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5230B1 - 싱글축 고온 필름 연신기 - Google Patents

싱글축 고온 필름 연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230B1
KR101765230B1 KR1020170059829A KR20170059829A KR101765230B1 KR 101765230 B1 KR101765230 B1 KR 101765230B1 KR 1020170059829 A KR1020170059829 A KR 1020170059829A KR 20170059829 A KR20170059829 A KR 20170059829A KR 101765230 B1 KR101765230 B1 KR 101765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tretcher
high temperature
temperature chamber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엔티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엔티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엔티엔에스
Priority to KR102017005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4Combined thermoforming and prestretching, e.g. biaxial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1Handling means, e.g. transfer means, feeding means
    • B29C51/262Clamping means for the sheets, e.g. clamp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3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environment, e.g. ster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5Auxiliary operations during the thermoform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글축을 통하여 다양한 필름을 최적의 조건과 목적에 맞게 소정의 온도와 속도 및 비율을 설정한 뒤 필름을 자유자재로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축 고온 필름 연신기로 챔버내의 온도 구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최소의 샘플 투입시간을 확보하여 샘플 투입시 예상되는 챔버내 온도 프로파일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및 챔버내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연신된 필름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싱글축 고온 필름 연신기{High Temperature Single-Axis Stretching Machine for Film}
본 발명은 싱글축 고온 필름 연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글축을 통하여 다양한 필름을 최적의 조건과 목적에 맞게 소정의 온도와 속도 및 비율을 설정한 뒤 필름을 자유자재로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축 고온 필름 연신기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 박막, 그 중에서도 특히 폴리머를 이용한 미세 다공 필름은 수지 자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실온보다도 낮으므로, 필름은 실온에서 미소한 변형을 한다. 그로 인해, 리튬 이온 전지 등의 세퍼레이터로서 사용되었을 때에 요구되는 물성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어려웠다. 특히, 필름의 사이즈가 폭 방향으로 큰 경우나 길이 방향으로 큰 경우에 있어서는, 각종 물성의 균일성을 전체면에 걸쳐서 확보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각종 물성이 균일한 필름 부분만을 선정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었다.
이러한 필름 연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연신기는 필름의 진행방향과 필름의 폭 방향 모두에서 동시에 필름을 연신하는 연신기는 각종 포장 재료의 표기재로서 다색 인쇄가 실시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연신 필름을 제조할 때에는 연신후의 기재 필름에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열처리에 의해 연신필름의 내열성 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어 실용상 우수한 필름이 된다. 그러나 열처리 방법시 연신 필름의 단부에 이완이 발생하고, 인쇄나 라미네이트시에 트러블을 일으키는 보잉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연신기에 포함된 열처리 장치와 함께, 장력 제어 장치를 열처리 장치의 하류측에 구비하고 장력 제어 장치는 열처리 장치의 내부에서 열처리를 받고 있는 필름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연신기는 연신 공정 이후에 행해지는 열처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서보모터의 고장을 일으키게 된다. 정보전자, 스마트폰, 2차전지 분리막, 합성수지 등 다양한 필름 분야에 적용할 수 없으며, 연신되는 필름의 연신비율이 한정되어 있으며, 유지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연신을 위한 필름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선행문헌이 공지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2266호(2011.11.09)에서는 필름은 연신하기 위한 연신챔버로서, 사각의 박스형틀로 형성된 연신프레임; 상기 연신프레임 측면에 용접 또는 볼트로 결합되는 외통고정대; 상기 연신프레임 내부 하측에 바닥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패널 상면에 형성되는 내통케이스; 상기 내통케이스 내부 양 측면 중앙에 베이스 이송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이송대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이송롤러; 및 상기 이송롤러와 맞물려 슬라이딩 되도록 이송홈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면에 베이스 판이 접합되고, 상기 베이스 판 상면에 구비되는 연신기; 상기 연신기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과 연신상태를 나타내는 상태표시창이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필름 연신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3839호(2015.07.20)에서는 300㎜ 이상의 필름 폭을 갖는 띠 형상의 폴리에틸렌 소재를 포함하고, 필름 폭 방향의 물성 분포에 관하여, 두께의 불균일이 1.00㎛ 미만으로 설정되며, 투기도의 불균일이 50초/100mL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미세 다공 필름 및 원료를 혼련, 시트형성, 연신, 세정, 건조, 연신 및 길이방향 완화공정을 통하여 상기 미세 다공필름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1997-0033751호(1997.07.22)에서는 필름 상의 다이 볼트 대응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함으로써, 필름 두께 제어의 정밀도 및 횡연신 배율의 감시 및 조정을 확실하고도 정확하게 달성할 수 있는 2축연신 필름의 두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복수의 다이 볼트를 갖는 자동 T 다이로부터 압출되는 시트를 2축 연신기내에서 필름 F으로 2축 연신할 때, 이 필름 상의 다이 볼트 대응 위치 Bf(i)의 두께를 측정함으로써, 자동 T 다이 제어 시스템을 거쳐서 다이 볼트를 피드백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이 볼트 대응 위치 Bf(i)의 설정을 시트 및 필름상에 각각 두께 측정기를 구비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3823호(2016.03.03)에서는 다이카복실산 성분 및 다이올 성분과 함께 안티모니 화합물이 존재하는 조성물 중에, 마그네슘 화합물의 전체량이 첨가되는 제1 에스터화 반응조, 및 상기 제1 에스터화 반응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슘 화합물이 첨가된 조성물 중에, 인 화합물의 전체량이 첨가되는 제2 에스터화 반응조를 포함하는,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에스터화 반응조를 경유하여 에스터화 반응시키는 에스터화 반응 공정과, 압력이 6.00×103 Pa 이하인 제1 중축합 반응조, 및 상기 제1 중축합 반응조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압력이 0.60×103Pa 이하인 제2 중축합 반응조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중축합 반응조를 경유하여, 상기 에스터화 반응 공정으로 생성된 에스터화 반응 생성물을 중축합 반응시키는 중축합 반응 공정과, 적어도 상기 에스터화 반응 공정, 및 상기 중축합 반응 공정을 거쳐 생성된 폴리에스터를 용융 압출하여, 필름형상으로 제막하는 제막 공정과, 제막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세로 연신하는 세로 연신 공정과, 세로 연신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가로 연신하는 가로 연신 공정을 적어도 갖는 2축 연신 폴리에스터 필름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http://www.mulimtech.com에서는 연신비 최대 3.5배 및 사용온도 180℃의 2축 서보모터 및 컨트롤부로 구성된 연신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http://oceansci.co.kr에서는 연신거리 300mm, 연신속도 300mm/min의 나사식 오븐형 연신기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150℃이상의 고온에서 동작이 가능하며 무베어링타입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챔버내에서 온도 구배를 ± 1℃로 구현할 수 있으며, 챔버내 필름의 고온연신을 위한 투입시간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른 챔버내 온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필름의 모든 면에 동일한 연신력이 전달될 수 있어 연신 필름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싱글축 고온 필름 연신기에 대한 기술은 개시된 바 없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82266호(2011.11.0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3839호(2015.07.20) 한국공개특허공보 특1997-0033751호(1997.07.2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3823호(2016.03.03)
http://www.mulimtech.com http://oceansci.co.kr
본 발명은 싱글축을 통하여 다양한 필름을 최적의 조건과 목적에 맞게 연신시키며, 임의 온도와 속도 및 비율을 설정한 뒤 필름을 원하는 조건에 맞춰 신속하고 정확하게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축 고온 필름 연신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연신기(100)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상기 싱글축연신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200); 상기 컨트롤박스 하단에 접하는 고온챔버(300);
상기 고온챔버에 삽입되는 연신기(400); 및 상기 고온챔버 및 상기 연신기의 하단에 접하며 형성된 하부스탠드(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연신기를 제공한다.
상기 연신기는 소정의 연신온도로 설정된 상기 고온챔버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연신기가 상기 고온챔버 안에 위치할 경우, 단열밀폐를 위한 상기 연신기의 일단에 형성된 연신기외부도어(410) 및 상기 연신기는 상기 고온챔버 외부로 위치시킬 경우, 상기 고온챔버의 단열밀폐를 위한 상기 연신기의 타단에 형성된 연신기내부도어(420)을 포함일 수 있다.
상기 연신기를 상기 고온챔버에 투입 또는 배출할 경우, 상기 연신기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스탠드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510); 및 상기 연신기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시키는 이동롤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신기에 필름이 장착되는 베이스판(423); 상기 필름을 고정하는 상기 베이스판에 2개의 보조가이드(414)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필름홀더(415); 상기 2개의 보조가이드를 구비하는 보조가이드고정대(416); 및 상기 복수의 필름홀더를 연결하는 연결링크(421); 싱글축으로 장착된 필름의 중심에서 양방향 또는 일단에서 단방향으로 연신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을 양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연신하는 데 연신력을 전달하는 가이드(411); 상기 가이드를 구비하는 가이드고정대(417); 상기 가이드에 힘을 전달하는 커플링(412); 및 상기 커플링에 서버모터의 열차단 및 상기 커플링 지지를 위한 모터지지대(413)을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온챔버의 상부에는 정밀한 승온을 위하여 형성된 복수의 히터; 상기 복수의 히터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고온챔버내로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팬; 상기 복수의 팬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팬모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온챔버의 일측에는 상기 가열된 공기를 상기 고온챔버 내부로 균일하게 이송할 수 있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격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막은 고정격막 및 상기 고정격막에 접하여 형성된 좌우로 이동가능한 이동격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온챔버의 일측에는 상기 가열된 공기를 상기 연신기의 하부로 공급하기 위한 하부덕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격막이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격막의 홀과 겹쳐지면서 형성된 이동격막의 홀 폭 대 상기 고정격막의 홀 폭 비가 1 내지 0의 조건으로 좌우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 연신기는 챔버내의 온도 구배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 연신기는 최소의 샘플 투입시간을 확보하여 샘플 투입시 예상되는 챔버내 온도 프로파일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 연신기는 챔버내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연신된 필름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 연신기는 싱글축을 사용하여 필름연신시 구동력을 저감하고, 다양한 조건의 연신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 연신기는 필름을 연신하는 고정축을 변화하여 연신시 필름에 가해지는 힘의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 연신기는 필름의 횡 방향에 따라중앙부위와 양끝 말단 부위의 연식력 차이에 기인하는 보잉현상 및 넥킹현상 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싱글축 고온 연신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싱글축 고온 연신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싱글축 고온 연신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싱글축 고온 연신기의 연신기 분해도이다.
본 발명은 싱글축을 통하여 다양한 필름을 최적의 조건과 목적에 맞게 연신시키며, 임의 온도와 속도 및 비율을 설정한 뒤 필름을 자유자재로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축 고온 필름 연신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살펴보면,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연신기(100)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상기 싱글축연신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200); 상기 컨트롤박스 하단에 접하는 고온챔버(300); 상기 고온챔버에 삽입되는 연신기(400); 및 상기 고온챔버 및 상기 연신기의 하단에 접하며 형성된 하부스탠드(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연신기를 제공한다.
상기 연신기는 소정의 연신온도로 설정된 상기 고온챔버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연신기가 상기 고온챔버 안에 위치할 경우, 단열밀폐를 위한 상기 연신기의 일단에 형성된 연신기외부도어(410) 및 상기 연신기는 상기 고온챔버 외부로 위치시킬 경우, 상기 고온챔버의 단열밀폐를 위한 상기 연신기의 타단에 형성된 연신기내부도어(420)을 포함일 수 있다.
상기 연신기외부도어에는 상기 연신기가 상기 고온챔버내에 투입될 경우, 밀페를 위한 도어락(41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신기의 원활한 투입 및 배출을 위한 도어핸들(419)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싱글축 고온 연신기는 상기 컨트롤 박스의 상부에 제1상부패널(201) 및 제2상부패널(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패널 및 제2상부패널은 상기 싱글축 고온 연신기의 유지 보수에 용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싱글축 고온 연신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상태표시창(2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박스는 상기 싱글축 고온 연신기의 제어 및 구동할 수 있는 제어부(20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온챔버는 일측에 챔버 내를 유지 보수 및 투입 또는 배출되는 연신기를 제어할 수 있는 챔버도어(3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도어는 상기 싱글축 고온 연신기 운영시 내부 상태를 유관관찰 할 수 있는 투시창(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신기를 상기 고온챔버에 투입 또는 배출할 경우, 상기 연신기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스탠드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510); 및 상기 연신기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시키는 이동롤러(4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상기 연신기에 필름이 장착되는 베이스판(423); 상기 필름을 고정하는 상기 베이스판에 2개의 보조가이드(414)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필름홀더(415); 상기 2개의 보조가이드를 구비하는 보조가이드고정대(416); 및 상기 복수의 필름홀더를 연결하는 연결링크(421); 싱글축으로 장착된 필름의 중심에서 양방향 또는 일단에서 단방향으로 연신할 수 있다.
상기 필름홀더의 일단은 상기 연신기에 필름을 탈 부착 시, 연신기 가열에 의한 인체 위험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고온용캡(4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을 양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연신하는 데 연신력을 전달하는 가이드(411); 상기 가이드를 구비하는 가이드고정대(417); 상기 가이드에 힘을 전달하는 커플링(412); 및 상기 커플링에 서버모터의 열차단 및 상기 커플링 지지를 위한 모터지지대(4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고온챔버의 상부에는 정밀한 승온을 위하여 형성된 복수의 히터; 상기 복수의 히터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고온챔버내로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팬; 상기 복수의 팬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팬모터; 가 형성될 수 상기 복수의 히터는 제1히터(307), 제2히터(308), 제3히터(309)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히터는 정밀한 승온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복수의 팬은 제1팬(304), 제2팬(305), 제3팬(30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팬은 가열된 공기를 정밀하게 고온챔버로 이송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복수의 팬모터는 제1모터(301), 제2모터(302), 제3모터(3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팬모터는 가열된 공기를 정밀하게 고온챔버로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전달을 위해서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형성될 수 있음을 자명하다.
상기 복수의 히터, 상기 복수의 팬 및 상기 복수의 팬모터는 상부챔버(321)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챔버내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센서(3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내의 온도 프로파일링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단열재(3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온챔버의 일측에는 상기 가열된 공기를 상기 고온챔버 내부로 균일하게 이송할 수 있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격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온챔버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챔버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격막으로 이송되기 위한 상부덕트(3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다각형 및 무정형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의 형상은 가열된 공기의 이송이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복수의 홀의 형태는 고정격막과 이동격막이 동일하다. 상기 고정격막과 이동격막의 홀의 겹침조건을 제어하면서 상기 고온챔버의 승온조건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격막은 고정격막 및 상기 고정격막에 접하여 형성된 좌우로 이동가능한 이동격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격막은 동일면적의 3부분으로 구획된 상부이동격막(311), 중부이동격막(312), 하부이동격막(3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격막은 상기 가열된 공기가 상기 고온챔버 내부로 균일하게 이송될 수 있다면, 구획면적 및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고온챔버의 일측에는 상기 가열된 공기를 상기 연신기의 하부로 공급하기 위한 하부덕트가 형 상기 하부덕트가 형성되기 위해서 상기 고온챔버의 하부에 하부챔버(3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온챔버의 냉각을 위하여 배기팬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팬은 상기 고온챔버의 상부덕트 및 하부덕트상에 형성될 수 있다. 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격막이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격막의 홀과 겹쳐지면서 형성된 이동격막의 홀 폭 대 상기 고정격막의 홀 폭 비가 1 내지 0의 조건으로 좌우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연신기의 최대 필름 장착 면적은 4000mm x 8000mm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0(841mm x 1189) 이상 일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x 50mm 이상 일수 있다. 상기 최대 필름 장착 면적을 벗어나면 연신시 기하학적, 물리적 형상 변화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연신기의 최대 필름 장착 두께는 0.1 내지 1000μm 일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μm 일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μm 일수 있다.
상기 연신기의 최대 공정온도는 400℃ 이상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공정온도를 벗어나면 연신기 및 연신대상 필름에 무리가 가거나 연신이 안될수 있다.
상기 연신기의 최대 연신력은 1 내지 1500 kN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1200 kN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kN 이상 일 수 있다. 상기 최대 연신력을 벗어나면 연신 대상 필름의 파단 등의 물리, 화학적 변형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기술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기술구성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싱글축 연신기
200 : 컨트롤박스
201 : 제1상부패널
202 : 제2상부패널
203 : 제어부
204 : 상태표시창
300 : 고온챔버
301 : 제1팬모터
302 : 제2팬모터
303 : 제3팬모터
304 : 제1팬
305 : 제2팬
306 : 제3팬
307 : 제1히터
308 : 제2히터
309 : 제3히터
310 : 투시창
311 : 상부이동격막
312 : 중부이동격막
313 : 하부이동격막
314 : 고정격막
320 : 상부덕트
321 : 상부챔버
322 : 하부덕트
323 : 하부챔버
324 : 챔버도어
325 : 단열재
326 : 온도센서
400 : 연신기
410 : 연신기외부도어
411 : 가이드
412 : 커플링
413 : 모터지지대
414 : 보조가이드
415 : 필름홀더
416 : 보조가이드고정대
417 : 가이드고정대
418 : 도어락
419 : 도어핸들
420 : 연신기내부도어
421 : 연결링크
422 : 이동롤러
423 : 베이스판
424 : 고온용캡
500 : 하부스탠드
510 : 가이드레일

Claims (8)

  1.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연신기(100)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의 상기 싱글축연신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200);
    상기 컨트롤박스 하단에 접하는 고온챔버(300);
    상기 고온챔버에 삽입되는 연신기(400); 및
    상기 고온챔버 및 상기 연신기의 하단에 접하며 형성된 하부스탠드(500)을 포함하며,
    상기 연신기는 소정의 연신온도로 설정된 상기 고온챔버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연신기가 상기 고온챔버 안에 위치할 경우, 단열밀폐를 위한 상기 연신기의 일단에 형성된 연신기외부도어(410) 및 상기 연신기는 상기 고온챔버 외부로 위치시킬 경우, 상기 고온챔버의 단열밀폐를 위한 상기 연신기의 타단에 형성된 연신기내부도어(4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온챔버의 일측에는 가열된 공기를 상기 고온챔버 내부로 균일하게 이송할 수 있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격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연신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신기를 상기 고온챔버에 투입 또는 배출할 경우, 상기 연신기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스탠드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510); 및
    상기 연신기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시키는 이동롤러(4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연신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신기에 필름이 장착되는 베이스판(423);
    상기 필름을 고정하는 상기 베이스판에 2개의 보조가이드(414)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필름홀더(415);
    상기 2개의 보조가이드를 구비하는 보조가이드고정대(416); 및
    상기 복수의 필름홀더를 연결하는 연결링크(421);
    싱글축으로 장착된 필름의 중심에서 양방향 또는 일단에서 단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연신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양방향 또는 단방향으로 연신하는 데 연신력을 전달하는 가이드(411);
    상기 가이드를 구비하는 가이드고정대(417);
    상기 가이드에 힘을 전달하는 커플링(412); 및
    상기 커플링에 서버모터의 열차단 및 상기 커플링 지지를 위한 모터지지대(4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연신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온챔버의 상부에는 정밀한 승온을 위하여 형성된 복수의 히터;
    상기 복수의 히터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고온챔버내로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팬;
    상기 복수의 팬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팬모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연신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막은 고정격막 및 상기 고정격막에 접하여 형성된 좌우로 이동가능한 이동격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연신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온챔버의 일측에는 상기 가열된 공기를 상기 연신기의 하부로 공급하기 위한 하부덕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연신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격막이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격막의 홀과 겹쳐지면서 형성된 이동격막의 홀 폭 대 상기 고정격막의 홀 폭 비가 1 내지 0의 조건으로 좌우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고온 연신하는 싱글축연신기.
KR1020170059829A 2017-05-15 2017-05-15 싱글축 고온 필름 연신기 KR101765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29A KR101765230B1 (ko) 2017-05-15 2017-05-15 싱글축 고온 필름 연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829A KR101765230B1 (ko) 2017-05-15 2017-05-15 싱글축 고온 필름 연신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474 Division 2016-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230B1 true KR101765230B1 (ko) 2017-08-23

Family

ID=59759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829A KR101765230B1 (ko) 2017-05-15 2017-05-15 싱글축 고온 필름 연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2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8976A (ja) 2000-01-18 2001-07-24 Toshiba Mach Co Ltd 縦延伸機のロール周速制御装置
JP2007230163A (ja) 2006-03-03 2007-09-13 Japan Steel Works Ltd:The 縦延伸機
KR101082266B1 (ko) * 2011-08-26 2011-11-09 이현철 2축 필름 연신기
KR101556246B1 (ko) 2015-03-31 2015-09-30 이현철 4축 필름 연신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8976A (ja) 2000-01-18 2001-07-24 Toshiba Mach Co Ltd 縦延伸機のロール周速制御装置
JP2007230163A (ja) 2006-03-03 2007-09-13 Japan Steel Works Ltd:The 縦延伸機
KR101082266B1 (ko) * 2011-08-26 2011-11-09 이현철 2축 필름 연신기
KR101556246B1 (ko) 2015-03-31 2015-09-30 이현철 4축 필름 연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20056A2 (en) Method of producing microporous polymer membrane and microporous polymer membrane produced by the method
KR101765230B1 (ko) 싱글축 고온 필름 연신기
JP5600508B2 (ja) 加熱装置
KR101721636B1 (ko) 싱글축 고온 필름 정밀 제어 연신기
JP5136490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装置
CN113753641A (zh) 薄膜卷绕系统和复合组件
JP6969565B2 (ja) 樹脂フィルム及び導電性フィルム、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US3124834A (en) Apparatus for stretching thermoplastic
CN109774109B (zh) 薄膜拉伸设备
KR20200080532A (ko) Pet 발포시트 제조방법
KR102165608B1 (ko) Pet 발포시트 제조장치
CN207832594U (zh) 一种热拉伸装置
CN217891933U (zh) 一种用于处理可生物降解材料的发泡炉与发泡加工系统
EP1990176B1 (en) Expandable melt feed line
JP2001322166A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熱処理方法
EP2722910A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ine porous film for a separation film of a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m using same
KR20160116702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3676156B2 (ja) 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熱処理方法
KR100369441B1 (ko)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CN103009620A (zh) 管状薄膜坯管的加热方法及加热装置
EP4083117A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member for composite material, composite material, mobile body, and composite material film
JP2008195044A (ja) 異型長尺成形体の熱処理方法
CN113665223A (zh) 防水卷材的内应力消除方法以及装置
KR101642479B1 (ko) 전극 시트 제조 시스템 및 방법
WO2013137153A1 (ja) 二軸延伸ナイロンフィルム、ラミネートフィルム、ラミネート包材および二軸延伸ナイロン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