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322B1 -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322B1
KR101770322B1 KR1020127008589A KR20127008589A KR101770322B1 KR 101770322 B1 KR101770322 B1 KR 101770322B1 KR 1020127008589 A KR1020127008589 A KR 1020127008589A KR 20127008589 A KR20127008589 A KR 20127008589A KR 101770322 B1 KR101770322 B1 KR 101770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state
status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378A (ko
Inventor
전진영
윤지선
황상웅
곽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12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03B21/006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using L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08Direct viewing projectors, e.g. an image displayed on a video CRT or LCD display being projected on a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6/00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시스템은,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 환경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태조절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제1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회의 환경에 자동적이면서도, 적응적으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DISPLAY SYSTEM FOR MEETING ROO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의 환경에 적응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회의에 참석한 참석자들이 표시되는 영상을 공통으로 시청하면서 회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시스템에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소스제공기기로서, 데스크탑PC 또는 노트PC와 같은 사용자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시스템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사용자단말기 외에도, 회의에 참석한 참석자들에게 할당된 개별적인 사용자단말기 간의 상호 통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회의에 필요한 자료 등의 컨텐츠를 서로 공유하면서 회의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디스플레이시스템이 마련되는 회의실 등에는, 전등과 같은 조명기구, 커튼과 같은 차광기구 등의 주변기구가 이용된다. 따라서, 편리하고, 정숙한 회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주변기구가 회의 환경에 맞도록 적응적으로 조작될 필요가 있다.
또한, 회의에 참석한 참석자 간에 필요한 자료 등의 컨텐츠를 공유함에 있어서도, 이를 가능하게 하는 여러 사용자단말기 간의 상호 통신 환경도 자동적이면서, 적응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 환경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태조절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제1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단말기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사용자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 환경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단말기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단말기 간 기 설정된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종료상태로 조절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이 표시되는 주변 환경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태조절장치와;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영상처리장치와; 상기 영상처리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영상제공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 환경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상태조절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상태조절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영상제공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 환경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상태조절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영상제공장치와의 연결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제공장치와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종료상태로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가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개인용단말기에 있어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영상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 환경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상태조절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개인용단말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개인용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개인용단말기에 연결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개인용단말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 환경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용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개인용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를 상기 개인용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태조절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용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종료상태로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용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개인용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개인용단말기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용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개인용단말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개인용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개인용단말기와의 기 설정된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가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사용자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한 다양한 주변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1사용자단말기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1사용자단말기의 동작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시스템(10)은, 기업, 학교, 공공기관 등의 회의실과 같은 주어진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프로젝터, 전자칠판, TV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의 디스플레이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회의에 참석하는 여러 참석자가 다 함께 시청할 수 있도록 영상을 표시한다(도 1의 11 참조).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는 외부소스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 받는다. 디스플레이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장치(1)에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제1사용자단말기(4a; 이하, '영상제공장치' 혹은 '개인용단말기'라고도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용자단말기(4a)는 데스크탑PC, 노트PC, 스마트폰 등과 같은 컴퓨터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시스템(10)은 회의에 참석한 참석자들에게 적응적인 회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시스템(10)의 회의 환경을 조정하는 주변장치(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주변장치(2)는 회의실 내의 공간을 조명하는 전등과 같은 조명장치(도 4의 2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주변장치(2)는, 회의 환경이 적응적으로 변경되도록 외부에 제어에 따라 그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조명장치(2a)는 발광하는 광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시스템(10)은, 주변장치(2)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상태조절장치(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태조절장치(3)는 상태를 조절하고자 하는 주변장치(2)의 성질에 따라 대응적으로 마련된다. 예컨대, 조명장치(2a)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태조절장치(3)는 조명장치(2a)의 발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디밍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태조절장치(3)는 주변장치(2)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주변장치(2)에 상태조절명령을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10)에서는, 주변장치(2)의 상태가 회의 환경에 따라 자동적이면서도, 적응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상태조절장치(3)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사용자단말기(4a)가 상태조절장치(3)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사용자단말기(4a)는 디스플레이장치(1)와 초기 연결되는 경우에, 이러한 초기 환경에 대응하도록 상태조절장치(3)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사용자단말기(4a)와, 상태조절장치(3) 간의 통신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무선 LAN,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등 다양한 방식의 통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비어 있던 회의실에 회의 참석자들이 입장하여 회의를 시작하려고 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전등과 같은 조명장치(2a)는 꺼져 있는 상태이며, 제1사용자단말기(4a)와, 디스플레이장치(1) 간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회의 시작을 위해, 디스플레이장치(1)를 제1사용자단말기(4a)에 연결하면, 제1사용자단말기(4a)는, 디스플레이장치(1)와의 연결이 이루어졌었음을 알리는 정보(이하, '연결완료정보'라 함)를 상태조절장치(3)에 전송한다. 상태조절장치(3)는, 제1사용자단말기(4a)로부터 연결완료정보가 수신되면, 조명장치(2a)가 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초기상태에 이르도록 조명장치(2a)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2a)의 미리 설정된 상태는, 예컨대, 소정 밝기로 조명하는 상태 등일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2a)의 상태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속성에 따라 달리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의 종류, 즉 디스플레이장치(1)가 전자칠판인지, 아니면 프로젝터인지에 따라, 조명장치(2a)의 초기 밝기의 정도가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10)에 의하면, 제1사용자단말기(4a)와, 디스플레이장치(1) 간의 연결을 감지하여 회의 환경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주변장치(2)의 상태를 자동적이면서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적절한 회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사용자단말기(4a)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1사용자단말기(4a)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사용자단말기(4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41), 메인메모리(42), MCH(Memory controller hub, 43), ICH(I/O controller hub, 44), 디스플레이부(45), 그래픽 컨트롤러(46), 통신부(47), 저장부(48), 및 보조디바이스(49)를 포함할 수 있다.
CPU(41)는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메인메모리(42)에 로드되어 있는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메인메모리(42)는 CPU(41)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프로그램을 포함한, CPU(41)의 동작 수행에 관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본 실시예의 컴퓨터프로그램은, BIOS, 운영체제 및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BIOS는 도시되지 않은 비휘발성 메모리인 BIOS롬에 저장될 수 있으며, 운영체제와, 어플리케이션은, 예컨대, 하드디스크드라이브와 같은 저장부(48)에 저장될 수 있다. 메인메모리(42)는 휘발성메모리로서, 예컨대 DDR SDRAM(Double-data-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컨트롤러(46)는 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며, 디스플레이부(45)는 그래픽 컨트롤러(46)에 의해 처리되는 그래픽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45)는 LCD,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48)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휘발성의 메모리로서, 하드디스크드라이브, CD-ROM, DVD-RO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48)는 주변장치(2)의 조절 시 참조정보로서 주변장치(2)의 상태에 관한 설정정보(481)을 저장할 수 있다. 설정정보(481)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사용자단말기(4a)와 디스플레이장치(1)의 연결 시 주변장치(2)의 초기상태에 관한 정보이다. 본 실시에에서는, 제1사용자단말기(4a)는 디스플레이장치(1)와의 연결 시, 연결완료정보와 함께, 저장된 설정정보(481)를 상태조절장치(3)에 전송할 수 있다. 상태조절장치(3)는 제1사용자단말기(4a)로부터 전송된 설정정보(481)에 기초하여 주변장치(2)의 초기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주변장치(2)의 초기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는, 제1사용자단말기(4a)가 아닌 다른 장치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상태조절장치(3)에 자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태조절장치(3)는, 제1사용자단말기(4a)로부터 연결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저장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주변장치(2)의 초기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그 밖에, 보조디바이스(49)는 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USB 드라이브, 사운드카드, 스피커,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CH(43)는 CPU(41) 등 다른 구성과, 메인메모리(42) 간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를 인터페이스한다. ICH(44)는 CPU(41)와, 보조디바이스(49) 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통신부(47)는 CPU(41)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프로그램(이하, "제어프로그램"이라 함)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와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통신부(47)와 디스플레이장치(1) 간의 통신 방식은 무선 LAN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통신부(47)는 디스플레이장치(1)와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47)와 디스플레이장치(1)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47)를 통해서 표시될 영상의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장치(1)에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은, 통신부(47)와 디스플레이장치(1) 간 초기 연결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따라 상태조절장치(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은, 통신부(47)와, 디스플레이장치(1) 간 연결 시도 이후, 통신부(47)와, 디스플레이장치(1)의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301). 만일, 동작 301의 결과, 통신부(47)와, 디스플레이장치(1)의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302의 No), 동작 301이 계속적으로 수행된다.
반면, 동작 301의 결과, 통신부(47)와, 디스플레이장치(1)의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302의 Yes),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은, 주변장치(2)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상태조절장치(3)를 제어한다(303). 예컨대, 제1사용자단말기(4a)는, 디스플레이장치(1)와의 초기연결 완료 시, 연결완료정보를 상태조절장치(3)에 전송한다. 상태조절장치(3)는 제1사용자단말기(4a)로부터 연결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주변장치(2)의 상태를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한다. 이에 따라, 주변장치(2)는 회의 환경에 맞게끔 적응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동작 303에서,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은, 기 설정된 초기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저장부(48)에 저장된 설정정보(481)를 참조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사용자단말기(4a)는 연결완료정보와 함께, 저장된 설정정보(481)를 상태조절장치(3)에 전송할 수 있다. 상태조절장치(3)는 제1사용자단말기(4a)로부터 전송된 설정정보(481)에 기초하여 주변장치(2)의 상태를 조절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주변장치(2)의 초기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는 상태조절장치(3) 자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태조절장치(3)는 제1사용자단말기(4a)로부터 연결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저장된 설정정보에 따라 주변장치(2)의 상태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통신부(47)와, 디스플레이장치(1)의 연결 후,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은, 마련된 영상신호를 통신부(47)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로 전송한다(304).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는 전송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동작 304에서,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로 전송되는 영상신호가 미리 정해진 해상도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는 다른 실시예로서, 제1사용자단말기(4a)와, 디스플레이장치(1)의 연결은,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전송하는 경우, 당해 신호전송라인의 연결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신호전송라인은 그래픽 컨트롤러(46)에 마련된 신호출력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신호전송라인이 그래픽 컨트롤러(46)의 신호출력포트에 연결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따라 상태조절장치(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조절 가능한 주변장치(2)는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한 다양한 주변장치(2)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장치(2)는 앞서 언급한 조명장치(2a) 뿐만 아니라, 커튼 등과 같은 차광장치(2b), 프로젝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장치(2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장치(2b)와, 스크린장치(2c) 등은 조명장치(2a)와 마찬가지로, 회의 환경에 따라 그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초기상태로의 조절로서, 차광장치(2b)는 닫혀진 커튼이 소정 정도까지 걷히는 상태로 조절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스크린장치(2c)는 스크린이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영상이 올바르게 표시될 수 있도록 내려지는 상태일 수 있다.
상태조절장치(3)는, 하나의 장치로 마련되어 조명장치(2a), 차광장치(2b)와, 스크린장치(2c) 등을 모두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태조절장치(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태조절장치(3a, 3b 및 3c)를 포함하며, 각 상태조절장치(3a, 3b 및 3c)는 각 주변장치(2a, 2b 및 2c)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복수의 상태조절장치(3a, 3b 및 3c)의 경우, 제1사용자단말기(4a)는, 디스플레이장치(1)와의 연결 여부에 따라, 각 주변장치(2a, 2b 및 2c)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가 되도록 대응하는 상태조절장치(3a, 3b 및 3c)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사용자단말기(4a)는, 통신부(47)를 통한 상태조절장치(3a, 3b 및 3c)와의 통신을 통해 상태조절장치(3a, 3b 및 3c)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제1사용자단말기(4a)는, 상태조절장치(3a, 3b 및 3c)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각 상태조절장치(3a, 3b 및 3c)에 대응하는 전용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진 장치인터페이스부(50)를 더 포함하고, 장치인터페이스부(50)를 통해 상태조절장치(3a, 3b 및 3c)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사용자단말기(4a)는, 디스플레이장치(1)와의 초기 연결 시, 통신부(47) 대신 장치인터페이스부(50)를 통하여 연결완료정보를 상태조절장치(3a, 3b 및 3c)에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1사용자단말기(4a)와 연결되는 경우에, 영상 출력을 위한 구성의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1)는 프로젝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용자단말기(4a)와 통신을 수행하여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통신부(12), 통신부(12)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3), 신호처리부(13)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14), 영상출력부(14)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 및 상기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영상출력부(14)는 스크린에 영상을 출사하기 위하여, 광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광원부(도시 안됨) 및 광원부로부터의 광을 영상에 대응하도록 출사하는 광학부(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는 영상출력부(14)의 광원부 등에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가 제1사용자단말기(4a)와 연결되기 전에는 영상출력부(14)의 광원부 등으로의 동작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이다. 디스플레이제어부(15)는 제1사용자단말기(4a)와의 연결 여부에 따라 영상출력부(14)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제어부(15)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디스플레이제어부(15)는, 디스플레이통신부(12)와, 제1사용자단말기(4a) 간 연결 시도 이후, 디스플레이통신부(12)와, 제1사용자단말기(4a) 간의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601). 만일, 동작 601의 수행 결과, 디스플레이통신부(12)와, 제1사용자단말기(4a) 간의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602의 No), 동작 601이 계속적으로 수행된다.
반면, 동작 601의 수행 결과, 디스플레이통신부(12)와, 제1사용자단말기(4a) 간의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602의 Yes), 디스플레이제어부(15)는, 초기상태로서 영상출력부(14)의 구동이 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한다(603). 동작 603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제어부(15)는, 영상출력부(14)의 광원부 등에 동작전원의 공급이 개시되도록 전원공급부(16)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를 회의 환경에 따라 보다 적응적으로 동작하게끔 할 수 있어서, 전력 절감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통신부(12)와, 제1사용자단말기(4a) 간의 연결 후, 디스플레이제어부(15)는, 디스플레이통신부(12)를 통해 제1사용자단말기(4a)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한다(604). 디스플레이제어부(15)는 전송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출력부(14)에 의해 영상이 출력되도록 신호처리부(13)를 제어한다(605).
다른 실시예로서, 상태조절장치(3)의 제어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는 상태조절장치(3)의 제어에 필요한 상기 언급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제1사용자단말기(4a)는, 디스플레이장치(1)가 제1사용자단말기(4a)에 연결되는지를 확인하고, 연결된 경우 주변장치(2)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상태조절장치(3)의 제어를 요청하는 신호(이하, "제어요청신호"라 함)를 디스플레이장치(1)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제1사용자단말기(4a)로부터 제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제어요청신호에 따라 주변장치(2)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상태조절장치(3)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10)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의에 참석하는 참석자들의 복수의 사용자단말기(4) 간 회의 환경에 따른 적응적인 통신 환경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제1사용자단말기(4a)와, 디스플레이장치(1)가 연결되면(701),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은,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주위에 연결이 필요한 다른 사용자단말기(4b 및 4c)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702). 본 실시예의 다른 사용자단말기(4b 및 4c)는 제1사용자단말기(4a)와 같은 PC이거나, 휴대폰, PDA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만일, 동작 702의 수행 결과, 주위에 연결이 필요한 다른 사용자단말기(4b 및 4c)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703의 No), 동작 702가 계속적으로 수행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
반면, 동작 702의 수행 결과, 주위에 연결이 필요한 다른 사용자단말기(4b 및 4c)가 존재하는 경우(703),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은, 연결이 필요한 다른 사용자단말기(4b 및 4c)와의 연결을 개시한다(704). 제1사용자단말기(4a)와, 다른 사용자단말기(4b 및 4c) 간의 연결은 무선 LAN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한 연결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회의에 참석한 참석자들에 할당된 복수의 사용자단말기(4)의 통신 환경을, 회의 환경에 따라 자동적 및 적응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은, 연결된 다른 사용자단말기(4b 및 4c)와 미리 설정된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47)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미리 설정된 컨텐츠는 회의에 필요한 참조자료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또는 수신할 컨텐츠는, 저장부(48)에 저장된 설정정보(481)의 참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의 환경을 보다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10)의 추가적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의를 종료하는 경우 이에 따른 적응적인 회의 환경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사용자단말기(4a)와 디스플레이장치(1)는 연결된 상태이며, 주변장치(2)는, 예컨대 전등이 켜져 있는 등 소정의 회의 진행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와의 연결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801). 동작 801에 있어서, 제1사용자단말기(4a)와, 디스플레이장치(1)와의 연결 종료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전원 오프로 인한 디스플레이장치(1)와의 통신 연결을 종료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동작 801의 수행 결과, 디스플레이장치(1)와의 연결이 아직 종료되지 아니한 경우에는(802의 No), 동작 801이 계속적으로 수행된다.
반면, 동작 801의 수행 결과, 디스플레이장치(1)와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에는(802의 Yes),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은, 주변장치(2)가 미리 설정된 종료상태로 조절되도록 대응하는 상태조절장치(3)를 제어한다(803). 예컨대, 제1사용자단말기(4a)는 디스플레이장치(1)와의 연결 종료 시, 이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연결종료정보'라 함)를 상태조절장치(3)에 전송한다. 상태조절장치(3)는 제1사용자단말기(4a)로부터 연결종료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종료상태에 따라 상태조절장치(3)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의 종료상태로서, 예컨대, 전등과 같은 조명장치(2a)의 경우, 조명장치(2a)가 턴 오프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커튼과 같은 차광장치(2b)의 경우, 커튼이 닫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장치(2c)의 경우, 스크린이 올라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장치(2)는 회의 환경에 맞게끔 적응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동작 803에서, 제1사용자단말기(4a)의 제어프로그램은, 기 설정된 종료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저장부(48)에 저장된 설정정보(481)를 참조할 수 있다. 설정정보(481)는 주변장치(2)의 종료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사용자단말기(4a)는 디스플레이장치(1)와의 연결 종료 시, 연결종료정보와 함께 저장된 설정정보(481)를 상태조절장치(3)에 전송할 수 있다. 상태조절장치(3)는 제1사용자단말기(4a)로부터 수신된 설정정보(481)에 기초하여 주변장치(2)를 종료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주변장치(2)의 종료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는, 상태조절장치(3) 자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태조절장치(3)는 제1사용자단말기(4a)로부터 연결종료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주변장치(2)를 종료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태조절장치(3)의 제어를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제1사용자단말기(4a)가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시스템은,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제1사용자단말기와는 별도로, 상태조절장치(3)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장치(도시 안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장치는,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제1사용자단말기와, 디스플레이장치(1)가 연결 또는 연결 완료되는지를 감지하여, 그 여부에 따라 주변장치(2)가 대응하는 상태로 조절되도록 상태조절장치(3)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10a)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시스템(10a)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a)가 상태조절장치(3)의 제어를 수행한다. 디스플레이장치(1a)는, 상태조절장치(3)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에 더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사용자단말기(4a)에서의 상태조절장치(3)의 제어에 수반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a)는, 제1사용자단말기(4a)와 연결되거나,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 주변장치(2)가 대응하는 상태로 조절되도록 상태조절장치(3)를 제어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1a)는, 제1사용자단말기(4a)와의 연결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디스플레이장치(1a)는, 제1사용자단말기(4a)와의 연결 시, 이를 나타내는 연결완료정보를 상태조절장치(3)에 전송한다. 상태조절장치(3)는 디스플레이장치(1a)로부터 연결완료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초기상태에 따라 주변장치(2)의 상태를 조절한다. 미리 설정된 초기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a)에 저장되어, 디스플레이장치(1a)와, 제1사용자단말기(4a)와의 연결 시, 디스플레이장치(1a)로부터 상태조절장치(3)에 전송되거나, 혹은 상태조절장치(3) 자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a)는, 제1사용자단말기(4a)와의 연결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제1사용자단말기(4a)와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이를 나타내는 연결종료정보를 상태조절장치(3)에 전송한다. 상태조절장치(3)는 디스플레이장치(1a)로부터 연결종료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설정된 종료상태에 따라 주변장치(2)의 상태를 조절한다. 미리 설정된 종료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도 디스플레이장치(1a) 또는 상태조절장치(3)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a)가 수행하는 상태조절장치(3)의 제어에 있어서, 도 2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사용자단말기(4a)에 의한 상태조절장치(3)의 제어와 동일 내지는 유사한 그 밖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태조절장치(3)의 제어는 제1사용자단말기(4a)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사용자단말기(4a)는 상태조절장치(3)의 제어에 필요한 상기 언급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a)는, 제1사용자단말기(4a)가 디스플레이장치(1a)에 연결되는지를 확인하고, 연결된 경우 주변장치(2)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상태조절장치(3)의 제어를 요청하는 신호(이하, "제어요청신호"라 함)를 제1사용자단말기(4a)에 전송할 수 있다. 제1사용자단말기(4a)는 디스플레이장치(1a)로부터 제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제어요청신호에 따라 주변장치(2)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상태조절장치(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5에 도시된 프로젝터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1) 뿐만 아니라, LCD, PDP, O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LCD 등과 같은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도시 안됨)와, 상기 신호수신부에 의해 처리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도시 안됨)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도시 안됨)를 포함하는 TV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적응적 환경 제어에 관한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자칠판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전자칠판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에,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하여 사용자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도시 안됨)와,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되는 사용자 입력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도시 안됨)와,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 입력신호에 기초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도시 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전자칠판은, 도 5에 도시된 프로젝터 타입의 디스플레이장치(1) 뿐만 아니라,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Claims (38)

  1.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 환경을 조정하는 주변장치와;
    상기 주변장치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태조절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제1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는, 상기 기 설정된 초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기 설정된 초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속성에 따라 조절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단말기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단말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단말기와 기 설정된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종료상태로 조절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6.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사용자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 환경을 조정하는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가 상기 기 설정된 초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기 설정된 초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속성에 따라 조절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단말기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단말기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사용자단말기 간 기 설정된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종료상태로 조절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11.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이 표시되는 주변 환경을 조정하는 주변장치와;
    상기 주변장치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상태조절장치와;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영상처리장치와;
    상기 영상처리장치와 연결된 경우, 상기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상기 기 설정된 초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기 설정된 초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속성에 따라 조절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와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종료상태로 조절되도록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시스템.
  14.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영상제공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 환경을 조정하는 주변장치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상태조절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면, 상기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기 설정된 초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기 설정된 초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속성에 따라 조절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상태조절장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제공장치와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종료상태로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의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가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0.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영상제공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제공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 환경을 조정하는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기 설정된 초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된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기 설정된 초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속성에 따라 조절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상태조절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공장치와의 연결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제공장치와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종료상태로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제공장치로부터 상기 상태조절장치의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가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5. 개인용단말기에 있어서,
    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영상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 환경을 조정하는 주변장치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상태조절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통신부에 연결되면, 상기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인용단말기는, 상기 기 설정된 초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된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기 설정된 초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는 개인용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속성에 따라 조절되는 개인용단말기.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설정정보를 상기 상태조절장치로 전송하는 개인용단말기.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종료상태로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개인용단말기.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개인용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개인용단말기와의 연결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개인용단말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개인용단말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개인용단말기와 기 설정된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개인용단말기.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의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가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개인용단말기.
  32. 개인용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영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개인용단말기에 연결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개인용단말기에 연결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 환경을 조정하는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초기상태로 조절되도록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용단말기가 상기 기 설정된 초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개인용단말기에 연결된 경우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된 기 설정된 초기상태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용단말기의 제어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속성에 따라 조절되는 개인용단말기의 제어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에 관한 설정정보를 상기 개인용단말기로부터 상기 상태조절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용단말기의 제어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연결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가 기 설정된 종료상태로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용단말기의 제어방법.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개인용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개인용단말기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용단말기의 제어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개인용단말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개인용단말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개인용단말기와의 기 설정된 컨텐츠의 송신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용단말기의 제어방법.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상태조절장치의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장치의 상태가 조절되도록 상기 상태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용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27008589A 2009-10-30 2010-10-27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70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4152 2009-10-30
KR1020090104152 2009-10-30
PCT/KR2010/007408 WO2011052984A2 (en) 2009-10-30 2010-10-27 Display system for meeting room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378A KR20120112378A (ko) 2012-10-11
KR101770322B1 true KR101770322B1 (ko) 2017-08-22

Family

ID=4392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589A KR101770322B1 (ko) 2009-10-30 2010-10-27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13370B2 (ko)
EP (1) EP2494776B1 (ko)
KR (1) KR101770322B1 (ko)
CN (1) CN102598698B (ko)
WO (1) WO20110529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3693B2 (en) * 2013-02-27 2015-02-2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eting resources
KR20150079106A (ko) 2013-12-31 201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661080A (zh) * 2015-03-12 2015-05-27 重庆蓝岸通讯技术有限公司 基于Wi-Fi无线网络的多设备投影控制方法
CN105657387A (zh) * 2015-12-30 2016-06-08 上海创功通讯技术有限公司 投影方法及投影系统
US10075838B2 (en) 2016-11-28 2018-09-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mart discovery of wireless receivers
KR20210013690A (ko) * 2018-05-29 2021-02-05 소니 주식회사 프로젝터, 그 제어 방법 및 화상 시스템
CN113747215B (zh) * 2020-05-29 2023-11-14 明基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双显示区域的控制方法以及双显示区域的控制系统
CN114776981B (zh) * 2022-06-20 2022-09-06 四川创丰产融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企业孵化器公共会议室影音装置及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4807A1 (en) * 2002-05-28 2003-12-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presentation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555A (ja) * 2001-05-23 2002-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GB0211898D0 (en) * 2002-05-23 2002-07-0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ling ambient light
DE60323984D1 (de) * 2002-07-04 2008-11-2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von umgebungslicht und lichteinheit
KR100736498B1 (ko) * 2002-08-22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다종 엘시디 구동방법 및 장치
JP2006505865A (ja) * 2002-11-05 2006-02-16 スピークイージー,エルエルシー 環境制御機能を伴う統合情報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
GB0226292D0 (en) * 2002-11-12 2002-12-18 Autodesk Canada Inc Generating image data
US7236154B1 (en) * 2002-12-24 2007-06-26 Apple Inc. Computer light adjustment
US7434166B2 (en) * 2003-06-03 2008-10-0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Wireless presentation system
KR100636206B1 (ko) 2004-12-10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생성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주변기기 관리장치 및방법
US7366972B2 (en) * 2005-04-29 2008-04-29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ally mediating multimedia content and devices
US7699476B2 (en) 2006-09-20 2010-04-20 Fuji Xerox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photo-addressable ePaper environment
WO2008142603A2 (en) 2007-05-22 2008-11-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 V. Remote lighting contr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4807A1 (en) * 2002-05-28 2003-12-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presentation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02301A1 (en) 2011-05-05
CN102598698B (zh) 2016-10-12
WO2011052984A2 (en) 2011-05-05
KR20120112378A (ko) 2012-10-11
WO2011052984A3 (en) 2011-10-27
CN102598698A (zh) 2012-07-18
US9013370B2 (en) 2015-04-21
EP2494776B1 (en) 2019-10-16
EP2494776A2 (en) 2012-09-05
EP2494776A4 (en)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322B1 (ko)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81894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면 공유 방법
KR102350724B1 (ko)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19977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모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293909B2 (ja) バックライト輝度制御方法及び装置
EP2824936B1 (en) Projector, projector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jector control program
CN112004122B (zh) 电子装置以及其控制方法
US2018030112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thereof
KR20210137762A (ko) 플리커 현상을 경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50059915A (ko) 대형 벽면 환경과 연동 가능한 스마트 테이블을 이용한 대형 벽면 활용형 대화형 영상컨텐츠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580521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음량 조절 방법
KR20210100491A (ko)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TWM556390U (zh) 智慧型延伸顯示器識別資料模擬器
KR101659955B1 (ko)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4203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259304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838679B2 (en)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ystem
CN110232934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2024016175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00082845A1 (en) Display apparatus operated in multiple modes and mode changing method thereof
US2024006971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ui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2200187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28164A (ko)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TW202043989A (zh) 顯示裝置、連結於顯示裝置的硬體插件及顯示裝置控制方法
JP2010068088A (ja) リモコン、調整対象機器、及びリモコンによる調整値設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