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357B1 - 노즐 본체 및 연료 분사 밸브 - Google Patents

노즐 본체 및 연료 분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357B1
KR101767357B1 KR1020167018516A KR20167018516A KR101767357B1 KR 101767357 B1 KR101767357 B1 KR 101767357B1 KR 1020167018516 A KR1020167018516 A KR 1020167018516A KR 20167018516 A KR20167018516 A KR 20167018516A KR 101767357 B1 KR101767357 B1 KR 10176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fuel
opening
nozzle body
commo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3071A (ko
Inventor
안토니오 아그레스타
루카 제스트리
이버하르트 쿨
마르코 살루
홍 장
게르트 뢰셀
에빈 아흐라이드너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9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06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orifices, e.g. orientation or size
    • F02M61/1833Discharge orifices having changing cross sections, e.g. being diverg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06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ischarge orifices, e.g. orientation or size
    • F02M61/1846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orif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61/188Spherical or partly spherical shaped valve member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06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coking, e.g. of fuel injector discharge orifices or valv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연료 분사 밸브(1)용 노즐 본체(10)와 상기 노즐 본체(10)를 갖는 연료 분사 밸브(1)가 제시된다. 상기 노즐 본체(10)는 제1 구획(22)과, 상기 제1 구획(22)의 다운스트림에 제2 구획(24)을 구비하는 분사 채널(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획과 제2 구획(22, 24)은 공통 인터페이스(26)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구획(22)의 단면적은 상기 제1 구획(22)의 연료 입구 개구(221)로부터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26)로 가는 경로에서 단조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제2 구획(24)의 단면적은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26)로부터 상기 제2 구획(24)의 연료 출구 개구(242)로 가는 경로에서 단조적으로 증가한다.

Description

노즐 본체 및 연료 분사 밸브{NOZZLE BODY AND FUEL INJECTION VALVE}
본 발명은 연료 분사 밸브용 노즐 본체 및 연료 분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연료 분사 밸브는 연료를 계량하여 내연 엔진의 흡기 다기관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내연 엔진의 연소 챔버로 직접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연료가 계량되어 내연 엔진의 연소 챔버로 직접 공급될 때, 연료 분사 밸브의 노즐 본체의 첨단(tip)은 연소 챔버로 돌출할 수 있다. 여기서, 첨단은 연소 공정에 노출되어 인젝터 첨단(injector tip)에 그을음을 초래할 수 있다.
점점 증가하는 엄격한 방출 기준은 가솔린 엔진 방출량에 입자 수 제한을 도입한다. 이 첨단은 입자의 방출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이런 점에서 첨단의 그을음은 문제시될 수 있다. 이것은 첨단에 있는 탄소층이 분사 밸브로부터 분배되는 연료의 일부를 저장하도록 동작가능하기 때문이다. 저장된 연료는 그을음 입자의 소스인 소위 풍부한 연소 또는 농후한 연소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첨단에 그을음을 초래하는 위험이 특히 낮은 연료 분사 밸브용 노즐 본체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노즐 본체에 의해 달성된다. 노즐 본체 및 이 노즐 본체를 갖는 연료 분사 밸브의 유리한 실시예와 개선은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일 측면에 따라, 연료 분사 밸브용 노즐 본체가 제시된다. 제2 측면에 따라, 상기 노즐 본체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밸브가 제시된다. 상기 연료 분사 밸브는 일 실시예에서 가솔린 분사 밸브이다.
상기 노즐 본체는 공동(cavity)을 구비한다. 상기 공동은 특히 연료 입구 단부로부터 상기 노즐 본체의 연료 출구 단부로 연장된다. 상기 노즐 본체의 연료 출구 단부는 특히 상기 연료 분사 밸브의 인젝터 첨단을 나타낸다. 이것은 내연 엔진의 연소 챔버에 위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공동으로부터 연료를 분배하는 분사 채널을 포함한다. 밸브 니들이 상기 노즐 본체의 공동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니들은 왕복운동 방식으로 상기 노즐 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상기 밸브 니들은 - 상기 노즐 본체로 구성될 수 있는 - 밸브 안착부와 접촉하여 상기 분사 채널을 통한 유체의 흐름을 방지한다. 상기 밸브 니들은 상기 밸브 안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분사 채널을 통한 유체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안착부와 상기 분사 채널은 상기 연료 출구 단부에서 상기 노즐 본체의 베이스 본체에 고정된 상기 노즐 본체의 안착부 본체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안착부 본체와 상기 베이스 본체는 별개의 부품이다.
상기 분사 채널은 제1 구획과, 상기 제1 구획의 다운스트림에 제2 구획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획과 제2 구획은 공통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구획은 연료 입구 개구로부터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구획은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로부터 연료 출구 개구로 연장된다. 상기 제1 구획의 단면적은 상기 연료 입구 개구로부터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로 가는 경로에서 단조적(monotonically)으로 감소한다. 상기 제2 구획의 단면적은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연료 출구 개구로 가는 경로에서 단조적으로 증가한다. "단면적"이라는 것은 특히 각 구획의 중심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각 구획의 외주방향 측면 표면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상기 제1 구획과 제2 구획은 상기 분사 채널의 채널 축으로 언급될 수 있는 공통 중심 축을 공유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구획은 상기 연료 입구 개구로부터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제2 개구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구획은,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개구에 의해 천공된 바텀 표면으로부터 상기 연료 출구 개구로 연장된다.
- 상기 연료 입구 개구로부터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로 가는 경로에서 단면적이 단조적으로 감소하는 것에 의해 - 제1 구획은 특히 제2 개구로부터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로부터 나타나는 발산하는 연료 스프레이 원추(spray cone)를 형성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상기 연료 스프레이 원추는 미리 결정된 원추각(cone angle)을 구비한다. 상기 원추각은 특히 상기 스프레이 원추의 중심 축에 대하여 원추의 가상 외주방향 포락선 표면의 경사각이고, 즉 상기 원추각은 상기 원추의 절반의 개구 각도에 대응한다. 상기 포락선 표면은, 예를 들어, 원추형 표면일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제2 구획의 측면 표면에 물질이 침착하면 그을음 입자를 생성하는데 특히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분사 채널의 경우, 상기 스프레이 원추의 원추형으로 발산하는 형상은 상기 분사 채널의 상기 제2 구획의 원추형으로 발산하는 형상에 대응한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스프레이 원추는 유리하게는 상기 제2 구획의 특히 큰 부분에 걸쳐 분사 채널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제2 구획의 측면 표면에 침착물이 형성되는 것을 회피하거나 및/또는 상기 제2 구획의 측면 표면으로부터 침착된 물질을 제거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프레이는 상기 분사 이벤트 동안 전단력과 액적 충격에 의해 상기 제2 구획의 측면 표면을 클리닝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 채널에 의해 상기 제2 구획의 측면 표면 부근에서 특정 고에너지의 역 흐름이 달성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제2 구획에서 흐름이 정체되는 구역이 회피되거나 또는 적어도 특히 작을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제2 구획의 측면 표면은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분사 채널을, - 스프레이 홀(spray hole) 또는 흐름 홀이라고도 언급될 수 있는 - 상기 수렴하는 제1 구획과, - 단계 홀(step hole)이라고도 언급될 수 있는 - 상기 발산하는 제2 구획으로 분리하면, 상기 스프레이 원추에서 연료의 측방향 속력이 특히 커질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스프레이 원추의 침투 깊이는, 특히 단계 홀이 없는 분사 채널에 비해 특히 작게 유지될 수 있다. 이것으로 상기 노즐 본체에 의해 분배된 스프레이로부터 오는 연료로 연소 챔버가 습윤될 위험이 특히 낮을 수 있는데, 이 습윤은 또한 그을음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스프레이는 유리하게는 특히 작은 액적으로 분무될 수 있어서 특히 작은 양의 입자를 생성하는 연소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 흐름을 위한 이탈 에지(break-away edge)를 한정한다. 특히, 상기 유체 흐름은 상기 이탈 에지에서 상기 노즐 본체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제2 개구의 다운스트림에 분사 채널의 제2 구획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해, 상기 분사 채널의 외측에 있는 연료 출구 단부에서 상기 노즐 본체의 표면에 그을음이 있을 위험이 특히 작아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획은 중심 축 주위에, 특히 상기 채널 축 주위에 회전 대칭이다. 일 개선에서, 상기 제1 구획은, 상기 연료 입구 개구로부터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로 가는, 특히 상기 제2 개구로 가는 경로에서 테이퍼(taper)지는 원추대(truncated cone) 형상을 구비한다. 다른 개선에서, 상기 제1 구획은 상기 제1 구획의 중심 축을 통해 길이방향 구획에서 곡선(curved)인 측면 표면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이 측면 표면은 쌍곡면(hyperboloid) 형상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구획은 상기 바텀 표면으로부터 상기 연료 출구 개구로 가는 경로에서 확장되는 원추대 형상을 구비한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제2 구획의 측면 표면의 모든 측에 대해 우수한 클리닝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획은, 상기 제1 구획의 원추대 형상의 중심 축에 대해 0.3° 내지 6°의 경사각을 갖는 외주방향 측면 표면을 구비하고, 여기서 그 경계값이 포함된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스프레이 원추의 유리한 형상이 달성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구획은, 상기 제2 구획의 원추대 형상의 중심 축에 대해, 특히 상기 채널 축에 대해 상기 스프레이 원추의 원추각만큼 적어도 크고 상기 원추각보다 최대 6° 더 큰 경사각을 갖는 외주방향 측면 표면을 구비한다. 상기 제2 구획의 경사각이 상기 스프레이 원추의 원추각과 유사하고 상기 원추각만큼 적어도 큰 것에 의해, 상기 제2 구획의 측면 표면에 특히 우수한 클리닝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달성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구획의 상기 바텀 표면은 상기 제1 구획의 상기 제2 개구 주위로 외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구획의 측면 표면으로부터 제2 개구의 측방향 거리는 50㎛ 이하이다. 특히, 상기 바텀 표면은, 상기 제2 개구로 한정된 내부 윤곽과, 상기 바텀 표면이 상기 제2 구획의 측면 표면과 병합되는 외부 윤곽을 구비하는 원형 링의 형상이다. 상기 외부 윤곽의 반경은 50㎛ 이하만큼 내부 윤곽의 반경보다 더 크다. 이런 방식으로, 흐름 정체 구역이 상기 제2 구획의 측면 표면과 바텀 표면 사이의 인터페이스 부근에 존재할 위험이 특히 낮다.
상기 노즐 본체와 상기 연료 분사 밸브의 추가적인 장점, 유리한 실시예, 및 개선은 개략 도면과 함께 아래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노즐 본체를 갖는 연료 분사 밸브의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노즐 본체의 분사 채널의 확대도; 및
도 3은 분사 채널의 상면도.
예시적인 실시예와 도면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게 작용하는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제공된다. 도면은 축척에 맞게 도시된 것이 아니다. 오히려, 도면에서 개별 부재는 더 나은 표현 및/또는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사이즈가 과장되었을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노즐 본체(10)를 갖는 연료 분사 밸브(1)의 개략적인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연료 분사 밸브는 연료, 특히 가솔린을 계량하여, 내연 엔진의 연소 챔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노즐 본체(10)는 공동(15)을 구비한다. 공동(15)은 연료 입구 단부(도면에 미도시)로부터 연료 분사 밸브(1)의 인젝터 첨단을 나타내는 노즐 본체(10)의 연료 출구 단부(12)로 연장된다. 연료 출구 단부(12)는 내연 엔진의 연소 챔버에 위치되도록 제공된다.
노즐 본체(10)는 공동(15)으로부터 연료를 분배하는 하나 이상의 분사 채널(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분사 채널(20)이 도시된다. 노즐 본체(10)는 2개를 초과하는 분사 채널(20)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 채널(20)은 노즐 본체(10)의 길이방향 축(L)을 따라 상면도에서 가상 원형 윤곽으로 분배 - 특히 균일하게 분배 - 될 수 있다.
공동(15)에는 밸브 니들(5)이 수용된다. 밸브 니들(5)은 왕복운동 방식으로 노즐 본체(10)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밸브 니들은 연료 출구 단부(12) 쪽을 향하는 단부에서 밀봉 본체(7)를 구비한다. 밀봉 본체(7)는 밸브 니들(5)의 폐쇄 위치에서 노즐 본체(10)의 밸브 안착부(3)와 접촉하여 분사 채널(20)을 통한 유체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 니들(5)은 연료 분사 밸브(1)의 작동체 조립체(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밸브 안착부(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변위되어 밀봉 본체(7)가 밸브 안착부(3)로부터 이격되어 분사 채널(20)을 통한 유체의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도 2는 노즐 본체(10)의 분사 채널(20)들 중 하나의 분사 채널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노즐 본체(10)의 외측으로부터 분사 채널(20)의 채널 축(A)을 따라 분사 채널(20)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분사 채널(20)은 제1 구획(22)과, 이 제1 구획(22)의 다운스트림에 제2 구획(24)을 구비하고, 이 제1 구획과 제2 구획은 공통 인터페이스(26)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구획과 제2 구획(22, 24)은 공통 채널 축(A)을 따라 서로 후속하여 배열되고, 공통 인터페이스(26)에서 서로 인접한다. 제1 구획(22)은 연료 입구 개구(221)로부터 공통 인터페이스(26)로 구성된 제2 개구(222)로 연장된다. 제2 구획(24)은 바텀 표면(241)으로부터 연료 출구 개구(242)로 연장된다. 분사 채널(20)의 제2 구획(24)의 바텀 표면(241)은 공통 인터페이스(26)로 구성되고 제2 개구(222)로 천공된다.
제2 개구(222)의 외부 윤곽은 제1 구획(22)의 외주방향 측면 표면(223)과 바텀 표면(241)의 인터페이스에 형성된 샤프한 에지로 한정된다. 샤프한 에지는 유체 흐름이 분사 채널(2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이탈 에지를 구성한다. 샤프한 에지는 특히 제1 구획(22)의 측면 표면(223)과 바텀 표면(241) 사이에 270°를 초과하는 각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제1 구획(22)의 단면적은 연료 입구 개구(221)로부터 제2 개구(222)로 채널 축(A)을 따라 가는 경로에서 단조적으로 감소한다. 도 2에 도시된 분사 채널(20)의 경우, 제1 구획(22)은 채널 축(A)에 대해 회전 대칭인 원추대 형상이다.
본 발명자는 연료 흐름이 연료 입구 개구(221)를 통해 분사 채널(20)에 들어갈 때 공동(15)의 벽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제1 구획(22)의 수렴하는 형상은 연료 흐름을 제1 구획(22)의 측면 표면(223)에 재부착하는 것을 촉진한다. 제1 구획(22)의 수렴하는 형상에 의해, 연료의 축방향 속도가 특히 작고, 이에 따라, 유리하게는 연소 챔버로 연료의 침투 깊이가 작아질 수 있다.
도 1의 우측에 있는 분사 채널(20)로 개략적으로 지시된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구획(22)의 측면 표면(223)의 윤곽은 곡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표면(223)은 채널 축(A) 주위로 곡선 라인을 회전시키는 것으로부터 초래되는 회전 대칭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표면(223)은 쌍곡면 형상일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도면에 미도시)에서, 측면 표면(223)은 연료 입구 개구(221)에서 원통형 또는 원추형 기본 형상과 둥근 에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연료가 연료 입구 개구(221)에서 분사 채널(20)에 들어갈 때 연료 흐름이 공동(15)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위험이 특히 작아진다.
제2 구획(24)의 단면적은 바텀 표면(241)으로부터 연료 출구 개구(242)로 채널 축(A)을 따라 가는 경로에서 단조적으로 증가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제2 구획은 채널 축(A)에 대해 회전 대칭인 원추대 형상이다.
도 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분사 채널(20)의 제1 구획(22)의 측면 표면(223)은 채널 축(A)에 대해 0.3° 내지 6°의 경사각을 구비하고, 이 채널 축(A)은 동시에 제1 구획(22)의 원추대 형상의 중심 축이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각(a)은 1.4°의 값을 구비한다.
이런 방식으로, 밀봉 부재(7)가 밸브 안착부(3)와 접촉하지 않게 이동하여 분사 채널(20)을 통해 가솔린을 분배할 때, 제1 구획(22)은 (도 2에서 대시 라인으로 개략적으로 지시된) 발산하는 연료 스프레이 원추(28)를 형성한다. 연료 스프레이 원추(28)는 미리 결정된 원추각(σ)으로 제2 개구(222)로부터 나타난다. 원추각(σ)은 스프레이 원추(28)의 중심 축에 대해 원추의 가상 외주방향 포락선 표면의 경사각이다. 스프레이 원추의 중심 축은 본 실시예에서 채널 축(A)과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원추각(σ)은 경사각(α)과 같다.
제2 구획(24)은. 스프레이 원추(28)의 원추각(σ)만큼 적어도 크고 채널 축(A)에 대해 상기 원추각(σ)보다 최대 6° 더 큰 경사각(β)을 갖는 외주방향 측면 표면(243)을 구비한다. 채널 축(A)은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 구획(24)의 원추대 형상의 중심 축이다.
제1 구획(22), 제2 구획(24), 및 스프레이 원추(28)는 채널 축(A)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회전 대칭이다. 이런 방식으로, 채널 축(A) 주위로 측면 표면(243)의 모든 각진 영역에서 제2 구획(24)의 측면 표면(243)에 우수한 클리닝이 달성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연료 입구 개구(221)와 제2 개구(222) 사이의 거리는 연료 입구 개구(221)의 직경의 1.1 배의 값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료 입구 개구(221)와 공통 인터페이스(26) 사이의 거리 대. 연료 입구 개구(221)의 직경의 비율은 1 내지 2의 값,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의 값을 구비하고, 각 경우에 그 경계값이 포함된다.
제2 구획(24)의 바텀 표면(241)은 제1 구획(22)의 제2 개구(222) 주위로 외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텀 표면(241)은, 제2 개구(222)로 한정된 내부 윤곽과, 제2 구획(24)의 측면 표면(243)과 바텀 표면(241) 사이의 인터페이스로 한정된 외부 윤곽을 구비하는 원형 링 형상이다. 외부 윤곽의 반경(Ra)은 내부 윤곽의 반경(Ri)보다 50㎛ 이하만큼 더 크다. 일 실시예에서, 이것은 5㎛ 이상이다. 다시 말해, 제2 개구(222)로부터 바텀 표면(241)과의 인터페이스에 있는 제2 구획(24)의 측면 표면(243)까지의 거리(D)는 50㎛ 이하이고, - 일 실시예에서 - 또한 5㎛ 이상이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한 상세한 설명에 의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은 상이한 실시예의 부재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청구항의 임의의 조합과 청구항에 개시된 특징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Claims (8)

  1. 연료 분사 밸브(1)용 노즐 본체(10)로서,
    상기 노즐 본체(10)는 공동(15)을 구비하고, 상기 공동(15)으로부터 연료를 분배하는 분사 채널(20)을 포함하되,
    상기 분사 채널(20)은 제1 구획(22)과, 상기 제1 구획(22)의 다운스트림에 제2 구획(24)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획과 제2 구획(22, 24)은 공통 인터페이스(26)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구획(22)은 연료 입구 개구(221)로부터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26)로 구성된 제2 개구(222)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구획(22)의 단면적은 상기 연료 입구 개구(221)로부터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26)로 가는 경로에서 단조적으로 감소하며,
    상기 제2 구획(24)은,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26)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개구(222)로 천공된 바텀 표면(241)으로부터 연료 출구 개구(242)로 연장되며,
    상기 제2 구획(24)의 단면적은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26)로부터 상기 연료 출구 개구(242)로 가는 경로에서 단조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1 구획(22)은 상기 연료 입구 개구(221)로부터 상기 제2 개구(222)로 가는 경로에서 테이퍼진 원추대(truncated cone)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구획(24)은 상기 바텀 표면(241)으로부터 상기 연료 출구 개구(242)로 가는 경로에서 확장되는 원추대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바텀 표면(241)은 상기 제2 개구(222) 주위로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구획(22)의 외주방향 측면 표면(223)과 상기 바텀 표면(241)의 인터페이스에 형성된 에지는 상기 제1 구획(22)의 측면 표면(223)과 상기 바텀 표면(241) 사이 각도가 270°를 초과하는 것인, 노즐 본체(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22)은 상기 제1 구획(22)의 원추대 형상의 중심 축(A)에 대해 0.3° 내지 6°의 경사각(α)을 갖는 측면 표면(223)을 구비하고, 경계값이 포함되는, 노즐 본체(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입구 개구(221)로부터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26)로 가는 경로에서 단면적이 단조적으로 감소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구획(22)은 상기 제2 개구(222)로부터 나오는 발산하는 연료 스프레이 원추(spray cone)(28)를 형성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연료 스프레이 원추(28)는 미리 결정된 원추각(cone angle)(σ)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구획(24)은, 상기 제2 구획(24 )의 원추대 형상의 중심 축(A)에 대해 상기 원추각(σ)만큼 적어도 크고 상기 원추각(σ)보다 최대 6° 더 큰 경사각(β)을 갖는 측면 표면(243)을 구비하는, 노즐 본체(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획의 측면 표면(243)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222)의 측방향 거리(D)는 50㎛ 이하인, 노즐 본체(1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노즐 본체(10)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 밸브(1).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7018516A 2013-12-11 2014-12-03 노즐 본체 및 연료 분사 밸브 KR101767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96572.5A EP2884090B1 (en) 2013-12-11 2013-12-11 Nozzle body and fuel injection valve
EP13196572.5 2013-12-11
PCT/EP2014/076384 WO2015086392A1 (en) 2013-12-11 2014-12-03 Nozzle body and fuel injection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071A KR20160093071A (ko) 2016-08-05
KR101767357B1 true KR101767357B1 (ko) 2017-08-10

Family

ID=4976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516A KR101767357B1 (ko) 2013-12-11 2014-12-03 노즐 본체 및 연료 분사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74800B2 (ko)
EP (1) EP2884090B1 (ko)
KR (1) KR101767357B1 (ko)
CN (1) CN105814305B (ko)
WO (1) WO20150863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84090B1 (en) 2013-12-11 2018-02-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Nozzle body and fuel injection valve
EP2975255B1 (en) 2014-07-17 2019-06-1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Nozzle body, the valve assembly and fluid injection valve
JP6292188B2 (ja) * 2015-04-09 2018-03-14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装置
DE102016211688A1 (de) * 2016-06-29 2018-01-04 Robert Bosch Gmbh Injektor zum Einspritzen eines Fluids mit sich verjüngendem Einströmbereich einer Durchgangsöffnung
JP2021028472A (ja) * 2017-11-30 2021-02-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料噴射装置
CN108397328A (zh) * 2018-02-01 2018-08-14 海宁市承志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燃料喷射头
DE102019103512A1 (de) * 2019-02-12 2020-08-13 Liebherr-Components Deggendorf Gmbh Düse für einen Kraftstoffinjektor
WO2021178118A1 (en) * 2020-03-02 2021-09-10 Cummins Inc. Fuel injector having multiple rows of spray holes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for flow modulation
CN112943495B (zh) * 2021-02-09 2022-05-03 柳州源创电喷技术有限公司 缸内直喷电磁阀式喷射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472A (ja) * 2001-10-11 2003-04-23 Denso Corp 燃料噴射ノズル
JP2009270448A (ja) * 2008-05-01 2009-11-19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噴射弁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7772A1 (de) * 1975-12-20 1977-06-23 Kloeckner Humboldt Deutz Ag Brennstoffeinspritzventil
US4360161A (en) * 1979-01-29 1982-11-23 The Bendix Corporation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JPS5965562A (ja) * 1982-10-06 1984-04-13 Mitsubishi Heavy Ind Ltd デイ−ゼルエンジンの燃料弁
DE4104019C1 (ko) * 1991-02-09 1992-04-2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DE19847460A1 (de) 1998-10-15 2000-04-20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düse für selbstzündende Brennkraftmaschinen
US6644565B2 (en) * 1998-10-15 2003-11-11 Robert Bosch Gmbh Fuel injection nozzle for self-igni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19925380A1 (de) 1999-06-02 2000-12-07 Volkswagen Ag Kraftstoffeinspritzventil für Brennkraftmaschinen
JP3879909B2 (ja) * 2001-03-29 2007-02-14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装置
US7191961B2 (en) * 2002-11-29 2007-03-20 Denso Corporation Injection hole plate and fuel injec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DE10354467A1 (de) 2003-11-21 2005-06-09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ventil
DE102006013962A1 (de) 2006-03-27 2007-10-04 Robert Bosch Gmbh Einspritzdüse mit Spritzkanälen sowie Verfahren zur Einbringung von Kanälen
JP2008064038A (ja) * 2006-09-07 2008-03-21 Denso Corp 燃料噴射装置
DE102007051408A1 (de) * 2007-10-25 2009-05-28 Prelatec Gmbh Verfahren zum Bohren von Löchern definierter Geometrien mittels Laserstrahlung
DE102011089240A1 (de) * 2011-12-20 2013-06-20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ventil und Verfahren zur Ausformung von Abspritzöffnungen
DE102011089512A1 (de) 2011-12-22 2013-06-2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Düsenbaugruppe, Düsenbaugruppe für ein Einspritzventil und Einspritzventil
EP2884090B1 (en) 2013-12-11 2018-02-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Nozzle body and fuel injection val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0472A (ja) * 2001-10-11 2003-04-23 Denso Corp 燃料噴射ノズル
JP2009270448A (ja) * 2008-05-01 2009-11-19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噴射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6392A1 (en) 2015-06-18
EP2884090B1 (en) 2018-02-21
KR20160093071A (ko) 2016-08-05
CN105814305B (zh) 2018-08-17
US20160319792A1 (en) 2016-11-03
EP2884090A1 (en) 2015-06-17
US10774800B2 (en) 2020-09-15
CN105814305A (zh)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357B1 (ko) 노즐 본체 및 연료 분사 밸브
US6427932B1 (en) Fuel injection nozzl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194351B2 (en) Injection valve
US20140151468A1 (en) Fuel injection valve
US20170333921A1 (en) Nozzle for spraying liquids
JP6433162B2 (ja) 燃料噴射装置用ノズルプレート
US20180171954A1 (en) Fluid injector orifice plate for colliding fluid jets
US2712962A (en) Double deflecting spray nozzle
CN108291518B (zh) 具有不对称径向分布的碰撞射流雾化器的喷雾靶向和羽流成形
KR20160097358A (ko) 노즐 헤드 및 유체 분사 밸브
US9151260B2 (en) Fuel injection valve
US20150211458A1 (en) Targeting of fuel output by off-axis directing of nozzle output streams
JP2005106006A (ja) 噴孔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噴射弁
DE102013209272A1 (de) Ventil zum Zumessen von Fluid
US10807108B2 (en) Fluid spray injectors
JP5605325B2 (ja) 燃料噴射弁
US10197034B2 (en) Nozzle assembly and fuel injection valve for a combustion engine
JP6654875B2 (ja) 燃料噴射弁
JP2503551Y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JP6270346B2 (ja) インジェクタ
US9551311B2 (en) Nozzle body, the valve assembly and fluid injection valve
JPH0299758A (ja) ガソリン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CN111417769B (zh) 喷射器
JP2017180242A (ja) 燃料噴射装置
JPH09158785A (ja) ガス燃料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