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932B1 -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932B1
KR101768932B1 KR1020170009473A KR20170009473A KR101768932B1 KR 101768932 B1 KR101768932 B1 KR 101768932B1 KR 1020170009473 A KR1020170009473 A KR 1020170009473A KR 20170009473 A KR20170009473 A KR 20170009473A KR 101768932 B1 KR101768932 B1 KR 101768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an cable
cable connector
insertion groove
circui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태홍
손영일
Original Assignee
(주)청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전자 filed Critical (주)청우전자
Priority to KR1020170009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25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계량장치는, 일측에 랜케이블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 하우징과, 전력량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1 회로부와, 상기 제1 회로부와 연결되고, 일측 상부에 상기 삽입홈에 대향하여 연결핀이 형성되어 상기 랜케이블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 회로부와, 내측의 수용공간에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를 고정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결착되어 내부를 폐쇄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계량기의 정면 패널에 랜케이블을 삽입함으로써 복수의 계량기를 설치시 측면 배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전력계량장치{ELECTRONIC POWER GAUGE}
본 발명은 전자식 전력계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랜케이블의 포트가 측면이 아닌 정면에 형성되는 전력계량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전력 원격 검침 시스템이란 각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식 전력량계인 전자식 계량기(E-type 계량기)에 의한 전력 적산 데이터 정보를 유.무선 등의 통신매체로 하여 원격지에 있는 전기회사에 제공하는 제반수단을 의미한다.
전력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는 각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각 전자기기의 소모전력을 측정하는 전자식 계량기(E-type 계량기)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전자식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전자기기의 전력 사용량에 따라 검침데이터를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검침데이터는 전력선통신모뎀(PLC 모뎀)을 통해 전력선통신(PLC : Power Line Communication) 방식으로 한전의 원격 검침 수집 서버에 송신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7874호(2014년06월24일 공개)는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참침나사를 이용하여 전력케이블의 전선에 접촉하여 전력선통신 신호를 추출하고, 커넥터에 랜케이블을 연결하여 모뎀에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어 빗물이나 눈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며, 내부가 전선으로 연결되어 단선 등에 의해 고장이 발생하며, 계량기의 측면에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계량기를 배열하는데 공간상의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계량기의 정면 패널에 랜케이블을 삽입함으로써 복수의 계량기를 설치시 측면 배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계량기와 랜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전선을 회로기판으로 대체하여 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랜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속부재를 줄임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자식 전력계량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계량장치는, 일측에 랜케이블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 하우징과, 전력량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1 회로부와, 상기 제1 회로부와 연결되고, 일측 상부에 상기 삽입홈에 대향하여 연결핀이 형성되어 상기 랜케이블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 회로부와, 내측의 수용공간에 상기 제1 회로부 및 상기 제2 회로부를 고정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결착되어 내부를 폐쇄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핀은, 단면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회로부와 상기 랜케이블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금속선이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랜케이블 커넥터의 헤드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랜케이블 커넥터의 일측이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제1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부 타측에는 상기 제1 레일과 대향하여 상기 랜케이블 커넥터의 타측을 안내하는 제2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로부와 상기 제2 회로부는 서로 이격되어 본딩와이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로부는, 일측에 전력량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랜케이블의 접속 여부를 알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이디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량기의 정면 패널에 랜케이블을 삽입함으로써 복수의 계량기를 설치시 측면 배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계량기와 랜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전선을 회로기판으로 대체하여 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랜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속부재를 줄임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자식 전력계량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계량장치의 조립된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전자식 전력계량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중 제1 하우징과 제2 회로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중 제1 하우징과 연결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중 제1 하우징의 삽입홈의 세부 구성도,
도 6은 종래의 전력계량장치 및 본 발명의 전자식 전력계량장치의 설치시 공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계량장치의 조립된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전자식 전력계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중 제1 하우징과 제2 회로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중 제1 하우징과 연결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중 제1 하우징의 삽입홈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전력계량장치(100)는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제1 회로부(130) 및 제2 회로부(14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0)은 합성수지재 사출물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제1 하우징(110)은 제2 하우징(120)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이 경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의 공간에 제1 회로부(130) 및 제2 회로부(140)가 수용된다. 제1 하우징(110)의 상부 일측에는 삽입홈(111)이 형성되고 랜케이블 커넥터(10)가 삽입된다. 삽입홈(111)은 일종의 통신포트로 485 통신포트 또는 PLC 통신포트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랜케이블은 전력계량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하게 된다.
제1 하우징(110)은 랜케이블 커넥터(10)가 삽입홈(111)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제2 회로부(140)의 연결핀(141)과 결착구조를 형성한다. 랜케이블 커넥터(10)는 제2 회로부(140)의 연결핀(141)과 전기적 접속을 하면서 동시에 제1 하우징(110)과 연결핀(141)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제1 하우징(110)에는 삽입홈(111)외에 485 통신이 가능한 콘센트(112)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0)의 상부 일측에는 디스플레이가 보여지는 홈과 엘이디가 표시되는 홈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합성수지재 사출물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제2 하우징(120)의 수용공간은 후술하는 제1 회로부(130) 및 제2 회로부(140)가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제1 회로부(130) 및 제2 회로부(140)를 수용한 상태에서 제1 하우징(110)과 결합하여 제1 회로부(130) 및 제2 회로부(14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제2 하우징(120)과 제1 하우징(110)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하우징(120)의 일측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로부(13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 사이에 수용되며, 제2 하우징(120)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제1 회로부(130)는 외부의 전선과 연결되어 전력사용량을 획득한다. 제1 회로부(130)는 일측에 디스플레이를 통해 누적된 전력사용량이나 기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회로부(130)는 제2 회로부(14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본딩와이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로부(130)의 일측에는 엘이디가 형성되어, 삽입홈(111), 콘센트(112), 전선홈(12)의 전기접속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회로부(14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사이에 수용되는 회로기판으로 형성된다. 제2 회로부(140)는 일측에 연결핀(141)이 형성된다. 연결핀(141)은 회로기판에 솔더링 방식 또는 접합제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로부(140)의 연결핀(141)은 제1 하우징(110)의 삽입홈(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연결핀(141)에는 삽입홈(111)을 통해 랜케이블 커넥터(10)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제2 회로부(140)는 제1 회로부(13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랜케이블을 통해 외부로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회로부(140)는 상부 일측에 하나 이상의 연결핀(141)이 형성되며, 제2 하우징(120)에 고정된다. 이 경우, 제1 회로부(130)와 제2 회로부(140)는 본딩와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수직 상하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연결핀(141)은 돌출부(141-1) 및 지지돌기(141-2)를 포함한다. 돌출부(141-1)는 단면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회로부(140)와 랜케이블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금속선(124)이 형성된다. 지지돌기(141-2)는 돌출부(141-1)와 일체로 형성되어 랜케이블 커넥터(10)의 헤드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의 상부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111)이 형성된다. 삽입홈(111)에는 랜케이블 커넥터(10)가 삽입된다. 삽입홈(111)은 내측에 제1 레일(111-1) 및 제2 레일(111-2)이 형성된다. 제1 레일(111-1)은 삽입홈(11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부측으로는 랜케이블 커넥터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안내하고, 하부측으로는 연결핀(141)의 돌출부(141-1)가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다시 말해, 제1 레일(111-1)은 랜케이블 커넥터가 연결핀(141)의 돌출부(141-1)로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레일(111-2)은 삽입홈(111)의 내부 타측에 제1 레일(111-1)과 대향하여 형성되어 상부측으로는 랜케이블 커넥터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제2 레일(111-2)의 하측에는 연결핀(141)의 지지돌기(141-2)가 위치한다. 제2 레일(111-2)과 지지돌기(141-2)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어 랜케이블 커넥터의 걸림편(도시하지 않음)이 걸려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의 (a)에서와 같이 제1 레일(111-1)의 하부측에는 돌출부(141-1)가 위치하고, (b)에서와 같이 제2 레일(111-2)의 하부측에는 지지돌기(141-2)가 위치한다.
도 6은 종래의 전력계량장치 및 본 발명의 전자식 전력계량장치의 설치시 공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에서 (a)는 종래의 전력계량장치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고, (b)는 본 발명의 전자식 전력계량장치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다. 종래에는 전력계량장치의 측면에 통신포트 등이 설치되어 복수의 전력계량장치를 설치시 충분하게 이격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b)는 본 발명의 전자식 전력계량장치로 포트가 전면부에 형성되어 측면 공간이 줄어들어 설치 공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랜케이블 커넥터
100 :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110 : 제1 하우징
111 : 삽입홈
111-1 : 제1 레일
111-2 : 제2 레일
112 : 콘센트
120 : 제2 하우징
121 : 전선홈
130 : 제1 회로부
140 : 제2 회로부
141 : 연결핀
141-1 : 돌출부
141-2 : 지지돌기

Claims (5)

  1. 일측에 랜케이블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1 하우징;
    전력량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1 회로부;
    상기 제1 회로부와 연결되며, 일측 상부에 상기 삽입홈에 대향하여 연결핀이 형성되어 상기 랜케이블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 회로부; 및
    내측의 수용공간에 회로부를 고정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과 결착되어 내부를 폐쇄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핀은,
    단면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회로부와 상기 랜케이블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금속선이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랜케이블 커넥터의 헤드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랜케이블 커넥터의 일측이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제1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부 타측에는 상기 제1 레일과 대향하여 상기 랜케이블 커넥터의 타측을 안내하는 제2 레일이 형성되는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부와 상기 제2 회로부는 서로 이격되어 본딩와이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부는,
    일측에 전력량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랜케이블의 접속 여부를 알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이디가 형성되는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KR1020170009473A 2017-01-20 2017-01-20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KR101768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473A KR101768932B1 (ko) 2017-01-20 2017-01-20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473A KR101768932B1 (ko) 2017-01-20 2017-01-20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932B1 true KR101768932B1 (ko) 2017-08-17

Family

ID=59753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473A KR101768932B1 (ko) 2017-01-20 2017-01-20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9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270B1 (ko) 2009-05-20 2011-07-22 필컴퍼니주식회사 저압전자식 전력량계용 피엘씨(plc) 모듈
JP2014126418A (ja) 2012-12-26 2014-07-0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量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270B1 (ko) 2009-05-20 2011-07-22 필컴퍼니주식회사 저압전자식 전력량계용 피엘씨(plc) 모듈
JP2014126418A (ja) 2012-12-26 2014-07-0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量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8134B2 (en) Electrical-energy meter adaptable for optical communication with various external devices
JP4541207B2 (ja) 電力量計用通信装置
JP2004537729A (ja) ソリッドステート電力計器
US4760375A (en) Data transmission cable
US6887101B2 (en) Differential transmission connector
KR101031075B1 (ko) 수도계량기 자동 검침장치
KR101768932B1 (ko) 전자식 전력계량장치
US4520423A (en) Tamperproof, moisture proof readout enclosure
JP2019015624A (ja) 電力量計
AU2009100471A4 (en) Meter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KR200481519Y1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시험용 단자나사
JP4304103B2 (ja) 電力量計
JP2014126418A (ja) 電力量計
JP2006275800A (ja) 電力量計用通信装置
JP6588168B2 (ja) 流量計のための電子機器ユニット
KR101759156B1 (ko) 전력선통신용 계량기 접속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041972B2 (en) Test block with input and output sockets of the RJ45 type
CN111566879A (zh) 用于插入式连接的保护装置
CN111149259A (zh) 插头连接器
CN207440219U (zh) 连接器及检验夹具
CN217689028U (zh) 基于lcc封装模块的信号读取装置
JP2021173631A (ja) カバー部材及びカバー部材を備える電子式電力量計
RU2282859C1 (ru) Корпус прибора для учет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KR20130004171U (ko) 전류센서
CN211789627U (zh) 一种信号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