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157B1 -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157B1
KR101770157B1 KR1020170089591A KR20170089591A KR101770157B1 KR 101770157 B1 KR101770157 B1 KR 101770157B1 KR 1020170089591 A KR1020170089591 A KR 1020170089591A KR 20170089591 A KR20170089591 A KR 20170089591A KR 101770157 B1 KR101770157 B1 KR 101770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eiling plate
lamps
bulbs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철
Original Assignee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정이에프씨 filed Critical (주)세정이에프씨
Priority to KR1020170089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4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changing light source, e.g. turret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의 천정판의 다수 위치에 배치되며, 다수의 전등을 구비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전구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천정판 하부에 노출시키는 다수의 전등부; 상기 다수의 천정판의 측부에 배치되는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전등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부; 및 상기 다수의 전등부 각각에서, 상기 다수의 전등을 회전시키고, 상기 천정판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레일부를 구동시키는 전등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A LAMP FOR HIGH PLACE}
본 발명은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고소 공간에서의 전등들의 수평 상태를 실시간으로 유지함과 아울러, 교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과 사무실, 공장, 상가 등의 천정이 높은 곳에 조명등(이하, '전등'라 한다)이 설치되는 경우,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수명이 다한 전등를 교체하여야 한다.
이때 전등의 설치 높이가 일방 성인들이 바닥에 서서 닿지 않은 위치이거나 의자에 올라가도 손이 닿지 않은 고소지에 설치된 경우, 사다리를 설치하여 전등의 교체작업을 해야하나 일반적으로 고가용 사다리를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상가에서는 구비되어 있지 않아 수명이 다한 전등를 교체하기가 쉽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 전등를 교체하도록 하는 고소대 전등교체장치가 안출된 바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소대 전등 교체장치의 경우, 전등의 규격 및 종류에 따라서 복수개의 지지대를 작업자가 일일이 전등의 규격에 알맞게 조절한 후에 전등 교체작업을 해야 하므로 사용에 불편함이 많았다.
또한, 다른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전등교체기구의 경우에도 전등의 규격에 맞게 고정안전판을 조절하여 전등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이 또한 작업자의 손이 많이 필요한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 10-2010-0028225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고소 공간에서의 전등들의 수평 상태를 실시간으로 유지함과 아울러, 교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고소의 천정판의 다수 위치에 배치되며, 다수의 전등을 구비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전구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천정판 하부에 노출시키는 다수의 전등부; 상기 다수의 천정판의 측부에 배치되는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전등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부; 및 상기 다수의 전등부 각각에서, 상기 다수의 전등을 회전시키고, 상기 천정판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레일부를 구동시키는 전등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천정판의 다수 위치에는 전등 설치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전등부 각각은, 상기 전등 설치홀들 각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전등부 각각은,
회전축을 갖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외측 둘레에서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단부에 상기 다수의 전구가 설치되는 연결바들과,
상기 전등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등 설치홀들 각각의 내측 일면부에는, 전원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천정판 내부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측부에는, 상기 다수의 전구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되는 다수의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접점은,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전원 단자에 순차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전등부 각각에는, 상기 다수의 전구들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다수의 전구들의 동작 상태의 여부를 상기 전등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전등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전구들의 동작 상태 여부에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전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전등부 각각의 상기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다른 전구로 교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부는,
상기 천정판의 양측부와 레일 결합되도록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천정판을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승강시키는 한 쌍의 리니어 모터를 구비하되,
상기 전등 제어부는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어 수평의 여부를 측정하는 수평 센서와,
상기 수평 센서로부터 상기 수평의 여부를 전송 받아, 상기 천정판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한 쌍의 리니어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천정판의 양측부를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고소 공간에서의 전등들의 수평 상태를 실시간으로 유지함과 아울러, 교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에서 천정판의 수평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등부에서, 전구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에서 천정판의 수평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등부에서, 전구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는 고소의 천정판(100)의 다수 위치에 배치되며, 다수의 전등을 구비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전구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천정판(100) 하부에 노출시키는 다수의 전등부(200)와, 상기 다수의 천정판(100)의 측부에 배치되는 벽체(10)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전구(201)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부(300)와, 상기 다수의 전등부(200) 각각에서, 상기 다수의 전등(201)을 회전시키고, 상기 천정판(100)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레일부(300)를 구동시키는 전등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천정판(100)의 다수 위치에는 전등 설치홀들(110)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전등부(200) 각각은, 상기 전등 설치홀들(110) 각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전등부(200) 각각은, 회전축(211)을 갖는 회전 부재(210)와, 상기 회전 부재(210)의 외측 둘레에서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단부에 상기 다수의 전구(201)가 설치되는 연결바들(230)과, 상기 전등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축(211)을 회전시키는 모터(240)로 구성된다.
상기 전등 설치홀들(110) 각각의 내측 일면부에는, 전원 단자(500)가 형성된다.
상기 전원 단자(500)는, 상기 천정판(100) 내부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선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회전 부재(210)의 측부에는, 상기 다수의 전구(201)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되는 다수의 접점(212)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접점(212)은, 상기 회전 부재(21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전원 단자(500)에 순차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전등부(200) 각각에는, 상기 다수의 전구들(201)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센서(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다수의 전구들(201)의 동작 상태의 여부를 상기 전등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상기 전등 제어부(400)는, 상기 다수의 전구들(201)의 동작 상태 여부에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전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전등부(200) 각각의 상기 회전 모터(240)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축(211)을 회전시켜 다른 전구로 교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300)는, 상기 천정판(100)의 양측부와 레일 결합되도록 상기 벽체(10)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310)과, 상기 천정판(100)을 상기 한 쌍의 레일(310)을 따라 승강시키는 한 쌍의 리니어 모터(320)를 갖는다.
상기 전등 제어부(400)는 상기 천정판(100)에 설치되어 수평의 여부를 측정하는 수평 센서(410)와, 상기 수평 센서(410)로부터 상기 수평의 여부를 전송 받아, 상기 천정판(100)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한 쌍의 리니어 모터(320)를 구동시켜, 상기 천정판(100)의 양측부를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제어기(420)를 가진다.
이때, 상기 천정판(100)의 양측부에는 탄성 재질의 탄성부(130)를 구비하여, 천정판(100) 양측부가 독립적으로 승강되는 경우에 압축 이완됨으로써 승강 동작이 원활히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고소 공간에서의 전등들의 수평 상태를 실시간으로 유지함과 아울러, 교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천정판
200 : 전등부
300 : 레일부
400 : 전등 제어부

Claims (5)

  1. 고소의 천정판의 다수 위치에 배치되며, 다수의 전등을 구비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전구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천정판 하부에 노출시키는 다수의 전등부;
    상기 다수의 천정판의 측부에 배치되는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전구의 승강을 안내하는 레일부; 및
    상기 다수의 전등부 각각에서, 상기 다수의 전등을 회전시키고, 상기 천정판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레일부를 구동시키는 전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의 다수 위치에는 전등 설치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전등부 각각은, 상기 전등 설치홀들 각각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전등부 각각은,
    회전축을 갖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외측 둘레에서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단부에 상기 다수의 전구가 설치되는 연결바들과,
    상기 전등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 설치홀들 각각의 내측 일면부에는, 전원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천정판 내부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선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회전 부재의 측부에는, 상기 다수의 전구로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연결되는 다수의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접점은,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전원 단자에 순차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등부 각각에는, 상기 다수의 전구들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는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다수의 전구들의 동작 상태의 여부를 상기 전등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전등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전구들의 동작 상태 여부에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전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전등부 각각의 상기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다른 전구로 교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천정판의 양측부와 레일 결합되도록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천정판을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승강시키는 한 쌍의 리니어 모터를 구비하되,
    상기 전등 제어부는
    상기 천정판에 설치되어 수평의 여부를 측정하는 수평 센서와,
    상기 수평 센서로부터 상기 수평의 여부를 전송 받아, 상기 천정판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한 쌍의 리니어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천정판의 양측부를 독립적으로 승강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
KR1020170089591A 2017-07-14 2017-07-14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 KR101770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591A KR101770157B1 (ko) 2017-07-14 2017-07-14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591A KR101770157B1 (ko) 2017-07-14 2017-07-14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157B1 true KR101770157B1 (ko) 2017-08-22

Family

ID=5975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591A KR101770157B1 (ko) 2017-07-14 2017-07-14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492B1 (ko) * 2017-12-06 2018-04-12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건축 관람집회시설 고소공간 전등기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5591B2 (ja) 1992-03-27 2002-01-1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オーロラ演出装置
JP2002270028A (ja) 2001-03-11 2002-09-20 Kamimura Tekko Kk 昇降式照明装置
JP2010170875A (ja) 2009-01-23 2010-08-0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昇降式照明器具
KR101416795B1 (ko) 2013-06-13 2014-08-06 박영민 연등 리프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5591B2 (ja) 1992-03-27 2002-01-1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オーロラ演出装置
JP2002270028A (ja) 2001-03-11 2002-09-20 Kamimura Tekko Kk 昇降式照明装置
JP2010170875A (ja) 2009-01-23 2010-08-05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昇降式照明器具
KR101416795B1 (ko) 2013-06-13 2014-08-06 박영민 연등 리프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492B1 (ko) * 2017-12-06 2018-04-12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건축 관람집회시설 고소공간 전등기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695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의 승강캐리어 조명등 조사범위확대장치
KR101781340B1 (ko) 천장 이동식 실내 전기 조명 장치
CN110861992B (zh) 一种电梯坠落保护装置
KR102264080B1 (ko) 와이어와 케이블 방식으로 연결되어 승하강이 가능하며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등기구 장치
KR101770157B1 (ko) 건축 고소 공간 전등 기구 장치
CN106217013A (zh) 一种灯座安装装置
KR101831855B1 (ko) 천장 이동형 실내 조명장치
CN206834078U (zh) 操作装置及设有该操作装置的开关柜
JP2010205431A (ja) 昇降式照明装置
KR101883453B1 (ko) 조명기구 무빙 시스템
CN113701072A (zh) 一种建筑劳务施工现场的照明装置
KR100642493B1 (ko)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US20090074587A1 (en) Telescopic Ceiling Fan
KR100283680B1 (ko) 천정설치용 등기구 승강제어시스템
JP2004038050A (ja) 内照昇降式看板照明装置
JP3828414B2 (ja) 電動内包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
KR20070005485A (ko)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에서의 드럼 회전수 정밀 감지장치
CN116222641B (zh) 一种光测试装置及方法
CN212965472U (zh) 新型安检仪
CN117686860B (zh) 户外电力辅助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JPH11191312A (ja) 照明装置
JP2003077333A (ja) 昇降式照明装置
KR200356233Y1 (ko)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JPH06227776A (ja) 直線駆動装置とエレベーター装置
CN219300548U (zh) 一种用于舞台灯光源的活动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