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205B1 - 여분의 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여분의 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205B1
KR101766205B1 KR1020150143337A KR20150143337A KR101766205B1 KR 101766205 B1 KR101766205 B1 KR 101766205B1 KR 1020150143337 A KR1020150143337 A KR 1020150143337A KR 20150143337 A KR20150143337 A KR 20150143337A KR 101766205 B1 KR101766205 B1 KR 101766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upport frame
pin
f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804A (ko
Inventor
이제학
Original Assignee
(주)유니온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니온정공 filed Critical (주)유니온정공
Priority to KR1020150143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2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12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 B23D15/1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actuated by fluid or gas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3/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profiled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1/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overed by none or more than one of the groups B23D15/00 - B23D29/00; Combinations of shearing machines
    • B23D31/002Breaking machines, i.e. pre-cutting and subsequent breaking
    • B23D31/003Breaking machines, i.e. pre-cutting and subsequent breaking f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핀 튜브의 외면에 권취된 핀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여분의 핀 제거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100)과, 일단에 형성된 지지단(110)이 상기 하우징(100)의 일단을 차폐하며 중앙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20)과, 관체로 형성되는 튜브관(20) 내부로 일측이 수용되면서 상기 튜브관(20)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부(200)와,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200)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200) 측으로 왕복 이동되는 핀 제거부(3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여분의 핀 제거장치에 의하면, 핀 튜브에 권취된 핀들 중에서 불필요하게 남은 여유의 핀을 제거하는 작업이 수작업이 아닌 제거장치에 의해 손쉽게 해결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여분의 핀 제거장치{Spare fin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핀 튜브(fin tube)의 핀(fin)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핀 튜브의 외경에 권취된 핀들 중에서 불필요한 여분의 핀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에어컨 등과 같은 냉동, 공조기기에 열교환의 목적으로 다수의 열교환기가 채용된다. 이러한 열교환기로 쓰이는 핀 튜브는 원통 형상의 튜브관과, 튜브관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핀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114011호, 제10-0556761호, 제10-0830724호 등에서 다양하게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핀은 튜브관의 외면에 용접 등으로 부착되는데 불필요한 핀을 제거하고자 할 때, 통상적으로 핀을 제거하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그렇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도 보장되지 않고 또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114011호 등록특허 제10-0556761호 등록특허 제10-083072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핀 튜브에 권취된 여분의 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핀 튜브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파이프나 밸브 등의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용도로도 활용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핀 튜브의 여유 핀 제거장치는, 관체로 형성되는 튜브관 및 상기 튜브관의 외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권취된 핀을 포함하는 핀 튜브의 핀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과, 일단에 형성된 지지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차폐하며 중앙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중앙홀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홀에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이 관체로 형성되는 튜브관 내부로 수용되면서 상기 튜브관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 측으로 왕복 이동되는 핀 제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중앙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머리부분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조정나사와, 상기 조정나사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정나사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양측나사와, 상기 양측나사의 외측에 구비되며 핀 튜브의 튜브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튜브관의 내면에 밀착되는 압착부재와, 상기 양측나사의 외면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양측나사가 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압착부재가 튜브관에 밀착되도록 강제하는 조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핀 제거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되며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일단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좌우 이동과 연동하여 튜브관의 외면에 부착된 핀을 제거하는 제거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지지단에는 오일이 유입되는 제1 주입구가 좌우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주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과 지지프레임 사이로 공급된 오일은 상기 이동부재가 일측으로 유동하도록 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거날은 상기 이동부재의 선단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며, 상기 튜브관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핀 튜브에 권취된 핀들 중에서 불필요한 핀을 제거하는 작업과정이 수작업이 아닌 제거장치에 의해 손쉽게 해결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제거장치는 핀 튜브의 내부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거장치에 장착된 제거날이 유압에 의해 전진함에 따라 핀이 제거됨으로써, 작업 시에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또한, 작업이 편리하기 때문에 핀 제거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핀 튜브뿐만 아니라, 파이프나 밸브와 같은 도구의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다양한 기구에도 활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사용되는 핀 튜브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여분의 핀 제거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여분의 핀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여분의 핀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부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여분의 핀 제거장치가 핀 튜브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여분의 핀 제거장치에 의해 핀이 제거되는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여분의 핀 제거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사용되는 핀 튜브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사용되는 핀 튜브(30)는 원형의 관체로 형성되는 튜브관(20)과, 상기 튜브관(20)의 외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권취된 핀(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와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여분의 핀 제거장치의 상세 구성이 정단면도와 측면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여분의 핀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부의 구성이 부분 정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여분의 핀 제거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100)과, 일단에 형성된 지지단(110)이 상기 하우징(100)의 일단을 차폐하며 중앙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중앙홀(122)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20)과,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중앙홀(122)에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이 관체로 형성되는 튜브관(20) 내부로 수용되어 상기 튜브관(20)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부(200)와,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외측에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200)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200) 측으로 왕복 이동되는 핀 제거부(300)로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우측단이 상기 지지단(110)의 우측단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좌측단은 후술할 지지부재(150)의 좌측단과 접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20)은, 우측 끝단(도 2에서)에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진 지지단(11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단(110)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우측단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단(110)에는 오일이 주입되는 제1 주입구(112)가 좌우로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5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좌측단과 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단(110)의 대향면에 위치한다. 그리고 여기에는 오일이 흡입되는 제2 주입구(152)가 구비된다.
이렇듯, 상기 제1 주입구(112)와 제2 주입구(15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과 지지프레임(120) 사이로 공급된 오일은 상기 이동부재(310)가 좌우로 유동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100)과 지지프레임(120)의 사이에는 실린더실(130)이 자리한다.
상기 실린더실(130)은 후술할 이동부재(310)가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공간이며, 상기 실린더실(130)은 상기 제1 주입구(112)와 제2 주입구(152)를 통해 공급되는 오일이 각각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제1 오일충전공간(132)과 제2 오일충전공간(134)으로 나뉜다.
이렇듯 상기 제1 주입구(112)와 제2 주입구(152)를 통해 유압의 유입과 유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단(110)과 지지부재(150)의 좌우(도 3에서)에는 각각 블럭나사(140)가 체결됨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 간에 체결력을 높인다.
그리고 상기 블럭나사(140)는 체결력이 향상되고 마모를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200)는 조정나사(210), 양측나사(220), 압착부재(230), 조정너트(240), 고정단(250), 육각너트(260) 등으로 구성되며 우측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중앙홀(122)에 수용되고 좌측단이 튜브관(20) 내부로 수용됨으로써 후술할 핀 제거부(300)가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조정나사(21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중앙홀(122)을 좌우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우측 끝단에는 육각너트(260)가 구비된다. 상기 육각너트(260)는 예컨대, 스패너나 기타 공구(예; 복스 등)를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육각너트(26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조정나사(210)의 좌측단은 양측나사(220)와 연동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양측나사(220)는 압착부재(230) 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외면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222)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부(224)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부(222)는 예를 들어, 좌측의 나사부(222)는 오른나사, 우측의 나사부(222)는 왼나사로 구성된다. 즉, 상기 조정나사(210)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나사부(222)가 회전할 때, 좌측에 형성된 나사부(222)와 우측에 형성된 나사부(222)는 모두 상기 비나사부(222) 쪽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비나사부(222)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진 나사부(222)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오른나사와 왼나사의 위치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222)의 외측에는 후술할 조정너트(240)가 나사 체결된다.
상기 비나사부(224)의 중심에는 고정단(25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단(250)은 키 홈(Key way) 등이 구비되어 상기 양측나사(22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양측나사(220)가 압착부재(2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착부재(230)는 내면이 좌우 양측 끝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볼록한 형태를 가진 원형의 관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압착부재(230)의 내면은 양측 끝단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튜브관(20)의 내부로 수용되어 상기 양측나사(220)의 동작에 따라 확관됨으로써 상기 튜브관(20)의 내면에 압착된다.
이러한 상기 압착부재(230)는 탄성이 뛰어나고, 상기 튜브관(20)과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며 일정치의 복원력이 있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부재(230)는 하나의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것 외에 다수의 조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정너트(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부(222)의 좌우 외면에 각각 하나씩 나사 체결된다. 그리고 초기에 상기 조정너트(24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압착부재(230)의 좌우 끝단에 위치된다.
이후에 상기 조정너트(240)는 상기 조정나사(2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사부(222)의 외면을 따라 상기 비나사부(224) 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압착부재(230)를 확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육각너트(26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정나사(21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상기 조정너트(240)가 상기 고정단(250)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압착부재(230)와 나사부(222) 사이의 좁은 공간을 점점 넓히게 되므로 상기 압착부재(230)가 상기 튜브관(20)의 내면에 압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핀 제거부(30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외측에 구비되며,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이동부재(310)와, 상기 이동부재(310)의 좌측 끝단(도 2에서)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이동부재(310)의 좌우 이동과 연동하여 튜브관(20)의 외면에 부착된 핀(10)을 제거하는 제거날(32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재(31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곧게 뻗은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310)는 우측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좌측단에는 상기 제거날(320)이 나사 체결되어 함께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실(130)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부재(310)의 돌출 형성되는 우측단은 상기 제1,2 오일충전공간(132,134)을 각각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제1,2 오일충전공간(132,134)으로 각각 출입된 오일은 서로 섞이지 않는다.
상기 제거날(320)은 좌측 끝단(도 2에서)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310)의 좌측단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거날(320)은 상기 튜브관(2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튜브관(20)의 외면에 부착된 핀(10)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여분의 핀 제거장치가 핀 튜브에 결합된 상태가 정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0)가 튜브관(20)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튜브관(20)의 우측 끝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좌측 끝단과 맞닿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여분의 핀 제거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살펴본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여분의 핀 제거장치에 의해 핀이 제거되는 상태가 정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지지부(200)를 핀 튜브(30)의 튜브관(20) 내부로 삽입한다. 그리고 스패너나 기타 공구 등을 이용하여 육각너트(260)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나사(210)가 회전되고, 상기 조정나사(210)와 연동된 양측나사(220)가 회전함에 따라 나사부(222)의 외측에 형성된 좌우의 조정너트(240)가 상기 고정단(250) 쪽으로 모여들게 된다. 이에 압착부재(230)의 외면이 팽창하여 상기 튜브관(20)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지지부(200)가 튜브관(20) 내부에 고정된다.
이후에 제1 주입구(112)를 통해 실린더실(130)로 유압이 공급되고, 이에 핀 제거부(300)가 우측에서 좌측(도 6에서)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이동부재(310)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310)의 좌측단에 체결된 제거날(320)이 상기 튜브관(20)의 외면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튜브관(20)의 외면에 권취된 핀(10)이 밀려 상기 튜브관(20)과 핀(10)의 용접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분리된 상기 핀(10)은 가위 등으로 제거한다.
이렇듯, 상기 제거날(320)이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튜브관(20)과 핀(10)의 용접부위를 밀어서 튜브관(20) 우측단의 상기 핀(10)들이 점점 좌측(도 6에서)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상기 튜브관(2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핀(10)이 제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핀(10)의 제거를 마친 지지부(200)와 핀 제거부(300)가 초기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상기 지지부재(150)에 형성된 제2 주입구(152)를 따라 유압이 공급된다. 이로써, 제1 주입구(112)로부터 공급된 유압은 다시 제1 주입구(112)를 통해 유출되면서 상기 실린더실(130)의 좌측으로 이동된 상기 이동부재(310)가 점점 우측으로(도 6에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2 주입구(152)로부터 공급된 유압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310)는 우측 끝단이 상기 지지단(110)과 맞닿게 되어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육각너트(260)를 스패너나 기타 공구 등을 이용하여 최초에 고정시킬 때와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상기 조정나사(210)는 회전하여 상기 고정단(250)을 중심으로 몰린 양측의 조정너트(240)가 상기 고정단(250)으로부터 점점 멀어지게 되고, 이에 상기 압착부재(230)와 튜브관(20)의 밀착정도가 느슨해짐으로써 상기 지지부(200)를 튜브관(20)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상기 제1 주입구(112)로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제2 주입구(152)로부터 공급된 유압이 다시 제2 주입구(152)를 통해 유출되면서 상기 이동부재(310)가 좌측으로 점점 이동하게 된다. 즉, 이러한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310)는 유압에 의해 좌우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여분의 핀 제거장치는 스패너나 기타 공구 등을 통한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지지부(200)를 고정시키고 내부로 유압을 공급하여 상기 핀 제거부(30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핀 튜브(30)에 권취된 핀(10)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핀 20. 튜브관
30. 핀 튜브
100. 하우징 110. 지지단
112. 제1 주입구 120. 지지프레임
122. 중앙홀 130. 실린더실
132. 제1 오일충전공간 134. 제2 오일충전공간
140. 블럭나사 150. 지지부재
152. 제2 주입구 200. 지지부
210. 조정나사 220. 양측나사
222. 나사부 224. 비사나부
230. 압착부재 240. 조정너트
250. 고정단 260. 육각너트
300. 핀 제거부 310. 이동부재
320. 제거날

Claims (5)

  1. 관체로 형성되는 튜브관(20) 및 상기 튜브관(20)의 외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권취된 핀(10)을 포함하는 핀 튜브(30)의 핀(10)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100)과, 일단에 형성된 지지단(110)이 상기 하우징(100)의 일단을 차폐하며 중앙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중앙홀(122)이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20)과,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중앙홀(122)에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이 관체로 형성되는 튜브관(20) 내부로 수용되어 상기 튜브관(20)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부(200)와,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외측에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200)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200) 측으로 왕복 이동되는 핀 제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핀 제거부(30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외측에 구비되며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이동부재(310)와, 상기 이동부재(310)의 일단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이동부재(310)의 좌우 이동과 연동하여 튜브관(20)의 외면에 부착된 핀(10)을 제거하는 제거날(3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분의 핀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내부에 형성된 중앙홀(12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머리부분이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조정나사(210)와;
    상기 조정나사(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정나사(21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양측나사(220)와;
    상기 양측나사(220)의 외측에 구비되며, 핀 튜브(30)의 튜브관(2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튜브관(20)의 내면에 밀착되는 압착부재(230)와;
    상기 양측나사(220)의 외면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양측나사(220)가 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압착부재(230)가 튜브관(20)에 밀착되도록 강제하는 조정너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분의 핀 제거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지지단(110)에는 오일이 유입되는 제1 주입구(112)가 좌우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 주입구(1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과 지지프레임(120) 사이로 공급된 오일은 상기 이동부재(310)가 일측으로 유동하도록 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분의 핀 제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날(320)은,
    상기 이동부재(310)의 선단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며, 상기 튜브관(2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분의 핀 제거장치.
KR1020150143337A 2015-10-14 2015-10-14 여분의 핀 제거장치 KR101766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337A KR101766205B1 (ko) 2015-10-14 2015-10-14 여분의 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337A KR101766205B1 (ko) 2015-10-14 2015-10-14 여분의 핀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804A KR20170043804A (ko) 2017-04-24
KR101766205B1 true KR101766205B1 (ko) 2017-08-09

Family

ID=5870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337A KR101766205B1 (ko) 2015-10-14 2015-10-14 여분의 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2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7365A (zh) * 2018-07-24 2018-10-12 陈晨 一种基于内部夹紧的铝合金管用切割设备
KR102527209B1 (ko) * 2022-07-05 2023-04-28 주식회사 디알티시 핸디형 핀튜브 단부 절삭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9766A (ja) * 2006-03-01 2007-09-13 Sugino Mach Ltd 拡管装置
JP2012184642A (ja) * 2011-02-14 2012-09-27 Enupatto Kk アンカーボルト、アンカー金具、連結ナットおよび締付ナ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9766A (ja) * 2006-03-01 2007-09-13 Sugino Mach Ltd 拡管装置
JP2012184642A (ja) * 2011-02-14 2012-09-27 Enupatto Kk アンカーボルト、アンカー金具、連結ナットおよび締付ナ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804A (ko) 201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205B1 (ko) 여분의 핀 제거장치
CN107009268B (zh) 用于磨料流超声复合去除细长杆内壁毛刺的快装快拆组合夹具
KR101794953B1 (ko) 냉각파이프 확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각파이프 확관방법
KR102078118B1 (ko) 에어 컴프레셔용 피스톤의 클리닝장치
JP6542984B2 (ja) パイプ拡管パンチ
CN101941010B (zh) 一种用于管道的除垢工具、除垢装置和除垢方法
KR20160025737A (ko) 핀튜브형 열교환기
KR101774787B1 (ko) 오링자동조립장치
KR101727404B1 (ko) 금속관 천공용 드릴
CN108915596B (zh) 矿用组合扩孔钻头
KR101484628B1 (ko) 핀튜브의 가공 절삭 장치
CN214323203U (zh) 一种油封拆卸装置
CN205008498U (zh) 一种金属内孔胀大工装
JP2012513314A5 (ko)
JP2008155242A (ja) パイプ加工装置
RU16592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очистки резьбы насосных штанг
TWI566892B (zh) 液壓式球接頭拆卸器
CN110586779B (zh) 高压冷却器隔离管胀形工具
CN116352588B (zh) 一种空气压缩管道用自动抛光机及其使用方法
US20140360002A1 (en) Method of forming pipe end structure
KR102078120B1 (ko) 에어 컴프레셔용 피스톤의 클리닝장치
CN217890892U (zh) 一种合金异型管加工用的固定装置
US20240123473A1 (en) Lance of a cleaning kit for medium-voltage power devices
KR20140002736U (ko) 튜브 확관장치
CN214488907U (zh) 一种水利工程管道的打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