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403B1 -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403B1
KR101767403B1 KR1020110093709A KR20110093709A KR101767403B1 KR 101767403 B1 KR101767403 B1 KR 101767403B1 KR 1020110093709 A KR1020110093709 A KR 1020110093709A KR 20110093709 A KR20110093709 A KR 20110093709A KR 101767403 B1 KR101767403 B1 KR 101767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ressure
injector
gas injector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139A (ko
Inventor
함흥식
권윤성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3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4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sensors or parameter dete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gaseous fuels
    • F02D19/025Failure diagnosis or prevention; Safety measures; Te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F02D2041/225Leakag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은, 가스 탱크로부터 엔진의 실린더까지 이르는 연료공급라인 중 어느 한 부분에서 가스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진단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제어장치에서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서신호를 기초로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을 측정한 후 이러한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을 구분하여 각 압력레벨에 대해 상응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가스누설 부위를 판정하기 위한 구성을 갖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스 연료의 누설 여부를 판정할 뿐만 아니라, 가스 연료의 누설 부위를 상세하게 판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METHOD FOR DIAGNOSING LEAKAGE OF GAS IN FUEL INJECTION SYSTEM}
본 발명은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탱크로부터 엔진의 실린더까지 이르는 연료공급라인 중 어느 한 부분에서 가스누설이 발생하는 경우, 가스가 누출되는 지점에 대한 위치까지 진단하기 위한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듀얼 연료 차량에 사용되는 연료는 가솔린 또는 가스를 사용하며, 상호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가솔린과 가스 연료를 겸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 연료는 통상 압축 천연 가스인 씨엔지(CNG: Compressed Natural Gas) 또는 액화 석유 가스인 엘피지(LPG : Liquid Platum Gas)중 하나를 이용하고 있다 있다.
이러한 듀얼 연료 차량은 전자제어장치에서 가솔린 인젝션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한 가솔린 인젝션 신호에 기초한 가솔린 인젝터의 동작 수행으로 가솔린 연료를 엔진의 실린더 내로 분사하게 된다.
또한, 듀얼 연료 차량은 가스 연료를 통해 차량 주행을 하는 경우, 전자제어장치에서 가스 인젝션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한 가스 인젝션 신호에 기초한 가스 인젝터의 동작 수행으로 가스 연료를 엔진의 실린더 내로 분사하게 된다.
여기서, 가스 연료는 가솔린 연료보다 누출 시에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큼에 따라, 가스 연료의 누출에 대한 진단을 실행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스 연료의 누출 진단은 전자제어장치에서 가스 인젝터의 분사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로부터 센서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한 센서신호에 기초하여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을 측정하고, 이러한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압력 이상이거나 그 미만일 때 단순히 가스누출인 것으로 판정하여 에러 통보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즉, 가스 누출이 어느 부위에서 발생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가스 누출이 해결되기 전에는 가솔린 연료모드에서 가스 연료모드로 재차 전환되지 않게 됨에 따라, 가스 누출을 정비하기 위한 작업자로 하여금 가스 누출 부위를 확인하는 데에 곤란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탱크로부터 엔진의 실린더까지 이르는 연료공급라인 중 어느 한 부분에서 가스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진단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제어장치에서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서신호를 기초로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을 측정한 후 이러한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을 구분하여 각 압력레벨에 대해 상응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가스누설 부위를 판정함에 따라 해당 가스누설 부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은, 전자제어장치에서 듀얼 연료 시스템으로 주행할 시 가스 연료를 실린더 내로 분사하는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서신호를 기초로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압력레벨 판정 테이블에 대입하여 가스누설 에러 발생 여부를 판정한 후 가스누설 에러가 발생한 경우이면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과 상응하는 가스누설 부위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 및 상기 가스누설 부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정 단계에서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정상 압력 범위 이상이면 상기 가스누설 부위를 가스 레귤레이터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누설 부위가 상기 가스 레귤레이터인 경우,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상기 정상 압력 범위 이상 중에서 특정 압력 이상이면 상기 가스 레귤레이터의 제1 감압기능 및 제2 감압기능의 에러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누설 부위가 상기 가스 레귤레이터인 경우,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상기 정상 압력 범위 이상 중에서 특정 압력 이상이 아니면 상기 가스 레귤레이터의 제2 감압기능의 에러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정 단계에서,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정상 압력 범위 이하이면 상기 가스누설 부위를 가스 인젝터 또는 상기 가스 인젝터에 연결되는 가스 호스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누설 부위가 상기 가스 인젝터 또는 상기 가스 호스인 경우,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상기 정상 압력 범위 이하 중에서 매니폴드의 압력과 동일하거나 대기압보다 작으면 상기 가스 인젝터의 노즐에 대한 에러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누설 부위가 상기 가스 인젝터 또는 상기 가스 호스인 경우,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상기 정상 압력 범위 이하 중에서 대기압과 동일하면 상기 가스 인젝터와 상기 가스 호스 간의 이음새에 대한 에러인 것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누설 부위가 상기 가스 인젝터 또는 상기 가스 호스인 경우,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상기 정상 압력 범위 이하 중에서 대기압보다 크면 상기 가스 인젝터의 노즐 및 상기 가스 호스에 대한 에러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은, 전자제어장치에서 가스 연료를 이용하여 주행할 시 상기 가스 연료를 실린더 내로 분사하는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서신호를 기초로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압력레벨 판정 테이블에 대입하여 가스누설 에러 발생 여부를 판정한 후 가스누설 에러가 발생한 경우이면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과 상응하는 가스누설 부위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 및 상기 가스누설 부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스 탱크로부터 엔진의 실린더까지 이르는 연료공급라인 중 어느 한 부분에서 가스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진단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제어장치에서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서신호를 기초로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을 측정한 후 이러한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을 구분하여 각 압력레벨에 대해 상응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가스누설 부위를 판정함으로써, 가스 연료의 누설 여부를 판정할 뿐만 아니라, 가스 연료의 누설 부위를 상세하게 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누설 진단 시스템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누설 진단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누설 진단 시스템을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및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스누설 진단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누설 진단 시스템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누설 진단 시스템은 가솔린 연료를 저장하는 가솔린 탱크, 가솔린 인젝션 신호에 따라 가솔린 연료에 대한 연료 분사를 엔진(500) 내 실린더로 실행하기 위한 가솔린 인젝터, 가스 연료를 저장하는 가스 탱크(200), 가스 탱크(200)로부터 제공되는 가스 연료의 압력을 연료 분사하기 위한 압력으로 감압하기 위한 가스 레귤레이터(300), 감압된 가스 연료를 엔진(500) 내 실린더로 연료 분사하기 위한 가스 인젝터(400), 가스 인젝터(400)의 연료분사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600), 및 압력 센서(600)에서 생성한 센서신호를 기초로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 값을 측정한 후 측정한 분사압력 값에 대한 판정을 실행하여 가스누설 여부뿐만 아니라 가스누출의 위치까지 진단하는 로직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제어장치(1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춘다.
즉, 전자제어장치(100)는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600)로부터 수신한 센서신호를 기초로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 값을 측정한 후 이러한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을 구분하여 각 압력레벨에 대해 상응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가스누설 부위를 판정함에 따라 해당 가스누설 부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로직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을 판정한 후 판정한 압력레벨과 상응하는 가스누설 부위를 판정함으로써 가스 누출 시에 그 누설부위까지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의 구체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우선,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 값은 가스 탱크(200) 및 가스 레귤레이터(300)를 거치면서 연료압에 대한 감압이 이루어진 후 가스 인젝터(400)를 통해 분사 실행되는 압력 값을 일컫는 것이다.
즉,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 값은 가스 탱크(200)로부터 엔진(500)의 실린더까지 이르는 연료공급라인 중에서 가스 레귤레이터(300)에 의한 연료 감압이 실행된 이후의 연료압력 값이다.
따라서,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 값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압력레벨 판정 테이블을 기준으로 판단하여 볼 때, 정상 범위 이상(예: 3.78bar 이상)이면 일단 가스누설 부위를 가스 레귤레이터(300)로 판정한다. 이는 가스 레귤레이터(300)에서 연료압에 대한 감압 실행을 하는데 있어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가스 레귤레이터(300)는 가스 탱크(200)에 저장되어 있던 가스 연료의 압력을 통상적으로 2번에 걸쳐 감압 실행한다.
제1 차로 감압 실행하는 제1 감압기능은 가스 탱크(200) 내 압력을 일정 폭 이하(예: 6 ~ 12 bar 이하)로 감압하며, 이런 감압 폭은 가스 레귤레이터(300)마다 상이하게 설정되기도 한다.
이후, 제2 차로 감압 실행하는 제2 감압기능도 가스 레귤레이터(300)에서 실행하는데, 이 제2 감압기능은 제1 감압 된 압력을 가스 인젝터(400)에서 분사 실행하는 데에 적합한 압력(예: 2 bar)로 재차 감압하는 것이다.
예컨대,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 값이 3.78 bar 내지 12 bar 까지이면 제2 감압기능의 에러로 인해 가스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 경우 가스 레귤레이터(300) 중에서도 제2 감압기능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한다.
반면에, 상기 예에서 가스 인젝터(400) 분사압력 값이 12 bar 이상이면 제1 감압 기능의 에러로 인해 가스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 경우 가스 레귤레이터(300) 중 제1 감압기능 및 제2 감압기능 중 어느 한 부분에 에러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아울러, 전자제어장치(100)는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정상 범위 이하로 판정되면, 일단 가스 레귤레이터(300)에 의한 연료 감압은 제대로 실행된 것으로 가정한 후 가스 인젝터(400) 또는 가스 인젝터(400)에 연결되는 가스 호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후,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정상 압력 범위 이하이고, 가스 인젝션이 실행되는 공간인 매니폴드의 압력과 동일하거나 대기압보다 작으면 가스 인젝터(400)의 노즐에 에러가 있는 것으로 진단 가능하다.
하지만,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대기압과 동일한 수준이면 외부에 노출된 것으로 판정하여 가스 인젝터(400)와 가스 호스 간의 이음새에 에러 발생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정상 압력 범위 이하이고, 대기압보다 큰 경우에는 다소 그 원인이 불분명하여 가스 인젝터(400)의 노즐 및 가스 호스 중 어느 한 부분에 의한 에러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스누설 진단은 듀얼 연료 시스템에 의한 차량 구동 시(즉, 가솔린 연료에 의한 차량 구동 또는 가스 연료에 의한 차량 구동)에 특정 연료 사용에 상관없이 진단 수행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스누설 진단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은 듀얼 연료 시스템에 기반하여 소정의 연료에 의한 차량 주행이 개시된 후 전자제어장치(100)에서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을 감지한 센서 신호를 압력 센서(600)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00 및 S102).
이후, 전자제어장치(100)는 수신한 센서신호를 기초로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 값을 측정하고(S104), 측정한 분사압력 값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압력레벨 판정 테이블에 대입하여 가스누설 에러 발생 여부를 판정한다(S106).
S106 단계에서, 가스누설 에러가 발생한 경우 압력레벨 판정 테이블을 통해 가스 인젝터(400)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과 상응하는 가스누설 부위를 판정한 후(S108), 판정한 가스누설 부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운전자 등에게 통보하기 위한 출력 실행이 이어진다(S110).
이후, 차량 시동 오프가 발생하면 상기 언급된 과정들의 실행도 함께 종료된다(S112).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누설 진단 시스템을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누설 진단 시스템은 가스 연료를 저장하는 가스 탱크(800), 가스 탱크(800)로부터 제공되는 가스 연료의 압력을 연료 분사하기 위한 압력으로 감압하기 위한 가스 레귤레이터(900), 감압된 가스 연료를 엔진(900-2) 내 실린더로 연료 분사하기 위한 가스 인젝터(900-1), 가스 인젝터(900-1)의 연료분사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900-3), 및 압력센서(900-3)에서 생성한 센서(900-3)신호를 기초로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 값을 측정한 후 측정한 분사압력 값에 대한 판정을 실행하여 가스누설 여부뿐만 아니라 가스누출의 위치까지 진단하는 로직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제어장치(7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춘다.
즉, 전자제어장치(700)는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900-3)로부터 수신한 센서(900-3)신호를 기초로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 값을 측정한 후 이러한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을 구분하여 각 압력레벨에 대해 상응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가스누설 부위를 판정함에 따라 해당 가스누설 부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로직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을 판정한 후 판정한 압력레벨과 상응하는 가스누설 부위를 판정함으로써 가스 누출 시에 그 누설부위까지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의 구체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우선,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 값은 가스 탱크(800) 및 가스 레귤레이터(900)를 거치면서 연료압에 대한 감압이 이루어진 후 가스 인젝터(900-1)를 통해 분사 실행되는 압력 값을 일컫는 것이다.
즉,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 값은 가스 탱크(800)로부터 엔진(900-2)의 실린더까지 이르는 연료공급라인 중에서 가스 레귤레이터(900)에 의한 연료 감압이 실행된 이후의 연료압력 값이다.
따라서,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 값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압력레벨 판정 테이블을 기준으로 판단하여 볼 때, 정상 범위 이상(예: 3.78bar 이상)이면 일단 가스누설 부위를 가스 레귤레이터(900)로 판정한다. 이는 가스 레귤레이터(900)에서 연료압에 대한 감압 실행을 하는데 있어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가스 레귤레이터(900)는 가스 탱크(800)에 저장되어 있던 가스 연료의 압력을 통상적으로 2번에 걸쳐 감압 실행한다.
제1 차로 감압 실행하는 제1 감압기능은 가스 탱크(800) 내 압력을 일정 폭 이하(예: 6 ~ 12 bar 이하)로 감압하며, 이런 감압 폭은 가스 레귤레이터(900)마다 상이하게 설정되기도 한다.
이후, 제2 차로 감압 실행하는 제2 감압기능도 가스 레귤레이터(900)에서 실행하는데, 이 제2 감압기능은 제1 감압 된 압력을 가스 인젝터(900-1)에서 분사 실행하는 데에 적합한 압력(예: 2 bar)로 재차 감압하는 것이다.
예컨대,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 값이 3.78 bar 내지 12 bar 까지이면 제2 감압기능의 에러로 인해 가스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 경우 가스 레귤레이터(900) 중에서도 제2 감압기능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한다.
반면에, 상기 예에서 가스 인젝터(900-1) 분사압력 값이 12 bar 이상이면 제1 감압 기능의 에러로 인해 가스 누설이 발생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 경우 가스 레귤레이터(900) 중 제1 감압기능 및 제2 감압기능 중 어느 한 부분에 에러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아울러, 전자제어장치(700)는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정상 범위 이하로 판정되면, 일단 가스 레귤레이터(900)에 의한 연료 감압은 제대로 실행된 것으로 가정한 후 가스 인젝터(900-1) 또는 가스 인젝터(900-1)에 연결되는 가스 호스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후,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정상 압력 범위 이하이고, 가스 인젝션이 실행되는 공간인 매니폴드의 압력과 동일하거나 대기압보다 작으면 가스 인젝터(900-1)의 노즐에 에러가 있는 것으로 진단 가능하다.
하지만,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대기압과 동일한 수준이면 외부에 노출된 것으로 판정하여 가스 인젝터(900-1)와 가스 호스 간의 이음새에 에러 발생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정상 압력 범위 이하이고, 대기압보다 큰 경우에는 다소 그 원인이 불분명하여 가스 인젝터(900-1)의 노즐 및 가스 호스 중 어느 한 부분에 의한 에러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스누설 진단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은 가스 연료에 의한 차량 주행이 개시된 후 전자제어장치(700)에서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을 감지한 센서(900-3) 신호를 압력센서(900-3)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200 및 S202).
이후, 전자제어장치(700)는 수신한 센서(900-3)신호를 기초로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 값을 측정하고(S204), 측정한 분사압력 값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압력레벨 판정 테이블에 대입하여 가스누설 에러 발생 여부를 판정한다(S206).
S206 단계에서, 가스누설 에러가 발생한 경우 압력레벨 판정 테이블을 통해 가스 인젝터(900-1)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과 상응하는 가스누설 부위를 판정한 후(S208), 판정한 가스누설 부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운전자 등에게 통보하기 위한 출력 실행이 이어진다(S210).
이후, 차량 시동 오프가 발생하면 상기 언급된 과정들의 실행도 함께 종료된다(S212).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 탱크로부터 엔진의 실린더까지 이르는 연료공급라인 중 어느 한 부분에서 가스누설이 발생하는 경우, 가스누출의 위치까지 진단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700: 전자제어장치 200, 800: 가스 탱크
300, 900: 가스 레귤레이터 400, 900-1: 가스 인젝터
500, 900-2: 엔진 600, 900-3: 압력 센서

Claims (9)

  1. 전자제어장치에서 듀얼 연료 시스템으로 주행할 시 가스 연료를 실린더 내로 분사하는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서신호를 기초로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압력레벨 판정 테이블에 대입하여 가스누설 에러 발생 여부를 판정한 후 가스누설 에러가 발생한 경우이면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과 상응하는 가스누설 부위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 및
    상기 가스누설 부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정상 압력 범위 이상이면 상기 가스누설 부위를 가스 레귤레이터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누설 부위가 상기 가스 레귤레이터인 경우,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상기 정상 압력 범위 이상 중에서 특정 압력 이상이면 상기 가스 레귤레이터의 제1 감압기능 및 제2 감압기능의 에러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누설 부위가 상기 가스 레귤레이터인 경우,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상기 정상 압력 범위 이상 중에서 특정 압력 이상이 아니면 상기 가스 레귤레이터의 제2 감압기능의 에러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정상 압력 범위 이하이면 상기 가스누설 부위를 가스 인젝터 또는 상기 가스 인젝터에 연결되는 가스 호스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누설 부위가 상기 가스 인젝터 또는 상기 가스 호스인 경우,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상기 정상 압력 범위 이하 중에서 매니폴드의 압력과 동일하거나 대기압보다 작으면 상기 가스 인젝터의 노즐에 대한 에러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누설 부위가 상기 가스 인젝터 또는 상기 가스 호스인 경우,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상기 정상 압력 범위 이하 중에서 대기압과 동일하면 상기 가스 인젝터와 상기 가스 호스 간의 이음새에 대한 에러인 것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누설 부위가 상기 가스 인젝터 또는 상기 가스 호스인 경우,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이 상기 정상 압력 범위 이하 중에서 대기압보다 크면 상기 가스 인젝터의 노즐 및 상기 가스 호스에 대한 에러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9. 전자제어장치에서 가스 연료를 이용하여 주행할 시 상기 가스 연료를 실린더 내로 분사하는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서신호를 기초로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을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압력레벨 판정 테이블에 대입하여 가스누설 에러 발생 여부를 판정한 후 가스누설 에러가 발생한 경우이면 상기 가스 인젝터의 분사압력 값에 대한 압력레벨과 상응하는 가스누설 부위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 및
    상기 가스누설 부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KR1020110093709A 2011-09-16 2011-09-16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KR101767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709A KR101767403B1 (ko) 2011-09-16 2011-09-16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709A KR101767403B1 (ko) 2011-09-16 2011-09-16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139A KR20130030139A (ko) 2013-03-26
KR101767403B1 true KR101767403B1 (ko) 2017-08-11

Family

ID=4817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709A KR101767403B1 (ko) 2011-09-16 2011-09-16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2037B (zh) * 2014-12-17 2017-02-01 河北工业大学 基于气压传感器和应变片的软体密闭器具漏气报警装置
DE102019220121A1 (de) * 2019-12-19 2021-06-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prüfen der Funktionsfähigkeit einer Erdgas-Brennkraftmas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3610A (ja) 2010-01-28 2011-08-11 Toyota Motor Corp 噴射異常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3610A (ja) 2010-01-28 2011-08-11 Toyota Motor Corp 噴射異常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139A (ko) 201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1363B2 (en) Dual fuel system diagnostics for dual fuel engine and machine using same
JP4353297B2 (ja) 車両
CN113178600B (zh) 氢燃料电池汽车氢气输送系统及氢气泄漏检测方法
KR101478631B1 (ko) 차량용 엔진의 인젝터 사전검사방법
EP2177741A1 (en) Method for diagnosing a gaseous fuel feeding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767403B1 (ko) 연료분사 시스템에서의 가스누설 진단 방법
KR20210037715A (ko) 차량의 액체 탱크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보강 엘리먼트의 상태를 테스트하는 방법
KR101646550B1 (ko) Cng 연료 차량의 연료량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475678B1 (ko) 엘피지 연료 분사 장치의 압력 센서 고장 진단 방법
WO2008071402A1 (en) Leakage test in a fuel cell system
KR101879212B1 (ko) 가스연료 레일의 누설 감지 방법
KR100896638B1 (ko) 바이 퓨얼 차량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338600B1 (ko) 인젝터 이상유무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14181597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20210034667A (ko) 액체 차량 탱크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보강 엘리먼트의 상태를 테스트하는 방법
KR100941806B1 (ko) 가스 레귤레이터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724262B1 (ko) 자동차의 연료 레벨 센서 고착 진단 방법
KR100559253B1 (ko) 연료 펌프 구동부의 고장 진단 방법
JP2006029128A (ja) 車両
CN114112189B (zh) 油箱压力传感器的故障检测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20120127029A (ko) 바이 퓨얼 차량의 고장 진단 장치
ITMI20110547A1 (it) Metodo e dispositivo per la diagnostica di perdite di fluido gassoso in un circuito di alimentazione di combustibile di un veicolo a motore
KR100471298B1 (ko) 자동차 연료 시스템의 연료 잔량 검출방법
CN104903566B (zh) 用于发动机的关停系统以及用于监测关停系统的方法
CN113218643B (zh) 摩托车二次补气电磁阀的性能检测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及摩托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