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23Y1 - 전시용 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시용 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23Y1
KR200200023Y1 KR2020000013783U KR20000013783U KR200200023Y1 KR 200200023 Y1 KR200200023 Y1 KR 200200023Y1 KR 2020000013783 U KR2020000013783 U KR 2020000013783U KR 20000013783 U KR20000013783 U KR 20000013783U KR 200200023 Y1 KR200200023 Y1 KR 200200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panel assembly
frame member
hole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일
신동재
신인숙
Original Assignee
신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인숙 filed Critical 신인숙
Priority to KR2020000013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08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means of grooves, rails, or sl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3Frames or housings to hold sig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시용 패널 조립체 관한 것으로서, 한쌍의 수직 프레임 부재(12)와 한쌍의 수평 프레임 부재(14)로 이루어지는 사각형 프레임과, 상기 사각형 프레임에 의해 그 안에 지지되는 판상 부재(16)를 구비하는 2개 이상의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10)와, 상기 2개 이상의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수단은 하나 이상의 연결봉을 구비한 연결구(40)와 상기 각 수직 프레임 부재(1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연결봉 삽입 구멍(12c)인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판상 부재들을 지지하는 패널 조립체들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시용 패널 조립체{Assembly for display panel}
본 고안은 전시용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전시용 패널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 간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전시용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 광고 등을 위해 여러 가지 대상물들이 부착되는 패널은 본 형태를 유지하면서 지면에 안정하게 세워져야 한다. 이를 위해 패널은 보통 패널의 가장자리측을 지지하는 틀에 의해 본 형태를 유지하고 틀은 지면에 그대로 세워지거나 틀의 바닥면에 지지 보조물을 설치하여 틀이 지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설치 되기도 한다. 또한, 패널은 또 다른 패널과 연결되어 설치되기도 한다. 즉, 이웃하는 틀의 수직 부재들을 연결대 등으로 연결함으로써 패널들이 연결된다.
도10은 종래의 기술 구성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한쌍의 수직 부재(201) 및 수평 부재(203)가 연결 부재(205)에 의해 사각형 틀을 형성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직 부재(201)와 수평 부재(203)는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된 관 부재이고, 연결 부재(205)는 직각으로 구부러진 부재이다. 수직 부재(201) 및 수평 부재(203)는 연결 부재(205)의 양단부(205a, 205b)가 수직 부재(201) 및 수평 부재(203)의 중공부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연결된다. 이와같이 연결되는 기술 구성으로 한쌍의 수직 부재(201) 및 수평 부재(203)는 4개의 연결 부재(205)에 의해 연결되어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상의 틀을 형성한다.
이 사각형 틀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207)에는 내측 패널(209)이 끼워지고, 내측 패널(209)을 사이에 두고 틀의 양측면에 외측 패널(210)이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된다. 외측 패널(210)상에 전시물이 부착되거나 걸린다.
이와같이 조립되는 기술 구성에 의하면, 4개의 연결 부재(205)의 단부에 각각 수직 부재(201)와 수평 부재(203)를 끼워 넣어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번거롭고 부재들의 중공부에 연결 부재(205)의 단부(205a, 205b)를 강제 끼움식으로 조립하기 때문에 힘이 들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이 확실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연결 부재(205)에 대해 수직 부재(201) 또는 수평 부재(203)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측 패널(210)을 사각형 틀의 측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외측 패널(210)의 접착면에 접착제 등을 도포하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여러 개의 패널들을 직렬 설치하거나 서로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배치하도록 틀과 틀을 연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패널들을 직렬 설치하기 위해서는, 수직 부재(201)의 외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홈(211)을 형성하고, 홈(211)이 형성된 수직 부재(201)들의 외측면들을 대향 배치한 다음, 홈(211)들에 각각 끼워지는 걸림 돌기(213)를 양측에 구비한 긴 연결대(215)를 이용하여 수직 부재(201)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도11 참조) 다음에, 패널들이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90。)로 배치되도록 틀과 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수직 부재(201)들의 홈(217)들에 끼워지는 걸림 돌기(219)가 서로 직각 방향을 향하도록 측면에 각각 형성된 긴 연결대(221)를 이용하여 수직 부재(201)들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도12 참조)
이와 같이 연결하는 종래의 기술 구성은, 수직 부재들의 길이와 같은 긴 연결대를 이용하여 수직 부재들의 외면에 형성된 홈에 밀어 끼워서 연결하는 방식이므로, 패널의 대형화에 따라 수직 부재의 높이가 작업자의 신장보다 높아질 경우 수직 부재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긴 연결대를 수직 부재들의 홈에 끼우는 작업은 매우 불편하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기술 구성으로는, 연결대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의 배치 각도에 따라 패널간의 각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이미 소정의 각도로 패널들이 설치된 상태에서 다시 패널간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설치된 연결대를 수직 부재로부터 해체한 다음 연결대의 측면에서 소망의 각도대로 배치된 걸림 돌기를 수직 부재의 홈에 끼워야 하므로 패널간의 각도 조정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시용 패널을 지지하는 틀의 조립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패널 조립체들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널 조립체들 사이의 배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데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는, 한쌍의 수직 프레임 부재와 한쌍의 수평 프레임 부재로 이루어지는 사각형 프레임과, 상기 사각형 프레임에 의해 그 안에 지지되는 판상 부재로 구성되는 2개 이상의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와, 상기 2개 이상의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수단은 하나 이상의 연결봉을 구비한 연결구와 상기 각 수직 프레임 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연결봉 삽입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부재들의 연결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 연결 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의 조립도.
도5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도7에 도시한 전시용 패널 조립체를 적층하기 위한 연결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9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종래의 기술 구성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11은 도10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12는 도10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
12: 수직 프레임 부재
12a: 홈
12c: 연결봉 삽입 구멍
14: 수평 프레임 부재
20: 연결 수단
40: 연결구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로서 하나의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만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10)는 한쌍의 수직 프레임 부재(12)와 한쌍의 수평 프레임 부재(14)로 이루어지는 사각형 프레임과, 상기 사각형 프레임에 의해 그 안에 지지되는 판상 부재(16)를 포함한다. 판상 부재(16)의 재료로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일 수 있다.
수직 프레임 부재(12)와 수평 프레임 부재(14)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홈(12a, 14a)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 프레임 부재(12, 14)들이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 프레임을 이룰 때 판상 부재(16)의 가장자리 부분이 홈(12a, 14a)에 각각 끼워진다. 이들 프레임 부재(12, 14)들의 재료로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일 수 있다.
수평 프레임 부재(14)의 양측에는 수직 프레임 부재(12)와 연결하는 수단(20)이 설치된다. 연결 수단(20)은 판상의 제1 요소(22) 및 판상의 제2 요소(24)와, 제1 요소(22)의 단부와 제2 요소(24)의 단부의 상호 이격을 구속하는 수단과, 제1 요소(22)에 형성된 나사 구멍(22a)과, 나사 구멍(22)에 체결되는 나사(26)를 포함한다.
상기 상호 이격 구속 수단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요소(24) 단부에 형성된 돌기(24a)와 제1 요소(22)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2 요소(24)의 돌기(24a)를 감싸는 요부(22b)를 구비한다. 제2 요소(24)의 돌기(24a)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요소(22)는 소정의 각도로 선회할 수 있다.
제1 요소(22)의 단부와 제2 요소(24)의 단부의 사이에는 탄성체(28)가 삽입된다. 상세하게는, 제1 요소(11)의 요부(22b)의 끝면과 제2 요소(24)의 돌기(24)에 인접한 제2 요소의 후방측 끝면이 인접하여 경계 부분을 이룰 때, 이 경계 부분에 형성된 요홈(30)에 탄성체(28)가 밀착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탄성체(28)는 제1 요소(22)와 제2 요소(24)가 서로 선회할 때 제1 및 제2 요소(22, 24)가 서로에 대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체(28)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고무, 우레탄 등의 탄성 재료로 제조된다.
도1을 다시 참조하면, 연결 수단(20)은 수평 프레임 부재(14)의 양측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14b)에 나사(26)가 관통한 후 나사(26)가 제1 요소(22)의 나사 구멍(22a)에 체결함으로써 수평 프레임 부재(14)에 설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 요소(22, 24)의 타단부(22c, 24b)는 수평 프레임 부재(14)의 밖으로 돌출하도록 수평 프레임 부재(14)에 설치된다. 타단부(22c, 24b)는 수직 프레임 부재(12)의 홈(12a)에 끼워짐으로써 프레임 부재(12, 14)들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3을 참조하여 수직 프레임 부재와 수평 프레임 부재들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연결 수단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나사(26)를 조이면 제1 요소(22) 및 제2 요소(24)의 타단부(22c, 24b)가 서로 벌어지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 부재(12)의 홈(12a)을 형성하는 측벽(12b)을 가압함으로써, 수직 프레임 부재(12)와 수평 프레임 부재(14)는 서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여기에서, 타단부(22c, 24b)에는 걸림턱(22e, 24e)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22e, 24e)들은 일단 타단부(22c, 24b)가 홈(12a)에 끼워져 결합된 후, 수평 프레임 부재(14)가 길이방향으로 장력을 받더라도 수직 프레임 부재(12)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나사(26)를 풀면 제1 요소(22) 및 제2 요소(24)의 타단부(22c, 24b)는 서로 가까워지면서 이들이 홈(12a)의 측벽(12b)을 가압하는 힘은 해제된다. 따라서, 타단부(22c, 24b)는 홈(12a)에서 이탈되고, 수직 프레임 부재(12)와 수평 프레 임 부재(14)는 서로 해체된다.
도1을 다시 참조하면, 수직 프레임 부재(12)의 상부와 하부에는 삽입 구멍(12c)이 각각 형성되고, 하부 삽입 구멍(12c)에는 지지 수단이 설치된다. 삽입 구멍(12c)은 수직 프레임 부재(12)의 길이를 따라 관통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수지 프레임 부재(12)를 압출 성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 수단은, 지면에 접촉하는 기부(32)와, 기부(32)의 상면에 직립하도록 부착된 수나사봉(34)과, 수나사봉(34)에 나사 체결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구(36a)를 갖고 삽입 구멍(12c)에 끼워지는 긴 지지봉(36)을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의 기술 구성에 따라 조립된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10)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즉, 한쌍의 수직 프레임 부재(12) 및 한쌍의 수평 프레임 부재(14)가 판상 부재(16)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한 채 기부(32)에 의해 직립되어 있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로서 도4에 도시된 2개의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가 연결된 패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는 상술한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10)와,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10)와 동일 구성을 가지는 또다른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50)와, 상기 2개의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10, 50)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수단은 2개의 제1 및 제2 연결봉(42, 44)을 구비한 연결구(40)와, 상기 각 수직 프레임 부재(12, 5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삽입 구멍(12c, 52a)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연결구(40)의 재질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이 될 수 있 다.
연결봉 삽입 구멍(12c, 52a)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로킷(sprocket) 형상의 구멍을 갖는다. 그러나, 삼각형 및 사각형은 물론 5각 이상의 다각형 형상의 구멍일 수도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연결봉(42)은 삽입 구멍(12c)에 끼워 맞출수 있도록 스프로킷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물론 제1 연결봉(42)은 삽입 구멍(12c)의 형상이 상술한 다각형 형상일 경우에는 상응하는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봉(44)은 삽입 구멍 형상, 즉, 스프로킷 형상 또는 상기 다각형 형상 중의 어느 하나의 내접원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삽입 구멍(52a)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2 연결봉(44)에 끼워지는 수직 프레임 부재(12)는 제2 연결봉(44)을 축으로 선회할 수 있다.
연결구(40)는 도1에서 설명한 기부(32) 및 수나사봉(34)과 결합된다. 즉, 연결구(40)의 제1 연결봉(42)은 지지봉(36)(도1 참조)의 구조와 유사하게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구(미도시함)를 갖고, 이 관통구에 상기 수나사봉(34)이 삽입되면서 서로 나사 체결된다.
이와같이 연결 조립된 전시용 패널 조립체의 의하면, 크기가 작은 연결구(40)를 이용하여 수직 프레임 부재(12c, 52a)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끼워 넣기만 하면 되므로 연결 조립 작업이 신속해지고 편리해진 이점이 있다. 또한, 단위 패널 조립체간의 각도 조절도 매우 용이해진 이점이 있다. 즉,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10)는 제1 연결봉(42)을 고정축으로 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설치되고, 단 위 전시 패널 조립체(50)는 제2 연결봉(4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10)을 기준으로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50)를 선회시키면서 소정의 각도로 패널간의 각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의 다른 예로서, 도5에 도시된 2개의 패널 조립체(10, 50)의 상부에 또다른 2개의 패널 조립체(70, 80)가 연결된 전시용 패널 조립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5에서 패널 조립체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구(40)의 변형예로서 동축선상에서 반대쪽을 향해 연장한 한 쌍의 제1 연결봉(42a, 42b)과, 이 한 쌍의 제1 연결봉(42a, 42b)과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2 연결봉(44a, 44b)을 갖는 연결구(46)를 이용하여 4개의 패널 조립체(10, 50, 70, 80)가 서로 연결된다. 이때, 한 쌍의 제1 연결봉(42a, 42b)과 한쌍의 제2 연결봉(44a, 44b)은 도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연결봉(42, 44)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한편, 하부측 패널 조립체(10, 50)와 상부측 패널 조립체(70, 80)간의 조립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46)의 변형예로서 한 쌍의 제1 연결봉(42a, 42b)만을 갖는 연결구(48)를 이용하여 패널 조립체들의 외향측 수직 프레임 부재들(12, 72) 또는 수직 프레임 부재들(52, 8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의 또다른 예로서, 도5에 도시된 2개의 패널 조립체(10, 50)에 다른 패널 조립체(90)가 연결된 전시용 패널 조립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5에서 패널 조립체의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구(40)의 변형예로서 제1 연결봉(42)과, 제1 연결봉(42)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 제2 및 제3 연결봉(44, 45)을 갖는 연결구(49)를 이용하여 3개의 패널 조립체(10, 50, 90)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연결된다.
이때, 제1 연결봉(42)과 제2 연결봉(44)은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제3 연결봉(45)은 제2 연결봉(44)과 동일한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10)는 제1 연결봉(42)을 고정축으로 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설치되고,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50)와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90)는 각각 제2 및 제3 연결봉(44, 4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10)을 기준으로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50, 90)를 개별적으로 선회시키면서 소정의 각도로 패널들간의 각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패널 조립체를 단일층에서 서로 연결된 조립체를 설명하였지만,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패널 조립체가 2층으로 연결되었을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하측의 패널 조립체를 연결하는 결합 수단은 도7에 도시한 연결구(49)의 변형예로서 반대쪽을 향해 동축선상에 연장한 한 쌍의 제1 연결봉(42a, 42b)과, 이 한 쌍의 제1 연결봉(42a, 42b)에 대해 각각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 한 쌍의 제2 연결봉(44a, 44b) 및 한 쌍의 제3 연결봉(45a, 45b)을 갖는 연결구(51)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연결구들은 최대 3개의 연결봉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4개 이상의 연결봉을 갖는 연결구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연결봉들 중 적어도 하 나는 고정축 또는 회전축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측방향으로 병설되는 2개의 단위 패널 조립체들과, 이들 2개의 단위 패널 조립체를 2 층으로 쌓아올리는 패널 조립체들을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연결구들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3개 이상의 단위 패널 조립체들을 서로 병렬 배치하거나 이와같이 병렬 배치된 단위 패널 조립체들을 3층 이상으로 쌓아올릴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패널 조립체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본 고안의 전시용 패널 조립체는, 도4에 도시된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10)의 수직 프레임 부재(12)의 변형예로서 홈(12a)이 형성된 측면(13a)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측면(13b)에 다른 홈(13c)이 형성된 수직 프레임 부재(13)를 갖는 한 쌍의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100)와, 한 쌍의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100)가 대향 설치될 때 상기 다른 홈(13c)에 끼워 결합되는 연결 수단(20)을 양측에 구비한 한 쌍의 수평 지지 프레임 부재(101)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전시용 패널 조립체는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형상으로 조립되므로, 본 실시예의 조립체의 상부에 패널(103)을 놓을 경우 패널(103) 위에 여러 가지 전시물을 진열할 수 있는 진열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시용 패널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조립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패널 조립체들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패널 조립체들의 배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Claims (12)

  1. 한쌍의 수직 프레임 부재와 한쌍의 수평 프레임 부재로 이루어지는 사각형 프레임과, 상기 사각형 프레임에 의해 그 안에 지지되는 판상 부재를 구비하는 2개 이상의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와,
    상기 2개 이상의 단위 전시 패널 조립체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수단은 하나 이상의 연결봉을 구비한 연결구와 상기 각 수직 프레임 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연결봉 삽입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패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들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부재들이 사각형 프레임을 이룰 때 상기 판상 부재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패널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 프레임은 상기 홈이 형성된 측면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측면에 다른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패널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 삽입 구멍은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를 그 길이를 따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패널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 삽입 구멍은 5각 이상의 다각형 구멍이고, 상기 연결봉 중 하나는 상기 다각형 구멍에 끼워 맞춰지는 다각형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패널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 삽입 구멍은 스프로킷 형상의 구멍이고, 상기 연결봉 중 하나는 상기 스프로킷 형상의 구멍에 끼워 맞춰지는 스프로킷 형상의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패널 조립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연결봉 삽입 구멍 형상의 내접원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패널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와 연결하는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 수단은 판상의 제1 요소 및 판상의 제2 요소와, 상기 제1 요소의 단부와 상기 제2 요소의 단부의 상호 이격을 구속하는 수단과, 상기 제1 요소에 형성된 나사 구멍과, 상기 나사 구멍에 체결되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패널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이격 구속 수단은 상기 제2 요소의 단부에 형성 된 돌기와, 상기 제1 요소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요소의 돌기를 감싸는 요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패널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소의 단부와 상기 제2 요소의 단부의 사이에 탄성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패널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요소는 타단부가 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의 밖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타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의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패널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의 양측부에는 상기 나사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나사는 상기 제1 요소의 나사 구멍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나사를 조이면 상기 제1 요소 및 제2 요소의 타단부가 서로 벌어지면서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의 홈을 형성하는 측벽을 가압하고 상기 나사를 풀면 상기 제1 요소 및 제2 요소의 타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홈의 측벽을 가압하는 힘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패널 조립체.
KR2020000013783U 2000-05-16 2000-05-16 전시용 패널 조립체 KR200200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783U KR200200023Y1 (ko) 2000-05-16 2000-05-16 전시용 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783U KR200200023Y1 (ko) 2000-05-16 2000-05-16 전시용 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3Y1 true KR200200023Y1 (ko) 2000-10-16

Family

ID=1965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783U KR200200023Y1 (ko) 2000-05-16 2000-05-16 전시용 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2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21B1 (ko) * 2013-12-18 2014-11-03 장세현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하우징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897409B1 (ko) * 2017-06-29 2018-10-18 한영배 조립식 플랜트 박스
KR20200137891A (ko) * 2019-05-31 2020-12-09 지엘에스이 주식회사 경기장용 광고 입간판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321B1 (ko) * 2013-12-18 2014-11-03 장세현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하우징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897409B1 (ko) * 2017-06-29 2018-10-18 한영배 조립식 플랜트 박스
KR20200137891A (ko) * 2019-05-31 2020-12-09 지엘에스이 주식회사 경기장용 광고 입간판 장치
KR102209504B1 (ko) 2019-05-31 2021-01-29 지엘에스이 주식회사 경기장용 광고 입간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10234A1 (en) Hanging module assembly for frames
WO2016165409A1 (zh) 一种太阳能板安装模块
EP2292858B1 (en) Fastening device for curtain wall units
WO2016165408A1 (zh) 一种太阳能板安装框架
KR200200023Y1 (ko) 전시용 패널 조립체
US20060225378A1 (en) Connection block with bar-adapting trenches for adapting and holding framing bars at fixed orientations
KR101169448B1 (ko) 선반 지지체
US9380720B2 (en) Hinged connector and modular video display assembly containing same
CN112609866B (zh) 一种装配式预制建筑墙体及其安装方法
JP4358598B2 (ja) テーブルの天板上への仕切板の取付構造
CN110107568B (zh) 一种组装式自锁框架
CN210291181U (zh) 一种led屏幕支架
KR200365562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주 및 그러한 지주로 구성되는 조립식가구
CN113175137B (zh) 一种铝单板墙幕
JP2005102739A (ja) デスク用パネル装置
JP2000003138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388004Y1 (ko) 복수개의 모니터용 스탠드
KR101512387B1 (ko) 조립 구조물용 파이프 연결 고정장치
JPH038131Y2 (ko)
KR200322812Y1 (ko) 기표대
US20230055950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screen
KR200358105Y1 (ko) 유리판 고정구
KR102437352B1 (ko) 테이블 프레임 연결 장치
JPH071372Y2 (ja) パネル用の脚構造
JPH0643526Y2 (ja) パイプ材で枠組を構成する組立式架台における枠組ジョイント部のストッ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