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598B1 -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598B1
KR101768598B1 KR1020140120069A KR20140120069A KR101768598B1 KR 101768598 B1 KR101768598 B1 KR 101768598B1 KR 1020140120069 A KR1020140120069 A KR 1020140120069A KR 20140120069 A KR20140120069 A KR 20140120069A KR 101768598 B1 KR101768598 B1 KR 101768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transformer
invert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0660A (ko
Inventor
류홍제
장성록
김형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20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598B1/ko
Priority to PCT/KR2014/010045 priority patent/WO2016039502A1/ko
Publication of KR20160030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04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 G01R19/1652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using diodes, e.g. Zener diod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9/00Electric power supply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electronic time-pieces
    • G04G19/08Arrangements for preventing voltage drop due to overloading the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AC-A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4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or inductor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diode rect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인버터, 변압기 및 정류다이오드들로 이루어진 전원장치에 연결되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에 있어서, 변압기의 1차측 권선 또는 2차측 권선의 제 1 교류 전압을 제 2 교류 전압으로 변압한 후, 제 2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경하는 전압측정부 및 전압측정부와 연결되어 전압측정부로부터 인가받은 직류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인버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전압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Circuit of Voltage Sensing and Controlling}
본 발명은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버터, 변압기 및 정류 다이오드들로 이루어진 전원장치에서 인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전압 전원장치는 자이로트론(Gyrotron) 등의 배큠(vacuum) 디바이스와 같은 시험장비나 플라즈마 발생장치 등 고전압을 필요로 하는 장치(부하)의 작동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고전압 전원장치의 작동 중 인버터 출력전압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에는 고전압 전원장치의 변압기의 2차 권선 전압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압을 정류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경한 후, 각각의 커패시터에 인가되는 위 직류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직류전압의 크기가 기준전압에 비해 낮은 경우 인버터의 출력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회로를 구성하였다.
하지만, 이 기술에 의할 경우 고전압 전원장치에서 가장 위에 위치한 커패시터에는 최대값의 전압이 출력되고, 가장 아래 위치한 커패시터에는 최소값의 전압이 출력되므로, 만약,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를 가장 위 커패시터에 연결하는 경우, 해당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소자가 파괴될 위험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위험으로 인해, 펄스 전원장치에서는 펄스의 극성을 바꾸고자 할 때 해당 회로의 접지 배치와 함께 위치된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의 위치도 같이 변경되어야 하나, 종래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에 의하는 경우 위와 같은 제어회로 파괴 위험으로 인해 펄스의 극성을 쉽게 바꿀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에서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위치 제한 없이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에서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는, 펄스전원장치 등에서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소자의 파괴 위험 없이 펄스의 극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변압기 및 정류다이오드들로 이루어진 전원장치에 연결되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는
인버터, 변압기 및 정류다이오드들로 이루어진 전원장치에 연결되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의 1차측 권선 또는 2차측 권선의 제 1 교류 전압을 제 2 교류 전압으로 변압한 후, 상기 제 2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경하는 전압측정부; 및 상기 전압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압측정부로부터 인가받은 상기 직류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전압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측정부는 상기 1차측 권선 또는 상기 2차측 권선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교류 전압을 상기 제 2 교류 전압으로 변압하는 센서 변압기; 및 상기 제 2 교류 전압을 상기 직류 전압으로 변경하는 정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측정부는, 상기 정류기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직류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출력전압제어부에 인가하는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는 상기 정류기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직류 전압을 차등 증폭하여 상기 출력전압제어부에 인가하는 차등 증폭기일 수 있다.
상기 전압측정부는 상기 정류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센싱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변압기는 절연 변압기일 수 있다.
상기 전압센싱소자는 저항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출력전압제어부는 상기 전압측정부를 통하여 얻은 출력전압을 상기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전압제어부는 상기 전압측정부를 통하여 얻은 출력전압을 상기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장치는 출력단 회로에 반도체 스위치가 연결되어 펄스 신호를 부하로 출력하는 펄스 전원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원장치는 출력이 접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전압을 인가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전원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는 상기 변압기의 제1 교류 전압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교류 전압을 제3 교류 전압으로 변압하는 제 2 센서 변압기; 상기 변압된 제3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경하는 제2 정류기; 및 상기 변경된 제2 직류 전압을 제2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기는 상기 변경된 제2 직류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과의 차이가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에서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위치 제한 없이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에서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는, 펄스전원장치 등에서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소자의 파괴 위험 없이 펄스의 극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전압 전원장치에서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에서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에서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전원장치에서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큠(vacuum) 장비의 HPS(Heater Power Supply)에서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전원장치, 특히 고전압 전원장치인 고전압 펄스전원장치, 배큠(vacuum) 장비의 HPS(Heater Power System)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당 장치의 인버터 출력을 제어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원장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는 인버터(10) 출력이 각각의 변압기(20), 정류기(30)를 거쳐 커패시터(40)에 인가될 때, 전압분배기(50), 전압센싱소자(60), 차등 증폭기(70) 등을 통하여 커패시터(40)에 인가된 전압, 또는 그를 일정비율로 증폭한 값 Vreal을 구하고, 이를 기준전압 Vref와 비교하여, Vreal이 Vref보다 작은 경우, 인버터(10)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전원장치에서 가장 위에 위치한 커패시터(40)에는 최대값의 전압이 출력되고, 가장 아래 위치한 커패시터(40)에는 최소값의 전압이 출력되는 특성으로 인해, 만약,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를 가장 위 커패시터(40)에 연결하는 경우,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소자가 파괴될 위험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위험으로 인해, 펄스 전원장치에서는 펄스의 극성을 바꾸고자 할 때 해당 회로의 접지 배치와 함께 위치된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의 위치도 같이 변경되어야 하나, 종래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에 의하는 경우 위와 같은 제어회로 파괴 위험으로 인해 펄스의 극성을 쉽게 바꿀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장치의 변압기(20)의 1차측 권선(21) 또는 2차측 권선(22)과 센서 변압기(310)를 병렬 연결하여 그 전압값을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이러한 발명의 구성과 작동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200)는 전압측정부(300)와 출력전압제어부(400)로 구성될 수 있다.
전압측정부(300)는 전원장치 내 변압기(20) 1차측 권선(21) 또는 2차측 권선(22)과의 연결을 통해 Vreal을 구하여, 이를 출력전압제어부(400)로 전달하며, 출력전압제어부(400)는 전달받은 Vreal을 기준전압 Vref와 비교하고 그 결과에 상응하여 인버터 출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측정부(300)는 상기 변압기(20)의 1차측 권선(21) 또는 2차 권선(22)과 병렬 연결된 센서 변압기(310), 정류기(320), 전압센싱소자(60)와 증폭기(330)로 구성될 수 있다.
1차측 권선(21) 또는 2차측 권선(22)과 병렬 연결된 센서 변압기(310)에 의해 연결된 해당 권선측의 제1 교류 전압은 센서 변압기(310)의 권선수에 비례하여 제2 교류 전압으로 변압되고, 상기 제2교류 전압은 정류기(320)를 통해 직류 전압으로 변경된다.
이러한 센서 변압기(310)를 통한 교류 전압 변환 과정을 통해 변압기(20)의 1차측 권선(21) 또는 2차측 권선(22)에 인가된 고전압을 낮출 수 있으며, 정류기(320)를 통한 직류 전압으로의 변경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Vreal을 얻고, 이를 Vref와 비교할 수 있다.
이렇게 변경된 상기 직류 전압은 그대로 출력전압제어부(400)에 Vreal로 입력될 수 있으며, 전압센싱소자(60), 증폭기(330) 등을 통해 그 값을 변경하여 출력전압제어부(400)에 입력될 수도 있다.
증폭기(33)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직류 전압은 상기 증폭기(330)에 의해 일정비율로 증폭된 후 출력전압제어부(400)에 Vreal로 입력된다.
또는, 전압센싱소자(60)와 증폭기(330)를 같이 연결하는 경우, 상기 직류 전압은 전압센싱소자(60)와 증폭기(330)를 거치며 일정비율 증폭되어 출력전압제어부(400)에 Vreal로 입력된다.
상기 출력전압제어부(400)는 이렇게 입력받은 Vreal을 바탕으로, Vref와 그 크기를 비교하여 Vreal이 Vref보다 작은 경우, 인버터(10)의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Vreal이 Vref보다 큰 경우에는 인버터(10)의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Vref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200)의 구성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일정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200)로써 변압기(20)의 2차 권선(22)과 병렬 연결된 센서 변압기(310), 정류기(320), 전압센싱소자(60), 증폭기(330) 및 출력전압제어부(400)가 구성되어져 있으나, 그 중 전압센싱소자(60), 증폭기(330)는 Vreal값을 정확히 구하기 위해 추가되는 부수적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증폭기는 상기 정류기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직류 전압을 차등 증폭하여 상기 출력전압제어부에 인가하는 차등 증폭기일 수 있다.
상기 차등 증폭기는, 상기 센서 변압기(310)의 2차측 권선 일단이 양전압인 경우의 출력과 상기 센서 변압기의 2차측 권선 타단이 양전압인 경우의 출력이 상기 정류기를 통과하여 상기 증폭기의 +단자 및 -단자에 각각 입력될 때, 상기 입력된 각 직류 전압을 차등 증폭한 Vreal값을 상기 출력전압제어부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센서 변압기(310)는 절연 변압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압센싱소자(60)은 저항과 커패시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장치에서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200)는, 일반적인 전원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전원장치는 DC/AC 인버터에 의하여 전압을 인가받게 되고, 이를 각각의 변압기(20)를 통하여 변압한다. 변압기(20)의 권선수에 비례하여 변압된 교류 전압은 정류기(30)를 거치며 직류 전압으로 변경되고, 이렇게 변경된 직류 전압은 각 커패시터(40)에 인가되며 부하에 전압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전원장치에서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위 변압기(20)의 1차측 권선(21) 또는 2차측 권선(22)에 연결되는 센서 변압기(310), 정류기(320), 전압센싱소자(60)와 차등 증폭기(70)로 이루어진 전압측정부(300) 및 전압측정부(300)를 통해 구한 Vreal과 기준전압 Vref와의 비교를 통해 인버터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전압제어부(40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센서 변압기(310)는 연결된 변압기(20)의 1차측 권선(21) 또는 2차측 권선(22)의 교류 전압을 인가받고, 이를 센서 변압기(310)의 권선수에 비례하여 제 2 교류 전압으로 변압한다. 정류기(320)는 제 2 교류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경하고, 이를 전압센싱소자(60)를 거쳐 차등 증폭기(70)에 입력하여 출력전압제어부(400)에 Vreal값으로 입력할 수 있다.
출력전압제어부(400)는 입력받은 Vreal값과 설정된 Vref값을 비교하여 그에 맞는 인버터 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전압제어부(400)는 이렇게 입력받은 Vreal을 바탕으로, Vref과 비교하여 Vreal이 Vref보다 작은 경우, 인버터(10)의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Vreal이 Vref보다 큰 경우에는 인버터(10)의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전원장치에서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센싱 및 제어회로는 펄스전원장치에도 이용하여, 종래 기술에 의할 때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소자가 파괴될 위험, 이와 같은 위험으로 인해 펄스의 극성을 쉽게 바꿀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전원장치에서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200)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변압기(20)의 1차측 권선(21) 또는 2차측 권선(22)과 연결된 센서 변압기(310), 정류기(320), 전압센싱소자(60), 증폭기(330) 또는 차등증폭기(70)를 이용하여, 해당 변압기(20)의 1차측 권선(21) 또는 2차측 권선(22)에 걸린 전압을 바탕으로 Vreal을 구하고, 이를 출력전압제어부(400)에 전달함으로써 출력전압제어부(400)에서는 전달받은 Vreal을 Vref와 비교하여 그에 상응하는 인버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전압제어부(400)는 이렇게 입력받은 Vreal을 바탕으로, Vref과 비교하여 Vreal이 Vref보다 작은 경우, 인버터(10)의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Vreal이 Vref보다 큰 경우에는 인버터(10)의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200)는 출력이 접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배큠(vacuum) 장비에서의 HPS(Heater Power Supply)(120)장치에도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큠 장비에서의 HPS장치(120)에서의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장치 내 변압기(20) 1차측 권선(21) 또는 2차측 권선(22)과 연결된 센서 변압기(310), 정류기(320), 전압센싱소자(60), 증폭기(330) 또는 차등증폭기(70)를 이용하여, 해당 변압기(20)의 1차측 권선(21) 또는 2차측 권선(22)에 걸린 전압을 바탕으로 위와 같이 Vreal을 구하고, 이를 출력전압제어부(400)에 전달함으로써 출력전압제어부(400)에서는 전달받은 Vreal을 Vref와 비교하여 그에 상응하는 인버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전압제어부(400)는 이렇게 입력받은 Vreal을 바탕으로, Vref과 비교하여 Vreal이 Vref보다 작은 경우, 인버터(10)의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Vreal이 Vref보다 큰 경우에는 인버터(10)의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200)는 위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상기 변압기(20)의 제1 교류 전압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교류 전압을 제3 교류전압으로 변압하는 제 2 센서 변압기(410), 상기 변압된 제3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경하는 제2 정류기(420) 및 상기 변경된 제2 직류 전압을 제2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비교기(450)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센서 변압기(410)는 상기 센서변압기(310)의 1차측 권선과 연결되어 제 1 교류전압을 인가받을 수도 있다.
상기 비교기(450)는 상기 변경된 직류 전압과 기준 전압과의 차이가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인버터(10)에 출력하여 인버터(1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 3 내지 5에 있어서 전압측정부(300)의 센서변압기(310)가 연결된 전원장치를 구성하는 변압기(20)의 권선이 1차측 권선(21) 또는 2차측 권선(22) 중 어느 하나로 특정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것으로, 본 발명상 전압측정부(300)의 센서 변압기(310)는 전원장치 내 변압기(20)의 1차측 권선(21) 또는 2차측 권선(22) 중 어느 권선과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 3 내지 5에 있어서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200)는 전원장치의 가장 하단에 위치한 변압기에 연결되어 구성되어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200)는 전원장치의 상단, 중단, 또는 하단 어디에 위치한 변압기와도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DC/AC 인버터 20 : 변압기
21 : 1차 권선 22 : 2차 권선
30 : 정류기 40 : 커패시터
50 : 전압분배기(Voltage Divider) 60 : 전압센싱소자(Voltage Sensor)
70 : 차등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
200 :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300 : 전압측정부 400 : 출력전압제어부
310 : 센서 변압기 320 :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내 정류기
330 : 증폭기 110 : 반도체 스위치
321 : 정류다이오드 450 : 비교기
120 : HPS(Heater Power System)
410 : 제2 센서변압기 420 : 제2 정류기

Claims (13)

  1. 인버터, 변압기 및 정류다이오드들로 이루어진 전원장치에 연결되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의 1차측 권선 또는 2차측 권선의 제 1 교류 전압을 제 2 교류 전압으로 변압한 후, 상기 제 2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경하는 전압측정부; 및
    상기 전압측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압측정부로부터 인가받은 상기 직류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전압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측정부는
    상기 1차측 권선 또는 상기 2차측 권선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교류 전압을 상기 제 2 교류 전압으로 변압하는 센서 변압기; 및
    상기 제 2 교류 전압을 상기 직류 전압으로 변경하는 정류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제어부는,
    상기 전압측정부를 통하여 얻은 출력전압을 상기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큰 경우,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압측정부를 통하여 얻은 출력전압을 상기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측정부는,
    상기 정류기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직류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출력전압제어부에 인가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상기 정류기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직류 전압을 차등 증폭하여 상기 출력전압제어부에 인가하는 차등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측정부는
    상기 정류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센싱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변압기는 절연 변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센싱소자는 저항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는 출력단 회로에 반도체 스위치가 연결되어 펄스 신호를 부하로 출력하는 펄스 전원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는 출력이 접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는
    상기 변압기의 제1 교류 전압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 교류 전압을 제3 교류 전압으로 변압하는 제 2 센서 변압기;
    상기 변압된 제3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경하는 제2 정류기; 및
    상기 변경된 제2 직류 전압을 제2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변경된 제2 직류 전압과 상기 제2 기준 전압과의 차이가 일정 범위 이상인 경우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KR1020140120069A 2014-09-11 2014-09-11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KR101768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069A KR101768598B1 (ko) 2014-09-11 2014-09-11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PCT/KR2014/010045 WO2016039502A1 (ko) 2014-09-11 2014-10-24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069A KR101768598B1 (ko) 2014-09-11 2014-09-11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660A KR20160030660A (ko) 2016-03-21
KR101768598B1 true KR101768598B1 (ko) 2017-08-17

Family

ID=55459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069A KR101768598B1 (ko) 2014-09-11 2014-09-11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68598B1 (ko)
WO (1) WO20160395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524A (ko) 2020-12-10 2022-06-17 한국전기연구원 공진형 컨버터, 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02366A (zh) * 2017-08-13 2017-11-28 安徽君华舜义恩佳非晶材料有限公司 一种互感器伏安特性连续批量检测装置
CN108016240B (zh) * 2017-12-27 2023-07-25 荆州市楚泰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用于新能源电动客车空调的dc-ac供电电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792A (ja) * 2000-07-05 2002-01-23 Osaka Gas Co Ltd 絶縁油耐電圧試験装置
JP2002136114A (ja) * 2000-10-20 2002-05-10 Fujitsu Denso Ltd 突入電流防止回路
JP2008086174A (ja) 2006-09-29 2008-04-10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13031B1 (fr) * 1981-09-17 1986-01-24 Fontaine Ets Pierre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procedes et aux dispositifs d'alimentation electrique alternative d'une charge, sans discontinuite du signal alternatif
JP3312369B2 (ja) * 1994-11-15 2002-08-05 ミネベア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KR19980056288A (ko) * 1996-12-28 1998-09-25 배순훈 스위칭 전원 회로의 돌입 전류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792A (ja) * 2000-07-05 2002-01-23 Osaka Gas Co Ltd 絶縁油耐電圧試験装置
JP2002136114A (ja) * 2000-10-20 2002-05-10 Fujitsu Denso Ltd 突入電流防止回路
JP2008086174A (ja) 2006-09-29 2008-04-10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524A (ko) 2020-12-10 2022-06-17 한국전기연구원 공진형 컨버터, 그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9502A1 (ko) 2016-03-17
KR20160030660A (ko) 201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08705B (zh) 电力变换器和检测其辅助绕组的开路连接故障的方法
KR101768598B1 (ko) 전압센싱 및 제어 회로
US9846190B2 (en) Motor drive device including function to detect failure in insulation resistance deterioration detection unit of motor, and failure detection method
TW201624898A (zh) 以反馳式架構爲基礎的電源轉換裝置
US9740262B2 (en) Power supply detecting circuit
KR20130062716A (ko) 전력 증폭기
US9557353B2 (en) Power supply detecting circuit
US20150078048A1 (en) Power detecting circuit
US102477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rimary voltage from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ed power supply
US20170126141A1 (en) Switched-Mode Power Supply Unit
US8861237B2 (en) Power supply apparatus
US20220373581A1 (en)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Ascertaining a Type and Value of an Input Voltage
JP2016119730A (ja) 交流電力系統の偏磁検出装置および編磁抑制装置
US9231482B2 (en) Apparatus for regulating an energ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nergy system
JP2017042005A (ja) 直流安定化電源装置
US10014781B2 (en) Gate drive systems and methods using wide bandgap devices
KR20150037192A (ko) 전원 공급 장치
KR101434049B1 (ko) 전원 공급 장치
TWI720676B (zh) 過溫度補償控制電路
WO2015145675A1 (ja) 電圧信号検出装置および電圧信号調整方法
KR100735270B1 (ko) 압전 트랜스 구동장치
JP6154616B2 (ja) Acアダプタ及びacアダプタの電力供給判定方法
JP2005086990A (ja) インバータ試験装置
KR20140116591A (ko) 3상 입력 전원의 결상 검출 장치
CN105634299A (zh) 提高离线式电源原边控制精度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