기 소기어부(21a)와 맞물리는 제1고정스퍼기어(23a)와, 상기 대기어부(21b)부와 맞물리는 제2고정스퍼기어(23b)로 구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고정 스퍼기어(23a,23b)는, 2단 스퍼기어(21)의 소기어부(21a) 또는 대기어부(21b) 중의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2단 스퍼기어(21)가 스플라인 결합된 탈곡입력축(20)에서 일정 간격 이동될 수 있고,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2단 스퍼기어(21)는 어느 하나의 고정 스퍼기어(23a 또는 23b)와 맞물려서 상기 탈곡전달축(23)에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탈곡 기어케이스(22)의 내부에 설치되는 탈곡전달축(23)의 일측 단부에는 제1베벨기어(24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베벨기어(24a)와 맞물리게 형성되는 제2베벨기어(24b)는, 상기 제1베벨기어(24a)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상기 제2베벨기어(24b)의 중심축이라고 할 수 있는 탈곡축(24)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탈곡축(24)은, 보통형 콤바인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있기 때문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탈곡전달축(23)에서의 동력을 상기 제1베벨기어(24a) 및 제2베벨기어(24b)를 통하여 전달받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탈곡축(24)은, 탈곡부(50)에 형성된 탈곡통(52)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곡통(52)은, 상기 탈곡부(50)로 공급된 곡간을 회전을 통하여 탈곡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탈곡축(24)은, 회전속도가 조절되는 탈곡전달축(2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상기 탈곡통(52) 내부로 공급되는 작물의 특성에 따라 회전수를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탈곡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2단 스퍼기어(21) 중에서 소기어부(21a)가 제1고정스퍼기어(23a)와 맞물리면, 상기 탈곡전달축(23)이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2단 스퍼기어(21) 중에서 대기어부(21b)가 제2고정스퍼기어(23b)와 맞물리면, 상기 탈곡전달축(23)이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탈곡전달축(23)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탈곡축(24)도 당연히 다단으로 속도가 조절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 탈곡입력축(20)에서 예취입력축(30)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탈곡 기어케이스(22)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역회전축(26)의 단부에는, 상기 예취입력축(30)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 동력전달기구(29)가 설치된다. 이러한 벨트 동력전달기구(29)는, 역회전축(26)에 설치된 구동 풀리(29a)와, 예취입력축(30)에 설치되는 종동 풀리(29c), 그리고 상기 구동 풀리(29a) 및 종동 풀리(29c) 사이에 감아 걸려서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29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역회전축(26)에서 예취입력축(30)으로 동력을 전달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역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역회전을 위한 벨트 동력전달기구(29)의 반대측에는, 정회전의 동력을 탈곡입력축(20)에서 예취입력축(3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정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39)가 설치되어 있다. 즉, 탈곡입력축(20)에 설치된 구동 풀리(39a)와, 예취입력축(30)에 설치된 종동 풀리(39c), 그리고 상기 구동 풀리(39a)와 종동 풀리(39c) 사이에 감아 걸린 벨트(39b)에 의하여, 상기 탈곡입력축(20)에서의 정회전 동력이 예취입력축(30)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예취입력축(30)으로는, 탈곡입력축(20)에서의 동력이 정회전 방향으로 전달되기도 하고 역회전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두 가지 경로의 동력전달은, 동력의 단속을 위하여 클러치가 설치되어야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다. 즉, 정방향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역방향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해야 하고, 역방향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정방향으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를 위하여 정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39) 및 역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29)에는 각각 정회전 클러치(34)와 역회전 클러치(3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정회전 클러치(34) 및 역회전 클러치(32) 자체는, 콤바인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정회전 클러치(34)와 역회전 클러치(32)의 기본 동작은, 예를 들면,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한 아이들 풀리를 설치하고, 이러한 아이들 풀리가 벨트에 동력전달이 가능한 텐션을 발생시키거나 해제시키는 것에 의하여 동력의 단속이 수행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예취입력축(30)은, 탈곡입력축(20)으로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동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역회전 클러치(32)가 오프되면 정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되고, 정회전 클러치(34)가 오프되면 역방향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여기서 정방향의 회전력은, 예취된 곡간을 피더케이스(38) 내부에서 탈곡부(50)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역방향의 회전력은, 피더케이스(38) 내부에서 그 반대 방향으로 곡간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역방향의 회전력은, 상기 피더케이스(38)의 내부에 곡간이 정체되거나 막히는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피더케이스(38)의 내부에는, 한 쌍의 구동스프라켓(36)과 종동스프라켓(도시 생략)이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컨베이어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취부(40)에서 커팅된 곡간을 탈곡부(50)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이송되는 곡간의 양에 따라서 상기 피더케이스(38)의 내부에는 정체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이러한 상기 피더케이스(38) 내부에서 곡간의 정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예취입력축(30)을 통하여 구동스프라켓(36)을 역회전 시킴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취입력축(30)은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이외에, 상기 예취부(40)의 각 부분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력 전달에 의하여 상기 예취부(40)는 곡간을 예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예취부(40)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분으로의 동력전달에는 다양한 실시 예가 있음은 당연하고, 도 1에서 도시한 실시 예 역시 다양한 실시 예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 예취입력축(30)에서 예취부(40)의 각 부분으로의 동력전달계통을 예시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예취입력축(30)은 체인 동력전달기구(30A)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체인 동력전달기구(30A)는 예취입력축(30)에서 전달받은 동력을 예취날 동력전달축(30B)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동력 전달을 통하여 상기 예취날 동력전달축(30B)에 연결된 예취날(42)이 구동할 수 있는 동력은 전달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인 동력전달기구(30A)는 중간축(40A)으로도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중간축(40A)은 체인 동력전달기구(44A)를 통하여 예취오거(44)를 구동하는 오거구동축(44S)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오거구동축(44S)은, 체인 동력전달기구 및 벨트 동력전달기구(46A)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체인 동력전달기구 및 벨트 동력전달기구(46A)는 릴구동축(46S)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릴구동축(46S)은 레이크릴(46)과 연결되고, 상기 레이크릴(46)을 구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예취입력축(30)에서 예취날(42)과 예취오거(44), 그리고 레이크릴(46)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방법에는 다른 많은 실시 예가 있음은 당연하고, 상술한 동력전달 과정 역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의 구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예취부(40)는, 엔진(2)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구동하게 된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예취입력축(30)으로 전단된 동력이, 상기 벨트 동력전달기구 등을 통하여 예취날(42) 및 예취오거(44), 그리고 레이크릴(46)로 각각 분배되어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예취부(40)의 구동에 의하여 예취된 곡간은 상기 피더케이스(38)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곡간은 상기 피더케이스(38) 내부의 구동스프라켓(36)에 의하여 탈곡부(50)로 이송되어 탈곡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예취부(40)에서 예취된 곡간이 상기 탈곡부(50)로 이송되어 탈곡이 진행되는 것은 보통형 콤바인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는 상기 탈곡입력축(20) 및 예취입력축(3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정방향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정상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정회전 클러치(34)가 온상태가 되어 동력을 전달하고 있는 상태이고, 이와 반대로 상기 역회전 클러치(32)는 오프되어 동력의 전달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피더케이스(38)의 내부에서 곡간의 정체 또는 막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피더케이스(38) 내부의 구동스프라켓(36)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상기 구동스프라켓(36)을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정회전 클러치(34)를 오프 상태로 하고, 상기 역회전 클러치(32)를 온 상태로 조작해야 한다.
역회전 상태가 되면, 정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39)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가 되고, 상기 역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29)는 동력 전달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탈곡입력축(20)의 회전력이 한 쌍의 스퍼기어(20b,26a)를 통하여 역회전축(26)으로 전달되는데, 그 회전방향이 역으로 전달된다.
상기 역회전축(26)의 역방향 회전은 역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29)를 통하여 상기 예취입력축(30)으로 전달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예취입력축(30)의 회전방향은 역방향인 것은 당연하고, 상기 예취입력축(30)의 회전은 실질적으로 상기 피더케이스(38) 내부의 구동스프라켓(36)의 역방향 회전으로 나타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예취입력축(3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오거구동축(44S) 및 릴구동축(46S)도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이크릴(46)이 곡간을 잡아당기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되고, 상기 예취오거(44)도 역회전하여 곡간을 정체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서 상기 예취입력축(30)이 역방향으로 회전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상기 예취입력축(30)과 연결된 예취부(40)의 모든 구동축도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는, 베벨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스퍼기어를 사용함으로써, 역회전을 구현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스퍼기어를 사용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다수의 베벨기어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구성품 자체가 단순화된 것을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역방향으로의 회전 구현이 아주 간단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2 ..... 엔진 2a ..... 출력축
4 ..... 트랜스미션 4a ..... 입력축
6 ..... 주행부 8 ..... 벨트 동력전달기구
9 ..... 벨트 동력전달기구 10 ..... 카운터축
10a ..... 구동 풀리 12 ..... 벨트 동력전달기구
12a ..... 벨트 14 ..... 풍구
20 ..... 탈곡입력축 20a ..... 종동 풀리
20b ..... 제1스퍼기어 21 ..... 다단 스퍼기어
21a ..... 소기어부 21b ..... 대기어부
22 ..... 탈곡 기어케이스 23 ..... 탈곡전달축
23a ..... 제1고정스퍼기어 23b ..... 제2고정스퍼기어
24 ..... 탈곡축 24a ..... 제1베벨기어
24b ..... 제2베벨기어 26 ..... 역회전축
26a ..... 제2스퍼기어 29 ..... 역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
29a ..... 구동 풀리 29c ..... 종동 풀리
30 ..... 예취입력축 30A ..... 체인 동력전달기구
30B ..... 예취날 동력전달기구 32 ..... 역회전 클러치
34 ..... 정회전 클러치 36 ..... 구동스프라켓
38 ..... 피더케이스 39 ..... 정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
40 ..... 예취부 40A ..... 중간축 42 ..... 예취날 44 ..... 예취오거 44A ..... 체인 동력전달기구 44S ..... 오거구동축 46 ..... 레이크릴 46S ..... 릴구동축 50 ..... 탈곡부

Claims (3)

  1. 작물을 절단하는 예취날(42)과, 예취날(42)에 의하여 절단된 곡간을 집중시키는 예취오거(44), 상기 예취오거(44)에 의하여 곡간이 이송되는 피더케이스(38)와, 상기 피더케이스(38)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36)과 종동스프라켓, 상기 구동스프라켓(36)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예취입력축(30), 그리고 상기 피더케이스(38)를 통하여 공급되는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부(50)를 구비하는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에 있어서;
    엔진(2)에서의 회전력에 기초하여 탈곡부(50)를 구동시키기 위한 탈곡입력축(20)과;
    상기 탈곡부(50)의 탈곡축(24)으로 전달되는 회전수를 조절하는 회전속도제어수단;
    상기 피더케이스(38) 내부의 구동스프라켓(36)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예취입력축(30);
    상기 탈곡입력축(20)에서 예취입력축(30)으로 정방향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정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39);
    상기 탈곡입력축(20)에 설치되는 제1스퍼기어(20b)와 맞물리는 제2스퍼기어(26a)가 장착되고, 상기 탈곡입력축(20)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역회전축(26);
    상기 역회전축(26)에서 예취입력축(30)으로 역방향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역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29);
    상기 정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39)에 설치되는 정회전 클러치(34); 그리고
    상기 역회전 벨트 동력전달기구(29)에 설치되는 역회전 클러치(32)로 구성되고;
    상기 정회전 클러치(34) 또는 역회전 클러치(32)의 선택적 구동에 따라서 예취입력축(3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속도제어수단은,
    상기 탈곡입력축(20)과 스플라인 결합되어, 상기 탈곡입력축(20)의 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가능하고, 직경 및 잇수가 서로 다른 소기어부(21a) 및 대기어부(21b)를 가지는 다단 스퍼기어(21)와;
    상기 탈곡입력축(2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탈곡전달축(23);
    상기 탈곡전달축(23)에 지지되고, 상기 다단 스퍼기어(21)에 대응하는 제1고정스퍼기어(23a) 및 제2고정스퍼기어(23b)로 형성되는 고정 스퍼기어;
    상기 탈곡전달축(23)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1베벨기어(24a); 그리고
    상기 탈곡축(24)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24a)와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24b)로 구성되고;
    상기 소기어부(21a)와 상기 제1고정스퍼기어(23a)가 맞물리게 되면 상기 탈곡전달축(23)은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대기어부(21b)와 상기 제2고정스퍼기어(23b)가 맞물리게 되면 상기 탈곡전달축(23)은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는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입력축(20)과 역회전축(26)이 외측면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되는 탈곡 기어케이스(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탈곡입력축(20)과 역회전축(26)은 상기 탈곡 기어케이스 내부에서 한 쌍의 스퍼기어(20b,26a)로 결합되는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
KR1020160058283A 2016-05-12 2016-05-12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 KR101771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283A KR101771356B1 (ko) 2016-05-12 2016-05-12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283A KR101771356B1 (ko) 2016-05-12 2016-05-12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356B1 true KR101771356B1 (ko) 2017-08-24

Family

ID=5975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283A KR101771356B1 (ko) 2016-05-12 2016-05-12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3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9465A (ja) 2008-03-18 2009-10-01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4713535B2 (ja) 2007-04-20 2011-06-2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013128448A (ja) 2011-12-21 2013-07-04 Kubota Corp 普通型コンバイン
KR101417631B1 (ko) 2013-04-17 2014-07-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콤바인 곡물 이송 회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3535B2 (ja) 2007-04-20 2011-06-2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009219465A (ja) 2008-03-18 2009-10-01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3128448A (ja) 2011-12-21 2013-07-04 Kubota Corp 普通型コンバイン
KR101417631B1 (ko) 2013-04-17 2014-07-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콤바인 곡물 이송 회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3007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learing a feeder house and belt pickup
US9775298B2 (en) Rotor feeder unit for agricultural machines
KR101669332B1 (ko) 예취 및 탈곡장치의 회전수 조절이 가능한 풀피드형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
KR101771356B1 (ko)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
CN203723063U (zh) 一种联合收割机的传动机构
KR101417631B1 (ko) 콤바인 곡물 이송 회전 장치
JP2012143193A (ja) コンバイン
KR101669331B1 (ko) 콤바인의 회전축 속도 조절장치
KR101615919B1 (ko) 콤바인
KR20200009465A (ko) 콤바인의 예취부 구동장치
JP5716809B2 (ja) コンバイン
KR20220013494A (ko) 범용 콤바인
KR102090001B1 (ko) 레이크릴 클러치 기능을 구비하는 콤바인의 동력 전달장치
KR101669333B1 (ko) 풀피드형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
KR100288317B1 (ko) 탈곡장치
KR20170127759A (ko)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
CN103797962A (zh) 一种联合收割机的传动机构
JP5818712B2 (ja) 汎用コンバイン
KR101710753B1 (ko) 콤바인
JP5902561B2 (ja) コンバイン
KR101615920B1 (ko) 콤바인
JP5765396B2 (ja) コンバイン
JPH1156084A (ja) コンバインのフィードチェーン変速構造
KR101839674B1 (ko)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
KR20210049371A (ko) 콤바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