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208B1 -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 Google Patents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208B1
KR101771208B1 KR1020150165122A KR20150165122A KR101771208B1 KR 101771208 B1 KR101771208 B1 KR 101771208B1 KR 1020150165122 A KR1020150165122 A KR 1020150165122A KR 20150165122 A KR20150165122 A KR 20150165122A KR 101771208 B1 KR101771208 B1 KR 101771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golf ball
groove
main bod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680A (ko
Inventor
송은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골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골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골프
Priority to KR1020150165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2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5Installations continuously collecting balls from the playing areas, e.g. by gravity, with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린에서 여러명의 골퍼가 퍼팅연습을 할 수 있고, 퍼팅 시 홀컵에 형성된 홈에 내재된 골프공을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은 제1바 또는 제2 바가 골프공을 밀어내면서 골퍼에게 다시 보낼 수 있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GOLF BALL RETURN DEVICE FOR PUTTING TRAINER}
본 발명은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골퍼들이 동시에 퍼팅 연습을 할 수 있으면서, 홀컵으로 들어간 골프공을 다시 골퍼들에게 리턴시킬 수 있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에서 골프공을 퍼팅 그린(putting green)상에 온 그린시켜 놓은 다음 골프공을 홀컵을 향해 가볍게 스트로크 하는 것을 퍼팅이라 하는데, 퍼팅 그린은 완전한 평면을 이루지 않기 때문에 골프공과 홀컵까지의 거리, 각도, 그린상태 및 퍼팅력 등을 모두 고려하여야 하므로 매우 정교하게 퍼팅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이러한 퍼팅은 필드에서 연습하기에는 퍼팅 그린의 수가 적어 공간적인 제약이 따른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682128의 퍼팅연습기용 골프공 리턴장치는 홀 컵 내부의 골프공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리턴 스프링에 의해 작동하는 푸싱 샤프트로 골프공을 가격하여 골프공이 최초 퍼팅위치로 리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퍼팅연습기용 골프공 리턴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골프공 리턴장치는 실내용으로써, 그린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골프공 리턴장치는 여러 명의 골퍼들이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경사각을 가진 야외 그린에서도 여러 명의 골퍼들이 동시에 퍼팅연습을 사용할 수 있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홀컵으로 내재된 골프공을 골퍼에게 다시 리턴시킬 수 있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골퍼가 퍼팅시키는 골프공이 일측이 개방된 'U'형상의 홈에 내재되고, 상기 홈의 바닥면이 상기 본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골프공이 상기 홈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홈의 바닥면에 'V'형상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컵; 상기 홈의 내주면 일측에 제1 회전축으로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휘어져 있는 제1 바; 상기 홈의 내주면 타측에 상기 제1 바와 크로스 될 시 제1 바와 충돌을 방지하도록 제1 바와 높이가 다르게 제2 회전축으로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바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제2 바;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 상기 제1 바 또는 제2 바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홈으로 들어온 상기 골프공을 감지하는 제1 거리감지센서; 상기 제1 거리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 제1 거리감지센서 및 제어부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되면서 상기 열화상카메라에 감지된 상기 골퍼의 위치로 상기 홈에 내재된 상기 골프공을 다시 보내도록, 상기 열화상카메라로 상기 골퍼의 위치를 감지한 후 상기 골퍼의 위치를 향해 상기 제1 바 또는 제2 바의 작동여부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다시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컵이 상기 본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골퍼의 정면을 향하도록, 상기 홀컵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의 표면에 기어홈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홈과 연결된 상기 본체에 장착된 제3 모터의 회전으로 상기 홀컵이 회전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되면서 상기 열화상카메라에 감지된 상기 골퍼의 위치로 상기 홀컵이 향하고, 상기 홀컵에 상기 골프공이 내재될 시 다시 상기 열화상카메라로 상기 골퍼를 감지한 후 상기 골퍼의 위치로 상기 홀컵이 향한 후 상기 제1 바 또는 제2 바로 상기 골프공을 밀어내면서 다시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화상카메라 또는 상기 본체에 제2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거리감지센서로 상기 골퍼와의 거리를 감지한 후 감지된 거리만큼 상기 골프공이 상기 골퍼에게 갈 수 있도록, 상기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원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 상부면에 태양전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측정한 후 디스플레이하는 수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골퍼가 퍼팅시키는 골프공이 일측이 개방된 'U'형상의 홈에 내재되고, 상기 홈의 바닥면이 상기 본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골프공이 상기 홈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홈의 바닥면에 'V'형상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컵; 상기 홈의 내주면을 따라 관통된 형상으로 상기 홀컵에 내부 공간을 형성시키는 타격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홈에 내재된 상기 골프공을 바 형상으로 타격시켜 상기 골퍼에게 되돌리도록, 일측이 제4 모터와 연결된 제3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타격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격바; 상기 홈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홈으로 들어온 상기 골프공을 감지하는 제3 거리감지센서; 상기 제3 거리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4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4 모터, 제3 거리감지센서 및 제어부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컵이 상기 본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골퍼의 정면을 향하도록, 상기 홀컵에 체결돌기가 상기 본체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의 표면에 기어홈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홈과 연결된 상기 본체에 장착된 제5 모터의 회전으로 상기 홀컵이 회전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되면서 상기 열화상카메라에 감지된 상기 골퍼의 위치로 상기 홀컵이 향하고, 상기 홀컵에 상기 골프공이 내재될 시 다시 상기 열화상카메라로 상기 골퍼를 감지한 후 상기 골퍼의 위치로 상기 홀컵이 향한 후 상기 골프공을 상기 타격바로 타격시키면서 상기 골퍼의 위치로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격바가 상기 골프공의 타격부위에 따라 상기 골퍼의 방향으로 상기 골프공을 보내도록, 상기 제3 회전축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은 상부면에 상기 제3 회전축 및 제5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홀컵의 내부공간 하부면에 형성된 슬립돌기와 슬립되도록, 하부면에 슬립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홀컵의 내부공간 하부면에 고정된 제6 모터와 연결되도록 기어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원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 상부면에 태양전지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측정한 후 디스플레이하는 수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는 다양한 경사각을 가진 야외 그린에서도 여러 명의 골퍼들이 동시에 퍼팅연습을 사용할 수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는 홀컵으로 내재된 골프공을 골퍼에게 다시 빠르게 리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의 내부를 투영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바 및 제2 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의 내부를 투영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의 내부를 투영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바 및 제2 바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1)는 본체(10), 홀컵(20), 제1 바(30), 제2 바(40), 제1 모터(32), 제2 모터(42), 제1 거리감지센서(50), 제2 거리감지센서(90), 제어부(60), 전원부(70), 열화상카메라(100), 태양전지모듈(110) 및 수평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1)의 외형이다. 본체(10)는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컵(20)은 골퍼가 퍼팅시키는 골프공이 내재되도록, 홈(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홈(21)의 바닥면(22)은 상기 본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골프공(B)이 홈(21)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홈(21)의 바닥면(22)에 'V'형상의 가이드돌기(23)가 형성될 수 있다.
홀컵(20)은 본체(1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홀컵(20)은 여러 명의 골퍼가 사용할 수 있도록, 사분면에 하나씩 형성되는게 바람직할 수 있다. 홀컵(20)은 본체(10)에서 회전하면서 골퍼의 정면을 향하도록, 본체(10)와 접촉하는 일면에 체결돌기(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는 체결돌기(24)가 삽입되는 체결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돌기(24)의 표면에 기어홈(25)이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10)에 장착된 제3 모터(80)가 기어홈(25)에 기어체결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홀컵(20)이 회전할 수 있다.
제1 바(30)는 제2 바(40)와 같이 회전하거나, 또는 제1 바(30)만 회전하면서 홈(21)에 내재된 골프공을 홈(21)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바(30)는 홈(21)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제1 회전축(31)에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바(30)는 제2 바(4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면이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40)는 제1 바(30)와 같이 회전하거나, 또는 제2 바(40)만 회전하면서 홈(21)에 내재된 골프공을 홈(21)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바(40)는 홈(21)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된 제2 회전축(41)에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40)는 제1 바(30)와 크로스 될 시 제1 바(30)와 충돌을 방지하도록 제1 바(30)와 높이가 다르게 제2 회전축(4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바(40)는 제1 바(3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면이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터(32)는 제1 회전축(31)과 기어체결 방식으로 연결되면서 제1 회전축(31)을 양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모터(42)는 제2 회전축(41)과 기어체결 방식으로 연결되면서 제2 회전축(41)을 양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터(32) 및 제2 모터(42)의 RPM을 제어하는 전자변속기(미도시)가 제1 모터(32) 및 제2 모터(4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거리감지센서(50)는 홀컵(20)의 홈(21)으로 들어온 골프공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제1 바(30) 또는 제2 바(40)의 내주면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거리감지센서(90)는 본체(10) 또는 열화상카메라(100)에 장착되면서 골퍼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제1 바(30) 또는 제2 바(40)를 작동시켜 골프공을 설정된 방향으로 보낼 시 제1 바(30) 또는 제2 바(40)의 작동여부 및 제1 모터(32) 또는 제2 모터(42)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골퍼와의 거리를 감지한 제2 거리감지센서(90)의 신호를 전달받아 감지된 거리만큼 골프공이 골퍼에게 갈 수 있도록, 제1 모터(32) 또는 제2 모터(4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홀컵(20)또는 본체(10)에 내재될 수 있다.
전원부(70)는 제1 모터(32), 제2 모터(42), 제1 거리감지센서(50), 제2 거리감지센서(90) 및 제어부(60)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전원부(70)는 리듐 폴리머 배터리(Li-Polymer Battery)가 사용될 수 있다. 전원부(70)는 홀컵(20) 또는 본체(10)에 내재될 수 있다.
열화상카메라(100)는 본체(10)의 상부면에 장착되면서, 골퍼의 열을 감지할 수 있다. 열화상카메라(100)는 홀컵(20)의 홈(21)을 기준으로 90도 또는 180도의 화각으로 영상화면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60)는 열화상카메라(100)의 중심 화면이 홈(21)과 일치된 후, 골퍼가 퍼팅 하여 골프공이 홈(21)에 내재되면, 열화상카메라(100)로 골퍼의 위치를 열로 감지한 후 도 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의 위치가 정면(F)일 경우 제1 바(30) 및 제2 바(40)가 같은 속도로 동시에 움직이면서 골프공(B)을 밀어내고, 골퍼의 위치가 오른쪽(R) 또는 왼쪽(L) 방향일 경우 홀컵(20)이 오른쪽(R) 또는 왼쪽(L) 방향으로 향하게 한 후 제1 바(30) 또는 제2 바(40)로 골프공(B)을 밀어내면서 골퍼에게 보낼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110)은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전력으로 전환시키는 태양전지판이다. 태양전지모듈(110)은 본체의 상부면 또는 홀컵(2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110)은 전원부(7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수평계(120)는 그린과 본체(10)의 기울기를 측정한 후 각각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수평계(120)는 본체(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의 내부를 투영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2)는 본체(200), 홀컵(300), 타격바(420), 이동판(400), 열화상카메라(540), 태양전지모듈(550) 및 수평계(5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2)의 외형이다. 본체(200)는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컵(300)은 골퍼가 퍼팅시키는 골프공이 내재되도록, 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홈(310)의 바닥면(311)은 상기 본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골프공(B)이 홈(31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홈(310)의 바닥면(311)에 'V'형상의 가이드돌기(3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310)은 타격바(420)가 관통되도록, 홈(310)의 내주면을 따라 관통된 형상의 타격홀(316)을 포함할 수 있다.
홀컵(300)은 본체(20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홀컵(300)은 여러 명의 골퍼가 사용할 수 있도록, 사분면에 하나씩 형성되는게 바람직할 수 있다. 홀컵(300)은 본체(200)에서 회전하면서 골퍼의 정면을 향하도록, 본체(200)와 접촉하는 일면에 체결돌기(31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200)는 체결돌기(313)가 삽입되는 체결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돌기(313)의 표면에 기어홈(314)이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에 장착된 제5 모터(315)가 기어홈(314)에 기어체결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홀컵(300)이 회전할 수 있다.
타격바(420)는 홈(310)에 내재된 골프공을 홈(310) 밖으로 내보내도록, 타격홈(310)을 관통하면서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다. 타격바(420)는 원기둥 형상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격바(420)는 일측이 제4 모터(430)와 연결된 제3 회전축(41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회전축(410)은 이동판(400)에 고정될 수 있다.
타격바(420)는 제4 모터(4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3 회전축(410)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동판(400)은 제3 회전축(410)의 위치를 양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타격바(420)가 설정된 골프공의 타격부위를 타격시킬 수 있게 한다. 이동판(400)은 상부면에 제3 회전축(410) 및 제5 모터(315)가 장착될 수 있다. 이동판(400)은 홀컵(300)의 내부공간의 하부면에 형성된 슬립돌기(317)와 슬립되도록, 하부면에 슬립홈(4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판(400)은 일측면을 따라서 홀컵(300)의 내부공간 하부면에 고정된 제6 모터(450)와 연결되도록 띠 형상의 홈인 기어삽입홈(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거리감지센서(510)는 홈(310)으로 들어온 골프공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제3 거리감지센서(510)는 홈(310)의 내주면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제3 거리감지센서(510)의 신호를 전달받아 제4 모터(4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홀컵(300)에 내재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제5 모터(315) 및 제6 모터(45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530)는 제4 모터(430), 제5 모터(315), 제6 모터(450), 제3 거리감지센서(510) 및 제어부(520)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전원부(530)는 리듐 폴리머 배터리(Li-Polymer Battery)가 사용될 수 있다. 전원부(530)는 홀컵(300) 또는 본체(200)에 내재될 수 있다.
열화상카메라(540)는 골퍼의 열을 감지할 수 있다. 열화상카메라(540)는 홀컵(300)의 홈(310)을 기준으로 90도 또는 180도의 화각으로 영상화면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열화상카메라(540)의 중심 화면이 홈(310)과 일치된 후, 골퍼가 퍼팅 하여 골프공이 홈(310)에 내재되면 열화상카메라(540)는 골퍼의 위치를 열로 감지한 후 제어부(52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520)는 홀컵(300)을 골퍼의 위치로 향하도록 작동시킨 후, 홀컵(300)에 장착된 타격바(420)로 골프공을 타격시키면서 골프공을 골퍼에게 보낼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타격바(420)로 골프공을 타격시키면서 골퍼의 위치인 정면(F), 오른쪽(R) 또는 왼쪽(L) 방향으로 정확히 향할 수 있도록, 이동판(400)을 골프공(B)이 골퍼의 위치인 정면(F), 오른쪽(R) 또는 왼쪽(L) 방향으로 향할 수 있는 타격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550)은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전력으로 전환시키는 태양전지판이다. 태양전지모듈(550)은 본체의 상부면 또는 홀컵(30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550)은 전원부(5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수평계(560)는 그린과 본체(200)의 기울기를 측정한 후 각각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수평계(560)는 본체(2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10 : 본체
11 : 체결홈
20 : 홀컵
21 : 홈
22 : 바닥면
23 : 가이드돌기
24 : 체결돌기
25 : 기어홈
30: 제1 바
31 : 제1 회전축
32 : 제1 모터
40 : 제2 바
41 : 제2 회전축
42 : 제2 모터
50 : 제1 거리감지센서
60 : 제어부
70 : 전원부
80 : 제3 모터
90 : 제2 거리감지센서
100 : 열화상카메라
110 : 태양전지모듈
120 : 수평계
2 :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200 : 본체
210 : 체결홈
300 : 홀컵
310 : 홈
311 : 바닥면
312 : 가이드돌기
313 : 체결돌기
314 : 기어홈
315 : 제5 모터
316 : 타격홀
317 : 슬립돌기
400 : 이동판
410 : 제3 회전축
420 : 타격바
430 : 제4 모터
440 : 기어삽입홈
450 : 제6 모터
460 : 슬립홈
510 : 제3 거리감지센서
520 : 제어부
530 : 전원부
540 : 열화상카메라
550 : 태양전지모듈
560 : 수평계

Claims (11)

  1.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골퍼가 퍼팅시키는 골프공이 일측이 개방된 'U'형상의 홈에 내재되고, 상기 홈의 바닥면이 상기 본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골프공이 상기 홈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홈의 바닥면에 'V'형상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컵;
    상기 홈의 내주면 일측에 제1 회전축으로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휘어져 있는 제1 바;
    상기 홈의 내주면 타측에 상기 제1 바와 크로스 될 시 제1 바와 충돌을 방지하도록 제1 바와 높이가 다르게 제2 회전축으로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바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제2 바;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
    상기 제1 바 또는 제2 바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홈으로 들어온 상기 골프공을 감지하는 제1 거리감지센서;
    상기 제1 거리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 제1 거리감지센서 및 제어부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되면서 상기 열화상카메라에 감지된 상기 골퍼의 위치로 상기 홈에 내재된 상기 골프공을 다시 보내도록, 상기 열화상카메라로 상기 골퍼의 위치를 감지한 후 상기 골퍼의 위치를 향해 상기 제1 바 또는 제2 바의 작동여부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다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2. 삭제
  3.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골퍼가 퍼팅시키는 골프공이 일측이 개방된 'U'형상의 홈에 내재되고, 상기 홈의 바닥면이 상기 본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골프공이 상기 홈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홈의 바닥면에 'V'형상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컵;
    상기 홈의 내주면 일측에 제1 회전축으로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휘어져 있는 제1 바;
    상기 홈의 내주면 타측에 상기 제1 바와 크로스 될 시 제1 바와 충돌을 방지하도록 제1 바와 높이가 다르게 제2 회전축으로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바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제2 바;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
    상기 제1 바 또는 제2 바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홈으로 들어온 상기 골프공을 감지하는 제1 거리감지센서;
    상기 제1 거리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 제1 거리감지센서 및 제어부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컵이 상기 본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골퍼의 정면을 향하도록, 상기 홀컵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의 표면에 기어홈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홈과 연결된 상기 본체에 장착된 제3 모터의 회전으로 상기 홀컵이 회전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되면서 상기 열화상카메라에 감지된 상기 골퍼의 위치로 상기 홀컵이 향하고, 상기 홀컵에 상기 골프공이 내재될 시 다시 상기 열화상카메라로 상기 골퍼를 감지한 후 상기 골퍼의 위치로 상기 홀컵이 향한 후 상기 제1 바 또는 제2 바로 상기 골프공을 밀어내면서 다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카메라 또는 상기 본체에 제2 거리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거리감지센서로 상기 골퍼와의 거리를 감지한 후 감지된 거리만큼 상기 골프공이 상기 골퍼에게 갈 수 있도록, 상기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원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 상부면에 태양전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6. 제 1 항에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측정한 후 디스플레이하는 수평계를 더 포함하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7.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골퍼가 퍼팅시키는 골프공이 일측이 개방된 'U'형상의 홈에 내재되고, 상기 홈의 바닥면이 상기 본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골프공이 상기 홈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상기 홈의 바닥면에 'V'형상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컵;
    상기 홈의 내주면을 따라 관통된 형상으로 상기 홀컵에 내부 공간을 형성시키는 타격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홈에 내재된 상기 골프공을 바 형상으로 타격시켜 상기 골퍼에게 되돌리도록, 일측이 제4 모터와 연결된 제3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타격홀을 관통하면서 상기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격바;
    상기 홈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홈으로 들어온 상기 골프공을 감지하는 제3 거리감지센서;
    상기 제3 거리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4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4 모터, 제3 거리감지센서 및 제어부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컵이 상기 본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골퍼의 정면을 향하도록, 상기 홀컵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의 표면에 기어홈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홈과 연결된 상기 본체에 장착된 제5 모터의 회전으로 상기 홀컵이 회전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열화상카메라가 장착되면서 상기 열화상카메라에 감지된 상기 골퍼의 위치로 상기 홀컵이 향하고, 상기 홀컵에 상기 골프공이 내재될 시 다시 상기 열화상카메라로 상기 골퍼를 감지한 후 상기 골퍼의 위치로 상기 홀컵이 향한 후 상기 골프공을 상기 타격바로 타격시키면서 상기 골퍼의 위치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바가 상기 골프공의 타격부위에 따라 상기 골퍼의 방향으로 상기 골프공을 보내도록, 상기 제3 회전축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은
    상부면에 상기 제3 회전축 및 제5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홀컵의 내부공간 하부면에 형성된 슬립돌기와 슬립되도록, 하부면에 슬립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홀컵의 내부공간 하부면에 고정된 제6 모터와 연결되도록 기어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 연습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원부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 상부면에 태양전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측정한 후 디스플레이하는 수평계를 더 포함하는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KR1020150165122A 2015-11-25 2015-11-25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KR101771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122A KR101771208B1 (ko) 2015-11-25 2015-11-25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122A KR101771208B1 (ko) 2015-11-25 2015-11-25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80A KR20170060680A (ko) 2017-06-02
KR101771208B1 true KR101771208B1 (ko) 2017-08-24

Family

ID=59222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122A KR101771208B1 (ko) 2015-11-25 2015-11-25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2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344Y1 (ko) 2006-08-21 2006-11-10 조건호 퍼팅연습기용 골프공 리턴장치
WO2006121587A1 (en) * 2005-05-10 2006-11-16 Wheat Cleveland E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1587A1 (en) * 2005-05-10 2006-11-16 Wheat Cleveland E Golf putting practice device
KR200430344Y1 (ko) 2006-08-21 2006-11-10 조건호 퍼팅연습기용 골프공 리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80A (ko) 201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5897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golf swing analysis and practice system with type of golf shot projection
US7499828B2 (en) Position determin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US8932156B2 (en) System and method to pitch fooballs
US20070298895A1 (en) Golf swing analyzing/training mat system with ball striking-related feedback
KR102248980B1 (ko) 골프 공 론치 모니터 타겟 얼라인먼트 방법 및 시스템
KR101248830B1 (ko) 저 지상고형 볼 공급장치
CN110841261B (zh) 一种具有主动进攻能力的调节式武术训练桩及其训练装置
US20160202353A1 (en) Mobile Body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Method
CN110038284A (zh) 一种智能投篮训练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771208B1 (ko)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US9480900B2 (en) Changeup controller for ball throwing machine
JP2002535102A5 (ko)
US20160271477A1 (en) Correlating ball speed with putter speed
KR20110088990A (ko) 스크린 골프와 연동되는 퍼팅 시스템
CN111840953B (zh) 一种网球陪练装置
WO2000044450A1 (en) Golf ball flight monitoring system
KR100918302B1 (ko) 모의 골프시스템의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센싱 방법
KR101707766B1 (ko) 골프 퍼터용 퍼팅연습기구
KR101852091B1 (ko) 골프 퍼팅 연습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881939B2 (en) Auxiliary apparatus for golf putter
KR200404892Y1 (ko) 골프공 연속 공급장치
CN216798675U (zh) 一种投球游戏机
KR101123680B1 (ko) 골프 연습 장치
KR20220167564A (ko) 타구궤적 산출기능을 구비한 야구 훈련용 배팅 연습장치
FI20185140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ecision golf tra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