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766B1 -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766B1
KR101767766B1 KR1020150183713A KR20150183713A KR101767766B1 KR 101767766 B1 KR101767766 B1 KR 101767766B1 KR 1020150183713 A KR1020150183713 A KR 1020150183713A KR 20150183713 A KR20150183713 A KR 20150183713A KR 101767766 B1 KR101767766 B1 KR 101767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temperature heat
exhaust gas
flue
hig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440A (ko
Inventor
김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7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4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4Systems for reclaiming waste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4Systems for reclaiming waste heat
    • F27D2017/007Systems for reclaiming waste heat including re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배가스량을 조절하여 저온부 열교환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로의 배가스 배출 연도의 내부에 배치되어 중앙부 유로와 양측부 유로로 분할하는 유로 분할판과, 상기 유로 분할판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연도의 내부면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고온부 열교환기와,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는 저온부 열교환기, 그리고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의 입구 쪽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배가스량을 조절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배가스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 고온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배가스량을 조절하여 열교환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APPARATUS FOR RECOVERING WASTE HEAT IN A REHEATING FURNACE}
본 발명은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배가스량을 조절하여 저온부 열교환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로에서 소재를 가열하는 경우, 연료를 연소시키는 버너를 통해 발생된 배가스는 가열로 내에서 소재를 가열한 이후 가열로 밖으로 방출되게 되며, 방출되는 배가스의 열량은 가열로의 손실 열량 중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배가스 열량의 감소화 혹은 배가스 열량 중 일부를 회수하게 된다면 전체적인 열효율 향상을 얻을 수 있으므로, 통상 배가스의 열 회수를 위한 배열 회수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열로의 배가스(G)가 배출되는 연도(10)에 설치되는 고온부 열교환기(20)와 저온부 열교환기(30)는 해당 가열로에 요구되는 연소용 공기량을 근거로 최대한도의 배가스 배출용량 및 적정 노압을 유지하기 위해 열교환 면적과 열교환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열 파이프(미도시) 형태를 결정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서 각 영역에서의 배가스 온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서 각 영역에서의 배가스 온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열로에서 배출되어 연도를 유동하는 배가스(a)는 유량이 80,000m3/Hr이고, 온도는 910℃이다.
열교환기의 경우 통상적으로 금속재를 사용하고 있어 고온의 배가스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배가스 온도를 통상 800~830℃ 정도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연도에 9,000m3/Hr의 희석 공기를 투입하여 고온부 열교환기(20)로 유입되기 전의 배가스(b)의 온도를 830℃까지 낮춘다. 이렇게 고온부 열교환기(20)를 통과한 배가스(c)의 온도가 649℃이고, 저온부 열교환기(30)를 통과한 배가스(d)의 온도는 371℃가 된다.
하지만,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20)를 통과한 배가스의 온도가 649℃에 해당하여 630℃인 연소용 공기보다 높아 열교환기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어, 이를 낮출 필요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 3을 참조하면, 고온부 열교환기(20)로 배가스가 유입 되기 전에 유량이 97,000m3/Hr이고 온도가 630℃인 연소용 공기를 투입하였다. 이 같은 경우,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20)를 통과한 배가스(c)의 온도를 602℃까지 낮출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20)를 통과한 배가스의 온도를 낮추기는 했지만, 저온부 열교환기(30)를 통과한 배가스(d)의 온도가 251℃로 너무 낮아지게 되어 제철 부생가스 연소시 발생되는 SO2 성분에 의한 저온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과다 투입된 연소용 공기는 별도 사용 없이 스택으로 방출시키게 되어 추가적인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배가스의 온도 및 배가스량을 조절하여 열교환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는, 가열로의 배가스 배출 연도의 내부에 배치되어 중앙부 유로와 양측부 유로로 분할하는 유로 분할판; 상기 유로 분할판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연도의 내부면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고온부 열교환기;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는 저온부 열교환기; 및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의 입구 쪽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배가스량을 조절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는, 일측단이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의 입구 쪽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의 타측단은 상기 유로 분할판 또는 상기 연도의 내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배가스의 온도와 양에 따라, 타측단이 상기 연도의 내부면에 접촉하도록 회전하여 상기 중앙부 유로와 양측부 유로 모두를 통과하는 배가스가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를 통과하게 하거나, 타측단이 상기 유로 분할판에 접촉하도록 회전하여 상기 중앙부 유로를 통과하는 배가스만이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를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도의 내부면과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 사이의 공간에 제공되고, 상기 개폐부가 회전하여 타측단이 상기 유로 분할판에 접촉하면 상기 양측부 유로와 연통되는 배가스 우회유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가스 우회유로를 통과한 배가스는 저온부 열교환기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가스 우회유로를 통과한 배가스가 상기 저온부 열교환기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저온부 열교환기 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로 분할판의 상류에 배치되고, 유동하는 배가스의 배열을 회수하는 배열 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열 회수부의 열 회수 매체로 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중앙부 유로와 상기 양측부 유로의 단면적이 6:4 내지 8:2의 비율로 형성되게 상기 유로 분할판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 따르면, 배가스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 고온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배가스량을 조절하여 열교환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배가스 우회유로를 구비하여 저온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배가스의 온도가 과도하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저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기 상류에 배열 회수부를 배치하여 고온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배가스의 온도를 필요 온도로 낮출 수 있어 희석 공기의 추가 또는 연소용 공기의 과다 투입을 방지할 수 있어 추가적인 에너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열로의 폐열 회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서 각 영역에서의 배가스 온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서 각 영역에서의 배가스 온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의 배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서 고온 열교환기로 모든 배가스가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서 중앙부 유로를 통과한 배가스만 고온 열교환기로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서 배열 회수부가 더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서 각 영역에서의 배가스 온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의 배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100)는 가열로의 배가스(G)가 배출되는 연도(10)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배가스(G)의 열량을 회수하여 열량 손실을 줄이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열로(미도시)는 소재를 가열하기 위해 내부의 공기, 즉 분위기를 가열하는 버너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버너가 내부 분위기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많은 열량을 소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재의 가열을 위해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는 소재를 가열한 후 배가스(G)로 배출된다.
상기 가열로에는 이러한 배가스(G)를 배출하기 위한 연도(10)가 연결되며, 연도(10)를 통해 배가스(G)를 배출함에 따라 가열로의 내부 압력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도(10)는 스택(40)과 연결되며, 이 스택(40)을 통해 가열로로부터 배출된 배가스(G)가 대기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되는 배가스(G)는 고온 상태로 배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도(10)의 일측에는 배가스의 열량을 회수하기 위한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100)가 설치되게 된다.
도 5는 상기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서 고온 열교환기로 모든 배가스가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서 중앙부 유로를 통과한 배가스만 고온 열교환기로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서 배열 회수부가 더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100)는 가열로의 배가스가 배출되는 연도(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중앙부 유로(111)와 양측부 유로(112)로 분할하는 유로 분할판(110)과, 상기 유로 분할판(110)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연도(10)의 내부면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고온부 열교환기(120)와,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의 하류에 배치되는 저온부 열교환기(130), 그리고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의 입구 쪽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로 유입되는 배가스량을 조절하는 개폐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도(10)의 내부면과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 사이의 공간에 제공되고, 상기 개폐부(140)가 회전하여 타측단이 상기 유로 분할판(110)에 접촉하면 상기 양측부 유로(112)와 연통되어 상기 저온부 열교환기(130)로 배가스(G)를 안내하는 배가스 우회유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 분할판(110)은 상기 연도(10) 내를 유동하는 배가스(G)의 유량 100% 중 60~80%가 상기 중앙부 유로(111)를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부 유로(111)와 상기 양측부 유로(112)의 단면적이 6:4 내지 8:2의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중앙부 유로(111)를 유동하는 배가스의 유량이 60% 미만이 되면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배가스의 유량이 적어 열효율이 낮아질 수 있고, 상기 중앙부 유로(111)를 유동하는 배가스의 유량이 80%를 초과하면 고온에 의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40)는 일측단이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의 입구 쪽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타측단이 상기 유로 분할판(110) 또는 상기 연도(10)의 내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로 유입되는 배가스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140)의 타측단이 상기 연도(10)의 내부면에 접촉되도록 회전하면 상기 중앙부 유로(111)와 상기 양측부 유로(112) 모두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와 연통되어 모든 배가스(G)가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개폐부(140)에 의하여 상기 배가스 우회유로(150)는 폐쇄된다.
즉,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로 유입되는 배가스(G)의 온도가 낮고 양이 적은 경우 상기 개폐부(140)의 타측단이 상기 연도(10)의 내부면에 접촉하도록 회전시켜 상기 중앙부 유로(111)와 양측부 유로(112)를 통과하는 배가스(G) 모두를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140)의 타측단이 상기 유로 분할판(110)에 접촉되도록 회전하면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는 상기 중앙부 유로(111)와 연통되어 상기 중앙부 유로(111)를 통과한 배가스만이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양측부 유로(112)를 통과한 배가스(G)는 상기 배가스 우회유로(150)를 통과하여 상기 저온부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즉,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로 유입되는 배가스(G)의 온도가 높고 양이 많은 경우 상기 개폐부(140)의 타측단이 상기 유로 분할판(110)에 접촉하도록 회전시켜 상기 중앙부 유로(111)를 통과하는 배가스(G)만이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양측부 유로(112)를 통과한 배가스(G)는 상기 배가스 우회유로(150)를 통과하여 상기 저온부 열교환기(130) 측으로 바로 유입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로 유입되는 배가스(G)의 유량을 감소시켜 고온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양측부 유로(112)를 통과한 배가스(G)가 상기 배가스 우회유로(150)를 통하여 바로 상기 저온부 열교환기(130)로 유입되어 배가스(G)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저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가스 우회유로(150)를 통과한 배가스(G)가 상기 저온부 열교환기(130)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도(1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저온부 열교환기(130) 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60)가 상기 배가스 우회유로(150)와 상기 저온부 열교환기(1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저온부 열교환기(130) 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연도(1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가스 우회유로(150)를 통과한 배가스가 상기 저온부 열교환기(130) 측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로 유입되는 배가스(G)의 온도가 830℃를 초과하는 경우, 배가스(G)의 온도를 800~830℃로 낮추기 위하여 배열 회수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열 회수부(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 분할판(110)의 상류에 배치되고, 유동하는 배가스(G)의 배열을 회수하여 상기 배가스(G)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배열 회수부(170)의 열 회수 매체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열 회수 매체가 물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다양한 열 회수 매체가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에서 각 영역에서의 배가스 온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열로에서 배출되어 연도를 유동하는 배가스(A)는 유량이 80,000m3/Hr이고, 온도는 910℃이다.
열교환기의 경우 통상적으로 금속재를 사용하고 있어 고온의 배가스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배가스 온도를 통상 800~830℃ 정도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초기에 배가스를 배열 회수부(170)로 통과시켜 상기 배열 회수부(170)를 통과한 배가스(B) 온도를 850℃로 1차적으로 낮추고, 연도(10)에 1,750m3/Hr의 희석 공기를 투입하여 고온부 열교환기(120)로 유입되기 전의 배가스(C)의 온도를 830℃까지 낮춘다. 종래의 경우 배가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9,000m3/Hr의 희석 공기를 투입하였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배열 회수부(170)를 배치함으로써 배열을 회수함과 동시에 투입되는 희석 공기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120)로 유입되는 배가스에서 중앙부 유로를 통과한 배가스만 고온부 열교환기(120)로 유입시켜 즉, 배가스의 유량을 감소시켜 고온부 열교환기(120)를 통과한 배가스(D)의 온도를 400℃로 낮출 수 있어 고온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양측부 유로를 통과한 배가스는 개폐부에 의하여 고온부 열교환기(120)를 거치지 않고 배가스 우회유로를 통과한 후 저온부 열교환기(130)로 유입되어 최종적으로 저온부 열교환기(130)를 통과한 배가스(G)의 온도를 337℃로 높일 수 있어 저온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연소용 공기를 투입할 필요가 없어 종래와 비교하여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를 방지하는 효과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G : 배가스 10 : 연도
100 :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110 : 유로 분할판
111 : 중앙부 유로 112 : 양측부 유로
120 : 고온부 열교환기 130 : 저온부 열교환기
140 : 개폐부 150 : 배가스 우회유로
160 : 가이드부재 170 : 배열 회수부

Claims (8)

  1. 가열로의 배가스 배출 연도의 내부에 배치되어 중앙부 유로와 양측부 유로로 분할하는 유로 분할판;
    상기 유로 분할판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연도의 내부면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고온부 열교환기;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는 저온부 열교환기; 및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의 입구 쪽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배가스량을 조절하는 개폐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는, 일측단이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의 입구 쪽에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의 타측단은 상기 유로 분할판 또는 상기 연도의 내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배가스의 온도와 양에 따라, 타측단이 상기 연도의 내부면에 접촉하도록 회전하여 상기 중앙부 유로와 양측부 유로 모두를 통과하는 배가스가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를 통과하게 하거나, 타측단이 상기 유로 분할판에 접촉하도록 회전하여 상기 중앙부 유로를 통과하는 배가스만이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를 통과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의 내부면과 상기 고온부 열교환기 사이의 공간에 제공되고, 상기 개폐부가 회전하여 타측단이 상기 유로 분할판에 접촉하면 상기 양측부 유로와 연통되는 배가스 우회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가스 우회유로를 통과한 배가스는 저온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가스 우회유로를 통과한 배가스가 상기 저온부 열교환기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저온부 열교환기 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분할판의 상류에 배치되고, 유동하는 배가스의 배열을 회수하는 배열 회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회수부의 열 회수 매체로 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 유로와 상기 양측부 유로의 단면적이 6:4 내지 8:2의 비율로 형성되게 상기 유로 분할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KR1020150183713A 2015-12-22 2015-12-22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KR101767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713A KR101767766B1 (ko) 2015-12-22 2015-12-22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713A KR101767766B1 (ko) 2015-12-22 2015-12-22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440A KR20170074440A (ko) 2017-06-30
KR101767766B1 true KR101767766B1 (ko) 2017-08-11

Family

ID=59279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713A KR101767766B1 (ko) 2015-12-22 2015-12-22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7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1748A (ja) * 2006-02-13 2007-08-23 Toyota Motor Corp 熱交換器及び熱発電装置
WO2015039857A1 (fr) 2013-09-19 2015-03-26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air pour véhicule automobile à double flux et répartiteur de froi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1748A (ja) * 2006-02-13 2007-08-23 Toyota Motor Corp 熱交換器及び熱発電装置
WO2015039857A1 (fr) 2013-09-19 2015-03-26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air pour véhicule automobile à double flux et répartiteur de fro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440A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9273B2 (ja) 汽力プラント
KR101364944B1 (ko) 배기 가스의 여열 회수 장치
JP2014504548A5 (ko)
JP2014009877A (ja) 排煙処理装置と方法
CN107208888B (zh) 热交换器以及热交换器的控制方法
CN105135468A (zh) 烟气余热利用系统
KR101767766B1 (ko) 가열로의 배열 회수장치
KR101341180B1 (ko) 폐열 회수 장치
CN103961955B (zh) 一种用于过滤可燃含尘气体的除尘器预热工艺
CN208595552U (zh) 一种回转式空气预热器本体热风传递防堵装置
RU2013151461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ушки топлива в котельной системе
JP2014206329A (ja) 排ガス処理装置
KR101558934B1 (ko) 가열로의 폐열회수장치
JP6552904B2 (ja) 排ガスの潜熱回収装置
JP2007046113A (ja) 高炉炉頂ガス清浄設備及び高炉炉頂ガス清浄方法
CN106352314A (zh) 用于焦炉烟道气的余能利用系统
JP2012229896A (ja) 燃焼器具
CN206692679U (zh) 一种高炉煤气脱水装置
CN106765008B (zh) 一种蓄热燃烧式燃气热管蒸汽发生器及其烟气余热综合回收的方法
JP2009216279A (ja) ガスガス熱交換装置及びその熱交換方法
CN106016326A (zh) 一种烟气超低排放燃煤发电机组管式ggh系统的烟气余热回收装置及方法
KR101495403B1 (ko) 건식 소화 설비의 집진후드 변형 방지장치
JP2014009835A (ja) 排ガス処理装置
RU2659265C2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сухого тушения кокса
KR102285076B1 (ko) 배가스 현열 회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