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78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783A
KR20220018783A KR1020200099313A KR20200099313A KR20220018783A KR 20220018783 A KR20220018783 A KR 20220018783A KR 1020200099313 A KR1020200099313 A KR 1020200099313A KR 20200099313 A KR20200099313 A KR 20200099313A KR 20220018783 A KR20220018783 A KR 20220018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e
display device
content
display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화
권진아
박가민
서장원
이상준
김기태
이병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9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783A/ko
Priority to PCT/KR2021/010300 priority patent/WO2022031058A1/ko
Publication of KR20220018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22Control of the character-code memory
    • G09G5/227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resolution change between memory contents and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사용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외부 지지체에 거는 벽걸이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면에 세우는 스탠드 모드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하는 휴대 모드 중 하나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OR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방식으로 거치 가능하고, 사용 환경 및 배치 상태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컨텐츠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가 가능하고, 테이블에 거치하여 장시간 영상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시청 경험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환경 및 배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환경이 변경되어도 사용자가 경험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직접 변경해야 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환경 변경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가 즉각적으로 반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환경 및 배치 상태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할 필요 없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 및 표시 속성 변경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외부 지지체에 거는 벽걸이 모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면에 세우는 스탠드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하는 휴대 모드 중 하나이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 별로 상이한 종류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 별로 동일한 컨텐츠를 상이한 표시 속성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표시 속성은 상기 동일한 컨텐츠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크기, 오브젝트의 배치 레이아웃, 오브젝트의 개수, 오브젝트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벽걸이 모드 시에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제1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스탠드 모드 시에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휴대 모드 시에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제2 크기보다 작은 제3 크기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로 상태 또는 세로 상태로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각 상태에서의 컨텐츠의 표시 속성을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로 상태 또는 세로 상태로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각 상태에서의 컨텐츠를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뒷면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 지지체와 연결 가능한 연결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회전 가능한 형태의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외부 지지체가 연결되면 상기 벽걸이 모드라고 판단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회전되어 펼쳐지면 상기 스탠드 모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외부 지지체에 부착된 거치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거치대로부터 전원 및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 각도가 제1 범위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벽걸이 모드이고, 상기 회전 각도가 상기 제1 범위보다 작은 제2 범위인 상태가 상기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스탠드 모드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벽걸이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데코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 및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벽걸이 모드에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코 컨텐츠 중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스탠드 모드에서는 상기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휴대 모드에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웹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외부 지지체에 거는 벽걸이 모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면에 세우는 스탠드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하는 휴대 모드 중 하나이다.
이 경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 별로 상이한 종류의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 별로 동일한 컨텐츠를 상이한 표시 속성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 속성은 상기 동일한 컨텐츠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크기, 오브젝트의 배치 레이아웃, 오브젝트의 개수, 오브젝트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벽걸이 모드 시에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제1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스탠드 모드 시에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휴대 모드 시에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제2 크기보다 작은 제3 크기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로 상태 또는 세로 상태로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각 상태에서의 컨텐츠의 표시 속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로 상태 또는 세로 상태로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각 상태에서의 컨텐츠를 상이하게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뒷면에 마련되어 외부 지지체와 연결 가능한 연결 부재가 상기 외부 지지체와 연결되면 상기 벽걸이 모드라고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회전 가능한 형태의 지지 부재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회전되어 펼쳐지면 상기 스탠드 모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외부 지지체에 부착된 거치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거치대로부터 전원 및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 각도가 제1 범위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벽걸이 모드이고, 상기 회전 각도가 상기 제1 범위보다 작은 제2 범위인 상태가 상기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스탠드 모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벽걸이 모드에서는 저장부에 저장된 데코 컨텐츠 중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스탠드 모드에서는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휴대 모드에서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웹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사용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에 따라 동일한 컨텐츠가 상이한 표시 속성으로 표시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에 따라 동일한 컨텐츠가 상이한 표시 속성으로 표시되는 실시예 중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크기, 개수가 상이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에 따라 동일한 컨텐츠가 상이한 표시 속성으로 표시되는 실시예 중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종류가 상이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에 따라 상이한 컨텐츠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 모드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나의 사용 모드에 대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선택지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걸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걸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각 단계의 순서는 선행 단계가 논리적 및 시간적으로 반드시 후행 단계에 앞서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각 단계의 순서는 비제한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위와 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후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이 선행단계로 설명된 과정보다 앞서서 수행되더라도 개시의 본질에는 영향이 없으며 권리범위 역시 단계의 순서에 관계없이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의 각 실시 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설명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변경 또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독립적인 장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사용 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컨텐츠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시청 경험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벽과 같은 외부 지지체(10)에 걸어 사용하거나, 테이블에 거치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각의 사용 환경에 대응되는 사용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벽과 같은 외부 지지체(10)에 거는 벽걸이 모드(100-1),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바닥면에 세우는 스탠드 모드(100-2) 및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휴대하는 휴대 모드(100-3)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달력이나 스케줄러, 인터넷 브라우저와 같은 정보 전달 목적 컨텐츠, 장식을 위한 그림, 사진과 같은 데코 목적 컨텐츠, 또는 방송, 멀티미디어와 같은 시청 목적 컨텐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하나의 컨텐츠를 다양한 표시 속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속성은 컨텐츠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크기, 오브젝트의 배치 레이아웃, 오브젝트의 개수, 오브젝트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 모드 별로 상이한 종류의 컨텐츠를 표시하거나, 사용 모드 별로 동일한 컨텐츠를 상이한 표시 속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환경 변경이 감지되면, 해당 사용 환경에 대하여 사용자가 경험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 환경을 감지하고, 사용 모드에 따라 해당 사용 모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프로세서(120) 및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감지부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모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센서(130)의 센싱 결과 또는 외부 신호 수신 여부 등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모드가 벽걸이 모드, 스탠드 모드 및 휴대 모드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각 사용 모드에 대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컨텐츠 또는 초기 설정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뒷면에 마련된 연결 부재(140, 도 9 참고)에 의해 외부 지지체(10)에 부착된 거치대(11, 도 9 참고)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연결 부재(140)를 통해 거치대(11)로부터 전원 및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전원 및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걸이 모드(100-1)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150, 도 11 및 도 12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바닥면에 지지된 것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탠드 모드(100-2)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센서(130)를 통해 회전 및 이동을 감지하여 불규칙한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휴대 모드(100-3)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130)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센서(130)를 통해 감지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제1 범위, 예컨대 90도 내외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벽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걸이 모드(100-1)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제1 범위보다 작은 제2 범위, 예컨대 0도에서 90도 사이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테이블과 같은 바닥면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탠드 모드(100-2)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센서(130)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가로 상태 또는 세로 상태로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각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는 컨텐츠를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로 상태는 디스플레이(110)의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긴 형태로 배치된 상태이고, 세로 상태는 디스플레이(110)의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긴 형태로 배치된 상태이다. 가로 상태는 랜드스케이프(landscape) 자세로 지칭될 수 있고, 세로 상태는 포트레이트(portrait) 자세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모드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 및 표시 속성이 변경되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에 따라 동일한 컨텐츠가 상이한 표시 속성으로 표시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방송, 멀티미디어와 같은 시청 목적 컨텐츠를 편리하게 감상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벽과 같은 외부 지지체(10)에 걸어 벽걸이 모드(100-1)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벽걸이 모드(100-1)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청 목적 컨텐츠를 먼 거리에서 큰 화면으로 시청하기 위한 의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벽걸이 모드(100-1)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110)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환경을 변경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외부 지지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환경이 변경된 것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걸이 모드(100-1)로부터 휴대 모드(100-3)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 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표시 속성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휴대 모드(100-3)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디스플레이(110) 화면을 터치하여 제어할 수 있는 환경으로 판단하여,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편집 모드를 반영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표시되는 컨텐츠와 관련 있는 다른 컨텐츠를 추천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110)의 일 영역에 표시되거나, 컨텐츠에 대한 편집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아이콘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테이블과 같은 수평면에 거치하여 스탠드 모드(100-2)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환경이 변경된 것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휴대 모드(100-3)로부터 스탠드 모드(100-2)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 모드가 스탠드 모드(100-2)로 변경됨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표시 속성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스탠드 모드(100-2)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청 목적 컨텐츠를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큰 화면으로 시청하기 위한 의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탠드 모드(100-2)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110)에 전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 모드 변경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표시 속성 변경은 스탠드 모드(100-2)에서 휴대 모드(100-3), 휴대 모드(100-3)에서 벽걸이 모드(100-1), 또는 스탠드 모드(100-2)에서 벽걸이 모드(100-1)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 환경이 변경됨에 따라 각각의 사용 환경에 대해 사용자가 의도한 표시 속성을 반영한 컨텐츠를 즉각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는 표시 속성, 예를 들어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크기, 배치 레이아웃, 개수 또는 종류가 변경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에 따라 동일한 컨텐츠가 상이한 표시 속성으로 표시되는 실시예 중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크기, 개수가 상이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달력과 같은 정보 전달 목적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벽걸이 모드(100-1)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보 전달 목적 컨텐츠에 포함된 글자와 같은 오브젝트를 먼 거리에서도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큰 크기로 표시하고, 세부적인 내용보다는 전체적인 내용을 간결하게 파악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질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벽걸이 모드(100-1)에서 적은 개수의 오브젝트를 큰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걸이 모드(100-1)에서 달력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년도, 월, 일, 요일과 같은 전체적이고 간결한 정보만을 상대적으로 큰 글자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벽걸이 모드(100-1)에서는 달력의 일을 표시하는 오브젝트를 제1 크기로 표시할 수 있고, 스탠드 모드(100-2)에서는 동일한 오브젝트를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표시하고, 휴대 모드(100-3)에서는 제2 크기보다 작은 제3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스탠드 모드(100-2) 및 휴대 모드(100-3)에서의 오브젝트 표시는 이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스탠드 모드(100-2)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벽걸이 모드(100-1)에 비해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컨텐츠를 경험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정보 전달 목적 컨텐츠를 통해 보다 세부적인 내용을 파악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탠드 모드(100-2)에서 벽걸이 모드(100-1)에서보다 많은 개수의 오브젝트를 작은 크기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탠드 모드(100-2)에서 달력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일자에 스케줄을 표시하는 오브젝트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달력의 일을 표시하는 오브젝트를 벽걸이 모드(100-1)에서 표시된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표시하며, 동시에 스케줄을 표시하는 오브젝트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휴대 모드(100-3)에서 달력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탠드 모드(100-2)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접할 수 있으며 직접 디스플레이(110) 화면을 터치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달력 컨텐츠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편집 모드를 반영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휴대 모드(100-3)에서 달력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일자에 스케줄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표시하는 오브젝트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달력의 일을 표시하는 오브젝트를 스탠드 모드(100-2)에서 표시된 제2 크기보다 작은 제3 크기로 표시하며, 동시에 스케줄을 표시하는 오브젝트 및 스케줄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표시하는 오브젝트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 환경이 변경됨에 따라 각각의 사용 환경에 대해 사용자가 의도한 표시 속성을 반영한 컨텐츠, 즉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크기, 배치 레이아웃, 개수 등이 변경된 컨텐츠를 즉각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에 따라 동일한 컨텐츠가 상이한 표시 속성으로 표시되는 실시예 중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종류가 상이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조명과 같은 데코 목적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걸이 모드(100-1) 또는 스탠드 모드(100-2)에서 데코 목적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각각의 사용 환경에 대응되는 종류의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에 걸려있는 벽걸이 모드(100-1)에서 조명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경우, 벽에 걸려있는 형태의 조명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테이블 위에 거치된 스탠드 모드(100-2)에서 조명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경우, 테이블 위에 배치된 것과 같은 형태의 조명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 환경이 변경됨에 따라 각각의 사용 환경에 대응되는 표시 속성을 반영한 컨텐츠, 즉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종류가 변경된 컨텐츠를 즉각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에 따라 상이한 컨텐츠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각의 사용 모드 별로 상이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각의 사용 모드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환경 변경 시, 변경된 사용 모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즉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각각의 사용 모드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설정하는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8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 모드 변경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된 사용 모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로 즉각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고하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걸이 모드(100-1)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데코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160, 도 13 참고)에 저장된 데코 컨텐츠 중 하나를 표시하고, 스탠드 모드(100-2)에서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170, 도 13 참고)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며, 휴대 모드(100-3)에서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180, 도 13 참고)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웹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 환경이 변경됨에 따라 각각의 사용 환경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즉각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은 예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각각의 사용 모드에 대응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변경 후의 사용 모드에 대응되는 컨텐츠와 변경 전 사용 모드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동일하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일한 컨텐츠에 대하여 변경 사항 없이 표시하거나, 동일한 컨텐츠에 대하여 변경 후의 사용 모드에 대응되는 표시 속성을 반영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모드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를 지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모드 변경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 모드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 모드에 따라 표시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사용 모드에서 표시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벽걸이 모드, 스탠드 모드 및 휴대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벽걸이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벽걸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사용 모드에 대해 복수의 컨텐츠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 모드 변경이 감지되면 복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하나의 사용 모드에 대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선택지가 표시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 모드가 벽걸이 모드(100-1)에서 스탠드 모드(100-2)로 변경될 경우, 스탠드 모드(100-2)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 중 방송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아 스탠드 모드(100-2)에서 방송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각각의 사용 모드에서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된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걸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뒷면에 마련되어 외부 지지체(10)와 연결 가능한 연결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외부 지지체(10)에 벽걸이 형태로 걸기 위한 구성으로, 외부 지지체(10)에 부착된 거치대(1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140)에 형성된 홈 내부로 외부 지지체(10)로부터 돌출 형성된 거치대(11)가 인입되며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거치대(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연결 부재(140)는 외부 지지체(10)에 부착된 거치대(11)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결 부재(140)를 통해 거치대(11)로부터 전원 및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140)는 거치대(11)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전원 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거치대(11)와 연결 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결 부재(140)를 통해 거치대(11)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걸이 모드(100-1)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결 부재(140)를 통해 거치대(11)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벽걸이 모드(100-1)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걸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연결 부재(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거치대(11)에 행잉(hanging) 거치하는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배면에 외부 전원 및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전원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결합된 구성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분리된 별도의 구성일 수 있다.
지지 부재(15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결합된 구성인 경우, 지지 부재(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회전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측에 힌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바닥면에 대하여 형성하는 각도를 조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지지 부재(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부재(150)의 일 측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고, 타 측은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50)의 일 측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에 힌지 결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바닥면에 대하여 형성하는 각도를 조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를 판단(S1310)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외부 지지체에 거는 벽걸이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면에 세우는 스탠드 모드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하는 휴대 모드 중 하나일 수 있다. 사용 모드를 판단하는 동작과 관련하여서는 앞서 설명하였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S1320)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가 변경됨에 따라 각각의 사용 모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즉각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프로세서(120), 센서(130), 저장부(160), 튜너(165), 통신부(170), 사용자 인터페이스(175), 스피커(180) 및 마이크(18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 내지 축약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다양한 명령 또는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튜너(165)는 RF 신호의 형식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디지털 처리 가능한 TS(Transport Stream)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TS 신호는 디지털 처리가 가능한 신호이며, 예를 들어 D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지상파(Terrestrial), 케이블(Cable), 또는 위성(Satellite) 방송 시스템을 통해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70)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네트워크,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BT(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Wireless Fidelity Direct), Zigbee, NFC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 등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70)는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70)는 블루투스 칩, 와이파이 칩, 무선 통신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5)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75)는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다양한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5)가 디스플레이(110)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이 될 수 있다.
스피커(180)는 다양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재생되는 컨텐츠가 제공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185)는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음성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음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마이크(185)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STT(Speech to text)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기능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외부 지지체 11: 거치대
100: 디스플레이 장치 100-1: 벽걸이 모드
100-2: 스탠드 모드 100-3: 휴대 모드
110: 디스플레이 120: 프로세서
130: 센서 140: 연결 부재
150: 지지 부재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외부 지지체에 거는 벽걸이 모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면에 세우는 스탠드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하는 휴대 모드 중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 별로 상이한 종류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 별로 동일한 컨텐츠를 상이한 표시 속성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표시 속성은 상기 동일한 컨텐츠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크기, 오브젝트의 배치 레이아웃, 오브젝트의 개수, 오브젝트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벽걸이 모드 시에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제1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스탠드 모드 시에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휴대 모드 시에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제2 크기보다 작은 제3 크기로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로 상태 또는 세로 상태로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각 상태에서의 컨텐츠의 표시 속성을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로 상태 또는 세로 상태로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각 상태에서의 컨텐츠를 상이하게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뒷면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 지지체와 연결 가능한 연결 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회전 가능한 형태의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부재에 상기 외부 지지체가 연결되면 상기 벽걸이 모드라고 판단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회전되어 펼쳐지면 상기 스탠드 모드라고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외부 지지체에 부착된 거치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거치대로부터 전원 및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 각도가 제1 범위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벽걸이 모드이고, 상기 회전 각도가 상기 제1 범위보다 작은 제2 범위인 상태가 상기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스탠드 모드라고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걸이 모드에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데코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 및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벽걸이 모드에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코 컨텐츠 중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스탠드 모드에서는 상기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휴대 모드에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웹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외부 지지체에 거는 벽걸이 모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닥면에 세우는 스탠드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하는 휴대 모드 중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 별로 상이한 종류의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모드 별로 동일한 컨텐츠를 상이한 표시 속성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 속성은 상기 동일한 컨텐츠 내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크기, 오브젝트의 배치 레이아웃, 오브젝트의 개수, 오브젝트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벽걸이 모드 시에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제1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스탠드 모드 시에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로 표시하고, 상기 휴대 모드 시에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제2 크기보다 작은 제3 크기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로 상태 또는 세로 상태로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각 상태에서의 컨텐츠의 표시 속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로 상태 또는 세로 상태로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각 상태에서의 컨텐츠를 상이하게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뒷면에 마련되어 외부 지지체와 연결 가능한 연결 부재가 상기 외부 지지체와 연결되면 상기 벽걸이 모드라고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회전 가능한 형태의 지지 부재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회전되어 펼쳐지면 상기 스탠드 모드라고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외부 지지체에 부착된 거치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거치대로부터 전원 및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 각도가 제1 범위인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벽걸이 모드이고, 상기 회전 각도가 상기 제1 범위보다 작은 제2 범위인 상태가 상기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스탠드 모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벽걸이 모드에서는 저장부에 저장된 데코 컨텐츠 중 하나를 표시하고, 상기 스탠드 모드에서는 튜너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컨텐츠를 표시하며, 상기 휴대 모드에서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웹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099313A 2020-08-07 2020-08-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18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13A KR20220018783A (ko) 2020-08-07 2020-08-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CT/KR2021/010300 WO2022031058A1 (ko) 2020-08-07 2021-08-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13A KR20220018783A (ko) 2020-08-07 2020-08-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783A true KR20220018783A (ko) 2022-02-15

Family

ID=8011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313A KR20220018783A (ko) 2020-08-07 2020-08-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18783A (ko)
WO (1) WO20220310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518B1 (ko) * 2013-11-01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42036A (ko) * 2016-10-17 2018-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3510B1 (ko) * 2017-08-11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회전함에 따라 컨텐츠를 시각화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9153049A (ja) * 2018-03-02 2019-09-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564304B1 (ko) * 2018-12-31 2023-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1058A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0936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viewing experience on an intelligent terminal
US896385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7113389B (zh) 可折叠设备以及控制可折叠设备的方法
EP2720132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4248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brightness corresponding to variation of illumination
US20110193806A1 (en) Mobile terminal having multiple display units and data handling method for the same
JP5976632B2 (ja) 携帯端末機のgui提供方法及び装置
US20140325402A1 (en) User terminal device with p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2019211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10093327A (ko) 3개의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00082451A (ko)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CN112004122B (zh) 电子装置以及其控制方法
US20120274588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KR101770322B1 (ko)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97495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3119064A1 (en) Method for setting options and user device adapted thereto
US2015017797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of the same
US10284909B2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40306919A1 (en) Tablet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KR20140009713A (ko) 휴대 단말에 있어 터치입력창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AU2015312602A1 (en)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bended display unit and cover for executing application
US20100195064A1 (en) Mobile device having projector module and display method for data projected onto external display screen from the projector module
KR20150127777A (ko) 이동 단말에서 모션 기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US9807488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ear jack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on the same
KR20100082903A (ko) 휴대단말기의 전자문서 표시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