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877B1 - 크레인용 지그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지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877B1
KR101765877B1 KR1020160104991A KR20160104991A KR101765877B1 KR 101765877 B1 KR101765877 B1 KR 101765877B1 KR 1020160104991 A KR1020160104991 A KR 1020160104991A KR 20160104991 A KR20160104991 A KR 20160104991A KR 101765877 B1 KR101765877 B1 KR 101765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rane
bars
pai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이용봉
Original Assignee
김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호 filed Critical 김현호
Priority to KR1020160104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을 크레인에 지지하기 위한 크레인용 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량물이 안착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로부터 연장되어 크레인에 연결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해 기울어져 크레인에 연결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프레임 조절부를 구비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크레인용 지그 장치 {Jig apparatus for cran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크레인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교량의 절곡된 부분으로 이송되는 중량물을 크레인에 지지하기 위한 크레인용 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교각과 교각 위로 설치되는 상판으로 구성된다. 교량은 지진이나 교량을 이용하는 차량 등에 의해 가중되는 하중 및 진동으로 인해 파손될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한 교량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수 작업 내지는 교체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교량 보수 또는 교체 작업은 교량의 교각, 교대 또는 상판과 교각/교대 사이에서 종종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작업에 소요되는 중량물을 작업 장소까지 이송하기 위해 주로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가 이용된다.
크레인의 이용 시 크레인에는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한 장치가 연결되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크레인에 케이블을 감은 윈치를 연결하고 상기 케이블 끝에 후크 등을 달아 상기 후크 등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원하는 곳으로 이송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교량 작업을 수행하는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022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1에서 참조하였다.
도 1에는 크레인(C)을 이용하여 거더(girder) 등의 중량물(G)을 교대 및 교각(P)에 거치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크레인(C)은 크레인(C)에 연결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중량물(G)을 인양하게 되는데, 교대 및 교각(P)의 높이가 높아서 크레인(C)이 도달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종방향으로 대규모 런칭가설 장비를 구축하여 가설하고 있다.
특히 하천이나 해상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공사용 가교(TB)를 가설하고, 가교(TB) 위에 크레인(C)을 배치한 후 크레인(C)에 연결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중량물(G)을 교대 및 교각(P)의 노출된 상면에 거치하고 있다.
그러나 교각(P) 등의 노출된 상면이 아닌, 교각(P) 등의 절곡부(PB)나, 교각(P) 등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의 사이에 중량물(G)을 옮겨야 하는 경우, 이러한 이송 작업을 도 1에 도시된 크레인(C)으로 수행하는 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즉, 중량물(G)을 이송해야 할 위치의 상부가 막혀 있거나 경사져 있어 케이블이 연결된 붐(C1)(boom)의 선단부가 중량물(G)보다 솟아 있게 되며 이와 같은 붐(C1) 선단부의 제약으로 중량물(G)을 원하는 높이까지 인양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또한 교량의 상부에 고압선 등의 시설물이 위치 하고 있을 시, 크레인(C)을 이용한 중량물(G) 이송은 크레인(C)의 좌굴 등과 같은 대형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0229호 (2014.10.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량의 절곡된 부분으로 이송되는 중량물을 크레인에 지지하기 위한 크레인용 지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량물을 크레인에 지지하기 위한 크레인용 지그 장치로서, 중량물이 안착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로부터 연장되어 크레인에 연결된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해 기울어져 크레인에 연결된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프레임 조절부를 구비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프레임 조절부는 유압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물을 지지하는 중량물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량물 지지부는, 상기 테이블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중량물의 상기 폭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크레인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테이블로부터 연장되어 크레인에 연결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바아(bar)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1 바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바아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바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바아는, 크레인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간격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1 바아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조절부를 보조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바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제1 보조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조절부는 유압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조절부와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조절부로부터 연장되어 크레인에 연결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바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2 바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바아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바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바아는, 크레인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간격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2 바아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조절부를 보조하여 상기 한 쌍의 제2 바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제2 보조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 조절부는 유압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크레인과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크레인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량의 절곡된 부분과 같이 크레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로 중량물을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일부가 경사진 형상을 갖는 중량물을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을 구비한 타 크레인과 함께 무겁고 큰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고압선과 같은 옥외 시설물에 크레인 등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고 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교량에 이송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지그 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교량에 이송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지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지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지그 장치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교량에 이송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지그 장치(10)는 크레인(1)의 붐(1B)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크레인(1)의 붐(1B)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이때 크레인(1)과 크레인용 지그 장치(10) 사이에는 별도의 연결부(20)가 배치되어 크레인(1)에 크레인용 지그 장치(10)를 연결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크레인용 지그 장치(10)가 나사, 볼트, 핀 등의 체결구에 의해 크레인(1)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크레인용 지그 장치(10)는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에 연결되는 프레임 조절부(130)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크레인(1)에 연결된 크레인용 지그 장치(10)는 교량의 보수 작업 등에 소요되는 중량물(D)을 교량 측으로 이송한다. 이때 중량물(D)이 이송되는 위치는 교각(P)과 교각(P) 상에 배치되는 상판(U)의 사이일 수 있다. 즉, 상판(U)의 하면과 교각(P)의 측면 중 적어도 한 쪽에 중량물(D)을 설치하거나, 상판(U)의 하면과 교각(P)의 상면 사이 벌어진 틈에 중량물(D)을 삽입하는 경우, 중량물(D)은 교각(P)과 상판(U) 사이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중량물(D)은 교각(P)의 절곡부(PB)일 수도 있다. 그러나 중량물(D)의 이송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교량의 일부로서 절곡되거나 경사진 부분이거나 크레인(1)의 진입이 용이하지 않은 부분이면 어떠한 위치라도 무방하다.
크레인(1)에 의해 이송되는 중량물(D)은 비교적 무거운 물체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교량의 높은 곳까지 이송시켜야 하는 물체이면 비교적 가벼운 물체라도 여기서의 중량물(D)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중량물(D)은 교각의 내진 성능을 보강하기 위한 댐퍼(damper)일 수 있다. 이러한 댐퍼는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점성 댐퍼일 수도 있고, 또는 인접한 양면을 연결하는 유압식 댐퍼일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중량물(D)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교량 받침일 수도 있고, 이러한 보수용 구조물 외에 교량의 균열 등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비일 수도 있다.
중량물(D)은 크레인용 지그 장치(10)에 지지되는데, 이를 위해 크레인용 지그 장치(10)는 테이블(100) 및 중량물 지지부(90)를 구비할 수 있다.
테이블(100)의 상면에는 중량물이 안착된다. 이러한 테이블(100)에는 중량물 지지부(90)가 설치되며, 중량물 지지부(90)에 의해 중량물(D)은 테이블(100)에 좀 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중량물 지지부(90)는 테이블(100)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고 테이블(100)의 상면에 대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의 이격 공간에 중량물(D)을 배치하거나, 상기 돌출부 중 하나에 중량물(D)을 걸침으로써 중량물(D)의 테이블(100) 폭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한편 중량물(D)을 끈, 로프 등으로 테이블(100)에 감아서 지지할 수도 있는데, 이때 끈, 로프 등은 중량물 지지부(90)와 병행하거나, 중량물 지지부(90)를 대체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지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지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와 이전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지그 장치(10)는 테이블(100),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및 프레임 조절부(130)를 구비한다.
먼저 크레인용 지그 장치(10)에는 중량물(D)이 안착되는 테이블(100)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중량물(D)은 테이블(100)의 상면에 안착되며, 이를 위해 테이블(100)의 상면은 평평하고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테이블(100)은 제1 프레임(110)의 양단 중 크레인(1)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테이블(100)은 제1 프레임(110) 상에 배치된 테이블 지지부(10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데, 테이블 지지부(105)는 테이블(100) 및 제1 프레임(110)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테이블(100) 및 제1 프레임(11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테이블(100) 및 제1 프레임(110)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테이블 지지부(105)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프레임(110)은 테이블(100)로부터 연장되어 크레인(1)에 연결된다. 이로써 제1 프레임(110)은 개방된 단부에 중량물(D)의 하중이 작용하는 외팔보(cantilever)의 구조를 갖게 되며, 이러한 외팔보 구조를 기초로 제1 프레임(110)의 응력 해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은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바아(bar)(110a, 110b)를 구비할 수 있는데, 한 쌍의 제1 바아(110a, 110b)는 제1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바아(110a, 110b) 또한 테이블(100)로부터 연장되어 크레인(1)에 연결된다.
제1 프레임(11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바아(110c)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바아(110c)는 한 쌍의 제1 바아(110a, 110b)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제1 바아(110a, 110b)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바아(110c)는 복수의 바아들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바아(110a, 110b)의 테이블(100) 측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바아(111), 브래킷부(115)의 하부에 위치하여 브래킷부(115)를 지지하는 바아들(112a, 112b), 브래킷부(115)와 한 쌍의 제1 바아(110a, 110b)의 크레인(1) 측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바아들(113, 114)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바아(110c)의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크레인용 지그 장치(10)의 강도 설계 및 강성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바아(110a, 110b)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바아(110c)는 사각 바아, 원형 바아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바아들은 상면이 평평한 사각 바아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써 상기 바아들은 테이블 지지부(105) 및 브래킷부(115)와 좀 더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0)이 한 쌍의 제1 바아(110a, 110b)를 중심으로 하되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바아(110c)가 한 쌍의 제1 바아(110a, 110b)의 사이를 여러 지점에서 연결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1 프레임(110)의 중량을 최소화하면서도 테이블(100)에 안착된 중량물(D)에 의한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바아(110a, 110b)가 크레인(1)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간격이 증가할 수 있는데, 이로써 테이블(100) 상의 중량물(D)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제2 프레임(120)이 배치된다. 제2 프레임(120) 또한 제1 프레임(110)과 마찬가지로 테이블(100) 및 크레인(1)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크레인(1)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프레임(120)은 프레임 조절부(130)로부터 연장되어 크레인(1)에 연결된다. 이때 제2 프레임(120)은 크레인(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프레임(120)의 크레인(1)에 연결되는 단부가 회전 가능하여 제2 프레임(120)에 발생하는 반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테이블(100)의 두께 방향(+Z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에 따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20)의 크레인(1)에 연결된 위치가 제1 프레임(110)의 크레인(1)에 연결된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제2 프레임(120)은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바아(120a, 120b)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바아(120a, 120b)는 프레임 조절부(130)로부터 연장되어 크레인(1)에 연결되며, 크레인(1)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간격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2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바아(120c)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바아(120c)는 한 쌍의 제2 바아(120a, 120b)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제2 바아(120a, 120b)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바아(120c)는 단일의 바아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 바아(120a, 120b)의 프레임 조절부(130) 측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바아일 수 있다. 그러나 제2 연결 바아(120c)의 개수 및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크레인용 지그 장치(10)의 강도 설계 및 강성 설계에 따라 그 개수 및 위치는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20)이 한 쌍의 제2 바아(120a, 120b) 및 이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연결 바아(120c)를 구비함으로써 제2 프레임(120)의 중량을 최소화하면서도 테이블(100)에 안착된 중량물(D)에 의한 하중을 제1 프레임(110)과 함께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다.
제1 프레임(110)과 마찬가지로, 제2 프레임(120) 또한 사각 바아, 원형 바아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은 프레임 조절부(130)에 의해 길이가 변할 수 있는데,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프레임 조절부(130)가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와 이전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프레임 조절부(130)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조절부(130)의 일단은 제1 프레임(110)에 결합된 브래킷부(115)에 연결되고, 프레임 조절부(130)의 타단은 제2 프레임(120)에 연결된다. 이때 프레임 조절부(130)는 브래킷부(115)와 힌지 결합할 수 있고, 제1 프레임(110)의 길이가 증감하여 브래킷부(115)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 프레임 조절부(130)는 힌지 결합점(115h)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로써 제1 프레임(110)에 대한 제2 프레임(120)의 각도(θ)가 달라질 수 있다.
프레임 조절부(130)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 조절부(130)는 프레임 조절부(130)의 길이 방향으로의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부가 요구된다. 이러한 구동부에는 모터, 스프링, 유압 실린더, 공기압 실린더 등이 구비될 수 있으나, 큰 출력 및 추력의 직선운동을 구현하고 빠른 반응 속도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유압 실린더가 효과적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레임 조절부(130)가 유압 실린더를 구비하여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조절부(130)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 내부의 피스톤 로드(미도시)가 테이블(100) 방향(-X 방향)으로 전진운동을 하는 경우, 제1 프레임(110)의 적어도 일부가 테이블(100) 방향(-X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제1 프레임(110)의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이때 제1 프레임(110)의 길이가 용이하게 증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1 바아(110a, 110b) 각각에는 제1 보조 조절부(131, 132)가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제1 보조 조절부(131, 132)는 프레임 조절부(130)를 보조하여 한 쌍의 제1 바아(110a, 110b)의 길이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제1 보조 조절부(131, 132) 또한 프레임 조절부(130)와 마찬가지로 유압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프레임 조절부(130)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 내부의 피스톤 로드(미도시)가 크레인 방향(+X 방향)으로 후진운동을 하는 경우, 제1 프레임(110)의 적어도 일부가 크레인 방향(-X 방향)으로 후진하면서 제1 프레임(110)의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이때 제1 보조 조절부(131, 132)가 프레임 조절부(130)를 보조하여 제1 보조 조절부(131, 132)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바아(110a, 110b)의 길이를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프레임 조절부(130)는 제2 프레임(120)의 길이도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는 제1 프레임(110)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과정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즉, 프레임 조절부(130)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 내부의 피스톤 로드(미도시)가 테이블(100) 방향(-X 방향)으로 전진운동을 하는 경우, 제2 프레임(120)의 적어도 일부가 테이블(100) 방향(-X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제2 프레임(120)의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이때 제2 프레임(120)의 길이가 용이하게 증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제2 바아(120a, 120b) 각각에는 제1 보조 조절부(133, 134)가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제2 보조 조절부(133, 134)는 프레임 조절부(130)를 보조하여 한 쌍의 제2 바아(120a, 120b)의 길이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제2 보조 조절부(133, 134)는 프레임 조절부(130) 및 제1 보조 조절부(131, 132)와 마찬가지로 유압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프레임 조절부(130)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 내부의 피스톤 로드(미도시)가 크레인 방향(+X 방향)으로 후진운동을 하는 경우, 제2 보조 조절부(133, 134)가 프레임 조절부(130)를 보조하여 제2 보조 조절부(133, 134)에 연결된 한 쌍의 제2 바아(120a, 120b)의 길이를 감소시키게 된다.
한편 제2 프레임(120)의 길이가 변화함에 따라 제2 프레임(120)의 제1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θ)가 변화하게 된다. 즉, 도 3을 참고하면, 프레임 조절부(130)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제2 프레임(120)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제2 프레임(120)의 제1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θ)는 감소하게 된다. 이는 제1 프레임(110)의 크레인에 연결된 단부와 제2 프레임(120)의 크레인에 연결된 단부와의 높이 차이는 일정하므로 상기 각도(θ)는 제2 프레임(120)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와 동일한 원리로, 프레임 조절부(130)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제2 프레임(120)의 길이가 감소함에 따라 제2 프레임(120)의 제1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θ)는 증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량의 절곡된 부분과 같이 크레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로 중량물을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일부가 경사진 형상을 갖는 중량물을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을 구비한 타 크레인과 함께 무겁고 큰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크레인
10: 크레인용 지그 장치
20: 연결부
90: 중량물 지지부
100: 테이블
105: 테이블 지지부
110: 제1 프레임
110a, 110b: 한 쌍의 제1 바아
115: 브래킷부
120: 제2 프레임
120a, 120b: 한 쌍의 제2 바아
130: 프레임 조절부

Claims (20)

  1. 중량물을 크레인에 지지하기 위한 크레인용 지그 장치로서,
    중량물이 안착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로부터 연장되어 크레인에 연결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바아(bar)를 구비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해 기울어져 크레인에 연결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바아를 구비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프레임 조절부;
    상기 한 쌍의 제1 바아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조절부를 보조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바아 각각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제1 보조 조절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바아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조절부를 보조하여 상기 한 쌍의 제2 바아 각각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제2 보조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 조절부 및 상기 제1 보조 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가 변화하고,
    상기 프레임 조절부 및 상기 제2 보조 조절부에 의해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제1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가 변화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조절부는 유압 실린더를 구비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물을 지지하는 중량물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 지지부는, 상기 테이블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상기 중량물의 상기 폭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제1 프레임의 크레인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에 위치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1 바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바아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바아를 구비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바아는, 크레인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간격이 증가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조절부는 유압 실린더를 구비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조절부와 힌지 결합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2 바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바아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바아를 구비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바아는, 크레인 방향으로 갈수록 상호 간격이 증가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 조절부는 유압 실린더를 구비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크레인과 힌지 결합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크레인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크레인용 지그 장치.
KR1020160104991A 2016-08-18 2016-08-18 크레인용 지그 장치 KR101765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991A KR101765877B1 (ko) 2016-08-18 2016-08-18 크레인용 지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991A KR101765877B1 (ko) 2016-08-18 2016-08-18 크레인용 지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877B1 true KR101765877B1 (ko) 2017-08-08

Family

ID=5965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991A KR101765877B1 (ko) 2016-08-18 2016-08-18 크레인용 지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8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232B1 (ko) * 2022-08-16 2023-02-14 주식회사 코비스 교량받침공간 상에서의 거북목형 수평조절식 교량중량물 안전 이송·지지 장치 및 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781B2 (ja) * 1992-01-24 2001-04-09 株式会社東芝 ベクトル量子化装置
JP2005105765A (ja) 2003-10-02 2005-04-21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ブロック移送用アタッチメントとブロック移送用作業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781B2 (ja) * 1992-01-24 2001-04-09 株式会社東芝 ベクトル量子化装置
JP2005105765A (ja) 2003-10-02 2005-04-21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ブロック移送用アタッチメントとブロック移送用作業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232B1 (ko) * 2022-08-16 2023-02-14 주식회사 코비스 교량받침공간 상에서의 거북목형 수평조절식 교량중량물 안전 이송·지지 장치 및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467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대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26083B1 (ko) 교량받침 내진보강시 사용되는 내진기능의 일방향 c.p.s 잭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구조물 동시 인상·인하 공법
CN1899949A (zh) 起吊重载荷用桁架臂起重机
CN101979308A (zh) 塔式起重机及其平衡臂拉杆结构及该结构的安装方法
US20230220659A1 (en) Clamp attachment for boom of telescopic handler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placing decking material on a building using the clamp attachment
KR101765877B1 (ko) 크레인용 지그 장치
CN110562856B (zh) 重物的起重装置以及起重搬运方法
CN103147405B (zh) 斜主桁斜拉桥钢梁架设方法
JP6470285B2 (ja) 足場
JP2009091816A (ja) 橋梁の架設工法および架設装置
JP591104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6142097A (ja) 可搬式昇降装置および水平部材の解体方法
JP7251146B2 (ja) 吊り具、吊り具システム及び吊り具システムの使用方法
EP3495309B1 (de) Brückenkrananlage
CN206343806U (zh) 用于挖掘机下车架的焊接设备
KR20210044498A (ko) 항만 크레인 설치 방법
JP2020117993A (ja) 橋梁架設方法
CN104452590B (zh) 一种桥面吊机结构
KR102551158B1 (ko) 가변 편심 구체 양중틀
CN214780249U (zh) 一种用于预制梁起吊的固定装置
CN215666480U (zh) 作业平台装置
KR102588537B1 (ko) 양중 시스템
CN114310744B (zh) 一种下车架拼点定位装置
RU245991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стального каркаса
KR102273565B1 (ko) Sw거더를 구비한 가설구조물 및 그 가설구조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