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581B1 -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 - Google Patents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581B1
KR101767581B1 KR1020160063994A KR20160063994A KR101767581B1 KR 101767581 B1 KR101767581 B1 KR 101767581B1 KR 1020160063994 A KR1020160063994 A KR 1020160063994A KR 20160063994 A KR20160063994 A KR 20160063994A KR 101767581 B1 KR101767581 B1 KR 101767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signal
wireless
broadcast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화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화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화엠텍
Priority to KR102016006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는 제어신호 입력부,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를 변조하여 변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변조부 및 상기 제어신호 변조부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변조 제어신호를 공중으로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는 무선 마을방송을 수행하면서 마을의 공용 설비 또는 사설 설비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설비 제어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Wireless Village Broadcasting Device With Equipment Controlling Function}
본 발명은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 의하여 무선 마을방송을 수행하면서 마을의 공용 설비 또는 사설 설비를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설비 제어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경제성이 향상된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을방송 시스템은 마을 단위로 방송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을방송을 송신하는 마을방송 장치와 마을방송을 수신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마을방송 수신장치로 이루어진다. 마을방송 수신장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마을방송 장치와 마을방송 수신장치는 서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마을방송 수신장치는 제한적으로만 설치되었다. 그리하여 마을방송 수신장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는 마을방송을 청취할 수 없거나 청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은 무선 마을방송 장치와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로 이루어지는데,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에서 마을방송을 송신하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는 방송신호를 공중으로 송신하고, 주로 각 가정 내에 설치되어 마을방송을 수신하는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는 공중으로 전송된 방송신호를 수신한 후 스피커를 통하여 방송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그럼으로써 무선 마을방송 장치의 방송출력이 미치는 지역이라면 어디에서든 마을방송을 편하게 청취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특허등록 제10-0427042호(2004. 04. 01. 등록)는 무선 방송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무선 방송시스템은 유선 마이크를 통하여 방송내용을 무선 방송시스템에 입력하는 대신에 생활 무전기와 무선 방송시스템 간에 무전기 통신을 설정하고, 생활 무전기에 의하여 방송내용을 무선 방송시스템에 입력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방송을 하는 관리자가 무선 방송시스템으로부터 떨어진 지역에서도 자유롭게 방송을 송출할 수 있어 재난 경보 및 행정 방송을 신속하고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유사한 내용이 특허등록 제10-1325160호(2013. 10. 29. 등록; 발명의 명칭: 무전기를 이용한 원격 안내방송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공개 제10-2011-0089122호(2011. 08. 04. 공개)는 마을방송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발명은 마을방송 송신장치에 전화접속기능을 마련하고 그러한 전화접속기능에 의하여 유선 또는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방송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방송내용을 마을방송 송신장치에 입력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와 유사한 내용이 특허등록 제10-1476778호(2014. 12. 19. 등록; 발명의 명칭: 마을 방송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등록 제10-1583033호(2015. 12. 30. 등록)는 사물인터넷 통신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연계한 동보방송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동보방송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발명은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그룹채팅방을 생성하고 생성된 그룹채팅방에 소속된 사람들에게 방송을 하는 것이다.
한편, 특허등록 제10-0408372호(2003. 11. 24. 등록)는 유무선 전화망을 이용한 원격 제어 및 경보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발명은 농어촌 등에서의 농장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농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유무선 전화망을 통하여 농장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원격적으로 농장관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기술들에 의하면, 무선 마을방송 장치는 방송기능만을 수행할 뿐이고, 농촌 등의 마을에 공용으로 설치된 공용 설비 또는 사설로 설치된 사설 설비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개발된 적은 없었다. 그것은 음성을 전송하는 방송기능과 제어신호를 데이터통신에 의하여 전송하는 설비제어기능은 전혀 다른 것으로 인식되었고, 공통적으로 연계 및 연결되는 부분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 의하여 무선 마을방송을 수행하면서 마을의 공용 설비 또는 사설 설비를 제어한다면 마을의 공용 설비 또는 사설 설비를 제어하기 위하여 별도의 제어장치가 필요없어 경제성이 향상될 것임에 착안하고,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 의하여 무선 마을방송을 수행하면서 마을의 공용 설비 또는 사설 설비를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설비 제어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경제성이 향상된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마을방송 장치가 방송신호를 공중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캐리어 주파수로서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간이무선국의 주파수 전파형식 및 공중선전력의 법규가 고시한 아날로그 5개파, 디지털(DMR) 5개파, 초협대역(dPMR) 10개파를 사용하고 또한 마을의 공용 설비 또는 사설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공중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캐리어 주파수로서 동일한 마을방송 공지사항 안내용 간이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무선 마을방송 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전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 및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는 음성신호 입력부, 상기 음성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방송신호를 생성하는 방송신호 생성부, 및 상기 방송신호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방송신호를 공중으로 송신하는 방송신호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마을방송 장치는 제어신호 입력부,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를 변조하여 변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변조부 및 상기 제어신호 변조부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변조 제어신호를 공중으로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신호 입력부와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는 동일한 것이고, 상기 방송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어신호 변조부와 동일한 것이고, 상기 방송신호 송신부와 상기 제어신호 송신부는 동일한 것이며, 다만 입력되는 정보가 방송을 위한 음성신호인지 설비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인지에 따라 상기 무선 마을방송 장치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대상이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송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방송신호 및 상기 제어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변조 제어신호는 마을방송 공지사항 안내용 간이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송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방송신호 및 상기 제어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변조 제어신호는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날로그 방식인 경우, 상기 방송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방송신호는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및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를 포함함으로써 허용된 댁내에 설치된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만이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제어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변조 제어신호는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및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를 포함함으로써 허용된 설비만이 상기 변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설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PMR(Digital Private Mobile Radio; 초협대역) 또는 DMR(Digital Mobile Radio; 디지털)인 경우, 디지털 프로토콜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신호 및 상기 변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상기 설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는 관리자가 유선 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무전기에 의하여 상기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ARS 안내에 따라 원하는 제어내용을 선택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성신호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되는 상기 음성신호는 관리자가 유선 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무전기에 의하여 상기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 연결하여 원하는 방송내용을 음성으로 입력함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마을방송 장치는 상기 방송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방송신호 및 상기 제어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변조 제어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로 마을방송 공지사항 안내용 간이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전기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PTT 신호가 먼저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는 무선 마을방송을 수행하면서 마을의 공용 설비 또는 사설 설비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설비 제어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는 방송신호에 대한 캐리어 주파수로서 마을방송 공지사항 안내용 간이주파수를 사용하고 또한 마을의 공용 설비 또는 사설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에 대한 캐리어 주파수로서 마을방송 공지사항 안내용 간이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방송신호에 대한 캐리어 주파수와 제어신호에 대한 캐리어 주파수를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무선 마을방송 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전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을방송 장치의 통신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서 마을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서 설비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 의하여 구현되는 한 예시적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유선전화기(20)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무선전화기(30)에 의하여 방송내용을 원격적으로 입력받고, 무선 통신방식에 의하여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50)로 송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물론 유선 마이크(40)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방송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마이크 또는 간이 무전기에 의하여 원격적으로 방송내용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50)는 각 가정, 특히 농어촌의 각 가정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로부터 송출된 마을방송 내용을 수신하고, 그것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장치이다. 무선 마을방송 장치(10)와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50)는 캐리어 주파수로서 마을방송 공지사항 안내용 간이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마을방송을 수행하는 것과는 별도로 유선전화기(20), 무선전화기(30) 또는 무전기(미도시)를 통하여 제어신호를 원격적으로 입력받고, 무선 통신방식에 의하여 공용 또는 사설 설비(60)로 송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물론 버튼(미도시) 입력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용 또는 사설 설비(60)는 농어촌 등의 마을에서 공용으로 또는 사설로 사용되는 설비로서 예를 들어 수로의 수문, 비닐하우스의 개폐장치, 밭에 설치되어 농작물에 물을 공급하는 스프링쿨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농어촌의 마을 이장 또는 권한있는 사람은 유선전화기(20) 또는 무선전화기(30)에 의하여 원격지에서도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설비를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마을방송을 수행하기 위하여, 음성신호입력부(310), 방송신호생성부(320) 및 방송신호송신부(330)를 포함한다.
음성신호는 관리자의 음성이 마이크에 입력되고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된 후 음성신호입력부(310)에 의하여 방송신호생성부(320)로 입력된다. 음성신호는 또한 유선전화기(20), 무선전화기(30) 또는 무전기(미도시)에 의하여도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유선전화기(20) 또는 무선전화기(30)와 연결되기 위하여 호설정부(100)를 가진다. 호설정부(100)는 유선전화기(20) 또는 무선전화기(30)와의 연결을 제어 및 수행하는데, 유선전화기(20) 또는 무선전화기(30)와 연결된 후에는 유선전화기(20) 또는 무선전화기(30)를 통하여 음성신호가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로 입력된다.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음성신호입력부(310)에 의하여 방송신호생성부(320)로 입력된다.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가 무전기, 특히 마을방송 공지시항 안내용 간이주파수용 무전기 통신을 사용하여 방송을 하는 경우라면, 음성신호가 방송신호생성부(320)에 입력되기 전에 PTT(Push To Talk) 신호가 입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PTT제어부(200) 및 PTT신호 생성회로(210)를 가진다. PTT제어부(200)는 마이크(40) 또는 호설정부(100)에 의하여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에 음성 또는 음성신호 입력이 검출되면 PTT신호 생성회로(210)가 PTT신호를 생성하여 음성신호입력부(310)를 통하여 방송신호생성부(320)로 PTT신호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PTT신호는 관리자에 의한 방송내용 입력 전에 생성되어야 하는데, 이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유선전화기(20) 또는 무선전화기(30)와 호설정이 되면, 즉 연결이 되면 예를 들어, "버저소리 후에 방송할 내용을 입력하여 주세요"와 같은 ARS 안내를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관리자가 PTT신호 생성전에 방송내용을 입력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방송신호생성부(320)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캐리어 주파수로 변조하여 방송신호를 생성한다. 캐리어 주파수는 마을방송 공지사항 안내용 간이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전기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방송신호생성부(320)에는 음성신호가 입력되기 전에 PTT신호가 입력되어야 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또한 방송신호가 미리 약속된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50)만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기능 및 혼신방지기능을 달성할 수 있기 위하여, 아날로그인 경우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및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가 PTT신호 입력후에 방송신호생성부(320)에 입력되어야 한다. 즉, 방송신호는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및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PMR(Digital Private Mobile Radio; 초협대역) 또는 DMR(Digital Mobile Radio; 디지털)인 경우, 디지털 프로토콜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신호를 생성한다.
방송신호송신부(330)는 생성된 방송신호를 안테나에 의하여 공중으로 전파한다. 그러면, 통상적으로 복수개의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50)는 그러한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한 후 방송내용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신호입력부(420), 제어신호변조부(430) 및 제어신호송신부(44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무선 마을방송을 수행하면서 설비에 대한 제어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제어신호는 관리자가 버튼부(410)를 누름으로써 직접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고, 유선전화기(20), 무선전화기(30) 또는 무전기에 의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유선전화기(20) 또는 무선전화기(30)와 연결되기 위하여 호설정부(100)를 가진다. 호설정부(100)는 유선전화기(20) 또는 무선전화기(30)와의 연결을 제어 및 수행하는데, 유선전화기(20) 또는 무선전화기(30)와 연결된 후에는 유선전화기(20) 또는 무선전화기(30)를 통하여 제어신호가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로 입력된다.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로 입력되는 제어신호는 제어신호입력부(420)에 의하여 제어신호변조부(430)로 입력된다.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가 무전기, 특히 마을방송 공지사항 안내용 간이주파수를 사용하여 방송을 하는 경우라면, 제어신호가 제어신호변조부(430)에 입력되기 전에 PTT(Push To Talk) 신호가 입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PTT제어부(200) 및 PTT신호 생성회로(210)를 가진다. PTT제어부(200)는 버튼부(410) 또는 호설정부(100)에 의하여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에 제어신호 입력이 검출되면 PTT신호 생성회로(210)가 PTT신호를 생성하여 제어신호입력부(420)를 통하여 제어신호변조부(430)로 PTT신호가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PTT신호는 관리자에 의한 제어신호 입력 전에 생성되어야 한다.
제어신호변조부(430)는 입력된 제어신호를 캐리어 주파수로 변조하여 변조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캐리어 주파수는 마을방송 공지사항 안내용 간이무전기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어신호변조부(430)에서 사용하는 캐리어 주파수는 방송신호생성부(320)에서 사용하는 캐리어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전기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제어신호변조부(430)에는 제어신호가 입력되기 전에 PTT신호가 입력되어야 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또한 변조 제어신호가 미리 약속된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50)만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기능 및 혼신방지기능을 달성할 수 있기 위하여, 아날로그인 경우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및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가 PTT신호 입력후에 제어신호변조부(320)에 입력되어야 한다. 즉, 변조 제어신호는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및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PMR(Digital Private Mobile Radio; 초협대역) 또는 DMR(Digital Mobile Radio; 디지털)인 경우, 디지털 프로토콜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변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설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신호송신부(440)는 생성된 변조 제어신호를 안테나에 의하여 공중으로 전파한다. 그러면, 정해진 특정 공용 또는 사설 설비(60)는 그러한 변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한 후 제어신호에 따라 설비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에서 도 2에 도시된 방송을 위한 구성과 도 3에 도시된 설비제어를 위한 구성은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에 각각 별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하나의 구성이 입력되는 정보가 음성신호인지 설비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인지에 따라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대상이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50) 및 공용 또는 사설 설비(60)로 달라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에서 음성신호 입력부(310)와 제어신호 입력부(420)는 동일한 것이고, 방송신호 생성부(320)와 제어신호 변조부(430)와 동일한 것이고, 방송신호 송신부(330)와 제어신호 송신부(440)는 동일한 것이다. 그러한 구성요소들은 입력되어 처리되는 정보가 방송을 위한 음성신호인지 설비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인지만 다를 뿐이고, 그러한 구성요소들 자체의 구성 및 작동방식은 동일하다.
이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가 전화접속에 의하여 무선 마을방송 및 설비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유선전화기(20) 또는 무선전화기(30)와 전화접속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0). 이러한 판단 및 아래에서 설명하는 절차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10)의 상기한 구성요소들 및 이러한 구성요소들과는 별도로 마련된 제어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전화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전화접속이 이루어질 때까지 단계 S100을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한편, 호설정부(100)에 의하여 전화접속이 이루어졌다면 ARS 안내를 출력한다(단계 S120). 따라서,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ARS 안내를 위하여 ARS 안내부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ARS 안내 내용은 예를 들어, "방송내용을 입력하시려면 1번을 누르시고, 설비제어를 원하시면 2번을 눌러주십시오. ARS 안내를 다시 듣고 싶으시면 0번을 눌러주십시오."와 같은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전화접속을 한 관리자가 ARS 안내에 따라 응답한 내용이 무엇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먼저 방송내용 입력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0).
관리자가 ARS 안내에 따라 전화기의 숫자버튼 중에서 1번을 눌렀다면, 즉 방송내용 입력을 요청하였다면,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PTT신호 생성회로(210)에 의하여 PTT신호를 생성하여 음성신호입력부(310)에 입력을 하고(단계 S130), 관리자가 입력한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신호입력부(310)에 입력을 한다(단계 S140). 이때, PTT신호가 음성신호보다 먼저 입력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ARS 안내부는 예를 들어, "버저소리 후에 방송할 내용을 입력하여 주세요"와 같은 ARS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런 후, 음성신호입력부(310)에 의하여 입력된 PTT신호 및 음성신호는 방송신호생성부(320)에 의하여 캐리어주파수로 변조되어 방송신호로 전환된다(단계 S150). 이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인 경우 CTCSS 또는 CDCSS 신호 및 DTMF 코드도 방송신호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생성된 방송신호는 방송신호송신부(330)에 의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공중으로 송신된다(단계 S160). 그러면, 공중으로 전파된 방송신호는 아날로그인 경우 CTCSS 또는 CDCSS 신호 및 DTMF 코드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그리고 디지털인 경우 포함되는 데이터의 내용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복수개의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50)에 의하여 수신되고 복조된 후 방송내용이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50)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된다.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관리자에 의한 방송용 음성입력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170), 그렇다면 전화접속을 종료한다(단계 S180). 반면에, 그렇지 않다면 단계 S140으로 리턴하여 절차를 계속한다. 방송용 음성입력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는 관리자가 미리 약속된 버튼을 누르거나 전화접속을 종료하기 위한 온후크 버튼 또는 스위치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판단될 수 있다. 관리자로부터 방송용 음성입력 종료 요청이 있었다면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방송종료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그러면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50)는 그러한 방송종료신호를 수신하고 스피커를 통한 방송출력을 종료하게 된다.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50)는 방송출력을 종료한 후에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작동부, 예를 들어 수신부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작동부, 특히 스피커부에의 전원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력낭비 및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20에서 방송내용 입력 요청이 없었다면, 제어부는 다음으로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의 입력이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90). 관리자가 ARS 안내에 따라 전화기의 숫자버튼 중에서 2번을 눌렀다면, 즉 제어신호 입력을 요청하였다면,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방송절차와 유사하게, PTT신호 생성회로(210)에 의하여 PTT신호를 제어신호입력부(420)에 입력을 하고(단계 S200), 관리자가 입력한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입력부(420)에 의하여 제어신호변조부(430)로 입력한다(단계 S210).
관리자가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것은 ARS 안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 예시한 ARS 안내에 따라 관리자가 2번을 선택하여 설비제어를 선택하였다면, ARS 안내부는 추가적으로 어떤 설비의 제어를 원하는지를 관리자에게 물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RS 안내부는 "OOO 수로의 수문을 개방하려면 1번을, XXX 수로의 수문을 개방하려면 2번을, OOO 비닐하우스의 개폐장치를 개방하려면 3번을, OOO 밭에 설치된 스프링쿨러를 켜려면 4번을 눌러주시고 ARS 안내를 다시 듣기를 원하시면 0번을 눌러주십시오."와 같은 안내를 송출할 수 있다. ARS 안내부는 또한 관리자가 OOO 수로의 수문 개방을 선택하였다면, 즉 1번을 선택하였다면, 추가적으로 수문개방시간을 분단위 또는 시간단위로 설정하게 할 수도 있다.
관리자에 의하여 제어신호 입력이 이루어지면,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제어신호입력부(420)에 의하여 입력된 PTT신호 및 제어신호를 제어신호변조부(430)에 의하여 캐리어 주파수로 변조하여 변조 제어신호로 변환한다(단계 S220). 이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인 경우 CTCSS 또는 CDCSS 신호 및 DTMF 코드도 변조 제어신호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생성된 변조 제어신호는 제어신호송신부(440)에 의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공중으로 송신된다(단계 S230). 그러면, 공중으로 전파된 변조 제어신호는 CTCSS 또는 CDCSS 신호 및 DTMF 코드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그리고 디지털인 경우 포함되는 데이터의 내용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 하나의 특정 공용 또는 사설 설비(60)에 의하여 수신되고 복조된 후 제어신호에 따라 설비(60)가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관리자에 의한 제어신호 입력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240), 그렇다면 단계 S180으로 리턴하여 전화접속을 종료한다. 반면에, 그렇지 않다면 단계 S190으로 리턴하여 절차를 계속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하나의 설비(60)에 대한 제어신호를 송출한 후에 전화접속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접속한 관리자에게 다시 ARS 안내를 송출하여 제어신호 입력을 요청할 수 있게 하고, 제어신호 입력 요청이 있다면 절차를 반복할 수 있게 한다.
한편, ARS 안내에 대하여 관리자가 방송내용 입력요청 및 제어신호 입력요청을 선택하지 못하고 제한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250), 그렇다면 단계 S110으로 리턴하여 다시 ARS 안내를 출력한다. 반면에, ARS 안내에 대한 선택을 위한 제한시간이 초과되지 않았다면, 단계 S120으로 리턴되어 절차는 계속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무선 마을방송 기능과 설비 제어 기능을 하나의 장치에 의하여, 특히 하나의 장치에 구현된 동일한 구성에 의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방송신호의 송출 및 제어신호의 송출 모두에 생활무전기 주파수 대역을 캐리어 주파수로 사용함으로써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전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잇점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가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로 방송신호의 송출 및 제어신호의 송출을 수행한다면,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더욱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작동시킬 수 있으며, 전파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서 음성신호입력부(310), 방송신호생성부(320) 및 방송신호송신부(330)를 제어신호입력부(420), 제어신호변조부(430) 및 제어신호송신부(440)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제로는 음성신호입력부(310)와 제어신호입력부(420), 방송신호생성부(320)와 제어신호변조부(430) 그리고 방송신호송신부(330)와 제어신호송신부(440)는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입력되는 정보가 음성신호인지 아니면 제어신호인지에 따라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50)로 방송내용을 전송할 것인지 아니면 공용 또는 사설 설비(60)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것인지가 결정되는 것일 뿐이고, 즉 처리되는 정보의 내용만이 다를 뿐이고 작동방식은 완전히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입력되는 정보의 선택에 의하여 지금까지 전혀 다른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된 방송장치 또는 기능과 설비제어장치 또는 기능을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기술적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에서 방송을 위한 캐리어 주파수와 설비제어를 위한 캐리어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더라도 마을방송 공지사항 안내용 간이주파수를 캐리어 주파수로 사용한다면, 입력되는 정보가 방송을 위한 음성신호인지 아니면 설비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인지에 따라 마을방송 공지사항 안내용 간이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는 서로 다른 채널을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가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을 부가하는 것에 의하여, 즉 주파수 1을 사용하는 채널 1에서 주파수 2를 사용하는 채널 2로의 자동 변경 또는 그 역을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에 단순히 추가하는 것에 의하여, 방송장치 또는 기능과 설비제어장치 또는 기능을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무선 마을방송 장치(10)는 구성 및 동작의 간단성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잇점을 제공한다.
10: 무선 마을방송 장치 20: 유선 전화기
30: 무선 전화기 40: 마이크
50: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 60: 공용 또는 사설 설비
100: 호설정부 200: PTT 제어부
210: PTT 신호 생성회로 310: 음성신호 입력부
320: 방송신호 생성부 330: 방송신호 송신부
410: 버튼부 420: 제어신호 입력부
430: 제어신호 변조부 440: 제어신호 송신부

Claims (8)

  1.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마을방송 장치는 음성신호 입력부, 상기 음성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방송신호를 생성하는 방송신호 생성부, 및 상기 방송신호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방송신호를 공중으로 송신하는 방송신호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마을방송 장치는 제어신호 입력부,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를 변조하여 변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변조부 및 상기 제어신호 변조부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변조 제어신호를 공중으로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신호 입력부와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는 하나의 동일한 기능부로 구성되고, 상기 방송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어신호 변조부는 하나의 동일한 기능부로 구성되고, 상기 방송신호 송신부와 상기 제어신호 송신부는 하나의 동일한 기능부로 구성되며, 다만 입력되는 정보가 방송을 위한 음성신호인지 설비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인지에 따라 상기 무선 마을방송 장치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대상이 달라지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정보가 방송을 위한 음성신호인 경우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가 상기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입력되는 정보가 설비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인 경우 마을의 공용 또는 사설 설비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며,
    상기 마을의 공용 또는 사설 설비는 상기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와 별개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음성신호의 수신과는 무관한 것이며, 상기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 의한 상기 음성신호의 송출과 상기 제어신호의 송출은 비동시적으로, 즉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방송신호 및 상기 제어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변조 제어신호는 마을방송 공지사항 안내용 간이주파수를 캐리어 주파수로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방송신호 및 상기 제어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변조 제어신호는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방송신호는 아날로그인 경우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및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를 포함함으로써 허용된 댁내에 설치된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만이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dPMR(Digital Private Mobile Radio; 초협대역) 또는 DMR(Digital Mobile Radio; 디지털)인 경우, 디지털 프로토콜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 마을방송 수신장치만이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제어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변조 제어신호는 아날로그인 경우 CTCSS(Continuous Tone Coded Squelch System) 또는 CDCSS(Continuous Digital Coded Squelch System) 신호 및 DTMF(Dual-Tone Multi-Frequency) 코드를 포함함으로써 허용된 설비만이 상기 변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설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dPMR(Digital Private Mobile Radio; 초협대역) 또는 DMR(Digital Mobile Radio; 디지털)인 경우, 디지털 프로토콜에서 지원하는 데이터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변조 제어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허용된 설비만이 상기 변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설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는 관리자가 유선 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무전기에 의하여 상기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ARS 안내에 따라 원하는 제어내용을 선택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되는 상기 음성신호는 관리자가 유선 전화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무전기에 의하여 상기 무선 마을방송 장치에 연결하여 원하는 방송내용을 음성으로 입력함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마을방송 장치는 상기 방송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방송신호 및 상기 제어신호 송신부에 의하여 공중으로 송신되는 상기 변조 제어신호의 캐리어 주파수로 마을방송 공지사항 안내용 간이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전기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음성신호 또는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될 때 PTT 신호가 먼저 입력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
KR1020160063994A 2016-05-25 2016-05-25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 KR101767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994A KR101767581B1 (ko) 2016-05-25 2016-05-25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994A KR101767581B1 (ko) 2016-05-25 2016-05-25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581B1 true KR101767581B1 (ko) 2017-08-11

Family

ID=59651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994A KR101767581B1 (ko) 2016-05-25 2016-05-25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5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7576A (ja) * 2012-07-30 2014-02-06 Frc:Kk 防災無線システム及び無線受信機
KR101554257B1 (ko) * 2015-01-29 2015-09-18 주식회사 빌트 비상경보 및 마을공지사항 안내용 무선마을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7576A (ja) * 2012-07-30 2014-02-06 Frc:Kk 防災無線システム及び無線受信機
KR101554257B1 (ko) * 2015-01-29 2015-09-18 주식회사 빌트 비상경보 및 마을공지사항 안내용 무선마을방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1004B2 (ja) 無線通信及びセルラー通信の同時通信を行なうセルラー式電話機
KR101569059B1 (ko) 방송 확인 시스템 및 방법
JPS60260239A (ja) 送受信装置
JP3774276B2 (ja) 移動電話端末を利用した室内機器制御システム
US3387212A (en) Mobile radio paging system wherein the receivers are all made operative for a brief interval following a transmitted tone burst
US5315639A (en) Hands-free intercom system
JPH08511397A (ja) 周囲聴取を実現する方法及び無線ユニット
KR101767581B1 (ko) 설비제어기능을 가지는 무선 마을방송 장치
US7725075B2 (en) Control element for simplex HF to VHF/UHF cross-band system with transmission breakthrough
KR101563891B1 (ko) 듀얼밴드 스캐닝 기능을 이용한 긴급호출 및 녹음방송 기능을 갖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85664B1 (ko) 마을 방송 시스템
JPH0927086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機能付パーソナル・ハンディホン・システム
KR100858016B1 (ko) 생활무전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방송하는 무선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US6937875B2 (en) Mobile telephone with local communication option
CA2473129C (en) Scanning tone remote adapter for land-mobile radio dispatch for use with dispersed dispatch stations
US3449750A (en) Duplex radio communication and signaling apparatus for portable telephone extension
AU2012388821A1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movable relay station
KR100381699B1 (ko) 디지털 무선마이크/동시통역/회의시스템
US2721935A (en) Duplex radio telephone system
KR0141578B1 (ko) 가입자 단말장치의 제어방법
EP1145452B1 (en) Full-duplex radio-communication device with half-duplex functionality
KR200443307Y1 (ko) 확성기
JP3023776U (ja) ペットコンタクト用交信器
JP3683038B2 (ja) 簡易操作の電話装置
JP3782674B2 (ja) 移動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