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762B1 - 안티프레팅층을 갖는 다층 평베어링 - Google Patents

안티프레팅층을 갖는 다층 평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762B1
KR101770762B1 KR1020127030000A KR20127030000A KR101770762B1 KR 101770762 B1 KR101770762 B1 KR 101770762B1 KR 1020127030000 A KR1020127030000 A KR 1020127030000A KR 20127030000 A KR20127030000 A KR 20127030000A KR 101770762 B1 KR101770762 B1 KR 101770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based alloy
plain bearing
layer
multilayer pl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982A (ko
Inventor
야콥 지다르
Original Assignee
미바 베어링스 홀딩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바 베어링스 홀딩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미바 베어링스 홀딩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92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2Structural composition; Use of special materials or surface treatments, e.g. for rust-proofing
    • F16C33/122Multilayer structures of sleeves, washers or liners
    • F16C33/125Details of bearing layers, i.e. the l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1Alloys based on copper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2Alloys based on copper with ti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4Alloys based on copper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8Alloys based on copper with lead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10Alloys based on copper with silico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02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only coatings only including layers of metall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30/00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characterised only by the composition of the metallic material, i.e. not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30/00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characterised only by the composition of the metallic material, i.e. not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process
    • C23C30/005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characterised only by the composition of the metallic material, i.e. not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process on hard metal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56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 C25D3/58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alloys containing more than 50% by weight of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1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2Structural composition; Use of special materials or surface treatments, e.g. for rust-proofing
    • F16C33/121Use of special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2Structural composition; Use of special materials or surface treatments, e.g. for rust-proofing
    • F16C33/122Multilayer structures of sleeves, washers or liners
    • F16C33/124Details of over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4/00Metallic materials; Alloys
    • F16C2204/10Alloys based on cop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4/00Metallic materials; Alloys
    • F16C2204/10Alloys based on copper
    • F16C2204/12Alloys based on copper with ti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Electroplating And Plating Baths Therefor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하고자 하는 부재에 면한 전면부 (4) 및 그와 반대면의 후면부 (6)을 가지며, 지지층 (2), 전면부 (4)에 배치된 슬라이딩층 (3) 및 후면부 (6)에 배치된 안티프레팅층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층 평베어링 (1)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안티프레팅층 (5)은 구리 혼합 결정립을 갖는 구리계 합금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안티프레팅층 (5)의 구리계 합금은 알루미늄, 아연, 인듐, 규소, 게르마늄, 안티몬 군으로부터의 합금 원소와의 2성분계 합금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알루미늄, 아연, 인듐, 규소, 게르마늄, 주석, 안티몬 군으로부터의 합금 원소 및 상기 군 및/또는 니켈, 코발트, 철, 망간, 비스무쓰, 납, 은, 인의 부가적인 군과의 적어도 3성분계 합금에 의하여 형성되며, 가능하게는 제조 과정에 기인하는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이들 합금 원소들의 총 비율은 적어도 1 중량% 이상 및 최대 30 중량%이다.

Description

안티프레팅층을 갖는 다층 평베어링{MULTI-LAYER PLAIN BEARING HAVING AN ANTI-FRETTING LAYER}
본 발명은 지지층, 전면부에 배치된 마찰방지층 및 후면부에 배치된 안티프레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안티프레팅층은 구리가 혼합된 결정립들과의 구리계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인, 지지하고자 하는 부재에 면하는 전면부 및 그와 반대면의 후면부를 갖는 다층 평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안티프레팅층이 구비된 평베어링의 후면 코팅은 기술 분야에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코팅에 의하여, 구성요소들 간의 원치 않는 상대적인 움직임의 결과로서 베어링 하우징에서의 마찰 용접 또는 마찰 부식 및 그에 따른 평베어링의 "시이징(seizing)"이 회피된다. 마찰 부식은 종종 마찰 피로 파괴로 이어진다. 마찰 부식은 또한 재료의 페어링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하드한 재료 또는 표면이 단단한 부품들은 보다 시이징하기 쉬운 경향이 있는 소프트한 재료보다 마찰 부식에 의해 더 잘 마모된다. 소프트한 재료의 경우 상대적인 움직임이 방지되어 손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티프레팅층 제조와 관련하여 종래기술에서도 다양한 여러가지 재료들이 이미 설명된 바 있다. 예컨대 본 출원인의 AT 506 641 A1에는 이러한 용도를 위한 은합금이 개시되어 있다. 본 출원인의 AT 399 544 B에는, Sn-합금으로 만들어진 부식 지지층이 개시되어 있다. 안티프레팅층 용의 Ni, Cr 또는 Co 합금 역시도 GB 2315301 A1에 설명되어 있다. WO 02/48563 A1에는 주석 청동이 안티프레팅층으로 사용되고 있다. 주석이 10% 내지 15% 비율로 사용되는, 강철 상의 안티프레팅층으로서 갈바닉 용착된 (deposited galvanically) Cu-Sn-합금이 GB 556,248 A 및 GB 554,355 A에 설명된 바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선된 다층 평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개선된 구리계 안티프레팅층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상기한 다층 평베어링, 즉 안티프레팅층의 구리계 합금이 알루미늄, 아연, 인듐, 규소, 게르마늄, 안티몬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금 원소 또는 알루미늄, 아연, 인듐, 규소, 게르마늄, 주석, 안티몬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금 원소 및 이 군과 및/또는 니켈, 코발트, 철, 망간, 비스무쓰, 납, 은, 인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된 제2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추가 원소를 함유하고, 제조과정에서 유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며, 여기서 합금 원소들의 총량은 적어도 1 중량% 및 최대 30 중량%인 것인 전술한 다층 평베어링에 의하여 달성된다.
개선된 특성을 갖는 안티프레팅층을 찾아내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전술한 은 합금층에 더하여, 특히 구리계 합금층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놀랍게도 전술한 구리계 합금이 보다 우수한 마모 특성 및/또는 훨씬 더 큰 피로 강도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각각의 경우 다른 것들보다 프레팅에 의하여 야기되는 손상에 대하여 더 개선된 보호능을 보임으로 해서, 이들이 제공된 베어링이 특히 고스트레스(highly stressed) 베어링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의 이유는 2성분계 합금 (a binary alloy)의 형성을 위한 알루미늄, 아연, 인듐, 규소, 게르마늄, 셀레늄, 안티몬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의 합금 원소의 추가에 또는 적어도 3성분계 합금 시스템의 형성을 위한, 알루미늄, 아연, 인듐, 규소, 게르마늄, 주석, 안티몬의 추가 및 상기 군과 및/또는 니켈, 코발트, 철, 망간, 비스무쓰, 납, 은, 인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된 제2군의 추가에 기인한다.
특히, 안티프레팅층의 강도는 규소에 의해 증진된다.
안티프레팅층의 내식성은 아연, 니켈 및 코발트에 의하여 증진된다. 안티프레팅층의 콜드 포밍 능력은 아연에 의하여도 증진된다.
구리 혼합 결정상에 더하여 안티프레팅층의 마찰방지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매트릭스 내에 특히 납, 비스무쓰 또는 적어도 1종의 MoS2, 흑연, WS2 등과 같은 고형 윤활제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찰방지 연질상이 존재할 수 있다.
게르마늄, 인듐, 주석, 비스무쓰, 납 및 안티몬은 평베어링이 장착된 하우징 상의 안티프레팅층의 적용성 및/또는 내식성을 증진시켜준다.
알루미늄, 아연, 인듐, 규소, 게르마늄, 셀레늄 및 안티몬에 의하여, 구리 재료가 강철과 용접되는 경향 역시도 감소된다. 본 출원인은 상용성(相溶性), 즉, 코팅 재료 중의 하우징 재료 및 그 반대의 경우의 상용성이 재료의 전달을 감소시켜, 내식성 및 치환 혼합된 결정의 형성에 의한 피로 및 마모에 대한 기계적 내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아닌지, 그리고 합금 파트너에 의하여, 표면들을 서로 이격시키는, 얇고 접착성인 산화층 및/또는 반응층이 오일 첨가제에 의해 보다 쉽게 형성되는 것은 아닌지 상정해보았다.
이러한 원소들의 조합에 의해 코팅 특성을 해당하는 응용예에 알맞게 특별하고도 알맞게 맞출 수 있다.
특정 함량 미만이면 효과가 너무 낮고, 특정 함량을 초과하면, 특히 총 함량 30 중량%를 초과하면 안티프레팅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질의 부서지기 쉬운 금속간 페이즈(intermetallic phases)가 대량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예컨대 1 중량% 내지 25 중량% Zn 또는 1 중량% 내지 20 중량% 인듐을 첨가함으로써 Cu-Sn 또는 Cu-Ge 합금은 부식에 훨씬 덜 민감해지며, 특히 함황 오일 첨가제로부터 더 그러하다.
Cu-Al 합금은 0.2 중량% 내지 15 중량% 안티몬의 첨가에 의해 마모에 더욱 훨씬 더 큰 내성을 나타내며, 이는 합금 원소들의 일정 비율이 미세 분산된 AlSb 하드 페이즈로서 용착됨에 따라 그러하다.
망간, 철, 니켈, 코발트로부터의 1종 이상의 원소들을 합금처리함으로써, 코팅의 기계적 강도 및 그의 내식성이 현저히 증가된다. 특히, 니켈에 의해 성형성 역시도 향상된다. 불행하게도, 이들 원소들에 의해, 하우징 재료와의 용접 경향이 증가한다. 이 영향은 특히 5 중량% 이상, 특히 10 중량% 이상의 함량일 때 더 잘 관찰되었다.
인과 조합적으로 Me3P 및 Me2P 페이즈가 형성되며, 여기서 Me는 상기한 망간, 철, 니켈, 코발트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나타낸다. 매트릭스 내에 미세하게 분포하는 상기 하드 페이즈는 안티프레팅 특성을 유의적으로 향상시킨다. 각각의 금속들이 상기 페이즈들 내에 결합됨에 따라, 하우징 재료와 용접하려는 경향에 미치는 이들의 네거티브한 영향력이 감소하며 하드 페이즈의 포지티브한 영향에 의하여 대부분 극복됨으로써, 미세 분산된 용착물 (deposits)에 의해 강도가 유지된다.
납, 비스무쓰 및 은으로부터의 1종 이상의 원소와의 합금화 및 흑연, MoS2, WS2 와 같은 고형 윤활제의 첨가에 의해, 부가적인 페이즈가 구조 내로 도입되어 특히 우수한 마찰방지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팅에 의한 손상을 더욱 감소시키거나 또는 극한의 작업 조건 하에서의 손상이 감소될 수 있다(베어링 금속의 긴급 작업 특성(emergency running properties)에 필적함).
납, 비스무쓰 및 고형 윤활제는 코팅의 로딩 능력을 잠재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음으로 해서, 그 함량의 상한을 정할 필요가 있는, 특히 소프트한 재료들이다.
은은 다양한 첨가제, 특히 함황 오일 첨가제에 의해 심한 공격을 받는다. 이러한 원치 않은 영향은 20 중량%가 넘는 함량에서 두드러진다.
이하의 구체예에서 바람직한 범위의 상세들은 전술한 정보를 감안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한가지 구체예에 따라 주석 함량은 5 중량% 내지 25 중량%, 좋기로는 8 중량% 내지 19 중량%, 더욱 좋기로는 10 중량% 내지 16 중량%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티프레팅층의 경도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한편으로 "시이징" 경향은 감소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마모성도 더욱 증가한다. 함량이 25 중량%를 초과하면 매우 부서지기 쉬운 금속간 페이즈가 형성됨으로 해서, 내마모성이 더더욱 저하되게 된다. 그러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약간의 개선이 관찰될 수 있는데 이는 그 자체로는 소망되는 개선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보다 나은 마모 특성, 더 큰 피로 강도 및/또는 보다 우수한 프레팅 손상에 대한 보호능과 관련한 전술한 효과는, 다음의 조건들 중 적어도 한가지가 만족되는 경우에 일어나는 것이다:
- 구리계 합금 중의 알루미늄의 양이 2 중량% 내지 12 중량%, 좋기로는 4 중량% 및 8 중량%,
- 구리계 합금 중의 규소의 양이 2 중량% 내지 10 중량%, 좋기로는 3 중량% 및 5 중량%,
- 구리계 합금 중의 게르마늄의 양이 3 중량% 내지 15 중량%, 좋기로는 4 중량% 내지 10 중량%,
- 구리계 합금 중의 인듐의 양이 0.2 중량% 내지 20 중량%, 좋기로는 1 중량% 및 5 중량%, 특히 2 중량% 및 4 중량%,
- 구리계 합금 중의 아연의 양이 0.5 중량% 내지 25 중량%, 좋기로는 1 중량% 및 5 중량%. 상기 양이 15 중량%를 초과하면 안티프레팅층이 너무 "부서지기 쉽다 (brittle)". 상기 양이 0.5 중량% 미만이면, 구리 합금의 특성의 실질적인 향상이 관찰되지 않는다.
- 구리계 합금 중의 망간의 양이 0.2 중량% 및 5 중량%, 좋기로는 0.2 중량% 내지 2 중량%, 특히 0.3 중량% 내지 1 중량%,
- 구리계 합금 중의 철의 양이 0.2 중량% 및 5 중량%, 좋기로는 0.2 중량% 내지 2 중량%, 특히 0.3 중량% 내지 1 중량%,
- 구리계 합금 중의 니켈의 양이 0.2 중량% 및 8 중량%, 좋기로는 0.5 중량% 및 5 중량%, 특히 1 중량% 및 3 중량%,
- 구리계 합금 중의 코발트의 양이 0.2 중량% 및 8 중량%, 좋기로는 0.5 중량% 및 5 중량%, 특히 1 중량% 및 3 중량%,
- 망간, 철, 니켈 및 코발트의 총량이 최대 10 중량%, 좋기로는 최대 6 중량%,
- 구리계 합금 중의 비스무쓰의 양이 1 중량% 내지 25 중량%, 좋기로는 2 중량% 내지 15 중량%, 특히 5 중량% 내지 10 중량%,
- 구리계 합금 중의 납의 양이 1 중량% 내지 25 중량%, 좋기로는 2 중량% 내지 15 중량%, 특히 5 중량% 내지 10 중량%,
- 구리계 합금 중의 은의 양은 1 중량% 내지 20 중량%, 좋기로는 2 중량% 내지 10 중량%,
- 구리계 합금 중의 안티몬의 양은 0.2 중량% 내지 15 중량%, 좋기로는 0.2 중량% 내지 10 중량%, 특히 1 중량% 및 5 중량%,
- 인의 양은 0.01 중량% 내지 3 중량%, 좋기로는 0.05 중량% 내지 0.3 중량% 이거나 또는 0.6 중량%를 초과하는 Mn, Fe, Ni 및 Co와의 총 합금량은 좋기로는 이 값 0.05 중량% 내지 0.3 중량%의 2 % 내지 50 %, 더욱 좋기로는 10 % 내지 30 %,
- 희토류 금속, 크롬, 지르코늄, 티타늄 및 베릴륨의 총량이 0.001 중량% 내지 0.5 중량%, 좋기로는 0.01 중량% 내지 0.2 중량%. 상기 원소들은 입자 정제 및 경질화를 위해 2종 이상의 주요 합금 원소들과 함께 합금처리될 수 있다. 즉, 구리계 합금은 희토류 금속, 크롬, 지르코늄, 티타늄 및 베릴륨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된 제3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원소를 총량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0.5 중량%, 좋기로는 0.01 중량% 내지 0.2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 셀레늄의 양은 최대 0.1 중량%, 좋기로는 0.0001 중량% 내지 0.01 중량%이다. 셀레늄은 시안화 구리 전해질에서 브라이트너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분산성과 마이크로레벨성도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셀레늄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높다고 층이 부서지기 쉬운 것은 아니다.
셀레늄 대신 황이나 텔루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안티프레팅층은 규소, 게르마늄, 인듐, 아연, 니켈, 코발트, 비스무쓰, 납 및 안티몬들 중 1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들의 총 비율은 0.2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따라서, 안티프레팅 층을 고스트레스형 베어링에 알맞게 추가로 더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가지 구체예에 따라 안티프레팅층은 그 층 두께가 2 ㎛ 내지 100 ㎛, 좋기로는 3 ㎛ 내지 30 ㎛, 특히 4 ㎛ 내지 15 ㎛이다. 층 두께의 하한을 2 ㎛로 유지함으로써, 안티프레팅층은 러프 피크의 마모 후에도 접착성 있는 층을 형성한다. 층 두께가 100 ㎛를 넘을 경우 계면에서의 장력에 의해 야기되는 기판에 대한 안티프레팅층의 부착성 악화가 관찰되었다.
안티프레팅층은 3 Pond의 테스트 로드에서 좋기로는 비커스 마이크로 경도가 좋기로는 HV 200 내지 HV 500, 좋기로는 HV 230 내지 HV 400, 특히 HV 250 내지 HV 350임으로 해서, 평베어링의 미세한 움직임(micromovements)에 의해 야기되는 마찰이 하우징 내에서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티프레팅층의 마찰 부식도 더 감소될 수 있다. 500 HV을 초과하면 플라스틱 변형성이 대개 너무 낮아서 국소화된 힘이 층 중에 균열과 파단을 형성시킨다. 200 HV 미만인 경우에는 내마모성이 소망되는 정도로 달성되지 못한다.
좋기로는, 안티프레팅층 중의 구리 혼합 결정립의 입도가 5 nm 초과, 좋기로는 10 nm 초과, 더욱 좋기로는 50 nm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리계 합금의 결정 특성이 보다 현저해지고 그 결과, 전술한 배향성에 의존하는 특성 역시 보다 우세해진다.
일 구체예에서, 안티프레팅층 (5)는 금속간 페이즈를 갖지 않으며 XRD 측정시 구리 결정 격자와의 혼합 결정으로서 나타난다. 한가지 구체예에 따라 안티프레팅층은 좋기로는 기본적으로 금속간 페이즈가 부재하고 XRD 측정시 구리 결정 격자와의 혼합 결정으로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격자 상수가 0.3630 nm 내지 0.3750 nm인 구리 혼합 결정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리계 합금층 중의 구리 혼합 결정립의 바람직한 정렬 형성이 지지되고 적어도 손상되지 않음으로 해서, 안티프레팅층이 보다 균질한 특성 프로파일을 갖게 된다.
한가지 구체예에 따라 안티프레팅층은 그 층 두께가 지지층 또는 가능하게는 지지층과 안티프레팅층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의 조도 (roughness) Rz의 적어도 50 %, 특히 적어도 150 %, 및 최대 1,000 %, 좋기로는 최대 300 %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안티프레팅층 하부층의 "레벨링 효과(leveling effect)"가 달성되며, 이에 의하여, 이와 동시에 기존의 조도에 의하여 상기 층과 안티프레팅층 사이에 개선된 부착성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안티프레팅층 하부층의 조도 프로파일의 프로파일 피크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마찰이 보다 효과적으로 회피된다.
하우징 마운팅 표면에 대한 다층 평베어링의 적응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항프레팅층이 항프레팅층보다 더 소프트한 코팅을 가질 수 있다. 좋기로는, 상기 코팅은 주석, 납, 비스무쓰, 폴리머계 마찰방지 도료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아주 단순화하여 도면에 표시한다.
도 1은 하프 쉘 형태의 다층 평베어링의 측면도이다.
먼저, 예컨대 상부, 하부, 측면 등과 같이 본 발명의 설명에서 위치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것이며 위치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새로운 위치에 대하여 설명도 조정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표시 및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구체예들에 나타난 개별적인 특성 및 특성들의 조합은 그 자체로 독립적이거나 진보적인 본 발명의 해법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평베어링 하프 쉘 형태의 다층 평베어링 1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는 지지층 2, 마운팅시키고자 하는 부재에 면하는, 다층 평베어링 1의 전면부 상에 배치된 마찰방지층 3, 다층 평베어링 1의 후면부 6에 배치된 안티프레팅층 5 및 지지층 2로 구성되는, 다층 평베어링의 3층형 구체예가 도시되어 있다. 필요하다면 마찰방지층 4와 지지층 2 사이에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금속층 7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층 평베어링 1의 주요 구조는, 예컨대 내부 연소 엔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로부터 잘 알려져 있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불필요하므로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생략한다. 그러나 예컨대 접착층 및/또는 확산 배리어층과 같은 부가적인 층들이 마찰방지층 4와 베어링 금속층 3 사이에 및/또는 안티프레팅층 5와 지지층 2 사이에 제공될 수 있음과, 마찬가지로 접착층이 베어링 금속층 3과 지지층 2 사이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다층 평베어링 1은 또한, 이와 다르게, 예컨대 도 1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베어링 부쉬로서 묘사될 수도 있다. 또한 런-온-링스, 축방향으로 구동하는 슬라이딩 슈즈와 같은 다른 구체예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베어링 금속층 3이 생략됨으로 해서, 마찰방지층 4가 지지층 2 상에 직접 적용되거나 또는 접착층 및/또는 확산 배리어층의 중간 배치와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지지 금속층 2는 강철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층 평베어링 1에 필요한 구조 강도를 부여하는 재료이면 어느 것으로든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종래기술에 잘 알려져 있다.
베어링 금속층 3 또는 마찰방지층 4 및 중간층으로는 해당 종래 기술 분야에 공지인 합금 또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하여는 종래기술을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라 안티프레팅층 5는 Cu에 더하여 알루미늄, 아연, 인듐, 규소, 게르마늄, 안티몬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금 원소 또는 알루미늄, 아연, 인듐, 규소, 게르마늄, 주석, 안티몬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합금 원소 및 이 군과 및/또는 니켈, 코발트, 철, 망간, 비스무쓰, 납, 은, 인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된 제2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추가 원소 및 제조과정에서 유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하며, 여기서 이들 합금 원소들의 총 비율은 적어도 1 중량% 및 최대 30 중량%이고 구리 합금 중에는 구리와 상기 원소들로부터 형성된 구리 혼합 결정립들이 존재하는 것인 구리계 합금으로 구성된다.
구리계 합금 중의 알루미늄의 양은 2 중량% 내지 12 중량%, 좋기로는 4 중량% 내지 8 중량%이다.
주석의 함량은 5 중량% 내지 25 중량%, 좋기로는 8 중량% 내지 19 중량%, 특히 10 중량% 내지 16 중량%일 수 있다.
아연의 함량은 0.5 중량% 내지 25 중량%, 좋기로는 1 중량% 및 5 중량%일 수 있다.
망간의 양은 0.2 중량% 내지 5 중량%, 좋기로는 0.2 중량% 내지 2 중량%, 특히 0.3 및 1 중량%일 수 있다.
철의 양은 0.2 중량% 내지 5 중량%, 좋기로는 0.2 중량% 내지 2 중량%, 특히 0.3 중량%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규소의 함량은 2 중량% 내지 10 중량%, 좋기로는 3 중량% 및 5 중량%일 수 있다.
게르마늄의 함량은 3 중량% 내지 15 중량%, 좋기로는 4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인듐의 함량은 0.2 중량% 내지 20 중량%, 좋기로는 1 중량% 및 5 중량%, 특히 2 중량% 내지 4 중량%일 수 있다.
니켈의 함량은 0.2 중량% 내지 8 중량%, 좋기로는 0.5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1 중량% 내지 3 중량% 일 수 있다.
코발트의 함량은 0.2 중량% 내지 8 중량%, 좋기로는 0.5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1 중량% 및 3 중량%일 수 있다.
비스무쓰의 함량은 1 중량% 내지 25 중량%, 좋기로는 2 중량% 내지 15 중량%, 특히 5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납의 함량은 1 중량% 내지 25 중량%, 좋기로는 2 중량% 내지 15 중량%, 특히 5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은의 함량은 1 중량% 내지 20 중량%, 좋기로는 2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안티몬의 함량은 0.2 중량% 내지 15 중량%, 좋기로는 0.2 중량% 내지 10 중량%, 특히 1 중량% 및 5 중량%일 수 있다.
인의 양은 0.01 중량% 내지 3 중량%, 좋기로는 0.05 중량% 내지 0.3 중량%이거나 또는 0.2 중량% 초과의 Fe, Ni 및 Co와의 총 합금량은 좋기로는 이 값의 10 % 내지 200 %, 더욱 좋기로는 50 % 내지 150 %일 수 있다.
희토류 금속, 크롬, 지르코늄, 티타늄 및 베릴륨의 총량은 0.001 중량% 내지 0.5 중량%, 좋기로는 0.01 중량% 내지 0.2 중량%일 수 있다.
셀레늄의 양은 최대 0.1 중량%, 특히 0.0001 중량% 내지 0.01 중량%일 수 있다.
셀레늄 대신 황이나 텔루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좋기로는, 규소, 게르마늄, 인듐, 아연, 니켈, 코발트, 비스무쓰, 납 및 안티몬들 중 1종 이상의 원소의 총량이 0.2 중량%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리계 합금들은 좋기로는 각 기판의 후면부 6 위에, 예컨대 지지층 2에 갈바닉 용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한 전해질은 시아나이드를 함유할 수 있거나 또는 좋기로는 시아나이드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착의 바람직한 변수 및 바람직한 배쓰 조성을 다음 실시예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을 아주 단순화하여 도면에 표시한다.
도 1은 하프 쉘 형태의 다층 평베어링의 측면도이다.
실시예 1: Cu-Sn-Zn 합금을 용착시키기 위한 시아나이드-함유 전해질
구리 (I)...............0.25 mol/l - 0.35 mol/l
주석 (IV)................0.10 mol/l - 0.20 mol/l
아연......................0.05 mol/l - 0.20 mol/l
유리 시아나이드.........0.30 mol/l - 0.45 mol/l
유리 알칼리니티.........0.20 mol/l - 0.30 mol/l
타르트레이트...................0 mol/l - 0.20 mol/l
첨가제.....................0.5 g/l - 5 g/l
온도............55℃ - 65℃
전류 밀도.............1 A/dm2 - 4 A/dm2
실시예 2: Cu-Ge-Zn 합금을 용착시키기 위한 시아나이드-함유 전해질
구리 (I)...............0.25 mol/l - 0.35 mol/l
게르마늄 ...........0.05 mol/l - 0.30 mol/l
아연......................0.05 mol/l - 0.20 mol/l
유리 시아나이드.........0.30 mol/l - 0.45 mol/l
유리 알칼리니티.........0.20 mol/l - 1.0 mol/l
시트레이트.....................0 mol/l - 0.20 mol/l
첨가제.....................0.5 g/l - 5 g/l
온도............55℃ - 65℃
전류 밀도.............1 A/dm2 - 4 A/dm2
실시예 3: Cu-Sn-Bi 합금의 용착을 위한 메탄 설폰산에 기반한 시아나이드-
무함유 전해질
구리 (II).............0.25 mol/l - 0.35 mol/l
주석 (II)................0.10 mol/l - 0.20 mol/l
비스무쓰..................0.05 mol/l - 0.2 mol/l
유리산............0.8 mol/l - 2 mol/l
첨가제.....................5 g/l - 50 g/l
온도..............20℃ - 30℃
전류 밀도...............0.5 A/dm2 - 3 A/dm2
실시예 4: Cu-Sn-Sb-Pb 합금의 용착을 위한 테트라플루오로붕산에 기반한
시아나이드-무함유 전해질
구리 (II).............0.25 mol/l - 0.35 mol/l
주석 (II)................0.10 mol/l - 0.20 mol/l
안티몬 (III)..........0.02 mol/l - 0.10 mol/l
납 (II)..................0.05 mol/l - 0.5 mol/l
유리산............0.8 mol/l - 2 mol/l
첨가제.....................5 g/l - 50 g/l
온도..............20℃ - 30℃
전류 밀도...............0.5 A/dm2 - 3 A/dm2
실시예 5: Cu-Sn-In 합금의 용착을 위한 파이로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
이트에 기반한 시아나이드-무함유 전해질
구리 (II).............0.10 mol/l - 0.40 mol/l
주석 (II)................0.05 mol/l - 0.50 mol/l
인듐..................0.05 mol/l - 0.50 mol/l
pH 값................8 - 10
첨가제.....................0.5 g/l - 50 g/l
온도..............40℃ - 80℃
전류 밀도...............0.5 A/dm2 - 5 A/dm2
전해질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전해질은 또한 용착될 금속의 염에 더하여 유기 화합물도 함유한다. 특히, 시아나이드 전해질의 경우 후자는 시트레이트 또는 타르트레이트와 같은 폴리카르복실산염이고, 시아나이드산 무함유 전해질의 경우 후자는 나프톨 또는 나프톨 유도체 또는 티오 화합물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초점은 보다 광범한 배쓰 변수를 포괄할 수 있다.
다음의 염들은 금속을 용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리는 구리(II)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구리(II)메탄 설포네이트, 구리(II)설페이트, 구리(II)파이로포스페이트, 구리(I)시아나이드, 히드록시 및/또는 아미노포스폰산의 구리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질 중의 구리의 농도는 0.05 mol/l 내지 1 mol/l일 수 있다.
주석은 주석(II)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주석(II)메탄 설포네이트, 주석(II)설페이트, 주석(II)파이로포스페이트, 소듐 스타네이트, 포타슘 스타네이트, 히드록시 및/또는 아미노포스폰산의 주석(II)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질 중의 주석의 농도는 최대 0.5 mol/l이다.
아연은 아연(II)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아연(II)메탄 설포네이트, 아연(II)설페이트, 아연(II)파이로포스페이트, 아연 옥사이드, 아연 시아나이드, 히드록시- 및/또는 아미노 포스폰산의 아연(II)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전해질 중의 아연의 농도는 최대 0.5 mol/l이다.
규소는 분말로서 첨가되거나 또는 예컨대 탄화규소의 형태로 전해질에 첨가되어 분산층을 형성할 수 있다.
게르마늄은 게르마늄 옥사이드 또는 소듐 또는 포타슘 게르마네이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질 중의 게르마늄의 농도는 최대 0.5 mol/l이다.
인듐은 인듐 옥사이드, 인듐 시아나이드, 인듐 설페이트, 인듐 플루오로보레이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질 중의 인듐의 농도는 최대 0.5 mol/l이다.
니켈은 니켈(II)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니켈(II)메탄 설포네이트, 니켈(II)설페이트, 암모늄 니켈 설페이트, 니켈(II)클로라이드, 니켈(II)파이로포스페이트, 니켈(II)옥사이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질 중의 니켈의 농도는 최대 1 mol/l이다.
망간, 코발트 및 철은 니켈과 동일한 형태 및 동일한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비스무쓰는 비스무쓰 트리플루오라이드, 비스무쓰(III)메탄 설포네이트, 비스무쓰(III)설페이트, 비스무쓰(III)파이로포스페이트, 비스무쓰 옥사이드, 소듐 또는 포타슘 비스무테이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질 중의 비스무쓰의 농도는 최대 0.5 mol/l이다.
납은 납(II)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납(II)메탄 설포네이트, 납(II)파이로포스페이트, 납 아세테이트, 납(II)옥사이드, 소듐 또는 포타슘 플럼베이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질 중의 납의 농도는 최대 0.3 mol/l일 수 있다.
안티몬은 안티몬(III)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안티몬 트리플루오라이드, 안티몬(III)옥사이드, 포타슘 안티몬 타르트레이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질 중의 안티몬의 농도는 최대 0.2 mol/l이다.
은은 시아나이드, 알칼리 은 시아나이드, 은 메탄 설포네이트, 은 니트레이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질 중의 은의 농도는 최대 0.5 mol/l일 수 있다.
인은 인산, 알칼리 포스파이트, 알칼리 하이포포스파이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 농도는 최대 2 mol/L이다.
셀레늄은 셀레늄 디옥사이드, 알칼리 셀레네이트 또는 알칼리 셀레나이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질 중의 셀레늄의 농도는 0.05 mmol/l 내지 5 mmol/l이다.
염 또는 착화제를 전도하는 가능한 안정화제 또는 지지 전해질의 예로는: 알칼리 시아나이드, 알칼리 히드록사이드, 테트라플루오로붕산, 히드로플루오르산, 메탄 설폰산, 타르타르산 및 그의 알칼리 및 암모늄염, 시트르산 및 그의 알칼리 및 암모늄염, 암모늄 및 알칼리 파이로포스페이트, 포스폰산, 그의 알칼리 및 암모늄염, 2,2-에틸렌 디티오디에탄올, 히단토인 및 그의 유도체, 숙신이미드 및 그의 유도체, 페놀 및 크레졸 설폰산을 들 수 있으며, 그의 총농도는 0.1 mol/l 및 2 mol/l이다.
시아나이드-무함유 전해질 중의 가능한 산화 억제제는: 레조르신, 히드로퀴논, 파리오카네콜, 파이로갈롤, 포름알데히드, 메탄올이며 그 총 농도는 0.03 mol/l 내지 0.3 mol/l이다.
가능한 첨가제는: 총 농도 0.0005 mol/l 내지 0.05 mol/l, 좋기로는 0.002 mol/l 내지 0.02 mol/l의 페놀프탈레인, 티오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 티오우레아 및 그의 유도체, 알파 또는 베타 나프톨 및 그의 에톡실레이트, 알파 및 베타 나프톨 설폰산 및 그들의 에톡실레이트, o-톨루이딘, 히드록실 키놀린, 리그노설포네이트, 부틴디올, 및 총농도 0 g/l - 50 g/l의 젤라틴, 글루, 비이온성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아미노 화합물, 예컨대 C8-C20-아미도프로필아민 및 그의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의 기능성 유도체, 펩톤, 글리신이다.
전해질의 전술한 성분들의 혼합물 역시 사용가능하다. 즉, 예컨대 하나 또는 각각의 금속의 적어도 2종의 염 및/또는 적어도 2종의 안정화제 및/또는 적어도 2종의 산화 억제제 및/또는 적어도 2종의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안전상의 이유로 시아나이드-함유 전해질은 알칼리 염 또는 예비혼합물로부터만 제조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합금 원소들은 전술한, 가용성 화합물 또는 착물의 형태로 대응하는 전해질에 첨가될 수 있으며 후자와 용착된다. 마찬가지로, 원소들을 층내로 확산시키거나 또는 전해질 중에 현탁된 입자들을 공-용착시킴으로써 합금을 형성할 수도 있다.
갈바닉 용착에 더하여 구리계 합금 또는 안티프레팅층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들도 이용가능하다. 예컨대, 구리계 합금을 주조하여 그의 스트립을 기판 상에 권취할 수 있다. 그러나, 기판 상에 직접 주조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스트립을 형성하는 부가적인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기본적으로 종래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관하여는 종래기술을 참조한다.
그러나, PVD법, 예컨대 스퍼터링, 증기증착, CVD법, 이온 임플랜테이션 공정, 플레임 스프레이 및 플라즈마 스프레이법, 주조법, 소결법 또는 도금법 역시도 안티프레팅층 5 또는 그의 변형체를 제조하거나 또는 예컨대 이온 임플랜테이션 공정 등에 의한 그의 변형을 위하여 이용가능하다.
해당 안티프레팅층 5의 용착은 이미 예비성형된 다층 평베어링 1 상에, 즉, 예컨대 평베어링 쉘 상에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범위에서 안티프레팅층 5는 평평한 기판 스트립, 예컨대 강철 스트립 상에 용착될 수 있으며, 후속 생산 단계에서는, 예컨대 압연 등에 의한 마감된 다층 평베어링 1로의 기계적 성형공정만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기 표 1에 주어진 조성을 갖는 안티프레팅층 5를 제조하였다. 하기 조성의 데이터는 중량% 단위이다. 100 중량%가 되게 하는 잔량은 각각의 경우 구리의 양이다.
Figure 112012094154538-pct00001
Figure 112012094154538-pct00002
비교를 위하여 CuSn 합금을 GB 2315301 A1에 따라 강철 상에 제조하고 (실시예 37 내지 40) WO 02/48563 A1 (실시예 41)에 따라 Ti 커넥팅 막대 상에 제조하였다. 표 2에 나타낸 조성은 중량% 단위이다.
Figure 112012094154538-pct00003
테스트 결과 적어도 본 발명에 따른 삼성분계(ternary) CuSn 합금은 종래기술에 따른 CuSn 합금보다 훨씬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실린더형 스탬프 (하우징 보어를 나타냄)를 대응하는 재료 (후면 베어링을 나타냄)로 코팅된 플레이트 상에 10 MPa의 압력으로 가압하였다. 접촉 부분을 오일 처리하였다. 스탬프와 플레이트를 10 Hz의 주파수에서 0.1 mm 진폭의 상대적 움직임에 노출시켰다. 이 모든 시도는 120℃에서 1,000,000회 이상의 상대적 움직임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시도 종료 후 플레이트와 스탬프 상의 접점들을 시험하였다. 모든 샘플에서 접촉 표면 상에 오일 탄소가 형성되었다. 손상 수준을 1-무손상 및 10-심각한 프레팅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요약하였다.
Figure 112012094154538-pct00004
서로 다른 스탬프 재료 (예컨대 강철 주조 철, 알루미늄, 티타늄) 및 표면 (그라운드, 숏-피닝형 등)에 대하여, 그리고 코팅되지 않은 플레이트와 여러가지 표면을갖는 플레이트에 대하여 테스트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압력, 진폭, 온도 및 윤활유와 같은 테스트 변수들은 가변적이었다. 얻어진 결과와 엔진 트라이얼 및 필드로부터의 부품에 대한 테스트 결과 간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안티프레팅층 5 및 종래기술에 따른 모든 테스트된 층들은 코팅되지 않은 재료에 비해 프레팅 공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놀라운 것은 아니므로 이것의 개별적인 결과는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다루지 않는다. 평가 점수는 우수한 코팅과 덜 우수한 코팅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9점 또는 10점 (심각한 프레팅)으로 평가된 코팅된 테스트 부분이 강철 플레이트에 대한 강철 플레이트나 또는 강철 스탬프에 대한 티타늄 플레이트와 같이 코팅되지 않은 테스트 쌍에 비해 일반적으로 훨씬 덜 손상받았음이 강조되어야 한다.
가장 놀라운 것은 본 발명의 항프레팅층 5의 경우 종래기술에 따른 층들에 비하여, 프레팅에 의한 손상의 감소가 더욱 현저하였다는 것이다.
전술한 양의 범위에서 안티프레팅층 5의 2성분계 합금은 4 내지 6점으로 평가된다.
안티프레팅층 5의 변형예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하면 안티프레팅층은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두께가 2 ㎛ 내지 100 ㎛, 좋기로는 3 ㎛ 내지 30 ㎛, 특히 4 ㎛ 내지 15 ㎛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티프레팅층 5는 층 두께가 지지층 또는 지지층과 안티프레팅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중간층의 조도 Rz의 적어도 50 %, 특히 적어도 150 %, 및 최대 1,000 %, 좋기로는 최대 300 %이다.
이에 대한 테스트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요약하였다.
Figure 112012094154538-pct00005
좋기로는, 전술한 이유로 안티프레팅층 5는 3 Pond의 테스트 로드에서 비커스 마이크로 경도가 HV 200 내지 HV 500, 좋기로는 HV 230 내지 HV 400, 특히 HV 250 내지 HV 350인 것이 바람직하다.
X선 회절 연구 결과 구리 혼합 결정립의 입도가 5 nm 초과, 좋기로는 10 nm 초과, 더욱 좋기로는 50 nm를 초과하면 안티프레팅층 5의 특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티프레팅층 5의 XRD 측정 결과, 구리계 합금은 본질적으로 금속간 페이즈가 존재하지 않고 구리 결정 격자와 혼합된 결정으로서 나타날 경우 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남으로 해서, 만일 상기 구리계 합금이 격자 상수 0.3630 nm 내지 0.3750 nm인 구리 혼합 결정으로 만들어질 경우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전술한 이유로, 안티프레팅층 5는 안티프레팅층 5보다 더 소프트한 코팅을 가질 수도 있으며, 여기서 상기 코팅은 좋기로는 주석, 납, 비스무쓰, 폴리머계 마찰방지 도료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상, 모든 마찰방지용 도료는 평베어링 분야에 알려진 것들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그러나 좋기로는, 건조 상태에서 40 중량% 내지 45 중량% MoS2, 20 중량% 내지 25 중량% 흑연 및 30 중량% 내지 40 중량% 폴리아미드 이미드로 구성된 마찰방지용 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필요한 경우 예컨대 옥사이드, 니트라이드 또는 카바이드와 같은 경질 입자들이 마찰방지용 도료 중에 그 총량이 최대 20 중량%의 비율로 포함되어, 고형 윤활제 비율을 대체할 수 있다.
다층 평베어링 1의 구조의 보다 용이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층 평베어링 또는 그의 부품들의 일부를 사실상의 스케일로 나타내지 않고 그 크기를 확대 및/또는 축소하였음을 밝혀둔다.
1. 다층 평베어링
2. 지지층
3. 마찰방지층
4. 전면부
5. 안티프레팅층
6. 후면부
7. 베어링 금속층

Claims (28)

  1. 지지층 (2), 전면부 (4)에 배치된 마찰방지층 (3) 및 후면부 (6)에 배치되어 있고 구리 혼합 결정립과의 구리계 합금으로 만들어진 안티프레팅층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지하고자 하는 부재에 면한 전면부 (4) 및 그와 반대면의 후면부 (6)을 갖는 다층 평베어링 (1)로서, 여기서 상기 안티프레팅층 (5)의 구리계 합금은 알루미늄, 인듐, 규소, 게르마늄, 안티몬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합금 원소와의 2성분계 합금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알루미늄, 아연, 인듐, 규소, 게르마늄, 주석, 안티몬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합금 원소 및 상기 군 및/또는 니켈, 코발트, 철, 망간, 비스무쓰, 납, 은, 인의 부가적인 군과의 적어도 3성분계 합금에 의하여 형성되며, 제조 과정에 기인하는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이들 합금 원소들의 총 비율은 적어도 1 중량% 이상 및 최대 30 중량%이며,
    단, 구리계 합금이 철, 니켈, 납 및 아연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할 경우,
    구리계 합금 중의 철의 비율은 0.2 중량% 내지 5 중량%이고,
    구리계 합금 중의 니켈의 비율은 0.5 중량% 내지 5 중량%이며,
    구리계 합금 중의 납의 비율은 1 중량% 내지 25 중량%이고,
    구리계 합금 중의 아연의 비율은 0.5 중량% 내지 25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2.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 중의 주석의 비율은 5 중량% 내지 25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3.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중의 알루미늄의 비율은 2 중량% 내지 12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4.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 중의 규소의 비율은 2 중량% 내지 10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5.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 중의 게르마늄의 비율은 3 중량% 내지 15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6.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 중의 인듐의 비율은 0.2 중량% 내지 20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7.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 중의 아연의 비율은 1 중량% 내지 5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8.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 중의 망간의 비율은 0.2 중량% 및 5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9.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 중의 철의 비율은 0.2 중량% 내지 2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10.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 중의 니켈의 비율은 1 중량% 내지 3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11.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 중의 코발트의 비율은 0.2 중량% 내지 8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12.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 중의 비스무쓰의 비율은 1 중량% 내지 25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13.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 중의 납의 비율은 2 중량% 내지 15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14.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 중의 은의 비율은 1 중량% 내지 20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15.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 중의 안티몬의 비율은 0.2 중량% 내지 15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16. 제1항에 있어서, 인의 비율은 0.05 중량% 내지 0.3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셀레늄을 함유하며, 셀레늄의 비율은 최대 0.1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18. 제1항에 있어서, 망간, 철, 니켈 및 코발트의 총량은 최대 10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19.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은 희토류 금속, 크롬, 지르코늄, 티타늄 및 베릴륨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된 제3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1종의 원소를 총량 기준으로 0.001 중량%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더 함유하는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20. 제1항에 있어서, 구리계 합금 중 규소, 게르마늄, 인듐, 아연, 니켈, 코발트, 비스무쓰, 납 및 안티몬 중 1종 이상의 원소의 총 함량은 0.2 중량% 내지 20 중량%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21. 제1항에 있어서, 안티프레팅층 (5)는 층 두께가 2 ㎛ 및 100 ㎛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22. 제1항에 있어서, 안티프레팅층 (5)는 3 Pond의 테스트 로드에서 비커스 마이크로 경도가 HV 200 내지 HV 500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23. 제1항에 있어서, 구리 혼합 결정립의 입도는 5 nm 초과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24. 제1항에 있어서, 안티프레팅층 (5)는 금속간 페이즈를 갖지 않으며 XRD 측정시 구리 결정 격자와의 혼합 결정으로서 나타나는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25. 제24항에 있어서, 안티프레팅층 (5)는 격자 상수가 0.3630 nm 내지 0.3750 nm인 구리 혼합 결정으로 만들어진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26. 제1항에 있어서, 안티프레팅층 (5)는 층 두께가 지지층 (2)와 안티프레팅층 (5) 사이에 배치된 중간층 또는 지지층 (2)의 조도 (roughness) Rz의 적어도 50 % 및 최대 1,000 %인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안티프레팅층 (5)는, 상기안티프레팅층 (5)보다 소프트한 코팅을 더 갖는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주석, 납, 비스무쓰, 폴리머계 마찰방지용 도료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진 것인 다층 평베어링 (1).
KR1020127030000A 2010-04-15 2011-04-14 안티프레팅층을 갖는 다층 평베어링 KR101770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060210A AT509867B1 (de) 2010-04-15 2010-04-15 Mehrschichtgleitlager mit einer antifrettingschicht
ATA602/2010 2010-04-15
PCT/AT2011/000185 WO2011127513A1 (de) 2010-04-15 2011-04-14 Mehrschichtgleitlager mit einer antifrettingschic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982A KR20130092982A (ko) 2013-08-21
KR101770762B1 true KR101770762B1 (ko) 2017-08-23

Family

ID=4426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000A KR101770762B1 (ko) 2010-04-15 2011-04-14 안티프레팅층을 갖는 다층 평베어링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216169A1 (ko)
EP (1) EP2558617B1 (ko)
JP (1) JP5861184B2 (ko)
KR (1) KR101770762B1 (ko)
CN (1) CN102918182B (ko)
AT (1) AT509867B1 (ko)
NO (1) NO2558617T3 (ko)
WO (1) WO2011127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9459B1 (de) * 2010-04-15 2011-09-15 Miba Gleitlager Gmbh Antifrettingschicht
AT511432B1 (de) * 2012-01-20 2012-12-15 Miba Gleitlage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leitlagerelementes
US10309457B2 (en) 2012-03-27 2019-06-04 Senju Metal Industry Co., Ltd. Sliding member
CN102628123B (zh) * 2012-04-25 2014-03-26 苏州天兼金属新材料有限公司 一种风电装备用高传导高弹性合金棒的制备方法
EP2669399B1 (de) * 2012-06-01 2016-10-12 Oerlikon Metco AG, Wohlen Lagerteil, sowie thermisches Spritzverfahren
CN104755199B (zh) * 2012-10-25 2017-09-26 千住金属工业株式会社 滑动构件以及滑动构件的制造方法
WO2014125621A1 (ja) 2013-02-15 2014-08-21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及び摺動部材の製造方法
DE102013207782A1 (de) * 2013-04-29 2014-11-13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Hydrostatische Profilschienenführung
CN103276238B (zh) * 2013-07-01 2015-09-02 襄阳展升科技有限公司 一种铜基合金滑动轴承的制备方法
CN103290255B (zh) * 2013-07-01 2015-08-05 义乌市满旺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铜基合金滑动轴承
AT514427B1 (de) * 2013-07-05 2015-01-15 W Garhöfer Ges M B H Ing Elektrolytbad sowie damit erhältliche Objekte bzw. Artikel
JP5713073B2 (ja) * 2013-09-27 2015-05-07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及び摺動部材の製造方法
JP5713074B2 (ja) * 2013-09-27 2015-05-07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
US9586381B1 (en) * 2013-10-25 2017-03-07 Steriplate, LLC Metal plated object with biocidal properties
AT514941B1 (de) * 2013-12-23 2015-05-15 Miba Gleitlager Gmbh Mehrschichtgleitlager
DE102014207331B4 (de) * 2014-04-16 2017-01-26 Federal-Mogul Wiesbaden Gmbh Bleifreier CuNi2Si-Gleitlagerwerkstoff unter Zugabe eines spanbrechend wirkenden Metalls
AR100422A1 (es) * 2014-05-15 2016-10-05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Solución para deposición para conexión roscada para un caño o tubo y método de producción de la conexión roscada para un caño o tubo
DE102014217570A1 (de) * 2014-09-03 2016-03-03 Federal-Mogul Wiesbaden Gmbh Gleitlager oder Teil davo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nd Verwendung einer CuCrZr-Legierung als Gleitlagerwerkstoff
CN104228192B (zh) * 2014-09-20 2016-04-13 福建船政交通职业学院 铟铝复合球微晶复合层表面织构
CN104228190B (zh) * 2014-09-20 2016-04-13 福建船政交通职业学院 铟铁复合球微晶复合层表面织构
CN104228188B (zh) * 2014-09-20 2016-04-13 福建船政交通职业学院 铟铁网状球复合微晶复合层表面织构
CN104290396B (zh) * 2014-09-20 2016-09-07 福建船政交通职业学院 铟镁内凹微晶复合层
CN104228189B (zh) * 2014-09-20 2016-04-13 福建船政交通职业学院 铟铁复合球微晶复合层
CN104228191B (zh) * 2014-09-20 2016-04-13 福建船政交通职业学院 铟铝复合球微晶复合层
CN104228206B (zh) * 2014-09-20 2016-04-13 福建船政交通职业学院 铟铁网状球复合微晶复合层
AT516877B1 (de) 2015-02-19 2016-12-15 Miba Gleitlager Austria Gmbh Gleitlagerelement
WO2017090161A1 (ja) * 2015-11-26 2017-06-01 近藤 和夫 酸性銅めっき液、酸性銅めっき物および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
EP3192737B1 (en) * 2016-01-14 2020-12-02 Safran Landing Systems UK Limited Shock strut
WO2017156721A1 (zh) * 2016-03-16 2017-09-21 湖南特力新材料有限公司 一种超高强自润滑铜合金及其制备方法
CN105695793A (zh) * 2016-04-20 2016-06-22 苏州市相城区明达复合材料厂 一种铸造加工用高性能青铜合金
CN106282655A (zh) * 2016-08-09 2017-01-04 苏州金仓合金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高速铁路装备的锑锡锌青铜合金棒及其制备方法
DE102017105602B3 (de) * 2017-03-16 2018-05-17 Ks Gleitlager Gmbh Gleitlagerverbundwerkstoff mit einer metallischen Stützschicht und einer metallischen Lagermetallschicht
CN110446795B (zh) 2017-03-24 2021-06-04 株式会社Ihi 耐磨耗性铜锌合金以及使用其的机械装置
CN112879436B (zh) * 2017-07-21 2023-04-25 大丰工业株式会社 滑动构件以及滑动轴承
DK3460271T3 (da) * 2017-09-20 2020-08-31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Fluidfilmleje til en vindmølle
US20210078073A1 (en) * 2018-03-27 2021-03-18 Materion Corporation Copper alloy compositions having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and wear resistance
CN108715948A (zh) * 2018-06-22 2018-10-30 新乡市海山机械有限公司 一种铅青铜衬套及其制备方法
CN109266898B (zh) * 2018-11-21 2020-10-27 中航力源液压股份有限公司 一种航空液压泵摩擦副用铸造锡青铜及其熔炼方法
WO2020136772A1 (ja) * 2018-12-26 2020-07-02 株式会社明石合銅 鋳造用青銅合金及びその青銅合金を用いた摺動部材
AT522440B1 (de) * 2019-05-07 2020-11-15 Miba Gleitlager Austria Gmbh Mehrschichtgleitlagerelement
CN110055439A (zh) * 2019-06-06 2019-07-26 扬州好管家科技信息咨询有限公司 电子原器件制造用高塑性抗热裂黄铜合金及其制备工艺
CN110454535A (zh) * 2019-08-08 2019-11-15 扬州福克斯减震器有限公司 限流式阻尼力值可调减震器
CN110592407A (zh) * 2019-10-22 2019-12-20 江西省科学院应用物理研究所 一种Cu-Al-Sb导电合金的制备方法
DE102021110301A1 (de) * 2021-04-22 2022-10-27 Ks Gleitlager Gmbh Kupfer-Zinn-Stranggusslegierung
CN113506666A (zh) * 2021-06-28 2021-10-15 福建船政交通职业学院 铟铁复合凸点微晶磁轭
JP7436071B1 (ja) 2022-11-25 2024-02-21 株式会社シミズ 非シアン真鍮めっき浴およびめっき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7720A (ja) * 2006-03-30 2007-10-25 Miba Gleitlager Gmbh 軸受要素用滑り層および軸受要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54355A (en) * 1942-03-24 1943-06-30 Vandervell Products Ltd An improved means for preventing or obviating the effect of "fretting" between adjoining metal surfaces
GB556248A (en) * 1942-03-24 1943-09-27 Vandervell Products Ltd Improvements in multi-ply bearings
US3644105A (en) * 1970-03-03 1972-02-22 Clevite Corp Multilayer bearing
JP2595386B2 (ja) * 1991-02-20 1997-04-02 大同メタル工業 株式会社 高速用多層摺動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DE4121994C2 (de) * 1991-07-03 1995-06-08 Wieland Werk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upfer-Nickel-Zinn-Legierung sowie ihre Verwendung
US5312696A (en) * 1991-09-16 1994-05-17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for reducing fretting wear between contacting surfaces
AT399544B (de) * 1993-12-21 1995-05-26 Miba Gleitlager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leitlagers
JPH1030639A (ja) 1996-07-15 1998-02-03 Daido Metal Co Ltd すべり軸受の軸受構造
US5803614A (en) * 1996-07-15 1998-09-08 Daido Metal Company, Ltd. Bearing structure of sliding bearing
KR100369456B1 (ko) * 1998-02-24 2003-01-24 타이호 코교 가부시끼가이샤 내연기관용 미끄럼베어링
JP2001132754A (ja) * 1999-11-04 2001-05-18 Daido Metal Co Ltd 多層すべり軸受
DE10062876C1 (de) 2000-12-16 2002-04-18 Ks Gleitlager Gmbh Pleuellagerschale
DE102004038191A1 (de) * 2004-08-06 2006-03-16 Ks Gleitlager Gmbh Gleitlagerverbundwerkstoff
EP1637754A1 (de) * 2004-09-17 2006-03-22 ThyssenKrupp Automotive AG Lagervorrichtung
JP4547577B2 (ja) * 2004-11-30 2010-09-22 大豊工業株式会社 摺動材料とその製造方法
JP4195455B2 (ja) * 2005-03-25 2008-12-10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
DE102005015467C5 (de) * 2005-04-04 2024-02-29 Diehl Brass Solutions Stiftung & Co. Kg Verwendung einer Kupfer-Zink-Legierung
DE102006019826B3 (de) * 2006-04-28 2007-08-09 Wieland-Werke Ag Bandförmiger Werkstoffverbund und dessen Verwendung, Verbundgleitelement
DE102006060021A1 (de) * 2006-12-19 2008-06-26 Ecka Granulate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ochbelastbaren Beschichtung und deren Verwendung
KR101265391B1 (ko) * 2007-05-15 2013-05-20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b 프리 구리 합금 슬라이딩 재료 및 미끄럼 베어링
AT506641B1 (de) * 2008-04-07 2011-01-15 Miba Gleitlager Gmbh Gleitla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7720A (ja) * 2006-03-30 2007-10-25 Miba Gleitlager Gmbh 軸受要素用滑り層および軸受要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509867A4 (de) 2011-12-15
EP2558617B1 (de) 2017-10-18
CN102918182A (zh) 2013-02-06
AT509867B1 (de) 2011-12-15
EP2558617A1 (de) 2013-02-20
US20130216169A1 (en) 2013-08-22
NO2558617T3 (ko) 2018-03-17
WO2011127513A1 (de) 2011-10-20
KR20130092982A (ko) 2013-08-21
JP2013534963A (ja) 2013-09-09
JP5861184B2 (ja) 2016-02-16
CN102918182B (zh)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762B1 (ko) 안티프레팅층을 갖는 다층 평베어링
KR101786763B1 (ko) 안티프레팅층
JP2013534963A5 (ko)
JP5721836B2 (ja) 摺動構成部品用層状複合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JP5292279B2 (ja) すべり軸受
JP3249774B2 (ja) 摺動部材
US7455458B2 (en) Bearings
JP3570607B2 (ja) 摺動部材
EP2097254B1 (en) Sliding bearing
KR102278654B1 (ko) 다층 미끄럼 베어링
JPH10330871A (ja) 摺動部材
JPH11269580A (ja) 耐焼付性に優れたすべり軸受
JPH04331817A (ja) 複合めっき皮膜を有するすべり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