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760B1 - 미셀 형성용 전구체 - Google Patents

미셀 형성용 전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760B1
KR101768760B1 KR1020150015367A KR20150015367A KR101768760B1 KR 101768760 B1 KR101768760 B1 KR 101768760B1 KR 1020150015367 A KR1020150015367 A KR 1020150015367A KR 20150015367 A KR20150015367 A KR 20150015367A KR 101768760 B1 KR101768760 B1 KR 101768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hc
micelles
micelle
glu
aliphatic hydro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4144A (ko
Inventor
정상전
아마르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1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760B1/ko
Publication of KR20160094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61K47/48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4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oxa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커, 극성물질 및 두개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로 구성된 미셀 형성용 전구체, 상기 전구체의 제조방법, 상기 전구체을 포함하는 미셀 및 상기 미셀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셀 형성용 전구체를 사용하면, 이에 포함된 두개의 비극성 테일로 인하여, 종래의 미셀보다도 상대적으로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는 미셀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미셀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 등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미셀 형성용 전구체{Precursor for preparing micelle}
본 발명은 미셀 형성용 전구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링커, 극성물질 및 두개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로 구성된 미셀 형성용 전구체; 상기 전구체의 제조방법; 상기 전구체을 포함하는 미셀; 및 상기 미셀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에 관한 것이다.
약물 전달 시스템에 활용되는 약물전달체 중 고분자로 구성된 미셀은 내부에 소수성 약물을 포접할 수 있으며 그것의 표면은 친수성 부분으로 둘러싸여 있어, 소수성 약물을 수용액상에 분산시키는데 있어서 효율적이라고 알려져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셀은 고분자 층의 분해 속도 및 생체 자극 반응 정도에 따라 약물 방출 속도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특성은 대체로 미셀을 구성하는 고분자 물질의 성격에 의하여 결정된다. 생체내로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체에 사용되는 고분자는 생체적합성, 생체 분해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고분자로는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D,L-락트산-co-글리콜산)(poly(D.L-lactic-co-glycolic acid), PLGA),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분자를 이용하여 약물전달용 담체를 제작할 경우, 약물의 방출량과 속도를 고분자 분해속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예를 들어, PLGA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생체내에서 분해되어 생체 대사물질인 락트산과 글리콜산으로 분해되므로 인체에 전혀 해를 미치지 않고, 락트산과 글리콜산 단량체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분해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411234호에는 친수성을 지닌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소수성을 지닌 생분해 고분자를 포함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혼성화 미셀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421451호에는 소수성 약물과의 친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능기가 고분자 말단에 도입된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내에 소수성 약물을 봉입하여 동결건조함으로써 제조되는 약물-함유 고분자 미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미셀은 다른 형태의 약물 전달체에 비하여 안정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개량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통상적인 약물 전달체로서 사용되는 미셀과 리포좀을 비교하면, 둘다 극성 용매내에서 양친매성 고분자의 자가조립에 의해 형성된다는 공통점이 있는 반면, 미셀은 10 내지 100nm 의 크기를 갖고 리포좀은 50nm에서 수 μm의 크기를 갖는다는 점에서 구별될 뿐만 아니라, 미셀은 상대적으로 낮은 안정성을 갖고, 리포좀은 상대적으로 높은 안정성을 갖는다는 점에서도 구별된다. 즉, 미셀은 리포좀에 비하여 작은 크기를 갖기 때문에 세포내로 용이하게 도입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낮은 안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서방형 약물이 제조시에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미셀은 리포좀으로는 극복할 수 없는 작은 크기로 인하여 약물의 전달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미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별다른 성과가 보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미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하나의 극성헤드와 길이가 다른 두개의 비극성 테일로 구성된 미셀 형성용 전구체를 사용할 경우, 미셀의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링커, 극성물질 및 두개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로 구성된 미셀 형성용 전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전구체을 포함하는 미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셀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보다 안정적으로 미셀을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 화합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리포좀을 구성하는 고분자 계면활성제에 주목하게 되었다. 상기 리포좀을 구성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하나의 극성 헤드와 두개의 비극성 꼬리를 갖고 있어, 안정성이 향상된 리포좀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리포좀을 구성하는 계면활성제에 포함된 두개의 비극성 꼬리를 서로 다른 길이로 변화시킨 결과, 놀랍게도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된 리포좀이 아니라 미셀을 형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하나의 극성헤드와 서로 다른 길이의 두개의 비극성 테일을 갖는 계면활성제를 합성하기 위하여, 이들을 연결할 수 있는 링커로서 적어도 3개의 반응기를 포함하는 생체물질을 대상으로 검색한 결과, 하나의 아미노기와 두개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글루탐산을 선택하였다. 상기 글루탐산의 아미노기에 극성 헤드로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결합시키고, 나머지 두개의 카르복시기에 서로 다른 길이의 알킬사슬을 결합시키면, 결과적으로 하나의 극성헤드와 서로 다른 길이의 두개의 비극성 테일을 갖는 계면활성제를 합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글루탐산의 아미노기에 폴리글리콜에틸렌(PEG)를 결합시키고, 두개의 카르복시기에 서로 다른 길이의 알킬사슬을 결합시켜서 합성 계면활성제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합성 계면활성제는 리포좀이 아닌 미셀을 형성함을 발견하였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서 (a) 3개 이상의 반응기를 포함하는 링커; (b) 상기 링커의 제1반응기에 결합된 극성물질; 및 (c) 상기 링커의 제2반응기 및 제3반응기에 각각 결합된, 두 개의 서로 다른 길이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을 포함하는 미셀 형성용 전구체를 제공한다.
상기 미셀 형성용 전구체는 하나의 물질에 극성영역과 비극성 영역을 포함하는 양친매성 물질 또는 하나의 극성 헤드와 두개의 비극성 테일을 갖는 계면활성제가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전구체에 포함된 서로 다른 길이의 비극성 테일로 인하여 지질이중층으로 구성된 리포좀이 아닌 미셀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셀 형성용 전구체에 포함된 링커는 적어도 3개의 반응기를 포함하여야 하는데, 하나(제1반응기)는 극성물질과 결합되고 2개(제2반응기 및 제3반응기)는 비극성 물질인 두 개의 서로 다른 길이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과 결합된다. 상기 반응기의 특성상 제1반응기는 제2반응기 및 제3반응기와 구별되고, 상기 제2반응기와 제3반응기는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례로서 상기 링커는 하나의 아미노기와 두개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글루탐산이 될 수 있는데, 상기 글루탐산은 생체내에서 면역반응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상기 글루탐산을 포함하는 미셀은 약물의 전달체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미셀 형성용 전구체에 포함된 극성물질은 종래의 미셀을 형성하는 물질에 포함된 극성영역 보다도 상대적으로 더욱 높은 수준의 극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셀 형성용 전구체는 하나의 극성헤드와 두개의 비극성 테일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구체가 용액내에서 미셀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극성헤드가 나타내는 극성수준과 두개의 비극성 테일이 나타내는 비극성 수준이 상호 유사한 수준으로 대응되어야 한다. 상기 극성물질은 상기 미셀 형성용 전구체에 포함되어 미셀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례로서 높은 수준의 극성을 나타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이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PEG20 또는 PEG40 계열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될 수 있다.
상기 미셀 형성용 전구체에 포함된 두 개의 서로 다른 길이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은 미셀을 형성하게 하는 결정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셀 형성용 전구체는 하나의 극성헤드와 두 개의 비극성 테일을 포함하기 때문에, 안정된 구조의 지질이중층으로 구성되는 리포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두 개의 서로 다른 길이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로 구성된 비극성 테일은 안정된 구조의 지질이중층을 형성하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안정성을 갖기 때문에, 리포좀이 아닌 미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은 비극성을 나타내는 특성상 상술한 극성물질에 따라 그의 길이를 변화시켜서 상기 극성물질에 의한 극성 수준에 대응될 수 있는 수준으로 비극성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극성물질을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할 경우, 이에 부합되는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례로서, 5 내지 20개의 탄소수 범위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이 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8 내지 15개의 탄소수 범위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이 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서, 8 내지 10개의 탄소수 범위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알킬사슬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비극성 테일로서 각각 8개 및 10개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사슬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합성하고, 이를 사용하여 미셀을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미셀 형성용 전구체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례로서, HO-Peg4-NH-Glu(NHC10H21)-NHC8H17, HO-Peg4-NH-Glu(NHC12H25)-NHC8H17, HO-Peg4-NH-Glu(NHC14H28)-NHC8H17, HO-Peg4-NH-Glu(NHC16H33)-NHC8H17, HO-Peg4-NH-Glu(NHC18H37)-NHC8H17, HO-Peg8-NH-Glu(NHC10H21)-NHC8H17, HO-Peg20-NH-Glu(NHC10H21)-NHC8H17, HO-Peg20-NH-Glu(NHC12H25)-NHC8H17, HO-Peg20-NH-Glu(NHC14H28)-NHC8H17, HO-Peg20-NH-Glu(NHC16H33)-NHC8H17, HO-Peg20-NH-Glu(NHC18H37)-NHC8H17, HO-Peg40-NH-Glu(NHC10H21)-NHC8H17 등이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HO-Peg4-NH-Glu(NHC10H21)-NHC8H17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미셀 형성용 전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미셀 형성용 전구체의 제조방법은 (a) 3개 이상의 반응기를 포함하는 링커에 두개의 서로 다른 길이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이 결합된 유도체를 수득하는 단계; (b) 단일 보호된 극성물질 유도체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수득한 유도체를 상기 (a) 단계에서 수득한 유도체에 부가하여 상기 미셀 형성용 전구체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미셀 형성용 전구체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단계: 3개 이상의 반응기를 포함하는 링커에 두개의 서로 다른 길이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이 결합된 유도체의 수득(반응식 1)
예를 들어, 옥틸아민을 포함하는 상업적으로 입수한 Fmoc-Glu(OtBu)-OH (1)의 카보디이미드(EDC·HCl/HOBT) 매개성 축합을 통해, 두개의 서로 다른 길이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이 결합된 글루탐산 유도체를 수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Fmoc-Glu(OtBu)-OH (1)를 물로 세척하고, 알킬화시켜서 화합물(2)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한 화합물(2)에 50% TFA를 포함하는 CH2Cl2 용액으로 처리하여, γ-OtBu 보호기를 제거하였으며, 메탄올을 이용한 결정화를 통하여 높은 순도와 수율로 글루탐산 유도체 화합물(3)을 수득하였다. 이어, EDC·HCl/HOBt하에서, 상기 글루탐산 유도체 화합물(3)에 일련의 아민(CnHmNH2, n= 10, 12, 14, 16, and 18, m= 2n+1)을 축합시키고, 반응물을 물로 세척한 다음, 메탄올로 결정화하여 반응물을 정제함으로써, 우수한 수율과 높은 순도로 Fmoc 유도체 화합물 4, 5, 6, 7 및 8을 수득하였다. 이들 Fmoc 유도체는 유기용매에서 겔을 형성하였다. 이중기능이 부여된 유도체를 20% 피페리딘이 DMF에 용해된 용액을 사용하여 Fmoc를 절단하는데 사용하였고,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침전된 반응물을 수득하였으며, 차가운 DMF로 세척하여, 우수한 수율로 순수 아민 9, 10, 11, 12 및 13을 수득하였다.
[반응식 1]
Figure 112015010608915-pat00001

2 단계: 단일 보호된 극성물질 유도체의 수득(반응식 2)
4개의 에틸렌 글리콜 단위체로 구성된 PEG를 극성 헤드로 선택하고, 테트라에틸렌 글리콜의 모노 트리틸화를 수행한 다음, Trt-Cl을 4배 량의 피리딘 용매에 용해된 디올 14와 50℃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으로부터 수득한 반응물을 물로 세척하고, 수득한 반응산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flash column chromatography, FCC)를 통해 정제함으로써, 단일 보호된 PEG4 유도체 15를 7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알코올 15를 클로로아세트산과 커플링 반응시켜서 Trt-보호된 PEG4-산 16을 높은 수율 및 순도로 수득하고, 이를 물로 세척하였다. 이때, FCC(Flash column chromatography)는 중성 산화 알루미늄(Brockmann I, 58Å pore size) 또는 실리카겔(70-230 mesh) 상에서 수행되었다.
[반응식 2]
Figure 112015010608915-pat00002

3 단계: 미셀 형성용 전구체의 합성(반응식 3)
상기 보호된 PEG 산(16)을 커플링 반응시켜서 글루탐산 유도체 9, 10, 11, 12 및 13을 생성하였다. 즉, 카보디이미드 매개성 커플링 반응 후에, 축합된 산물을 즉시 CH2Cl2/MeOH (1/1, v/v) 혼합물에 용해된 pTsOH과 반응시켜서 트리틸기를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화합물 22, 23, 24, 25 및 26을 적절한 수율과 높은 순도로 수득하였다.
[반응식 3]
Figure 112015010608915-pat00003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미셀 형성용 전구체를 포함하는 미셀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미셀(micelle)"은 양친매성 화합물 또는 계면활성제 화합물이 용액상태에서 반데르발스 힘 등에 의하여 회합하여 형성되는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콜로이드성 회합체이다. 상기 미셀의 형성여부는 용매에 포함된 양친매성 물질의 농도와 온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만, 형성된 미셀의 특성은 용매에 의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극성이 큰 용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화합물의 극성영역이 외부를 향하는 형태의 미셀을 형성하고, 극성이 작은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화합물의 비극성 영역이 외부를 향하는 형태의 미셀(역미셀)을 형성한다.
하나의 극성헤드와 두개의 비극성 테일을 포함하는 양친매성 화합물은 대체로 미셀이 아닌 지질이중층으로 구성된 리포좀을 형성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양친매성 화합물인 미셀 형성용 전구체는 두개의 비극성 테일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갖기 때문에, 균일한 구조의 지질이중층을 형성할 수 없어, 리포좀이 아닌 미셀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친매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미셀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화합물의 극성영역이 외부를 향하는 형태의 미셀 또는 화합물의 비극성영역이 외부를 향하는 형태의 역미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셀 형성용 전구체에 의해 형성된 미셀은 종래의 미셀에 비하여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두개의 비극성 테일로 인하여, 미셀 내부에 존재하는 비극성 물질의 응집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미셀 형성용 전구체의 일종인 HO-Peg4-NH-Glu(NHC10H21)-NHC8H17를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은, 50배의 용매를 가하여 희석시킬 경우에도 미셀이 분해되지 않고, 4℃에서 3개월 동안 보관한 경우에도, 미셀 입자의 밀도 및 크기가 변화되지 않는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미셀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미셀은 낮은 수용성을 갖는 약물의 전달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높은 극성을 갖는 수용액내에서 형성된 미셀은 내부에 비극성 테일이 존재하여, 낮은 수용성을 갖는 약물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일단 형성된 미셀은 용매의 극성에 의하여 안정성이 변화되기 때문에, 생체내에 투여될 경우에는 체액의 조성에 따라 용매의 극성이 변화될 수 있고, 이러한 극성의 변화로 인하여 안정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친매성 물질은 종래의 미셀을 형성하는 양친매성 물질과는 달리 두개의 비극성 테일을 포함하여, 미셀 내부에 존재하는 비극성 물질의 응집력이 향상되므로, 체액의 조성에 따라 용매의 극성이 변화될 경우에도, 일정수준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친매성 화합물로 구성된 미셀은 체내로 약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약물 전달체로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미셀로 구성된 약물 전달체는 비극성 또는 낮은 수용성을 갖는 약물을 내부에 포집시키고, 목적부위로 전달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되는 약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치료제제, 진단제제, 검출제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치료제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례로서 약물, 독소, 핵산가수분해효소(nuclease), 호르몬, 면역조절제, 킬레이터, 붕소화합물, 광활성(photoactive)제제 또는 염료, 방사성동위원소 등이 될 수 있고; 진단제제 또는 검출제제 역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일 례로서, 방사성동위원소, 염료(예를 들어, 비오틴(biotin)-스트렙타비딘(streptavidin) 복합체), 조영제, 형광 화합물 또는 분자 및 자기공명 영상화(MRI)에의 증가제(상자성 이온)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진단제제는 방사성동위원소, 자기공명 영상에서 사용되는 증가제, 및 형광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항체성분에 방사성 금속 또는 상자성 이온을 부가하기 위해, 이온을 결합하는데 킬레이트기의 다수와 부착된 긴 꼬리를 갖는 반응물과 반응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상기의 꼬리는 폴리리신, 폴라사카라이드와 같은 고분자, 또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트산 (DTPA; 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포르피린(porphyrin), 폴리아민, 크라운 에테르, 비스-티오세미카르바존(thiosemicarbazone), 폴리옥심(polyoximes)과 같은 킬레이트기와 결합될 수 있는 펜텐트기를 갖고 상기 목적에 유용하다고 알려진 기를 갖는 유도화되거나 유도될 수 있는 사슬일 수 있다. 킬레이트는 표준화학을 사용하여 항체에 결합된다. 킬레이트는 정상적으로 면역반응성의 최소 손실과 최소 집합체 및/또는 내부 교차연결로 분자에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기에 의해 항체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유용한 금속-킬레이트 조합은 진단성 동위원소와 60~4,000keV의 일반적인 에너지 범위에서 사용되는 2-벤질-DTPA 및 이의 모노메틸 및 시클로헥실 유사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방사성 영상화제에는 125I, 131I, 123I, 124I, 62Cu, 64Cu, 18F, 111In, 67Ga, 99mTc, 94mTc, 11C, 13N, 15O, 76Br 등이 될 수 있고, 망간, 철 및 가돌리늄과 같은 비-방사성 금속과 복합화될 경우, 같은 킬레이트는 본 발명의 나노클러스터 또는 항체와 사용될 때 MRI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NOTA, DOTA, 및 TETA와 같은 거대고리(macrocyclic) 킬레이트는 금속 및 방사성 금속의 종류와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갈륨, 이트륨(yttrium) 및 구리의 방사성핵종과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킬레이트 복합체는 대상의 금속에 고리크기를 맞춤으로써 매우 안정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뮤노컨쥬게이트(immunoconjugate)는 치료제제 또는 진단제제와 항체 성분의 컨쥬게이트이다. 상기 진단제제는 방사성 또는 비방사성 라벨, 조영제(자기공명영상화,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또는 초음파에 적절한 조영제)를 포함하고, 방사성 라벨은 감마-, 베타-, 알파-, 오제 전자- 또는 양전자 방출 동위원소일 수 있다.
면역조절제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치료제제이며, 전형적으로 대식세포(macrophage), B-세포, 및/또는 T-세포와 같은 면역반응 캐스캐이드(immune response cascade)에서 증식하거나 활성화되는 면역세포를 자극할 수 있는데, 일 례로서 상기 면역조절제는 시토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미셀 형성용 전구체를 사용하면, 이에 포함된 두개의 비극성 테일로 인하여, 종래의 미셀보다도 상대적으로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는 미셀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미셀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 등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양친매성 화합물 22를 사용하여 제조한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양친매성 화합물 22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피렌을 처리한 양친매성 화합물 22를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양친매성 화합물 28을 사용하여 제조한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양친매성 화합물 28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플루오레세인을 처리한 양친매성 화합물 28을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다양한 양친매성 물질에 플루오레세인을 처리하여 제조한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플루오레세인을 처리한 양친매성 화합물 29를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플루오레세인을 처리한 양친매성 화합물 30을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C는 플루오레세인을 처리한 양친매성 화합물 31을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D는 플루오레세인을 처리한 양친매성 화합물 32를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글루탐산, PEG 알킬사슬로 구성된 양친매성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미셀의 제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용매와 시약은 상업적으로 입수하고(Sigma Aldrich, Korea; TCI, Daejung chemicals), 받는대로 사용하였다.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수분 민감성 반응은 아르곤 대기환경에서 수행하였고, 잔류된 물은 톨루엔을 사용한 동시증발법에 의해 출발물질로부터 제거되었다.
반응등급 용매는 4Å 또는 3Å의 분자체에 보관되었다.
용매는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약 40℃에서 진공증발을 통해 제거되었다.
반응결과는 실리카겔이 코팅된 알루미늄 플레이트(0.2 mm 두께)를 사용한 TLC 분석법에 의해 확인되었는데, UV 검출(254 nm) 및/또는 10 % aq. H2SO4에 용해된 (NH4)6Mo7O24·4H2O(25 g/L) 및 (NH4)4Ce(SO4)·4 H2O (25 g/ℓ) 용액을 사용한 염색, 물에 용해된 KMnO4 (4 g/ℓ) 및 K2CO3 (25 g/ℓ) 용액을 사용한 염색을 수행한 후 약 150℃에서 탄화시켜서 수행하였다.
FCC(Flash column chromatography)는 중성 산화 알루미늄(Brockmann I, 58Å pore size) 또는 실리카겔(70-230 mesh) 상에서 수행되었다.
NMR 분석은 500/125 MHz 분광광도계, CDCl3에서 모든 1H NMR 측정값의 내부대조군으로서 사용된 테트라메틸실란에 상대적인 화학이동(chemical shift, δ) 및 다른 NMR 실험에 사용되는 듀테로화된 용매신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짝지음 상수(Coupling constant)는 Hz로 표시하고, 모든 13C NMR은 양성자의 영향을 배제하고 측정하였다.
실시예 1-1: 클로로아세트산의 커플링 반응
DMF(0.1M)에 용해된 단일 보호된 PEG 에테르의 용액에 NaH(3 당량)를 가하고, 반응혼합물을 5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DMF(0.5M)에 용해된 클로로아세트산 용액을 상기 반응물에 30분동안 적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냉수를 가하여 과량의 NaH를 제거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에 물을 가하여 희석하고, Et2O를 사용하여 세척하였으며, 1M HCl을 가하여 pH 1로 산성화시키고, CH2Cl2로 추출하였다.
상기 수득한 추출물을 1M HCl 및 함수(brine)로 세척하고, Na2SO4를 사용하여 건조시켰으며, 여과한 다음, 진공상태에서 농축하였다.
생성된 산을 사용하거나 정제하였다.
실시예 1-2: 트리틸기 절단
CH2Cl2/MeOH 혼합물(1:1, v/v)에서 트리틸 에테르의 용액에 촉매량의 pTsOH(pH∼1)를 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출발물질을 더욱 극성을 나타내는 산물로 완전히 전환시키기 위하여, 반응혼합물에 Et3N을 가하여 중화시키고, 진공하에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정제하였다.
실시예 1-3: EDC · HCl / HOBt 매개성 펩타이드 커플링 반응
CH2Cl2 (0.1M)에 용해된 글루탐산 유도체 용액에 HOBT(1.0 당량) 및 EDC·HCl(1.2 당량)를 가하였다.
다음으로, 적량의 아민(1.2 eq.)을 상기 반응혼합물에 가하고, TLC 분석을 통해 출발물질이 완전히 소모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였다(보통 2시간).
반응혼합물을 CH2Cl2로 희석하고, 1M HCl(3x), 포화된 NaHCO3(2x) 및 H2O/함수(1:1, v/v)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으며,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생성된 물질은 FCC를 통해 정제하였다.
실시예 1-4: TFA 매개성 삼차-부틸기 절단
OtBu 에스터를 CH2Cl2 (0.5M)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반응혼합물을 TFA로 희석시켜 최종 농도를 1M로 적정하고, 5%(v/v)의 물을 가한 다음,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맞추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을 통해 출발물질이 완전히 소모되면, 반응혼합물에 톨루엔을 가하여 희석하고, 진공조건에서 농축한 다음, 톨루엔과 함께 3회 동시증발시켰다.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생성된 물질은 FCC를 통해 정제하였다.
실시예 1-5: HO - PEG20 - COOH EDC / HOBT 매개성 커플링 반응
2당량의 적절한 글루코스 아민 유도체와 HO-PEG20-COOH(50 mg, 0.05 mmol)를 혼합하고 톨루엔을 사용하여 3회 동시증발시킨 다음, 5 ㎖ CH2Cl2에 용해시켰다.
HOBT(7 mg, 0.05 mmol) 및 EDC-HCl(14 mg, 0.10 mmol)를 차례로 부가하고, 이로 부터 얻어진 용액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반응혼합물에 CHCl3를 가하여 희석시킨 다음, 1M HCl 및 5% NaHCO3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Na2SO4를 사용하여 건조시켰으며,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소량의 MeOH에 용해시키고, Dowex-H+ 컬럼에 적용하였다.
취합된 산물 분획을 농축하여 오일상의 표제화합물을 70 내지 9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1-6: 지질 필름 수화를 통한 지질 나노입자의 형성
적절한 계면활성제를 CHCl3 (1 mM, 2,5 ㎖)에 용해시키고, 회전증발기를 사용하여 진공조건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된 용매를 고압의 진공조건에서 2시간 동안 제거한 다음, 이로부터 얻어진 지질 필름을 적절한 완충액으로 수화시켰다: 이때, 사용가능한 완충액으로는 PBS 완충액(1x, pH = 7.2), 0.1 mM 플루오레세인을 포함하는 PBS 완충액(1x, pH = 7.2), 인간 혈청, 0.1 mM 플루오레세인을 포함하는 인간혈청이 될 수 있다.
실시예 1-6-1: 피렌(pyrene)의 처리
상기 지질 필름을 PBS 완충액으로 수화시키고, 10-3, 10-4, 10-5, 10-6 및 10-7 M의 농도로 순차적으로 희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용액에 피렌을 가하고(1 mg/㎖), 회전기를 사용하여 24시간 동안 진탕시켰다: 이때, 피렌을 포함하는 PBS 완충액은 플루오레세인의 하한선을 수립하는데 사용하였다.
상기 용액으로부터 과량의 피렌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용액을 200 ㎛ 필터로 여과하고, 형광값을 형광광도계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339 nm의 여기파장과 390 nm의 발광파장의 형광값을 농도별로 측정하여 CMC(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값을 결정하였다.
실시예 1-6-2: 플루오레세인의 처리
상기 지질 필름을 0.1 mM 플루오레세인을 포함하는 PBS 완충액(2.5 ㎖, 1x, pH = 7.2) 또는 인간 혈청으로 수화시킨 다음, 90초간 초음파(Long tip, 30 W, VibraCell VCX750) 처리하여 균질화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용액을 PD10 컬럼을 사용한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였다.
우선, 상기 컬럼을 PBS 완충액(7.5 ㎖, 1x, pH = 7.2)으로 평형화시키고, 동일한 완충액으로 용출시켰다.
1.5 ㎖의 분획을 수집한 다음, 적절한 장비를 사용하여 형광특성과 크기를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나노입자는 3번 및 4번 분획에서 발견되었다.
실시예 2: 글루탐산, PEG 알킬사슬로 구성된 양친매성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2-1: Fmoc - Glu ( OtBu )- NHC 8 H 17 (2)의 제조
Fmoc-glu(OtBu)-OH(1, 10.6 g, 25.0 mmol) 및 n-옥틸아민(3.9 g, 30.0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3의 방법을 수행하였다. 반응물을 추출세척한 다음, 표제의 화합물을 무색 고체의 형태로서 수득하였고, 추가적인 정제과정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RF = 0.5 (1:1 Hep/EtOAc).
1H NMR (500 MHz, CDCl3): δ 0.89 (t, J= 7.0, 3H, CH3), 1.25-1.35 (m, 10H, 5x CH2), 1.45-1.55 (m, 11H, CH2, tBu), 1.79 (br. s, OH), 1.91-2.01 (m, 1H, CH2a), 2.06-2.14 (m, 1H, CH2b), 2.29-2.51 (m, 2H, CH2), 3.23-3.30 (m, 2H, CH2), 4.17-4.26 (m, 2H, 2x CH), 4.40 (d, J= 7.0, 2H, CH2), 5.81 (d, J= 7.6, 1H, NH), 6.33 (br. s, 1H, NH), 7.32-7.34 (m, 2H, 2x CH), 7.42 (t, J= 7.5, 2H, 2x CH), 7.61 (d, J= 7.3, 2H, 2x CH), 7.78 (d, J= 7.6, 2H, 2x CH).
13C NMR (125 MHz, CDCl3): δ 14.0, 22.6, 26.8, 28.1, 28.3, 29.2, 29.1, 29.5, 31.7, 31.7, 39.6. 47.1, 54.3, 67.0, 81.0, 120.0, 125.1, 127.0, 127.7, 141.3, 144.3.7, 143.8, 171.0, 172.9.
실시예 2-2: Fmoc - Glu ( OH )- NHC 8 H 17 (3)의 제조
Fmoc-Glu(OtBu)-NHC8H17(2, 13.4 g, 25.0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4의 방법을 수행하였다. 이어, 휘발성분을 제거한 다음, 생산 화합물을 갈색 고체의 형태로서 수득하였고, 추가적인 정제과정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RF = 0.3 (EtOAc).
1H NMR (500 MHz, CDCl3): δ 0.84 (t, J= 7.0, 3H, CH3), 1.18-1.26 (m, 10H, 5x CH2), 1.38-1.40 (m, 2H, CH2), 1.90-1.93 (m. 1H, CH2a), 2.01-2.06 (m, 1H, CH2b), 2.30-2.45 (m, 2H, CH2), 3.11-3.17 (m, 2H, CH2), 4.11 (apparent t, 1H, CH), 3.23-4.34 (m, 3H, CH, CH2), 6.26 (d, J= 7.6, 1H, NH), 7.01 (br. s, 1H, NH), 7.22-7.26 (m, 2H, 2x CH), 7.33 (t, J= 7.5, 2x CH), 5.50-7.51 (m, 2H, 2x CH), 7.69 (d, J= 7.6, 2H, 2x CH).
13C NMR (125 MHz, CDCl3): δ 14.1, 22.6, 26.8, 29.2, 31.8, 39.8, 46.9, 53.8, 67.5, 120.0, 125.1, 127.1, 127.8, 141.2, 143.6, 156.8, 171.7.
실시예 2-3: Fmoc - Glu ( NHC 10 H 21 )- NHC 8 H 17 (4)의 제조
Fmoc-Glu(OH)-NHC8H17(3, 0.72 g, 1.50 mmol) 및 데실아민(0.35 ㎖, 1.80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3의 방법을 수행하였다. 이어, 추출세척 및 휘발성분의 제거를 수행한 다음, 생산 화합물을 MeOH에 용해시켰다. 이로부터 얻어진 무색의 젤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차가운 MeOH로 세척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무색 고체의 형태로서 8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0.7 (EtOAc).
1H NMR (500 MHz, CDCl3): δ 0.878-0.91 (m, 6H, 2x CH3), 1.26-1.29 (m, 24H, 12x CH2), 1.50-1.51 (m, 4H, 2x CH2), 1.98-2.02 (m, 1H, CH2a), 2.12-2.14 (m, 1H, CH2b), 2.29-2.39 (2H, CH2), 3.24-3.28 (m, 4H, 2x CH2), 4.19-4.24 (m, 2H, 2x CH), 4.38 (d, J= 7.0, 2H, CH2), 5.97 (br. s, 1H, NH), 6.31 (d, J= 7.0, 1H, NH), 6.85 (br. s, 1H, NH), 7.28-7.33 (m, 2H, 2x CH), 7.42 (t, J= 7.5, 2H, 2x CH), 7.61-7.63 (m, 2H, 2x CH), 7.78 (d, J= 7.6, 2H, 2x CH).
13C NMR (125 MHz, CDCl3): δ 14.1, 14.1, 22.6, 22.6, 26.9, 26.9, 29.2, 29.2, 29.3, 29.5, 29.5, 29.8, 31.8, 32.8, 39.6, 39.8, 47.1, 54.2, 67.0, 120.0. 125.1, 125.1, 127.0, 127.7, 141.2, 141.3, 143.7, 143.8, 171.1, 172.7.
실시예 2-4: Fmoc - Glu ( NHC 12 H 25 )- NHC 8 H 17 (5)의 제조
Fmoc-Glu(OH)-NHC8H17(3)(0.72 g, 1.50 mmol) 및 도데실아민(0.33 g, 1.80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3의 방법을 수행하였다. 이어, 추출세척 및 휘발성분의 제거를 수행한 다음, 생산 화합물을 MeOH에 용해시켰다. 이로부터 얻어진 무색의 젤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차가운 MeOH로 세척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무색 고체의 형태로서 64%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 0.9 (10% 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0.78-0.91 (m, 6H, 2x CH3), 1.26- 1.29 (m, 28H, 14x CH2), 1.50-1.51 (m, 4H, 2x CH2), 1.85-2.01 (m, 1H, CH2a), 2.13-2.14 (m, 1H, CH2b), 2.29-2.38 (2H, CH2), 3.24-3.28 (m, 4H, 2x CH2), 4.18-4.24 (m, 2H, 2x CH), 4.38 (d, J= 7.0, 2H, CH2), 6.01 (br. s, 1H, NH), 6.30 (d, J= 6.7, 1H, NH), 6.88 (br. s, 1H, NH), 7.31- 7.34 (m, 2H, 2x CH), 7.42 (t, J= 7.3, 2H, 2x CH), 7.61-7.63 (m, 2H, 2x CH), 7.78 (d, J= 7.6, 2H, 2x CH).
13C NMR (125 MHz, CDCl3): δ 14.1, 14.1, 22.6, 22.7, 26.9. 26.9, 29.2, 29.2, 29.3, 29.3, 29.5, 29.5, 29.5, 29.6, 29.6, 29.6, 29.8, 31.8, 31.9, 32.8, 39.6, 39.8, 47.1, 54.1, 67.0, 120.0, 125.1, 125.1, 127.0, 127.7, 141.3, 141.3, 143.7, 143.8, 171.1, 172.7.
실시예 2-5: Fmoc - Glu ( NHC 14 H 29 )- NHC 8 H 17 (6)의 제조
Fmoc-Glu(OH)-NHC8H17(3, 0.72 g, 1.50 mmol) 및 테트라데실아민(0.38 g, 1.80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3의 방법을 수행하였다. 이어, 추출세척 및 휘발성분의 제거를 수행한 다음, 생산 화합물을 MeOH에 용해시켰다. 이로부터 얻어진 무색의 젤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차가운 MeOH로 세척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무색 고체의 형태로서 65%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 0.9 (10% 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0.87-0.91 (m, 6H, 2x CH3), 1.26-1.29 (m, 32H, 16x CH2), 1.50-1.51 (m, 4H, 2x CH2), 1.96-2.00 (m, 1H, CH2a), 2.13-2.14 (m, 1H, CH2b), 2.29-2.38 (2H, CH2), 3.24-3.28 (m, 4H, 2x CH2), 4.17-4.24 (m, 2H, 2x CH), 4.38 (d, J= 7.0, 2H, CH2), 6.01 (br. s, 1H, NH), 6.30 (d, J= 7.3, 1H, NH), 6.89 (br. s, 1H, NH), 7.31-7.34 (m, 2H, 2x CH), 7.42 (t, J= 7.5, 2H, 2x CH), 7.61-7.63 (m, 2H, 2x CH), 7.78 (d, J= 7.6, 2H, 2x CH).
13C NMR (125 MHz, CDCl3): δ 14.1, 14.1, 22.6, 22.7, 26.9, 26.9, 29.2, 29.2, 29.3, 29.3, 29.5, 29.5, 29.5, 29.6, 29.6, 29.6, 29.7, 26.7, 29.9, 31.8, 31.9, 32.8, 39.7, 39.8, 47.1, 54.1,67.0, 120.0, 125.1, 125.1, 127.0, 127.7, 141.3, 141.3, 143.7, 143.8, 171.1, 172.8.
실시예 2-6: Fmoc - Glu ( NHC 16 H 33 )- NHC 8 H 17 (7)의 제조
Fmoc-Glu(OH)-NHC8H17(3, 0.72 g, 1.50 mmol) 및 헥사데실아민(0.44 g, 1.80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3의 방법을 수행하였다. 이어, 추출세척 및 휘발성분의 제거를 수행한 다음, 생산 화합물을 MeOH에 용해시켰다. 이로부터 얻어진 무색의 젤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차가운 MeOH로 세척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무색 고체의 형태로서 7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 0.9 (10% 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0.87-0.92 (m, 6H, 2x CH3), 1.26-1.28 (m, 36H, 18x CH2), 1.50-1.51 (m, 4H, 2x CH2), 1.99-2.03 (m, 1H, CH2a), 2.12-2.14 (m, 1H, CH2b), 2.29-2.39 (2H, CH2), 3.24-3.28 (m, 4H, 2x CH2), 4.20-4.24 (m, 2H, 2x CH), 4.37 (d, J= 7.0, 2H, CH2), 6.02 (br. s, 1H, NH), 6.34 (d, J= 7.0, 1H, NH), 6.89 (br. s, 1H, NH), 7.31-7.34 (m, 2H, 2x CH), 7.41 (t, J= 7.3, 2H, 2x CH), 7.60-7.63 (m, 2H, 2x CH), 7.78 (d, J= 7.6, 2H, 2x CH).
13C NMR (125 MHz, CDCl3): δ 14.0, 14.1,22.6, 22.7, 26.9, 26.9, 29.2, 29.2, 29.3, 29.3, 29.5, 29.5, 29.6, 29.6, 29.7, 31.7, 31.9, 32.8, 39.6, 39.8, 47.1, 54.2, 67.0, 119.9, 125.1, 125.1, 127.0, 127.7, 141.2, 141.3, 143.7, 143.8, 171.1, 172.6.
실시예 2-7: Fmoc - Glu ( NHC 18 H 37 )- NHC 8 H 17 (8)의 제조
Fmoc-Glu(OH)-NHC8H17(3, 0.72 g, 1.50 mmol) 및 옥타데실아민(0.49 g, 1.80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3의 방법을 수행하였다. 이어, 추출세척 및 휘발성분의 제거를 수행한 다음, 생산 화합물을 MeOH에 용해시켰다. 이로부터 얻어진 무색의 젤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차가운 MeOH로 세척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무색 고체의 형태로서 7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 0.9 (10% 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0.88-0.92 (m, 6H, 2x CH3), 1.26- 1.30 (m, 40H, 20x CH2), 1.50-1.52 (m, 4H, 2x CH2), 1.99-2.04 (m, 1H, CH2a), 2.13-2.14 (m, 1H, CH2b), 2.29-2.40 (2H, CH2), 3.25-3.28 (m, 4H, 2x CH2), 4.18-4.20 (m, 1H, CH), 4.23 (t, J= 7.3, 1H, CH), 4.38 (d, J= 7.0, 2H, CH2), 5.92 (br. s, 1H, NH), 6.29 (d, J= 6.7, 1H, NH), 6.81 (br. s, 1H, NH), 7.31-7.34 (m, 2H, 2x CH), 7.42 (t, J= 7.5, 2H, 2x CH), 7.61-7.63 (m, 2H, 2x CH), 7.78 (d, J= 7.6, 2H, 2x CH).
13C NMR (125 MHz, CDCl3): δ 14.1, 14.1, 22.6, 22.6, 26.9, 27.1, 26.9, 27.0, 29.2, 29.2, 29.4, 29.5, 29.6, 29.6, 29.7, 31.8, 31.9, 32.9, 39.7, 39.8, 47.1, 54.2, 67.1, 120.0, 125.1, 125.1, 127.0, 127.7, 141.3, 141.3, 143.7, 143.9, 171.1, 172.7.
실시예 2-8: NH 2 - Glu ( NHC 10 H 21 )- NHC 8 H 17 (9)의 제조
Fmoc-Glu(C10H21)-NHC8H17(4, 0.75 g, 1.20 mmol)에 20%(v/v) 피페리딘을 포함하는 DMF 용액을 20분 동안 처리하여 현탁액을 수득하고, 이를 0℃로 냉각시켜서 흰색 침전물을 수득한 다음, 이를 차가운 DMF로 세척하고, 진공상태에서 건조시켜서, 표제의 화합물을 흰색과 유사한 색의 고체의 형태로서 6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0.2 (10% 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0.88 (t, J= 7.0, 6H, 2x CH3), 1.26-1.30 (m, 24H, 12x CH2), 1.46-1.52 (m, 4H, 2x CH2), 1.63 (br. s, 2H, NH2), 1.90-1.96 (m, 2H, CH2), 2.30-2.34 (m, 2H, CH2), 3.20-3.25 (m, 4H, 2x CH2), 3.41 (t, J= 6.9, 1H, CH), 6.30 (apparent t, 1H, NH), 7.38 (apparent t, 1H, NH).
13C NMR (125MHz, CDCl3): δ 14.0, 14.0, 22.6, 22.6, 26.9, 29.1, 29.2, 29.2, 29.5, 29.5, 29.6, 31.7, 31.8, 33.2, 39.0, 39.5, 54.2, 172.6, 174.7.
실시예 2-9: NH 2 - Glu ( NHC 12 H 25 )- NHC 8 H 17 (10)의 제조
Fmoc-Glu(C12H25)-NHC8H17(5, 0.70 g, 1.10 mmol)에 20%(v/v) 피페리딘을 포함하는 DMF 용액을 20분 동안 처리하여 현탁액을 수득하고, 이를 0℃로 냉각시켜서 침전물을 수득한 다음, 이를 차가운 DMF로 세척하고, 진공상태에서 건조시켜서, 표제의 화합물을 흰색과 유사한 색의 고체의 형태로서 9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 0.2 (10% 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0.88 (t, J= 7.0, 6H, 2x CH3), 1.25-1.30 (m, 28H, 14x CH2), 1.46-1.52 (m, 4H, 2x CH2), 1.60 (br. s, 2H, NH2), 1.91-1.96 (m, 2H, CH2), 2.28-2.35 (m, 2H, CH2), 3.20-3.25 (m, 4H, 2x CH2), 3.42 (t, J= 6.9, 1H, CH), 6.16 (apparent t, 1H, NH), 7.35 (apparent t, 1H, NH).
13C NMR (125MHz, CDCl3): δ 14.1, 14.1, 22.6, 22.7, 26.9, 29.2, 29.2, 29.3, 29.3, 29.5, 29.6, 29.6, 29.6, 31.8, 31.9, 33.2, 39.1, 39.6, 54.2, 172.6, 174.7.
실시예 2-10: NH 2 - Glu ( NHC 14 H 29 )- NHC 8 H 17 (11)의 제조
Fmoc-Glu(C14H28)-NHC8H17(6, 0.75 g, 1.11 mmol)에 20%(v/v) 피페리딘을 포함하는 DMF 용액을 20분 동안 처리하여 현탁액을 수득하고, 이를 0℃로 냉각시켜서 침전물을 수득한 다음, 이를 차가운 DMF로 세척하고, 진공상태에서 건조시켜서, 표제의 화합물을 흰색과 유사한 색의 고체의 형태로서 93%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 0.2 (10% 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0.88 (t, J= 7.0, 6H, 2x CH3), 1.25-1.30 (m, 32H, 16x CH2), 1.48-1.52 (m, 4H, 2x CH2), 1.61 (br. s, 2H, NH2), 1.92-1.96 (m, 2H, CH2), 2.28-2.35 (m, 2H, CH2), 3.20-3.25 (m, 4H, 2x CH2), 3.42 (t, J= 6.9, 1H, CH), 6.14 (apparent t, 1H, NH), 7.34 (apparent t, 1H, NH).
13C NMR (125MHz, CDCl3): δ 14.1, 14.1, 22.6, 22.7, 26.9, 29.2, 29.2, 29.3, 29.3, 29.5, 29.6, 29.6, 29.7, 29.7, 31.8, 31.9, 33.3, 39.1, 39.6, 54.1, 172.6, 174.7.
실시예 2-11: NH 2 - Glu ( NHC 16 H 33 )- NHC 8 H 17 (12)의 제조
Fmoc-Glu(C16H33)-NHC8H17(7, 0.73 g, 1.10 mmol)에 20%(v/v) 피페리딘을 포함하는 DMF 용액을 20분 동안 처리하여 현탁액을 수득하고, 이를 0℃로 냉각시켜서 무색의 침전물을 수득한 다음, 이를 차가운 DMF로 세척하고, 진공상태에서 건조시켜서, 표제의 화합물을 흰색과 유사한 색의 고체의 형태로서 수득하였다.
RF = 0.2 (10% 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0.87-0.89 (m, 6H, 2x CH3), 1.25-1.30 (m, 36H, 18x CH2), 1.48-1.50 (m, 2H, CH2), 1.66 (br. s, 2H, NH2), 1.92-1.96 (m, 2H, CH2), 2.30-2.34 (m, 2H, CH2), 3.20-3.25 (m, 4H, 2x CH2), 3.42 (t, J= 6.7, 1H, CH), 6.16 (apparent t, 1H, NH), 7.35 (apparent t, 1H, NH).
13C NMR (125 MHz, CDCl3): δ 14.1, 14.1, 22.7, 26.9, 29.2, 29.2, 29.3, 29.3, 29.5, 29.6, 29.6, 29.6, 29.7, 31.8, 31.9, 33.3, 39.1, 39.6, 54.2, 172.6, 174.6.
실시예 2-12: NH 2 - Glu ( NHC 18 H 37 )- NHC 8 H 17 (13)의 제조
Fmoc-Glu(C18H37)-NHC8H17(8, 0.85 g, 1.16 mmol)에 20%(v/v) 피페리딘을 포함하는 DMF 용액을 20분 동안 처리하여 현탁액을 수득하고, 이를 0℃로 냉각시켜서 침전물을 수득한 다음, 이를 차가운 DMF로 세척하고, 진공상태에서 건조시켜서, 표제의 화합물을 흰색과 유사한 색의 고체의 형태로서 수득하였다.
RF = 0.2 (10% 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0.90 (t, J= 7.0, 6H, 2x CH3), 1.27-1.31 (m, 40H, 20x CH2), 1.49-1.53 (m, 4H, 2x CH2), 1.91-1.98 (m, 2H, CH2), 2.32-2.36 (m, 2H, CH2), 3.22-3.27 (m, 4H, 2x CH2), 3.44 (t, J= 6.7, 1H, CH), 6.22 (apparent t, 1H, NH), 7.39 (apparent t, 1H, NH).
13C NMR (125 MHz, CDCl3): δ 14.1, 14.1, 22.6, 22.7, 26.9, 29.2, 29.2, 29.3, 29.3, 29.5, 29.6. 29.6, 29.6, 29.7, 31.87, 31.8, 31.9, 33.2, 39.1, 39.6, 44.6, 54.1, 172.6, 172.7.
실시예 2-13: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모노트리틸 에테르( Tetraethylene glycol monotrityl ether , 15)의 제조
피리딘(0.1M)에 용해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35 ㎖, 200 mmol)의 용액에 0.25 당량의 트리틸 클로라이드(14 g, 50 mmol)를 가하고, 결과로서 얻어진 반응혼합물을 5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을 통해 트리틸 클로라이드가 완전히 소모될 때, 반응혼합물을 농축하고, EtOAc에 용해시킨 다음, 물, 1M HCl, 포화된 NaHCO3 및 함수로 세척하였으며, MgSO4를 사용하여 이를 건조시키고, 여과시켰으며, 농축하였다. 생성 화합물을 FCC(1:1 Hep/EtOAc 및 100% EtOAc)에 적용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옅은 노랑색 오일의 형태로서 78%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 0.7 (EtOAc).
실시예 2-14: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트리틸 에테르 산( Tetraethylene glycol trityl ether acid , 16)의 제조
모노 트리틸 에테르 15(4.4 g, 10 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1-1의 방법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표제의 화합물을 옅은 노랑색 오일의 형태로서 수득하였다.
RF = 0.2 (10% 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3.17 (t, J= 5.2, 2H, CH2), 3.57-3.65 (m, 14H, 7x CH2), 4.05 (s, 2H, CH2), 7.12-7.23 (m, 9H, CH), 7.40-7.72 (m, 6H, CH), 11.62 (br. s, 1H, COOH).
13C NMR (125 MHz, CDCl3): δ 62.8, 67.8, 68.0, 70.0, 70.1, 70.1, 70.3, 70.4, 86.0, 126.5, 127.6, 128.5, 143.7, 171.9
실시예 2-15: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모노벤질 에테르( Tetraethylene glycol monobenzyl ether , 17)의 제조
테트라에틸렌글리콜(14, 100 g, 0.5 mol)을 50% NaOH 용액(2.3 g in 4.4 ㎖ H2O)과 혼합하고, 이를 100℃로 가열하였다. 다음으로, 벤질 클로라이드(6.2 ㎖, 51.8 mmol)를 40분 동안 적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희석한 다음, 헵탄(heptane)으로 세척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물 및 함수로 세척하고, MgSO4를 사용하여 건조시켰으며, 여과하고, 진공조건에서 농축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무색 오일의 형태로서 88% 수율과 높은 순도로 수득하였다.
RF = 0.3 (EtOAc).
1H NMR (500 MHz, CDCl3): δ 3.58-3.70 (m, 17H, 8x CH2, OH), 4.56 (s, 2H, CH2), 7.21-7.42 (m, 5H, CH).
13C NMR (125 MHz, CDCl3): δ 61.4, 69.2, 70.1, 70.3, 70.4.70.4, 72.3, 73.0, 127.4, 127.5, 128.1, 138.0
실시예 2-16: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벤질 에테르, 토실화물( Tetraethylene glycol benzyl ether , tosylate , 18)의 제조
THF(1M)에 용해된 화합물 17(7.1 g, 25.0 mmol)의 용액에 NaOH 수용액(3.5 g, 87.5 mmol)을 가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반응물에 THF(1M)에 용해된 파라-톨루엔설포닉 클로라이드 용액을 적가하고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에 포화된 NH4Cl 용액을 가하고, CHCl3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용매층을 포화된 NaHCO3 용액 및 함수로 세척하고, Na2SO4를 사용하여 건조시켰으며, 여과하고, 진공조건에서 농축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옅은 노랑색 오일의 형태로서 높은 순도로 수득하였다.
RF = 0.7 (EtOAc).
1H NMR (500 MHz, CDCl3): δ 2.44 (s, 3H, CH3), 3.57-3.72 (m, 14H, 7x CH2), 4.14-4.16 (m, 2H, CH2), 4.57 (s, 2H, CH2), 7.28-7.35 (m, 6H, CH), 7.80 (d, J= 8.2, 2H, CH).
13C NMR (125 MHz, CDCl3): δ 21.67, 68.7, 69.3, 69.5, 70.5, 70.6, 70.7, 73.2, 127.6, 127.8, 128.0, 128.4, 129.9, 133.0, 138.3, 144.8.
실시예 2-17: 옥타에틸렌 글리콜 벤질 에테르, 트리틸 에테르( Octaethylene glycol benzyl ether , trityl ether , 19)의 제조
100 ㎖ DMF에 용해된 모노 트리틸에테르 15(6.6 g, 15.0 mmol) 용액에 NaH(0.8 g, 20 mmol)를 조심스럽게 가하고, 반응혼합물을 5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DMF(1M)에 용해된 토실화물(3.8 g, 20 mmol) 용액을 1시간 동안 적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냉수를 가하여 과량의 NaH를 제거하였으며, 포화된 NH4Cl 용액으로 희석하였다. 반응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고, 유기용매층을 포화된 NH4Cl 수용액, 포화된 NaHCO3 수용액 및 함수로 세척하였으며, Mg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하였다. 표제의 화합물을 옅은 노랑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하고, 추가적인 정제과정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RF = 0.3 (EtOAc).
1H NMR (500 MHz, CDCl3): δ 3.25 (t, J= 5.3, 2H, CH2), 3.60-3.70 (m, 30H, 15x [CH2]), 4.58 (m, 2H, CH2), 7.22-7.49 (m, 20H, CH).
13C NMR (125 MHz, CDCl3): δ 63.2, 69.3, 70.2, 70.4, 70.4, 70.5, 70.5, 70.5, 70.6, 70.6, 73.1, 86.4, 126.8, 127.4, 127.6, 127.8, 128.6, 128.9, 138.1, 144.0.
실시예 2-18: 옥타에틸렌 글리콜 모노 벤질 에테르( Octaethylene glycol mono benzyl ether , 20)의 제조
트리틸 에테르 19(10.5 g, 15 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1-2의 방법을 수행하여 잔사를 수득한 다음, 상기 잔사를 물에 용해시키고, Et2O/heptane 혼합물(1:1, v.v)을 사용하여 세척하였으며, CHCl3로 추출하였다. 클로로포름 층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으며, 진공조건에서 농축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옅은 노랑색 오일의 형태로서 84%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 0.2 (15% 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3.18 (br. s, 1H, OH), 3.43-3.56 (m, 32H, 16x CH2), 4.42 (s, 2H, CH2), 7.13-7.20 (m, 5H, CH).
13C NMR (125 MHz, CDCl3): δ 61.4, 69.3, 70.2, 70.3, 70.4, 70.4, 70.5, 70.5, 70.6, 70.7, 70.8, 72.5, 73.0, 127.5, 127.7, 128.2, 138.2.
실시예 2-19: 옥타에틸렌 글리콜 모노 벤질 에테르 산( Octaethylene glycol mono benzyl ether , acid , 21)의 제조
벤질 에테르 20(1.1 g, 2.4 mmol)를 사용하여, 실시예 1-1의 방법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수득한 잔사를 FCC(100% → 10% MeOH/1% AcOH in EtOAc)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옅은 노랑색 오일의 형태로서 80%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0.2 (15% MeOH in CH2Cl2 + AcOH).
1H NMR (500 MHz, CDCl3): δ 3.60-3.75 (m, 32H, 16x CH2), 4.15 (s, 2H, CH2), 4.56 (s, 2H, CH2), 7.27-7.38 (m, 5H, CH).
13C NMR (125 MHz, CDCl3): δ 61.7, 68.7, 69.4, 70.3, 70.4, 70.5, 70.5, 70.6, 70.6, 71.1, 72.4, 73.2, 127.6, 127.8, 128.4, 138.2, 172.3.
실시예 2-20: HO - Peg4 - NH - Glu ( NHC 10 H 21 )- NHC 8 H 17 (22)의 제조
NH2-Glu(C10H21)-NHC8H17(9, 0.20 g, 0.05 mmol) 및 화합물 16(0.30 g, 0.60 mmol)을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커플링 반응시키고, 생성된 산물을 즉시 실시예 1-2의 방법에 적용하여 pTsOH 매개성 트리틸기 제거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수득한 잔류물을 중성 알루미나 겔 FCC(EtOAc then CH2Cl2 → 10% MeOH in CH2Cl2)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흰색과 유사한 색의 고체의 형태로서 41%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 0.2 (10% 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0.86 (t, J= 6.6, 6H, 2x CH3), 1.24-1.27 (m, 24H, 12x CH2), 1.94- 197 (m, 1H, CH2a), 2.11-2.16 (m, 1H, CH2b), 2.25-2.32 (m, 2H, CH2), 3.16- 3.25 (m, 5H, 2x CH2, OH), 3.58-3.79 (m, 16H, 8x CH2), 3.98-4.06 (m, 2H, CH2), 4.40-4.44 (m, 1H), 6.59 (t, J= 5.3, 1H, NH), 7.10 (t, J= 5.5, 1H, NH), 7.75 (d, J= 7.9, 1H, NH).
13C NMR (125 MHz, CDCl3): δ 14.0, 14.0, 22.6, 22.6,26.8, 26.9, 29.1, 29.1, 29.2, 29.2, 29.3, 29.4, 29.5, 29.5, 31.7, 31.8, 32.9, 39.6, 39.6, 52.0, 61.4, 70.1, 70.2, 70.3, 70.4, 70.5, 70.8, 71.0, 72.4, 72.5, 170.2, 170.8, 172.5.
실시예 2-21: HO - Peg4 - NH - Glu ( NHC 12 H 25 )- NHC 8 H 17 (23)의 제조
NH2-Glu(C12H25)-NHC8H17(10, 0.21 g, 0.50 mmol) 및 화합물 16(0.30 g, 0.60 mmol)을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커플링 반응시키고, 생성된 산물을 즉시 실시예 1-2의 방법에 적용하여 pTsOH 매개성 트리틸기 제거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수득한 잔류물을 중성 알루미나 겔 FCC(EtOAc then CH2Cl2 → 10% MeOH in CH2Cl2)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흰색과 유사한 색의 고체의 형태로서 43%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 0.2 (10%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0.87-0.89 (m, 6H, 2x CH3), 1.24-1.30 (m, 28H, 14x CH2), 1.49 (br. s, 4H, 2x CH2), 1.97-2.00 (m, 1H, CH2a), 2.13-2.16 (m, 1H, CH2b), 2.30-2.36 (m, 2H, CH2), 3.15-3.24 (m, 5H, 2x CH2, OH), 3.60-3.62 (m, 2H, CH2), 3.67-3.76 (m, 14H, 7x CH2), 4.01-4.08 (m, 2H, CH2), 4.44-4.48 (m, 1H, CH), 6.75 (apparent t, 1H, NH), 7.26 (apparent t, 1H, NH), 7.83 (d, J= 7.9, 1H, NH).
13C NMR (125 MHz, CDCl3): δ 14.0, 14.1, 22.5, 22.6, 26.7, 26.8, 26.9, 29.1, 29.1, 29.2, 29.4, 29.5, 29.5, 31.7, 32.8, 39.5, 39.6, 52.1, 61.2, 70.1, 70.2, 70.3, 70.4, 70.5, 70.9, 72.5, 170.2, 170.9, 172.5.
실시예 2-22: HO - Peg4 - NH - Glu ( NHC 14 H 28 )- NHC 8 H 17 (24)의 제조
NH2-Glu(C14H28)-NHC8H17(11, 0.23 g, 0.50 mmol) 및 화합물 16(0.30 g, 0.60 mmol)을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커플링 반응시키고, 생성된 산물을 즉시 실시예 1-2의 방법에 적용하여 pTsOH 매개성 트리틸기 제거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수득한 잔류물을 중성 알루미나 겔 FCC(EtOAc then CH2Cl2 → 10% MeOH in CH2Cl2)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흰색과 유사한 색의 고체의 형태로서 68%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 0.2 (10%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0.86-0.89 (m, 6H, 2x CH3), 1.19-1.27 (m, 32H, 16x CH2), 1.46-1.50 (m, 4H, 2x CH2), 1.94-1.99 (m, 1H, CH2a), 2.09-2.17 (m, 1H, CH2b), 2.24-2.34 (m, 2H, CH2), 3.13-3.25 (m, 5H, 2x CH2, OH), 3.59-3.61 (m, 2H, CH2), 3.64-3.75 (m, 14H, 7x CH2), 3.98-4.06 (m, 2H, CH2), 4.46-4.50 (m, 1H, CH), 6.80 (t, J= 5.6, 1H, NH), 7.36 (apparent t, 1H, NH), 7.76 (d, J= 8.2, 1H, NH).
13C NMR (125 MHz, CDCl3): δ 13.9, 13.9, 22.4, 22.5,26.7, 26.8, 29.0, 29.0, 29.1, 29.1, 29.3, 29.4, 29.5, 31.6, 31.7, 32.7, 39.4, 39.5, 51.9, 61.2, 70.1, 70.2, 70.3, 70.4, 70.9, 72.4, 170.1, 170.7, 172.3.
실시예 2-23: HO - Peg4 - NH - Glu ( NHC 16 H 33 )- NHC 8 H 17 (25)의 제조
NH2-Glu(C16H33)-NHC8H17(12, 0.24 g, 0.50 mmol) 및 화합물 16(0.30 g, 0.60 mmol)을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커플링 반응시키고, 생성된 산물을 즉시 실시예 1-2의 방법에 적용하여 pTsOH 매개성 트리틸기 제거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수득한 잔류물을 중성 알루미나 겔 FCC(EtOAc then CH2Cl2 → 10% MeOH in CH2Cl2)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흰색과 유사한 색의 고체의 형태로서 66%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 0.2 (10% 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0.88 (t, J= 6.9 6H, 2x CH2), 1.25-1.28 (m, 36H, 18x CH2), 1.46-1.50 (m, 4H, 2x CH2), 1.94-1.98 (m, 1H, CH2a), 2.12-2.16 (m, 1H, CH2b), 2.27-2.32 (m, 2H, CH2), 3.15-3.25 (m, 5H, 2x CH2, OH), 3.59-3.61 (m, 2H, CH2), 3.66-3.75 (m, 14H, 7x CH2), 3.99-4.07 (m, 2H, CH2), 4.44-4.48 (m, 1H, CH), 6.67 (apparent t, 1H, NH), 7.21 (apparent t, 1H, NH), 7.77 (d, J= 7.9, 1H, NH).
13C NMR (125 MHz, CDCl3): δ 14.0, 14.0, 22.5, 22.5, 26.8, 26.9, 29.1, 29.1, 29.2, 29.3, 29.4, 29.5, 29.5, 29.6, 31.7, 31.8, 32.8, 39.5, 39.6, 51.9, 61.4, 68.5, 70.2, 70.3, 70.4, 70.5, 71.0, 72.5, 170.2, 170.8, 172.4.
실시예 2-24: HO - Peg4 - NH - Glu ( NHC 18 H 37 )- NHC 8 H 17 (26)의 제조
NH2-Glu(C18H37)-NHC8H17(13, 0.26 g, 0.50 mmol) 및 화합물 16(0.30 g, 0.60 mmol)을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커플링 반응시키고, 생성된 산물을 즉시 실시예 1-2의 방법에 적용하여 pTsOH 매개성 트리틸기 제거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수득한 잔류물을 중성 알루미나 겔 FCC(EtOAc then CH2Cl2 → 10% MeOH in CH2Cl2)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흰색과 유사한 색의 고체의 형태로서 60%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 0.2 (10% 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0.82-0.85 (m, 6H, 2x CH3), 1.17-1.27 (m, 40H, 20x CH2), 1.41-1.44 (m, 4H, 2x CH2), 1.91-1.94 (m, 1H, CH2a), 2.08-2.10 (m, 1H, CH2b), 2.20- 2.30 (m, 2H, CH2), 3.12-3.20 (m, 5H, 2x CH2, OH), 3.55-3.57 (m, 2H, CH2), 3.60-3.72 (m, 14H, 7x CH2), 3.94-4.03 (m, 2H, CH2), 4.40-4.45 (m, 1H, CH), 6.70 (t, J= 5.5, 1H, NH), 7.24 (t, J= 5.5, 1H, NH), 7.73 (d, J= 8.1, 1H, NH).
13C NMR (125 MHz, CDCl3): δ 13.9, 14.0, 22.5, 22.5, 26.8, 26.9, 29.0, 29.1, 29.2, 29.2, 29.2, 29.4, 29.4, 29.5, 29.5, 31.6, 31.7, 32.7, 39.5, 39.5, 42.7, 51.9, 61.4, 70.1, 70.3, 70.4, 70.4, 70.7, 70.9, 72.4, 170.1, 170.8, 172.4.
실시예 2-25: HO - Peg8 - NH - Glu ( NHC 10 H 21 )- NHC 8 H 17 (27)의 제조
NH2-Glu(C10H21)-NHC8H17(9, 0.20 g, 0.5 mmol) 및 화합물 21(0.39 g, 0.75 mmol)을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커플링 반응시키고, 생성된 산물을 실리카겔 FCC(10% MeOH in EtOAc)로 정제하여, 밝은 노랑색 오일 형태로서 벤질 보호된 중간산물을 5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RF = 0.5 (10% MeOH in EtOAc).
1H NMR (500 MHz, CDCl3): δ 0.84 (t, J= 6.5, 6H, 2x CH3), 1.21-1.25 (m, 24H, 12x CH2), 1.43-1.46 (m, 4H, 2x CH2), 1.91-1.94 (m, 1H, CH2a), 2.05-2.09 (m, 1H, CH2b), 2.21-2.30 (m, 2H, CH2), 3.11- 3.20 (m, 4H, 2x CH2), 3.58-3.65 (m, 30H, 15x CH2), 4.44 (q, J= 15, 2H, CH2), 4.41-4.46 (m, 1H), 4.52 (s, 2H, CH2) 6.59 (apparent t, J= 5.5, 1H, NH), 7.17-7.32 (m, 6H, 5x CHar, NH), 7.66 (d, J= 7.9, 1H, NH).
13C NMR (125 MHz, CDCl3): δ 13.9, 13.9, 22.4, 26.7, 26.8, 29.0, 29.1, 29.2, 29.3, 29.3, 29.6, 31.6, 31.6, 32.6, 39.4, 39.5, 51.8, 69.1, 70.1, 70.3 (5x), 70.4, 70.9, 73.0, 127.3, 127.5, 128.1, 138.0, 169.9, 170.5, 172.2.
상기 벤질 보호된 중간산물을 알데히드가 제거된 EtOH에 용해시키고, 아르곤 대기환경 하에서 방치한 다음, 촉매량의 Pd/C(10 wt%)를 가하고 무산소 조건에서 방치하였다. 이어, 상기 반응혼합물을 이중막 풍선을 사용하여 수소대기하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하고, 상기 반응혼합물로부터 수소를 제거하고, 셀라이트로 여과하였으며, 농축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RF = 0.3 (10% MeOH in CH2Cl2).
1H NMR (500 MHz, CDCl3): δ 0.85 (t, J=7.0, 6H, 2x CH3), 1.23-1.47 (m, 24H, 12x CH2), 1.47-1.48 (m, 4H, 2x CH2), 1.92-1.95 (m, 1H, CH2a), 2.09-2.13 (m, 1H, CH2b), 2.29-2.31 (m, 2H, CH2), 3.17- 3.23 (m, 4H, 2x CH2), 3.58-3.71 (m, 30H, 15x CH2), 4.44 (q, J= 16.0, 2H, CH2), 4.39-4.42 (m, 1H), 5.31 (br. s, 1H, OH) 6.75 (apparent t, 1H, NH), 7.08 (apparent t, NH), 7.72 (d, J= 7.5, 1H, NH).
13C NMR (125 MHz, CDCl3): δ 14.0, 14.0, 22.5, 22.5, 26.8, 26.9, 29.1, 29.1, 29.2, 29.3, 29.3, 29.4, 29.7, 31.7, 31.8, 32.7, 39.6, 39.7, 51.8, 61.4, 70.1, 70.2, 70.3, 70.3, 70.3, 70.4, 71.0, 72.3, 170.4, 170.7, 172.7.
실시예 2-26: HO - Peg20 - NH - Glu ( NHC 10 H 21 )- NHC 8 H 17 (28)의 제조
NH2-Glu(C10H21)-NHC8H17(9, 50 mg, 0.13 mmol) 및 HO-PEG20-COOH(50 mg, 0.05 mmol)을 실시예 1-5의 방법으로 커플링 반응시키고, 반응산물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농축시켜서, 표제의 화합물을 9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0.73 (br. s, 6H, 2x CH3), 1.24-1.27 (m, 24H, 12x CH2), 1.48 (br. s, 4H, 2x CH2), 1.87-1.97 (m, 1H, CH2a), 2.06-2.15 (m, 1H, CH2b), 2.23-2.35 (m, 2H, CH2), 2.73 (br. s, 1H, OH), 3.14- 3.28 (m, 4H, 2x CH2), 3.49-3.77 (m, 80H, 40x CH2), 3.96-4.05 (m, 2H, CH2), 4.36-4.44 (m, 1H), 6.39 (br. s, 1H, NH), 6.88 (br. s, 1H, NH), 7.66 (d, J= 7.0, 1H, NH).
13C NMR (125 MHz, CDCl3): δ 14.0, 14.0, 22.5, 22.7, 26.6, 27.0, 29.3, 29.4, 29.5, 29.8, 31.4, 31.9, 33.0, 39.6, 39.7, 51.9, 61.7, 70.3, 70.4, 70.6 (3x), 70.9, 71.1, 71.6, 72.6, 170.3, 170.7, 172.4.
실시예 2-27: HO - Peg20 - NH - Glu ( NHC 12 H 25 )- NHC 8 H 17 (29)의 제조
NH2-Glu(C12H25)-NHC8H17(10, 0.50 mg, 0.12 mmol) 및 HO-PEG20-COOH(50 mg, 0.05 mmol)을 실시예 1-5의 방법으로 커플링 반응시키고, 반응산물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농축시켜서, 표제의 화합물을 9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0.83-0.86 (m, 6H, 2x CH3), 1.22-1.24 (m, 28H, 14x CH2), 1.46-1.47 (m, 4H, 2x CH2), 1.86-1.95 (m, 1H, CH2a), 2.06-2.14 (m, 1H, CH2b), 2.22-2.35 (m, 2H, CH2), 3.10-3.27 (m, 5H, 2x CH2, OH), 3.46-3.75 (m, 80H, 40x CH2), 3.95-4.03 (m, 2H, CH2), 4.37-4.42 (m, 1H, CH), 6.60 (apparent t, 1H, NH), 7.02 (apparent t, 1H, NH), 7.68 (d, J= 8.0, 1H, NH).
13C NMR (125 MHz, CDCl3): δ 14.0, 14.1, 22.5, 22.5, 26.8, 26.8, 29.0, 29.1, 29.2, 29.2, 29.3, 29.3, 29.4, 29.4, 29.5, 29.5, 29.6, 31.6, 31.7, 32.7, 39.5, 39.7, 51.8, 61.5, 70.1, 70.2, 70.3 (3x), 70.4, 70.4, 70.5, 70.7, 70.9, 72.5, 170.2, 170.6, 172.5.
실시예 2-28: HO - Peg20 - NH - Glu ( NHC 14 H 28 )- NHC 8 H 17 (30)의 제조
NH2-Glu(C14H28)-NHC8H17(11, 50 mg, 0.11 mmol) 및 HO-PEG20-COOH(50 mg, 0.05 mmol)을 실시예 1-5의 방법으로 커플링 반응시키고, 반응산물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농축시켜서, 표제의 화합물을 89%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0.83-0.86 (m, 6H, 2x CH3), 1.21-1.25 (m, 32H, 16x CH2), 1.41-1.46 (m, 4H, 2x CH2), 1.85-1.96 (m, 1H, CH2a), 2.04-2.25 (m, 1H, CH2b), 2.19-2.33 (m, 2H, CH2), 2.94 (br. s, 1H, OH), 3.11-3.23 (m, 4H, 2x CH2), 3.46-3.74 (m, 80H, 40x CH2), 3.94-4.02 (m, 2H, CH2), 4.36-4.41 (m, 1H, CH), 6.48 (apparent t, 1H, NH), 6.99 (apparent t, 1H, NH), 7.76 (d, J= 8.0, 1H, NH).
13C NMR (125 MHz, CDCl3): δ 14.1, 14 .1, 22.6, 22.7, 26.9, 27.0, 28.4, 29.2, 29.2, 29.6, 29.3, 29.4, 29.5, 29.6 (5x), 29.7, 31.8, 31.9, 32.9, 39.6, 39.7, 51.9, 61.6, 70.2, 70.3, 70.4, 70.5, 70.6, 70.6, 70.8, 70.1, 72.7, 170.2, 170.8, 172.5.
실시예 2-29: HO - Peg20 - NH - Glu ( NHC 16 H 33 )- NHC 8 H 17 (31)의 제조
NH2-Glu(C16H33)-NHC8H17(12, 50 mg, 0.10 mmol) 및 HO-PEG20-COOH(50 mg, 0.05 mmol)을 실시예 1-5의 방법으로 커플링 반응시키고, 반응산물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농축시켜서, 표제의 화합물을 86%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0.85-0.87 (m, 6H, 2x CH2), 1.21-1.30 (m, 36H, 18x CH2), 1.46-1.48 (m, 4H, 2x CH2), 1.89-1.94 (m, 1H, CH2a), 2.09-2.13 (m, 1H, CH2b), 2.24-2.30 (m, 2H, CH2), 2.74 (br.s, 1H, OH), 3.15-3.23 (m, 4H, 2x CH2), 3.58-3.71 (m, 80H, 40x CH2), 3.96-4.04 (m, 2H, CH2), 4.37-4.42 (m, 1H, CH), 6.41 (apparent t, 1H, NH), 6.94 (apparent t, 1H, NH), 7.68 (d, J= 8.0, 1H, NH).
13C NMR (125 MHz, CDCl3): δ 14.0, 14.0, 22.5, 22.6, 26.8, 26.9, 29.1, 29.1, 29.2, 29.2, 29.3, 29.4, 29.5 (3x), 29.6, 29.6, 31.7, 31.8, 31.8, 39.5, 39.5, 39.6, 51.8, 61.5, 70.1, 70.2, 70.4, 70.4, 70.5, 70.5, 70.7, 71.0, 72.6, 170.1, 170.7, 172.4.
실시예 2-30: HO - Peg20 - NH - Glu ( NHC 18 H 37 )- NHC 8 H 17 (32)의 제조
NH2-Glu(C18H37)-NHC8H17(13, 50 mg, 0.10 mmol) 및 HO-PEG20-COOH(50 mg, 0.05 mmol)을 실시예 1-5의 방법으로 커플링 반응시키고, 반응산물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농축시켜서, 표제의 화합물을 90%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0.84-0.87 (m, 6H, 2x CH3), 1.23-1.30 (m, 40H, 20x CH2), 1.46-1.45 (m, 4H, 2x CH2), 1.89-1.97 (m, 1H, CH2a), 2.09-2.17 (m, 1H, CH2b), 2.29- 2.33 (m, 2H, CH2), 3.10 (br. s, 1H, OH), 3.15-3.24 (m, 4H, 2x CH2), 3.57-3.71 (80 H, 40x CH2), 3.96-4.05 (m, 2H, CH2), 4.38-4.43 (m, 1H, CH), 6.70 (apparent t, 1H, NH), 7.06 (apparent t, NH), 7.72 (d, J= 8.0, 1H, NH).
13C NMR (125 MHz, CDCl3): δ 13.9, 14.0, 22.5, 22.5, 26.8, 26.9, 29.0, 29.1, 29.2, 29.2, 29.2, 29.4, 29.4, 29.5, 29.5, 31.6, 31.7, 32.7, 39.5, 39.5, 42.7, 51.9, 61.4, 70.1, 70.3, 70.4, 70.4, 70.7, 70.9, 72.4, 170.1, 170.8, 172.4.
실시예 2-31: HO - Peg40 - NH - Glu ( NHC 10 H 21 )- NHC 8 H 17 (33)의 제조
실시예 1-5의 방법에 따라, NH2-Glu(C10H21)-NHC8H17(9, 50 mg, 0.13 mmol) 및 HO-PEG40-NHS(50 mg, 0.02 mmol)를 DCM(5 ㎖)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반응혼합물을 CHCl3로 희석하고, 5% NaHCO3 수용액으로 세척하였으며, Na2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농축하였다. 이로부터 수득한 잔류물을 소량의 MeOH에 용해시키고, Dowex-H+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였다. 그런 다음, 반응산물 분획을 취합하고, 농축하여 표제의 화합물을 82%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1H NMR (500 MHz, CDCl3): δ 0.82-0.88 (m, 6H, 2x CH3), 1.24-1.28 (m, 24H, 12x CH2), 1.47-1.51 (m, 4H, 2x CH2), 1.93-1.95 (m, 1H, CH2a), 2.12-2.14 (m, 1H, CH2b), 2.30-2.35 (m, 2H, CH2), 2.81 (br. s, 1H, OH), 3.19- 3.24 (m, 4H, 2x CH2), 3.49-3.79 (m, 160H, 80x CH2), 3.97-4.03 (m, 2H, CH2), 4.38-4.41 (m, 1H), 6.48 (br. s, 1H, NH), 6.86 (br. s, 1H, NH), 7.68 (d, J= 7.5, 1H, NH).
13C NMR (125 MHz, CDCl3): δ 14.1, 14.1, 22.6, 22.6, 26.9, 27.0, 29.2, 29.2, 29.3, 29.4, 29.5, 29.6, 29.7, 29.8, 31.8, 31.9, 32.9, 39.7, 39.8, 51.9, 61.7, 70.3, 70.4, 70.6, 70.9, 71.1, 72.6, 170.3, 170.7, 172.6.
실시예 3: 미셀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다양한 양친매성 물질을 사용하여 지질 필름 수화방법(lipid film hydration method)에 따라 미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HO - Peg4 - NH - Glu ( NHC 10 H 21 )- NHC 8 H 17 (22)을 포함하는 미셀의 제조
실시예 2-20에서 제조한 양친매성 물질 HO-Peg4-NH-Glu(NHC10H21)-NHC8H17 (22)을 CHCl3에 용해시키고, 회전증발기를 사용하여 상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 용매를 2시간 동안 진공조건에서 제거한 다음,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1x, pH = 7.2)를 사용하여 지질 필름을 수화시켰다. CMC(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리딘 형광 분석법(pyrene fluorescence assay)을 사용하였다. 끝으로, 서로 다른 농도의 미셀 용액에 피렌(pyrene, 1 mg/㎖)을 가하여 24시간 동안 진탕시킨 다음, 상기 용액을 200㎛ 필터로 여과하고 형광수준을 측정하였다(도 1). 이때, 평균 입자크기는 DLS(dynamic light scattering)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양친매성 화합물 22를 사용하여 제조한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양친매성 화합물 22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피렌을 처리한 양친매성 화합물 22를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양친매성 화합물 22를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은 피렌을 처리하지 않거나 처리한 경우에, 각각 약 150(pdi = 0,2) 및 180 nm(pdi = 0.4)의 균일한 평균크기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된 미셀의 안정성을 시험한 결과, 상기 제조된 미셀에 용매를 추가하여 50배 희석된 경우에도, 상기 미셀이 양친매성 물질로 분리되지 않았고, 상기 미셀을 포함하는 용액을 4℃에서 3개월 동안 보관한 경우에도, 미셀 입자의 밀도 및 크기가 변화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2: HO - Peg20 - NH - Glu ( NHC 10 H 21 )- NHC 8 H 17 (28)을 포함하는 미셀의 제조
상기 실시예 2-26에서 제조된 양친매성 물질 HO-Peg20-NH-Glu(NHC10H21)-NHC8H17 (28)을 CHCl3에 용해시키고, 회전증발기를 사용하여 상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 용매를 2시간 동안 진공조건에서 제거한 다음,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1x, pH = 7.2)를 사용하여 지질 필름을 수화시켰다. CMC(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리딘 형광 분석법(pyrene fluorescence assay)을 사용하였다. 끝으로, 서로 다른 농도의 미셀 용액에 플루오레세인(1 mg/㎖)을 가하고, 초음파 처리(90초)에 의한 균질화를 수행한 다음,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함으로써, 미셀을 제조하였다(도 2).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양친매성 화합물 28을 사용하여 제조한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양친매성 화합물 28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플루오레세인을 처리한 양친매성 화합물 28을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에서 보듯이, PEG20 유도체를 포함하는 양친매성 물질 28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은 약 260nm의 평균크기를 나타내었으나, 플루오레세인을 처리한 양친매성 물질 28을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은 약 120nm의 평균크기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미셀의 제조시에 양친매성 물질에 플루오레세인을 처리할 경우, 보다 작은 크기의 미셀을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3: 플루오레세인이 처리된 미셀의 제조
상기 실시예 3-2의 결과로부터 미셀의 제조시에 양친매성 물질에 플루오레세인을 처리할 경우, 보다 작은 크기의 미셀을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다른 양친매성 물질을 이용하여 미셀을 제조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상기 실시예 2-27 내지 2-30에서 제조된 각각의 양친매성 물질인 HO-Peg20-NH-Glu(NHC12H25)-NHC8H17 (29), HO-Peg20-NH-Glu(NHC14H28)-NHC8H17 (30), HO-Peg20-NH-Glu(NHC16H33)-NHC8H17 (31) 또는 HO-Peg20-NH-Glu(NHC18H37)-NHC8H17 (32)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2의 방법으로 각각의 미셀을 제조하였다(도 3).
도 3은 다양한 양친매성 물질에 플루오레세인을 처리하여 제조한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플루오레세인을 처리한 양친매성 화합물 29를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B는 플루오레세인을 처리한 양친매성 화합물 30을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C는 플루오레세인을 처리한 양친매성 화합물 31을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D는 플루오레세인을 처리한 양친매성 화합물 32를 사용하여 제조된 미셀의 미셀의 DLS 프로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에서 보듯이, 플루오레세인이 처리된 양친매성 물질 29 내지 31을 사용하면, 1:2의 비율(약 1pdi)로 200nm 및 14nm의 평균크기를 갖는 두 종류의 미셀을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15)

  1. (a) 한 개의 아미노기와 두 개의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글루탐산;
    (b) 상기 글루탐산의 아미노기와 아미드 결합에 의해 결합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c) 상기 글루탐산의 두 개의 카르복시기와 각각 아미드 결합에 의해 결합된, 두 개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을 포함하는 미셀 형성용 전구체로서,
    상기 두 개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은 8 내지 12개의 탄소수 범위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Figure 112016129543948-pat00004
    (x= 4 ~ 40)인 것인 전구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PEG4, PEG8, PEG20 또는 PEG40 계열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인 것인 전구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은 8 내지 10개의 탄소수 범위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인 것인 전구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은 각각 8개 및 10개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사슬인 것인 전구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셀용 전구체는 양친매성 화합물 또는 계면활성제인 것인 전구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PEG4, PEG8, PEG20 또는 PEG40 계열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며, 상기 두 개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은 8 내지 10개의 탄소수 범위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인 것인 전구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PEG4 계열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며, 상기 두 개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은 각각 8개 및 10개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사슬인 것인 전구체.

  12. (a) 글루탐산의 두 개의 카르복시기와 두 개의 서로 다른 길이의 지방족 탄화수소 사슬이 각각 아미드 결합에 의해 결합된 유도체를 수득하는 단계;
    (b) 단일 보호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아세트산과 커플링 반응시켜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를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수득한 유도체를 상기 (a) 단계에서 수득한 유도체에 아미드 결합으로 부가하여 제1항, 및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미셀 형성용 전구체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셀 형성용 전구체의 제조방법.
  13. 제1항, 및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미셀 형성용 전구체를 포함하는 미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셀은 이를 포함하는 용액을 희석하거나 또는 4℃에서 3개월 보관할 경우에도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인 미셀.
  15. 제13항의 미셀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
KR1020150015367A 2015-01-30 2015-01-30 미셀 형성용 전구체 KR101768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367A KR101768760B1 (ko) 2015-01-30 2015-01-30 미셀 형성용 전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367A KR101768760B1 (ko) 2015-01-30 2015-01-30 미셀 형성용 전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144A KR20160094144A (ko) 2016-08-09
KR101768760B1 true KR101768760B1 (ko) 2017-08-17

Family

ID=5671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367A KR101768760B1 (ko) 2015-01-30 2015-01-30 미셀 형성용 전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9021986A2 (pt) * 2017-06-08 2020-05-05 Huntsman Petrochemical Llc composição, método de preparar um composto tensoativo, produto embalado, formulações de produtos químicos de desempenho e de cuidado pessoal, e, concentrados agroquímicos emulsificável e em suspensã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9343A2 (en) 2010-04-28 2011-11-10 Wu Nian Amino acid linked peg-lipid conjugat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9343A2 (en) 2010-04-28 2011-11-10 Wu Nian Amino acid linked peg-lipid conjug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144A (ko)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ühle et al. Metal binding calixarenes with potential biomimetic and biomedical applications
JP5638752B2 (ja) Cest活性な常磁性の錯体を含むmri造影剤
EP2456467B1 (de) Epsilon-polylysin-konjugate und deren verwendung
EP1789361B1 (en) Water-soluble nanoparticles stabilized with multi-functional group ligands and method of preapation thereof
CN107735402B (zh) 德克萨卟啉-磷脂缀合物及其制备方法
EP2791254B1 (en) Functionalised silicon nanoparticles
CA2449031C (en) Water-soluble porphyrin derivatives for photodynamic therapy, their use and manufacture
US11529420B2 (en) Pharmaceutically active agent complexes, polymer complexe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involving the same
JP2009528292A (ja) 生物学的障壁を越える増強された放出特性を有する分子の輸送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KR101592235B1 (ko) 단백질 케이지의 제조방법 및 소수성 첨가제를 담지한 코어-쉘 구조의 고분자-단백질 입자의 in-situ 제조방법
Liu et al. Magnetic nanoparticles modified with DTPA-AMC-rare earth for fluorescent and magnetic resonance dual mode imaging
KR101768760B1 (ko) 미셀 형성용 전구체
WO2019020989A2 (en) HYPER POLARIZED SUBSTRATES BY RELAYED TRANSFER VIA SYSTEMS CONTAINING EXCHANGEABLE PROTONS
JP2012520372A (ja) 生体適合性高分子を用いた多機能性造影剤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907546B (zh) 一种多功能聚脲基酸酯衍生物及其制方法和应用
CN110627835B (zh) 一种顺磁性富勒烯-金属纳米配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754378B1 (ko) 리포좀 기반 종양진단 방사성구리 추적자 합성 및 활용
CN112656956B (zh) 适用于对细胞在体内进行荧光和pet成像示踪的探针系统和制备方法
WO2008030807A2 (en) Phosphatidylethanolamine derivative and liposome containing the same
EP2067490A1 (en) Chelating agent derivative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for use in imaging methods
JP2011144125A (ja) 標的指向性リガンドとしての5−アミノレブリン酸の使用
KR101374221B1 (ko) 이산화 티타늄 나노 입자-안트라사이클린계 화합물의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시스템
EP0500732B1 (fr) Composition de diagnostic comprenant un complexe binucleair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en imagerie par resonance magnetique
CN117229336A (zh) 一种抗肿瘤化合物、组合物及其应用
CN115785436A (zh) 一种聚乙二醇修饰的胆碱磷酸脂质、脂质体组装体、载物脂质体复合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