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398B1 -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 - Google Patents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398B1
KR101768398B1 KR1020160165060A KR20160165060A KR101768398B1 KR 101768398 B1 KR101768398 B1 KR 101768398B1 KR 1020160165060 A KR1020160165060 A KR 1020160165060A KR 20160165060 A KR20160165060 A KR 20160165060A KR 101768398 B1 KR101768398 B1 KR 101768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bucket part
blower
open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호
크리스틴 지. 드레리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크리스틴 지. 드레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크리스틴 지. 드레리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5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3/04241
    • B01F15/02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1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fans or turbines
    • B01F7/0034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액체를 수용한 저장조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속이 비어 있는 중공관 형상의 수직관;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의 부상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각회전가능하도록 수직관의 하부 외주면 둘레에 힌지결합된 하부가 개방된 버킷부;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버킷부의 개방부로 안내하도록, 송풍기로부터 수직관의 속이 비어 있는 내부를 지나 버킷부 아래까지 길이연장되어 있는 안내관; 및 버킷부와 접촉되지 않게 수직관의 상부 외주면 둘레를 회전하는 프로펠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 {Accumulator for generating large bubble}
본 발명은 액체 내에서 대형 기포를 발생시키는 어큐물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탱크(저장조) 또는 다양한 유형의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된 액체는 가스상 기체를 매개로 하여 다른 첨가물과의 혼합(mixing) 및/또는 블랜딩(blending)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기초로 하여, 특허문헌 1은 컨테이너 내에서 기포를 수단으로 하여 액체를 혼합 및/또는 블랜딩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안하고 있는데, 컨테이너 하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수단과 함께 기포에 수반되어 상승하는 액체를 고리형상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플레이트를 구비해야 한다. 특허문헌 1의 어큐물레이터는 압축공기의 공급을 위해 고출력/대형 모터를 요구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전반적으로 어큐물레이터의 효율성을 저감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 이외에도, 종래에는 믹서(mixer) 등의 기계식 혼합을 통해 액체의 혼합을 유도할 수 있었지만, 회전 부재의 회전을 돕는 구동수단과 전기 배선 등의 정기적인 점검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미국 등록특허 제US 4,595,296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액체를 수용하고 있는 저장조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대형 기포를 발생시켜 저장조 내에 액체의 혼합과 호기성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국부적 정체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는,
기체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액체를 수용한 저장조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속이 비어 있는 중공관 형상의 수직관;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의 부상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각회전가능하도록 수직관의 하부 외주면 둘레에 힌지결합된 하부가 개방된 버킷부;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버킷부의 개방부로 안내하도록, 송풍기로부터 수직관의 속이 비어 있는 내부를 지나 버킷부 아래까지 길이연장되어 있는 안내관; 및
버킷부와 접촉되지 않게 수직관의 상부 외주면 둘레를 회전하는 프로펠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서, 버킷부는 안내관으로 공급되는 기체의 효과적인 포집을 보장할 수 있도록 안내관의 토출구 위에 개방부를 배치하는 한편 버킷부 내부에 저장된 기체로 인한 부력을 통해 버킷부의 상향 변위를 가능하도록 수직관의 외주면과 대향되게 수직측면을 배치하는데, 여기서 수직측면의 상부가 수직관 힌지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힌지부 아래의 수직관 외주면에 스토퍼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프로펠러는 베어링을 통해 수직관의 외주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버킷부의 변위에 종속되어 개방부의 일 단부를 개폐하는 개구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는 개방부의 일 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패널과; 이 패널과 저장조의 바닥면 사이에 길이연장된 스트랩; 및 버킷부의 내주면과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패널의 원위치 복귀를 조절하는 인장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는,
기체를 공급하는 송풍기와;
액체를 수용한 저장조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속이 비어 있는 중공관 형상의 수직관;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의 부상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각회전가능하도록 수직관의 하부 외주면 둘레에 힌지결합된 하부가 개방된 버킷부;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버킷부의 개방부로 안내하도록, 송풍기로부터 수직관의 속이 비어 있는 내부를 지나 버킷부 아래까지 길이연장되어 있는 안내관; 및
버킷부의 변위에 종속되어 개방부의 일 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버킷부의 하부 개방부에 구비된 개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개방부의 일 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패널과; 이 패널과 저장조의 바닥면 사이에 길이연장된 스트랩; 및 버킷부의 내주면과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패널의 원위치 복귀를 조절하는 인장스프링;을 갖춘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서, 버킷부는 안내관으로 공급되는 기체의 효과적인 포집을 보장할 수 있도록 안내관의 토출구 위에 개방부를 배치하는 한편 버킷부 내부에 저장된 기체로 인한 부력을 통해 버킷부의 상향 변위를 가능하도록 수직관의 외주면과 대향되게 수직측면을 배치하는데, 여기서 수직측면의 상부가 수직관 힌지부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힌지부 아래의 수직관 외주면에 스토퍼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버킷부와 접촉되지 않게 수직관의 상부 외주면 둘레를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펠러는 베어링을 통해 수직관의 외주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연속적,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기체를 수단으로 하여 대형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어큐물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압축공기의 공급을 위한 대형 모터와 같은 비효율적 구동수단 없이도 송풍기로 안내된 외부 기체에 위한 버킷부의 변위 이동을 통해 대형 기포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상하는 기포와 이 기포에 수반되어 상승하는 액체의 유동을 통해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더욱 효과적인 액체의 혼합을 유도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하였듯이, 본 발명은 공급되는 기체의 부력을 통해 버킷부와 프로펠러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교체 및 수리에 따른 비용절감과 작업공수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큐물레이터의 버킷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어큐물레이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1)는 주기적으로 혹은 연속적으로 저장조의 바닥면(B;도 4 참조)에 인접하게 대형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되, 저장조의 하부에서 상부로 부상하는 대형 기포를 통해 저장조 내에 수용된 액체를 수직 방향으로 순환하는 유동 패턴 뿐만 아니라 와류와 같은 유동 패턴을 조성하여 액체의 혼합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액체의 혼합은 저장조 내에 수용된 액체의 국부적 정체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큐물레이터(1)는 저장조(미도시) 내의 액체 속으로 대형 기포를 형성하는 기체, 예컨대 공기 등을 주기적으로 혹은 비주기적으로 공급시켜 액체 내에 산소를 증가시키는 포기(曝氣)를 통해 저장수의 정화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큐물레이터(1)는 송풍기(100)와, 저장조의 바닥면과 인접하게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있는 수직관(200), 송풍기(100)로 공급되는 기체를 저장조의 액체로 안내하는 안내관(300), 수직관(200)의 외주연에 상하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안내관(300)의 토출구(310) 상에 배치되는 버킷부(400), 및 수직관(2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프로펠러(500)로 이루어진다.
수직관(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비어 있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저장조의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입설되어 있다. 특히, 수직관(200)은 이의 외주면 하부에 기체의 부상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각회전하는 버킷부(400)와 함께 버킷부(400) 보다 높은 위치에서 수직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회전하는 프로펠러(500)를 구비한다. 여기서, 프로펠러(500)는 버킷부(400)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하방향으로 각회전하는 버킷부(400)의 상사점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안내관(300)은 송풍기(100)로부터 수직관(200) 내부를 지나 저장조 내의 액체를 향해 길이연장되되, 안내관(300)의 자유단은 송풍기(100)를 통해 강제로 공급되는 공기를 액체에 분사하는 토출구(310)로서, 버킷부(400) 아래에 배치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310)는 하부가 개방된 버킷부(400)의 내부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버킷부 내부로 기체의 유입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관(200) 내부에 안내관(300)을 배치하는 이중 배관 구조를 갖추고 있어, 프로펠러(500)의 회전 및/또는 버킷부(400)의 각회전에 의한 진동이 안내관(300)에 전달되지 않아 어큐물레이터(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부(400)는 하부에 개방부(410)를 배치한 삼각기둥 형상, 구체적으로 직각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직측면(420)을 수직관(200)의 외주면과 대향되게 배치하고 한편 수직측면(420)의 상부를 수직관(200)의 힌지부(220)와 결합시켜 버킷부(400)를 힌지부(220)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배치한다. 또한, 버킷부(400)의 하사점은 수직관(200)과 개방부(410)를 직교되는 위치에 놓여질 수 있도록 수직관(200)의 외주면에 구비된 스토퍼(230)로 제한될 수 있다. 버킷부(400)의 개방부(410)가 수직관(20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함으로써, 버킷부(400) 내부로 공급되는 기체를 통해 버킷부 내부에 채워져 있던 액체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스토퍼(230)는 힌지부(220) 아래에 배치하는데, 힌지부(220)와 스토퍼(230) 간의 이격거리는 버킷부(400)의 수직측면(42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아야 할 것이다. 스토퍼(23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버킷부(400)의 하사점을 제한하는 한편 버킷부(400)의 수직측면 하부와 수직관(20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배제하는 완충재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직관(200) 외주면에 프로펠러(500)를 회전가능하게 배치하는데, 프로펠러(500)은 버킷부(400)에서 발생되는 대형 기포(A)의 부상으로 야기되는 액체의 유동 또는 와류 현상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은 프로펠러(500)와 수직관(200)의 외주면 사이에 베어링(250)을 배치하여 프로펠러(500)의 회전기능을 돕는다. 프로펠러(500)는 전술되었듯이 대형 기포(A)와의 접촉 혹은 대형 기포(A)로 야기되는 액체의 유동 혹은 와류를 매개로 하여 회전하게 되는바, 프로펠러(500)의 회전으로 액체의 혼합 혹은 교반 작용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기포(A)를 더욱 넓은 범위로 분산 및/또는 확산시켜 예컨대 용존산소 혹은 기체 내의 결합산소와의 접촉을 통한 포기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기체 공급에 종속된 버킷부(400)의 상하 변위이동에 위한 어큐물레이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a는 버킷부(400)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버킷부(400)의 개방부(410;도 2 참조)를 통해 안내관(300)으로 공급된 기체를 버킷부(400)의 내부공간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버킷부(400)를 하사점에 위치되도록 한다. 버킷부(400)는 기체의 공급를 수단으로 하여 버킷부 내부공간에 충전되어 있던 액체를 저장조로 강제로 밀어내면서 버킷부 내부공간을 기체로 충전하게 된다.
도 4b는 버킷부(400)의 상승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안내관(300)을 통해 공급된 기체가 버킷부(400)의 내부공간을 채울수록 그 내부공간에 존재하고 있던 액체를 저장조로 밀어내고 부력 작용으로 버킷부(400)를 상사점으로 향해 상방으로 변위시키게 된다. 버킷부(400)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사점에 근접하게 되면 버킷부(400) 내부에 포집된 기체가 저장조에 수용된 액체에 대형 기포(A)를 방출하게 된다.
대형 기포(A)는 저장조의 수면 상으로 부상하면서 저장조 내에 수용된 액체의 혼합 및/또는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펠러(500)은 부상하는 대형 기포(A)를 회전 추진력으로 사용하여 강제로 회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대형 기포를 생성하기 위해 종래에 사용하던 콤프레서(compressor)보다 에너지 효율이 좋은 송풍기(100)의 구동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체의 부력 원리를 이용한 단순한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부(400) 내에서 대형 기체를 방출한 이후에 버킷부(400)의 자체 무게를 통해 하사점으로 하강하게 된다(도 4a). 버킷부(400)는 기체의 포집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버킷부(400)에 중량체(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중량체는 상사점까지 상방으로 각이동한 버킷부(400)를 신속하게 하사점으로 하강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해된 어큐물레이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어큐물레이터의 변형예로서, 개구부를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배제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큐물레이터(1)는 삼각기둥 형상, 구체적으로 직각삼각기둥 형상의 버킷부(400)의 개방부 일부에 개폐가능한 개구부(600)를 구비하고 있다. 즉, 개구부(600)는 버킷부(400)의 변위에 종속되어 개방부(410)의 일 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버킷부의 하부 개방부에 배치되는바, 기체의 방출 통로로 사용될 개방부(410)의 일 단부를 소정의 높이로 상승할 때까지 폐쇄하고 있어 버킷부 내부에 포집될 기체의 체류공간을 확장하는 한편 개구부의 일 단부를 순간적으로 개방시켜 더욱 큰 대형 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개구부(600)는 버킷부(400)의 수직측면(420)과 대향되는 개방부(410)의 일 단부를 개폐하는 패널(610;panel)과, 패널(610)에서 저장조의 바닥면(B;도 6 참조)으로 길이연장되어 있는 스트랩(620;strap), 및 패널(610)과 버킷부(400)의 일 단부 사이에 개재된 인장스프링(630)을 구비한다.
패널(6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개방된 버킷부(400)의 개방부(410)의 일 단부에 배치되되, 패널(610)의 타 단부는 버킷부(400)의 양 측면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패널(610)의 일 단부는 패널(610)의 타 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개방부(410)의 일 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620)은 패널(610)에서 저장조의 바닥면(B)까지 길리연장되되, 버킷부(400)의 승하강 변위에 따라 패널(61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인장스프링(630)은 버킷부(400)의 개방부(410) 일 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패널(610)의 폐쇄 위치로 정렬될 수 있도록 돕는다. 스트랩(620)을 통한 장력이 해제되면, 버킷부(400)는 인장스프링(630)의 복원력을 통해 패널(610)을 개방부(410)의 일 단부를 향해 강제로 복귀시켜 최초 원위치인 개방부(410)의 일 단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도 6은 기체 공급에 종속된 버킷부(400)의 상하 변위이동에 위한 어큐물레이터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a는 버킷부(400)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버킷부(400)의 개방부를 통해 안내관(300)으로 공급된 기체를 버킷부(400)의 내부공간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버킷부(400)를 하사점에 위치되도록 한다. 낮은 위치로 버킷부(400)를 위치하고 있어, 스트랩(620)은 느슨하게 늘어뜨려져 있어 패널(610)에 별도의 장력을 제공하지 않고 있어 패널(610)은 폐쇄위치로 정렬된다.
도 6b는 버킷부(400)의 상승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안내관(300)을 통해 공급된 기체가 버킷부(400)의 내부공간을 채울수록 그 내부공간에 존재하고 있던 액체를 저장조로 밀어내고 부력작용으로 버킷부(400)를 상사점으로 향해 상방으로 변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방으로 변위하는 버킷부(400) 높이 상승에 맞춰, 스트랩(520)은 잡아당겨져 패널(610)에 장력을 가해 패널(610)을 개방부(410)의 일 단부에서 벌어지는데 그 틈새를 통해 버킷부(400) 내부에 포집된 기체가 저장조로 대형 기포(A) 형태로 방출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620)은 저장조의 바닥면(B)에 고정되어 있어 앵커(anchor)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큐물레이터, 특히 수직관의 위치고정을 돕는다. 즉, 스트랩(620)은 예상치 못한 저장조 내에 수용된 액체의 흐름에 수직관(200)의 유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부(400) 내에서 기체를 방출한 이후에 버킷부(400) 및/또는 중량체(미도시)의 무게를 통해 하사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버킷부(400)는 기체의 포집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하강 이동시, 스트랩(620)의 장력이 완화되면서, 패널(610)은 인장스프링(530)의 복원력을 통해 개방부(410)와 면접되어 개방부의 일 단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어큐물레이터,
100 ----- 송풍기,
200 ----- 수직관,
300 ----- 안내관,
400 ----- 버킷부,
500 ----- 프로펠러,
600 ----- 개구부,
A ----- 기포,
B ----- 저장조의 바닥면.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기체를 공급하는 송풍기(100)와;
    액체를 수용한 저장조의 바닥면(B)에 인접하게 수직방향으로 입설된 속이 비어 있는 중공관 형상의 수직관(200);
    상기 송풍기(100)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의 부상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각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수직관(200)의 하부 외주면 둘레에 힌지결합된 하부가 개방된 버킷부(400);
    상기 송풍기(100)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상기 버킷부(400)의 개방부(410)로 안내하도록, 상기 송풍기(100)로부터 상기 수직관(200)의 속이 비어 있는 내부를 지나 상기 버킷부(400) 아래까지 길이연장되어 있는 안내관(300); 및
    상기 버킷부(400)의 변위에 종속되어 상기 개방부(410)의 일 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버킷부(400)의 하부 개방부에 구비된 개구부(60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600)는,
    상기 개방부(410)의 일 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패널(610)과;
    상기 패널(610)과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B) 사이에 길이연장된 스트랩(620); 및
    상기 버킷부(400)의 내주면과 상기 패널(61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610)의 복귀를 조절하는 인장스프링(630);을 구비하는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버킷부(400)는 상기 안내관(300)의 토출구 위에 상기 개방부(410)를 배치하고 상기 수직관(200)의 외주면과 대향되게 수직측면(420)을 배치하는데,
    상기 수직측면(420)의 상부가 상기 수직관(200)의 힌지부(22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200)는 상기 힌지부(220) 아래에 배치된 스토퍼(230)를 추가로 구비하는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버킷부(400)와 접촉되지 않게 상기 수직관(200)의 상부 외주면 둘레를 회전하는 프로펠러(500)를 추가로 구비하는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500)는 베어링(250)을 통해 상기 수직관(20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
KR1020160165060A 2016-12-06 2016-12-06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 KR101768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060A KR101768398B1 (ko) 2016-12-06 2016-12-06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060A KR101768398B1 (ko) 2016-12-06 2016-12-06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8398B1 true KR101768398B1 (ko) 2017-08-30

Family

ID=5976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060A KR101768398B1 (ko) 2016-12-06 2016-12-06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3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289A (ko) * 2020-01-07 2021-07-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질 재료에 기체주입부를 갖는 미세버블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KR102400072B1 (ko) * 2021-06-01 2022-05-19 (주)에이치앤텍 기포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폐수 정화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6430A1 (en) * 2012-07-16 2014-01-16 Kristinn G. Drewry Mixing bubble generator and installation configuration
KR101535562B1 (ko) * 2014-12-09 2015-07-09 이텍산업 주식회사 염수 제조시간을 단축한 염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6430A1 (en) * 2012-07-16 2014-01-16 Kristinn G. Drewry Mixing bubble generator and installation configuration
KR101535562B1 (ko) * 2014-12-09 2015-07-09 이텍산업 주식회사 염수 제조시간을 단축한 염수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289A (ko) * 2020-01-07 2021-07-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질 재료에 기체주입부를 갖는 미세버블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KR102353296B1 (ko) 2020-01-07 2022-01-2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질 재료에 기체주입부를 갖는 미세버블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KR102400072B1 (ko) * 2021-06-01 2022-05-19 (주)에이치앤텍 기포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폐수 정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6357A (en) Submarine-type liquid mixer
US5399013A (en) Mixing device
KR101768398B1 (ko) 대형 기포를 발생하는 어큐물레이터
US7083324B2 (en) Integrated fixed film activated sludge system using gravity assisted mixing
US7644910B2 (en) Method of generating micro gas bubble in liquid and gas bubble generation apparatus
US9388062B2 (en) Ozone liquid generator and method of generating ozone liquid
US5043104A (en) Apparatus for gas absorption in a liquid
KR102043769B1 (ko) 교반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토출 장치 및 토출 방법
KR101156756B1 (ko) 액체 폭기 시스템
CN205055884U (zh) 一种气流搅拌装置
CN107774181A (zh) 带有叶片的液体搅拌器
JPWO2016181947A1 (ja) 撹拌装置
US20140348720A1 (en) Gas-liquid circulating type of hydrate reactor
US9073024B2 (en) Mixing bubble generator and installation configuration
JP4195782B2 (ja) 攪拌装置および融雪装置
US5762418A (en) Submarine-type liquid mixer
CN113697973B (zh) 一种多功能微纳米曝气设备
EP1183093A4 (en) PAIRS OF DOUBLE UNDERWATER LIQUID LIQUID MIXERS
CN114467833B (zh) 一种水产品运输用物流箱
JP2004351377A (ja) 有機汚泥の浄化剤拡散装置
CN210332437U (zh) 一种立式混合机
CN105170011B (zh) 一种油漆搅拌釜
JP5774848B2 (ja) 水質改良装置及び水質改良方法
JP4612024B2 (ja) 回転表示装置
WO1997004859A1 (en) Submarine-type liquid mix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