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072B1 -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용 강재 및 이를 이용한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용 강재 및 이를 이용한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072B1
KR101978072B1 KR1020170168403A KR20170168403A KR101978072B1 KR 101978072 B1 KR101978072 B1 KR 101978072B1 KR 1020170168403 A KR1020170168403 A KR 1020170168403A KR 20170168403 A KR20170168403 A KR 20170168403A KR 101978072 B1 KR101978072 B1 KR 101978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hot
blank
hot stamping
m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492A (ko
Inventor
유병길
김도학
신영문
장순근
홍상문
송치웅
도형협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1571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04541A1/ko
Priority to DE112017007714.1T priority patent/DE112017007714T5/de
Priority to US16/625,431 priority patent/US11629389B2/en
Priority to CN201780092680.6A priority patent/CN110832100B/zh
Publication of KR2019000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072B1/ko
Priority to US17/527,249 priority patent/US1165551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2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by heating the blank or stamping associated with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luminium or an aluminium alloy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21D1/673Quenching devices for die quen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involving a particular fabrication or treatment of ingot or slab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21D9/4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deep-drawing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elded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6/00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 B21D26/02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 B21D26/053Shaping without cutting otherwise than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or yieldable or resilient pads, i.e. applying fluid pressure or magnetic forces by applying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blanks
    • B21D26/057Tailored bl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탄소(C): 0.04~0.06 중량%, 망간(Mn): 1.2~1.5 중량%, 티타늄(Ti): 0.01~0.10 중량%, 니오븀(Nb): 0.01~0.10 중량% 및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인장강도(TS): 550 MPa 이상, 항복강도(YS): 300 MPa 이상, 및 연신율(El): 20% 이상이며, 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의 듀얼 상 조직을 갖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Taylor Welded Blank)용 강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용 강재 및 이를 이용한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STEEL FOR TAYLOR WELDED BLAN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T STAMPIG COMPON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Taylor Welded Blank)용 강재 및 이를 이용한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핫 스탬핑 공정의 공정 변수에 따른 재질편차를 최소화하면서 연신율 및 충격 흡수재로서의 성능을 향상시킨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용 강재 및 이를 이용한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업계는 승객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 엄격한 차체 충돌성능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배기가스 규제에 따른 연비 기준이 강화되어 이에 따른 차체 경량화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충돌성능 향상과 경량화라는 요구를 동시에 만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고강도 강판의 차체 적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의 차체 제조시, 측면충돌을 보강하기 위해 고강도의 부품을 적용하는데, 이는 측면 충돌시 운전자의 생존공간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차량의 충돌부재로 주로 사용되는 150K급 고강도 강재의 경우 차량의 측면 충돌시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취성파단 현상으로 인해, 취성이 발생하는 하단부에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Taylor Welded Blank; TWB) 공법으로 다른 부재를 연결하여 충격흡수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에 관련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6-0061560호(2016년 6월 1일 공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합금 성분의 조절 및 공정 조건의 제어를 통하여 재질 편차를 최소화하면서 연신율 및 충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핫 스탬핑 강재 및 이를 이용한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탄소(C): 0.04~0.06 중량%, 망간(Mn): 1.2~1.5 중량%, 티타늄(Ti): 0.01~0.10 중량%, 니오븀(Nb): 0.01~0.10 중량% 및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용 강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용 강재는 인장강도(TS): 550MPa 이상, 항복강도(YS): 300MPa 이상, 및 연신율(El): 20% 이상이고,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의 듀얼 상 조직을 갖는 강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Si):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인(P): 0 중량% 초과 0.018 중량% 이하, 및 황(S): 0 중량% 초과 0.003 중량% 이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강재의 표면에 내식성 향상을 위한 알루미늄(Al)-실리콘(Si) 도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탄소(C): 0.04~0.06 중량%, 망간(Mn): 1.2~1.5 중량%, 티타늄(Ti): 0.01~0.10 중량%, 니오븀(Nb): 0.01~0.10 중량% 및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이용한 제1 블랭크와, 제1 블랭크와는 별도로 제공되는 강판을 재단하여 제2 블랭크를 준비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 블랭크를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방식으로 용접하여 접합강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접합강재를 프레스 금형으로 핫 스탬핑하여 성형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성형체를 냉각하여 핫 스탬핑 부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랭크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강 슬라브를 마무리 압연온도(FDT): 860 ~ 920℃ 조건으로 마무리 열간압연하는 단계, 상기 마무리 열간압연된 판재를 권취온도(CT): 620 ~ 660℃까지 냉각하여 권취하는 단계, 상기 권취된 판재를 언코일링하고 냉간 압연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간 압연된 판재를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랭크는 1,200 ~ 1,500MPa의 인장 강도를 갖는 강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접합강재를 850 ~ 95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된 접합강재를 9~11초의 이송시간으로 상기 프레스 금형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핫 스탬핑 부품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성형체의 냉각은 30~120℃/s의 속도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랭크는 차량용 B-필러(B-Pillar)의 충격 흡수부로 기능하고, 상기 제2 블랭크는 차량용 B-필러(B-Pillar)의 충돌 지지부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랭크는 핫 스탬핑 후에, 인장강도(TS): 550 MPa 이상, 항복강도(YS): 300 MPa 이상, 및 연신율(El): 20% 이상이고,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의 듀얼 상 조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표면에 내식성 향상을 위한 알루미늄(Al)-실리콘(Si) 도금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핫 스탬핑 과정에서의 강재의 재질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마르텐사이트 패킷 사이즈 감소에 따른 강도 및 인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연신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핫 스탬핑 부품은 인장강도(TS): 559 ~ 605MPa, 항복강도(YP): 360 ~ 461MPa, 및 연신율(EL): 28.5~32.7%를 나타내는, 복잡한 형상으로의 가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충돌 흡수성능이 우수하여 차량의 충돌부재의 충격 흡수부에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핫 스탬핑용 블랭크를 준비하는 단계를 도시한 공정 순서도이다.
도 3은 비교예의 핫 스탬핑 부품의 공정 시간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실시예의 핫 스탬핑 부품의 공정 시간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핫 스탬핑 금형 이송시간에 따른 표면조직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핫 스탬핑 금형의 냉각속도에 따른 표면조직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강재 내에 보론 첨가에 따르는 조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일 비교예에 있어서, 망간 함량에 따르는 연신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의 충돌 부재용 중요 부품인 B-필러(Pillar)는 상부의 충돌 지지부와 하부의 충격 흡수부에 서로 다른 강도의 강재가 결합된 형태로, 두 강재를 용접한 후 성형하여 제작한다. 이때 주로 사용되는 TWB 공법은 두께, 강도 및 재질이 서로 다른 이종의 강판을 필요한 모양으로 재단하여 용접한 후 프레스 성형하여 부품을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하는데, 이종의 두께 및 강재를 용접할 수 있어서 부위별로 요구되는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B-필러의 상부의 충돌 지지부에는 예를 들어 120~150K급 초고강도 강재를 사용하고, 응력이 집중되는 B-필러의 하단부에는 TWB 공법으로 충격 흡수성능이 좋은 부재를 연결하여 차량 충돌시 충격 흡수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는데, B-필러의 충격 흡수부에 사용되는 강재를 통상 TWB용 강이라 칭한다.
현재 개발된 TWB용 강은 열연, 냉연 공정 후 핫 스탬핑 공정을 통해 최종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Ferrite-Martensite)의 듀얼 상(dual phase)을 가지며 70K급 인장강도를 갖는 강으로 개발되고 있다. B-필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70K급의 TWB용 강과, 예를 들면, 150K급 강을 TWB 공법으로 용접한 후 핫 스탬핑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150K급 강은 핫 스탬핑 공정을 통해 100%의 마르텐사이트 조직을 얻기 때문에 핫 스탬핑 공정 중 재질변화가 일어나지 않지만, 70K급 TWB용 강의 경우 핫 스탬핑 공정의 여러 가지 변수, 예를 들어 강을 가열한 후 핫 스탬핑 금형으로 이송하는 데 걸리는 이송시간이나, 블랭크(blank) 또는 금형의 냉각 속도에 따라서 재질이 급격히 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70K급 TWB용 강을 150K급 강과 용접하여 접합 강재를 형성하고, 그 접합 강재에 대해 핫 스탬핑을 진행하는 경우, 공정 변수의 제어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핫 스탬핑 부품의 재질 편차가 나타나 자동차의 충돌 부재로는 적합하지 않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강재의 구성 성분 조절과 석출을 통해 핫 스탬핑 공정 변수의 범위에서 강재의 재질 편차를 최소화하였다.
TWB용 강재
본 발명의 일 관점은 핫 스탬핑 공정을 거치는 TWB용 강재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TWB용 강재는, 탄소(C): 0.04~0.06 중량%, 실리콘(Si):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망간(Mn): 1.2~1.5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18 중량% 이하, 황(S): 0 중량% 초과 0.003 중량% 이하, 티타늄(Ti): 0.01~0.10 중량%, 니오븀(Nb): 0.01~0.10 중량%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상기 TWB용 강재는 핫 스탬핑 후 최종적으로 인장강도(TS): 559~605MPa, 항복강도(YS): 360~390MPa, 및 연신율(El): 20% 이상을 가지며,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의 듀얼 상 조직을 갖는다.
또한, 상기 TWB용 강재는 표면에 강재의 내식성 향상을 위한 알루미늄(Al)-실리콘(Si) 도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TWB용 강재는 150k급 강재와 접합된 상태에서, 핫 스탬핑을 거친 후에, 55K급의 인장강도를 신뢰성있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TWB용 강재는 150K급 강재와 접합된 부품 상태에서 종래의 70K급 강재보다 충격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TWB용 강재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역할 및 그 함량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탄소(C)
탄소(C)는 강재의 강도, 경도를 결정하는 주요 원소이며, 핫 스탬핑(또는 열간 프레스) 공정 이후, 강재의 인장강도를 확보하는 목적으로 첨가된다. 일 구체예에서, 탄소(C)는 TWB용 강재의 전체에 대하여 0.04~0.06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C)가 0.04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본 발명의 기계적 강도를 달성하기 어려우며, 0.06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강재의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망간(Mn)
망간(Mn)은 열처리시 소입성 및 강도 증가 목적으로 첨가된다. 망간(Mn)은 본 발명에 따른 TWB용 강재의 1.2~1.5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Mn)의 함량이 1.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망간(Mn)의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심부 편석 발생으로 인성이 열화되고 원가 측면에서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티타늄( Ti )
티타늄(Ti)은 마르텐사이트 패킷 크기(Packet size) 감소에 따른 강도 및 인성 증가를 목적으로 첨가된다. 또한 티타늄(Ti)은 페라이트(Ferrite) 영역의 안정적 확보를 통한 강재의 연신율 향상에 기여한다. 티타늄(Ti)은 본 발명에 따른 TWB용 강재의 0.01~0.1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타늄(Ti)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대로, 티타늄(Ti)의 함량이 0.10 중량%를 초과하면 인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니오븀( Nb )
니오븀(Nb)은 마르텐사이트 패킷 크기 감소에 따른 강도 및 인성 증가를 목적으로 첨가된다. 또한 니오븀(Nb)은 페라이트 영역의 안정적 확보를 통한 강재의 연신율 향상에 기여한다. 일 구체예에서, 니오븀(Nb)은 본 발명에 따른 TWB용 강재의 0.01~0.10 중량%의 함량으로 첨가된다. 니오븀(Nb)을 0.01 중량%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 공정에서 강재의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미미하고, 0.1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제강성 조대 석출물이 생성될 수 있으며, 강재 연신율이 저하되고, 원가 측면에서 불리하다.
실리콘( Si )
실리콘(Si)은 강재의 강도 및 연신율 향상에 기여한다. 다만, 실리콘(Si)의 함량이 본 발명에 따른 핫 스탬핑 강재의 0.03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표면 결함 및 도금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Si)의 함량을 핫 스탬핑용 강재 전체의 0 초과 0.03 중량% 이하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P)
인(P)은 편석이 잘 되는 원소로, 강재의 인성을 저해하는 원소이다. 일 구체예에서, 인(P)은 본 발명에 따른 핫 스탬핑 강재의 0 중량% 초과 0.018 중량%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인(P)을 0.018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공정중 크랙을 유발하고, 인화철 화합물이 형성되어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황(S)
황(S)은 가공성 및 물성을 저해하는 원소이다. 일 구체예에서, 황(S)은 본 발명에 따른 핫 스탬핑 강재의 0 중량% 초과 0.003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황(S)을 0.003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열간 가공성을 떨어뜨리고, 거대 개재물 생성에 의해 크랙 등 표면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TWB용 강재를 이용한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TWB 공정을 거치는 TWB용 강재를 이용하여 핫 스탬핑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핫 스탬핑용 블랭크를 준비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은, 이종의 강재로 이루어진 핫 스탬핑용 블랭크들을 준비하는 단계(S110), 상기 핫 스탬핑용 블랭크들을 접합하여 접합강재를 형성하는 단계(S120), 상기 접합강재를 이용하여 핫 스탬핑을 실시하여 성형체를 형성하는 단계(S130), 및 상기 성형체를 냉각하여 핫 스탬핑 부품을 형성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탬핑용 블랭크를 준비하는 단계(S110)
상기 핫 스탬핑용 블랭크를 준비하는 단계(S110)는, 핫 스탬핑 부품 형성을 위한 이종의 판재를 목적에 따라 원하는 형상으로 재단하여, 예를 들어 차량의 B-필라 형성을 위하여 충격 흡수부가 될 제1 블랭크와 충돌 지지부가 될 제2 블랭크를 각각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블랭크는 핫 스탬핑 후 B-필라의 충격 흡수부가 되는 부분으로, 차량 충돌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적절한 강도를 갖되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연신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랭크는 핫 스탬핑 후에 인장강도(TS): 559~605MPa, 항복강도(YS): 360~390MPa, 및 연신율(El): 20% 이상이고,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의 듀얼 상 조직을 갖는 강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블랭크는 핫 스탬핑 후 B-필라의 충돌 지지부가 되는 부분으로서, 차량 충돌시 운전자의 생존공간을 확보하여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핫 스탬핑 후에 1,200~1,500MPa의 인장강도를 갖는 초고강도 강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간압연 단계(S210), 냉각/권취 단계(S220), 냉간압연 단계(S230) 및 소둔 열처리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의 대상이 되는 반제품 상태의 슬라브 판재는, 탄소(C): 0.04~0.06 중량%, 실리콘(Si):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망간(Mn): 1.2~1.5 중량%, 인(P): 0 중량% 초과 0.018 중량% 이하, 황(S): 0 중량% 초과 0.003 중량% 이하, 티타늄(Ti): 0.01~0.10 중량%, 니오븀(Nb): 0.01~0.10 중량% 및 나머지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열간 압연을 위해 상기 슬라브 판재의 재가열 단계가 진행된다. 슬라브 재가열 단계에서는 연속 주조 공정을 통해 확보한 슬라브 판재를 SRT(Slab Reheating Temperature) : 1,200 ~ 1,250℃로 재가열하는 것을 통하여, 주조 시 편석된 성분을 재고용하게 된다. 슬라브 재가열 온도(SRT)가 1,200℃ 미만일 경우에는 주조 시 편석된 성분이 충분히 재고용되지 못해 합금 원소의 균질화 효과를 크게 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슬라브 재가열 온도(SRT)는 고온일수록 균질화에 유리하나 1,2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도가 증가하여 강도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부경화능 및 내시효성도 감소하고, 과도한 가열 공정으로 인하여 강판의 제조 비용만 상승할 수 있다.
열간 압연 단계(S210)에서는 재가열된 슬라브 판재를 마무리 압연 온도(Finishing Delivery Temperature: FDT) : 860 ~ 920℃의 조건으로 마무리 열간 압연한다.
이때, 마무리 압연 온도(FDT)가 860℃ 미만으로 너무 낮으면, 이상영역 압연에 의한 혼립 조직이 발생으로 강판의 가공성 확보가 어렵고, 미세조직 불균일에 따라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급격한 상 변화에 의해 열간압연중 통판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마무리 압연 온도(FDT)도 SRT와 마찬가지로 고온일수록 균질화에 유리하며 SRT 및 패스(pass) 수에 따라 결정되나, 마무리 압연 온도(FDT)가 920℃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화되어 소부경화능 및 내시효성이 감소한다.
냉각/권취 단계(S220)에서는 열간 압연된 판재를 권취 온도(Coiling Temperature: CT) : 620 ~ 660℃까지 냉각하여 권취한다. 권취 온도는 탄소(C)의 재분배에 영향을 미치며, 권취 온도가 620℃ 미만일 경우에는 강도 확보에는 유리하나, 연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권취 온도가 660℃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상 결정입자 성장이나 과도한 결정입자 성장으로 성형성 및 강도 열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냉간 압연 단계(S230)에서는 권취된 판재를 언코일링(uncoiling)하여 산세 처리한 후, 냉간 압연한다. 이때, 산세는 권취된 판재, 즉 상기의 열연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열연 코일의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상기 냉간 압연은 산세 처리된 판재를 냉간 압하율 : 60 ~ 80%로 냉간 압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간 압하율이 60% 미만일 경우에는 열연 조직의 변형효과가 작다. 반대로, 냉간 압하율이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냉간 압연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드로잉성을 저해하고 강판의 가장자리에 균열의 발생으로 강판이 파단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소둔 열처리 단계(S240)는 상기 냉연 판재를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이다. 일 구체예에서 소둔 열처리는 냉연 판재를 가열하고, 가열된 냉연 판재를 20~5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소둔 열처리시 냉연 판재를 700~900℃에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가열시 공정 효율성과, 강재의 강도 및 성형성이 동시에 우수할 수 있다.
냉연 판재를 20℃/s 미만의 냉각속도로 냉각시 강재의 생산성이 저하되며, 50℃/s를 초과하는 냉각속도로 냉각시 강재의 균일한 미세 조직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면 30~4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도 1의 핫 스탬핑 단계(S130)에서는, 성형 대상인 접합 강재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연화시켜 프레스 가공한 다음 냉각한다. 따라서, 접합 강재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연화시키므로 용이하게 프레스 가공할 수 있고 성형 후의 냉각에 의한 ◎칭에 의해 강재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진다. 그러나, 800℃ 이상의 고온으로 강재를 가열하므로 강재 표면의 철(Fe)이 산화되어 산화물(스케일)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소둔 열처리 이후에, 상기 냉연 강판에 소정의 피복을 실시할 수 있는데, 유기계 피복이나 아연(Zn)계 피복에 비해 융점이 높은 알루미늄(Al)계 금속 피복, 예를 들어 알루미늄(Al)-실리콘(Si)계 도금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알루미늄(Al)-실리콘(Si) 도금된 냉연 강판은 부식을 방지하고 프레스로 이동시 뜨거운 강판 표면에서의 스케일의 생성을 방지한다.
강판에 대한 알루미늄(Al)-실리콘(Si) 도금처리는 잘 알려진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는, 강판에 알루미늄(Al)-실리콘(Si)을 확산코팅하는 방법으로, 확산코팅 온도로 가열될 수 있는 가열로에 강판을 투입한 후 확산코팅 온도로 가열된 강판의 표면에 알루미늄(Al)-실리콘(Si)이 확산코팅되게 한다.
강판을 알루미늄(Al)-실리콘(Si) 도금처리하는 다른 방법은, 강판을 도금욕에 침적하여 알루미늄(Al)-실리콘(Si) 도금을 실시한 다음, 합금화 열처리를 수행하고, 합금화 열처리된 강판을 냉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도금처리에 의해, 강판의 표면에는 알루미늄(Al)-실리콘(Si) 도금층이 형성되고, 이러한 도금층은 후술할 고온 열처리 과정에서 산화 스케일 층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2 블랭크는 열간압연 단계, 냉각/권취 단계, 냉간압연 단계 및 소둔 열처리 단계를 진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2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의 대상이 되는 반제품 상태의 강 슬라브는, 중량%로 탄소(C): 0.20~0.50%, 실리콘(Si): 0.05~1.00%, 망간(Mn) : 0.10~2.50%, 인(P): 0 초과 0.015% 이하, 황(S): 0 초과 0.005% 이하, 크롬(Cr): 0.05~1.00%, 보론(B): 0.001~0.009%, 티타늄(Ti): 0.01~0.09% 및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열간압연 단계는, 상기 강 슬래브를 1200~1250℃의 온도로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한 슬라브를 900~950℃의 온도에서 마무리압연하는 단계; 상기 열간압연된 강판을 680℃ 내지 800℃까지 냉가 후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냉간 압연 단계는 상기 권취된 강판을 산세 후 냉간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소둔 열처리 단계는 상기 냉간압연된 판재를 740℃~820℃에서 소둔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둔 열처리된 판재는 일 예로서, 5~50℃/sec로 냉각 속도로 상온까지 냉각될 수 있다.
접합강재를 형성하는 단계(S120)
상기 이종의 제1 및 제2 블랭크를 TWB 공정을 통해 접합하여 접합강재를 형성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블랭크를 B-필라의 하단의 충격 흡수부가 되고, 제2 블랭크를 상부의 충돌 지지부가 되게 배치한 다음, 예를 들어 레이저를 이용하여 맞대기 방식으로 용접할 수 있다.
스탬핑 단계(S130)
상기 접합강재를 가열로에서 약 850 ~ 950℃의 온도로 가열한다. 일 예로서, 상기 가열은 930℃의 온도에서 약 5분간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가열된 접합강재를 프레스 금형으로 이송한다. 이때, 약 9 ~ 11초 정도의 이송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핫 스탬핑용 프레스 금형에서 최종 부품형상으로 성형된 후 약 30 ~ 120℃/sec의 냉각 속도로 성형체를 급냉하여 최종 제품을 형성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프레스 금형에는 내부에 냉매가 순환하는 냉각 채널이 구비될 수 있다. 구비된 냉각 채널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매에 의한 순환에 의해 가열된 블랭크를 신속히 급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접합강재의 스프링 백(spring back)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원하는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프레스 금형을 닫은 상태에서 가압하면서 급냉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S110 ~ S130)으로 제조되는 핫 스탬핑 부품은, 상기 충격 흡수부에 사용되는 상기 제1 블랭크에 대응되는 강재 부분에 포함되는 탄소(C)의 함량을 0.04~0.06 중량%로 제한함으로써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을 줄이는 대신 석출을 극대화하여 강도 보상과 연신율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또한, 티타늄(Ti) 및 니오븀(Nb)의 함량을 적절히 제한함으로써 마르텐사이트 패킷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강도 및 인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페라이트 영역의 안정적 확보를 통해 연신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핫 스탬핑 과정에서의 공정 변수에 따른 재질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몰리브덴(Mo) 등 고가의 소입성 원소를 제외하고도 우수한 55K급 핫 스탬핑 부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연신율을 통한 충격 흡수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핫 스탬핑 부품은 충격 흡수부로서, 인장강도(TS): 550MPa 이상, 항복강도(YP): 300MPa 이상, 및 연신율(EL): 20% 이상을 만족하는 동시에 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의 듀얼 상 조직을 가지는 강재를 적용함으로써, 복잡한 형상으로의 가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충돌 흡수성능이 우수하여 차량의 충돌부재에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핫스탬핑 부분은 충돌 지지부로서, 인장강도(TS): 1200 내지 1500 MPa의 고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또한,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구현예 (1st embodiment)
1. 시편의 준비
표 1의 성분과 잔량의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슬라브 재가열 온도: 1,200℃에서 재가열 하고, 마무리 압연 온도: 900℃ 조건에서 열간 압연한 다음, 냉각하여 권취온도: 640℃ 조건에서 권취하여 열연 코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열연 코일을 언코일링한 다음, 냉간 압연하여 냉연 판재를 제조하고, 냉연 판재를 810℃까지 가열한 다음, 33℃/s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소둔 열처리를 하여 실시예 1의 강재를 제조하였다.
또한, 표 1과 같은 성분과 잔량의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 및 2의 강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강재 시편의 경우 비교예 1의 강재 시편과 티타늄(Ti)의 함량비를 달리하면서 몰리브덴(Mo)을 첨가하였다.
구분
C
(중량%)
Mn
(중량%)
Nb
(중량%)
Ti
(중량%)
Mo
(중량%)
핫 스탬핑
후 목표
인장강도
실시예 1 0.05 1.40 0.06 0.07 - 550MPa 이상
비교예 1 0.08 1.60 0.05 0.07 - 500 내지 700 MPa
비교예 2 0.08 1.80 0.05 0.065 0.20 650 내지 750 MPa
다음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강재로 이루어진 제1 블랭크들을 준비한다. 또한, 별도로 1500 MPa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강재로 이루어진 제2 블랭크를 준비한다. 상기 제2 블랭크는 중량%로 탄소(C): 0.20~0.50%, 실리콘(Si): 0.05~1.00%, 망간(Mn) : 0.10~2.50%, 인(P): 0 초과 0.015% 이하, 황(S): 0 초과 0.005% 이하, 크롬(Cr): 0.05~1.00%, 보론(B): 0.001~0.009%, 티타늄(Ti): 0.01~0.09% 및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블랭크들과 상기 제2 블랭크를 레이저 용접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접합강재를 각각 제조하고, 각각의 접합강재를 930℃에서 5분간 가열한 다음, 상기 가열된 접합강재를 약 10초의 이송시간으로 열간 프레스용 금형에 이송하여 열간 프레스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고, 상기 성형체를 10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여 최종 핫 스탬핑 부품을 각각 제조하였다.
2. 기계적 물성 평가
상기 제조된 성형체 중,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및 2에 해당하는 강재 부위에 대하여 인장강도(MPa), 항복강도(MPa) 및 연신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인장강도(TS)
(MPa)
항복강도(YS)
(MPa)
연신율(EL)
(%)
목표치 550MPa 이상 300MPa 이상 20% 이상
실시예 1 580 370 26.0
비교예 1 570 390 13.2
비교예 2 730 530 12.3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강재 부위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강재에 비해 충돌 흡수재로서 요구되는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의 범위 내에서 우수한 연신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연신율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강재의 경우 20% 이상의 연신율을 나타내어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충격 흡수재로서의 성능이 우수할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3은 비교예 1~2의 강재에 해당하는 성형체의 공정 시간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며, 도 4는 실시예 1의 강재에 해당하는 성형체의 공정 시간에 따른 미세조직 변화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및 2의 성형체 제조시, 접합강재를 열간 프레스에 이송할 때 이송시간에 따른 강재의 미세조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송시간을 각각 7초, 9초, 11초 및 13초로 나누어 측정하고, 표 3에 이송 시간 범위 내에서의 인장 강도, 항복 강도 및 연신율의 분포 범위를 나타내었다.
구분 인장강도(TS)
(MPa)
항복강도(YS)
(MPa)
연신율(EL)
(%)
실시예 1 559~605 360~390 26.0~32.7
비교예 1 529~619 354~435 7.0~19.4
비교예 2 685~773 466~601 8.5~16.1
표 3을 참조하면, 비교예 1 및 2는 상기 이송 시간 범위 내에서, 인장 강도, 항복 강도 및 연신율의 편차가, 실시예 1과 대비하여 크게 발생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비교예 1~2의 강재의 경우, 핫 스탬핑을 위하여 가열 후 이송시간이나 블랭크 또는 금형의 냉각 속도에 따라 마르텐사이트와 페라이트의 분율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의 페라이트 변환 곡선(310)과 베이나이트 변환 곡선(320)의 시간축 간격(참조부호 "A")이 좁기 때문에 공정 변수에 따라 강재의 온도 곡선(330)이 시간축 상에서 좌 또는 우로 이동함에 따라 강재의 재질이 급격하게 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핫 스탬핑 공정의 경우 공정 조건의 제어가 쉽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체의 부위별로 재질의 분율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의 충돌부재 부품 용도로 부적합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4를 참조하면, 강재의 페라이트 변환 곡선(410)이 도 3에 비해 시간축 상에서 좌측으로 상당히 이동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페라이트 변환 곡선(41)과 베이나이트 변환 곡선(420)의 시간축에 따른 간격(도면참조 부호 ??B??이 넓기 때문에, 시간에 따른 강재의 온도 곡선(430)이 공정 변수로 인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더라도 두 재질 곡선(410, 420) 사이에서 움직이므로 핫 스탬핑 부품의 재질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즉, 핫 스탬핑 후에 가지는 상기 실시예 1의 강재가 가지는 조직은 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의 듀얼 상 조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탄소(C)의 함유량을 제한하고, 니오븀(Nb) 및 티타늄(Ti)의 함유량 제어를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원하는 핫 스탬핑 부품의 재질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강재에 해당하는 성형체의 핫 스탬핑용 금형 이송시간에 따른 표면조직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비교예 1의 강재에 해당하는 성형체의 핫 스탬핑용 금형 이송시간에 따른 표면조직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비교예 2의 강재에 해당하는 성형체의 핫 스탬핑용 금형 이송시간에 따른 표면조직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강재는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미세조직을 가지며, 표 3에서와 같이, 금형 이송 시간 범위 내에서 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연신율의 재질 편차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반면에, 금형 이송 시간 범위 내에서, 비교예 1은 페라이트 및 마르텐사이트 미세조직을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확보하지 못하였으며, 비교예 2는 페라이트와 저온상의 미세조직을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상기 저온상은 마르텐 사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미세 조직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비교예 1 및 2의 경우, 표 3에서와 같이, 실시예의 강재보다 금형 이송 시간에 따른 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연신율의 재질 편차가 크게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강재에 해당하는 성형체의 핫 스탬핑용 금형의 냉각속도에 따른 표면조직을 나타낸 것으로, 냉각속도가 각각 30℃/s, 60℃/s 및 120℃/s일 때의 표면조직을 나타내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속도에 따른 미세조직의 분율이 거의 일정하였으며 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연신율의 변화도 크기 않았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재는, 제어가 어려운 핫 스탬핑 금형으로의 이송시간, 냉각속도 등의 공정 변수에 따라 발생하는 성형체의 재질편차를 방지하기 위해 티타늄(Ti) 및 니오븀(Nb)을 첨가하여 페라이트 영역을 확보하고 소입성을 높이고, 탄소(C) 첨가량을 감소시켜 마르텐사이트의 분율을 감소시킴으로써, 핫 스탬핑 공정의 공정 변수(열간 프레스 금형의 이송시간 및 냉각속도) 범위 내에서 미세 조직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성형체의 부위별 재질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가의 몰리브덴(Mo)을 배제하고도 비교예의 강재보다 인성이 우수하여, 경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제2 구현예 (2nd embodiment)
1. 시편의 준비
제1 구현예의 표 1의 실시예 1의 합금 조성을 가지며, 제1 구현예의 열간 압연, 냉간 압연 및 소둔 열처리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실시예의 강재를 준비하였다. 또한, 제1 구현예의 표 1의 실시예 1의 합금 조성에, 각각 0 초과 0.0020 중량% 이하의 보론이 추가된 합금 조성을 가지며, 제1 구현예의 공정 조건을 진행하여 복수의 비교예의 강재를 준비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복수의 비교예의 강재로 이루어진 블랭크들과 150K급 강재로 이루어진 블랭크를 레이저 용접하여 실시예 및 상기 복수의 비교예에 따른 접합강재를 각각 제조하였다. 상기 접합 강재에 대해 제1 구현예의 열간 프레스 공정을 진행하여, 최종 핫 스탬핑 부품을 각각 제조하였다.
2. 기계적 물성 평가
상기 제조된 성형체 중, 실시예 및 복수의 비교예에 해당하는 강재 부위에 대하여, 보론 첨가에 따라 강재 내에 생성되는 베이나이트의 분율을 측정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강재 내에 보론 첨가에 따르는 조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보론이 첨가되지 않은 실시예의 강재는 베이나이트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이와 대비하여, 복수의 비교예의 강재는 보론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베이나이트 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보론이 강재에 첨가됨에 따라, 냉각 과정에서 강재의 온도 곡선(330)이 베이나이트 변환 곡선(320)을 통과하는 구간이 커짐을 예상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실시예 1의 강재의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냉각 과정에서 강재의 온도 곡선(330)이 베이나이트 변환 곡선(320)을 만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비교예의 강재에서 발생한 베이나이트 조직에 해당되는 분율이 실시 예의 강재에서는 페라이트 조직의 분율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강재는 상기 복수의 비교예의 강재와 대비하여 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제3 구현예 (3rd embodiment)
1. 시편의 준비
표 4의 성분과 잔량의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강 슬라브를 각각 슬라브 재가열 온도: 1,200℃에서 재가열 하고, 마무리 압연 온도: 900℃ 조건에서 열간 압연한 다음, 냉각하여 권취온도: 640℃ 조건에서 권취하여 열연 코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열연 코일을 언코일링한 다음, 냉간 압연하여 냉연 판재를 제조하고, 냉연 판재를 810℃까지 가열한 다음, 33℃/s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소둔 열처리를 하여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3 내지 7의 강재를 제조하였다.
구분 C (중량%) Mn(중량%) Ti(중량%) Nb(중량%)
실시예2 0.05 1.2 0.07 0.06
실시예3 1.3
실시예4 1.4
실시예5 1.5
비교예3 1.6
비교예4 1.7
비교예5 1.8
비교예6 1.9
비교예7 2.0
이어서, 상기 실시예 2~5 및 비교예 3~7의 강재로 이루어진 블랭크들과 150K급 강재로 이루어진 블랭크를 레이저 용접하여 실시예 2~5 및 비교예 3~7에 따른 접합강재를 각각 제조하고, 각각의 접합강재를 930℃에서 5분간 가열한 다음, 상기 가열된 접합강재를 약 10초의 이송시간으로 열간 프레스용 금형에 이송하여 열간 프레스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고, 상기 성형체를 100℃/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여 최종 핫 스탬핑 부품을 각각 제조하였다.
2. 기계적 물성 평가
상기 제조된 성형체 중, 실시예 2~5 및 비교예 3~7에 해당하는 강재 부위에 대하여, 망간 첨가량에 따른 강재의 연신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연신율 측정은, 실시예 2~5 및 비교예 3~7에 대해 각각 10개 시편을 제작한 후에 상온 인장 시험을 통해 진행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일 비교예에 있어서, 망간 함량에 따르는 연신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표 5는 실시예 2~5 및 비교예 3~7에 대해 각각 10개 제작한 시편의 평균 연신율(%)과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상기 평균 연신율은 10개의 시편 각각의 연신율의 산술 평균일 수 있다.
구분 평균 연신율(%) 표준편차
실시예2 28 1.2
실시예3 27 1.6
실시예4 26 1.3
실시예5 23 2.5
비교예3 19 2.7
비교예4 18 3.1
비교예5 17 3.4
비교예6 16 3.6
비교예7 15 3.9
표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 내지 5의 강재의 경우, 비교예 3 내지 7의 강재와 비교할 때, 평균 연신율이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2 내지 5의 강재의 경우, 비교예 3 내지 7의 강재와 비교할 때, 연신율의 표준 편차가 낮게 측정되었다. 즉, 강재 내에 망간이 1.6중량% 이상 첨가되는 비교예 3 내지 7의 경우, 망간에 의한 고용 강화 증가로 강도 확보에는 용이하나, 연신율이 하락하고 연신율의 표준 편차가 증가할 위험이 있다. 이에 비해, 실시예 2 내지 5의 경우, 핫스탬핑 후 연신율의 증가와 더불어, 연신율의 표준 편차가 상대적으로 감소함으로써, 부품 성능의 안정화를 획득할 수 있다.
제4 구현예 (4th embodiment)
1. 시편의 준비
표 4의 실시예 2~5의 합금 조성과 잔량의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강 슬라브를 각각 슬라브 재가열 온도: 1,200℃에서 재가열 하고, 마무리 압연 온도: 900℃ 조건에서 열간 압연한 다음, 냉각하여 권취온도: 640℃ 조건에서 권취하여 열연 코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열연 코일을 언코일링한 다음, 냉간 압연하여 냉연 판재를 제조하고, 냉연 판재를 810℃까지 가열한 다음, 33℃/s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소둔 열처리를 하여 실시예 2~5의 강재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실시예 2~5의 강재로 이루어진 블랭크들과 1500MPa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강재로 이루어진 블랭크를 레이저 용접하여 실시예 2~5에 따른 접합강재를 각각 제조하고, 각각의 접합강재를 930℃에서 5분간 가열한 다음, 상기 가열된 접합강재를 약 10초의 이송시간으로 열간 프레스용 금형에 이송하여 열간 프레스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고, 상기 성형체를 75℃/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여 최종 핫 스탬핑 부품을 각각 제조하였다.
2. 미세조직 관찰
상기 성형체에 대해, 상기 실시예 2~5의 강재부분에 대한 미세조직의 면적분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은 공지의 ASTM E562-11 시스테메틱 메뉴얼 포인트 카운트법(systematic manual point count)으로 진행하였다. 면적분율의 측정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망간 함량(중량%) 페라이트 면적분율(%) 마르텐사이트 면적분율(%)
실시예2 1.2 88~98 2~12
실시예3 1.3 87~97 3~13
실시예4 1.4 88~97 3~12
실시예5 1.5 87~98 2~12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 2~5의 강재부분은 망간 함량에 따라 편차를 크게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망간 함량 범위인 1.2~1.5 중량% 내에서, 실시예 2~5의 강재 부분은 면적분율 87~98%의 페라이트 및 면적분율 2~13%의 마르텐사이트를 가지는 미세조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관찰되었다.
제5 구현예 (5th embodiment)
1. 시편의 준비
0.05 중량%의 탄소, 1.4 중량%의 망간, 0.07 중량%의 티타늄, 0.06 중량%의 니오븀, 및 잔량의 철(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강 슬라브를 각각 슬라브 재가열 온도: 1,200℃에서 재가열 하고, 마무리 압연 온도: 900℃ 조건에서 열간 압연한 다음, 냉각하여 권취온도: 640℃ 조건에서 권취하여 열연 코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열연 코일을 언코일링한 다음, 냉간 압연하여 냉연 판재를 제조하고, 냉연 판재를 810℃까지 가열한 다음, 33℃/s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소둔 열처리를 하여 강재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소둔 열처리를 수행한 강재로 이루어진 블랭크와 1500 MPa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강재로 이루어진 블랭크를 레이저 용접하여 접합강재를 제조하고, 상기 접합강재를 930℃에서 5분간 가열한 다음, 상기 가열된 접합강재를 약 10초의 이송시간으로 열간 프레스용 금형에 이송하여 열간 프레스 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성형체를 각각, 34℃/s, 63℃/s, 94℃/s, 및 115℃/s의 냉각속도로 냉각하여 실시예 6~9의 강재를 포함하는 핫 스탬핑 부품을 각각 제조하였다.
2. 미세조직 관찰
상기 제조된 핫 스탬핑 부품에 대해, 상기 실시예 6~9의 강재부분에 대한 미세조직의 면적분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은 공지의 ASTM E562-11 시스테메틱 메뉴얼 포인트 카운트법(systematic manual point count)으로 진행하였다. 면적분율의 측정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냉각속도(℃/s) 페라이트 면적분율(%) 마르텐사이트 면적분율(%)
실시예6 34 90~98 2~10
실시예7 63 88~97 3~12
실시예8 94 88~96 4~12
실시예9 115 83~95 5~17
표 7을 참조하면, 실시예 6~9의 강재부분은 냉각 속도에 따라 편차를 크게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4~115℃/s의 냉각 속도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 6~9의 강재 부분은 면적분율 83~98%의 페라이트 및 면적분율 2~17%의 마르텐사이트를 가지는 미세조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S110 : 핫 스탬핑용 블랭크를 준비하는 단계
S120 : 블랭크를 접합하여 접합강재를 형성하는 단계
S130 : 핫 스탬핑/냉각 단계
S210 : 열간압연 단계
S220 : 냉각/권취 단계
S230 : 냉간압연 단계
S240 : 소둔 열처리 단계

Claims (11)

  1. 탄소(C): 0.04~0.06 중량%, 망간(Mn): 1.2~1.5 중량%, 티타늄(Ti): 0.01~0.10 중량%, 니오븀(Nb): 0.01~0.10 중량% 및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되, 몰리브덴(Mo)을 포함하지 않으며,
    인장강도(TS): 550MPa 이상 605MPa 이하, 항복강도(YS): 300 MPa 이상 461MPa 이하, 및 연신율(El): 20% 이상 32.7% 이하이며, 페라이트와 마르텐사이트의 듀얼 상 조직을 갖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Taylor Welded Blank)용 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실리콘(Si): 0 중량% 초과 0.03 중량% 이하, 인(P): 0 중량% 초과 0.018 중량% 이하, 및 황(S): 0 중량% 초과 0.003 중량% 이하를 더 포함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용 강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의 표면에, 상기 강재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알루미늄(Al)-실리콘(Si) 도금층을 포함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용 강재.
  4. (a) 탄소(C): 0.04~0.06 중량%, 망간(Mn): 1.2~1.5 중량%, 티타늄(Ti): 0.01~0.10 중량%, 니오븀(Nb): 0.01~0.10 중량% 및 잔부의 철(Fe)과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되, 몰리브덴(Mo)을 포함하지 않는 강 슬라브를 이용한 제1 블랭크와, 상기 제1 블랭크와는 별도로 제공되는 강판을 재단하여 제2 블랭크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1 및 제2 블랭크를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방식으로 용접하여 접합강재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접합강재를 프레스 금형으로 핫 스탬핑하여 성형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성형체를 냉각하여 핫 스탬핑 부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블랭크는 상기 핫 스탬핑 후에 인장강도(TS): 550MPa 이상 650MPa 이하, 항복강도(YS): 300MPa 이상 461MPa 이하, 및 연신율(El): 20% 이상 32.7% 이하인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강 슬라브를 마무리 압연온도(FDT): 860 ~ 920℃ 조건으로 마무리 열간압연하는 단계;
    (a-2) 상기 마무리 열간압연된 판재를 권취온도(CT): 620 ~ 660℃까지 냉각하여 권취하는 단계;
    (a-3) 상기 권취된 판재를 언코일링하고 냉간 압연하는 단계; 및
    (a-4) 상기 냉간 압연된 판재를 소둔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랭크는,
    핫 스탬핑 후에 1,200 ~ 1,500MPa의 인장 강도를 갖는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c)단계는
    (c1) 상기 접합강재를 850 ~ 95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c2) 상기 가열된 접합강재를 9~11초의 이송시간으로 상기 프레스 금형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핫 스탬핑용 부품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성형체의 냉각은 30~120℃/s의 속도로 실시하는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랭크는 차량용 B-필러(B-Pillar)의 충격 흡수부로 기능하고,
    상기 제2 블랭크는 차량용 B-필러의 충돌 지지부로 기능하는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 후,
    상기 판재의 표면에 내식성 향상을 위한 알루미늄(Al)-실리콘(Si) 도금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KR1020170168403A 2017-06-27 2017-12-08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용 강재 및 이를 이용한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KR101978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5716 WO2019004541A1 (ko) 2017-06-27 2017-12-29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용 강재 및 이를 이용한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DE112017007714.1T DE112017007714T5 (de) 2017-06-27 2017-12-29 Stahlmaterial für ein geschweisstes tailor blank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warmpressteils unter verwendung des gleichen stahls
US16/625,431 US11629389B2 (en) 2017-06-27 2017-12-29 Steel material for taylor welded bl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t-stamped part using same steel
CN201780092680.6A CN110832100B (zh) 2017-06-27 2017-12-29 用于拼焊板的钢材料及使用该钢材制造热冲压部件的方法
US17/527,249 US11655518B2 (en) 2017-06-27 2021-11-16 Steel material for taylor welded bl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t-stamped part using same st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280 2017-06-27
KR20170081280 2017-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492A KR20190001492A (ko) 2019-01-04
KR101978072B1 true KR101978072B1 (ko) 2019-05-13

Family

ID=6501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403A KR101978072B1 (ko) 2017-06-27 2017-12-08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용 강재 및 이를 이용한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629389B2 (ko)
KR (1) KR101978072B1 (ko)
CN (1) CN110832100B (ko)
DE (1) DE112017007714T5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12136A1 (de) 2020-09-28 2022-03-3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armumgeformten und pressgehärteten Stahlblechbauteils
CN112962021B (zh) * 2021-01-25 2022-06-10 唐山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激光拼焊后用于整体热冲压成形的强塑钢板及生产方法
CN114959441A (zh) * 2021-02-26 2022-08-30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热冲压钢板、热冲压部件及其制造方法
CN112975306A (zh) * 2021-05-10 2021-06-18 四川轻舟汽车轻量化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零部件热冲压成型的生产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060B1 (ko) * 2013-05-09 2013-10-15 현대제철 주식회사 인성이 향상된 핫스탬핑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3916B2 (ja) * 2009-03-27 2014-05-07 日新製鋼株式会社 曲げ性に優れた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
KR101225387B1 (ko) * 2010-06-29 2013-0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용접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제조방법
KR101290418B1 (ko) * 2011-06-28 2013-07-26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41218A (ko) * 2013-05-31 2014-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RU2625357C1 (ru) 2013-09-10 2017-07-13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бе Сейко Се (Кобе Стил, Лтд.) Горячештампованная толстолистовая сталь, формованное штампованием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ного штампованием изделия
KR101897932B1 (ko) * 2014-07-14 2018-09-12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열연 강판
KR101714121B1 (ko) 2014-11-21 201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KR101725608B1 (ko) 2014-12-24 2017-04-11 주식회사 포스코 구성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57376B1 (ko) * 2014-12-26 2016-09-13 현대제철 주식회사 핫 스탬핑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0031B1 (ko) 2015-09-23 2017-08-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성형체 제조방법
CN106906420A (zh) * 2015-12-29 2017-06-30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温热冲压汽车零部件、其热冲压工艺及其制造方法
KR101726139B1 (ko) 2016-09-21 2017-04-12 주식회사 포스코 연신율 및 충격 인성이 우수한 열간 프레스 부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060B1 (ko) * 2013-05-09 2013-10-15 현대제철 주식회사 인성이 향상된 핫스탬핑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492A (ko) 2019-01-04
US11629389B2 (en) 2023-04-18
CN110832100A (zh) 2020-02-21
US11655518B2 (en) 2023-05-23
US20220074017A1 (en) 2022-03-10
CN110832100B (zh) 2021-11-05
US20210292866A1 (en) 2021-09-23
DE112017007714T5 (de)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265B1 (ko) 항복강도비가 우수한 초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78072B1 (ko)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용 강재 및 이를 이용한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KR101938073B1 (ko) 핫 스탬핑 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275914B1 (ko)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핫 스탬핑 부품
KR102469278B1 (ko) 열간성형용 강재, 열간성형 부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312426B1 (ko) 핫 스탬핑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9154B1 (ko) 핫 스탬핑 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938092B1 (ko) 핫 스탬핑 부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핫 스탬핑 부품
CN110088331B (zh) 焊接性优异的电阻焊钢管用热轧钢板及其制造方法
KR20150075306A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11004A (ko) 핫 스탬핑용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핫스탬핑 부품 및 이에 의해 제조 방법
KR101770031B1 (ko) 성형체 제조방법
KR101848157B1 (ko) 수소취성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2342B1 (ko) 용접성 및 굽힘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26139B1 (ko) 연신율 및 충격 인성이 우수한 열간 프레스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37196A (ko) 내충돌특성이 우수한 열간성형 가공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과 고강도 자동차용 구조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49137B1 (ko) 용접성 및 하이드로포밍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67706B1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초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77487B1 (ko) 용접성이 우수한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8760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6082B1 (ko) 초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828699B1 (ko) 자동차 부품용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53696B1 (ko) 항복강도 및 신장 플랜지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68035B1 (ko)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고항복비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25264B1 (ko) 성형성 및 표면특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열연 강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