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031B1 - 성형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성형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031B1
KR101770031B1 KR1020150134340A KR20150134340A KR101770031B1 KR 101770031 B1 KR101770031 B1 KR 101770031B1 KR 1020150134340 A KR1020150134340 A KR 1020150134340A KR 20150134340 A KR20150134340 A KR 20150134340A KR 101770031 B1 KR101770031 B1 KR 101770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eel material
hot
cold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468A (ko
Inventor
유병길
이승하
도형협
송치웅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031B1/ko
Priority to US15/759,185 priority patent/US11400504B2/en
Priority to EP16848723.9A priority patent/EP3354364B1/en
Priority to CN201680052945.5A priority patent/CN108025349B/zh
Priority to PCT/KR2016/000392 priority patent/WO2017051997A1/ko
Priority to JP2018509803A priority patent/JP2018532594A/ja
Publication of KR20170035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08Deep-drawing by heating the blank or deep-drawing associated with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2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5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of the blank or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Abstract

성형체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상기 성형체 제조방법은 제1 강재 및 제2 강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강재 및 제2 강재를 접합하여 접합강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접합강재를 910℃~950℃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접합강재를 열간 프레스 성형하여 중간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성형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강재는 상기 제2 강재보다 인장강도(TS)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형체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FOR MOLDED ARTICLES}
본 발명은 성형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 부재용 부품 소재로 사용되는 성형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충돌 부재용 중요 부품인 B-필러(Pillar)에는 주로 150K급 이상의 열처리강이 사용된다. 이는 측면 충돌시 운전자의 생존공간을 확보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충돌 부재로 사용되는 고인성의 강부재는 측면 충돌 시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취성파단 현상이 발생하므로, 취성이 발생하는 B-필러 하단부에 저인성의 강 부재를 연결하여 충돌흡수능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강 부재를, 테일러 웰디드 강재(Taylor Welded Blank, TWB)용 강재라 한다. 상기 TWB용 강재는 열연, 냉연 공정 후 핫 스탬핑(Hot stamping) 등의 열간 프레스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04621호 (2013.08.30. 공고, 발명의 명칭: 영역별로 상이한 강도를 갖는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열간프레스 공정시 공정변수에 따른 재질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성형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성형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성형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성형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성형체 제조방법은 제1 강재 및 제2 강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강재 및 제2 강재를 접합하여 접합강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접합강재를 910℃~950℃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접합강재를 열간 프레스 성형하여 중간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성형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강재는 상기 제2 강재보다 인장강도(TS)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냉각은 상기 중간성형체를 50~15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간 프레스 성형시, 상기 가열된 접합강재를 5~20초 이내로 열간 프레스용 금형에 이송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강재의 인장강도는 1300~1600MPa 이며, 상기 제2 강재의 인장강도는 600MPa 이상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2 강재는, 탄소(C): 0.04~0.06 중량%, 실리콘(Si): 0.2~0.4 중량%, 망간(Mn): 1.6~2.0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18 중량% 이하, 황(S): 0 초과 0.003 중량% 이하, 크롬(Cr): 0.1~0.3 중량%, 보론(B): 0.0009~0.0011 중량%, 티타늄(Ti): 0.01~0.03 중량%, 니오븀(Nb): 0.04~0.06 중량%, 및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래브를 1,200~1,250℃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슬래브를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연코일을 언코일링하고, 냉간 압연하여 냉연판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냉연판재를 소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소둔은 상기 냉연판재를 810℃~850℃에서 가열하고, 그리고 상기 가열된 냉연판재를 10~5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권취는 620~660℃의 권취온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 제조방법을 적용시, 열간프레스 공정시 공정변수에 따른 성형체의 부위별 인장강도 및 연신율 등의 재질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제조된 성형체의 강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고, 상기 공정 변수에 따른 재질 편차를 최소화함에 따라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여 충돌 부재용 부품 소재로 사용되기 적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성형체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합소재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합소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열간 프레스 금형 이송 시간에 따른 최종 미세조직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의 열간 프레스 금형 이송 시간에 따른 최종 미세조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의 열간 프레스 금형 이송시간에 따른 인장강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의 열간 프레스 금형 이송시간에 따른 연신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의 열간 프레스 금형 이송시간에 따른 표면조직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성형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성형체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성형체 제조방법은 (S10) 강재 마련단계; (S20) 접합강재 제조단계; (S30) 접합강재 가열단계; (S40) 중간성형체 제조단계; 및 (S50) 냉각단계;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체 제조방법은 (S10) 제1 강재 및 제2 강재를 마련하는 단계; (S20) 제1 강재 및 제2 강재를 접합하여 접합강재를 제조하는 단계; (S30) 상기 접합강재를 910℃~950℃로 가열하는 단계; (S40) 상기 가열된 접합강재를 열간 프레스 성형하여 중간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S50) 상기 중간성형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10) 강재 마련단계
상기 단계는 제1 강재 및 제2 강재를 마련하는 단계이다.
제1 강재는 제2 강재보다 인장강도(TS)가 높은 것을 사용한다. 한 구체예에서 제1 강재는 보론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보론강(boron steel)은 보론(B)를 첨가하여 경화능을 향상시킨 강이다. 보론강은 인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특히, 고강도, 고경도, 내마모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강재는 탄소(C): 0.2~0.3 중량%, 실리콘(Si): 0.2~0.5 중량%, 망간(Mn): 1.0~2.0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2 중량% 이하, 황(S): 0 중량% 초과 0.001 중량% 이하, 구리(Cu): 0 중량% 초과 0.05 중량% 이하, 알루미늄(Al): 0 중량% 초과 0.05 중량% 이하, 티타늄(Ti): 0.01~0.10 중량%, 크롬(Cr): 0.1~0.5 중량%, 몰리브덴(Mo): 0.1~0.5 중량%, 보론(B): 0.001~0.005 중량% 및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합금원소를 포함시 인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특히, 고강도, 고경도, 내마모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강재의 인장강도는 1300~1600MPa 이며, 상기 제2 강재의 인장강도는 600MPa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강재의 인장강도는 600MPa~950MPa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성형체가 차량 등의 충돌 부재 용도로 사용하기 적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2 강재는, 강 슬래브 재가열단계; 열간 압연단계; 권취단계; 냉간 압연단계; 및 소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강재는 탄소(C): 0.04~0.06 중량%, 실리콘(Si): 0.2~0.4 중량%, 망간(Mn): 1.6~2.0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18 중량% 이하, 황(S): 0 중량% 초과 0.003 중량% 이하, 크롬(Cr): 0.1~0.3 중량%, 보론(B): 0.0009~0.0011 중량%, 티타늄(Ti): 0.01~0.03 중량%, 니오븀(Nb): 0.04~0.06 중량%, 및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래브를 1,200~1,250℃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슬래브를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연코일을 언코일링하고, 냉간 압연하여 냉연판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냉연판재를 소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2 강재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강 슬래브 재가열단계
상기 단계는 탄소(C): 0.04~0.06 중량%, 실리콘(Si): 0.2~0.4 중량%, 망간(Mn): 1.6~2.0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18 중량% 이하, 황(S): 0 초과 0.003 중량% 이하, 크롬(Cr): 0.1~0.3 중량%, 보론(B): 0.0009~0.0011 중량%, 티타늄(Ti): 0.01~0.03 중량%, 니오븀(Nb): 0.04~0.06 중량%, 및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래브를 재가열하는 단계이다.
이하, 상기 제2 강재의 강 슬래브에 포함되는 성분의 역할 및 그 함량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탄소(C)
상기 탄소(C)는 강의 강도, 경도를 결정하는 주요 원소이며, 열간 프레스 공정 이후 인장강도를 확보하는 목적으로 첨가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는 상기 강 슬래브 전체중량에 대하여 0.04~0.06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탄소가 0.04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본 발명의 재질 특성이 저하되며, 0.4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강재의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실리콘( Si )
상기 실리콘(Si)은 유효한 탈산제로의 역할을 하며, 기지 내 페라이트 강화에 주요한 원소로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실리콘은 상기 강 슬래브 전체중량에 대하여 0.2~0.4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을 0.2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0.4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강의 인성을 해쳐 성형성을 저하시키므로 단조 및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망간(Mn)
상기 망간(Mn)은 열처리시 소입성 및 강도 증가 목적으로 첨가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망간은 상기 강 슬래브 전체중량에 대하여 1.6~2.0 중량% 포함된다. 상기 망간을 1.6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소입성 및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망간 편석에 의한 연성 및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인(P)
상기 인(P)은 편석이 잘 되는 원소로 강의 인성을 저해하는 원소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인(P)은 상기 강 슬래브 전체중량에 대하여 0 중량% 초과 0.018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을 0.02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공정중 크랙을 유발하고, 인화철 화합물이 형성되어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황(S)
상기 황(S)은 가공성 및 물성을 저해하는 원소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황은 상기 강 슬래브 전체중량에 대하여 0 초과 0.003 중량% 이하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황을 0.003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열간 가공성을 떨어뜨리고, 거대 개재물 생성에 의해 크랙 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크롬( Cr )
상기 크롬(Cr)은 제2 강재의 소입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첨가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크롬은 상기 강 슬래브 전체중량에 대하여 0.1~0.3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크롬을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크롬 첨가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으며, 0.3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상기 제2 강재의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보론(B)
상기 보론(B)은 고가의 소입성 원소인 몰리브덴을 대체하여 소입성을 보상하는 목적으로 첨가되며,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 온도 증가로 결정립 미세화 효과를 가진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보론은 상기 강 슬래브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09~0.001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론을 0.0009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소입성 효과가 부족하며, 0.001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연신율 열위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
티타늄( Ti )
상기 티타늄(Ti)은 고온에서 Ti(C,N) 등의 석출상을 형성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미세화에 효과적으로 기여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티타늄은 상기 강 슬래브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0.03 중량% 포함된다. 상기 티타늄을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0.03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과도한 석출물 생성에 의해 표면 크랙을 유발할 수 있다.
니오븀( Nb )
상기 니오븀(Nb)은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Packet size 감소에 따른 강도 및 인성 증가를 목적으로 첨가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니오븀은 상기 강 슬래브 전체중량에 대하여 0.04~0.06중량% 포함된다. 상기 니오븀을 0.04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미미하고, 0.06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제강성 조대 석출물이 생성될 수 있으며, 원가 측면에서 불리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강 슬래브는 슬래브 재가열 온도(Slab Reheating Temperature, SRT): 1,200℃~1,250℃에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강 슬래브 재가열 온도에서, 합금원소 성분의 균질화 효과가 유리하다. 상기 강 슬래브를 1,200℃ 미만에서 재가열시 합금원소 성분의 균질화 효과가 저하되며, 1,250℃를 초과하여 재가열시 공정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래브 재가열 온도: 1,220℃~1,250℃에서 가열할 수 있다.
열간 압연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재가열된 강 슬래브를 마무리 압연온도(FDT): 860℃~900℃에서 열간 압연하는 단계이다. 상기 마무리 압연온도에서 열간 압연시 상기 제2 강재의 강성 및 성형성이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권취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슬래브를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권취는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슬래브를 권취온도(Coiling Temperature, CT): 620℃~660℃ 온도에서 권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슬래브를, 상기 권취 온도까지 냉각하여 권취할 수 있다. 상기 권취 온도 조건에서 과냉으로 인한 저온상 분율이 높아져 Nb첨가에 의한 강도 증가를 방지하면서, 냉간 압연시 압연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냉각은 전단 급냉 방식으로 냉각할 수 있다.
냉간 압연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열연코일을 언코일링하고, 냉간 압연하여 냉연판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연코일은 언코일링한 다음, 산세 처리한 후, 냉간 압연할 수 있다. 상기 산세는 열연코일 표면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냉간 압연은 60%~80%의 압하율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압하율로 냉간 압연시 열연 조직의 변형이 적고, 연신율 및 성형성이 우수할 수 있다.
소둔 단계
상기 단계는 냉연판재를 소둔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소둔은 가열단계 및 냉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소둔은 상기 소둔은 상기 냉연판재를 810℃~850℃에서 가열하고, 그리고 상기 가열된 냉연판재를 10~5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소둔시 공정 효율성, 강도 및 성형성이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S20) 접합강재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제1 강재 및 제2 강재를 접합하여 접합강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도 2는 상기 제1 강재 및 제2 강재를 접합하여 접합소재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상기 제1 강재 및 제2 강재가 접합된 접합소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한 구체예에서 제1 강재(10)와 제2 강재(20)를 서로 맞대어 정렬한 후, 레이저 용접을 이용하여 하나로 접합하여 접합강재를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제1 강재(10)와 제2 강재(20)는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강재(20)는 상기 제1 강재(10)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안정적인 충돌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강재(10)는 접합소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강재(20)는 접합소재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S30) 접합강재 가열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접합강재를 910℃~950℃로 가열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접합강재를 910℃~950℃에서 4분~6분 동안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합강재의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가열온도를 910℃ 미만에서 실시하는 경우 상기 접합강재의 성형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950℃를 초과하여 실시하는 경우 생산성이 저하되고 에너지 측면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성형시간이 4분 미만인 경우, 상기 접합강재의 성형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6분을 초과하여 실시하는 경우 생산성이 저하되고 에너지 측면에서 분리할 수 있다.
(S40) 중간성형체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가열된 접합강재를 열간 프레스 성형하여 중간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간 프레스 성형시, 상기 가열된 접합강재를 5~20초 이내로 열간 프레스용 금형에 이송하여 열간 프레스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이송시, 상기 접합강재의 위치별 재질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9~11초 일 수 있다.
(S50) 냉각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중간성형체를 냉각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냉각은 상기 중간성형체를 50~15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냉각속도로 냉각시 상기 중간성형체의 미세조직이 완전한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조직으로 상변태가 이루어져 인성 등의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 제조방법을 적용시, 열간프레스 공정시 공정변수에 따른 성형체의 부위별 인장강도 및 연신율 등의 재질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제조된 성형체의 강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고, 성형체의 전반적인 인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정 변수에 따른 재질 편차를 최소화함에 따라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여 충돌 부재용 부품 소재로 사용되기 적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비교예
탄소(C): 0.2~0.3 중량%, 실리콘(Si): 0.2~0.5 중량%, 망간(Mn): 1.0~2.0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2 중량% 이하, 황(S): 0 중량% 초과 0.001 중량% 이하, 구리(Cu): 0 중량% 초과 0.05 중량% 이하, 알루미늄(Al): 0 중량% 초과 0.05 중량% 이하, 티타늄(Ti): 0.01~0.10 중량%, 크롬(Cr): 0.1~0.5 중량%, 몰리브덴(Mo): 0.1~0.5 중량%, 보론(B): 0.001~0.005 중량% 및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며, 인장강도가 1,510 MPa인 제1 강재를 마련하였다.
하기 표 1의 함량의 합금 성분과,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래브를 슬래브 재가열 온도: 1,220℃에서 재가열하고, 마무리 압연온도: 880℃에서 열간 압연하고, 권취온도: 650℃에서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열연코일을 언코일링하고, 산세 후 냉간 압연하여 냉연판재를 제조한 다음, 상기 냉연판재를 810℃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냉연판재를 33℃/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여 소둔하여 제2 강재를 마련하였다.
상기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 강재(10) 및 제2 강재(20)를 레이저 용접을 이용하여 접합하여 접합강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접합강재를 930℃에서 5분간 가열한 다음, 상기 가열된 접합강재를 10초 만에 열간 프레스용 금형에 이송하여 열간 프레스 성형하여 중간성형체를 제조하고, 상기 중간성형체를 50~15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여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5092597305-pat0000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성형체에 대하여, 제2 강재에 해당하는 부위의 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연신율을 각각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인장강도
(MPa)
항복강도
(MPa)
연신율
(%)
실시예 780 227 14%
비교예 695 225 13%
도 4(a)는 실시예의 제2 강재 해당 부위의 열간 프레스 금형 이송 시간에 따른 최종 미세조직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비교예의 제2 강재 해당 부위의 열간 프레스 금형 이송 시간에 따른 최종 미세조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비교예의 제2 강재는, 실시예 보다 상기 접합강재의 가열 이후 열간 프레스용 금형에 이송하는 시간의 변화와, 상기 중간성형체 및 금형의 냉각 속도에 따라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및 페라이트(ferrite) 분율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여, 성형체의 부위별 재질 편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차량의 충돌 부재 부품 용도로 부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상기 실시예의 제2 강재는, 제어가 어려운 열간 프레스 금형의 이송시간 등의 공정 변수에 따라 발생하는 성형체의 재질편차를 방지하기 위해 보론(B) 및 크롬(Cr) 및 니오븀(Nb)을 첨가하여 소입성을 높이고, 탄소(C) 첨가량을 감소하여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분율을 감소시켜, 열간 프레스 공정 변수(열간 프레스 금형의 이송시간) 범위 내에서 베이나이트(Bainite) 조직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성형체의 부위별 재질 편차를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가의 몰리브덴(Mo)을 배제하고도 비교예의 제2 강재보다 인성이 우수하여, 경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도 5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성형체의 제2 강재 해당 부위의 열간 프레스 금형 이송시간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비교예는 실시예에 비해 이송시간에 따라 인장강도의 변화가 컸으며, 실시예는 이송시간의 변화에 따른 인장강도의 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도 6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성형체의 제2 강재 해당 부위의 열간 프레스 금형 이송시간에 따른 연신율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비교예는 실시예에 비해 이송시간에 따라 연신율의 변화가 컸으며, 실시예는 이송시간의 변화에 따른 연신율의 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도 7은 실시예 성형체의 제2 강재 해당 부위의 열간 프레스 금형 이송시간에 따른 표면조직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는 이송시간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가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제1 강재 20: 제2 강재

Claims (7)

  1. 제1 강재 및 제2 강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강재 및 제2 강재를 접합하여 접합강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접합강재를 910℃~950℃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접합강재를 열간 프레스 성형하여 중간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성형체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열간 프레스 성형시, 상기 가열된 접합강재를 5~20초 이내로 열간 프레스용 금형에 이송하는 것이며,
    상기 제2 강재는, 탄소(C): 0.04~0.06 중량%, 실리콘(Si): 0.2~0.4 중량%, 망간(Mn): 1.6~2.0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18 중량% 이하, 황(S): 0 초과 0.003 중량% 이하, 크롬(Cr): 0.1~0.3 중량%, 보론(B): 0.0009~0.0011 중량%, 티타늄(Ti): 0.01~0.03 중량%, 니오븀(Nb): 0.04~0.06 중량%, 및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래브를 1,200~1,250℃에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강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간 압연된 강 슬래브를 권취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연코일을 언코일링하고, 냉간 압연하여 냉연판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냉연판재를 소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소둔은 상기 냉연판재를 810℃~850℃에서 가열하고, 그리고
    상기 가열된 냉연판재를 10~5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강재의 인장강도는 1300~1600 MPa 이며, 상기 제2 강재의 인장강도는 600~950 M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성형체의 냉각은, 상기 중간성형체를 50~15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는 620~660℃의 권취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제조방법.

KR1020150134340A 2015-09-23 2015-09-23 성형체 제조방법 KR101770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340A KR101770031B1 (ko) 2015-09-23 2015-09-23 성형체 제조방법
US15/759,185 US11400504B2 (en) 2015-09-23 2016-01-14 Molded body manufacturing method
EP16848723.9A EP3354364B1 (en) 2015-09-23 2016-01-14 Molded body manufacturing method
CN201680052945.5A CN108025349B (zh) 2015-09-23 2016-01-14 模制体制造方法
PCT/KR2016/000392 WO2017051997A1 (ko) 2015-09-23 2016-01-14 성형체 제조방법
JP2018509803A JP2018532594A (ja) 2015-09-23 2016-01-14 成形体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340A KR101770031B1 (ko) 2015-09-23 2015-09-23 성형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468A KR20170035468A (ko) 2017-03-31
KR101770031B1 true KR101770031B1 (ko) 2017-08-21

Family

ID=5838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340A KR101770031B1 (ko) 2015-09-23 2015-09-23 성형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00504B2 (ko)
EP (1) EP3354364B1 (ko)
JP (1) JP2018532594A (ko)
KR (1) KR101770031B1 (ko)
CN (1) CN108025349B (ko)
WO (1) WO2017051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072B1 (ko) 2017-06-27 2019-05-13 현대제철 주식회사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용 강재 및 이를 이용한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WO2019004541A1 (ko) * 2017-06-27 2019-01-03 현대제철 주식회사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용 강재 및 이를 이용한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KR102412625B1 (ko) * 2021-07-15 2022-06-24 현대제철 주식회사 핫 스탬핑 부품,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6842B2 (ja) * 2002-07-26 2009-08-19 アイシン高丘株式会社 テーラードブランク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5126733A (ja) * 2003-10-21 2005-05-19 Nippon Steel Corp 高温加工性にすぐれた熱間プレス用鋼板及び自動車用部材
JP4575799B2 (ja) * 2005-02-02 2010-11-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ホットプレス高強度鋼製部材の製造方法
KR100985298B1 (ko) 2008-05-27 2010-10-04 주식회사 포스코 리징 저항성이 우수한 저비중 고강도 열연 강판, 냉연강판, 아연도금 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185233B1 (ko) * 2010-09-29 2012-09-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산세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극저탄소 냉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5332B1 (ko) * 2010-09-29 2012-09-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열연 롤피로 결함이 개선된 고성형성 연질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895437B2 (ja) * 2010-10-22 2016-03-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および強度上昇能に優れた温間成形用薄鋼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温間成形方法
KR101304621B1 (ko) 2011-06-28 2013-09-05 주식회사 포스코 영역별로 상이한 강도를 갖는 프레스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518541B1 (ko) * 2012-12-26 2015-05-07 주식회사 포스코 다른 강도를 갖는 핫 프레스 포밍 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핫 프레스 포밍 제품
KR20140118310A (ko) * 2013-03-28 2014-10-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열연강판 및 이를 이용한 강 제품 제조 방법
KR101318060B1 (ko) * 2013-05-09 2013-10-15 현대제철 주식회사 인성이 향상된 핫스탬핑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468A (ko) 2017-03-31
CN108025349A (zh) 2018-05-11
EP3354364A1 (en) 2018-08-01
EP3354364B1 (en) 2020-05-13
US20180257122A1 (en) 2018-09-13
WO2017051997A1 (ko) 2017-03-30
CN108025349B (zh) 2020-01-14
EP3354364A4 (en) 2019-05-08
US11400504B2 (en) 2022-08-02
JP2018532594A (ja)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0929B2 (en) Hot-stamped pa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482258B1 (ko) 열간성형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이를 이용한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
JP6043801B2 (ja) 温間プレス成形用鋼板、温間プレス成形部材、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6893560B2 (ja) 降伏比が低く均一伸びに優れた焼戻しマルテンサイト鋼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415790B (zh) 强度和成型性优异的复合钢板及其制造方法
JP4427465B2 (ja) 生産性に優れたホットプレス高強度鋼製部材の製造方法
US20110182765A1 (en) Use of a steel alloy
KR20170076009A (ko) 핫스탬핑 강재 및 그 제조방법
US11655518B2 (en) Steel material for taylor welded bl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t-stamped part using same steel
KR102275914B1 (ko)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핫 스탬핑 부품
KR101797387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박물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70031B1 (ko) 성형체 제조방법
KR102089154B1 (ko) 핫 스탬핑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938092B1 (ko)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핫 스탬핑 부품
KR20180011004A (ko) 핫 스탬핑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핫스탬핑 부품 및 이에 의해 제조 방법
CN110088331B (zh) 焊接性优异的电阻焊钢管用热轧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461715B1 (ko)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82342B1 (ko) 용접성 및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8518596A (ja) 曲げ加工性に優れた超高強度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49137B1 (ko) 용접성 및 하이드로포밍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828699B1 (ko) 자동차 부품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18310A (ko) 열연강판 및 이를 이용한 강 제품 제조 방법
KR101412365B1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7500951A (zh) 弯曲特性优异的高屈强比超高强度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449136B1 (ko) 용접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