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872B1 -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872B1
KR101764872B1 KR1020160020824A KR20160020824A KR101764872B1 KR 101764872 B1 KR101764872 B1 KR 101764872B1 KR 1020160020824 A KR1020160020824 A KR 1020160020824A KR 20160020824 A KR20160020824 A KR 20160020824A KR 101764872 B1 KR101764872 B1 KR 101764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le
assembled
fasten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성규
Original Assignee
하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성규 filed Critical 하성규
Priority to KR102016002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08Three-dimensional corner connectors, the legs thereof being received within hollow, elongated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58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without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33Hollow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프레임을 연결하여 선반, 쇼케이스 등을 구성함에 있어 연결구조를 적극 개량하여 중공프레임과, 중공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유닛 및 보조연결구를 구성하되, 견고한 고정상태를 위한 클램핑 기능이 부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의 간소화와 조립성 및 사용성이 우수하며, 선반으로 구성시 견고한 고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Prefabricated structures Assembly}
본 발명은 중공프레임을 연결하여 선반, 쇼케이스 등을 구성함에 있어 연결구조를 적극 개량하여 구성의 간소화와 조립성이 우수하며, 설치시 견고한 고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시장에서 제품을 전시 홍보할 목적으로 조립식 구조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조립식 구조물은 일정기간 설치한 후 철거하는 것으로, 신속한 설치와 철거, 내구성 보장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조립식 구조물은 원주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된 프레임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후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에 끼운 상태에서 볼트로 고정되는 연결부재로 이웃하는 프레임을 연결하거나, 일정 간격으로 구멍이 천공된 ㄱ자형 혹은 +자형 앵글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고 이들 이웃하는 프레임을 연결부재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조립식 구조물은 각 구성부재가 직각방향으로만 연결 구성되므로 다양한 형태로 구조물을 조립 구성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고, 출입문이나 기타 구조물을 추가 설치 시, 기존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에 설치가 불가능하므로 프레임을 절단한 후 설치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리고 프레임 외부의 이미지 연출이 불가능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다양한 구성의 조립식 구조물을 개발하여 공지 및 실시한 바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0788030(2007.12.21.)의 조립식 구조물이 있으며, 공구 없이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 및 해체가 극히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기존설치되어 있는 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절단 없이도 보조 프레임 혹은 각종 선반과 같은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수평프레임과 지지유닛의 결합이 단순 조립식 구성이므로 수평 및 수직 프레임의 구분 없이 사용이 가능하여 설치 시 혼동의 염려가 없으며, 프레임 절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자재낭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1381371(2014.03.28)의 조립식 구조물에 의하면, 지주에 수평파이프부재를 연결유닛으로 상호 연결토록 한 조립식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내면에 마주보도록 2개 한조로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사각파이프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가이드돌기 사이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양측으로 형성되며, 결합상태일 때 가이드돌기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스의 내면 단부에 형성한 스토퍼에 결합돌기의 선단이 걸림되는 클램핑베이스와; 상기 클램핑베이스의 상하측에 위치하며 결합돌기의 반대쪽으로 위치하게 형성한 회동홈에 끼워지는 회동돌기가 형성되고, 회동돌기의 반대쪽에는 클램핑베이스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조절구멍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자리파기구멍을 형성한 한 쌍의 클램핑부재와 상기 조절구멍을 통과하도록 자리파기구멍에 조립되는 조절볼트 및 조절볼트에 조립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핑부재는 케이스의 선단 바깥으로 노출되어 지주에 구비된 클램핑돌기와 결합되는 클램핑걸림턱을 형성하고, 회동돌기가 있는 쪽에는 케이스 내면과 마주보는 클램핑면을 형성하여 조절나사를 잠글 때 회동돌기를 중심으로 클램핑부재가 회동하면서 클램핑걸림턱이 지주의 클램핑돌기를 가압 고정하고, 반대로 클램핑면은 케이스와 클램핑부재 사이의 내입공간으로 내입된 수평파이프부재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클램핑되도록 구성한 기술이 개시한 바 있다.
KR 100788030 B1 2007.12.21. KR 101381371 B1 2014.03.28
이에 본 발명에서는 조립식 구조물을 구성함에 있어 연결유닛에 중공프레임을 끼움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구성이 간소화하면서 조립이 간편하며 선반 구조물로 조립시 견고한 고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중공프레임이 연결되도록 상하좌우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연결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연결구에 클램핑부재가 설치된 연결유닛;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중공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조립되는 보조연결부재; 본체에 보조연결부재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에 의하면, 연결유닛 및 보조연결구에 중공프레임을 끼움식으로 체결함으로써 선반의 구성이 쉽고 간편하다.
또한, 연결유닛 및 보조연결구에 클램핑 기능이 부여되어 선반 구성시 견고한 고정상태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사각파이프 및 원형파이프를 중공프레임으로 호환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성에서 편리하고, 생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인 비용으로 튼튼한 조립식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의 정/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의 구성중 연결유닛에 대한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다른실시에 따른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를 원형 형상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의 정/배면을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는 내부가 관통된 중공프레임(1,2)과, 상기 중공프레임(1,2)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유닛(3)과, 상기 연결유닛(3)의 전후방향으로 중공프레임(2)을 연결하도록 연결유닛(3)에 조립되는 보조연결부재(4)와, 상기 연결유닛(3)에 보조연결부재(4)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5)를 포함한다.
연결유닛(3)은 본체(10)와, 상기 본체(10)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구(20)의 전후방에 대칭되게 체결하여 중공프레임(1,2)을 클램핑하는 클램핑부재(30) 및 마찰패드(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연결유닛(3)은 본체(10) 상하좌우 어느 한면에 연결구(20)가 외부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본체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연결구(20)의 개수에 따라 ‘ㄱ’형상의 코너유닛(3a),‘ㅏ’형상의 사이드유닛(3b),‘+’형상의 센터유닛(3c)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코너유닛(3a)은 2개의 연결구(20)가 일체 형성된 것이고, 사이드유닛(3b)은 3개의 연결구(20)가 형성된 것이며, 센터유닛(3c)는 4개의 연결구(20)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본체(10)는 중공프레임(1,2)의 상하좌우 단면적이 동일한 정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본체(10) 중앙에 보조연결부재(4)의 조립을 위한 나사가 체결되는 조립구멍(11)이 형성되고, 전방면(12)의 조립구멍(11)과 각 모서리 사이에 전방걸림편(13)이‘X’형상으로 돌출되며, 후방면(14)에는 조립구멍(11)과 한쪽 모서리 사이로만 후방걸림편(15)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20)는 본체(10)의 상하좌우에서 외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중공프레임(1,2)에 삽입되도록 본체(10)의 단면적 보다 소정간격 좁게 형성되어 본체(10) 단면적이 좁게 형성됨에 따른 본체(10)와 연결구(20)가 직교되는 부위에 단턱(16)이 형성되어 중공프레임(1,2)을 삽입시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20)의 후단에는 클램핑부재(30)를 조립수단(32)에 의해 조립하도록 조립공(21)이 관통되고, 중단에는 클램핑부재(30)의 조립시 양단이 시소와 같이 회동하도록 회동돌기(22)가 형성되며, 전단 사방면을 감싸도록 마찰패드(40)가 끼움되는 내입부(23)가 형성된다.
상기 클램핑부재(30)는 회동돌기(22)에 끼워지도록 회동홈(33)이 형성되고, 회동홈(33)의 후단에 클램핑부재(30)를 연결구(20)에 조립하도록 조립공(21)과 연통되는 체결공(34)이 관통되되, 회동홈(33)의 반대측 체결공(34) 부위에는 볼트머리 또는 너트가 내입되는 삽입홈(35)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34)의 전단에는 선단부로 갈수록 경사지는 경사유도구(36)가 형성되어 중공프레임(1,2)의 삽입시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경사유도구(36)의 반대측에는 마찰패드(40)가 내입되는 내입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클램핑부재(30)는 제1클램핑부재(31) 및 제2클램프부재(31')로 한쌍이 조립된다.
상기 마찰패드(4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져 중공프레임(1,2)의 내부에 연결구(20)의 삽입시 견고한 고정상태를 부여하게 되며 환형띠 형상 또는 환형띠로 감싸는 형태가 아닌 클램핑부재(30,31)의 내입홈(37)에만 판상 형태로 부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연결유닛(3)은 도 3에 보인바와 같이 연결구(20)에 한쌍의 제1,2클램핑부재(31,31')가 조립수단(32)인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조립된 상태로 중공프레임(1,2)으로 삽입한 후, 제1,2클램핑부재(31,31')의 후단에 체결된 조립수단(32)을 조으게 되면, 회동돌기(22)를 따라 제1,2클램핑부재(31,31')의 후단은 좁아지고 전단은 시소작용과 같이 벌어지면서 중공프레임(1,2)의 내면을 가압 밀착하게 되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클램핑부재(30)의 경우 연결구(20)의 전후단 어느 한쪽에만 제1클램핑부재(31)를 조립하여 사용해도 클램핑 작용은 충분히 이루어지게 되며,
이를 위해 하나의 클램핑부재(30)를 사용시 볼트만 체결이 용이하도록 연결구(20)의 조립공(21)에는 나사탭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연결부재(4)는 연결유닛(3)의 본체(10) 전/후방면(12,14)으로 중공프레임(1,2)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쌍이 분할 형성된 하우징(50,51)과, 상기 하우징(50,51)을 결합하여 연결유닛(3)에 고정시키는 고정구(60)와, 상기 고정구(60)와 하우징(50,51)을 체결하는 결합링(70)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50,51)은 후방에 핀체결구(52)가 돌출 형성되고, 핀체결구(52)의 양측으로 유동방지구(53)가 돌출되되, 상기 유동방지구(53)는 한쌍의 하우징(50,51)을 조립시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결유닛(3)의 본체(10) 전방걸림편(13)에 핀체결구(52)와 함께 삽입되는 구조가 되며, 하우징(50,51)의 전방에는 걸림고리부(56)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고리부(56)는 가이드구(54)의 선단부에 수직걸림편(55)이 위아래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60)는 하우징(50,51)의 전방에서 내입되는 삽입구(61)가 돌출되고, 상기 삽입구(61)의 전단에 걸림판(6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61) 및 걸림판(62)의 양단부에 하우징(50,51)의 걸림고리부(56)가 걸림되는 슬라이드홈(6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61)의 중앙에는 하우징(50,51)의 핀체결구(52)와 연통되어 나사조립을 위한 나사공(6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보조연결부재(4)는 한쌍으로 구성되는 하우징(50,51)의 걸림고리부(56)를 고정구(60)의 슬라이드홈(63)에 삽입하여 수직걸림편(55)이 걸림판(62)에 걸림되도록 조립하게 되면, 하우징(50,51) 내부에 삽입구(61)가 내입된 상태로 고정구(60)가 가이드구(54)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슬라이드 유동하게 되며 하우징(50,51)과 걸림판(62) 사이로 결합링(70)이 내입되도록 체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조립하게 된다.
체결부재(5)는 보조열결구(4)를 연결유닛(3)의 본체(10)에 고정시키도록 조립볼트(80)와 본체(10)의 후방면(14)에 조립볼트의 헤드(81)가 삽입되도록 하여 미관을 위해 체결되는 커버(90)로 형성된다.
상기 조립볼트(80)는 본체(10)의 조립구멍(11)에 걸림되는 헤드(81)에 조립구멍(11) 및 보조연결구(4)가 체결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나사부(8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커버(90)는 중앙에 조립볼트(80)의 헤드(81)가 삽입되는 헤드삽입홈(91)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삽입홈(91)의 외측으로 본체(10)의 후방걸림편(5)이 삽입되는 다수의 걸림홈(92)이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의 조립에 대해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공프레임(1,2)을 연결유닛(3)의 연결구(20)에 끼움식으로 삽탈하면서 간단하게 다단 선반을 조립할 수 있다.
선반 조립시에 연결유닛(3)의 경우 모서리측에는 코너유닛(3a)이 위치되고, 측면에는 사이드유닛(3b)이 위치되며, 중앙부위에는 센터유닛(3c)이 위치되도록 하여 조립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연결구(4)를 연결유닛(3)의 본체(10) 전/후방면(12,14)을 연장하도록 조립함으로써 연결유닛(3)의 전후방을 중공프레임(2)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즉, 중공프레임(1,2)을 연결유닛(3)의 연결구(20)에 삽입하게 되면, 연결구(20)의 전후단에 설치된 클램핑부재(30)가 중공프레임(1,2) 내부를 가압 밀착하여 클램핑되도록 클램핑부재(30)의 후단에 조립수단(32)을 조으게 된다. 그에 따라 제1,2클램핑부재(31,31')의 중단이 연결구(20)의 회동돌기(22)에 의한 시소작용으로 클램핑부재(30,31)의 후단은 내측방향으로 좁혀지고 중공프레임(1,2)의 내부에 삽입된 전단은 벌어지면서 클램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클램핑부재(30)의 전단부에 체결된 마찰패드(40)가 접지력을 부여하여 고정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연결구(4)를 연결유닛(3)의 본체(10)에 조립시 벽면이나 코너와 같이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는 먼저 도 5에 보인바와 같이, 본체(10)의 조립구멍(11)으로 조립볼트(80)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되, 본체(10)의 후방면(14)이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립볼트(80)로 보조연결부재(4)를 조립하되, 보조연결부재(4)의 핀체결구(52)를 나사부(82)가 관통되도록 끼운 상태에서 보조연결부재(4)를 회전시키면서 고정구(60)의 나사공(64)이 나사부(82)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본체(10)에 보조연결부재(4)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보조연결부재(4)로 중공프레임(2)을 삽입하게 되면 보조연결부재(4)를 구성하는 하우징(50,51)과 고정구(60)를 결합하는 결합링(70)이 보조연결부재(4)와 중공프레임(2)의 사이에서 접지력을 형성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반대측에는 본체(10)의 전방면이 후방을 위치하도록 하여 전방걸림편(13)으로 보조연결구(4)의 핀체결구(52)와 유동방지구(53)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핀체결구(52)는 본체(10)의 조립구멍(11)과 연통됨에 따라 본체(10)의 후방면(14)의 조립구멍(11)으로 조립볼트(80)를 삽입하여 본체(10)에 보조연결부재(4)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체(10)의 후방면(14)에 조립볼트(80)의 헤드(81)가 내입되도록 커버(90)를 체결하게 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의 구성중 연결유닛에 대한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연결유닛(3)의 경우 본체(10)와 조립연결구(20')로 분리 구성하여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체(10)의 모서리마다 걸림구(17)가 형성되고, 걸림구(18) 사이로 조립홈(18)이 형성되며,
조립연결구(20')의 일측에 조립구(24)가 돌출 형성되어 본체(10)의 조립홈(18)에 조립연결구(20')의 조립구(24)를 끼움식으로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구(20) 또는 조립연결구(20')에 결합되는 클램핑부재(30)의 경우 볼트/너트와 같은 조립수단(32)을 사용하지 않고 보조연결부재(4)에 의해 고정되도록 변형실시할 수 있는바, 클램핑부재(30)의 회동홈(33)의 반대방향 후단에 체결공(34)을 대신하여 돌출구(38)를 형성하여 클램핑부재(30)를 연결구(20) 또는 조립연결구(20')에 부착한 상태에서 본체(10)에 조립되는 보조연결부재(4)가 돌출구(38)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를 원형 형상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의 형상에 있어 중공프레임(1,2)이 원형 형상일 경우 그에 부합하도록 연결유닛(3) 및 보조연결부재(4)를 원형 형상으로 변형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2:중공프레임
3:연결유닛 3a:코너유닛 3b:사이드유닛 3c:센터유닛
10:본체 11:조립구멍 12:전방면 13:전방걸림편
14:후방면 15:후방걸림편 16:단턱 17:걸림구
18:조립홈
20:연결구 21:조립공 22:회동돌기 23:내입부
20':조립연결구 24:조립구
30:클램핑부재 31:제1클램핑부재 31':제2클랭핑부재
32:조립수단 33:회동홈 34:체결공 35:삽입홈
36:경사유도구 37:내입홈 38:돌출구
40:마찰패드
4:보조연결부재
50,51:하우징 52:핀체결구 53:유동방지구 54:가이드구
55:걸림편 56:걸림고리부
60:고정구 61:삽입구 62:걸림판 63:슬라이드홈
64:나사공
70:결합링
5:체결부재
80:조립볼트 81:헤드 82:나사부
90:커버 91:헤드삽입홈 92:걸림홈

Claims (7)

  1. 중공프레임(1,2)이 연결되도록 상하좌우 방향으로 2~4개의 연결구(20)가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연결구(20)에 클램핑부재(30)가 조립되는 연결유닛(3);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중공프레임(2)을 연결하도록 조립되는 보조연결부재(4);
    본체(10)에 보조연결부재(4)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5);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3)의 본체(10)는 보조연결부재(4)의 조립 고정을 위한 조립구멍(1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20)는 중공프레임(1,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본체(10)의 상하좌우 면에서 본체(10)의 단면적보다 좁게 연장 형성되며 후단에 클램핑부재(30,31)를 조립수단(32)에 의해 조립하도록 조립공(21)이 관통되고, 중단에는 클램핑부재(30,31)의 조립시 양단이 시소와 같이 회동하도록 회동돌기(22)가 형성되며 전단에는 마찰패드(40)가 끼움되는 내입부(23)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부재(30)는 회동돌기(22)에 끼워지도록 회동홈(33)이 형성되고, 회동홈(33)의 후단에 연결구(20)에 조립하도록 조립공(21)과 연통하는 체결공(34)이 관통되며, 상기 회동홈(33)의 반대측 체결공(34) 부위에는 삽입홈(35)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34)의 전단에는 선단부로 갈수록 경사지는 경사유도구(36)가 형성되며, 경사유도구(36)의 반대측에는 내입홈(3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
  2. 중공프레임(1,2)이 연결되도록 상하좌우 방향으로 2~4개의 연결구(20)가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연결구(20)에 클램핑부재(30)가 조립되는 연결유닛(3);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중공프레임(2)을 연결하도록 조립되는 보조연결부재(4);
    본체(10)에 보조연결부재(4)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5);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유닛(3)의 본체(10)는 보조연결부재(4)의 조립 고정을 위한 조립구멍(1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20)는 중공프레임(1,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본체(10)의 상하좌우 면에서 본체(10)의 단면적보다 좁게 연장 형성되며 후단에 클램핑부재(30,31)를 조립수단(32)에 의해 조립하도록 조립공(21)이 관통되고, 중단에는 클램핑부재(30,31)의 조립시 양단이 시소와 같이 회동하도록 회동돌기(22)가 형성되며 전단에는 마찰패드(40)가 끼움되는 내입부(23)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부재(30)는 회동돌기(22)에 끼워지도록 회동홈(33)이 형성되고, 회동홈(33)의 후단에 연결구(20)에 부착한 상태로 보조연결부재(4)에 의해 가압 고정되도록 돌출구(38)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홈(33)의 전단이 선단부로 갈수록 경사지는 경사유도구(36)가 형성되며, 경사유도구(36)의 반대측에는 내입홈(3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클램핑부재(30)는 연결구(20)의 양측으로 상호 대칭하도록 한 쌍으로 조립되거나 어느 한측으로 하나만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연결유닛(3)의 본체(10)는 전방면(12)에 조립구멍(11)과 각 모서리 사이로‘X’형상의 전방걸림편(13)이 형성되고,
    후방면(14)에 조립구멍(11)과 한쪽 모서리 사이로 후방걸림편(15)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보조연결부재(4)는 한쌍이 분할 형성된 하우징(50,51)과, 상기 하우징(50,51)을 결합하여 연결유닛(3)에 고정시키는 고정구(60)와, 상기 고정구(60)와 하우징(50,51)을 체결하는 결합링(7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50,51)은 후방에 핀체결구(52)가 돌출 형성되고 핀체결구(52)의 양측으로 연결유닛(3)의 본체(10)의 전방걸림편(13)으로 걸림되는 유동방지구(53)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전방에는 가이드구(54)의 선단부에 수직걸림편(55)이 위아래로 돌출된 걸림고리부(53)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60)는 하우징(50,51)의 전방에 내입되는 삽입구(6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61)의 전단에 걸림판(6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61) 및 걸림판(62)의 양단부에 하우징(50,51)의 걸림고리부(53)가 걸림되는 슬라이드홈(6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61)의 중앙에는 하우징(50,51)의 핀체결구(52)와 연통되어 나사조립을 위한 나사공(64)이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하우징(50,51)의 걸림고리부(53)를 고정구(60)의 슬라이드홈(63)에 걸림되도록 조립한 후, 하우징(50,51)과 걸림판(62) 사이로 결합링(70)이 내입되도록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
  6. 제 4항에 있어서,
    체결부재(5)는 보조연결구(4)를 연결유닛(3)의 본체(10)에 고정시키도록 조립볼트(80)와, 본체(10)의 후방면(14)에 조립볼트(80)의 헤드(81)가 삽입되도록 미관을 위해 체결되는 커버(90)로 구성되며,
    상기 조립볼트(80)는 본체(10)의 조립구멍(11)에 걸림되는 헤드(81)와 보조연결구(4)를 조립하는 일정 길이의 나사부(82)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90)는 중앙에 헤드(81)가 삽입되는 헤드삽입홈(91)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삽입홈(91)의 외측으로 본체(10)의 후방걸림편(5)에 걸림되도록 걸림홈(9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
  7. 삭제
KR1020160020824A 2016-02-22 2016-02-22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 KR101764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824A KR101764872B1 (ko) 2016-02-22 2016-02-22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824A KR101764872B1 (ko) 2016-02-22 2016-02-22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872B1 true KR101764872B1 (ko) 2017-08-03

Family

ID=5965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824A KR101764872B1 (ko) 2016-02-22 2016-02-22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2104A (zh) * 2018-02-09 2018-07-20 宁波积家创意家居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方管的膨胀扣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9926B2 (ja) * 2006-03-20 2011-06-1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テーブル等における天板の支持脚
KR101381371B1 (ko) * 2013-07-24 2014-04-04 하성규 조립식 구조물
KR101477410B1 (ko) * 2013-07-24 2014-12-29 신용윤 프레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9926B2 (ja) * 2006-03-20 2011-06-1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テーブル等における天板の支持脚
KR101381371B1 (ko) * 2013-07-24 2014-04-04 하성규 조립식 구조물
KR101477410B1 (ko) * 2013-07-24 2014-12-29 신용윤 프레임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2104A (zh) * 2018-02-09 2018-07-20 宁波积家创意家居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方管的膨胀扣
CN108302104B (zh) * 2018-02-09 2024-04-09 宁波积家创意家居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连接方管的膨胀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98114A (en) Frame construction
RU2465491C2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рамах дисплея
US4421434A (en) Clamp members
KR101944173B1 (ko) 테이블 프레임
JP6887426B2 (ja) 三方コーナー・アセンブリ
KR101764872B1 (ko) 조립식 구조물의 어셈블리
KR100731346B1 (ko) 조립식 구조물
ITMI940720A1 (it) Ventilatore di filtrazione
KR101597932B1 (ko)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20190063351A (ko)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EP1416170A1 (en) Joint for modular frames of furnishing elements such as tables, desks, shelves or suchlike
KR101512271B1 (ko) 확장성을 구비한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EP1905936B1 (en) Corner joint for door and window frames
JP2016104953A (ja) 外装材取付具及び建物の外装材取付構造
CN209870337U (zh) 后窗无骨雨刷及其接头
US7178282B2 (en) Decorative corner piece for connecting mitered frame sections together
KR200473294Y1 (ko) 연결쇠를 포함하는 등기구 프레임 코너부 결합구조
KR101143582B1 (ko) 칸막이 조립체
JP5001823B2 (ja) 化粧柱構造
KR200495018Y1 (ko) 파이프 조인트 장치
KR200200023Y1 (ko) 전시용 패널 조립체
JP3837045B2 (ja) 袖キャビネット付き机
KR20180003886A (ko) 프레임 연결구
KR101799831B1 (ko)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KR100677189B1 (ko) 개구부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