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036A -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036A
KR20180042036A KR1020160134598A KR20160134598A KR20180042036A KR 20180042036 A KR20180042036 A KR 20180042036A KR 1020160134598 A KR1020160134598 A KR 1020160134598A KR 20160134598 A KR20160134598 A KR 20160134598A KR 20180042036 A KR20180042036 A KR 20180042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support member
stand
cab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용
김하나
박준용
박지훈
추유나
황수현
노준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4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2036A/ko
Priority to US15/725,441 priority patent/US20180110145A1/en
Priority to CN201710963199.1A priority patent/CN107958635A/zh
Publication of KR20180042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3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folding, e.g. pivoting or scissors to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일 부분이 수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에 함몰되는 제1 수용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에 함몰되어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로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의 다른 일 부분이 삽입되며 상기 케이블의 다른 일 부분을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측면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결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설치면에 대해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탠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에 밀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콘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고 해상도화 및 대형화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그 두께도 점점 얇아지고 있으며, 무게도 가벼워지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벽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벽걸이 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바닥에 세워서 사용하는 스탠드 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여기서, 스탠드 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바닥에 세워질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탠드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최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벽걸이 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스탠드 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드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인해 벽걸이 형으로 사용하는 경우 벽에 밀착할 수 없거나, 스탠드를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제거하여 벽에 걸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유닛이 벽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벽과 일체화된 느낌을 사용자에게 주지 못하였으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하좌우 측을 통해 사용에게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벽에 밀착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스탠드 형 및 벽걸이 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스탠드 형 및 벽걸이 형으로 사용할 때 벽에 밀착하여 설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스탠드를 분리하지 않고 벽에 밀착하여 설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일 부분이 수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에 함몰되는 제1 수용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에 함몰되어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로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의 다른 일 부분이 삽입되며 상기 케이블의 다른 일 부분을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측면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결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설치면에 대해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바닥에 배치될 때, 상기 스탠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1 방향에서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에서 지지하거나,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오버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제1 방향에서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투명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바닥에 배치되도록 하는 제1 스탠드 모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바닥에 배치되되 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2 스탠드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벽에 걸려 밀착되도록 하는 월마운트 모드;로 설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가 상기 제1 스탠드 모드로 설정될 때,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제1 방향에서 지지하며,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제2 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가 상기 제2 스탠드 모드로 설정될 때,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제1 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가 상기 월마운트 모드로 설정될 때,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와 함께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상이한 제3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제1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오버랩될 때,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수용하도록 하부면에 마련되는 지지부재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측면에 마련된 상기 스탠드로 가이드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스탠드의 하부로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1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블의 두께에 대응되는 최소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면(inner surface)으로부터 돌출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투명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은 프레임;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마련된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의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면에 형성되는 제1 수용부; 월마운트를 수용하도록 배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케이블의 다른 일 부분이 삽입되도록 배면에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로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의 다른 일 부분을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일 측면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벽에 설치될 때, 상기 제1 수용부, 상기 제2 수용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된 배면의 일 부분 이외의 부분은 상기 벽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배면에 함몰 형성되는 홈(groov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블의 두께에 대응되는 최소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면(inner surface)으로부터 돌출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투명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드의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디스플레이 유닛을 벽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에 제2 수용부 및 제1 수용부가 마련되므로, 디스플레이 유닛을 벽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벽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벽과 일체화된 느낌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어 외관이 수려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탠드의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스탠드를 분리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유닛을 벽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바닥에 세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탠드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바닥에 세워진 채로 벽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벽에 밀착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벽에 밀착되어 설치되도록 월마운트에 의해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탠드가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콘텐트(content)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비디오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비디오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 뮤직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뮤직 파일, 포토 갤러리에서 표시되는 포토 파일, 웹 브라우저에서 표시되는 웹 페이지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는 수신되는 방송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트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 또는 실행되는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또는 웹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파일 및/또는 오디오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부에서 수신되는 콘텐트 또는 저장된 콘텐트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등)에 응답하여 실행되는 방송 신호, 비디오 파일, 오디오 파일,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 또는 웹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라는 용어는 동영상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콘텐트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구성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트는 하나의 콘텐트 또는 복수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데스크 탑(desk-top) OS(Operating System), 모바일 OS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OS에서 실행되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 시트, 연락처(contacts) 어플리케이션, 캘린더(calendar) 어플리케이션, 메모(memo) 어플리케이션, 알람(alarm) 어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 System) 어플리케이션, 채팅(chatting) 어플리케이션, 지도(Map) 어플리케이션, 뮤직 플레이어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서 다운로드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상측” 및 “하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바닥(102)에 세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스탠드(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콘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바닥(102)에 세워질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지지하는 스탠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슬림화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콘텐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사이드부(side portion)의 적어도 일 부분을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 프레임(112)은 투명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가 주변 환경과 일체화된 느낌을 주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콘텐트를 시각 및/또는 청각으로 출력하는 출력 장치 중 하나이며, 액정 패널, LED 패널 또는 유기 LE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스탠드(120)에 의해 바닥(102)에 세워지거나, 얇은 두께로 인해 월마운트(103, wall mount)에 의해 벽(10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벽(101)과 바닥(102)은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설치되는 면이므로, 설치면(101, 102)이라고도 볼 수 있다.
스탠드(12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하단부에 디스플레이 유닛(1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바닥(102)에 세워질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스탠드(12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바닥에 배치할 때,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넘어지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탠드(120)는 제1 지지부재(121)와, 제2 지지부재(12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12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스탠드(1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탠드(120)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배면(113)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탠드(12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바닥(102)에 세워질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탠드(120)는 투명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가 주변 환경에 대해 이질감이 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주변 환경과 일체화된 느낌을 줄 수 있다.
스탠드(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바닥(102)에 배치되어 바닥(102)에 세워져 있도록 하는 제1 스탠드 모드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바닥(102)에 배치되되 벽에 밀착되도록 설치된 제2 스탠드 모드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벽(101)에 걸려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월마운트 모드로 설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탠드(12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전방에서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121)와,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후방에서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126)와,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고정되는 연결부재(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1)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바닥에 배치될 때, 즉, 스탠드(120)가 제1 스탠드 모드 또는 제2 스탠드 모드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전방에서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면, 제1 지지부재(121)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걸이 형으로 사용되는 경우, 즉, 스탠드(120)가 월마운트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해 회전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재(121)는 벽(101)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1)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재(121)는 그 일 단부가 후술할 연결부재(12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 홈(121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재(121)는 연결부재 홈(121a)에 연결부재(128)의 일 부분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샤프트(122)가 제1 결합 공(121b)에 삽입됨에 따라 연결부재(12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121)는 연결부재(128)에 대한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 제한부(121aa)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제한부(121aa)는 제1 결합공(121b)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재(121)가 연결부재(128)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연결부재(128)의 내측 일 부분에 의해 그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재(121)는 회전 제한부(121aa)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하측 방향을 향하는 범위까지 회전할 수 있다.
반면, 제1 지지부재(121)가 연결부재(128)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128)의 선단부가 제1 지지부재(121)의 상면과 접촉함에 따라 제1 지지부재(121)의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재(121)는 연결부재(128)의 선단부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전방을 향하는 범위까지 회전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1)는 스탠드(120)가 제2 스탠드 모드 또는 월마운트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2 지지부재(126)를 수용하도록 하부면에 마련되는 지지부재 수용부(121d)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 수용부(121d)는 제2 지지부재(126)의 크기 및/또는 형상과 대응되는 크기 및/또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6)는 제1 지지부재(121)의 지지부재 수용부(121d)에 수용됨에 따라 제1 지지부재(121)와 오버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21)는 제2 지지부재(12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홈(121c)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홈(121c)은 지지부재 수용부(121d)의 내측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홈(121c)에는 후술할 제2 샤프트(127)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22)는 제1 지지부재(121)의 제1 결합 공(121b)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22)는 제1 지지부재(121)의 제1 결합 공(121b)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 단부가 샤프트 홀더(123)에 의해 제1 지지부재(12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샤프트(122)는 제1 지지부재(121)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1 지지부재(121)의 양 측단부에는 외관을 깔끔하게 하기 위해 결합되는 측면 커버(124)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6)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바닥에 배치될 때, 즉, 스탠드(120)가 제1 스탠드 모드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후방에서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지지부재(126)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바닥에 배치된 상태에서 벽에 밀착되는 경우, 즉, 스탠드(120)가 제2 스탠드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1 지지부재(121)에 오버랩되어 제1 지지부재(121)와 함께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전방에서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면, 제2 지지부재(126)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걸이 형으로 사용되는 경우, 즉, 스탠드(120)가 월마운트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해 회전하여 제1 지지부재(121)에 오버랩된 상태에서 제1 지지부재(121)와 함께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6)는 제1 지지부재(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재(126)는 제2 결합 공(126b)에 제2 샤프트(127)가 삽입되며, 제2 샤프트(127)의 양 단부는 제1 지지부재(121)에 마련된 결합 홈(121c)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6)는 스탠드(120)가 제1 스탠드 모드 또는 제2 스탠드 모드로 설정된 경우 연결부재(128)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안착부(126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지지부재(126)는 제1 지지부재(121)와 함께 연결부재(128)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6)는 제1 지지부재(121)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제1 지지부재(121)로부터 분리하여 다시 결합시킴에 따라 스탠드(120)가 제1 스탠드 모드 또는 제2 스탠드 모드로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연결부재(128)는 제3 결합 공(128b)이 형성된 일 부분이 제1 지지부재(121)의 연결부재 홈(121a)에 삽입된 후, 제1 샤프트(122)가 제1 지지부재(121)의 제1 결합 공(121b) 및 제3 결합 공(128b)을 관통함에 따라 제1 지지부재(12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128)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고정되도록 연결부재(128)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결합 홀(128a)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28)가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하단부에 마련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결합 홀(128a)에 나사 등과 같은 결합 부재가 연결부재(128)와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결합함에 따라 연결부재(128)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128)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제1 수용부(114)로부터 제1 가이드부(115)를 통해 안내된 케이블(C)을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하부로 계속해서 안내하기 위한 제2 가이드부(12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28c)는 제1 가이드부(115)와 같이 케이블(C)의 단면과 대략 유사한 크기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배면에 케이블(C)이 연결되더라도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벽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28)는 2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연결부재(128)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 스탠드(120)는 제2 지지부재(126)가 회전함에 따라 스탠드(120)의 모드가 변경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지지부재(126)의 동작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슬라이딩 이동 등에 의해서도 스탠드(120)의 모드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배면(113)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수용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14)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C)의 일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용부(114)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C)의 전원 케이블 커넥터(C1)가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114a)가 마련된 수용부(도 5에서 오른쪽에 도시된 제1 수용부)와, 셋톱 박스와 같은 외부기기(미도시)와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연결하기 위한 메인보드 케이블(C)의 메인보드 케이블 커넥터(C1)가 연결되는 메인보드 커넥터(114a)가 마련된 수용부(도 5에서 왼쪽에 도시된 제1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14)는 케이블(C)의 두께보다 큰 깊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수용부(114)는 케이블(C)의 두께에 대응되는 최소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14)는 제1 수용부(114)에 수용된 케이블(C)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하측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케이블(C)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15)는 케이블(C)의 제1 수용부(114)에 수용된 일 부분과 다른 일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15)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배면(113)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15)는 홈(groov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15)는 케이블(C)을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하단부에 마련된 스탠드(120)를 향해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15)는 케이블(C)의 단면의 형상과 대략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15)는 케이블(C)의 두께에 대응되는 최소 깊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제1 가이드부(115)는 케이블(C)이 제1 가이드부(115)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1 가이드부(115)의 내면(inner surface)으로부터 돌출되는 이탈 방지부(115a)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15a)는 제1 가이드부(115)를 따라 4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탈 방지부(115a)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15a)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배면(113)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일 단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배면(113)과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을 통해 케이블(C)은 제1 가이드부(115)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서는 제1 가이드부(115)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배면(113)에 함몰 형성되는 홈(groove)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가이드부(115)는 케이블(C)을 감싸도록 배면(113)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가이드부(115)는 돌출된 부분의 내측에 케이블(C)의 직격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중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벽(101) 사이에 케이블(C)이 지나갈 공간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벽(101)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연결되는 케이블(C)을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배면(113)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수용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용부(116)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벽걸이 형으로 사용되어 벽에 설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지지하는 월마운트(103)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수용부(116)는 월마운트(10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수용부(116)는 월마운트(103)의 두께에 대응되는 최소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수용부(116)의 내부에는 월마운트(103)가 결합되는 결합부(116a)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116a)는 베사(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VESA) 규격에 따라 4개 또는 그 이상의 베사 홀(VESA hole, 또는 베사 마운트 홀(VESA mount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베사 홀의 규격은 가로(width) X 세로(height)이고, 단위는 mm 이다. 베사 홀의 규격은 50 X 20, 75 X 35, 75 X 75, 75 X 50, 100 X 100, 100 X 50, 200 X 100, 200 X 50, 200 X 200 또는 200 X 200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베사 홀은 다각형 또는 "T" 형태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배면(113)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6a)는 이와 달리, 전용 월마운트(103)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부(116a)를 통해 월마운트(103)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벽(101)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수용부(116)는 월마운트(103)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미도시)이 마련되는 경우, 고정 브라켓도 함께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수용부(116)는 월마운트(103) 및 고정 브라켓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배면(113)에 함몰된 제1 수용부(114) 및 제2 수용부(116)를 가지므로, 벽(101)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벽(101)에 설치될 때, 제1 수용부(114), 제2 수용부(116) 및 제1 가이드부(115)가 형성된 배면(103)의 일 부분 이외의 부분이 모두 벽(101)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벽(101)이 일체화된 느낌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어 외관이 수려해지며,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배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외관이 깔끔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벽(101)에 설치하지 않고, 스탠드(120)에 의해 바닥에 세워지도록 설치할 때, 제2 수용부(116)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월마운트 커버(11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월마운트 커버(117)는 스탠드(120)가 제1 스탠드 모드로 설정될 때, 제2 수용부(116)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스탠드 형으로 사용되는 경우 제2 수용부(116)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바닥(102)에 세워진 채로 벽(101)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벽(101)에 밀착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벽에 밀착되어 설치되도록 월마운트에 의해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스탠드(120)가 디스플레이 유닛(1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의 다양한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스탠드(120)가 제1 스탠드 모드로 설정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바닥(102)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재(121)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전방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지지하고, 제2 지지부재(126)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지지할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스탠드(120)가 제2 스탠드 모드로 설정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바닥(102)에 세워지되 벽(101)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재(126)는 제1 지지부재(121)에 대해 회전하여 제1 지지부재(121)의 지지부재 수용부(121d)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재(126)는 제1 지지부재(121)에 오버랩되어 제1 지지부재(121)와 함께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전방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벽(101)에 걸 수 없는 곳이라도 디스플레이 유닛을 벽(101)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다.
다음,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스탠드(120)가 월마운트 모드로 설정됨에 따라, 월마운트(103)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벽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재(126)는 제1 지지부재(121)의 지지부재 수용부(121d)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지지부재(121)와 함께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부재(121)와 제2 지지부재(126)는 벽면에 밀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지지부재(121) 및/또는 제2 지지부재(126)는 투명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벽(101)이 투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는 주변 환경과 일체화된 느낌을 줄 수 있다.
다음,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으로부터 스탠드(120)를 제거한 상태로 벽(101)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탠드 형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벽걸이 형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벽(101)에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벽(101)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어 주변 환경으로부터 이질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관이 수려해질 수 있다.
아울러, 스탠드(120)의 제1 지지부재(121) 및 제2 지지부재(126)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스탠드(120)를 디스플레이 유닛(11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벽(101)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1; 벽
102; 바닥
110; 디스플레이 유닛
114; 제1 수용부
115; 제1 가이드부
116; 제2 수용부
120; 스탠드
121; 제1 지지부재
126; 제2 지지부재

Claims (20)

  1. 콘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일 부분이 수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에 함몰되는 제1 수용부를 갖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에 함몰되어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로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의 다른 일 부분이 삽입되며 상기 케이블의 다른 일 부분을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일 측면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결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설치면에 대해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바닥에 배치될 때, 상기 스탠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1 방향에서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에서 지지하거나,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오버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제1 방향에서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투명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바닥에 배치되도록 하는 제1 스탠드 모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바닥에 배치되되 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2 스탠드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벽에 걸려 밀착되도록 하는 월마운트 모드;로 설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가 상기 제1 스탠드 모드로 설정될 때,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제1 방향에서 지지하며,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제2 방향에서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가 상기 제2 스탠드 모드로 설정될 때,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제1 방향에서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가 상기 월마운트 모드로 설정될 때,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수용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와 함께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상이한 제3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제1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제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오버랩될 때,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수용하도록 하부면에 마련되는 지지부재 수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수용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측면에 마련된 상기 스탠드로 가이드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스탠드의 하부로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블의 두께에 대응되는 최소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면(inner surface)으로부터 돌출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투명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프레임;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마련된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의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면에 형성되는 제1 수용부;
    월마운트를 수용하도록 배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케이블의 다른 일 부분이 삽입되도록 배면에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로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의 다른 일 부분을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일 측면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벽에 설치될 때, 상기 제1 수용부, 상기 제2 수용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된 배면의 일 부분 이외의 부분은 상기 벽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배면에 함몰 형성되는 홈(groove)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유닛.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블의 두께에 대응되는 최소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가이드부의 내면(inner surface)으로부터 돌출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투명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KR1020160134598A 2016-10-17 2016-10-17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42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598A KR20180042036A (ko) 2016-10-17 2016-10-17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5/725,441 US20180110145A1 (en) 2016-10-17 2017-10-05 Display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710963199.1A CN107958635A (zh) 2016-10-17 2017-10-17 显示单元和具有该显示单元的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598A KR20180042036A (ko) 2016-10-17 2016-10-17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036A true KR20180042036A (ko) 2018-04-25

Family

ID=6190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598A KR20180042036A (ko) 2016-10-17 2016-10-17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110145A1 (ko)
KR (1) KR20180042036A (ko)
CN (1) CN1079586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1058A1 (ko) * 2020-08-07 2022-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8075B (zh) * 2019-09-02 2022-03-04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安装架及包括所述安装架的电池组件及储能系统
US11582878B2 (en) * 2019-10-16 2023-02-14 Vizio, Inc. Visual display stand
USD993202S1 (en) * 2019-12-26 2023-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886A (ja) * 2004-02-06 2005-08-18 Toshiba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26617B1 (ko) * 2004-03-12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050109109A (ko) * 2004-05-13 200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US20070033297A1 (en) * 2005-07-06 2007-02-08 Hsin-An Hsu All in one media center
TWM290258U (en) * 2005-11-25 2006-05-01 Inventec Corp Desk-mounting and wall-mounting display device
KR101253565B1 (ko) * 2009-09-22 201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4945668B2 (ja) * 2010-08-11 2012-06-06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EP2620806B1 (en) * 2012-01-30 2018-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detachable glass panel
EP2869159B1 (en) * 2013-10-31 2018-10-24 Airbus Operations GmbH Display device for an aircraft
US9280175B2 (en) * 2014-01-16 2016-03-08 Amx Llc Display device housing and form-fitted configuration
KR102214298B1 (ko) * 2016-10-06 202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1058A1 (ko) * 2020-08-07 2022-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10145A1 (en) 2018-04-19
CN107958635A (zh) 201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19070B (zh) 显示设备
KR20180042036A (ko) 디스플레이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EP3761292A1 (en) Image display device
US20040047115A1 (en) Display units
KR20150084575A (ko) 액정 디스플레이장치 및 듀얼 모니터 설치방법
KR100630973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210031286A (ko) 월마운트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57436B1 (ko) 스마트폰 장착이 가능한 보드북
US11692665B2 (en) Display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thereof
US20200349870A1 (en) Frame assembly for use with one or more electronic displays
JP4966402B2 (ja) テレビおよび電子機器
JPWO2019146333A1 (ja)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JP2011228759A (ja) 画像用フレーム
KR2021008637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JPH10275025A (ja) 情報処理装置
KR2022011098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US20080276505A1 (en) Backlit faceplate for data appliances and related methods
JP2003187329A (ja) 顧客対応業務端末装置
KR101330708B1 (ko) 컴퓨터용 모니터
US9655439B1 (en) Supporting rack
KR200405314Y1 (ko) 이중 디스플레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
JP5594249B2 (ja) 薄型表示装置
JP2013094274A (ja) デスク装置
JPH10275028A (ja) 情報処理装置
JP2015203707A (ja) 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