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133B1 - 도관 공진기 - Google Patents

도관 공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133B1
KR101770133B1 KR1020157025493A KR20157025493A KR101770133B1 KR 101770133 B1 KR101770133 B1 KR 101770133B1 KR 1020157025493 A KR1020157025493 A KR 1020157025493A KR 20157025493 A KR20157025493 A KR 20157025493A KR 101770133 B1 KR101770133 B1 KR 101770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hollow body
resonator
tubular
form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454A (ko
Inventor
악셀 보르네만
찰스 바보욱스
베른하르트 슐테
크누트 헨셀
Original Assignee
콘티테크 엠지더블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테크 엠지더블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테크 엠지더블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12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18Pleated or corrugated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29C49/061Injection blow-moulding with parison holding means displaceable between injection and blow stations
    • B29C49/062Injection blow-moulding with parison holding means displaceable between injection and blow stations following an arcuate path, e.g. rotary or oscillating-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7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e.g. geometry, dimensions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9Auxiliary parts or inserts
    • B29C2949/08Preforms made of several individual parts, e.g. by welding or gluing parts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91Damping, energ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6/00Articles with corrugations or pl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18Pleated or corrugated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1Vibration dampening equipment, e.g. 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8Machine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L2031/749Motors
    • B29L2031/7492Intake manif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Supercharger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형 중공 몸체 내에 배치되며 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관형 성형부를 구비한, 다수의 플라스틱 구성요소들로 구성되는 실질적으로 관형의 도관 공진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진기는, 제1 성형 단계에서 성형부가 사출 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내부 맨드릴과 외부 공구 사이에 제조되고, 이후 제2 성형 단계에서 내부 맨드릴을 구비한 성형부가 블로우 성형 공정을 위한 내부 공구 역할을 하며, 제2 성형 단계에서 중공 몸체가 성형부와 주변 외부 공구 사이에 사출되며 블로우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관 공진기{CONDUIT RESONATOR}
본 발명은, 관형 중공 몸체 내에 배치되며 관형 중공 몸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관형 성형부를 구비한, 복수의 플라스틱 구성요소들로 구성되는 실질적으로 관형의 도관 공진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체가 유체 도관 내에서 진동할 때 불쾌한 음향 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유체 도관 내의 공진기가 오랫동안 주지되었고 사용되었다. 오늘날, 공진기는 대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주로 사출 성형을 이용하지만, 블로우 성형도 이용한다. 사출 성형은 공진기가 복수의 개별 부품들로 구성되므로 상당히 복잡한 조립 또는 용접 공정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블로우 성형은 비교적 저렴한 제조 방법이므로, 블로우 성형을 이용하는 것을 점점 더 목표로 한다.
DE 제102008016690 A1호는 양 공진기 부품들이 블로우 성형부들로 설계되는 당해 유형의 공진기를 보여준다. 부품들은 각각 칼라를 구비하며 상기 칼라들에서 기밀하게 서로 연결된다.
본원에 개시된 기술적 교시는 단 하나의 공진기 챔버를 구비한 공진기만을 허용한다. 이러한 단일 챔버는 환상 갭(19)에 의해 실제 유체 도관에 연결된다. 이 해결방안은 굉장한 단순함을 특징으로 하지만, 추가적인 노력 없이 다중-챔버 시스템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사용 범위가 단지 제한적이다.
US 제5,806,480호는 종방향 단면에 있어서 2개의 안착관들을 구비한 유체 도관을 개시하되, 이들 사이에 내부관을 둘러싸는 챔버가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챔버는 내부관에 가공된 개구들을 통해 내부관의 내부와 소통된다. 이러한 관형 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내부관이 먼저 사출 성형된다. 이후, 외부관을 위한 블랭크가 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되며, 내부관을 둘러싸도록 절곡된다. 이후, 외부관 블랭크는 외부관을 제조하기 위해 블로우 성형 공정에 의해 재성형된다.
외부관을 절곡하며 블로우 성형하고 내부관 상에 체결하기 위한 공정은 상당히 복잡하며, 전체 절곡된 도관 섹션이 공구 내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구성의 공구가 요구되고(US 제5,806,480호의 도 3 참조), 그에 따라 블로우 성형 단계가 연결 개구들에도 불구하고 내부 부품의 형상의 유지와 관련하여 매우 정밀하게 정의되지는 않기 때문에, 각각의 도관 섹션을 위해 별개의 공구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도입부에 설명된 유형의 공진기의 개선된 실시예를 유체 도관에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부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들이 종속항들에 개시된다.
이 경우, 제1 성형 단계에서, 성형부가 내부 맨드릴을 구비한 외부 공구 내에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되되, 내부 맨드릴은 공정의 나머지 부분에서 계속 사용되고, 제1 성형 단계가 수행된 후에, 성형부는 제2 성형 단계에서 그 내부 맨드릴과 함께 내부 공구 역할을 하며, 제2 성형 단계에서, 중공 몸체가 성형부와 주변 외부 공구 사이에 사출되고, 이후 중공 몸체는 외부 공구의 내벽 및 성형부의 외벽 상에 안착되도록 블로우 성형 공정에 의해 재성형되며 이들에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임의의 원하는 형상의 중공 몸체를 허용하므로, 중공 몸체가 유체 시스템의 다양한 공진들에 대해 및 성형부와 중공 몸체 사이의 공동의 다양한 개작들에 대해 순응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체적에 대한 제조 정확도는 음향 효과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공진기의 내부 부품(즉, 성형부)과 외부 부품(즉, 중공 몸체)은 유체 도관 내에 추가적인 연결 단계 없이 직접 설치될 수 있는 일체형 구성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매우 정확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한편으로, 이는 공진기의 조립을 단순화하고, 다른 한편으로, 또한 조립 또는 용접 오차로 인한 누출 위험을 제거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핵심 개념은 하나의 연계된 공정에서 2개의 공정 단계들/공정들을 공정-공학적으로 구현하는 것과, 음향 요건에 따라 순응될 수 있는 좁은 공차로 체적-포함 몸체 내에 내부 부품을 삽입하는 것이다.
DE 제102008016690 A1호 및 US 제5,806,480호에 의해 종래기술에 개시된 공진기들은 내압성이 아니므로, 공기 흡입 시스템 내에서만 사용될 수 있지만(즉, 대개는 공기 필터와 흡입 시스템 사이에 사용됨),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는 압력 하에 안정적이며, 온도-안정형이고, 터보차저와 냉각기 사이의 설치점에서 압력측(고온측)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유리한 개선은 2개의 성형부들 및 성형부에 연결되는 2개의 중공 몸체들을 각각 구비한 적어도 2개의 도관 공진기들이 본 방법에서 단일 과정으로 제조된다는 데에 있다. 이는 방법을 단순화하며, 제조 및 공구 비용을 저감하므로, 더 낮은 비용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안은, 용접과 같은 지금까지의 관행적인 추가 공정들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는, 사출 성형 및 블로우 성형 공정들의 특별한 통합에 있다. 유일한 추가 공정들은 디플래싱 또는 디버링 및 압력 테스트이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조립 시 및 개별 부품들로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관형 도관 공진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도관 공진기를 구비한 도관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조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관형 중공 몸체(2) 내에 배치되며 중공 몸체에 연결되는 관형 성형부(3)를 포함하는, 유체 도관을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관형 도관 공진기(1)를 도시한다.
여기서, 도 1a는 마감처리된 상태의 도관 공진기(1)를 도시하고, 도 1b는 개별 부품으로서 제2 성형 단계에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된 중공 몸체(2)를 도시하며, 도 1c는 개별 부품으로서 제1 성형 단계에서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 성형부(3)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도관 공진기(1)를 구비한, 자동차를 위한 엔진(본원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의 냉각기와 터보차저 사이의 도관(4)을 포함하는 부분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조 시스템(5)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제1 성형 스테이션(6)에서, 성형부(3)가 제1 성형 단계로 내부 맨드릴(7)을 구비한 외부 공구(8) 내에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성형부(3)가 그 내부 맨드릴(7)과 함께 내부 공구 역할을 하는 제2 성형 스테이션(9)에서, 중공 몸체(2)가 제2 성형 단계로 성형부(3)와 주변 외부 공구(10) 사이에 사출되며, 이후 중공 몸체는 외부 공구(10)의 내벽 및 성형부의 외벽 상에 안착되도록 블로우 성형 공정에 의해 재성형된다. 디버링(11), 및 마감처리된 도관 공진기의 배출이 추가적인 스테이션들에서 이어진다.
1 도관 공진기
2 중공 몸체
3 성형부
4 도관
5 제조 시스템
6 제1 성형 스테이션
7 내부 맨드릴
8 외부 공구, 사출 성형
9 제2 성형 스테이션
10 외부 공구, 블로우 성형
11 디버링 스테이션

Claims (2)

  1. 복수의 플라스틱 구성요소들로 구성되는 관형의 도관 공진기(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관 공진기는, 관형 중공 몸체(2) 내에 배치되고 상기 관형 중공 몸체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관형 성형부(3)를 포함하며,
    제1 성형 단계에서, 내부 맨드릴(7)을 구비한 외부 공구(8) 내에서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상기 성형부(3)가 제조되고,
    제2 성형 단계에서 상기 성형부(3)는 내부 맨드릴(7)과 함께 내부 공구 역할을 하며, 상기 제2 성형 단계에서, 상기 성형부(3)와 주변 외부 공구(10) 사이에 상기 중공 몸체(2)가 사출되고, 이후, 상기 중공 몸체(2)는 상기 외부 공구(10)의 내벽 및 상기 성형부(3)의 외벽 상에 안착되도록 블로우 성형 공정에 의해 재성형되며 상기 성형부(3)의 외벽에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공진기의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2개의 성형부들 및 상기 성형부에 연결되는 2개의 중공 몸체들을 각각 구비한 적어도 2개의 도관 공진기들이 단일 과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관 공진기의 제조 방법.
KR1020157025493A 2013-03-26 2014-02-26 도관 공진기 KR101770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3078.5 2013-03-26
DE201310103078 DE102013103078A1 (de) 2013-03-26 2013-03-26 Leitungsresonator
PCT/EP2014/053681 WO2014154426A1 (de) 2013-03-26 2014-02-26 Leitungsreson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454A KR20150120454A (ko) 2015-10-27
KR101770133B1 true KR101770133B1 (ko) 2017-08-22

Family

ID=5018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493A KR101770133B1 (ko) 2013-03-26 2014-02-26 도관 공진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02104B2 (ko)
EP (1) EP2978594B1 (ko)
JP (1) JP6088112B2 (ko)
KR (1) KR101770133B1 (ko)
CN (1) CN205310864U (ko)
DE (1) DE102013103078A1 (ko)
HU (1) HUE031362T2 (ko)
WO (1) WO2014154426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0660A (en) * 1976-09-02 1978-03-23 Tousen Purasuto Kk Ventilating pipe with synthetic resin silencer
JPS6095120A (ja) * 1983-10-31 1985-05-28 Tsuchiya Mfg Co Ltd 合成樹脂製共鳴型消音器の製造方法
JPS6183020A (ja) * 1984-09-28 1986-04-26 Tsuchiya Mfg Co Ltd 合成樹脂製の共鳴型消音器の製造方法
JP2539503B2 (ja) 1988-12-28 1996-10-02 株式会社ソミック石川 合成樹脂製ダストブ―ツ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87031B2 (ja) * 1995-07-14 2004-01-13 豊田合成株式会社 消音ホースの製造方法
JPH09177627A (ja) * 1995-12-25 1997-07-11 Toyoda Gosei Co Ltd エアクリーナーホース及びその成形方法
JP3787915B2 (ja) 1996-09-04 2006-06-21 豊田合成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気管
DE102004049446A1 (de) * 2004-10-08 2006-04-20 Umfotec Gmbh Vorrichtung zur Absenkung von Strömungsgeräuschen
DE102008016690A1 (de) 2008-04-01 2009-10-08 Mahle International Gmbh Rohrstück und zugehöriges Herstellungs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54426A1 (de) 2014-10-02
EP2978594A1 (de) 2016-02-03
CN205310864U (zh) 2016-06-15
DE102013103078A1 (de) 2014-10-02
US20160009017A1 (en) 2016-01-14
KR20150120454A (ko) 2015-10-27
HUE031362T2 (en) 2017-07-28
EP2978594B1 (de) 2017-01-04
JP6088112B2 (ja) 2017-03-01
JP2016518266A (ja) 2016-06-23
US9902104B2 (en)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97710B (zh) 包括共振器的流体管线
JPH0868490A (ja) 消音器部を有する中空成形体
JP2014518351A5 (ko)
WO2016052691A1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579271A (zh) 机动车用燃料箱
CN101605648B (zh) 用于生产导管的方法和装置以及根据所述方法生产的导管
KR101770133B1 (ko) 도관 공진기
JPH0839657A (ja) 内方に位置する支持フレームを備えた中空部体及び該中空部体を製造する方法
US20140345733A1 (en) Damper for air line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 turbocharg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damper
KR100688042B1 (ko) 관형 캐리어
JP4731452B2 (ja) 消音装置
US20140252005A1 (en) Method of blow molding reservoir, and reservoir made thereby
EP2602469B1 (en) Acoustic resonator of a system for piping ga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acoustic resonator
JP2009006697A (ja) ダクトの製造方法
JP4391009B2 (ja) ジャバラホー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EP2931496B1 (en) Air duct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an air duct
JP4697743B2 (ja) 複数室式レゾネーター
JP2020082645A (ja) 樹脂管の製造方法
CN203835580U (zh) 汽车发动机进气歧管及其注塑模具
KR20140032646A (ko) 엔진 소음기 및 그 제작방법
JP2008240693A (ja) 消音器付き吸気ダ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773192B (zh) 一种高压油轨制造方法
JP6984980B2 (ja) 熱可塑性樹脂製半割れ体
JPH0914066A (ja) マルチチャンバレゾネータ
JPH08158970A (ja) レゾネータ付空気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