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499B1 - 데크재 고정구 - Google Patents

데크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499B1
KR101768499B1 KR1020150108462A KR20150108462A KR101768499B1 KR 101768499 B1 KR101768499 B1 KR 101768499B1 KR 1020150108462 A KR1020150108462 A KR 1020150108462A KR 20150108462 A KR20150108462 A KR 20150108462A KR 101768499 B1 KR101768499 B1 KR 101768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deck
female socket
base member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692A (ko
Inventor
황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세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세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세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50108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4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33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fixed directly to an underlayer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23Separate tongues; Interlocking keys, e.g. joining mouldings of circular, square or rectangular shape
    • E04F2201/0535Separate tongues; Interlocking keys, e.g. joining mouldings of circular, square or rectangular shape adapted for snap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8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hook and loop-type fastener or similar fix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재를 피고정부에 고정하는 데크재 고정구로서, 상기 피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구와; 상기 제1고정구를 상기 피고정부에 체결하는 제1체결수단과; 상기 데크재에 고정되는 제2고정구와; 상기 제2고정구를 상기 데크재에 체결하는 제2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구는 상기 피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재와, 상기 제1베이스부재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수소켓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구는 상기 데크재에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재와, 상기 제2베이스부재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암소켓를 포함하고, 상기 수소켓은 상기 암소켓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인 데크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데크재 고정구를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로 구성하여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의 끼움 결합으로 데크재를 피고정부에 고정함으로써, 규격화된 데크재를 별도의 작업 없이 그대로 사용 가능하며, 데크재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고, 부분 파손시 파손된 부분만 보수공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크재 고정구{Fastener for deck material}
본 실시예는 데크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나무 등의 데크재를 고정하기 위해 기존의 피스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데크재들의 줄눈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으며, 방진고무시트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현장 시공이 어렵다. 또한 데크재를 고정한 후에는 피스의 평활도가 불량하고, 피스로 고정된 부분의 데크재가 갈라지는 단점이 있으며, 신축에 의해 데크재가 갈라지거나 들뜨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클립 등의 피스를 이용한 피스 비노출 방식으로 데크재를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내부클립 등의 피스를 이용시 데크재에 내부클립을 결합하기 위한 홈의 가공이 별도로 필요하며, 이에 따라 비용이 상승하고, 파손시 부분 보수가 불가하다. 또한 공법상 완전한 피스의 비노출이 불가하며, 신축에 의해 줄눈이 벌어져 방진고무시트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시공이 번거롭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37235 특허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30336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데크재 고정구를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로 구성하여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의 끼움 결합으로 데크재를 피고정부에 고정함으로써, 규격화된 데크재를 별도의 작업 없이 그대로 사용 가능하며, 데크재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고, 부분 파손시 파손된 부분만 보수공사가 가능한 데크재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데크재 고정구를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로 구성하여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의 끼움 결합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를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함으로써, 완충작용이 우수하여 별도의 방진고무 설치가 필요하지 않은 데크재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데크재 고정구를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로 구성하여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의 끼움 결합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를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함으로써, 온도나 습도에 따라 데크재나 피고정부가 수축 또는 팽창하는 경우에 탄력적으로 대응함과 동시에 데크재의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는 데크재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데크재에 제2고정구를 체결함에 있어서 데크재에 요홈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데크재 자체의 내구성을 떨어뜨림 없이 피고정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제2고정구가 데크재의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미관에 우수한 데크재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1고정구의 수소켓의 측벽과 제2고정구의 암소켓의 내측을 톱니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수소켓을 암소켓에 삽입시 서로 긴밀하게 밀착 결합되어 구조적으로 안전한 데크재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1고정구의 수소켓과 제2고정구의 암소켓이 탄성변형 됨으로써, 수소켓과 암소켓이 서로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결합할 수 있는 데크재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2고정구의 제2베이스부재에 암소켓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톱퍼를 형성함으로써, 스톱퍼가 데크재의 측면을 지지하여 데크재의 종방향 지지를 강화하는 데크재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1고정구의 제1베이스부재에 제1돌부를 형성함으로써, 암소켓의 한 쌍의 측벽의 단부가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데크재 상측으로부터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잘 견디는 데크재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1고정구의 수소켓의 내측에 연결부재를 형성하여 수소켓의 중간부가 벌어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데크재 상측으로부터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잘 견디는 데크재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1고정구의 제1베이스부재에 제2돌부를 형성함으로써, 제2고정구의 암소켓의 단부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여 데크재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데크재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2고정구의 제2베이스부재에 헌치를 형성하여 암소켓의 한 쌍의 측벽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하중 지지력이 우수한 데크재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피고정부 및 데크재의 단부에 미리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를 체결한 후에 현장에서 이를 조립함으로써, 시공이 정밀 간편하며, 비용이 절감되고, 공기가 단축되는 데크재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천연목재, 방부목, 합성목재 등의 다양한 데크재에 적용이 가능한 데크재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공원의 보도, 테라스 등의 데크재 고정 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의 바닥면이나 건물의 내장재 및 외장재의 고정에도 적용이 가능한 데크재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는, 데크재를 피고정부에 고정하는 데크재 고정구로서, 상기 피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구와; 상기 제1고정구를 상기 피고정부에 체결하는 제1체결수단과; 상기 데크재에 고정되는 제2고정구와; 상기 제2고정구를 상기 데크재에 체결하는 제2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구는 상기 피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재와, 상기 제1베이스부재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수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구는 상기 데크재에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재와, 상기 제2베이스부재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암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수소켓은 상기 암소켓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켓은 톱니형상인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단부를 연결하는 반원형상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소켓은 내측이 톱니형상인 한 쌍의 측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소켓은 상기 암소켓에 삽입되어 긴밀히 밀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수소켓이 상기 암소켓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상기 수소켓과 암소켓은 탄성변형 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켓의 반원형상의 연결부의 수평폭은 상기 암소켓의 내측의 반원형상의 수평폭보다 크고, 상기 수소켓의 반원형상의 연결부의 수직폭은 상기 암소켓의 내측의 반원형상의 수직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수소켓은 상기 암소켓에 끼워진 후 그 수평폭은 줄어들고 수직폭은 늘어나서 상기 수소켓이 상기 암소켓에 견고히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부재에 상기 암소켓의 단부의 종방향 벌어짐을 방지하는 제1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데크재 상측으로부터의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암소켓의 한 쌍의 측벽의 단부의 벌어짐이 방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돌부는 내측 하단이 상기 암소켓의 외측 하단과 접하고, 상기 제1돌부의 내측면은 상기 수소켓의 측벽의 톱니형상의 하측 경사면과 나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베이스부재의 일측 단부에 상기 암소켓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데크재의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데크재의 종방향 지지를 강화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제2베이스부재에서 상기 암소켓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상기 스톱퍼의 내측 경사는 30 내지 60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45도이며, 상기 데크재의 모서리는 경사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절취부와 밀착되어 상기 데크재의 종방향 지지를 강화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구는 상기 수소켓이 상기 제1베이스부재에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인접한 데크재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부재에 상기 암소켓의 단부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제2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데크재의 횡방향 유동이 방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베이스부재에 상기 암소켓의 한 쌍의 측벽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는 헌치를 포함하고, 상기 헌치는 상기 암소켓의 측벽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헌치와 상기 암소켓의 측벽의 이격거리는 상기 암소켓의 톱니의 내측 돌출부 높이보다 작고, 상기 암소켓의 톱니의 내측 돌출부 높이에서 상기 수소켓의 톱니의 내측의 최소 간격의 1/4을 뺀 것보다는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켓은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톱니의 내측 돌출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데크재 고정구를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로 구성하여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의 끼움 결합으로 데크재를 피고정부에 고정함으로써, 규격화된 데크재를 별도의 작업 없이 그대로 사용 가능하며, 데크재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고, 부분 파손시 파손된 부분만 보수공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크재 고정구를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로 구성하여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의 끼움 결합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를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함으로써, 완충작용이 우수하여 별도의 방진고무 설치가 필요하지 않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크재 고정구를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로 구성하여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의 끼움 결합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를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함으로써, 온도나 습도에 따라 데크재나 피고정부가 수축 또는 팽창하는 경우에 탄력적으로 대응함과 동시에 데크재의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크재에 제2고정구를 체결함에 있어서 데크재에 요홈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데크재 자체의 내구성을 떨어뜨림 없이 피고정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제2고정구가 데크재의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미관에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구의 수소켓의 측벽과 제2고정구의 암소켓의 내측을 톱니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수소켓을 암소켓에 삽입시 서로 긴밀하게 밀착 결합되어 구조적으로 안전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구의 수소켓과 제2고정구의 암소켓이 탄성변형 됨으로써, 수소켓과 암소켓이 서로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구의 제2베이스부재에 암소켓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톱퍼를 형성함으로써, 스톱퍼가 데크재의 측면을 지지하여 데크재의 종방향 지지를 강화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구의 제1베이스부재에 제1돌부를 형성함으로써, 암소켓의 한 쌍의 측벽의 단부가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데크재 상측으로부터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잘 견디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구의 수소켓의 내측에 연결부재를 형성하여 수소켓의 중간부가 벌어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데크재 상측으로부터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잘 견디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구의 제1베이스부재에 제2돌부를 형성함으로써, 제2고정구의 암소켓의 단부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여 데크재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구의 제2베이스부재에 헌치를 형성하여 암소켓의 한 쌍의 측벽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하중 지지력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고정부 및 데크재의 단부에 미리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를 체결한 후에 현장에서 이를 조립함으로써, 시공이 정밀 간편하며, 비용이 절감되고,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천연목재, 방부목, 합성목재 등의 다양한 데크재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원의 보도, 테라스 등의 데크재 고정 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의 바닥면이나 건물의 내장재 및 외장재의 고정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를 이용하여 데크재를 고정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를 이용하여 데크재를 고정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1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단면도, 평면도, 및 제1체결수단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2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단면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제2체결수단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2고정구에 스톱퍼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2고정구에 다른 실시예의 스톱퍼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의 끼움 결합 전과 후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1고정구에 제1돌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상기 제1돌부가 형성된 제1고정구가 제2고정구에 끼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1고정구에 제2돌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상기 제2돌부가 형성된 제1고정구가 제2고정구에 끼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2고정구에 헌치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상기 헌치가 형성된 제2고정구에 제1고정구가 끼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를 이용하여 데크재를 고정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를 이용하여 데크재를 고정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1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단면도, 평면도, 및 제1체결수단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2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단면도, 평면도, 저면도, 및 제2체결수단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2고정구에 스톱퍼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2고정구에 다른 실시예의 스톱퍼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의 끼움 결합 전과 후의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1고정구에 제1돌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상기 제1돌부가 형성된 제1고정구가 제2고정구에 끼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1고정구에 제2돌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상기 제2돌부가 형성된 제1고정구가 제2고정구에 끼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의 제2고정구에 헌치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상기 헌치가 형성된 제2고정구에 제1고정구가 끼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데크재 고정구는, 피고정부(2)에 고정되는 제1고정구(10)와, 상기 제1고정구(10)를 피고정부(2)에 체결하는 제1체결수단(20)과, 데크재(1)에 고정되는 제2고정구(30)와, 상기 제2고정구(30)를 데크재(1)에 체결하는 제2체결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구(10)와 제2고정구(30)가 결합함으로써 데크재(1)를 피고정부(2)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목재, 방부목, 합성목재 등의 다양한 데크재(1)의 고정에 적용이 가능하며, 또한 공원의 보도, 테라스 등의 데크재(1) 고정 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의 바닥면이나 건물의 내장재 및 외장재의 고정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피고정부(2)에 고정되는 제1고정구(10)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고정부(2)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재(11)와, 상기 제1베이스부재(11)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수소켓(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소켓(13)은 톱니형상인 한 쌍의 측벽(131)과, 한 쌍의 측벽(131)의 상측 단부를 연결하는 반원형상의 연결부(133)로 형성되며, 상기 수소켓(13)은 제1베이스부재(11)에 한 개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이스부재(11)에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인접한 데크재(1)를 피고정부(2)에 동시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수소켓(13)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베이스부재(11)에 횡방향으로 이격 구비되어 횡방향으로 인접한 데크재(1)를 동시에 고정할 수도 있으며,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제1체결수단(20)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등을 사용하며, 데크재(1)가 목재인 경우에는 드라이월 스크류 병목나사를, 데크재(1)가 철판인 경우에는 냄비머리 와셔붙이 직결나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수단(20)은 제1베이스부재(11)의 양단부에 구비(도 3d 참조)되거나, 또는 양단부 중 한 곳에만 구비(도 2 참조)될 수 있다.
데크재(1)에 고정되는 제2고정구(30)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재(1)에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재(31)와, 상기 제2베이스부재(31)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암소켓(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암소켓(33)은 내측이 톱니형상인 한 쌍의 측벽(331)으로 구성되며, 암소켓(33)의 내측 상부면은 반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구(30)는 데크재(1)에 요홈 등을 설치함이 없이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데크재(1) 자체의 내구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데크재(1)를 피고정부(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제2고정구(30)가 데크재(1)의 상측이나 데크재(1)들의 사이에 최소한으로 노출되거나 전혀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이 우수하다.
또한, 제2고정구(30)는 제2베이스부재(31)의 일측 단부에 암소켓(33)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톱퍼(50)(도 5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톱퍼(50)는 데크재(1)의 측면을 지지하여 데크재(1)의 종방향 지지를 강화한다. 한편, 상기 스톱퍼(50)는 제2베이스부재(31)에서 암소켓(33)과 반대방향에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형성(도 5b 참조)할 수 있는데, 경사진 스톱퍼(50)를 형성하는 경우 데크재(1)의 모서리에는 스톱퍼(50)의 내측 경사면과 나란한 경사 절취부(55)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스톱퍼(50)는 데크재(1)의 절취부(55)와 밀착되어 데크재(1)의 종방향 지지를 강화하며, 스톱퍼(50)가 경사없이 돌출되는 경우에 비해 데크재(1)의 상측이나 데크재(1)들의 사이에 노출되지 않아 미관에 우수하다. 이때, 경사진 스톱퍼(50)의 내측 경사는 30 내지 60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도로 형성하며, 45도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2체결수단(40)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등을 사용하며, 데크재(1)가 목재인 경우에는 드라이월 스크류 병목나사를, 데크재(1)가 철판인 경우에는 냄비머리 와셔붙이 직결나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수단(40)은 제2베이스부재(31)의 양단부에 구비할 수 있지만, 제2베이스부재(31)의 일측 단부에 스톱퍼(50)가 형성되는 경우 타측 단부에만 구비되어도 충분하다.
상기 제1고정구(10)와 제2고정구(30)는 수소켓(13)의 한 쌍의 측벽(131)과 암소켓(33)의 한 쌍의 측벽(331)의 내측이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소켓(13)을 암소켓(33)에 삽입시 수소켓(13)과 암소켓(33)이 긴밀히 밀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톱니형상은 물결형상, 사각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수소켓(13)과 암소켓(33) 각각의 측벽(131, 331)의 상측 단부를 연결하는 반원형상 또한 다각형상으로 형성하는 등 수소켓(13)과 암소켓(33)이 긴밀히 밀착되어 결합되는 구성이면 그 어느 것도 가능하다. 이때, 톱니형상은 데크재(1)의 상측으로부터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그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도 하며, 제1고정구(10) 또는 제2고정구(30)는 신축성이 있어 데크재(1)가 온도나 습도에 따라 수축, 팽창하는 경우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데크재(1)의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고정구(10)의 제1베이스부재(11)에 암소켓(33)을, 제2고정구(30)의 제2베이스부재(31)에 수소켓(13)을 구비하여 제1고정구(10)와 제2고정구(30)를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구(10)와 제2고정구(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구(10)의 수소켓(13)의 형상을 제2고정구(30)의 암소켓(33)의 내부 형상과 달리할 수 있다. 즉, 수소켓(13)의 반원형상의 연결부(133)의 수평폭은 암소켓(33)의 내측의 반원형상의 수평폭보다 크게하고, 수소켓(13)의 반원형상의 연결부(133)의 수직폭은 암소켓(33)의 내측의 반원형상의 수직폭보다 작게 형성하여, 수소켓(13)이 암소켓(33)에 끼워진 후 수소켓(13)의 모양이 변해 수소켓(13)이 암소켓(33)에 견고히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즉, 수소켓(13)이 암소켓(33)에 끼워진 후 수소켓(13)의 수평폭은 줄어들고 수소켓(13)의 수직폭은 늘어나게되어, 수소켓(13)은 암소켓(33)을 하측으로 당기게 됨으로써, 결국 암소켓(33)은 수소켓(13)에 긴밀하게 결합되게 된다. 제1고정구(10)와 제2고정구(30)는 제작 오차 등으로 결합시 암소켓(33)의 하단부가 제1베이스부재(11)로부터 약간 이격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데크재(1) 상측의 보행자 등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여 보행이 어렵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하중의 재하와 제거가 반복적으로 발생시 데크재(1) 및 데크재 고정구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고정구(10)의 수소켓(13)의 형상을 제2고정구(30)의 암소켓(33)의 내부 형상과 달리함으로써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고정구(10)와 제2고정구(30)는 적절한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탄성을 가지는 철, 스테인리스강, 알류미늄, 플라스틱, 고무 등의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1고정구(10)로 플라스틱 등을 사용하고, 제2고정구(30)로는 알류미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방진 성능이 우수하다.
상기와 같이, 제1고정구(10)와 제2고정구(30)의 끼움 결합을 통해 데크재(1)를 피고정부(2)에 고정함으로써, 데크재(1)의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하고, 종래기술들과 달리 데크재(1)의 부분 파손시 파손된 부분만 보수공사가 가능하다. 또한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의 방진 성능으로 별도의 방진고무 설치가 불필요하며,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규격화된 데크재(1)를 별도의 작업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데크재(1)에 제2고정구(30)를 설치하기 위한 요홈 등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데크재(1) 자체의 내구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피고정부(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피고정부(2) 및 데크재(1)의 단부에 미리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를 체결한 후에 현장에서 이를 조립함으로써, 시공이 정밀하고 간편하며, 비용이 절감되고,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고정구(1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이스부재(11)에 암소켓(33) 단부의 종방향 벌어짐을 방지하는 제1돌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돌부(60)는 내측 하단이 암소켓(33)의 외측 하단과 접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내측면은 수소켓(13)의 측벽(131)의 톱니형상의 하측 경사면 즉, 측벽(13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톱니형상의 면과 나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는데, 이는 수소켓(13)과 암소켓(33)의 결합 또는 해체시 암소켓(33)의 하단부가 잘 끼워지거나 잘 빠지게 하기 위함이다. 이 제1돌부(60)는 수소켓(13)과 암소켓(33)이 결합된 후 데크재(1) 상측으로부터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암소켓(33)의 한 쌍의 측벽(331)의 하측 단부의 벌어짐이 방지되게 하여 큰 하중에 대해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수소켓(13)은 벌어짐이 방지되도록 수소켓(13)의 한 쌍의 측벽(131)의 톱니의 내측 돌출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80)(도 7a 참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80)는 유연성, 탄성 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여 인장은 억제하고, 압축은 수용하며, 이를 통해 수소켓(13)의 중간부의 벌어짐을 방지하는데, 통상 수소켓(13)과 동일한 재료의 얇은 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연결부재(80)는 데크재(1)의 상측으로부터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수소켓(13)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결국 고정구 자체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제1고정구(10)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이스부재(11)에 상기 암소켓(33)의 단부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제2돌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부(70)를 통해 암소켓(33)의 횡방향 유동이 방지되어 데크재(1)의 횡방향 유동이 방지된다. 제2돌부(7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소켓(33)의 한 쌍의 측벽(331)의 하측 단부가 위치하는 곳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따로따로 설치하거나 종방향으로 하나로 연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2돌부(70)의 내측면은 약간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소켓(13)과 암소켓(33)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2고정구(30)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베이스부재(31)에 상기 암소켓(33)의 한 쌍의 측벽(331)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는 헌치(90)를 형성할 수 있다. 데크재(1)의 상측으로부터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제1고정구(10)의 수소켓(13)과 제2고정구(30)의 암소켓(33)은 상하방향으로는 압축되어 벌어질 수 있는데, 헌치(90)를 암소켓(33)의 측벽(331)과 일정거리 이격하여 형성시 하중에 의해 벌어지는 암소켓(33)의 측벽(331)을 지지함으로써 암소켓(33)의 과도한 벌어짐이 방지되고, 따라서 하중 지지력이 증가된다. 상기 헌치(90)와 암소켓(33)의 측벽(331) 간의 이격거리는 암소켓(33)의 톱니의 내측 돌출부 높이보다 작고, 암소켓(33)의 톱니의 내측 돌출부 높이에서 수소켓(13)의 톱니의 내측의 최소 간격의 1/4을 뺀 것보다는 크도록 형성한다. 이 이격거리는 암소켓(33)과 수소켓(13)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가장 넓은 이격거리는 수소켓(13)에 아무런 변형 없이 암소켓(33)만으로 변형되어 결합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고, 가장 좁은 이격거리는 수소켓(13)과 함께 암소켓(33)이 함께 변경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즉, 가장 좁은 이격거리보다 더 좁게 이격시키는 경우 암소켓(33)과 수소켓(13)의 결합이 용이하지 아니하고, 가장 넓은 이격거리보다 더 넓은 경우에는 암소켓(33)의 변경을 억제하고자 하는 목적 달성이 불리하게 된다. 물론 상기 이격거리보다 더 넓거나 더 좁더라도 암소켓(33)과 수소켓(13)의 재질이 탄성변형을 수용하는 재질이므로 어느 정도까지는 특별한 문제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데크재
2 : 피고정부
10 : 제1고정구
11 : 제1베이스부재
13 : 수소켓
131 : 측벽
133 : 연결부
20 : 제1체결수단
30 : 제2고정구
31 : 제2베이스부재
33 : 암소켓
331 : 측벽
40 : 제2체결수단
50 : 스톱퍼
55 : 절취부
60 : 제1돌부
70 : 제2돌부
80 : 연결부재
90 : 헌치

Claims (12)

  1. 데크재를 피고정부에 고정하는 데크재 고정구로서,
    상기 피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구와;
    상기 제1고정구를 상기 피고정부에 체결하는 제1체결수단과;
    상기 데크재에 고정되는 제2고정구와;
    상기 제2고정구를 상기 데크재에 체결하는 제2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구는 상기 피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베이스부재와, 상기 제1베이스부재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수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구는 상기 데크재에 고정되는 제2베이스부재와, 상기 제2베이스부재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암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수소켓은 상기 암소켓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수소켓은 톱니형상인 한 쌍의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단부를 연결하는 반원형상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소켓은 내측이 반원형상과 톱니형상인 한 쌍의 측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소켓은 상기 암소켓에 삽입되어 긴밀히 밀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수소켓이 상기 암소켓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상기 수소켓과 암소켓은 탄성변형 되는 것이고,
    상기 수소켓의 반원형상의 연결부의 수평폭은 상기 암소켓의 내측의 반원형상의 수평폭보다 크고, 상기 수소켓의 반원형상의 연결부의 수직폭은 상기 암소켓의 내측의 반원형상의 수직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수소켓은 상기 암소켓에 끼워진 후 그 수평폭은 줄어들고 수직폭은 늘어나서 상기 수소켓이 상기 암소켓에 견고히 결합되는 것인 데크재 고정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재에 상기 암소켓의 단부의 종방향 벌어짐을 방지하는 제1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데크재 상측으로부터의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암소켓의 한 쌍의 측벽의 단부의 벌어짐이 방지되는 것인 데크재 고정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돌부는 내측 하단이 상기 암소켓의 외측 하단과 접하고, 상기 제1돌부의 내측면은 상기 수소켓의 측벽의 톱니형상의 하측 경사면과 나란한 것인 데크재 고정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부재의 일측 단부에 상기 암소켓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데크재의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데크재의 종방향 지지를 강화하는 것인 데크재 고정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제2베이스부재에서 상기 암소켓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상기 스톱퍼의 내측 경사는 30 내지 60도이며,
    상기 데크재의 모서리는 경사 절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절취부와 밀착되어 상기 데크재의 종방향 지지를 강화하는 것인 데크재 고정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구는 상기 수소켓이 상기 제1베이스부재에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인접한 데크재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인 데크재 고정구.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재에 상기 암소켓의 단부의 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제2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데크재의 횡방향 유동이 방지되는 것인 데크재 고정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부재에 상기 암소켓의 한 쌍의 측벽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는 헌치를 포함하고,
    상기 헌치는 상기 암소켓의 측벽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인 데크재 고정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헌치와 상기 암소켓의 측벽의 이격거리는 상기 암소켓의 톱니의 내측 돌출부 높이보다 작고, 상기 암소켓의 톱니의 내측 돌출부 높이에서 상기 수소켓의 톱니의 내측의 최소 간격의 1/4을 뺀 것보다는 큰 것인 데크재 고정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소켓은 상기 한 쌍의 측벽의 톱니의 내측 돌출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데크재 고정구.
KR1020150108462A 2015-07-31 2015-07-31 데크재 고정구 KR101768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462A KR101768499B1 (ko) 2015-07-31 2015-07-31 데크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462A KR101768499B1 (ko) 2015-07-31 2015-07-31 데크재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692A KR20170014692A (ko) 2017-02-08
KR101768499B1 true KR101768499B1 (ko) 2017-08-16

Family

ID=5815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462A KR101768499B1 (ko) 2015-07-31 2015-07-31 데크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4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145Y1 (ko) * 2000-08-09 2001-01-15 신용운 배선 보호용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235B1 (ko) 2011-10-26 2012-04-20 최광철 역 t자형 체결구조를 갖는 합성목재 데크
KR101230336B1 (ko) 2012-10-18 2013-02-06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 시스템의 데크 상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145Y1 (ko) * 2000-08-09 2001-01-15 신용운 배선 보호용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692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2618B (zh) 封板固定装置
KR101480343B1 (ko) 바닥 프로파일 장치
KR101474512B1 (ko) 걸쇠와 클립바를 이용한 천장 패널 고정 구조
KR101768499B1 (ko) 데크재 고정구
JP3773822B2 (ja) 縦葺屋根材の接続構造
KR100918569B1 (ko) 단층수직프레임을 구비한 장비수납용 랙 캐비넷
KR102098198B1 (ko) 프로파일용 너트
KR101822572B1 (ko) 방호벽 커버
KR200364761Y1 (ko)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200481217Y1 (ko)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패널
KR20170002780U (ko) 사각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KR200436867Y1 (ko) 코너 조인트
JP4997028B2 (ja) 改修用屋根板取付け金具
JP2006193974A (ja) デッキ材の固定構造及びデッキ材固定具
KR20180080513A (ko) 데크 플레이트 연결구
JP6230555B2 (ja) 他物固定具
KR200428422Y1 (ko) 복합목 바닥재
JP2908727B2 (ja)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KR100683425B1 (ko)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관 이음장치
JP2005282170A (ja) 床材の固定構造
KR20110070379A (ko) 납골함 안치 유니트
WO2023007580A1 (ja) 多角形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449911Y1 (ko) 이중 바닥판의 조이너
JP7339665B2 (ja) 多角形パネルの取付構造
WO2009145367A1 (en) Deck fastener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deck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